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5450B1 -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5450B1 KR102755450B1 KR1020240064514A KR20240064514A KR102755450B1 KR 102755450 B1 KR102755450 B1 KR 102755450B1 KR 1020240064514 A KR1020240064514 A KR 1020240064514A KR 20240064514 A KR20240064514 A KR 20240064514A KR 102755450 B1 KR102755450 B1 KR 1027554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all panels
- wall panel
- edge
- c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18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491 Corchorus aestu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777 Corchorus aestu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862 Corchorus capsul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되어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는 복수의 옹벽 패널; 및 상기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부면에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이 결합되며, 측부면에 다른 지지 구조물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erected in a front area of a slope by being joined with other retaining wall panels; and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which are located on the ground in the front area and have a lower edge of the lowest retaining wall panel positioned at the bottom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joined to an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lowest retaining wall panel,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joined to a side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옹벽 패널이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를 통해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된 상태로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고, 복수의 옹벽 패널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 간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 간을 체결시키며, 수직 보강 파일에 의해 고정된 지지 구조물이 세워진 복수의 옹벽 패널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비탈면 전방 영역에 견고한 벽을 건설할 수 있는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ly vegetated cut earth retaining wall, and more specifically, to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ly vegetated cut earth retaining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re erected in a front area of a slope in a state of being joined to other retaining wall panels through joining grooves or joining projections formed on edges thereof, fastening members are inserted between joining grooves formed at edges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 join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gether, and a supporting structure fixed by vertical reinforcing piles supports the erected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from below, thereby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a sturdy wall in the front area of a slope.
옹벽이란, 배면의 토압에 저항하여 배면의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벽체 구조물을 말한다. 옹벽은 일반적으로 그 구조 및 형태에 따라 크게 중력식 옹벽, 반중력식 옹벽, 역T형 옹벽, L형 옹벽, 부벽식 옹벽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외에 특수한 형식으로 보강토 옹벽, 패널식 옹벽 등이 알려져 있다.A retaining wall is a wall structure installed to resist the soil pressure on the back surface and prevent the back soil from collapsing. Retaining walls can generally be broadly classified into gravity retaining walls, anti-gravity retaining walls,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s, L-shaped retaining walls, and buttress-type retaining walls based on their structure and form. In addition, special types such as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and panel-type retaining walls are known.
보강토 옹벽은 보강재를 흙 속에 포설하거나 삽입하여 지반을 보강하여 흙과 보강재의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절토 또는 성토 사면 토체 전체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높이는 옹벽이다.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a retaining wall that reinforces the ground by placing or inserting reinforcing materials into the soil, thereby causing interaction between the soil and the reinforcing materials,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and stability of the entire soil body of a cut or fill slope.
패널식 옹벽은, 절토부 내부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네일, 어스 앵커 등의 앵커체로 보강하고 각 앵커체에서 연장되는 패널 연결재에 옹벽 패널을 결합하면서 다수의 옹벽 패널을 상하좌우로 설치하여 전면벽체를 형성한 후, 전면벽체와 절토부 사이에 뒤채움재를 채우고 패널 연결재를 긴장시켜 뒤채움재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수평토압에 저항하도록 하는 옹벽이다.A panel retaining wall is a retaining wall that is formed by reinforcing the inside of a cut section with anchors such as nails and earth ancho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connecting the retaining wall panels to panel connectors extending from each anchor body, installing a number of retaining wall panels up, down, left, and right to form a front wall, then filling backfill material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cut section, tensioning the panel connectors to apply pressure to the backfill material, and thereby resisting horizontal earth pressure.
