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065A -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 - Google Patents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065A
KR19980019065A KR1019970041470A KR19970041470A KR19980019065A KR 19980019065 A KR19980019065 A KR 19980019065A KR 1019970041470 A KR1019970041470 A KR 1019970041470A KR 19970041470 A KR19970041470 A KR 19970041470A KR 19980019065 A KR19980019065 A KR 19980019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discharge lamp
voltage
puls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1322B1 (ko
Inventor
토오루 노쯔
Original Assignee
마쯔무라 카주오
코쿠산덴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무라 카주오, 코쿠산덴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무라 카주오
Publication of KR19980019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9/00Gen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 desired non-sinusoidal wavefo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16Synchronous generators
    • H02K19/22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windings each turn of which co-operates alternately with poles of opposite polarity, e.g. heteropola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05B41/1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a starting swit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05B41/2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 H05B41/23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 H05B41/23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for high-pressur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자기누설변압기로 이루어지는 안정기를 사용하는 일없이 고압방전등을 점등시킬 수 있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를 제공한다.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11)를 전원으로 해서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회로(13)를 설치하고, 이 펄스발생회로가 발생하는 고전압펄스를 발전기(11)의 출력전압에 중첩해서 방전등(12)에 인가한다. 발전기(11)의 출력단자간에 고전압펄스를 바이패스하는 콘덴서(14)를 접속한다. 발전기(11)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을 수하특성으로 하고, 방전등(12)의 방전개시 직후의 방전전류를 허용치이하로 제한하도록 발전기의 단락전류를 설정한다. 방전등의 정상시의 단자전압 및 방전전류를 정격범위로 유지하도록, 발전기(11)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을 설정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
본 발명은, 고압수은등, 메탈하라이드램프, 혹은 고압나트륨 등의 고압방전등을 점등하기 위해 사용하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조명기구나, 레저용 조명기구, 혹은 방재용 조명기구를 점등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전원장치로서,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동기발전기가 사용된다. 또한 최근, 공사현장용 조명기구나 레저용 조명기구로서, 백열등을 대신해서 수은등 등의 방전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주지와 같이, 방전등은 부성 임피던스특성을 갖고 있어, 한번 방전이 개시되면, 전류의 증대와 함께 임피던스가 저하되어 가기 때문에, 전류를 제한하지 않으면 방전전류가 무제한으로 증대되어 파괴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종래의 방전등 점등장치에서는, 전원과 방전등과의 사이에 자기누설변압기나 쵸크코일을 갖춘 안정기를 설치해서, 전원전압을 자기누설변압기나 쵸크코일을 통해서 방전등에 인가하고 있다.
또한 고압수은등이나, 메탈하라이드램프 등의 고압방전등을 점등시키는 경우에는, 방전등의 시동시에 그 양단에 고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동시에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회로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방전등 점등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펄스발생회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55-2719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전등의 시동시에 안정기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공진회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고전압펄스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로서는, 발전기의 외에 안정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안정기는 유도성 부하로 역률이 나쁘기 때문에, 안정기를 설치하면 발전기에 걸리는 부담이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더욱이 발전기와 방전등과의 사이에 안정기를 마련하면, 시동시에 전기자 코일에 큰 돌입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발전기의 정격의 1/2∼1/3 정도의 램프부하밖에 구동할 수가 없고, 발전기로서 대용량인 것을 사용할 것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안정기를 통해서 방전등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한 방전등 점등장치에 있어서, 안정기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회로를 구성한 경우에는, 고전압펄스가 직접 발전기의 전기자 코일에 인가되기 때문에, 발전기의 전기자 코일의 절연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그만큼 발전기의 비용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전원으로 하고, 안정기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회로를 구성한 종래의 방전등 점등장치에 있어서는, 방전등의 시동시에 펄스전류가 발전기의 전기자 코일을 통해서 흐르기 때문에, 전기자 코일로 손실이 발생하고, 고전압펄스의 에너지를 충분히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수은등이나 메탈하라이드램프 등의 고압방전등을 자기누설변압기로 이루어지는 안정기를 사용하는 일없이 점등할 수가 있도록 해서, 안정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가지의 문제점을 해소한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압펄스가 발전기의 전기자 코일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발전기의 절연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도록 한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전압펄스의 에너지의 일부가 전기자 코일로 손실되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압방전등을 효율좋게 시동시킬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이상으로 대용량의 발전기를 이용하는 일없이 방전등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과, 이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갖추고, 해당 발전기의 출력에 의해 방전등을 점등하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전기를 전원으로 해서 적어도 방전등의 시동시에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회로가 설치되고, 해당 펄스발생회로가 발생하는 고전압펄스가 발전기의 출력전압에 중첩되어 방전등에 인가된다. 또한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는 바이패스용 콘덴서가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 펄스발생회로는, 방전등의 시동시에 해당 방전등에 인가되는 전압을 방전개시전압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크기의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는,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이 수하특성을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방전등의 방전개시직후의 방전전류를 허용치 이하로 제한하도록 발전기의 단락전류가 설정된다. 더욱이, 방전등의 정상시의 단자전압 및 방전전류를 정격범위로 유지하도록 상기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이 설정된다.
