KR19980053779U -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779U
KR19980053779U KR2019960066969U KR19960066969U KR19980053779U KR 19980053779 U KR19980053779 U KR 19980053779U KR 2019960066969 U KR2019960066969 U KR 2019960066969U KR 19960066969 U KR19960066969 U KR 19960066969U KR 19980053779 U KR19980053779 U KR 199800537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chine
switch
machine switch
gap adjus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60066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3779U/ko
Publication of KR19980053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77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로, 지게차의 작업기 레버의 동작을 감지하는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업용 차량의 작업기 레버 등과 같이 조작체의 일측에서 이의 동작을 감지하는 작업기 스위치(22)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스위치(22)를 이동브래킷(38)의 일단에서 핀(31)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지지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좌우간극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이동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브래킷(38)의 타단을 고정브래킷(46)에 핀(42)결합시켜 상하로 슬라이딩지지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하간극조절수단에 의해 상하이동이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작업기 스위치의 좌우 및 상하조절이 원활하고, 설치공간에도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조작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본 고안은 예로, 지게차의 작업기 레버의 동작을 감지하는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기 스위치의 상하 및 좌우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원활한 간극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에 있어서 작업기를 조작하는 레버측에는 작업기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작업기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작업레버(10)가 하나의 힌지축(12)에 회전자재되게 설치되고, 이 작업레버(10)의 힌지 연결부위에 캠(14)이 설치되며, 이 캠(14)에 연결된 요크(16)가 컨트롤 밸브(18)의 스풀에 연결된 연결플레이트(2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캠(14)의 일측방에 작업기 스위치(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기 스위치(22)에는 상기 캠(14)의 캠면과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2개의 너트(23)가 설치되어 있다.
이같이 설치된 작업기 스위치(22)는 캠(14)과 작업기 스위치(22)의 장착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상하조절이 불가능함으로 작업기 스위치(22)장착의 위치에 상하로 장공을 형성시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작업기 스위치(22)의 좌우조절시 너트(23)를 충분히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간극조절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기 스위치의 상하 및 좌우조절을 가능토록 하여 공간에 구애됨이 없이 접점간극의 조절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작업기 스위치 접점간극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산업용 차량의 작업기 레버 등과 같이 조작체의 일측에서 이의 동작을 감지하는 작업기 스위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스위치를 이동브래킷의 일단에서 핀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지지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좌우간극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이동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브래킷의 타단을 고정브래킷에 핀결합시켜 상하로 슬라이딩 지지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하간극조절수단에 의해 상하이동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작업기 스위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기 레버 12 : 힌지축 14 : 캠
16 : 요크 18 : 컨트롤밸브 20 : 연결플레이트
22 : 작업기 스위치 30 : 스위치 브래킷 31, 42 : 가이드 핀
34, 44 : 압축스프링 38 : 이동 브래킷 46 : 고정브래킷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용 차량의 작업기 레버(10)의 캠(14) 일측에 이의 동작을 감지하는 작업기 스위치(22)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스위치(22)에 스위치 브래킷(30)이 부착되어 있고, 이 스위치 브래킷(30)은 일측의 이동브래킷(38)의 상부 전면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핀(31)에 좌우슬라이딩 지지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이동브래킷(38)의 일측에서 삽입된 좌우간극조절수단인 볼트(36)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이 볼트(36)에는 이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브래킷(30)의 후단면과 이동브래킷(38)의 전면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34)이 탄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동브래킷(38)의 하단에는 가이드 핀(42)이 하방으로 입설되어 이동브래킷(38)이 고정브래킷(46)에 상하 슬라이딩 지지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이동브래킷(38)의 하단에 삽입된 상하간극조절수단인 볼트(40)가 고정브래킷(46)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이 