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099A - 연선장치 - Google Patents

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099A
KR19980015099A KR1019960034328A KR19960034328A KR19980015099A KR 19980015099 A KR19980015099 A KR 19980015099A KR 1019960034328 A KR1019960034328 A KR 1019960034328A KR 19960034328 A KR19960034328 A KR 19960034328A KR 19980015099 A KR19980015099 A KR 19980015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door
twisted
lifter
twist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9020B1 (ko
Inventor
이사오 웨다
Original Assignee
하마나 아키라
하마나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나 아키라, 하마나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나 아키라
Priority to KR101996003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020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020B1/ko

Link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양측에 보빈 착탈장치가 대향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크례들(cradle)과, 플라이어(flyer)와 동조 회전하여 플라이어로 꼬여진 연선(撚線)을 인수하는 캡스턴과, 캡스턴으로 인수된 연선을 크레들에 장착되어 있는 보빈에 일측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밀접하게 나선형으로 유도하도록 왕복안내하는 트래버스·롤러와, 크레들의 아래쪽으로 매치되어진 리프터와, 리프터에 의해 승강되어지는 보빈 반출입용 트럭과, 연선의 보빈으로의 권취 개시단측의 보빈 착탈장치에 설치된 연선 권취 개시단 협지판과, 하강한계의 리프터에 실려진 보빈으로부터 트래버스·롤러에 도달하는 연선을 잡고 절단하는 연선 그립(grip) 절단구를 구비한 연선장치에 있어서, 장치 전체를 둘러싸는 케이싱이 완전히 밀봉되어지는 동시에, 플라이어의 축심방향으로 트럭이 출입되도록 케이싱에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가 도어 본체와 그 내면의 거의 전체에 형성되어지는 음성 절연체(sound insulator)층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연선장치
본 발명은 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연선장치에는 그 케이싱에 프라이어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 즉 플라이어의 회전하는 측에 도어가 있었다.
종래의 연선장치에는 그 때문에, 도어의 극간으로부터 소위 피리불기 현상으로 플라이어의 회전음이 케이싱밖으로 새어나와 시끄럽다는 문세가 있었다. 더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이어의 축심과 적교하는 방향에 도어가 있으면, 트럭의 출입을 위해, 불필요한 마루의 면적이 취해져서 불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이어의 회전음이 케이싱밖으로 새어나오지 않으며 또한 마루의 면적상으로도 유리해지는 연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케이싱에 수납된 연선장치 전체의 측면도
도 2는 도어를 갖는 테이싱의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4는 완전히 감긴 보빈과 이것이 장착된 크레들의 확대 핑면도
도 5는 트럭의 확대 측면도
도 6은 트럭의 확대 평면도
도 7은 일부를 절결한 연선 그립 절단구의 확대 측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완전히 감긴 보빈이 크레들로부터 이탈되어 상승한계에 위치하는 리프터상의 트럭에 실려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확대 측면도
도 10은 하강한계까지 강하한 리프터상의 트럭에 실려져 있는 완전히 감긴 보빈으로부터 트래버스·롤러까지 신장한 연선의 위치에 그립 절단구가 전진하게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확대 측면도.