발전기의 수하특성은, 발전기의 출력전류의 증대에 따라서 출력전압이 급속히 저하하여 출력전류가 일정치 이하로 제한되는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은, 발전기의 전기자 코일의 코일수를 적당히 설정하거나, 회전자의 자극과 고정자의 자극이 대향했을 때에 인접한 자극을 통해서 흐르는 누설자속을 크게 하도록 회전자 및 고정자의 자극의 극고각을 조정하기도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발전기로서 자석식 교류발전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기자 코일의 코일수를 조정하거나, 고정자 자극과 회전자 자극이 정대향하였을 때에 인접한 자극을 통해서 흐르는 누설자속을 크게 하도록 고정자의 자극의 극고각을 크게 조정하기도 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수하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방전등의 시동시에 펄스발생회로가 고전압펄스를 발생하여, 방전등의 단자전압을 방전등의 방전개시전압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방전등이 방전을 개시한다.
방전등이 방전을 개시하면, 그 임피던스가 급속히 저하되어 가고, 방전전류가 증가되어 간다. 방전개시직후의 방전전류는, 발전기의 단락전류가 크면 클수록 큰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전기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을 수하특성으로 해서, 방전개시직후의 방전전류를 방전등에 허용되는 크기 이하로 제한하도록, 발전기의 단락전류의 크기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방전개시직후의 방전전류는 허용치 이하로 제한된다.
방전등이 방전을 개시하고, 그 온도가 상승해 가면, 그 내부 임피던스가 증대하기 때문에, 방전전류는 감소해 간다. 방전등이 열적 안정상태(정상상태)가 되면, 그 때의 방전등의 임피던스 곡선과 발전기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곡선과의 교점으로 안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상상태에서의 방전등의 양단의 전압 및 방전전류가 방전등의 정격범위에 수습되도록 발전기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등을 시동시킨 뒤, 정상상태로 이행시켜 안정하게 점등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전압펄스를 발전기로부터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 병렬접속해 놓으면, 펄스전류가 발전기의 전기자 코일에 흘러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펄스의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방전등의 시동을 효율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용 콘덴서는 고전압펄스에 대하여 저임피던스를 보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접속해 놓으면, 고전압펄스가 발생했을 때에 발전기의 전기자 코일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발전기의 절연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 콘덴서를 접속해두면, 전기자 코일을 흐르는 진상전류의 동작에 의해 증자작용이 발생하여,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증대하기 때문에, 같은 방전등을 점등할 때에 사용하는 발전기로서 콘덴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소형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펄스발생회로는, 예를 들면, 승압트랜스와, 해당 승압트랜스의 1차측에 설치된 펄스발생용 콘덴서와, 발전기의 출력전압에 의해 펄스발생용 콘덴서를 한쪽의 극성에 충전하는 콘덴서충전회로와, 도통하였을 때에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를 승압트랜스의 1차 코일을 통해서 방전시키도록 설치된 방전용 스위치와,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설정레벨에 달했을 때에 방전용 스위치에 트리거신호를 주어 해당 방전용 스위치를 도통시키는 방전용 스위치 트리거회로를 갖추고,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의 방전에 의해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에 고전압펄스를 유기시키도록 한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기의 출력전압은,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을 통해서 방전등에 인가된다.
상기한 발전기로서 교류발전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충전을 발전기의 한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에 의해 실시하고, 방전용 스위치의 트리거신호의 공급을, 발전기의 다른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에 의해 실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펄스발생회로를 구성한 경우에는,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이 발전기의 부하전류의 통로에 삽입되기 때문에, 해당 2차 코일이 발전기의 부하가 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 접속된 바이패스용 콘덴서에 의한 증자작용에 의해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소정의 고전압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승압트랜스의 코일수비(승압비)를 작게 할 수가 있고, 해당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의 코일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의 코일수가 적어지면, 해당 2차 코일의 임피던스가 작아지고, 해당 2차 코일로 발생하는 손실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 콘덴서를 접속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정격출력전압이 낮은 소형발전기를 사용하여 펄스발생회로에서 방전등의 시동에 필요한 파고치를 갖는 고전압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설정레벨은, 발전기의 무부하시의 출력전압보다도 낮고, 또한 방전등에 정격 방전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의 발전기의 출력전압보다는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레벨을 정해놓으면, 방전등이 방전을 개시한 뒤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정격치보다도 낮아졌을 