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91902B1 - Spread type fork device - Google Patents

Spread type fork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91902B1
KR102791902B1 KR1020240119841A KR20240119841A KR102791902B1 KR 102791902 B1 KR102791902 B1 KR 102791902B1 KR 1020240119841 A KR1020240119841 A KR 1020240119841A KR 20240119841 A KR20240119841 A KR 20240119841A KR 102791902 B1 KR102791902 B1 KR 10279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lifting
distance
fork device
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19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덕수
남수근
이현빈
이재환
정갑용
Original Assignee
(주)코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윈테크 filed Critical (주)코윈테크
Priority to KR102024011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919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9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9190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5Multiple forks, i.e. more than one pair mounted on a single mast or with more than one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10Masts; Guides; Chains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relative to tr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이송에 이용되는 리프팅 포크를 다수로 구비하는 동시에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는 복층식 구조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많은 물동량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포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한 쌍의 본체 프레임과 다수의 리프팅 포크, 시저스 링크부 그리고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for transporting goods and having a double-layer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m can be adjusted, thereby enabling rapid processing of a large amount of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air of main body frames,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a scissor link, and an elevator device.

Description

스프레드 타입의 포크 장치{Spread type fork device}{Spread type fork device}

본 발명은 스프레드 타입의 포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이송에 이용되는 리프팅 포크를 다수로 구비하는 동시에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는 복층식 구조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많은 물동량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포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ead-type fork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rk device configured to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used for transporting goods are provided while all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to be adjusted, thereby enabling rapid processing of a large volume of material.

일반적으로, 물품의 이송을 위한 포크를 구비하는 장치 중의 하나인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은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고, 높이 조절을 위한 리프트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선반에 물품을 입출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general, a stacker crane, which is one of the devices equipped with a fork for transporting goods,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along a rail installed on the floor and is equipped with a lift for height adjustment, and can perform the role of putting goods in and out of shelves.

즉, 스태커 크레인은 물류 창고에 최적화된 장치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물품의 입출고 처리로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을 가진다.In other words, the stacker crane is a device optimized for logistics warehouses, and it has many advantages such as not only increasing work efficiency through quick and accurate processing of goods in and out, but also preventing safety accidents for workers.

따라서, 물류 창고나 2차 전지의 생산 공정에서 작업의 효율을 더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0328호의 “스태커 크레인”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615038호의 “캔틸레버 타입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과 같은 여러 선행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further improve work efficiency in logistics warehouses or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processes, several prior inventions have been proposed and disclosed, such as the “stacker cran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70328 and the “cantilever type stacker crane system”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615038.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스태커 크레인들은 대부분 한 번에 하나의 물품만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량의 물품을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그 효과가 제한적으로만 발생하게 되는 구성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However, most of the existing stacker cranes mentioned above are configured to handle only one item at a time, so they have a configuration limitation that limits their effectiveness in environments where a large number of items must be handled quickly.

즉, 물품의 이송을 위한 목적으로 하나의 포크만을 구비하는 기존 형태의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한 번에 하나의 물품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방식으로는 많은 물동량의 신속한 처리가 필요한 상황에서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xisting stacker crane equipped with only one fork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goods, which is used to load or remove one item at a time, may not be able to meet the needs of situations where rapid handling of a large volume of goods is required.

이와 같은 문제는 스태커 크레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태커 크레인을 포함하여 포크를 구비하는 유사 장치들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This problem is not limited to stacker cranes, but is a common problem in similar devices equipped with forks, including stacker cranes.

