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94973B1 -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94973B1 KR102794973B1 KR1020240106232A KR20240106232A KR102794973B1 KR 102794973 B1 KR102794973 B1 KR 102794973B1 KR 1020240106232 A KR1020240106232 A KR 1020240106232A KR 20240106232 A KR20240106232 A KR 20240106232A KR 102794973 B1 KR102794973 B1 KR 1027949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assembly
- top board
- board
- furni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가구는, 침대(10)의 풋보드(14)에 밀착되는 제 1 모듈(110); 상기 제 1 모듈(11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모듈(120); 상기 제 2 모듈(12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3 모듈(130); 상기 제 3 모듈(13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4 모듈(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듈(110)의 평면적이 가장 넓고, 상기 제 2 모듈(120)의 평면적이 상기 제 1 모듈(110)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3 모듈(130)의 평면적이 상기 제 2 모듈(120) 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수납공간이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모듈이 적층되어 외부에 계단식 접근경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상단에 배치되는 바스켓의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A multifunctional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odule (11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footboard (14) of a bed (10); a second module (120) that is lamina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module (110); a third module (130) that is laminat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module (120); and a fourth module (140) that is laminated on an upper side of the third module (130); wherein the first module (110) has the largest planar area, the second module (120) has a planar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third module (130) has a planar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module (120).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y access to the basket placed at the top because the storage space is arranged inside and a plurality of modules are stacked to secure a stepped access path to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가구와 반려묘 가구 기능을 결합한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pet furniture.
고양이의 이동 범위는 대부분 반지름 100m 범위에 머무는 등 예상보다 넓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It is known that the cat's range of movement is not as wide as expected, mostly staying within a radius of 100m.
반려동물인 고양이는 집에 먹이가 있고 중성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대적으로 이동 욕구가 더 적어진다. 그러나 인간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 고양이는 인간의 거주공간 안에서 자신의 영역을 만들고 영역 안에서 독립 생활을 하며 안정감을 느끼는 영역동물이므로 개와 육성 방식이 완전히 다르다. 한편, 인간이 거주하는 공간(주택)은 점점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Cats, as companion animals, have food at home and are mostly neutered, so they have relatively less desire to move. However, companion cats that live with humans are territorial animals that create their own territory in the human living space, live independently in the territory, and feel a sense of security, so the way they are raised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dogs. Meanwhile, the space (house) where humans live is showing a tendency to become smaller.
상대적으로 면적이 적은 거주 공간에서 반려인과 반려 고양이 사이, 그리고 여러 반려 고양이 사이에 서로의 영역공간을 마련하는 문제의 중요성이 인식되는 추세이다.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erritorial space between pet owners and their cats, and between multiple pet cats, in relatively small living spaces.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는 사용자 가구와 반려묘 가구 기능을 결합한 다기능 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having a storage space and companion cat furniture.
본 발명은 침대와 캣타워를 일체화할 수 있는 다기능 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can integrate a bed and a cat tower.
본 발명에 따른 캣타워(100)는, 침대(10)의 풋보드(14)에 밀착되는 제 1 모듈(110); 상기 제 1 모듈(11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모듈(120); 상기 제 2 모듈(12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3 모듈(130); 상기 제 3 모듈(13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4 모듈(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듈(110)의 평면적이 가장 넓고, 상기 제 2 모듈(120)의 평면적이 상기 제 1 모듈(110)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3 모듈(130)의 평면적이 상기 제 2 모듈(120) 보다 작게 형성된다. A cat tow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odule (11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footboard (14) of a bed (10); a second module (120) that is lamina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module (110); a third module (130) that is laminat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module (120); and a fourth module (140) that is laminated on an upper side of the third module (130). The first module (110) has the largest planar area, the second module (120) has a planar area tha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third module (130) has a planar area tha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module (120).
상기 제 4 모듈(140)은, 상기 제 3 모듈(13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4 탑보드(142); 상기 제 3 탑보드(132)의 일측 및 제 4 탑보드(142)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4-1 사이드보드(143); 상기 제 3 탑보드(132) 및 제 4 탑보드(142)의 타측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4-2 사이드보드(144); 상기 제 4 탑보드(14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탑보드홀(145)을 포함하고, 상기 탑보드홀(145)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4 탑보드(142)에 지지되는 바스켓(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urth module (14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top board (142) spaced apart from the third module (130) and arranged above it; a 4-1 side board (143) vertical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third top board (132) and the fourth top board (142); a 4-2 side board (144) vertically connecting the other sides of the third top board (132) and the fourth top board (142); and a top board hole (145) arrang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fourth top board (142), and may further include a basket (150) that is inserted into the top board hole (145) and protrudes downward, and is supported by the fourth top board (142).
상기 제 4 탑보드(142)의 일측이 상기 제 4-1 사이드보드(143) 보다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스켓(150)이 공중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above 4th top board (142) may be positioned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4-1st side board (143), and the basket (150) may be exposed to the air.