때에 고전압펄스가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방전등이 점등한 뒤에 필요없는 고전압펄스가 발생하여 방전등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발전기의 출력이 필요없이 소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펄스발생회로는 또, 승압트랜스와, 승압트랜스의 1차측에 설치된 펄스발생용 콘덴서와, 발전기의 출력전압에 의해 펄스발생용 콘덴서를 한쪽의 극성에 충전하는 콘덴서 충전회로와, 도통하였을 때에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를 승압트랜스의 1차 코일을 통해서 방전시키도록 설치된 방전용 스위치와, 방전등의 시동시에 해당 방전등이 점등하기까지의 동안 닫혀지는 시동용 스위치와,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설정레벨에 달했을 때마다 시동용 스위치를 통해서 방전용 스위치에 트리거신호를 주어 해당 방전용 스위치를 도통시키는 방전용 스위치 트리거회로를 갖추어,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의 방전에 의해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에 고전압펄스를 유기시키도록 한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발전기의 출력전압은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을 통해서 방전등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시동 스위치가 닫히고 있는 동안, 방전등에 고전압펄스가 인가되고, 방전등이 점등한 뒤, 시동 스위치를 열면, 고전압펄스의 발생이 정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 점등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나타난 점등장치의 각 부분을 구체적으로 한 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전기의 무부하 출력전압의 피크전압치와 발전기의 회전수와의 관계의 한 예를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낸 선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전기의 무부하 출력전압의 실효치와 발전기의 회전치와의 관계의 한 예를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낸 선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전기의 출력전압의 피크치와 부하전류의 실효치와의 관계의 한 예를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낸 선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전기의 출력전압의 실효치와 부하전류의 실효치와의 관계의 한 예를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낸 선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 콘덴서를 접속한 경우의 무부하 출력전압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 콘덴서를 접속한 경우의 무부하 출력전압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전기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과 방전등의 전압 대 전류특성을 나타낸 선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방전등 점등장치의 다른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내연기관 11 : 발전기
12 : 방전등13 : 펄스발생회로
13A : 승압트랜스13B : 1차 전류제어회로
13a : 방전용 스위치13b : 방전용 스위치 트리거회로
Cl: 펄스발생용 콘덴서Th1: 사이리스터
ZD1: 제너다이오드R2, R3: 분압회로를 구성하는 저항
D1∼D5: 다이오드SW : 스위치
C11, C12: 콘덴서D11∼D13: 다이오드
SCR1, SCR2: 사이리스터R11∼R15: 저항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의 출력으로 안정기를 사용하는 일없이 방전등을 점등시킨다. 발전기의 무부하 출력전압을 방전등의 방전개시전압보다도 높게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발전기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을 수하특성(출력전류의 증대에 따라서 출력전압이 급속히 저하하여, 출력전류가 일정치 이하로 제한되는 특성)으로 하고, 방전개시직후에 방전등에 흐르는 방전전류를 허용치 이하로 제한하도록 발전기의 단락전류를 설정하여 놓는 것에 의해,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직접 방전등에 전압을 가하는 것만으로 방전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고압방전등을 점등시키는 경우에는, 발전기의 무부하 출력전압을 방전등의 방전개시전압보다도 높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방전등에 전압을 가하는 것만으로 방전등을 점등시키는 것은 할 수 없다. 한 예로서, 400[W]의 메탈하라이드램프를 점등하는 경우를 생각하고, 해당 램프의 정상일 때의 동작점을 발전기의 최대출력점 부근에 설정하는 것으로 하면, 발전기의 무부하 전압은 통상 200[V] 내지 230[V] 정도가 된다. 그런데 메탈하라이드램프의 방전개시전압은 2000[V] 내지 3000[V]이기 때문에,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을 그대로 방전등(12)에 인가했다면, 방전을 개시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전기를 전원으로 해서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회로를 설치하여, 해당 펄스발생회로에서 얻어지는 고전압펄스를 발전기의 출력전압에 중첩하여 방전등에 인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에 있어서 10은 내연기관, 11은 내연기관(10)에 의하여 구동되어 단상교류전압을 발생하는 교류발전기, 12는 메탈하라이드램프 등의 고압방전등, 13은 발전기(11)를 전원으로 해서 적어도 방전등의 시동시에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회로, 14는 발전기(11)의 출력단자(11a,11b)간에 병렬 접속되어, 펄스발생회로(13)가 고전압펄스(VP)를 발생했을 때에 흐르는 펄스전류를 발전기(11)로부터 바이패스하기 위한 바이패스용 콘덴서이다.