도 11은 트래버스·롤러까지 신장한 연선이 절단되고, 완전히 감긴 보빈을 실은 트럭이 하강한계의 리프터로부터 켸이싱 외부로 이동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확대 측면도
도 12는 연선 그립 절단구가 90°회전하여 연선을 핀틀 간섭위치에서 놓아 주는 동시에, 빈 보빈의 상승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확대 측면도
도 13은 보빈이 크레들에 장착되기 직전에, 연선 권취 개시단이 그 협지판과 보빈의 한쪽 플랜지와의 극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플라이어
3 : 보빈 반출입용 트럭
4 : 도어
4a : 도어 측가장자리
5 : 보빈 착탈장치
6 : 크레들
7 : 캡스턴
8 : 보빈
9 : 트래버스·를러
10 : 리프터
30 : 연선 권춰 개시단 협지판
58 : 연선 그립 절단구
71 : 도어 본처
72 : 음성 절연처층
73 : 트럭 출입구
74 : 안내 롤러
75 : 대측 띠형 안내판
75a : 내측 떠형 안대판의 측가장자리
76 : 의측 뗘형 안대판
77 : 홈
T : 연선
본 발명은 양측에 보빈 착탈장치가 대향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크레들과, 플라이어와 동조 회전하여 플라이어로 꼬여진 연선을 인수하는 캡스턴과, 캡스턴으로 인수된 연선을 크레들에 장착되어 있는 보빈에 일측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밀접하게 나선형으로 유도하도록 왕복안내하는 트래버스·롤러와, 크레들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어진 리프터와, 리프터에 의해 승강되어지는 보빈 반출입용 트럭과, 연선의 보빈으로의 권취 개시단측의 보빈 착탈장치에 설치된 연선 권취 개시단 협지판과, 하강한계의 리프터에 실려진 보빈으로부터 트래버스·롤러에 도달하는 연선을 잡고 절단하는 연선 그립 절단구를 구비한 연선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장치전체를 둘러싸는 케이싱이 완전히 밀봉되어지는 동시에, 플라이어의 축심 방향으로 트럭이 츨입되도록 케이싱에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가 도어 본체와 그 내면의 거의 전체에 형성되어지는 음성 절연체층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연선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자동적으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트럭 출입구의 양측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어의 측가장자리를 사이에 끼우는 동시에, 동일 양측 가장자리 단면을 각각 받는 소요수의 안내 롤러를 회전자유롭게 개재시킨 한쌍의 대의측 뗘형 안대판이 수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좌우의 대측 떠형 안대판의 대향 가장자리가 도어의 음성 절연체층에 형성되어지는 홈에 끼워 넣어지는 것이 바랍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선장치는 그 장치전체를 둘러싸는 케이싱이 완전히 밀봉되어지는 동시에, 플라이어의 축방향으로 트럭이 출입되도록 케이싱에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가 도어 본체와 그 대면의 거의 전체에 형성되어진 음성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플라이어의 회전음이 케이싱밖으로 새어나오지 않고 트럭의 출입을 위한 마루의 면적도 필요한도로 좋다. 그리고,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플라이어의 정지시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 명세서에 있어서, 방향은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 전」은 동 도면의 좌측을,「 후」는 동 도면의 우측을,「 좌」는 전측을 향하여 좌측을,「 우」는 동일하게 하여 우측을 각각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대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선장치는 그 장치전체를 둘러싸는 케이싱(1)이 완전히 밀봉되어지는 동시에, 플라이어(2)의 축방향으로 보빈 반출입용 트럭(3)이 출입되도록 케이싱(1)에 도어(4)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4)는 도어 본체(71)와 그 대면의 거의 전체에 접합되어진 글라스울제 음성 절연체층(72)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적으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트럭 출입구(73)의 양측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도어(4)의 측가장자리(4a)를 활주자유롭게 사이에 끼우는 동시에, 동일측 가장자리(4a) 단면을 받는 소요수의 안대 롤러(74)를 회전자유롭게 개재시킨 한쌍의 대외측 띠형 안내판(75)(76)이 수직으로 창착되어 있고, 좌우의 내측 띠형 안내판(75)의 대향 가장자리(75a)가 도어(4)의 음성 절연체층(72)에 형성되어진 홈(77)에 끼워 넣어지고, 플라이어의 회전음이 도어의 극간으로부터 새어나오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쌍의 내외측 띠형 안내판(75) (76)의 사이에는 양쪽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소요수의 스페이서(78)가 개재되어져 있다. 그리고, 도어(4)의 상하운동을 자동화하기 위해, 트럭출입구(73)의 좌측쪽 대측에 유체압 로드리스·실린더(79)의 비자성체로 제조된 안내관(8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도어(4)의 좌측 하단부와 실린더(79)가 연결부재(81)로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79)와 그 내부의 피스톤(82)과는 안대관(80)을 통해 서로 구비되어진 마그닛(도시 생략)끼리로 횹인되어 있고, 피스톤(82)의 하측으로부터 안내관(80)내에 유체(공기)를 도입하면,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된 트럭 출입구(73)의 폐쇄위치에 있는 도어(4)는 피스톤(82) 및 실린더(79)의 상승과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하며, 동 도면에 쇄선으로 도시된 트럭 출입구(73)의 개방위치로 온다. 반대로, 이 위치에 있어서, 피스톤(82)의 상측으로부터 안대관(80)내에 유체를 도입하면, 도어(4)는 원래의 위치로 강하한다.