첫째, 본 발명은 수납공간이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모듈이 적층되어 외부에 계단식 접근경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상단에 배치되는 바스켓의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y access to the basket placed at the top because the storage space is arranged inside and a plurality of modules are stacked to secure a stepped access path to the outside.
둘째, 본 발명은 조립부재를 통해 침대 및 캣타워를 일체화시키고, 이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한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ntegrating the bed and the cat tower through assembly members, thereby preventing overturning due to external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가구와 반려묘 가구 기능을 결합한 다기능 가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캣타워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가구와 반려묘 가구 기능을 결합한 다기능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가구와 반려묘 가구 기능을 결합한 다기능 가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furniture combining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cat tower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furniture combining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member illustrated in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furniture combining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could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ould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configured to"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for example, hardware-wise or software-wise, "suitable for," "capable of," "modified to,"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can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doing so together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가구와 반려묘 가구 기능을 결합한 다기능 가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캣타워의 정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furniture combining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at tower illustrated in FIG. 1.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가구와 반려묘 가구 기능을 결합한 다기능 가구는, 침대(10)와 상기 침대(10)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는 캣타워(100)를 포함한다. A multifunctional furniture combining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ed (10) and a cat tower (100) that can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ed (10).
상기 침대(10)는 좌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사이드보드(11)과, 상기 제 1 사이드보드(11)과 대향되도록 우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사이드보드(12)과, 상기 제 1 사이드보드(11) 및 제 2 사이드보드(12)의 일측을 연결하는 헤드보드(13)와, 상기 제 1 사이드보드(11) 및 제 2 사이드보드(12)의 타측을 연결하는 풋보드(14)와, 상기, 제 1 사이드보드(11), 제 2 사이드보드(12), 헤드보드(13) 및 풋보드(14) 사이에 배치되는 매트리스(16)를 포함한다. The above bed (10) includes a first sideboard (11) arranged vertically on the left side, a second sideboard (12) arranged vertically on the right side so as to face the first sideboard (11), a headboard (13)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sideboard (11) and the second sideboard (12), a footboard (14)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board (11) and the second sideboard (12), and a mattress (16) arranged between the first sideboard (11), the second sideboard (12), the headboard (13), and the footboard (14).
상기 침대(10)는 상기 매트리스(16)를 지지하는 립(rib) 또는 하판을 포함한다. The above bed (10) includes a rib or bottom plate that supports the above mattress (16).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캣타워(100)가 상기 풋보드(14)에 밀착되어 설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at tower (10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board (14).
상기 캣타워(100)는 다층 구조로 배치된다.The above cat tower (100) is arranged in a multi-layer structure.
상기 캣타워(100)는 상기 풋보드(14)에 밀착되는 제 1 모듈(110)과, 상기 제 1 모듈(11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모듈(120)과, 상기 제 2 모듈(12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3 모듈(130)과, 상기 제 3 모듈(13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4 모듈(140)을 포함한다. The above cat tower (100) includes a first module (11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board (14), a second module (120) that is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dule (110), a third module (130) that is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odule (120), and a fourth module (140) that is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module (130).
상기 제 1 모듈(110)의 평면적이 가장 넓고, 상기 제 2 모듈(120)의 평면적이 상기 제 1 모듈(110)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3 모듈(130)의 평면적이 상기 제 2 모듈(120) 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planar area of the first module (110) is the largest, the planar area of the second module (120) is formed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planar area of the third module (130) is formed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module (120).
상기 제 1 모듈(110)은 제 1 바텀보드(111)와, 상기 제 1 바텀보드(111)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탑보드(112)와, 상기 제 1 바텀보드(111) 및 제 1 탑보드(112)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1 사이드보드(113)와, 상기 제 1 바텀보드(111) 및 제 1 탑보드(112)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2 사이드보드(114)와, 상기 제 1-1 사이드보드(113) 및 제 1-2 사이드보드(114)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보드(111) 및 제 1 탑보드(112)를 지지하는 제 1 서포트보드(115)를 포함한다. The first module (110) includes a first bottom board (111), a first top board (112) spaced apart from and arranged above the first bottom board (111), a 1-1 side board (113) vertically connecting one side (lef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first bottom board (111) and the first top board (112), a 1-2 side board (114) vertically connecting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first bottom board (111) and the first top board (112), and a first support board (115) arranged between the 1-1 side board (113) and the 1-2 side board (114) and supporting the first bottom board (111) and the first top board (112).
상기 제 1 바텀보드(111) 및 제 1 탑보드(112)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바텀보드(111) 및 제 1 탑보드(112)의 4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bottom board (111) and the first top board (112) are formed identically.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bottom board (111) and the first top board (112) are formed in a round shape.
상기 제 1 바텀보드(111) 및 제 1 탑보드(112)의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1 사이드보드(113)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보드(111) 및 제 1 탑보드(112)의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 1-2 사이드보드(114)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One edge of the first bottom board (111) and the first top board (112) is arranged to protrude toward one side of the first-first side board (113), and the other edge of the first bottom board (111) and the first top board (112) is arranged to protrud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irst-second side board (114).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서포트보드(115)가 3개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ree of the first support boards (115) are arranged and spac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 1 서포트보드(115)는 제 1-1 서포트보드(115a), 제 1-2 서포트보드(115b), 제 1-3 서포트보드(115c)를 포함한다. The above first support board (115) includes a 1-1 support board (115a), a 1-2 support board (115b), and a 1-3 support board (115c).