도시된 펄스발생회로(13)는, 1차 코일(W1) 및 2차 코일(W2)을 갖는 승압트랜스(13A)와, 해당 승압트랜스의 1차 전류를 제어하는 1차 전류제어회로(13B)로 이루어져 있다. 1차 전류제어회로(13B)는 전원입력단자(13bl,13b2)를 갖고 있고, 이들 전원단자(13bl,13b2)는 각각 발전기(11)의 출력단자(11a,11b)에 접속되어 있다. 발전기(11)의 출력단자(11a)는 방전등(12)의 일단에 직접 접속되고, 발전기의 출력단자(11b)는 승압트랜스(13A)의 2차 코일(W2)을 통해서 방전등(12)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펄스발생회로(13)의 1차 전류제어회로(13B)는, 발전기(11)의 출력의 정부(正負)의 반 사이클내의 적어도 한편의 반 사이클에 있어서 승압트랜스(13A)의 1차 코일(Wl)을 흐르는 전류에 급격한 변화를 발생시켜서, 해당 트랜스의 2차 코일(W2)에,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의 극성과 같은 극성의 고전압펄스(VP)를 유기시킨다. 이 고전압펄스(VP)는 발전기(11)의 출력전압(V)에 중첩되어 방전등(12)에 인가된다. 방전등의 시동을 쉽게하기 위해서, 고전압펄스(VP)가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의 피크 부근에서 발생하도록, 1차 전류제어회로(13B)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방전등 점등장치의 각 부분이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L0및 R0는 발전기(11)의 내부인덕턴스 및 내부저항, 13은 승압트랜스(13A) 및 1차 전류제어회로(13B)로 이루어지는 펄스발생회로이다. 이 예로서는, 발전기(11)로서, 자석회전자와 전기자 코일을 갖는 고정자로 이루어지는 자석식 교류발전기가 사용되고 있어, 해당 발전기(11)로부터 교류전압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승압트랜스(13A)의 1차 코일(Wl)의 일단은 펄스발생용 콘덴서(Cl)의 일단에 접속되고, 콘덴서(Cl)의 타단은 다이오드(Dl)의 캐소드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l)의 아노드는 스위치(SW)를 통해서 발전기(11)의 한쪽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1차 코일(Wl)의 타단은 아노드를 해당 1차 코일측에 향한 다이오드(D2)를 통해서 발전기의 다른쪽의 출력단자(11b)에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Cl)의 타단 및 1차 코일(Wl)의 타단에 각각 사이리스터(실리콘 제어정류소자(Thl)의 아노드 및 캐소드가 접속되고, 사이리스터(Thl)의 게이트 캐소드 사이에는 보호용 저항(Rl)과 콘덴서(C2)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발전기(11)의 다른쪽의 출력단자(11b)에 다이오드(D3)의 아노드가 접속되고, 다이오드(D3)의 캐소드와 사이리스터(Thl)의 캐소드에 이어지는 라인과의 사이에 저항(R2,R3)과의 직렬 회로로 이루어지는 저항분압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이 분압회로의 분압점은 캐소드를 해당 분압점측으로 향한 제너다이오드(ZDl)를 통해서 사이리스터(Thl)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사이리스터(Thl)의 캐소드에 이어지는 라인과 발전기(11)의 한쪽의 출력단자(11a)와의 사이에 캐소드를 발전기의 출력단자(11a)측에 향한 다이오드(D4)가 접속되고, 사이리스터(Thl)의 아노드 캐소드간에는, 해당 사이리스터와 역방향의 다이오드(D5)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5)는 승압트랜스(13A)의 1차 코일에 괸 에너지를 콘덴서(Cl)에 회생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낸 예로서는, 발전기(11)→ 스위치(SW)→ 다이오드(Dl)→ 콘덴서(Cl)→ 1차 코일(Wl)→ 다이오드(D2)→ 발전기(11)의 회로에 의해, 승압트랜스의 1차측에 설치된 펄스발생용 콘덴서(Cl)를 발전기(11)의 한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Vel)에서 한쪽의 극성에 충전하는 콘덴서 충전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리스터(Thl)와 저항(Rl) 및 콘덴서(C2)에 의해, 콘덴서(Cl)의 전하를 승압트랜스의 1차 코일을 통해서 방전시키는 방전용 스위치(13a)가 구성되고, 다이오드(D3,D4)와 저항(R2,R3)으로 이루어지는 분압회로와 제너다이오드(ZDl)에 의해, 발전기(11)의 다른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Ve2)이 설정레벨(VS)에 달했을 때에 방전용 스위치(13a)에 트리거신호를 주는 방전용 스위치 트리거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정레벨(VS)은, 저항(R2,R3)의 저항치와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VZ)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설정레벨(VS)이, 발전기(11)의 무부하시의 출력전압(Va)의 피크치(Va peak)보다도 낮고, 또한 방전등(12)에 정격방전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의 발전기의 출력전압(정격전압)(VL)의 피크치(VL peak)보다는 높게 설정된다. 즉, 도 2의 방전등 점등장치로서는, 발전기(11)의 출력전압(피크치)이 방전등(12)의 정격전압(VL)(피크치)보다도 높을 때에만, 저항(R2,R3)으로 이루어지는 분압회로의 출력전압(V1)이 제너다이오드(ZDl)의 제너전압(VZ)을 초과해서 사이리스터(Thl)에 트리거신호를 주도록, 저항(R2,R3)의 저항치와 제너다이오드(ZDl)의 제너전압이 선정된다.
바이패스용 콘덴서(14)는, 펄스발생회로(13)가 발생한 고전압펄스(VP)를 발전기(11)로부터 측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용 콘덴서(14)로서는, 고주파특성이 양호한 필름콘덴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방전등 점등장치에 있어서, 발전기(11)가 운전되어 있는 상태로 스위치(SW)가 닫히면, 발전기(11)가 한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Vel)을 발생했을 때에 스위치(SW)와 다이오드(Dl)와 1차 코일(Wl)과 다이오드(D2)를 통해서 펄스발생용 콘덴서(Cl)가 도시된 극성에 충전된다. 방전등(12)의 시동시의 콘덴서(Cl)의 충전전압은 발전기(11)의 무부하 출력전압의 파고치(Va peak)에 거의 같아진다. 발전기(11)가 다른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Ve2)을 발생하고, 해당 출력전압(Ve2)의 피크치가 설정레벨(VS)을 넘으면, 저항(R2,R3)으로 이루어지는 분압회로의 출력전압(Vl)이 제너다이오드(ZDl)의 제너전압(Vl)을 넘기 때문에, 사이리스터(Thl)에 트리거신호가 주어진다. 이것에 의해 사이리스터(Thl)가 도통하고, 콘덴서(Cl)의 전하가 사이리스터(Thl)와 1차 코일(Wl)을 통해서 방전한다. 이 콘덴서(Cl)의 방전전류가 승압트랜스(13A)의 1차 코일(Wl)에 흘러 들어오면, 해당 방전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의 펄스형상의 전압이 1차 코일(Wl)에 유기한다. 이 전압은 승압트랜스(13)에 의해 승압되기 때문에, 해당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W2)에는, 고전압펄스(VP)가 유기한다. 이 고전압펄스(VP)는 발전기(11)의 다른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Ve2)에 중첩돼서 방전등(12)에 인가된다.