연선장치는 두번 꼬은 집합 연선창치로서, 양측에 보빈 착탈장치(5)가 대향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틀모양의 크레들(6)과, 플라이어(2)와 동조 회전하여 플라이어(2)로 꼬여진 연선(T)을 인수하는 캡스턴(7)과, 캡스턴(7)으로 인수된 연선(T)을 크레들(6)에 장착되어 있는 보빈(8)에 일측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밀접하게 나선형으로 유도하도록 왕복안내하는 트래버스·롤러(9)와, 크레들(6)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어진 리프터(10)와, 리프터(10)에 의해 승강되어지는 보빈 반출입용 트럭(3)을 구비하고 있다. 캡스턴(7)과 트래버스·롤러(9)와의 사이에 연선(T)이 놓여진 댄서·롤러(44)가 배치되어지는 동시에, 트럭(3)에 보빈(8)의 양측 플랜지(12)(13)의 각각 전후를 받는 지지 롤러(14)(15)가 설치되고, 전측의 한쌍의 지지 롤러(15)가 모터(16)에 의해 보빈(8)의 되감기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하나의 회전축(17)에 장착되어 있고, 상승한계의 리프터(10)상의 트럭(3)예 실려지며 또한 크레들(6)로부터 이탈되어진 완전히 감긴 보빈(8)으로부터 트래버스·롤러(9)를 통해 댄서·롤러(44)에 도달하는 연선(T)에 대하여 리프터(10)의 강하에 수반하여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댄서·롤러(44)가 이동하여 소정위치에 도래했을 때, 이 도래를 검출하여 모터(16)에 가동신호를 부여하며, 댄서.롤러(44)가 소정위치로부터 원래의 방향으로 되돌아가면 정지신호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도 10 참조).
보빈 착탈장치(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들(6)의 좌우측부의 보스(19)에 설치되어 있는 암나사부(69)에 비틀어 끼워진 수나사부(20) 및 의측단에 창착된 톱니바퀴(21)를 갗는 통형 수평 이동 부재(22)와, 대측단에 보빈(8)의 통형축의 개구단에 끼워넣어진 핀틀(23), 보스(19)의 내측위치에 있어서 타이밍·풀리(24)가 장착된 스플라인(67) 및 수평 이동 부재(22)에 베어링을 통해 끼워맞춰진 축부(68)를 갖는 회전부재(25)로 이루어진다. 수평 이동 부재(22)의 톱니바퀴(21)는 이것보다 두꺼운 피니언(26)에 맞물려져 있고, 피너언(26)이 가역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사슬톱니바퀴·체인 전동기구(70)를 통해 회전되어지며, 톱니바퀴(21)가 회전하면, 수나사부(20)가 회전되어 수핑 이동 부재(22) 보스(19)의 암나사부(69)에 의해 크레들(6)의 내측으로 나사가 보대어지고, 회전부재(25)가 베어링의 존재에 따라 회전하지 않고 전진한다· 그 결과, 핀틀(23) 전진하여 보빈(8)의 통형축의 개구단에 끼워 넣어진다. 회전부재(25)의 전진한계에 있어서, 이것에 설치된 캐리어·핀(도시 생략)이 보빈(8)의 단면에 설치뒨 구멍에 꼭 끼워지며, 보빈(8)은 크레들(6)에 장착되어진다. 또, 좌우의 수평 이동 부재(22)의 수나사부(20)의 나사방향은 반대로 이루어져 있다. 모터를 반대로 역전시키면, 수평 이동 부재(22)가 원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핀틀(23)이 보빈(8)의 통형축의 개구단으로부터 빠지며, 보빈(8)은 크레들(6)로부터 이탈한다. 타이밍·풀리(24)에 걸쳐진 벨트(27)는 구동 풀리(28)에 놓여져 있고, 구동 풀리(28)가 모터(29)에 의해 감속기를 통해 구동되어지면, 회전부재(25)가 회전하고, 이것과 일체화된 보빈(8)이 꼰실(撚絲)(T)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좌측의 핀를(23)의 의측에는 이것과 일체적으로 또한 보빈(8)의 좌측의 플랜지(12)와 대향형으로 연선 권취 개시단 협지판(30)이 설치되어 있다. 협지판(30)의 내면에는 탄성재층(31)이 설치되어 있으며, 탄성재로서는 폴리우레탄이 사용되고 있다.