이러한, 패널식 옹벽이 수평토압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 뿐만 아니라 수직압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For these panel-type retaining walls, technology is required for structures that can resist not only horizontal earth pressure but also vertical pressure.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옹벽 패널이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를 통해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된 상태로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고, 복수의 옹벽 패널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 간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 간을 체결시키며, 수직 보강 파일에 의해 고정된 지지 구조물을 통해 세워진 복수의 옹벽 패널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복수의 옹벽 패널 하부에서의 지지력 및 파괴활동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비탈면 전방 영역에 견고한 벽을 건설할 수 있는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ly vegetated cut-soil retaining wall, which is erected in a front area of a slope while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re connected to other retaining wall panels through connecting grooves or connecting projections formed on edges, fastening members are inserted between connecting grooves formed at edges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nd the erected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re supported from below through a supporting structure fixed by vertical reinforcing piles, thereby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and resistance to destruction activity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hereby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a solid wall in the front area of a slop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한 두 옹벽 패널 사이에 형성된 식생낭 수용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낭이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식물 생장이 어려운 절토부옹벽의 전면을 녹화시켜, 절토부옹벽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주변 지역과 최대한 유사하게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복원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ly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which improves the appearance of the cut retaining wall by installing a vegetation bag with plants planted on it into a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retaining wall panels, thereby green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cut retaining wall where plants have difficulty growing, thereby restoring it to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that is as similar as possible to the surrounding area, thereby minimizing the sense of incongruity with respect to th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되어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는 복수의 옹벽 패널; 및 상기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부면에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이 결합되며, 측부면에 다른 지지 구조물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erected in a front area of a slope by being joined with other retaining wall panels; and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which are located on the ground in the front area and have a lower edge of the lowest retaining wall panel positioned at the bottom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joined to an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lowest retaining wall panel,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joined to a side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일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이 위치한 지면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 각각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은 상기 수직 보강 파일이 삽입되도록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수직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iles,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und where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are located and the other end of which penetrates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may have vertical joining holes formed there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vertical reinforcing piles are inserted.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은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may have support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to which lower join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lowermost retaining wall panel are inserted.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제1 측부 테두리에 함입된 측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측부 결합돌기가 제2 측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may have a side join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side edge so that a side joining projection formed in the second side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joined to the first side edge among the two side edges may be inserted, and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may have a side joining projection formed in the first side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joined to the second side edge among the two side edges protruding from the second side edge.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상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 구조물의 상부면에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돌기가 하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may have upper joining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be inserted into lower join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lower edges of other retaining wall panels to be joined to the upper edges, and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may have lower joining projections formed protruding from the lower edges to be inserted into upper joining grooves formed on the upper edges of other retaining wall panels to be joined to the lower edges or support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upporting structures to be joined to the lower edges.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상부 테두리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함입된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하부 테두리와 접하는 하부 모서리에 함입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1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1 측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2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2 측부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may have an upper fasten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edge of the rear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dge, a lower fastening groove formed in a lower edge of the rear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dge, a first side fastening groove formed in a first side edge of the rear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edge, and a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formed in a second side edge of the rear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edge.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상부 체결홈과 제2 옹벽 패널의 하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2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체결홈과 제3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3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체결홈과 제4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4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which are inserted into an upper fastening groove of a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a lower fastening groove of a second retaining wall panel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 fasten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panel, or which are inserted into a first side fastening groove of a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a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of a third retaining wall panel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 fasten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the third retaining wall panel, or which are inserted into a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of a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a first side fastening groove of a fourth retaining wall panel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 fasten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the fourth retaining wall panel.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일단이 상기 비탈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복수의 옹벽 패널의 내측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수평 보강 파일이 삽입되도록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수평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piles,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lope face and the other end of which penetrates the inside of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wherein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may have horizontal joining holes formed therein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piles are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내측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일단 외에 중단이 절개면과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사이에 채워지는 뒤채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며, 타단이 절개면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배수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channel having a water-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thereof,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an upper surface of a retaining wall panel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an upper surface of a backfill material filled between a cut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an upper surface of the cut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옹벽 패널이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를 통해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된 상태로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고, 복수의 옹벽 패널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 간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 간을 체결시키며, 수직 보강 파일에 의해 고정된 지지 구조물을 통해 세워진 복수의 옹벽 패널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복수의 옹벽 패널 하부에서의 지지력 및 파괴활동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비탈면 전방 영역에 견고한 벽을 건설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re erected in a front area of a slope while being joined to other retaining wall panels through joining grooves or joining projections formed on edges thereof, fastening members are inserted between joining grooves formed at edges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 join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gether, and the erected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re supported from below by a supporting structure fixed by vertical reinforcing piles, thereby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and resistance to a fracture activity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hereby allowing the construction of a solid wall in the front area of the slop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웃한 두 옹벽 패널 사이에 형성된 식생낭 수용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낭이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식물 생장이 어려운 절토부옹벽의 전면을 녹화시켜, 절토부옹벽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주변 지역과 최대한 유사하게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복원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nd installing a vegetation bag with plants in it into a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retaining wall panels, the entire surface of the cut retaining wall, where plants have difficulty growing, is greened,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cut retaining wall and minimizing the sense of incongruity with the concrete structure by restoring it