도 2의 펄스발생회로(13)에 있어서는, 고전압펄스(VP)의 극성이 발전기(11)의 다른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의 극성과 같게 되도록(펄스전압(VP)이 발전기(11)의 다른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Ve2)에 동극성으로 중첩되어 방전등(12)에 인가되도록 승압트랜스(13)의 2차코일(W2)의 코일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발전기(11)가 발생하는 다른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Ve2)의 피크부근에서 사이리스터(Thl)에 트리거신호가 주어지고 펄스전압(VP)이 발생하도록, 저항(R2,R3)으로 이루어지는 분압회로의 분압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전등의 시동시의 펄스발생용 콘덴서(Cl)의 충전전압이 Vapeak인 경우, 승압트랜스(14)의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의 코일수비를 1: n으로 하면, 방전등의 시동시에 2차 코일(W2)에 유기하는 고압펄스(Vp)의 파고치(Vpm)는 거의 n×Va peak와 같게 된다. 여기서 고전압펄스(VP)가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의 피크위치로 발생한다고 하면, 방전등(12)의 시동시에 해당 방전등에 인가되는 전압은, 거의(n+1)Va peak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발전기(11)는,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이 수하특성을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방전등의 시동시에 해당 방전등에 인가되는 전압을 방전등(12)의 방전개시전압보다도 높게 하도록 발전기(11)의 무부하시의 출력전압이 설정된다. 또한 발전기(11)의 단락전류(iC)가 방전등(12)의 방전개시직후의(차가울 때의) 방전전류를 허용치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서 필요한 크기를 갖고, 또한 정상시의 방전등의 단자전압(VL) 및 방전전류(iL)를 정격범위로 유지하도록, 발전기(11)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이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발전기(11)의 출력전압(V) 대 출력전류(i) 특성의 한 예를 나타내면, 예를 들면 도 9의 곡선(가)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메탈하라이드램프 등의 고압방전등의 차가울 때의 전압 대 전류특성의 한 예를 나타내면 도 9의 곡선(나)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등(12)은, 방전전류의 증대에 따라서 단자전압이 저하하는 부성임피던스특성을 갖는다.
도 9의 곡선(나)의 A점의 전압(VA)은 방전개시전압이고, 방전등을 점등시키기 위해서는, 이 A점의 전압(VA) 이상의 전압을 방전등의 양단에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전등의 시동시에 고전압펄스가 발생했을 때에 해당 방전등에 인가되는 전압이 방전개시전압(VA)보다도 높아지도록, 발전기의 무부하 출력전압(Va)과 승압트랜스(13A)의 승압비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SW)가 닫혀서 펄스발생회로(13)가 고전압펄스(VP)를 발생하면 방전등(12)이 방전을 개시한다.
방전등(12)이 방전을 개시하면, 도 9의 곡선(나)에 나타내듯이 방전등의 임피던스가 급속히 저하되어 가고, 방전전류는 곡선(나)이 발전기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곡선(가)과 교차하는 B점까지 증가해 간다. 이 B점의 방전전류가 방전개시직후의 차가울 때의 방전전류가 된다. 이 방전개시직후의 방전전류는, 발전기의 단락전류(iC)가 크면 클수록 큰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전기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을 수하특성으로 해서, 방전개시직후에 흐르는 방전전류를 허용치이하로 제한하도록 발전기(11)의 단락전류(도 9의 c점의 전류)(iC)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개시직후에 방전등에 흐르는 방전전류가 허용치를 넘는 일은 없다.
방전등(12)의 온도가 상승해 가면, 해당 방전등의 내부임피던스가 증대해 가기 때문에, 방전전류는 감소해 가고, 방전등이 열적 안정상태(정상상태)가 되면, 그 때의 방전등의 임피던스곡선(다)과 발전기(11)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곡선(나)과의 교점에서 안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상상태에서의(방전등이 열적 안정상태에 있을 때의) 방전등의 양단의 전압(VL) 및 방전전류(iL)(예를 들면 도 9의 b점의 전압전류)가 방전등의 정격범위에 모이도록 발전기의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을 설정하기 위해서, 방전등의 정상상태에는 거의 정격범위의 방전전류가 흐르고, 그 양단의 전압은 정격전압에 거의 같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9의 예로 말하자면,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곡선(가)이 a점과 b점과 c점을 지나도록, 발전기의 특성을 설정하여 놓는다. 이와 같이 발전기의 특성을 설정하여 놓으면, 안정기를 이용하는 일없이 방전등의 방전을 개시시켜, 방전직후의 방전전류를 허용치 이하로 제한할 수가 있고, 또한 정상시에는 안정인 동작점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예와 같이,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이 방전등(12)의 정격전압(VL)보다도 높은 것에만, 저항(R2,R3)으로 이루어지는 분압회로의 출력전압(Vl)이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VZ)을 넘어 사이리스터(Thl)에 트리거신호를 주도록, 저항(R2,R3)의 저항치와 제너다이오드(ZDl)의 제너전압을 선정하여 놓으면, 방전등(12)의 시동시에만 고전압펄스가 발생하고, 방전등이 방전을 개시하여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정격치 이하로 저하되면 고전압펄스가 소멸한다. 따라서, 방전등이 점등한 뒤에 필요없는 고전압펄스가 발생하여 방전등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발전기의 출력이 필요없이 소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9의 곡선(가)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하특성은, 발전기(11)의 전기자 코일의 코일수를 적당히 설정하거나, 회전자의 자극과 고정자의 자극이 대향하였을 때에 인접한 자극을 통해서 흐르는 누설자속을 크게 하도록 회전자 및 고정자의 자극의 극고각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발전기(11)로서 자석식 교류발전기를 이용하면, 전기자 코일의 코일수나 고정자자극의 극고각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a, b 및 c점을 지나는 수하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전기(11)의 출력단자간에 바이패스용 콘덴서(14)를 병렬 접속하여 놓으면, 고전압펄스(VP)가 발생했을 때에 발전기(11)의 전기자 코일에 펄스전류가 흘러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펄스(VP)의 에너지를 유효히 이용하여 방전등(12)의 시동을 효율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용 콘덴서(14)는 고전압펄스(VP)에 대하여 저임피던스를 보이기 때문에, 발전기(11)의 출력단자간에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접속하여 놓으면, 고전압펄스(VP)가 발생하였을 때에 발전기(11)의 전기자 코일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발전기(11)의 절연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설치해 놓으면, 발전기(11)의 전기자 코일을 흐르는 진상전류의 동작에 의해, 증자작용이 발생하여 발전기의 출력이 증대한다.