따라서, 2차 전지의 생산 공정과 같이 많은 물동량의 신속한 처리가 필요한 작업 환경에서는 작업의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문제까지 발생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포크 장치의 보급이 요구되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work environments that require rapid processing of large volumes of material, such as the production process of secondary batteries, there is a need for the spread of fork devices that are configured in a way that can solve this problem, as there is a risk of decreased productivity due to delays in work.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0328호(2021. 06. 2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270328 (June 23, 20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615038호(2023. 12. 1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615038 (December 13, 2023)

상기한 바와 같이, 물품을 하나씩 운반하여 선반에 반입하고, 다시 하나씩 반출하는 구성으로는 대량의 물품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없고, 그에 따른 작업의 지연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ransporting items one by one, placing them on a shelf, and then removing them one by one cannot process a large quantity of items quickly, and the resulting delay in work may cause a problem of decreased productivit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esent a solution to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시저스 구조를 이용하여 다수의 리프팅 포크를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는 복층식 구조로 구비한 상태에서 하방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타입의 포크 장치를 제시한다.A spread-type fork device is prop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o as to enable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a guide rail installed below while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are mutually distance-adjustable using a scissor structur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과 연통하는 수직의 개방구가 형성되며, 개방구를 기준으로 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 가이드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록을 이용하여 복층식 구조로 설치된 상태에서 시저스 링크부에 연동하여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는 다수의 리프팅 포크; 다수의 링크바가 시저스 구조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는 시저스 링크부; 및, 상기 다수의 리프팅 포크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특정의 링크바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 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air of main body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a hollow is formed inside, a vertical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is formed, and a pair of vertical guides based on the opening are provided;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installed in a double-layer structure using slide blocks installed on the pair of vertical guides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therebetween by linking with a scissor link portion; a scissor link portion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ink bars form a scissor structure; and an elevating device that elevates a specific link bar so as to enable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lifting forks to be adjusted.

이때, 상기 상기 다수의 리프팅 포크는 서로 대칭이 되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되며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한 쌍씩 짝을 이루어 물품을 리프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lifting forks are configured in pai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nd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nfigured in a symmetrical shape to lift an object.

본 발명은 물품의 이송을 위한 다수의 리프팅 포크를 복층식 구조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물품을 동시에 운반하여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으므로 기존 형태의 장치를 이용할 때보다 많은 물동량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in a double-layer structure for transporting goods, a plurality of goods can be transported simultaneously and loaded into or removed from a shelf, thereby producing the effect of enabling faster processing of a greater volume of goods than when using a conventional type of device.

또한, 복층식 구조로 구비된 다수의 리프팅 포크를 상호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2차 전지의 제조를 위한 활성화 공정에서 각각의 세부 공정마다 역할별로 이용되고 있는 여러 대의 스태커 크레인을 대신하여 단독으로의 이용이 가능한 효과도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multiple lifting forks equipped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t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used independently instead of multiple stacker cranes used for each role in each detailed process in the activ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ies.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프레드 타입의 포크 장치는 많은 물동량의 신속한 처리가 필요한 물류 창고나 2차 전지의 생산 공정에서 유용하게 이용되어 생산성 향상의 효과와 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spread type f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in a logistics warehouse that requires rapid processing of a large volume of material or in a production process of secondary batteries, thereby providing the effects of increased productivity and reduced cost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타입의 포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시저스 링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구동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상기 포크 장치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상기 포크 장치가 스태커 크레인을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레드 타입의 포크 장치가 선반에 다수의 트레이를 반입하기 위한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e type f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issor link part is installed inside a main body fram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iv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frame.
Figures 3a and 3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al embodiment of the fork device.
Figure 4 is an example drawing showing how the fork device constitutes a stacker crane.
FIGS. 5A to 5E are flowchart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spread-type f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operation for loading a plurality of trays onto a shelf.

본 발명은 스프레드 타입의 포크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ead type fork device (100),

시저스 구조를 이용하여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를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는 복층식 구조로 구비한 상태에서 하방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guide rail (101) installed below in a double-layer structur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m adjusted using a scissor structur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우선, 상기 포크 장치(100)는 트레이(T)와 같은 물품의 이송을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장치이며, 복층식 구조로 구비된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가 스프레드방식으로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fork device (100) is a device used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items such as trays (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equipped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configur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m in a spread manner.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 장치(100)는 물품의 반입 또는 반출을 위한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그와 함께 하방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01)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fork device (100)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for bringing in or taking out good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o as to enable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using a guide rail (101) installed downward therewith.

