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864U -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45864U KR19980045864U KR2019960059006U KR19960059006U KR19980045864U KR 19980045864 U KR19980045864 U KR 19980045864U KR 2019960059006 U KR2019960059006 U KR 2019960059006U KR 19960059006 U KR19960059006 U KR 19960059006U KR 19980045864 U KR19980045864 U KR 1998004586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ing fan
- indoor
- ring
- condenser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4—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in a window-type room air condition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가 실내외공간부로 구획된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공간부에 형성되어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의 구조를 개선하여 응축효율을 상승시킨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 내부가 격판에 의해 실내외공간부로 구획되고 실내공간부에 내부의 액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설치되며 실외공간부에 고온고압의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가 설치되어 모터로 회전되는 냉각팬에 의해 열 교환됨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형태의 살수링과; 상기 살수링으로부터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편과 연장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날개부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의 전면에 종방향의 홈을 다수개 구비하여서 저면의 응축수와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가 실내외공간부로 구획된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공간부에 형성되어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의 구조를 개선하여 응축효율을 상승시킨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등에 설치되어 전후방이 실내외로 노출되는 본체(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 내부에는 격판(2)에 의해 실내공간부(3)와 실외공간부(4)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2)에는 중앙에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5)가 설치된다.
또한 실외공간부(4)에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0)가 설치되고 이의 후방에 압축기(1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9)가 설치된다. 응축기(9)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9a)이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개 배열되고 각 냉매관(9a)의 외주면에 이들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핀(9b)이 구비된다.
그리고 실외공간부(4)와 대응되는 모터(5)의 후방에 냉각팬(7)이 설치되어 응축기(9) 쪽으로 바람을 송풍시켜 응축기(9)를 공냉시킨다. 또한 실외공간부(4)의 양측판에 도시되지 않은 실외흡입구가 형성되고 응축기(9)의 후방에 실외토출구(4a)가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5)의 구동으로 냉각팬(7)이 회전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미도시)를 따라 흡입되고 후방의 응축기(9)를 거치면서 이를 공냉시킨다. 한편 공냉시킨 실외공기는 실외토출구(4a)를 따라 실외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내공간부(3)의 내부에는 증발기(8)가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8)는 그 내부에 모세관(미도시)을 거쳐 팽창된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고 또한 냉매가 증발되는 과정에서 실내온도가 내려가는 것이다. 그리고 실내공간부(3)와 대응되는 모터(5)의 전방에 순환팬(6)이 설치된다.
상기 순환팬(6)은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5)에 의해 회전되어 실내공기를 증발기(8) 쪽으로 순환시킨다. 또한 본체(1)의 전방에 순환팬(6)의 회전으로 실내공기가 증발기(8) 쪽으로 흡입되는 실내흡입구(3a)가 설치되고 실내흡입구(3a) 하부에 증발기(8)를 거치면서 열 교환되어 냉각된 냉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토출구(3b)가 형성된다.
또한 증발기(8)는 열교환 과정에서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응축수는 직하부의 물받이(8a) 쪽으로 떨어지고 호스(8b)를 따라 응축기(9)의 저장통(8c) 쪽으로 배수된다. 또한 냉각팬(7)의 외주면에 살수링(7a)이 형성되고 살수링(7a)의 하단 일부가 저장통(8c)을 통과한다.
이때 저장통(8c)에 담수된 응축수가 회전되는 살수링(7a)을 따라 상승되어 응축기(9) 쪽으로 비산된다. 또한 비산되는 응축수로 인하여 응축기(9)의 방열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도 2는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냉각팬(7)은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형태의 살수링(7a)과, 상기 살수링(7a)으로부터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편(7b)과 연장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날개(7c)로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모터(5)가 작동되면 이의 양방향으로 설치된 순환팬(6)과 냉각팬(7)이 동시에 회전된다. 또한 압축기(10)에서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9) 쪽으로 순환되면 냉각팬(7)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공냉된다. 즉 냉각팬(7)이 회전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미도시)를 거쳐 실외공간부(4)로 흡입된 다음 후방의 응축기(9)를 통과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9)를 통과하면서 이 공기를 냉각시킨 뒤 실외토출구(4a)를 따라 실외로 배기 된다.