to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that is as similar as possible to the surrounding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이 설치된 일 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상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이 결합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지지 구조물의 상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이 설치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설치된 식생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식생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배수로가 설치된 제1 예 내지 제3 예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n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with horizontal reinforcement and vertical reinforcement instal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upper edge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lower edge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illustrating a first side edge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econd side edge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combin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rawing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of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structure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top view of a supporting structure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in which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vegetation bag installed o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getation bag is install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5 to 1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rst to third examples in which a drainage channel is install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작동,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s "have", "may have", "include", or "may include" indicate the presence of a feature (e.g., a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but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or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can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can all refer to cases where (1) at least one A is included, (2) at least one B is included, or (3) both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are included.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주문자 기기와 제2 주문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주문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this document can describe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but do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orderer device and the second orderer device can represent different order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is document, the first component can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an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it is stated that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or can be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Conversely, when it is stated that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directly coupled to"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exists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as used herein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to"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that which is "specifically designed to" in terms of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can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doing something together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 some cases, even if a term is defined in this document, i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이 설치된 일 예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n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with horizontal reinforcement and vertical reinforcement instal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130) 및 복수의 체결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iles (13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40).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상호 결합된 상태로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기립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panels (110) can be erected in a mutually connected state in the front area of the slope.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테두리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can be joined to each other by forming grooves or protrusions on the edges.
이러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테두리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grooves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edges of these multiple retaining wall panels (110)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비탈면의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상호 결합된 상태로 기립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are positioned on the ground in the front area of the slope and can support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standing up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below.
이를 위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상부면에 홈이 형성되어 옹벽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can have grooves formed on their upper surfaces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panels (110).
이러한,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se multiple support structures (12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130)은 일부가 비탈명의 전방 영역의 지면 내측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가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대한 수직 보강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iles (130) may be inserted, some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inside the front area of the slope, and the remaining parts may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to perform vertical reinforcement for the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에는 수직 보강 파일(130)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holes into which vertical reinforcing piles (130) can be inserted can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이러한,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에 형성된 홀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holes formed in these multiple support structures (12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복수의 체결 부재(140)는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110) 간을 체결시킬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40) can be inserted into grooves formed on the rear surfaces of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to fasten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의 모서리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grooves may b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rea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이러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홈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grooves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rear surfaces of these multiple retaining wall panels (11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상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이 결합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to-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to-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upper edge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to-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a lower edge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to-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illustrating a first side edge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to-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a first side edge of a retaining wall panel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to-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illustrating a second side edge of an included retaining wall panel, FIG. 8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mbin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of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rawing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combin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of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옹벽 패널(110)과 결합되어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9,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can be combined with other retaining wall panels (110) to form a front area of a slope.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돌기(112)가 삽입되도록 제1 측부 테두리에 함입된 측부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be formed with a side joining groove (111) embedded in the first side edge so that a side joining projection (112) formed on the second side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joined to the first side edge among the two side edges is inserted.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홈(111)에 삽입되는 측부 결합돌기(112)가 제2 측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have a side joining projection (11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ide edge and inserted into a side joining groove (111) formed on the first side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that is joined to the second side edge among the two side edges.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측부 결합홈(111)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측부 결합돌기(112)가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이 좌우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de joining projection (112)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is inserted into the side joining groove (111) of the 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so that the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can be joi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110)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114)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상부 결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be formed with an upper joining groove (113) recessed into the upper surface so that a lower joining projection (114) formed on the lower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joined to the upper edge is inserted.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11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상부 결합홈(113) 또는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지지 구조물(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지지홈(121)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돌기(114)가 하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have a lower joining projection (114)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edge, which is inserted into an upper joining groove (113) formed on the upper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that is joined to the lower edge, or a supporting groove (1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supporting structure (120) that is joined to the lower edge.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결합홈(113)에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결합돌기(114)가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er joining projection (114)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joining groove (113)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so that the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can be jo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를 통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이 큰 벽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rough this, multiple retaining wall panels (110) can be interconnected to form a large wall.
이러한 결합은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결합 해제되는 상태일 수 있다.These bonds can be broken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bonding direction.
