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49090B1 -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 필터 - Google Patents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 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49090B1 KR102749090B1 KR1020210162945A KR20210162945A KR102749090B1 KR 102749090 B1 KR102749090 B1 KR 102749090B1 KR 1020210162945 A KR1020210162945 A KR 1020210162945A KR 20210162945 A KR20210162945 A KR 20210162945A KR 102749090 B1 KR102749090 B1 KR 1027490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on exchange
- exchange resin
- filter
- multilayer
- partic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group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57 an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29 cat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60 car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8 spheric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group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11 chem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LHKCFNBLRBOGN-UHFFFAOYSA-N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Chemical compound COCC(C)OC(C)=O LLHKCFNBLRBOG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42 sulfon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16—Bicomponent or multicomponent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41—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fibres or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07—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comprising particulate additives, e.g. adsorb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14—Surface modifiers, e.g. comprising ion exchange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5—Deodorising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64—Impregn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01D2239/0492—Surface coating material on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54—Support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68—The layers being joined by heat or melt-bon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이온교환수지, 이온교환수지 입자 또는 활성탄 입자 등을 포함하는 부직포로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반도체 제조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가스(VOC), 극성 가스 등 유해가스 및 초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유해공기 정화용으로 유용한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상과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또는 활성탄 입자 등을 포함하는 부직포로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반도체 제조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가스(VOC), 극성 가스 등 유해가스 및 초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유해공기 정화용으로 유용한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산업 또는 일반 산업분야 등이나 공공장소, 특히 대기오염에 노출되어 있는 산업 현장으로부터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여러 기능성이 부여된 케미컬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 예로서, 반도체 산업 또는 일반산업 분야나 대기 오염물질은 입자상 분진과 가스상 물질로 분류되고 가스상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활성탄, 첨착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등을 사용한 케미컬 필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케미컬 필터는 활성탄, 첨착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등과 같은 흡착소재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손실이 커서 유속 감소율이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기오염에 노출된 장소로부터 유해가스 제거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케미컬 필터로는 V형, 평판형, tray 형태 등의 케미컬 필터가 있다. V형, 평판형, tray 형태와 같은 형태의 케미컬 필터는 투입되는 활성탄, 첨착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등의 흡착소재가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고농도의 가스 포집에 유리하며 유해가스 포집량이 많아지는 장점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케미컬 필터는 유해가스 포집량이 많은 대신에 과량의 흡착 소재의 투입으로 인해 압력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이온교환 섬유 부직포는 저 농도의 가스 포집에 유리하고, 압력손실이 적게 걸리고, 무게가 가볍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가스 포집량이 활성탄, 첨착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등을 이용한 에어 필터에 비해 낮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들은 압력손실을 최소화해야 하는 산업 공정에서는 