상기 제 1 모듈(110)의 내측에 제 1-1 공간(110a), 제 1-2 공간(110b), 제 1-3 공간(110c) 및 제 1-4 공간(110d)이 형성된다.A 1-1 space (110a), a 1-2 space (110b), a 1-3 space (110c), and a 1-4 space (110d) are formed inside the first module (110).
상기 제 1-1 공간(110a), 제 1-2 공간(110b), 제 1-3 공간(110c) 및 제 1-4 공간(110d)이 상기 침대(10)의 풋보드(14)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풋보드(14)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상기 제 1-1 공간(110a), 제 1-2 공간(110b), 제 1-3 공간(110c) 및 제 1-4 공간(110d)가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above 1-1 space (110a), 1-2 space (110b), 1-3 space (110c), and 1-4 space (110d) ar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ootboard (14) of the bed (10) and can be covered by the footboard (14), and the 1-1 space (110a), 1-2 space (110b), 1-3 space (110c), and 1-4 space (110d) can be utilized as storage spaces.
상기 제 2 모듈(120)이 상기 제 1 탑보드(112)에 적층된다.The above second module (120) is laminated on the first top board (112).
상기 제 2 모듈(120)은, 상기 제 1 탑보드(112)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탑보드(122)와, 상기 제 1 탑보드(112) 및 제 2 탑보드(122)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1 사이드보드(123)와, 상기 제 1 탑보드(112) 및 제 2 탑보드(122)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2 사이드보드(124)와, 상기 제 1 탑보드(112) 및 제 2 탑보드(122)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탑보드(112) 및 제 2 탑보드(122)를 지지하는 제 2 서포트보드(125)를 포함한다. The second module (120) includes a second top board (122) spaced apart from and arranged above the first top board (112), a 2-1 side board (123) vertically connecting one side (lef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first top board (112) and the second top board (122), a 2-2 side board (124) vertically connecting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first top board (112) and the second top board (122), and a second support board (125) arranged between the first top board (112) and the second top board (122) and supporting the first top board (112) and the second top board (122).
상기 제 2 서포트보드(125)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된다. The above second support boards (125) are arranged in multiple places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서포트보드(125)가 2개 배치되고, 제 2-1 서포트보드(125a) 및 제 2-2 서포트보드(125b)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wo second support boards (125) are arranged, including a 2-1 support board (125a) and a 2-2 support board (125b).
상기 제 1-1 서포트보드(115a)의 상측에 상기 제 2-1 서포트보드(125a)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 1-2 서포트보드(115b)의 상측에 제 2-2 서포트보드(125b)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3 서포트보드(115c)의 상측에 제 2-2 사이드보드(124)가 배치된다. The 2-1 support board (125a) is arranged in a row on the upper side of the 1-1 support board (115a), and the 2-2 support board (125b) is arranged in a row on the upper side of the 1-2 support board (115b). The 2-2 side board (124) is arranged in a row on the upper side of the 1-3 support board (115c).
상기 제 2 모듈(120)의 내측에 제 2-1 공간(120a), 제 2-2 공간(120b) 및 제 2-3 공간(120c)이 형성된다.A 2-1 space (120a), a 2-2 space (120b), and a 2-3 space (120c) are formed inside the second module (120).
상기 제 2-1 공간(120a), 제 2-2 공간(120b) 및 제 2-3 공간(120c)이 상기 풋보드(14)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외부로 오픈된다. 상기 제 2-1 공간(120a), 제 2-2 공간(120b) 및 제 2-3 공간(120c)가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above 2-1 space (120a), 2-2 space (120b), and 2-3 space (120c) are arranged above the footboard (14) and are open to the outside. The above 2-1 space (120a), 2-2 space (120b), and 2-3 space (120c) can be utilized as storage spaces.
특히, 상기 제 2-1 공간(120a), 제 2-2 공간(120b) 및 제 2-3 공간(120c)이 침대 측으로 오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침대에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2-1 space (120a), the 2-2 space (120b), and the 2-3 space (120c) are open toward the b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m from the bed.
상기 제 3 모듈(130)은, 상기 제 2 탑보드(122)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3 탑보드(132)와, 상기 제 2 탑보드(122) 및 제 3 탑보드(122)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3-1 사이드보드(133)와, 상기 제 2 탑보드(122) 및 제 3 탑보드(132)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3-2 사이드보드(134)와, 상기 제 2 탑보드(1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1 사이드보드(133) 및 제 3-2 사이드보드(134)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선반(135)을 더 포함한다. The third module (130) further includes a third top board (132) spaced apart from and arranged above the second top board (122), a 3-1 side board (133) vertically connecting one side (lef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second top board (122) and the third top board (122), a 3-2 side board (134) vertically connecting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second top board (122) and the third top board (132), and a shelf (135) arranged above the second top board (122) and between the 3-1 side board (133) and the 3-2 side board (134)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제 2-2 서포트보드(125b)의 상측에 제 3-2 사이드보드(134)가 일렬로 배치된다. The 3-2 side board (134) is arranged in a row on the upper side of the 2-2 support board (125b).