이에 따라, 상호 결합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이 결합 해제되지 않도록 복수의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키는 구조 및 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Accordingly, a structure and configuration may be required to faste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so that the multiple retaining wall panels (110) are not detached from each other.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상부 테두리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함입된 상부 체결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be formed with an upper fastening groove (115) recessed into an upper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dge among the edges of the rear surface.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하부 테두리와 접하는 하부 모서리에 함입된 하부 체결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have a lower fastening groove (116) formed in a lower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dge among the edges of the rear surface.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1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1 측부 체결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have a first side fastening groove (117) formed in a first side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edge among the edges of the rear surface.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2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2 측부 체결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have a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118) formed in a second side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edge among the rear edges.
이때,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체결홈(115)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체결홈(116)과 연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fastening groove (115)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fastening groove (116)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또한,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체결홈(116)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허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체결홈(115)과 연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wer fastening groove (116)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115)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또한,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체결홈(117)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체결홈(118)과 연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ide fastening groove (117)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118)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located on the first side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또한,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체결홈(118)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체결홈(117)과 연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118)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ide fastening groove (117)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located on the second side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이때, 복수의 체결부재는 서로 연통된 상부 체결홈(115)과 하부 체결홈(116)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multiple fastening members can be inserted into upper fastening grooves (115) and lower fastening grooves (116)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asten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구체적으로, 복수의 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체결홈(115)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체결홈(116)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can be inserted into an upper fastening groove (115)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and a lower fastening groove (116)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to fasten the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또한, 복수의 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체결홈(116)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허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체결홈(115)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can be inserted into a lower fastening groove (116)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and an upper fastening groove (115)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to fasten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한편, 복수의 체결부재는 서로 연통된 제1 측부 체결홈(117)과 제2 측부 체결홈(118)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fastening groove (117) and the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118)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asten the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구체적으로, 복수의 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체결홈(117)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체결홈(118)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can be inserted into a first side fastening groove (117)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and a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118)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located at the first side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to fasten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또한, 복수의 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체결홈(118)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체결홈(117)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can be inserted into a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118)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and a first side fastening groove (117)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located at the second side of one retaining wall panel (110) to fasten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이러한, 복수의 체결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 앵커일 수 있으며, 볼트와 너트를 통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These multiple fastening members may be metal anchors with a cross-section formed in the shape of the letter “ㄷ”, and may fasten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using bolts and nuts.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형상으로 동일한 수직 선상과 동일한 수평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can be mutually joined to be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nd the same horizontal line in a checkerboard shape, as shown in FIG. 8.
이와 다르게,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열 간의 옹벽 패널(110)이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staggering the retaining wall panels (110) between adjacent rows, as illustrated in FIG. 9.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전면에는 장식 패널이 부착될 수 있다. 장식 패널은 토사 형상, 식물 형상의 무늬가 형성된 패널일 수 있다.Meanwhile, a decorative panel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The decorative panel may be a panel having a soil-like or plant-like pattern formed thereon.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수평 보강 파일(150)이 삽입되도록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수평 결합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be formed with horizontal joining holes (119) extend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horizontal reinforcing piles (150) can be inserted.
이러한, 수평 결합홀(119)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se horizontal joining holes (119)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과 비탈면 사이의 후방 영역에는 지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토압에 대해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ar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nd the slope face can be configured to resist earth pressure by pouring supporting concrete.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이 상술된 결합홈, 결합돌기, 체결홈 등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체결된 상태가 되면, 어느 두 옹벽 패널(110) 사이에 전면부터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식생낭 수용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grooves, connecting projections, fastening grooves, etc., a vegetation sac receiving hole (160) penetrat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can be formed between any two retaining wall panels (110).
구체적으로,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테두리 중 일부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테두리 중 일부가 상호 접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테두리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edge of one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nd a portion of the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110) adjacent to one of the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so that they do not contact each other but are spaced apart.
이에 따라,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은 식생낭 수용홀(160)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areas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can be connected by the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160).