크레들(6)의 됫부분에는 케이싱(1)의 후측으로부터 공급된 7개의 선재(W)를 플라이어(2)로 유도하는 외측으로 신장한 관형 제 1 주축(32)이 고착되어져 있고, 크레들(6)의 앞부분에는 플라이어(2)의 회전에 의해 꼬여진 연선(T)을 캡스턴(7)으로 유도하는 외측으로 신장한 관형 세 2 주축(33)이 고착되어져 있다. 캡스턴(7)은 좌우 한쌍의 칭치 둘러 감은 드럼(34)(35)을 가지고 있으며, 관형 세 2 주축(33)의 내부를 통과한 연선(T)은 좌측의 칭칭 둘러 감은 드럼(34)의 뒤에서 우측의 칭칭둘러 감은 드럼(35)의 우측반을 순회하고, 캡스턴(7)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 좌측에 배치된 댄서·롤러(44)의 뒤에서 좌측으로놓여지며, 댄서·롤러(44)에 근접하여 그 전방에 배치된 제 1 가이드·롤러(36) 및 이것과 소정의 간격을 둔 우측에서 약간 전방에 배치된 제 2 가이드·롤러(37)를 순회하며, 트래버스·롤러(9)에 도달하고 있다.
트래버스·롤러(9)는 그 축이 수평이고, 크레들(6)에 장착시의 보빈(8)의 후상측에 배치되어진 수평 왕복 운동 장치(도시 생략)의 수평축(46) 활주자유롭게 장착된 지지대(47)상에 설치되며, 보빈(8)에 대해 그 상측 약간 경사진 뒤로 향하고 있다.
트래버스·롤러(9)의 바로 뒤에는 축이 경사진 후방향으로 쓰러진 좌우한쌍이며 또 한 소정의 제 3 및 세 4 가이드·롤러(48)(49)가 지지대(47)상에 설치되어 있고, 트래버스·롤러(9)가 제 2 가이드·롤러(37)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우측의 세 4 가이드·롤러(49)에 연선(T)이 놓여지며, 반대로 트래버스.롤러(9)가 제
2 가이드·롤러(37)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했을 때, 연선(T)은 우측의 제 4 가이드·롤러(49)에서 좌측의 제 3 가이드·롤러(48)로 이동한다.
트럭(3)은 자주형(自走型)의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그 상세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0)와, 모터(51)에 의해 구동되는 후측의 한쌍의 구동륜(52)과, 전측의 한쌍의 종동륜(53)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50)에 설치된 지지 롤러(14)(15) 등은 이미 진술한 바와 같다.
리프터(1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위에 팬터그래프(54)를 통해 장착뒨 데이블(55)과, 일단이 테이블(55)에 창착되는 동시에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실을 풀어대고 감는 장치(56)에 의해, 처지거나 매달려지거나 하는 승강 체인(57)으로 이루어진다.
이간시의 연선 권취 개시단 협지판(30)과 상승한계의 리프터(10)위의 트럭(3)에 실려지며 또한 크레들(6)에 장착직전의 보빈(8)의 한쪽 플랜지(12)사이의 아래쪽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연선 그립 절단구(58)가 배치되어지고 있다. 연선 그립 절단구(58)의 상세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형의 틀(59)과, 를(59)의 상벽(59a) 하면에 정면을 향해 장착되며 또한 내장 유체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그립부재(60)와, 틀(59)의 하벽(59b) 상면에 정면을 향해 장착되고 또한 내장 유체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절단부재(61)와, 연선 그립 절단구(58)를 소정위치에 매치하기 위한 진퇴가 자유자재인 지지봉(62)(도 13 참조)과, 지지봉(62)의 선단에 고정되어진 역 L형 브래킷(63)의 상벽(63a)의 하면에 장착되며 또한 상측으로 돌출한 회전축(64)이 틀(59)의 하벽(59b)에 고착되어져 있는 로터리·액츄에이터(65)로 이루어지고, 를(59)의 상벽(59a) 및 하벽(59b)의 선단부에는 연선(T)이 통과하여 그립부재(60)로 잡혀지며 그리고 절단부재(61)로 절단될수 있도록, 칼집(66)이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9 내지 도 13에 의해, 이하 연선의 권취 개시단을 완전히 감긴 보빈의 권취총으로부터 연결에 필요한 만큼 노출시켜 빈 보빈에 고정하는 동작과 동시에, 케이싱에 대한 트럭의 출입동작을 설명한다.