도 3에 나타낸 곡선은, 발전기의 무부하 출력전압(Va)의 피크치(Va peak)와 발전기의 회전수(N)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의 곡선(가)은 콘덴서(14)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곡선(나)은 콘덴서(14)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는, 발전기의 무부하 출력전압(Va)의 실효치(Va rms)와 발전기의 회전수(N)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곡선(가,나)은 각각 콘덴서(14)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및 콘덴서(14)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도 5는, 발전기(11)의 출력전압(V)의 피크치(Vpeak)와 부하전류(I)의 실효치(Irms)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의 곡선(가)은 콘덴서(14)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곡선(나)은 콘덴서(14)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발전기의 출력전압(V)의 실효치(Vrms)와 부하전류(I)의 실효치(Irms)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곡선(가)은 콘덴서(14)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곡선(나)은 콘덴서(14)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도 7 및 도 8은 바이패스용 콘덴서(14)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내연기관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한 경우의 발전기(11)의 출력전압(V)의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도 7은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8은 바이패스용 콘덴서(14)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곡선, 및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파형으로부터, 발전기(11)의 출력단자간에 콘덴서(14)를 접속하면, 해당 콘덴서를 흐르는 진상전류에 의한 증자작용에 의해, 발전기의 출력전압의 실효치 및 피크치가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 바이패스용 콘덴서(14)를 접속하여 놓으면, 같은 방전등을 점등할 때에 이용하는 발전기로서, 콘덴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소형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용 콘덴서(14)를 설치하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발전기(11)의 회전수가 일정치(도시의 예에서는 거의 3000[rpm])를 넘는 영역(도 3에 있어서 파선의 타원(Z)으로 둘러싼 범위)에, 발전기의 무부하 출력전압의 피크치 및 실효치의 회전수에 대한 변동폭이 좁아지는 부분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부분의 무부하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펄스발생회로(13)로부터 고전압펄스를 발생시키도록 발전기의 설정회전수를 정하면(예를 들면 도 3의 예로 발전기의 설정회전수를 3600[rpm]으로 하면), 내연기관의 회전수의 변동에 대해서 안정한 고전압펄스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방전등의 시동을 항상 안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발전기(11)는, 도 9에 나타낸 a점, b점 및 c점이 얻어지는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가)을 갖는 것이면 좋고, 자석식 교류발전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정자측에 자석과 전기자 코일을 갖고, 회전자측에 유도자를 갖고, 해당 유도자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변화에 의해 전기자 코일에 교류전압을 유기시키는 유도발전기나, 동기발전기, 혹은 직류발전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펄스발생회로(13)는, 발전기(11)를 전원으로 해서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회로면 좋고, 그 구성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펄스발생회로(13)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펄스발생회로(13)에 있어서는, 콘덴서(Cll,C12)와 다이오드(Dll,D12)에 의해 주지의 배전압정류회로가 구성되고, 이 배전압정류회로의 입력측콘덴서(Cll)의 입력측 단자 및 출력측 콘덴서(C12)의 저전위측 단자에 각각 발전기(11)의 한쪽의 출력단자(11a) 및 다른쪽의 출력단자(11b)가 접속되어 있다. 배전압정류회로의 출력측 콘덴서(C12)의 고전위측 단자에 승압트랜스(13A)의 1차 코일(Wl)의 일단이 접속되고, 해당 1차 코일(Wl)의 타단과 콘덴서(C12)의 저전위측의 단자와의 사이에 아노드를 1차 코일(Wl)측으로 향한 방전용 사이리스터(SCRl)가 접속되어 있다. 사이리스터(SCRl)의 게이트 캐서드간에 저항(Rll)이 접속되고, 아노드 캐소드간에는 다이오드(D13)가 역병렬 접속되어 있다. 사이리스터(SCRl)의 게이트에는, 트리거용 사이리스터(SCR2)의 캐소드가 접속되고, 해당 사이리스터(SCR2)의 아노드는 저항(R12)을 통해서 승압트랜스(13A)의 1차 코일(Wl)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사이리스터(SCR2)의 게이트에는 제너다이오드(ZD)의 아노드가 접속되고, 해당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캐소드간에는 저항(R13)이 접속되어 있다. 승압트랜스의 1차 코일(Wl)의 타단과 콘덴서(C12)의 저전위측 단자와의 사이에는 저항(R14,R15)으로 이루어지는 저항분압회로가 시동스위치(SW)를 통해 접속되고, 해당 저항분압회로의 분압점에 제너다이오드(ZD)의 캐소드가 접속되어 있다. 시동스위치(SW)는, 방전등을 시동할 때에 닫혀지고, 방전등이 시동된 후에 열리는 수동조작스위치로, 이 시동스위치는 예를 들면 누르는 버튼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있다.