상기 제 3 모듈(130)의 내측에 제 3 공간(130a)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135)이 상기 제 3 공간(130a)에 배치된다. A third space (130a) is formed inside the third module (130), and the shelf (135) is placed in the third space (130a).
상기 제 3-1 사이드보드(133) 및 제 3-2 사이드보드(134)에 상기 선반(135)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레일(미도시)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선반(135)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A rail (not shown) that guid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helf (135) is respectively placed on the 3-1 sideboard (133) and the 3-2 sideboard (134), and the shelf (135) can slide along the rail.
상기 제 4 모듈(140)은, 상기 제 3 탑보드(132)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4 탑보드(142)와, 상기 제 3 탑보드(132)의 일측 및 제 4 탑보드(142)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4-1 사이드보드(143)와, 상기 제 3 탑보드(132) 및 제 4 탑보드(142)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4-2 사이드보드(144)와, 상기 제 4 탑보드(14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탑보드홀(145)을 포함한다. The fourth module (140) includes a fourth top board (142) spaced apart from and arranged above the third top board (132), a 4-1 side board (143) vertical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third top board (132) and the fourth top board (142), a 4-2 side board (144) vertically connecting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is embodiment) of the third top board (132) and the fourth top board (142), and a top board hole (145) arrang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fourth top board (142).
본 실시예에 따른 캣타워(100)는 상기 탑보드홀(145)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4 탑보드(142)에 지지되는 바스켓(150)을 더 포함한다. The cat tow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basket (150) that is inserted into the top board hole (145) and protrudes downward and is supported by the fourth top board (142).
상기 제 4 모듈(140)의 내측에 제 4 공간(140a)이 형성된다. A fourth space (140a) is formed inside the fourth module (140).
상기 제 3 공간(130a) 및 제 4 공간(140a)이 침대측으로 오픈되고, 수납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above third space (130a) and fourth space (140a) are open toward the bed and can be used as storage space.
상기 제 1-1 사이드보드(113), 제 2-1 사이드보드(123), 제 3-1 사이드보드(133) 및 제 4-1 사이드보드(143)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The above 1-1 sideboard (113), 2-1 sideboard (123), 3-1 sideboard (133), and 4-1 sideboard (143) are arranged in a vertical row.
상기 제 4 탑보드(142)의 일측이 상기 제 4-1 사이드보드(143) 보다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스켓(150)이 공중에 노출되게 배치된다.One side of the above 4th top board (142) protrudes further than the 4-1st side board (143), and the basket (150) is position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air.
상기 바스켓(150)이 상기 제 4 탑보드(142)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바스켓(150)이 상기 제 4 공간(140a) 외부에 배치된다. The above basket (15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ourth top board (142). The above basket (150) is placed outside the fourth space (140a).
상기 바스켓(150)은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반구 형상이다. 상기 바스켓(150)은 상측으로 개구된 바스켓공간(150a)을 형성한다. 상기 바스켓공간(150a)이 상기 제 4 공간(140a)의 측부에 배치되고, 공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높고 좁은 공간을 좋아하는 반려묘에게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The above basket (15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s a hemispherical shape. The above basket (150) forms a basket space (150a) that is opened upward. The above basket space (150a)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above fourth space (140a) and is exposed to the air,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resting space for a companion cat that likes high and narrow spaces.
상기 제 1 모듈(110), 제 2 모듈(120), 제 3 모듈(130) 및 제 4 모듈(140)이 계단식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반려묘의 바스켓(150) 접근경로를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Since the first module (110), second module (120), third module (130), and fourth module (140) are arranged in a stepwise manner, there is a feature that enables a safe implementation of an access path for the cat to the basket (150).
구체적으로 상기 제 2-2 사이드보드(124)의 타측, 제 3-2 사이드보드(134)의 타측, 제 4-2 사이드보드(144)의 타측이 각각 외부로 오픈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탑보드(112), 제 2 탑보드(122), 제 3 탑보드(132) 및 제 4 탑보드(142)가 각각 계단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other side of the 2-2 side board (124), the other side of the 3-2 side board (134), and the other side of the 4-2 side board (144) are each open to the outside, the first top board (112), the second top board (122), the third top board (132), and the fourth top board (142) can each provide a step shape.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가구와 반려묘 가구 기능을 결합한 다기능 가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furniture combining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3.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재(200)는, 상기 침대(10)의 풋보드(14) 및 제 1 서포트보드(115)를 결합시켜 상기 캣타워(100)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assembly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eature that can prevent the cat tower (100) from falling over by combining the footboard (14) and the first support board (115) of the bed (10).