상승한계의 리프터(10)위의 트럭(3)에 실려지며 또한 크레들(6)로부터 이탈되어진 완전히 감긴 보빈(8)(도 9 참조)이 리프터(10)를 강하시킴으로써 트럭(3)과 동시에 강하하여 리프터(10)의 하강한졔에서 정지한다(도 10 참조). 완전히 감긴 보빈(8)이 크레들(6)로부더 이탈되어졌을 때, 연선(T)은 보빈(8)의 좌측 플탠지(12)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도 4 참조). 리프터(10)의 상기 강하와 함꼐, 완전히 감긴 보빈(8)으로부터 트래버스·롤러(9)를 통해 댄서·롤러(심)에 도달하는 연선(T)에 대하여 필연적으로 장력이 가해진다. 그렇게 하면, 댄서·롤러(심)가 이 장력에 의해코일 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근접 스위치(도시 생략)의 위치에 온다.이 도래를 근접 스위치가 검출하여 트럭(3)의 모터(16)에 가동신호를 부여한다.모터(16)에 가동신호가 부여되면, 회전측(17)에 장착된 지지 를러(15)가 보빈(8)의 되감기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보빈(8)은 적극적으로 되감기방향으로 회전하며, 완전히 감긴 보빈(8)으로부터 트래버스·롤러(9)로 신장한 연선(T)의 장력이 느슨해지므로, 연선(T)은 끊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연선(T)의 장력이 느슨해지면, 댄서·롤러(#)는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방향으로 되돌려지고, 근접 스위치가 몌어지므로, 모터(16)는 정지한다. 연선(T)에 다시 장력이 가해지면 모터(16)가 다시 가동한다· 이 조작이 반복됨으로써, 연선(T)이 끊어지지 않고, 완전히 감긴 보빈(8)은 강하하며, 리프터(10)의 하강한계에서 정지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연선 그립 절단구(∞)가 도 4의 위치로부터 상기 버스. 롤러(9)로 신장한 연선(T)이 있는 위치까지 진출하고, 연선(T)이 틀(5g)의 상하벽(59a)(59b)의 칼집(66) 및 개방상태의 그립부재(60) 및 절단부재(61)를 통과하는 상태가 된다(도 13 참조).
이어서, 그립부재(60)를 작동하여 연선(T)을 잡는 동시에, 절단부재(61)를 작동하여 연선(T)을 절단하고, 이것올 완전히 감긴 보빈(8)으로부터 분리한다. 하강한계의 리프터(10)위의 트럭(3)에 실려진 완전히 감긴 보빈(8)은 도어(4)를 개방함으로써 트럭 출입구(컹)로부터 연선장치의 켸이싱(1)밖으로 반출되어진다(도 11 참조).
그 대신에 트럭(3)에 실려진 빈 보빈(8)이 켸이싱(1)내에 반입되어지면, 도어(4)가 폐쇄되고, 빈 보빈(8)을 실은 트럭(3)은 리프터(10)에 의해 상승되어지는 것이지만, 그 전에 로터리·액츄에이터(伍)의 작동에 의하여 연선 그립 절단구(58)의 틀(59이 90°회전되어, 핀틀(23)의 전진시에 연선(T)이 이것과 간섭하지 않는 도 12의 쇄선위치로부터 실선위치로 오도록 연선 그립 절단구(58)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리프터(10)가 보빈 장착 위치까지 상승되어져, 빈 보빈(8)의 좌측의 플탠지(12)와 이것과 대향하는 연선 권취 개시단 협지판(30)과의 간극에 그립부재(61)로 잡혀진 연선(T)의 권취 개시단(T1)이 위치한다.
그 후, 보빈 착탈장치(5)를 작동하여 빈 보빈(8)을 크레들(6)에 장착한다. 이 장착시에, 연선의 권취 개시단(Tl)은 협지판(30)에 의해 빈 보빈(8)의 좌측 플랜지(12)에 압접되어 양쪽사이에 협지된다.