이러한, 식생낭 수용홀(160)에는 후술되는 식생낭(170)이 삽입되어 수용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에 식생낭(17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160), a vegetation bag (170)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received so that the vegetation bag (170) can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이러한, 식생낭(17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is vegetation bag (17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지지 구조물의 상부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structure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top view of a supporting structure includ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더 참조하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비탈면의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옹벽 패널(110)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부면에 최하단 옹벽 패널(110)이 결합되며, 측부면에 다른 지지 구조물(120)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S. 10 and 11,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are positioned on the ground in the front area of the slope, and the lowermost retaining wall panel (110)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lowermost retaining wall panel (110) positioned at the bottom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120) may be joined to the side surface.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최하단 옹벽 패널(110)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114)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지지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may have a support groove (1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to which a lower connecting projection (114)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lowermost retaining wall panel (110) is inserted.
또한,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수직 보강 파일(130)이 삽입되도록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수직 결합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may be formed with vertical joining holes (122) that penetr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vertical reinforcing piles (130) can be inserted.
이때,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130)은 일단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이 위치한 지면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 각각에 관통되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iles (130) have one end inserted into the ground where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are located,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so that they can be combin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한편,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지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지면에 타설되어 굳혀진 지지 콘크리트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may be located on the ground, but may also be located on top of support concrete that has been poured into the ground and harden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이 설치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in which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130) 및 복수의 체결 부재(140) 외에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ly reinforced piles (150) in addition to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120), a plurality of vertically reinforced piles (13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40).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150)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 각각에 삽입되어 수평 토압에 옹벽이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piles (150)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to configure the retaining wall to resist horizontal earth pressure.
구체적으로,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150)은 일단이 비탈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내측에 관통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11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piles (15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by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lope and the other end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수평 보강 파일(150)이 삽입되도록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수평 결합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may be formed with horizontal joining holes (119) extend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horizontal reinforcing piles (150) can be inserted.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수직 보강 파일(130)에 의한 수직 보강 뿐만 아니라 수평 보강 파일(150)에 의한 수평 보강을 통해 비탈면의 토압으로부터 더욱 강하게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resist more strongly from the earth pressure of the slope surface through not only vertical reinforcement by the vertical reinforcement pile (130) but also horizontal reinforcement by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ile (150).
한편,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150)은 철근, 강봉,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강연선 및 강관 중 하나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piles (150) may be formed of one of reinforcing bars, steel bars,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steel wires, and steel pipes.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설치된 식생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식생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vegetation bag install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ly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getation bag is install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ly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및 도 1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는 복수의 식생낭(170)이 설치될 수 있다.이러한, 복수의 식생낭(170)은 내측에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옹벽 패널(110)의 사이에 형성된 식생낭 수용홀(160)에 삽입된 후 걸려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S. 13 and 14, a plurality of vegetation bags (170) may be install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ly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plurality of vegetation bags (170) have a space formed inside where plants can be accommodated, and are inserted into vegetation bag accommodation holes (160) formed between adjacent retaining wall panels (110) and hung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ly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식생낭(170)은 다양한 형상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식생낭(170)은 단면이 원인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황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Such a vegetation bag (17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for example, the vegetation bag (170) can be formed in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 circular pouch, and can be formed of a jute material.
이에 따라, 식생낭(170)의 내측 수용 공간에는 식물과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토양이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ner space of the vegetation bag (170) can accommodate plants and planting soil i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한편, 식생낭(170)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식생낭 수용홀(160)에 삽입되어 식생낭 수용홀(160) 내측에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vegetation bag (170) can be inserted into the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160)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panel (110) and installed by being received inside the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160).
이에 따라, 식생낭(17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식물이 생장하여 자라나면 수용 공간 외측 및 식생낭 수용홀(160)을 통과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전면을 향해 뻗어 나갈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plant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bag (170) grows and grows, it can pass through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160) and extend toward the front of the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통해, 이웃한 두 옹벽 패널 사이에 형성된 식생낭 수용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낭이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식물 생장이 어려운 절토부옹벽의 전면을 녹화시켜, 절토부옹벽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주변 지역과 최대한 유사하게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복원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by inserting and installing a vegetation bag with plants into the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retaining wall panels, the entire surface of the cut retaining wall, where plants have difficulty growing, is greene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cut retaining wall and minimizing the sense of alienation from the concrete structure by restoring it to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that is as similar as possible to the surrounding area.