이때, 상기 포크 장치(100)는 공지의 장치인 스태커 크레인의 일부 구성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한 쌍의 마스트 프레임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에 구비된 상태에서 승강하고,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전후진하며, 선반에 물품을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rk device (100) may be a part of a known stacker crane, and in this case, it is installed on a carriage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 vertical direction using a pair of mast frames,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guide rail (101), and load or unload items onto a shelf.

또한, 상기 포크 장치(100)는 공지의 장치인 포크 리프트의 일부 구성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지면에 설치되거나 중장비에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하고,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전후진하며, 선반에 물품을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k device (100) may be a part of a forklift, which is a known device, and in this case, it can be installed on the ground or installed on heavy equipment, lifted and lowered,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guide rail (101), and loaded or unloaded items on a shelf.

이와 같이, 상기 포크 장치(100)는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물품의 이송을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여러 장치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ork device (100) can be installed alone or installed and used in multiple devices used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goods.

그리고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를 구비하는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다수의 물품을 동시에 이송하는 용도로 이용되어 많은 물동량의 신속한 처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feature of having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it can be used to transport a plurality of items simultaneously, enabling rapid processing of a large volume of material.

참고로 상기 포크 장치(100)에 의한 이송의 대상이 되는 물품은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되어 2차 전지와 같은 제품을 담는 용도로 이용되는 다수의 트레이(T)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리프팅 포크(120)에 맞는 규격의 다른 물품도 이송의 대상이 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by the fork device (100) may be a plurality of trays (T) configured to the same specifications and used for the purpose of containing products such as secondary batteries,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of specifications that fit the lifting fork (120) may also be transport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 장치(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과 연통하는 수직의 개방구가 형성되며, 개방구를 기준으로 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111)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11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1, the fork device (100)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in a form that includes a pair of main body frame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orm in which a hollow is formed inside, a vertical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is formed, and a pair of vertical guides (111) based on the opening are provided.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가이드(111)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록(121)을 이용하여 복층식 구조로 설치된 상태에서 시저스 링크부(130)에 연동하여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는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in a form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that are installed in a double-layer structure by using slide blocks (121) installed on a pair of vertical guides (111) and are linked to a scissor link (130)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m.

즉, 상기 본체 프레임(110)은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를 복층식 구조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조물이며, 이를 위한 내부 중공을 구비하는 동시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된다.That is, the main body frame (110) is a structure that enables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to be installed in a double-layer structure, and further assists in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It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includes an internal hollow space for this purpose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따라서,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중공과 연통하는 수직의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를 복층식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a vertical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space can be formed between a pair of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can be installed in a double-layer structure using this.

그리고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이 설치되는 일측면을 서로 마주하게 하는 형태로 한 쌍의 본체 프레임(110)을 서로 이격되게 설치하여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리프팅 포크(120)가 서로 짝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And, a pair of main body frames (110) can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orm where one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is installed facing each other, so that lifting forks (120)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can be paired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한 쌍의 본체 프레임(110) 중 일측의 본체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와 타측의 본체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는 서로 대칭이 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한 쌍씩 짝을 이루어 물품을 리프팅 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mong the pair of main body frames (110),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provided on one main body frame (110) and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provided on the other main body frame (110) are configured in a symmetrical shape, and are installed in pairs at the same heigh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lift an object.

즉, 상기 리프팅 포크(120)는 한 쌍이 짝을 이루어 하나의 물품을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그 과정에서 승강하며 물품 상호 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lifting forks (120) are configured to transport one item in pairs, and in the process, they can be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tems can be adjusted.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에 하나씩 구비되는 수직 가이드(111)와 관련하여, 상기 리프팅 포크(120)의 외측면에는 그 수직 가이드(111)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형태가 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블록(121)이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nd in relation to the vertical guide (111)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a pair of slide blocks (121)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formed to interlock with the vertical guide (11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fork (120).