상기 조립부재(200)가 상기 풋보드(14)를 관통하여 상기 풋보드(14)와 수평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풋보드(14)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슬릿(180)을 포함한다.The above assembly member (200) penetrates the footboard (14) to form a horizontal interlocking with the footboard (14). To this end, at least one assembly slit (180) penetrating the footboard (1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clu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슬릿(180)이 2개 배치되고, 이를 제 1 조립슬릿(181) 및 제 2 조립슬릿(182)이라 한다.In this embodiment, two assembly slits (180) are arranged, and are called the first assembly slit (181) and the second assembly slit (182).
상기 제 1 조립슬릿(181) 및 제 2 조립슬릿(182)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조립슬릿(181)를 통해 제 1-2 서포트보드(115b)가 노출되고, 상기 제 2 조립슬릿(182)을 통해 제 1-3 서포트보드(115c)가 노출된다.The first assembly slit (181) and the second assembly slit (182)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rst-second support board (115b)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assembly slit (181), and the first-third support board (115c) is exposed through the second assembly slit (182).
상기 조립부재(200)는, 상기 조립슬릿(180)에 개수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조립부재(201) 및 제 2 조립부재(202)를 포함한다.The above assembly member (200) is arrang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assembly slits (180), and includes a first assembly member (201) and a second assembly member (202) in this embodiment.
상기 제 1 조립부재(201) 및 제 2 조립부재(202)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조립부재(200)라 통칭하여 설명한다.Since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ssembly member (201)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202) are the same,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ssembly members (200).
상기 조립부재(200)는, 상기 조립슬릿(18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풋보드(14)와 진입 반대방향으로 상호걸림을 형성하는 제 1 조립부(210) 및 제 2 조립부(220)와, 상기 제 1 조립부(210) 및 제 2 조립부(220)를 연결하는 조립연결부(230)와, 상기 조립연결부(23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립부(210) 및 제 2 조립부(2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서포트보드(115)가 삽입되는 조립삽입홈(234)와, 상기 조립연결부(23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립부(210) 및 제 2 조립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홈(232)을 포함한다. The above assembly member (200) includes a first assembly part (210) and a second assembly part (220) that are arranged to penetrate the assembly slit (180) and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foot board (14) in an opposite direction of entry, an assembly connection part (230) that connects the first assembly part (210)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20), an assembly insertion groove (234) that is arranged at the rear of the assembly connection part (230) and between the first assembly part (210)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20) and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board (115) is inserted, and a bending groove (232) that is arranged at the front of the assembly connection part (230) and between the first assembly part (210)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20).
상기 벤딩홈(232)을 기준으로 우측에 제 1 조립부(210)가 배치되고, 좌측에 제 2 조립부(220)가 배치된다. 상기 벤딩홈(232)을 통해 상기 제 1 조립부(210) 및 제 2 조립부(220)이 휨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조립부(210) 및 제 2 조립부(220)의 휨변형 후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The first assembly part (210) is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above bending groove (232),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20)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A space is provided through the above bending groove (232) in which the first assembly part (210)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20) can be bent, and after the first assembly part (210)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20) are bent, they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elastic force.
상기 조립부재(20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assembly member (200) can be formed of an e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상기 제 1 조립부(210)는 상기 조립연결부(230)에서 캣타워(100) 측으로 연장된 제 1-1 조립부(211)와, 상기 조립연결부(230)에서 침대(10) 측으로 연장된 제 1-2 조립부(212)와, 상기 제 1-2 조립부(212)에서 상기 제 2 조립부(220)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풋보드(14)의 전면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후크부(215)를 포함한다. The above first assembly part (210) includes a 1-1 assembly part (211) that extends from the assembly connection part (230) toward the cat tower (100), a 1-2 assembly part (212) that extends from the assembly connection part (230) toward the bed (10), and a first hook part (215) that protrudes from the 1-2 assembly part (21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assembly part (220) to form a mutual hook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ootboard (14).
상기 제 2 조립부(220)는 상기 조립연결부(230)에서 캣타워(100) 측으로 연장된 제 2-1 조립부(221)와, 상기 조립연결부(230)에서 침대(10) 측으로 연장된 제 2-2 조립부(222)와, 상기 제 2-2 조립부(222)에서 상기 제 1 조립부(210)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풋보드(14)의 전면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후크부(225)를 포함한다. The second assembly part (220) includes a 2-1 assembly part (221) that extends from the assembly connection part (230) toward the cat tower (100), a 2-2 assembly part (222) that extends from the assembly connection part (230) toward the bed (10), and a second hook part (225) that protrudes from the 2-2 assembly part (22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assembly part (210) and forms a mutual hook with the front of the footboard (14).
상기 제 1-1 조립부(211) 및 제 2-1 조립부(221) 사이에 상기 조립삽입홈(234)이 형성된다. 조립 시, 상기 제 1-1 조립부(211) 및 제 2-1 조립부(221)가 상기 제 1 서포트보드(115)의 양측을 감싸게 배치된다. The assembly insertion groove (234) is formed between the above 1-1 assembly part (211) and the 2-1 assembly part (221). When assembled, the 1-1 assembly part (211) and the 2-1 assembly part (221) are arrang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board (115).