승압트랜스(13A)의 2차 코일(W2)의 일단은 발전기(11)의 한쪽의 출력단자(11a)와 배전압정류회로의 입력측 콘덴서(Cll)와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해당 2차 코일(W2)의 타단과 발전기(11)의 다른쪽 출력단자(11b)와의 사이에 메탈하라이드램프 등의 시동전압이 높은 방전등(12)이 접속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펄스발생회로(13)는, 발전기(11)의 출력에 의해 충전된 콘덴서(C12)의 전하를, 방전등의 시동시에, 사이리스터(SCRl)와 승압트랜스(13A)의 1차 코일(Wl)을 통해서 방전시키는 것에 의해, 승압트랜스(13A)의 2차 코일(W2)에 고전압펄스를 유기시켜서, 해당 고전압펄스를 발전기의 출력전압에 중첩하여 방전등(12)에 인가하도록 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점등장치에 있어서, 발전기(11)가 전압을 발생하면, 콘덴서(C12)가 발전기의 출력전압의 파고치의 2배의 전압까지 도시한 극성에 충전된다. 시동스위치(SW)가 닫히면, 제너다이오드(ZD)가 도통해서 사이리스터(SCR2)를 트리거하기 위해서, 해당 사이리스터(SCR2)가 도통해서, 사이리스터(SCRl)에 트리거신호를 준다. 이것에 의해 사이리스터(SCRl)가 도통하면 콘덴서(C12)의 방전회로가 구성되고, 해당 콘덴서(C12)의 전하가 승압트랜스(13A)의 1차 코일과 사이리스터(SCRl)를 통해서 방전한다. 이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승압트랜스(13A)의 1차전류의 변화에 의해, 해당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W2)에 고전압펄스가 발생한다. 이 고전압펄스는 발전기(11)의 출력전압에 중첩되어 방전등(12)에 인가되기 때문에, 해당 방전등(12)의 방전이 개시되어, 방전등이 점등한다. 방전등의 방전이 개시되어, 스위치(SW)가 열린 후는,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이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W2)을 통해서 방전등(12)에 인가되어, 방전등(12)이 점등상태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하특성을 갖는 발전기를 사용하여, 해당발전기의 특성을 방전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적합한 특성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해당 발전기를 전원으로 해서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회로를 설치해서, 해당 펄스발생회로가 발생하는 고전압펄스를 발전기의 출력전압에 중첩하여 방전등에 인가하도록 했기 때문에, 자기누설 변압기로 이루어지는 안정기를 사용하는 일없이, 발전기의 출력으로 방전등을 점등시킬 수 있고, 비용절감과 점등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전압펄스를 발전기로부터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 병렬 접속하였기 때문에, 펄스전류가 발전기의 전기자 코일에 흘러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펄스의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방전등의 시동을 효율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용 콘덴서는 고전압펄스에 대하여 저임피던스를 보이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바이패스용 콘덴서를 접속하여 놓으면, 고전압펄스가 발생하였을 때에 발전기의 전기자 코일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발전기의 절연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기의 출력단자간에 콘덴서를 접속하였기 때문에, 전기자 코일을 흐르는 진상전류의 동작에 의해 증자작용을 발생시켜서 발전기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같은 방전등을 점등할 때에 사용하는 발전기로서 콘덴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소형인 것을 사용하여 점등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펄스발생회로의 출력단에 승압트랜스를 설치하여, 해당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에 고전압펄스를 발생시키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 해당트랜스의 승압비를 작게 하여, 발전기의 부하가 되는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의 임피던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승압트랜스로 발생하는 손실을 적게 할 수 있고, 그만큼 소형의 발전기를 이용하여 방전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내연기관(10)과, 상기 내연기관(10)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11)를 갖추고, 해당 발전기(11)의 출력에 의해 방전등을 점등하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12) 점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11)를 전원으로 해서 적어도 상기 방전등의 시동시에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회로가 설치되고, 해당 펄스발생회로가 발생하는 고전압펄스가 상기 발전기(11)의 출력전압에 중첩되어 상기 방전등에 인가되고, 상기 고전압펄스를 상기 발전기(11)로부터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용 콘덴서가 상기 발전기(11)의 출력단자간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펄스발생회로는, 상기 방전등의 시동시에 해당 방전등에 인가되는 전압을 방전개시전압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크기의 고전압펄스를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전기(11)는,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이 수하특성을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전등의 방전개시직후의 방전전류를 허용치 이하로 제한하도록 상기 발전기(11)의 단락전류가 설정되고, 상기 방전등의 정상시의 단자전압 및 방전전류를 정격범위로 유지하도록 상기 출력전압 대 출력전류특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발생회로는, 승압트랜스와, 상기 승압트랜스의 1차측에 설치된 펄스발생용 콘덴서와, 상기 발전기(11)의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펄스발생용 콘덴서를 한쪽의 극성에 충전하는 콘덴서충전회로와, 도통하였을 때에 상기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를 상기 승압트랜스의 1차 코일을 통해서 방전시키도록 설치된 방전용 스위치와, 상기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이 설정레벨에 달했을 때에 상기 방전용 스위치에 트리거신호를 주고 해당 방전용 스위치를 도통시키는 방전용 스위치(13a) 트리거회로를 갖추고, 상기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의 방전에 의해 상기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에 고전압펄스를 유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은 