따라서, 상기 리프팅 포크(12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는 수직 가이드(111)를 따라 슬라이드 블록(121)이 승강하게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로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 전체의 자세 유지와 같은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the lifting fork (120) being raised and lowered, the slide block (121)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vertical guide (111), and as a result, the stability of use, such as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entire number of lifting forks (120), can be improved.

아울러, 상기 리프팅 포크(120)에 의한 이송의 대상이 되는 트레이(T)에는 양측 말단에 다수의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리프팅 포크(120)의 말단부 측에는 걸림턱에 하나씩 대응하여 임시로 결합되거나 걸리는 형태가 될 수 있는 다수의 고정용 블록(122)이 구비되어 트레이(T)를 이송하는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y (T) to be transported by the lifting fork (120) may be provided with a number of catches at both ends, and in addition, a number of fixing blocks (122) that can be temporarily connected or caught in correspondence with the catches are provided at the end of the lifting fork (120),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movement during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tray (T).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 장치(100)는 다수의 링크바(131)가 시저스 구조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는 시저스 링크부(13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a, the fork device (100)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in a form including a scissor link portion (130) in which a plurality of link bars (131) are configured in a form forming a scissor structure.

이에 더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포크 장치(100)는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특정의 링크바(131)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14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b, the fork device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device (140) that lifts and lowers a specific link bar (131) that enables the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to be adjusted.

즉, 상기 시저스 링크부(130)는 다수의 링크바(131)가 다수의 링크축(132)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이 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X자 형상을 이루는 구조로 구성되며, 그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전체로써의 길이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다시 원래의 길이로 돌아오게 될 수 있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scissors link part (130) is configur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ink bars (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plurality of link axes (132) to form a plurality of X shapes, and by us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 overall length can be extended upward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length.

따라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저스 링크부(130)에 하나씩 연결이 되어 복층식 구조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가 링크바(131)에 연동하여 상호 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거나 다시 원래의 간격으로 돌아오게 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3a and 3b,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that are connected one by one to the scissor link portion (130) to form a double-layer structure can be linked to the link bar (131) so that the gap between them increases or returns to the original gap.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시저스 링크부(130)는 다수의 링크바(131)가 다수의 링크축(132)을 이용하여 시저스 구조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승강 장치(140)를 이용하여 가장 높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바(131)나 링크축(132)을 승강시키는 방식으로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cissor link part (130)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ink bars (131) form a scissor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link axes (132), the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can be adjusted by raising and lowering one or more link bars (131) or link axes (132)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using an elevator device (140).

이 과정에서 이용되는 승강 장치(140)는 공지의 리니어 가이드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나 바(bar)를 따라 승강하는 수직 이동 모듈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수직 이동 모듈이 링크바(131)나 링크축(132)에 연결이 된 상태로 승강하도록 하여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140) used in this process can be configured to have a vertical movement module that rises and falls along a vertically installed guide or bar, such as a known linear guide, and the vertical movement module can be raised and lowered while connected to a link bar (131) or a link shaft (132)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본체 프레임(110)은 상기한 역할에 더하여, 복층식 구조로 구비된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가 하방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main body frame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ole, it has a role of allowing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equipped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guide rail (101) installed at the bottom.

즉,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포크 장치(100)의 하방에 설치되는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가이드 레일(101)에 맞춤형으로 대응하는 다수의 슬라이더(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101)에 지지되는 형태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That is, a plurality of sliders (112) that correspond to one or more guide rails (101)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frame (110) may be provided, and by using these, installation in a form supported by the guide rails (101) is possible.

따라서, 상기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가 가이드 레일(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있게 되므로 그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를 이용하여 물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선반으로부터 물품을 반출하는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01),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task of loading an item onto a shelf or removing an item from a shelf using the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기 포크 장치(100)가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device (150) that allows the fork device (10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guide rail (101).

즉, 상기 구동 장치(150)는 공지의 리니어 가이드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나 바(bar)를 따라 이동하는 수평 이동 모듈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device (15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includes a horizontal movement module that moves along a horizontally installed guide or bar, such as a known linear guide.