유지 비용이 높고 유해가스 포집 효율이 낮은 이온교환수지, 활성탄 형태의 에어필터 또는 이온교환 섬유 부직포의 적용이 불가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상용화된 필터로서 입자형 필터와 섬유형 필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필터가 있는데, 이러한 복합필터는 주로 활성탄, 첨착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등의 흡착 소재를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섬유형 필터 내에 내장시켜서 사용하고 있는데, 예컨대 흡착소재 입자들을 부착시키는 방법, 흡착소재 입자를 부직포 사이에 삽입되게 하고 융착시키는 방법, 흡착소재 입자를 부직포 웹 사이에 핫멜트브로운 방법으로 내장시키는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케미컬 필터는 복합형으로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분자량, 화학적 성질 등이 서로 다른 다양한 성질의 가스상 오염물질을 모두 흡착할 수 메커니즘을 다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모두 정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종래 공기정화필터로서, 한국특허공개 제10-2002-0072666호에서는 양이온교환수지, 음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여재를 사용하는 필터 매체를 포함하는 케미컬 필터를 제안하고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제10-2002-0091527호에서는 이온교환섬유와 이온교환수지를 결합시킨 복합이온교환필터 이를 이용한 케미컬 필터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113661호에서는 이온교환수지를 고밀도로 충진하기 위하여 멜트브로운 핫멜트를 시용하여 이온교환수지 및 이온교환섬유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활성탄에 화학적 기능기를 보다 많이 보다 효과적으로 부여한 새로운 형태의 흡착제로서,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091115호에서는 특정 크기의 활성탄 입자와 특정 물성의 이온교환수지가 혼합된 활성탄입자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흡착소재를 이용한 공기 정화용 필터가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온교환수지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온교환수지의 입자와 함께 혼합되는 활성탄과 섬유형 필터의 기공과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막아 전체적인 흡착 성능과 필터 기능을 저하시키는 새로운 문제점이 있어서 그 사용상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090087호에서는 열융착 섬유로 활성탄 및 이온교환수지를 고 융점사와 저 융점사가 혼합된 단섬유들로 이루어진 고성능 복합필터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열 융착 섬유를 카딩하고 탈취분말을 스캐링하고 멜트브로운을 곧바로 열 결합하여 적용하는 제시되었으나, 탈취분말 및 멜트브로운의 열 압착에 의해 고 압력손실의 여재가 이루어져 한계성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06-0088042호에서는 유해가스 및 악취제거용 에어필터를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융점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고, 표면이 열에 의해 라미네이팅 되어 있는 니들펀칭 부직포를 하는데 흡착성 활성 물질이 니들펀칭에 의한 파손으로 분진이 발생되어 필터에서의 재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07-0026011호에서는 심초형 복합섬유와 고융점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활성탄 분말 또는 이온교환수지 분말을 도포하는 적층하여 열융착하여 합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열융착 섬유으로만은 활성탄 분말 또는 이온교환수지 분말을 심초형 및 고 융점 섬유 카딩 웹 내에 부착하여 열 캘린더 또는 열 프레스로 유지하기에는 한계성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07-0041467호에서는 열 융착부직포 지지체 위에열융착성 섬유 웹에 탈취분말을 산포하고 다시 열 융착 섬유 웹을 적층하여 열처리하여 일체형 부직포 탈취 여재(원단)을 제조하고 있으나, 열 융점 섬유의 한계성에 의해 탈취 분말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필터의 경우도 이온교환수지 또는 활성탄이 공기흐름에서 이탈되고 재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으로 나타나서 이런 문제가 시급히 개선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온교환수지 입자, 활성탄 입자, 분말이온교환수지 등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흡착성능을 개선하고 특히, 이들이 이탈되지 않고 초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여러 유해가스의 흡착성능이 크게 성능 개선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유해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화학적 흡착성능과 초미세먼지 포집 성능을 모두 가지면서도 그 흡착성능과 초미세먼지 필터링 기능이 크게 개선된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건식부직포 또는 습식부직포에 혼합 사용하는 방식으로 필터를 구성하되 이온교환수지의 입자크기와 함량을 특정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화학적 흡착성능 및 초미세먼지 입자를 현저하게 개선한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1) 다공성 구조의 무정형 입자로서 이온결합형 기능기를 가지며, 이온교환용량이 1.2 meq/㎖ 이상인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70-95중량%와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가 5-30중량%로 혼합된 이온교환수지 입자 40-70중량%를 화학적 흡착소재로 함유하거나,
또는 활성탄 입자와 비분말상의 이온교환 수지 입자의 혼합입자 70~95중량%와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가 5-30중량%로 혼합된 이온교환수지 입자 및 활성탄 입자의 혼합물 40-70중량%를 화학적 흡착소재로 함유하고,
(2) 저융점 섬유를 15-55중량% 포함하며,
(3) 저 융점 분말 수지를 5~15중량% 포함하며