상기 제 1-2 조립부(212) 및 제 2-2 조립부(222) 사이에 상기 벤딩홈(232)이 형성된다.The bending groove (232) is formed between the first-second assembly part (212) and the second-second assembly part (222).
상기 조립삽입홈(234) 및 벤딩홈(232)이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The above assembly insertion groove (234) and bending groove (232)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조립삽입홈(234)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상기 벤딩홈(232)의 전후 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2 조립부(212) 및 제 2-2 조립부(222)의 충분한 휨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bending groove (232) is formed longer than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assembly insertion groove (234), so that sufficient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second assembly part (212) and the second-second assembly part (222) can be induced.
상기 조립삽입홈(234) 및 벤딩홈(232)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된다. The above assembly insertion groove (234) and bending groove (232) ar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each open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삽입홈(234)에 상기 제 1-2 서포트보드(115b) 또는 제 1-3 서포트보드(115c)가 삽입되어 조립되고,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1-2 support board (115b) or the 1-3 support board (115c)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insertion groove (234) and assembled to form a mutual engag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2 서포트보드(115b) 및 제 1-3 서포트보드(115c)의 전단에 각각 서포트체결홀(118)이 형성되고, 상기 제 1-1 조립부(211) 및 제 2-1 조립부(221)에 각각 조립체결홀(218)이 형성되며,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조립체결홀(218) 및 서포트체결홀(118)에 체결된다. A support fastening hole (118) is formed in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first-second support board (115b) and the first-third support board (115c), and an assembly fastening hole (218)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first assembly part (211) and the second-first assembly part (221), and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assembly fastening hole (218) and the support fastening hole (118).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후크부(215) 및 제 2 후크부(225)를 상기 조립슬릿(180)에 삽입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1 조립부(211) 및 제 2-1 조립부(221)를 상기 조립슬릿(180)에 삽입하여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of the first hook portion (215) and the second hook portion (225) into the assembly slit (18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unlike this embodiment, the 1-1 assembly portion (211) and the 2-1 assembly portion (221) may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slit (180) and assembled.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모듈(110)을 제 1 조립부재(201) 및 제 2 조립부재(202)를 통해 풋보드(14)에 조립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캣타워(10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침대(10)으로 전도되어 사용자가 다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module (110) is assembled and fixed to the footboard (14) through the first assembly member (201)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202), there is a feature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user is injured by falling to the bed (10)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at tower (100).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재(200)는 제 2 실시예와 달리 제 1-1 조립부(211)에서 제 2 조립부(220) 방향으로 돌출된 조립후크(216)와, 상기 제 1 서포트보드(115)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후크(216)가 삽입되어 조립 반대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임시조립홈(116)을 더 포함한다.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assembly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assembly hook (216) protruding from the 1-1 assembly portion (211) towar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20), and a temporary assembly groove (116) formed concavely in the first support board (115) and into which the assembly hook (216) is inserted to form a mutual hook in the opposite assembly direction.
상기 조립후크(216) 및 임시조립홈(116)의 상호 걸림을 통해 체결부재의 조립 전에 상기 조립부재(200)를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re is a feature that the assembly member (200) can be fixed before assembling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the mutual engagement of the assembly hook (216) and the temporary assembly groove (116).
상기 조립후크(216) 및 임시조립홈(116)의 상호 걸림 시, 상기 조립체결홀(218) 및 서포트체결홀(118)의 위치가 정렬되게 배치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above assembly hook (216) and temporary assembly groove (116) are mutually engaged, the positions of the assembly fastening hole (218) and the support fastening hole (118) are aligned. This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assembly for the work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후크(216)가 상기 제 1-1 조립부(211)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임시조립홈(116)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서포트보드(115)의 타측면 상측에 오목하게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y hook (216)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1-1 assembly part (211), and the temporary assembly groove (116) is positioned concavely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oard (115) corresponding to this.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조립후크(216)가 상기 제 2-1 조립부(221)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1 조립부(221)가 삭제되었으나, 제 1 실시예와 같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assembly hook (216) may be placed in the 2-1 assembly part (221). In addition, although the 2-1 assembly part (221) is dele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plac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다만, 조립후크(216)는 제 1-1 조립부(211) 또는 제 2-1 조립부(211)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하고, 임시조립홈(116)을 제 1 서포트보드(115)의 어느 한 쪽 면에만 형성시켜 상기 제 1 서포트보드(115)의 강도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assembly hook (216) only in one of the 1-1 assembly part (211) or the 2-1 assembly part (211), and to form the temporary assembly groove (116) only i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board (115)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first support board (115).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가구와 반려묘 가구 기능을 결합한 다기능 가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furniture combining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10)는 좌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사이드보드(11)과, 상기 제 1 사이드보드(11)과 대향되도록 우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사이드보드(20)과, 상기 제 1 사이드보드(11) 및 제 2 사이드보드(12)의 일측을 연결하는 헤드보드(13)와, 상기 제 1 사이드보드(11) 및 제 2 사이드보드(12)의 타측을 연결하는 풋보드(14)와, 상기, 제 1 사이드보드(11), 제 2 사이드보드(12), 헤드보드(13) 및 풋보드(14) 사이에 배치되는 매트리스와, 상기 제 1 사이드보드(11) 또는 제 2 사이드보드(12)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수납박스(50)를 포함한다. A be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ideboard (11) arranged vertically on the left side, a second sideboard (20) arranged vertically on the right side so as to face the first sideboard (11), a headboard (13)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sideboard (11) and the second sideboard (12), a footboard (14)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board (11) and the second sideboard (12), a mattress arranged between the first sideboard (11), the second sideboard (12), the headboard (13) and the footboard (14), and a storage box (50)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ither the first sideboard (11) or the second sideboard (12).