그리고 상기 수평 이동 모듈이 슬라이더(112)와 연결이 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여 본체 프레임(110)과 리프팅 포크(120)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의 위치 이동이 되도록 할 수 있다.And, by causing the horizontal movement module to move while connected to the slider (112), the position of the entir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main body frame (110) and the lifting fork (120) can be mo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프팅 포크(120)의 하방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슬라이드 포크(160)와 그 슬라이드 포크(160)가 들여오는 물품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이송하여 리프팅 포크(120)에 공급되게 하는 컨베이어 구조의 이송 장치(17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lide fork (160) that is provided in a form that can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using a conveyor device installed below the lifting fork (120), and a conveyor structured transport device (170) that supports the lower end of an item brought in by the slide fork (160) and transports it so that it is supplied to the lifting fork (120).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 장치(100)가 스태커 크레인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리프팅 포크(120)의 하방측에는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슬라이드 포크(160)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fork device (100) constitutes a stacker crane, a slide fork (16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fork (120) in a form that allows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using a conveyor device.

즉, 스태커 크레인을 구성하는 승강용의 캐리지나 한 쌍의 본체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지지대에는 외부를 향해 수평으로 돌출이 되는 형태로 슬라이드 포크(1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여러 층으로 적층된 상태인 다수의 트레이(T)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캐리지나 지지대의 상단으로 들여올 수 있다.That is, a slide fork (16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horizontally toward the outside on a support supporting a carriage for lifting or a pair of main body frames (110) that constitute a stacker crane, and by using this, a plurality of trays (T) that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can be brought in to the top of the carriage or support in a form as shown in FIGS. 5a and 5b.

이때, 상기 리프팅 포크(120)의 하방측에는 컨베이어 구조의 이송 장치(170)가 다른 장치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드 포크(160)가 들여오는 다수의 트레이(T)를 지지하는 상태로 계속 이송하여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에 공급이 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conveyor-structured transport device (17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fork (120) in a form that does not cause interference with other devices, so that the slide fork (160) can continuously transport a plurality of trays (T) brought in while supporting them, so that they can be supplied to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즉, 여러 층으로 적층된 상태인 다수의 트레이(T)를 슬라이드 포크(160)를 이용하여 들여오는 동시에 이송 장치(170)를 이용하여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에 공급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trays (T) stacked in multiple layers can be brought in using a slide fork (160) and supplied to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using a transport device (170).

따라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식 구조로 구비되는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가 한 쌍씩 짝을 지어 트레이(T)를 하나씩 양측으로 파지하거나 지지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c,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equipped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can be paired to hold or support a tray (T) on both sides.

그리고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장치(140)의 구동에 따른 리프팅 포크(120)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다수의 트레이(T)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5d,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ing forks (1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ifting device (14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trays (T) can be adjusted.

이와 같이, 다수의 트레이(T)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된 상태에서는 스태커 크레인을 구성하는 이동 유닛의 이동과 캐리지의 상승에 따른 포크 장치(100)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게 되고,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포크 장치(100)의 전진 이동이 발생하게 되어, 다수의 트레이(T)가 선반에 반입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trays (T) is adjusted, the position of the fork device (100)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constituting the stacker crane and the elevation of the carriage, and as shown in FIG. 5e, when the position movement is completed,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ork device (100) occurs, so that a plurality of trays (T) can be loaded onto the shelf.

다른 방식으로는, 상기 포크 장치(100)의 위치 이동이 우선 순위로 발생한 상태에서 승강 장치(140)의 구동에 따른 다수의 트레이(T)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구동 장치(150)에 의한 포크 장치(100)의 전진 이동으로 다수의 트레이(T)가 선반에 반입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tance between multiple trays (T) can be adjusted by driving the lifting device (140)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fork device (100) occurs as a priority, and in that state, multiple trays (T) can be brought into the shelf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ork device (100) by the driving device (150).

이후, 트레이(T)의 반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구동 장치(150)에 의한 포크 장치(100)의 후진 이동이 발생하고, 승강 장치(140)의 구동에 따른 리프팅 포크(120) 전체의 원상태로의 복귀가 발생하게 된다.Afterwards, when the tray (T) is brought in, the fork device (100) moves backwards by the driving device (150), and the entire lifting fork (12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driving the lifting device (140).