(4) 상기 (1),(2),(3)에 추가로 초극세섬유, 정전섬유, 나노섬유 및 테프론 다공성 이축 필름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저융점 섬유 또는 정전섬유는 건식부직포, 습식부직포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로 이루어진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온교환수지 입자는 양이온수지, 음이온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된 이온교환수지 중에서 선택되며, 분말상과 비분말상의 무정형 입자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융점 섬유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단독, 시스코어(PP/PE, PET/PE, PET/PP, PET/PET, PPS/PP), 사이드바이사이드(PET/PE, PP/PE, PET/PP, PET/PET, PPS/PP)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섬유로서, 융점이 110℃ ~220℃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융점 섬유의 제1 지지체(1)의 평균섬유직경은 5㎛~30㎛ 내외 중량 15~60g/m2 범위이며,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활성탄 입자의 혼합입자, 또는 활성탄 입자를 적용하지 않은 분말상과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만으로 스캐터링을 했을 때 지지체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저융점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체(1)의 웹층은 10㎛~50㎛ 내외, 중량 20~60g/m2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또는 활성탄 입자와 이온교환수지 입자의 혼합입자 등이 상기 저융점 섬유의 웹층 사이로 골고루 스캐터링되어 균일한 혼입되도록 섬유 공간 내에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등을 고려할 때,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의 평균입경은 10㎛~150㎛이고,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또는 활성탄 입자의 혼합입자 평균입경은 150㎛~6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는 -5℃ ~ -270℃에서 냉동 분쇄한 냉동분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저 융점 분말 수지는 LDPE, HDP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말이온교수지, 이온교환수지 입자 및 활성탄 입자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450㎛ 범위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체(1)에 이온교환수지 입자와 저융점 분말 수지 등이 적용된 후에는 추가로 제2 지지체(2)가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지지체(2)는 상기 제1 지지체(1)와 동일하거나 또 다른 저융점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체(2)는 통기성을 원활하게 위해서 평균 섬유직경은 10㎛~30㎛ 내외, 중량 15~40g/m2 범위이며, 상기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와 혼합된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와 활성탄 입자를 지지체(1)과 지지체(2) 사이에 결합하여 열풍건조기 또는 열 압착 롤러를 통해 1차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차 원단의 제조 이후에, 분말이온교환수지 이탈 방지 및 초미세먼지 포집을 위하여 50㎚~5㎛의 정전섬유, 초극세섬유, 나노섬유 및 테프론 다공성 이축 필름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여재를 핫 멜트 스프레이 방법, 열 융착 방법 또는 초음파 결합 방법으로 결합하여 적층하는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는 상기 저융점 수지를 포함하는 저융점 섬유 지지체(1)(100), 상기 화학적 흡착소재로 이루어지는 흡착층(200), 상기 저융점 수지를 포함하는 저융점 섬유 지지체(2)(300), 정전섬유, 나노섬유 및 다공성 테프론 필름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초미세먼지 집진층(400)을 함유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로서는. 저융점 섬유 제1 지지체; 상기 제1 지지체 위에 저 융점 섬유 웹을 적층하고 화학적 흡착소재를 포함하는 흡착층, 저융점 섬유 제2 지지체(2)(300); 그리고 초극세섬유, 정전섬유, 나노섬유 및 다공성 테프론 필름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초미세먼지 집진층;을 함유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합필터는 전체 중량 350~1,0000g/m2, 두께 0.5~2.0mm, 통기도 1~200cc/cm2/sec 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합필터는 건식부직포, 습식부직포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의 원단을 포함하되 상기와 같이 원단을 단순한 적층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원단의 단면이 V형 형태를 포함하는 형태, 콜게이터형 형태 및 V형+콜게이형 혼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공기 정화용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는 분말상과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또는 활성탄과 혼합 사용하여 화학적 흡착이 가능하고 초미세먼지 포집과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강산 유기산 등의 유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특정 조건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그 분말과 입자의 크기가 작고 그 함량이 많아도 분말 이온교환수지 입자가 필터의 미세기공을 막아버리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흡착성능을 우수하게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이온교환수지 입자의 물성과 분말상의 함량비율 등에 대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필터에 저융점 분말 수지가 혼합되는 경우 더욱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성능이 개선된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유해공기 정화용 필터는 기존의 구형 이온교환수지를 과량 사용한 이온교환수지 흡착소재를 적용한 필터에 비해 각종 휘발성 유해 유기화합물의 흡착성능 및 초미세먼지 포집 효율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케미컬 복합 필퍼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케미컬 복합 필터 실제품의 여러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 사진이다.