한편, 응축기(9)에서 응축된 냉매가 도시되지 않은 모세관을 거치면서 팽창되고 팽창된 냉매가 실내공간부(3)의 증발기(8) 쪽으로 순환된다. 또한 모터(5)의 구동으로 순환팬(6)이 회전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a)를 따라 실내공간부(3) 내부로 흡입된 증발기(8)를 거치면서 냉각된다.
또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토출구(3b)를 거쳐 실내로 토출되고 실내가 냉방되며, 이렇게 실내가 냉방될 때 증발기(8)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온도차로 인하여 응축되고 응축수가 물받이(8a)와 호스(8b)를 타고 실외공간부(4)의 저장통(8c) 쪽으로 모인다.
이와 같이 응축수가 모인 상태에서 냉각팬(7)이 회전되면 냉각팬(7)에 형성된 살수링(7a) 및 날개(7b)에 의해 응축수가 비산되고 응축기(9) 쪽으로 퉁겨져 송풍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저장통에 모인 응축수가 냉각팬을 통하여 응축기 쪽으로 퉁겨지는 과정에서 즉, 살수링은 회전되는 과정에서 내주면에 묻은 응축수가 표면장력에 의해 상부 쪽으로 올려지고 이 같이 올려진 응축수가 원심력에 의해 비산될 때, 살수링의 내주면을 타고 퉁겨지는 양이 적고 주변으로 분산되어 비산되기 때문에 응축수의 살수 및 방열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체가 실내외공간부로 구획된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공간부에 형성되어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의 구조를 개선하여 응축효율을 상승시킨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2-격판,
3-실내공간부,4-실외공간부,
5-모터,8-증발기,
9-응축기,20-냉각팬,
21-살수링,22-중심편,
23-날개,24-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내부가 격판에 의해 실내외공간부로 구획되고 실내공간부에 내부의 액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설치되며 실외공간부에 고온고압의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가 설치되어 모터로 회전되는 냉각팬에 의해 열 교환됨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형태의 살수링과; 상기 살수링으로부터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편과 연장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날개부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의 전면에 종방향의 홈을 다수개 구비하여서 저면의 응축수와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냉각팬(20)의 외주면에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의 응축수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살수링(21)이 형성되고, 이의 중심부에 도시되지 않은 모터축에 끼워지는 중심편(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살수링(21)의 내측으로 다수의 날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23)는 살수링(21)으로부터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편(22)과 연장되어 살수링(21), 날개부(23), 그리고 중심편(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23)는 전면에 종방향의 홈(24)이 다수개 구비되고, 일부가 저면의 응축수와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동일부호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5)가 작동되면 이의 양방향으로 설치된 순환팬(6)과 본 고안의 냉각팬(20)이 동시에 회전되고, 아울러 압축기(10)에서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9) 쪽으로 순환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미도시)를 거쳐 실외공간부(4)로 흡입된 다음 후방의 응축기(9)를 통과하면서 이 공기를 냉각시킨 뒤 실외토출구(4a)를 따라 실외로 배기되는 것이다.
한편, 실내공간부(3)의 증발기(8)에는 상기 응축기(9)에서 응축된 냉매가 도시되지 않은 모세관을 거치면서 팽창되어 유입된다.
따라서, 모터(5)의 구동으로 순환팬(6)이 회전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a)를 따라 실내공간부(3) 내부로 흡입되고 증발기(8)를 거치면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토출구(3b)를 거쳐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가 냉방된다.
이와 같이 실내가 냉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8)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열 교환과정의 온도차로 인하여 응축되고, 이 응축수가 물받이(8a)와 호스(8b)를 타고 실외공간부(4) 응축기(9) 하단의 저장통(8c) 쪽으로 모인다.