그리고 스태커 크레인을 구성하는 이동 유닛의 이동과 캐리지의 하강에 따른 포크 장치(100)의 원위치로의 복귀나 다음 작업의 수행을 위한 위치 이동이 발생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슬라이드 포크(160)도 전진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될 수 있다.And, as the moving unit constituting the stacker crane moves and the carriage is lowered, the fork device (10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or moves to a position to perform the next task. In the process, the slide fork (160) can also move forward and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물론, 상기한 과정은 상기 포크 장치(100)가 스태커 크레인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므로, 포크 장치(100)가 다른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방식으로 트레이(T)의 반입과 반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Of course, the above process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fork device (100) constitutes a stacker crane, so in the case where the fork device (100) constitutes another device, the operation for bringing in and taking out the tray (T)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manner.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introduced above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explana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pressed in an exaggerated or reduced form for convenience.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Additionally, identical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present identical components.

100 : 포크 장치 → 101 : 가이드 레일
110 : 본체 프레임 → 111 : 수직 가이드
→ 112 : 슬라이더
120 : 리프팅 포크 → 121 : 슬라이드 블록
→ 122 : 고정용 블록
130 : 시저스 링크부 → 131 : 링크바
→ 132 : 링크축
140 : 승강 장치
150 : 구동 장치
160 : 슬라이드 포크
170 : 이송 장치
T : 트레이
100 : Fork device → 101 : Guide rail
110: Body frame → 111: Vertical guide
→ 112 : Slider
120: Lifting fork → 121: Slide block
→ 122 : Fixed block
130: Scissors Link → 131: Link Bar
→ 132 : Link axis
140 : Elevator
150 : Drive Unit
160 : Slide fork
170 : Transport device
T: Tray

Claims (5)

시저스 구조를 이용하여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를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는 복층식 구조로 구비한 상태에서 하방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포크 장치(100);
상기 포크 장치(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과 연통하는 수직의 개방구가 형성되며, 개방구를 기준으로 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111)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수직 가이드(111)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록(121)을 이용하여 복층식 구조로 설치된 상태에서 시저스 링크부(130)에 연동하여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되는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
다수의 링크바(131)가 시저스 구조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는 시저스 링크부(130); 및,
상기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 상호 간의 거리 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특정의 링크바(131)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프팅 포크(120)의 하방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슬라이드 포크(160); 및,
상기 슬라이드 포크(160)가 들여오는 물품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이송하여 리프팅 포크(120)에 공급되게 하는 컨베이어 구조의 이송 장치(17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 장치(140)는 수직 가이드(111)를 따라 승강하는 수직 이동 모듈이 링크바(131)에 연결이 된 상태로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프팅 포크(120)의 말단부 측에는 다수의 고정용 블록(122)이 구비되어 물품의 이송 대상이 되는 트레이의 양측 말단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에 임시로 결합되거나 걸리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타입의 포크 장치.
A fork device (100)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guide rail (101) installed at the bottom while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are mutually adjustable in distance using a scissor structure;
The above fork device (100) is
A pair of main body frames (110) that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a hollow space is formed inside, a vertical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space is formed, and a pair of vertical guides (111) based on the opening space are provided;
A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that are installed in a double-layer structure using slide blocks (121) installed on a pair of vertical guides (111) and are linked to a scissor link (130)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m;
A scissor link section (130)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ink bars (131) form a scissor structure;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device (140) that lifts and lowers a specific link bar (131) that enables the distance between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lifting forks (120) to be adjusted;
A slide fork (160) provided in a form that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using a conveyor device installed below the lifting fork (12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veyor structured transport device (170) that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imported goods by the above slide fork (160) and supplies them to the lifting fork (120);
The above-mentioned lifting device (140) is configured to lift a vertical movement module that lifts along a vertical guide (111) while being connected to a link bar (131).
A spread type f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xing blocks (122) are provided at the end of the lifting fork (120) so as to be temporarily connected to or caught on a plurality of catches formed at the ends of both sides of a tray to which an article is to be transpor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프팅 포크(120)는,
서로 대칭이 되는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되며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한 쌍씩 짝을 이루어 물품을 리프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타입의 포크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ultiple lifting forks (120) are,
A spread-type f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lift an object in pairs,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and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in a state where it is configured in a symmetr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장치(100)가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타입의 포크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spread type f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device (150) that enables the fork device (10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guide rail (101).
삭제delete
KR1020240119841A 2024-09-04 2024-09-04 Spread type fork device Active KR102791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19841A KR102791902B1 (en) 2024-09-04 2024-09-04 Spread type for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19841A KR102791902B1 (en) 2024-09-04 2024-09-04 Spread type fork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91902B1 true KR102791902B1 (en) 2025-04-14