도 15 내지 도 1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배수로가 설치된 제1 예 내지 제3 예의 단면도이다.FIGS. 15 to 1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rst to third examples in which a drainage channel is installed in 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수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horizontally reinforced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channel (180)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a retaining wall panel (110)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amo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구체적으로, 배수로(180)는 내측에 물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이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110)의 상부로부터 지지되고, 일단 외에 중단이 절개면과 복수의 옹벽 패널(110) 사이에 채워지는 뒤채움재의 상부로부터 지지되며, 타단이 절개면의 상부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ain (180) has a space formed on the inside to accommodate water, one end is supported from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panel (110) located at the top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nd in addition to one e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from the top of the backfill material filled between the cut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nd the other end can be supported from the top of the cut surface.
여기서, 뒤채움재는 뒤채움용 토사, 뒤채움용 자갈, 뒤채움용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backfill material may be one or more of backfill soil, backfill gravel, and backfill concrete, and the type thereof may not be limited.
구체적으로, 배수로(180)는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를 시작으로 뒤채움재의 상부 및 절개면의 상부를 덮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면과 수직하게 세워지는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ain (180) may be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covering the top of the backfill and the top of the cut surface starting from the top of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and side wall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from the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즉, 배수로(180)는 바닥면과 측벽에 의해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drain (180) can have a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s.
이에 따라, 배수로(180)는 뒤채움재로 유입되는 지표수 및 유입수가 미배출시 흙의 전단강도 저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붕괴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ain (180) can prevent collapse and loss that may occur due to a decrease in the shear strength of the soil when surface water and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backfill are not discharged.
또한, 배수로(180)는 각각의 절토부옹벽 상단에 설치되어 깎기비탈면 또는 굴착지반이 침식되거나 활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산마루측구와 다른 배수로 연결하여 절토부옹벽 측면으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절개면과 뒷채움재의 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 drainage channel (180) is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cut retaining wall to prevent the cut slope or excavated ground from being eroded or moved, and is connected to a ridge ditch and another drainage channel to drain to the side of the cut retaining wall, thereby minimizing water inflow into the cut surface and backfill.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상술된 수용 공간의 바닥면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타단에서 일단을 향할수록 즉,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110)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수용 공간의 바닥면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ainage channel (1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formed so that the floo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described above is inclined. Specifically, the drainage channel (1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formed so that the floo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is inclined so that the height decreases as it go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at is, as it gets closer to the uppermost retaining wall panel (110)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즉,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의 측벽 중에서 옹벽 패널(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측벽은 절개면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측벽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mong the side walls of the drain (1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ide wall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taining wall panel (110)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second side wall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t surface.
이에 따라,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수용 공간의 수용량을 초과하는 물이 수용되더라도 뒤치움재 및 절개면이 아닌 복수의 옹벽 패널(110)을 향해 물이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절개면과 뒤채움재로의 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ain (1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an minimize water inflow into the cut surface and backfill by allowing water to drain toward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rather than the backfill and cut surface even if water exceeds the capacity of the receiving space.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측벽 중에서 상술된 제1 측벽의 상부면에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임 형성된 배수홈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a drainage channel (1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drainage groove may b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described above among the side walls.
이때, 배수홈은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옹벽 패널(110)이 접하는 경계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제1 측벽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ainag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boundary surface where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positioned below come into contact.
즉, 배수홈을 지나는 수직선상에는 복수의 옹벽 패널(110) 간의 경계면이 위치될 수 있다. That is, a boundary surface between multiple retaining wall panels (110) can be located on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groove.