이어서, 그립부재(60) 및 절단부세(61)를 개방하고, 지지봉(62)을 후퇴시킨 후, 로터리·액츄에이터(伍)에 의해 를(59)을 ∞o윈상태로 회전시키고, 연선 그립 절단구(58)를 원상으로 되돌린다. 다른쪽, 트래버스·롤러(9)를 빈.보빈(8)의 좌측 플랜지(12)로부터 대측으로 이동시키면, 연선(T)은 빈 보빈(8)의 일측단에 도달한다.
계속해서 보빈(8)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선(T)은 이것에 순차적으로 권취 되어 간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선장치는 플라이어의 회전음이 케이싱밖으로 새어나오지 않아 시끄럽지 않으며, 트럭의 출입을 위한 마루의 면적도 필요한도로 좋고, 마루의 이용면적상 유리하다.

Claims (2)

  1. 양측에 보빈 착탈장치가 대향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크례들과, 플라이어와 동조 회전하여 플라이어로 꼬여진 연선을 인수하는 캡스턴과, 캡스턴으로 인수뒨 연선을 크례들에 장착되어 있는 보빈에 일측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밀접하게 나선형으로 유도하도록 왕복안대하는 트래버스·롤러와, 크레들의 아래쪽으로 매치되어진 리프터와, 리프터에 의해 승강되어지는 보빈 반출입용 트럭과, 연선의 보빈으로의 권취 개시단측의 보빈 착탈장치에 설치뇐 연선 권취 개시단 협지판과, 하강한계의 리프터에 실려진 보빈으로부터 트래버스·롤러에 도달하는 연선을 잡고 절단하는 연선 그립 절단구를 구비한 연선장치에 있어서, 장치전체를 둘러싸는 켸이싱이 완전히 밀봉되어지는 동시에, 플라이어의 축심방향으로 트럭이 출입되도록 케이싱에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가 도어 본처와 그 대면의 거의 전처에 형성되어진 음성 절연처로 이루어지는 겻을 특정으로 하는 연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가 자동적으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트럭 출 입구의 양측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어의 측가장자리를 사이에 끼우는 동시에, 동일 양측 가장자리 단면을 각각 받는 소요수의 안대 롤러를 회전자유롭게 개재시킨 한쌍의 대의측 뗘형 안대판이 수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좌우의 대측 띠형 안대판의 대향 가장자리가 도어의 음성 절연처층에 형성되어진 홈에 끼워 넣어지고 있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연선장치.
KR1019960034328A 1996-08-20 1996-08-20 연선장치 KR10032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328A KR100329020B1 (ko) 1996-08-20 1996-08-20 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328A KR100329020B1 (ko) 1996-08-20 1996-08-20 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099A true KR19980015099A (ko) 1998-05-25
KR100329020B1 KR100329020B1 (ko) 2002-10-12

Family

ID=6625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328A KR100329020B1 (ko) 1996-08-20 1996-08-20 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0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9020B1 (ko) 200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77932A (ja) スチ―ルコ―ド巻取り駆動システム
JPS5811813Y2 (ja) フイラメント巻取装置
KR19980015099A (ko) 연선장치
CN210516339U (zh) 一种双边包带机
CN117457293A (zh) 一种用于电缆生产的铜丝屏蔽机
CN117303135A (zh) 一种基于bim的测绘放线装置
KR970002197B1 (ko) 테이프 감기 장치
JP2920367B2 (ja) 撚線装置
JP2721308B2 (ja) 線条体の連続巻取方法及び装置
JPH06102876B2 (ja) 撚線装置
KR100301347B1 (ko) 보빈자동교환방법및그장치
CN211350226U (zh) 一种对开门双边立式包带机
CN218595797U (zh) 一种缆盘收线装置
JP2587395B2 (ja) 撚線装置
CN103632839A (zh) 自动绕线组立机构及方法
CN218950648U (zh) 一种电缆快速绕线机
CN217756261U (zh) 光缆加强芯缠绕机构
CN215731090U (zh) 一种管绞机用的放线机构
CN210535423U (zh) 一种三边包带机
CN118016442A (zh) 一种互感器铁芯卷绕设备及卷绕方法
US2378568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H07137939A (ja) プルーフテスタの自動線掛け制御方法
CN110783043A (zh) 一种双边包带机及其工作方法
JP2000177928A (ja) 集合線の端末処理装置および端末処理方法
KR19980015604A (ko) 연선장치(stra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