상기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을 통해서 상기 방전등에 인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11)는 교류발전기(11)로 이루어지고, 상기 펄스발생회로는, 승압트랜스와, 상기 승압트랜스의 1차측에 설치된 펄스발생용 콘덴서와, 상기 발전기(11)의 한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펄스발생용 콘덴서를 한쪽의 극성에 충전하는 콘덴서충전회로와, 도통하였을 때에 상기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를 상기 승압트랜스의 1차 코일을 통해서 방전시키도록 설치된 방전용 스위치와, 상기 발전기(11)의 다른쪽의 반 사이클의 출력전압이 설정레벨에 달했을 때에 상기 방전용 스위치에 트리거신호를 주고 해당 방전용 스위치를 도통시키는 방전용 스위치(13a) 트리거회로를 갖추고, 상기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의 방전에 의해 상기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에 고전압펄스를 유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은 상기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을 통해서 상기 방전등에 인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레벨은, 상기 발전기(11)의 무부하시의 출력전압보다도 낮고, 또한 상기 방전등에 정격방전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의 상기 발전기(11)의 출력전압보다는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발생회로는, 승압트랜스와, 상기 승압트랜스의 1차측에 설치된 펄스발생용 콘덴서와, 상기 발전기(11)의 출력전압에 의해 상기 펄스발생용 콘덴서를 한편의 극성에 충전하는 콘덴서충전회로와, 도통하였을 때에 상기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를 상기 승압트랜스의 1차 코일을 통해서 방전시키도록 설치된 방전용 스위치와, 상기 방전등의 시동시에 해당 방전등이 점등될 때까지의 시간동안 닫혀지는 시동용 스위치와, 상기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이 설정레벨에 달할 때마다 상기 시동용 스위치를 통해서 상기 방전용 스위치에 트리거신호를 주어서 해당 방전용 스위치를 도통시키는 방전용 스위치(13a) 트리거회로를 갖추어, 상기 펄스발생용 콘덴서의 전하의 방전에 의해 상기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에 고전압펄스를 유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전기(11)의 출력전압은 상기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을 통해서 상기 방전등에 인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
KR1019970041470A 1996-08-27 1997-08-27 내연기관구동방전등점등장치 KR100311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49196A JP3539083B2 (ja) 1996-08-27 1996-08-27 内燃機関駆動放電灯点灯装置
JP96-225491 1996-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065A true KR19980019065A (ko) 1998-06-05
KR100311322B1 KR100311322B1 (ko) 2001-12-17

Family

ID=1683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470A KR100311322B1 (ko) 1996-08-27 1997-08-27 내연기관구동방전등점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49190A (ko)
JP (1) JP3539083B2 (ko)
KR (1) KR100311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07A (ko) * 2002-08-29 2004-03-11 (주)오크라 교류발전기의 전압 안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962A (ja) * 2001-02-26 2002-09-11 Mikuni Corp 内燃機関用電源装置
US8847559B1 (en) 2013-07-24 2014-09-30 Robert Ryan Jameson Horne Gener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72451B (en) * 1985-02-07 1989-06-14 El Co Villamos Keszulekek Es S Circuit system for igniting and lighting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particulary a sodium vapour 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07A (ko) * 2002-08-29 2004-03-11 (주)오크라 교류발전기의 전압 안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9083B2 (ja) 2004-06-14
KR100311322B1 (ko) 2001-12-17
JPH1069987A (ja) 1998-03-10
US5949190A (en) 1999-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0009A (en) Electronic ballast
US4958107A (en) Switching arrangement for HID lamps
US6239552B1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3102798A (ja) ガス放電ランプの始動及び点灯用回路装置
US4286193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gas discharge lamp
JPH0119238B2 (ko)
WO1996031092A1 (en) Power system with simplified, low cost self-starting self oscillator, power factor correction, power regulation and output open circuit voltage regulation, overload and short circuit protection
EP0581912B1 (en) Improved low loss ballast system
KR100311322B1 (ko) 내연기관구동방전등점등장치
JPH076884A (ja) 直流アーク放電ランプを動作させる信号を発生する回路
KR970061625A (ko) 내연기관구동 방전등 점등장치
JPH088074A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GB1575832A (en) Operating circuit for a gaseous discharge lamp
JP3362559B2 (ja) 内燃機関駆動放電灯点灯装置
JPH10261493A (ja) 内燃機関駆動放電灯点灯装置
JP2001135488A (ja) 内燃機関駆動放電灯点灯装置
JPH08111291A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KR200154970Y1 (ko) 고주파 전자식 점화장치
JPS60141200A (ja) 内燃機関駆動発電機
JPH0576103A (ja) 電気車制御装置
JPH11135279A (ja) パルス発生装置及び放電灯点灯装置
JPH08298193A (ja) 蛍光灯用安定器
KR0124977B1 (ko) 자동차 방전램프용 고주파 공진형 전자식 안정기 회로
JP3194736B2 (ja) パルス始動式放電灯点灯装置
JPH09322502A (ja) ブラシレス自励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