이에 따라,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수용 공간의 수용량을 초과하는 물이 수용되는 경우, 배수홈을 통해 물이 유출되고, 유출된 물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중앙에 형성된 수평 결합홀(119)이 아닌 식생낭 수용홀(160)을 향하는 방향으로 추락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case where the drainage ditch (1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ceives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receiving space, the water flows out through the drainage groove, and the flowed out water falls in the direction of the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160) rather than the horizontal joining hole (119)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이로 인해, 배수홈을 넘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전면으로 유실된 물이 수평 결합홀(119)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생낭 수용홀(160)로 식생낭(170)에 식재된 식물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Due to this, water lost to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110) beyond the drainage groove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horizontal joining hole (119), an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bag (170) through the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16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not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10: 패널 옹벽
120: 지지 구조물 및 기초 블록
130: 수직 보강 파일
140: 체결 부재
150: 수평 보강 파일
160: 식생낭 수용홀
170: 식생낭
180: 배수로110: Panel retaining wall
120: Supporting structures and foundation blocks
130: Vertical reinforcing pile
140: Absence of a contract
150: Horizontal reinforcing pile
160: Vegetation bag storage hall
170: Vegetation Bag
180: drain
Claims (8)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되어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는 복수의 옹벽 패널; 및
상기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부면에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이 결합되며, 측부면에 다른 지지 구조물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일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이 위치한 지면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 각각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은,
상기 수직 보강 파일이 삽입되도록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수직 결합홀 및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제1 측부 테두리에 함입된 측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측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측부 결합돌기가 제2 측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상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 구조물의 상부면에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돌기가 하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상부 테두리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함입된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하부 테두리와 접하는 하부 모서리에 함입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1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1 측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2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2 측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상부 체결홈과 제2 옹벽 패널의 하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2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체결홈과 제3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3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체결홈과 제4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4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일단이 상기 비탈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의 내측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수평 보강 파일이 삽입되도록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수평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내측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일단 외에 중단이 절개면과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사이에 채워지는 뒤채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며, 타단이 절개면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배수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측벽;
상기 절개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측벽; 및
상기 절개면의 상부를 덮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제1 측벽의 높이가 상기 제2 측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수용량을 초과하는 물이 수용될 경우, 상기 물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을 향해 배수되고,
상기 배수로는,
타단에서 일단을 향할수록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옹벽 패널에 가까워지도록 높이가 낮아지게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이 기울어지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제1 측벽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수홈이 함입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은,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이 접하는 경계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측벽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 사이에 전면부터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식생낭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낭 수용홀은,
식물과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토양이 수용된 식생낭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하부 결합돌기 및 상기 측부 결합돌기 각각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상부 결합홈 및 상기 측부 결합홈 각각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하부 결합돌기 및 상기 측부 결합돌기 각각이 이웃하는 옹벽 패널의 상기 상부 결합홈 및 상기 측부 결합홈에 삽입되어 외력이 인가되어도 미끄러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In the case of a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erected in the front area of the slope by being joined with other retaining wall panels; and
A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which are positioned on the ground in the front area and have a lower edge of the lowest retaining wall panel, which is positioned at the bottom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joined to the side surface thereof;
The ab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is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piles,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und where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are located, and the other end of which penetrates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structures;
The above multiple support structures are,
A vertical joint hole that penetr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above vertical reinforcing pile can be inserted; and
A support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a lower joining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lowermost retaining wall panel is inserted,
The abov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 side join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side edge so that a side joining projection formed in the second side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that is joined to the first side edge among the two side edges is inserted,
The abov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 side joining projec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side joining groove formed on the first side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that is joined to the second side edge among the two side edges,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second side edge,
The abov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n upper join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allow a lower joining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to be joined to the upper edge to be inserted,
The abov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 lower joining projection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lower edge and inserted into the upper join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edge of another retaining wall panel joined to the lower edge or the suppor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structure joined to the lower edge,
The abov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n upper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corn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dge among the corners of the rear side,
A lower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edge of the rear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dge,
A first side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a first side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edge among the corners of the rear surface,
A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side edg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edge among the corners of the rear side,
The ab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is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is inserted in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the lower fastening groove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panel to fasten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panel, or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fastening groove of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the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of the third retaining wall panel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 fasten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the third retaining wall panel, or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that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side fastening groove of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the first side fastening groove of the fourth retaining wall panel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o fasten the first retaining wall panel and the fourth retaining wall panel,
The ab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is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piles,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lope and the other end of which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he above multiple retaining wall panels
A horizontal join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rear to the front direction so that the above horizontal reinforcing pile can be inserted,
The ab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ion cut retaining wall is
A drainage channel is further provided, wherein a space for containing water is formed on the inside,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a retaining wall panel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nd an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a backfill material filled between the cut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ut surface;
In the above drain,
A first side wall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 second side wall positioned above the above cut surface; and
Including a bottom surface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above cut surface;
In the above drain,
When the height of the first side wall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side wall and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receiving space is received, the water is drained toward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In the above drain,
The floo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is inclined so that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uppermost retaining wall panel as it faces from one end to the other.