Family

ID=9547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19841A Active KR102791902B1 (en) 2024-09-04 2024-09-04 Spread type fork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91902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032A (en)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Stocker apparatus
KR101534301B1 (en) * 2014-04-29 2015-07-06 주식회사 시엔비 Rack master for stacker crane
CN210710584U (en) * 2019-06-28 2020-06-09 泉州市启盛机械制造有限公司 Infinitely variable automatic transport primary and secondary car upper plate elevating gear
CN112850578A (en) * 2021-01-20 2021-05-28 西安建筑科技大学 Hoisting, lifting and transporting mechanism and cargo transporting method
KR102270328B1 (en) 2019-08-13 2021-06-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Stacker crane
KR20210111819A (en) * 2019-02-01 2021-09-13 하이 로보틱스 씨오., 엘티디. handling robot
CN218320587U (en) * 2022-08-02 2023-01-17 三原天诚机械设备制造厂 Material conveying vehicle for machining
KR102615038B1 (en) 2023-07-06 2023-12-19 (주)코윈테크 Cantilever type stacker crane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032A (en)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Stocker apparatus
KR101534301B1 (en) * 2014-04-29 2015-07-06 주식회사 시엔비 Rack master for stacker crane
KR20210111819A (en) * 2019-02-01 2021-09-13 하이 로보틱스 씨오., 엘티디. handling robot
CN210710584U (en) * 2019-06-28 2020-06-09 泉州市启盛机械制造有限公司 Infinitely variable automatic transport primary and secondary car upper plate elevating gear
KR102270328B1 (en) 2019-08-13 2021-06-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Stacker crane
CN112850578A (en) * 2021-01-20 2021-05-28 西安建筑科技大学 Hoisting, lifting and transporting mechanism and cargo transporting method
CN218320587U (en) * 2022-08-02 2023-01-17 三原天诚机械设备制造厂 Material conveying vehicle for machining
KR102615038B1 (en) 2023-07-06 2023-12-19 (주)코윈테크 Cantilever type stacker cran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7217B (en) Article carrying apparatus
WO2010084542A1 (en) Automated warehouse
TWI631060B (en) Container lifting handling device
US9249001B2 (en) Universal load-lifting means for the palletless handling of goods to be loaded onto pallets
KR102401195B1 (en)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KR102409175B1 (en)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KR102401184B1 (en)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KR200462222Y1 (en) Stacker crane mounting rack type arm fork
KR102401187B1 (en)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KR102791902B1 (en) Spread type fork device
JP2897619B2 (en) Automatic warehouse
KR102791892B1 (en) Slide type fork device
JP7488029B2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
KR102591217B1 (en) Carrier wagon with lift table
JP2019210152A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KR102791927B1 (en) Individually operable multi-level fork device
JP7293723B2 (en) stacker crane
JP4618513B2 (en) Picking-type goods storage equipment
JPH0558407A (en) Picking robot
CN216188157U (en) Automatic stereoscopic warehouse
JP2019135185A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JPS61178305A (en) Supply system for plate piece
JP2003002406A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warehouse having three-way stacker crane
JPH0556810U (en) Entry / Exit conveyor of automated wa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9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