본 실시예에서 수납박스(50)가 상기 제 2 사이드보드(2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사이드보드(20)는 상기 수납박스(50) 보다 높게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box (50)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board (20). The second sideboard (20) is formed higher than the storage box (50).
상기 제 2 사이드보드(20)는 상기 수납박스(50)가 밀착되는 사이드보드부(22)와, 상기 사이드보드부(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를 포함한다.The above second sideboard (20) includes a sideboard portion (22) to which the storage box (50) is attached, and an extension portion (24) extending upward from the sideboard portion (2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사이드보드(20)는 상기 연장부(24)와 교차되어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트리스 측으로 돌출되는 선반부(28)를 더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ideboard (20) is installed horizontally so as to intersect with the extension (24) and further includes a shelf (28) that protrudes toward the mattress.
상기 선반부(28)의 수평폭이 상기 수납박스(50)의 폭 이내로 형성된다. The horizontal width of the above shelf section (28) is formed within the width of the storage box (5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24)가 상기 캣타워(100) 측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extension part (24)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at tower (100).
상기 선반부(28)가 상기 제 2 탑보드(122)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탑보드(122)와 연속된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 shelf section (28) can be plac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top board (122) and provide a continuous plane with the second top board (122).
상기 제 2 사이드보드(20)는 상기 연장부(24)에서 상측으로 더 돌출되는 미러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러부(30)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1 사이드보드(133)와 일렬로 배치된다.The above second sideboard (20) further includes a mirror portion (30)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extension portion (24). The mirror portion (30) is arranged vertically and in a line with the above third-first sideboard (133).
상기 미러부(30)에 거울이 배치될 수 있다. A mirror can be placed in the above mirror section (30).
상기 수납박스(50)는 제 1-1 공간(110a)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공간(110a)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The above storage box (50) is placed in front of the 1-1 space (110a) and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1-1 space (110a).
상기 수납박스(50)는 상기 제 2 사이드보드(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above storage box (50) is formed in a rectangular hexahedron shape that ext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sideboard (20).
상기 수납박스(50)의 일측이 상기 제 2 사이드보드(20)에 밀착되고, 타측(55)이 상기 매트리스에 밀착된다.One side of the above storage box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ideboard (20), and the other side (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ttress.
상기 수납박스(50)의 내부가 길이 방향에 대해 2개로 구획되고, 상측에 제 1 수납도어(51) 및 제 2 수납도어(52)가 배치된다. The interior of the above storage box (50) is divided into tw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storage door (51) and a second storage door (52) are arranged on the upper side.
상기 제 1 수납도어(51) 및 제 2 수납도어(52)를 통해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t has the feature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mattress through the first storage door (51) and the second storage door (52).
상기 제 1 수납도어(51) 및 제 2 수납도어(52)는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는 구조이다. The above first storage door (51) and second storage door (52) are struct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upward.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by equivalents of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침대
11 : 제 1 사이드보드
12 : 제 2 사이드보드
13 : 헤드보드
14 : 풋보드
100 : 캣타워
110 : 제 1 모듈
120 : 제 2 모듈
130 : 제 3 모듈
140 : 제 4 모듈
150 : 바스켓
200 : 조립부재
210 : 제 1 조립부
220 : 제 2 조립부
230 : 조립연결부10 : Bed
11: 1st sideboard
12: 2nd sideboard
13 : Headboard
14 : Footboard
100 : Cat Tower
110 : Module 1
120 : Module 2
130 : Module 3
140 : Module 4
150 : Basket
200 : Assembly parts
210: Assembly Section 1
220: 2nd Assembly Section
230 : Assembly joint
Claims (3)
상기 캣타워(100)는, 상기 침대(10)의 풋보드(14)에 밀착되는 제 1 모듈(110);
상기 제 1 모듈(11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모듈(120);
상기 제 2 모듈(12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3 모듈(130);
상기 제 3 모듈(13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4 모듈(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듈(110)의 평면적이 가장 넓고, 상기 제 2 모듈(120)의 평면적이 상기 제 1 모듈(110)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3 모듈(130)의 평면적이 상기 제 2 모듈(120)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4 모듈(140)은,
상기 제 3 모듈(13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4 탑보드(142);
상기 제 3 모듈(130)의 일측 및 제 4 탑보드(142)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4-1 사이드보드(143);
상기 제 3 모듈(130) 및 제 4 탑보드(142)의 타측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4-2 사이드보드(144);
상기 제 4 탑보드(14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탑보드홀(145)을 포함하고,
상기 탑보드홀(145)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4 탑보드(142)에 지지되는 바스켓(150)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가구.