볼트(40)에는 이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브래킷(38)의 저면과 고정브래킷(46)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34)이 탄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작업기 스위치(22)의 좌우조절을 위해 상방의 볼트(36)를 조이게 되면 스위치 브래킷(30)이 압축스프링(34)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브래킷(38)측으로 가이드 핀(31)에 지지된 상태로 후퇴하여 간극이 커지게 되고, 반대로 볼트(36)를 풀게 되면 스위치 브래킷(30)이 신장되는 압축스프링(34)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캠(12)측으로 가이드 핀(31)의 지지를 받아 전진하여 간극이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작업기 스위치(22)의 상하조절을 위해 하방의 볼트(40)를 조이게 되면 이동브래킷(38)이 압축스프링(44)의 탄성력을 이기고 고정브래킷(46)측으로 가이드 핀(42)을 따라 하강하여 작업기 스위치(22)가 함께 하강하고, 반대로 볼트(36)를 풀게 되면 이동브래킷(38)이 신장되는 압축스프링(34)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가이드 핀(31)에 지지되어 상승하여 작업기 스위치(22)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볼트(36,40)의 조절로 작업기 스위치(22)의 좌우 및 상하조절이 가능하고, 이때 설치공간에도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조작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기 레버의 동작을 감지하는 작업기 스위치의 간극을 좌우 및 상하로 조절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상하조절을 해결하기 위한 장공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간극조절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됨으로 조작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산업용 차량의 작업기 레버 등과 같이 조작체의 일측에서 이의 동작을 감지하는 작업기 스위치(22)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스위치(22)를 이동브래킷(38)의 일단에서 핀(31)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지지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좌우간극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이동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브래킷(38)의 타단을 고정브래킷(46)에 핀(42)결합시켜 상하로 슬라이딩지지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하간극조절수단에 의해 상하이동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좌우간극조절수단은 일단이 이동브래킷(38)에 삽입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작업기 스위치(22)에 부착된 브래킷(30)에 나사결합된 볼트(3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하간극조절수단은 일단이 상기 이동브래킷(38)에 삽입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고정브래킷(46)에 나사결합된 볼트(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볼트(36,4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이에 각각 압축스프링(34,44)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KR2019960066969U 1996-12-31 1996-12-31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KR199800537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969U KR19980053779U (ko) 1996-12-31 1996-12-31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969U KR19980053779U (ko) 1996-12-31 1996-12-31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779U true KR19980053779U (ko) 1998-10-07

Family

ID=5400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969U KR19980053779U (ko) 1996-12-31 1996-12-31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377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804A (ko) * 2020-02-21 2021-08-31 엘에스일렉트릭(주) 직류 차단기의 트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804A (ko) * 2020-02-21 2021-08-31 엘에스일렉트릭(주) 직류 차단기의 트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4309A (en) Machine control device
EP2842686B1 (en) Clamp device
KR19980053779U (ko) 작업기 스위치의 접점간극 조절장치
CA2604373A1 (en) Control unit with a monitoring apparatus
US5565829A (en) Side pivot seat
CN211665334U (zh) 一种工业缝纫机倒缝扳手机构
CN209708859U (zh) 一种安装屏切换片操控装置
KR100497150B1 (ko) 아암을 구비한 회전장치
GB2181710A (en) Side skirting for escalators or moving pavements
CN220227997U (zh) 一种电控手柄阀
JP3048869B2 (ja) 作業用走行車におけるレバー角検出センサの取付構造
KR200169299Y1 (ko) 펜던트 아암의 선회각도 조절장치
CN220488445U (zh) 气动执行器反馈装置
CN115108424B (zh) 电梯的轿厢移动限制装置
US4315231A (en) High-speed circuit breaker
KR100286201B1 (ko) 포크리프트용 위치 검출장치
JPH08133680A (ja) クレーンのブーム位置検出装置
KR200282922Y1 (ko) 연속주조기의 인발기 벌징압력 제어용 오픈갭 조정장치
KR100376430B1 (ko)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JPH0527432Y2 (ko)
KR200184466Y1 (ko) 조작레버 센터링 장치
KR960008837Y1 (ko) 머시닝센터의 파렛트 클램프 유무 확인장치
KR0122219Y1 (ko) 필러 셋팅핀 제어용 센서 설치구조
JPS62187625A (ja) 運転席シ−トのシ−トスイツチ
JPH08190827A (ja) 摺動スイッチの接点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