In the above drain,
A drainage groove is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toward the bottom,
The above drainage groove is,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positioned at the bottom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interface surface where they come into contact,
The abov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A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retaining wall panels,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above-mentioned vegetation bag receiving hole is,
A planting bag containing plants and planting soil is installed,
The abov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he lower connecting protrusion and the side connecting protrusion are each formed in multiples,
The abov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he upper coupling groove and the side coupling groove are each formed in multiples,
The abov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panels,
The lower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ide coupling protrusion are each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and the side coupling groove of the neighboring retaining wall panel, so that they do not slip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l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64514A KR102755450B1 (en) | 2024-05-17 | 2024-05-17 |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64514A KR102755450B1 (en) | 2024-05-17 | 2024-05-17 |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55450B1 true KR102755450B1 (en) | 2025-01-21 |
Family
ID=9438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64514A Active KR102755450B1 (en) | 2024-05-17 | 2024-05-17 |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5450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3166Y1 (en) * | 2005-09-07 | 2005-12-09 | 제일산업 주식회사 | Lock-stone vegetation block and side wall structure using the said |
KR101250499B1 (en) * | 2012-01-10 | 2013-04-08 | 주식회사 레스콘 | Block assembly for planting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50098535A (en) * | 2014-02-20 | 2015-08-28 | 윤병엽 | a prefabricated retaining block and all its adjuncts for assembling the block. |
KR101957263B1 (en) * | 2018-07-10 | 2019-03-13 | 곽근우 | Retaining wal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019480B1 (en) * | 2018-12-31 | 2019-09-09 |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 Pane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wivel coupler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
KR102343724B1 (en) * | 2021-10-26 | 2021-12-28 | 주식회사 대흥이앤씨 | Panel structur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
KR102621973B1 (en) | 2023-05-08 | 2024-01-09 | 윤강훈 | Apparatus for connecting retaining wall panel, panel-typ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panel-type retaining wall |
-
2024
- 2024-05-17 KR KR1020240064514A patent/KR1027554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3166Y1 (en) * | 2005-09-07 | 2005-12-09 | 제일산업 주식회사 | Lock-stone vegetation block and side wall structure using the said |
KR101250499B1 (en) * | 2012-01-10 | 2013-04-08 | 주식회사 레스콘 | Block assembly for planting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50098535A (en) * | 2014-02-20 | 2015-08-28 | 윤병엽 | a prefabricated retaining block and all its adjuncts for assembling the block. |
KR101957263B1 (en) * | 2018-07-10 | 2019-03-13 | 곽근우 | Retaining wal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019480B1 (en) * | 2018-12-31 | 2019-09-09 |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 Pane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wivel coupler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
KR102343724B1 (en) * | 2021-10-26 | 2021-12-28 | 주식회사 대흥이앤씨 | Panel structur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
KR102621973B1 (en) | 2023-05-08 | 2024-01-09 | 윤강훈 | Apparatus for connecting retaining wall panel, panel-typ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panel-type retaining wa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17676B2 (en) | Module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mponents | |
JP2016515173A (en) |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 |
KR101103142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652163B1 (en) | Concrerte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JP2009097176A (en) | Bank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77949B1 (en) | Block for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843023B1 (en) | Shear connector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file and building oute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 |
KR102395328B1 (en) | Embank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panel | |
JP6632028B2 (en) | Concrete assembly retaining wall | |
KR101077348B1 (en)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755450B1 (en) |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 |
JP6860895B2 (en) |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742335B1 (en) | Landscaping using natural stone cu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4888293B2 (en) | Earth retaining wall made of parent pile sheet pile, water stop structure of earth retaining wall made of parent pile side sheet pile,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made of parent pile side sheet pile, and retaining wall of earth retaining wall made of parent pile side sheet pile Water method | |
KR100758601B1 (en) | Gusset Retaining Wall Block | |
KR100794221B1 (en) | Eco-friendly vegetation retaining wall | |
KR101265079B1 (en) |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 |
KR102116085B1 (en) | A Eco-friendly retain wall structure | |
KR20060026098A (en) |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 |
JP5800765B2 (en) | Rock fall prevention structure | |
KR101328027B1 (en) | Cutting the ground area breast wall and slant safe-guard structure | |
KR101716895B1 (en) |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 |
US20090110491A1 (en) |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 |
KR200448481Y1 (en) | Plantable cut slope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2484636B1 (en) | Retain wall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5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5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