따라서, 냉각팬(20)이 회전되면 상기 냉각팬(20)에 형성된 살수링(21) 및 다수의 날개(23)에 의해 저면의 응축수가 상단으로 비산되고 응축기(22) 쪽으로 퉁겨진다.
이때, 상기 날개(23)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홈(24)을 따라 응축수가 유입됨으로서 보다 많은 양의 응축수를 날개(23)의 전면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날개(23)가 회전됨에 따라 그 회전력에 의해 응축기 쪽으로 비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날개(23) 전면의 홈(24)에 의해 상기 비산되는 응축수가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응축기(9) 쪽으로 집중되며, 아울러 송풍되는 바람도 상기 응축기(9)쪽으로 집중 송풍되어 공냉과 수냉이 동시에 일어나 응축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에 국한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과 원리에 벗어남이 없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포함되는 모든 수정, 변형 및 개량을 이에 포함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냉각팬 날개의 전면에 형성된 홈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응축수가 응축기로 비산되고 아울러 송풍되는 바람과 함께 상기 응축수를 응축기로 집중 공급함으로서 응축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본체(1) 내부가 격판(2)에 의해 실내외공간부(3)(4)로 구획되고 실내공간부(3)에 내부의 액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8)가 설치되며 실외공간부(4)에 고온고압의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9)가 설치되어 모터(5)로 회전되는 냉각팬(20)에 의해 열 교환됨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20)은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형태의 살수링(21)과; 상기 살수링(21)으로부터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편(22)과 연장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날개부(23)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23)의 전면에 종방향의 홈(24)을 다수개 구비하여서 저면의 응축수와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59006U KR19980045864U (ko) | 1996-12-27 | 1996-12-27 |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59006U KR19980045864U (ko) | 1996-12-27 | 1996-12-27 |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5864U true KR19980045864U (ko) | 1998-09-25 |
Family
ID=5399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59006U Withdrawn KR19980045864U (ko) | 1996-12-27 | 1996-12-27 |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45864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2759B1 (ko) * | 1998-09-04 | 2002-08-27 | 엘지전자주식회사 | 세탁기용비엘디시모터의냉각구조 |
-
1996
- 1996-12-27 KR KR2019960059006U patent/KR19980045864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2759B1 (ko) * | 1998-09-04 | 2002-08-27 | 엘지전자주식회사 | 세탁기용비엘디시모터의냉각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53996Y1 (ko) |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장치 | |
KR200313220Y1 (ko) | 에어컨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 냉각장치 | |
KR19980045864U (ko) | 창문형 에어컨의 냉각팬구조 | |
KR19980045845U (ko) | 창문형 에어컨 | |
KR200155553Y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열교환기 응축장치 | |
KR19980023784A (ko) | 공기조화기 | |
KR19980054849A (ko) |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장치 | |
KR100539812B1 (ko) |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 | |
KR200159701Y1 (ko) | 실외흡입부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
KR19980045853U (ko) | 창문형 에어콘의 냉각팬구조 | |
KR200148713Y1 (ko) | 창문형 에어컨의 배수구조 | |
KR200148712Y1 (ko) | 창문형 에어컨의 강제배기장치 | |
CN221923904U (zh) | 一种空调器 | |
KR100888960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200148716Y1 (ko) | 환풍기가 구비된 창문형 에어컨 | |
KR19980045851U (ko) | 창문형 에어컨 | |
KR19980028862U (ko) | 공기조화기의 응축장치 | |
KR910007570Y1 (ko) | 창문형 냉방 공조기의 응축 효율 증대 장치 | |
KR100554267B1 (ko) | 냉매응축장치 | |
KR100511969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224011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열교환기 응축장치 | |
KR200292990Y1 (ko) | 수냉식 에어콘의 결합구조 | |
KR980009043U (ko) | 공기조화기의 응축장치 | |
KR19980045854U (ko) | 창문형 에어컨 | |
KR20040040200A (ko) | 창문형 에어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27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