It includes a bed (10) and a cat tower (100) attached to the bed (10),
The above cat tower (100) comprises a first module (11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board (14) of the bed (10);
A second module (120)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dule (110);
A third module (130)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odule (120);
Including a fourth module (140)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module (130);
The planar area of the first module (110) is the largest, the planar area of the second module (120) is formed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planar area of the third module (130) is formed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module (120).
The above fourth module (140) is
A fourth top board (142)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rd module (130);
A 4-1 side board (143) that vertically connects one side of the third module (130) and the fourth top board (142);
A 4-2 side board (144) that vertically 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third module (130) and the fourth top board (142);
It includes a top board hole (145) arranged to penetrate the fourth top board (142)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ultifunctional furniture further comprising a basket (150) that is inserted into the top board hole (145) and protrudes downward and is supported by the fourth top board (142).
상기 제 4 탑보드(142)의 일측이 상기 제 4-1 사이드보드(143) 보다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스켓(150)이 공중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다기능 가구.
In claim 1,
A multifunctional piece of furni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fourth top board (142) protrudes further than the 4-1 side board (143) and the basket (150) is position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ai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106232A KR102794973B1 (en) | 2024-08-08 | 2024-08-08 |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106232A KR102794973B1 (en) | 2024-08-08 | 2024-08-08 |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94973B1 true KR102794973B1 (en) | 2025-04-15 |
Family
ID=9547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06232A Active KR102794973B1 (en) | 2024-08-08 | 2024-08-08 |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94973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351367A1 (en) * | 2014-06-06 | 2015-12-10 | Papercut Lab Corp. | Modular furniture system for cats |
KR101725372B1 (en) * | 2016-10-28 | 2017-04-12 | 주식회사 이스마트 | Bed sharing with companion animal |
KR20220108449A (en) * | 2021-01-27 | 2022-08-03 | 주식회사 지엠알 그룹코리아 | Module Type Cat Tower |
KR102486521B1 (en) * | 2022-06-13 | 2023-01-09 | 주식회사히든가구 | Bed with stairs for pets |
KR20230133417A (en) | 2022-03-11 | 2023-09-19 | 임현아 | All-in-one cat tower system |
-
2024
- 2024-08-08 KR KR1020240106232A patent/KR10279497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351367A1 (en) * | 2014-06-06 | 2015-12-10 | Papercut Lab Corp. | Modular furniture system for cats |
KR101725372B1 (en) * | 2016-10-28 | 2017-04-12 | 주식회사 이스마트 | Bed sharing with companion animal |
KR20220108449A (en) * | 2021-01-27 | 2022-08-03 | 주식회사 지엠알 그룹코리아 | Module Type Cat Tower |
KR20230133417A (en) | 2022-03-11 | 2023-09-19 | 임현아 | All-in-one cat tower system |
KR102486521B1 (en) * | 2022-06-13 | 2023-01-09 | 주식회사히든가구 | Bed with stairs for pe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66626B1 (en) | Modular cage | |
US4909188A (en) | Cage for keeping pet animals | |
US4413867A (en) | Multi-unit storage cabinet | |
US20060000422A1 (en) | Combinative pet cage | |
US9241473B2 (en) | Pet access limiting device | |
JP2574453Y2 (en) | Wire mesh cage for animals | |
US11771053B2 (en) | Animal crate assembly | |
US20220034120A1 (en) | Transformable prefabricated fence | |
US8020224B2 (en) | Internal corner structure for mattress foundations | |
KR102794973B1 (en) | Multifunctional furni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user furniture and cat furniture | |
CN110235792B (en) | Animal crate assembly | |
RU2769877C1 (en) | Expandable modular frame for pet cage formation | |
CN114766870A (en) | Baby crib capable of being converted into multipurpose box | |
KR20230025689A (en) | Module Type Cat Tower | |
KR102489342B1 (en) | Assembly type cat tower | |
KR200451334Y1 (en) | Block Panels for Prefabricated Animal Breeders | |
JP3829095B2 (en) | Cage cover for small animal breeding cage and small animal breeding cage provided with the cage cover | |
JP3124699U (en) | Partition | |
KR102607549B1 (en) | Connecting structure assembly for cat moving | |
KR102157463B1 (en) | Bed having simple connecting structure | |
KR101725372B1 (en) | Bed sharing with companion animal | |
CN213144961U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pet cage | |
KR102781978B1 (en) | Bunk Bed Fall Prevention Apparatus | |
KR20210035986A (en) | Transformable and extendable assembly type cat tower | |
KR20170000995U (en) | House assembly for pet do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8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