도 3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터에 대한 압력손실, 입자 효율에 대한 비교그래프와, 가스 효율(탈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케미컬 복합 필터 실제품의 여러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 사진이다.
도 3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터에 대한 압력손실, 입자 효율에 대한 비교그래프와, 가스 효율(탈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케미컬 필터에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활성탄 입자 등을 이용하여 다층 여재 및 다층 필터 케미컬 복합 필터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와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또는 활성탄 혼합이 함유된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등 이온교환수지 입자의 적용 조건을 특정 조건으로 설정하고, 또한 이러한 이온교환 입자가 적용되는 기질에 해당하는 섬유 역시 특정 저 융점 섬유 또는 정전섬유로 구성함과 동시에 건식, 습식부직포로 제조함으로써, 새로운 고성능 흡착소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는 상대적으로 입자 크기가 작은 형태의 이온교환수지를 의미하고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는 상대적으로 입자 크기가 큰 형태의 이온교환수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분말상이나 비분말상은 그 입자의 형태가 무정형인 것을 전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는 예컨대 300-800㎛, 전형적으로는 대개 평균입경이 150-600㎛정도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는 입자형태를 가지지만, 그 입자가 무정형이고, 때로는 장방형, 원기둥형, 단섬유형, 작은 조각편, 납작한 형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광범위하게는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나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가 혼합된 형태의 구성을 이온교환수지 입자로 칭한다. 또한, 활성탄 역시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와 동일한 입자 크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섬유상 웹과 활성탄 등을 복합 사용하는 복합필터 형태의 공기정화용 필터는 섬유상 웹 형태의 필터보다는 그와 함께 사용되는 이온교환수지 분말이나 입자, 활성탄 입자 등과 같은 흡착소재에 의해 주요 휘발성 성분에 대한 흡착기능이 발휘되므로, 섬유 필터보다는 화학적 흡착소재에 의해 유효 사용기간이나 흡착효능이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필터에서 흡착소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화학적 흡착능을 발휘하는 이온교환수지 입자의 물성과 함량 등의 구성이 중요하고, 또 섬유상 웹 형태의 저 융점 섬유 또는 정전섬유 기능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필터에 흡착소재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이온교환수지 분말과 입자가 사용되는 바, 이때의 사용되는 이온교환수지는 양이온계, 음이온계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정전섬유를 사용할 때에는 활성탄 없이 이온교환수지 단독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전섬유는 코로나 처리되거나 하이드로차징된 정전 여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온교환형 기능기가 5~30중량% 이내로 함유된 분말이온교환수지는 그 평균입경이 10-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00㎛, 더 좋기로는 3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이온교환용량이 1.2 meq/㎖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meq/㎖ 이상, 예를 들어 3-30meq/㎖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온교환수지 입자 중에서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는 5~30 중량% 이내로 이온교환수지 입자에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의 함량이 상기보다 과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저융점 섬유의 결합력이 약해 건식 또는 습식부직포를 제조할 수 없으며, 필터의 강성 등 물성 저하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필터 소재 형태 등으로 제조하는 경우 제품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가 30%보다 과량이면 압력손실이 상승하고 V형 필터로 사용하지 못하고 콜게이터 형태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만일 분말이온교환수지의 함량을 상기보다 소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원단 중량이 높아지고 두께가 두꺼워져 원단 면적을 증가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압력손실을 상승시켜 필터 수명을 단축시키고 VOCs 등 각종 유해공기에 대한 화학적 흡착능이 저하되어 목적달성이 불가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온교환수지 입자의 함량이 과량이면 이온교환수지 입자, 저 융점 섬유 및 저 융점 분말 수지의 결합력 약화될 염려가 있다. 저융점 분말 수지 함량은 5-15중량%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15중량% 이상으로 과량 사용하면 미세기공을 너무 막아서 흡착성능을 저하시키는 등 전체적인 흡착능력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독립적으로 섬유형 필터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고착시키는데 사용되는 바인더 또는 고착을 위한 과정에서 이온교환수지 입자가 과량 사용되어서 다른 흡착소재의 흡착능력을 상대적으로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온교환수지 입자는 다공성 구조의 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음이온 교환수지를 무정형 입자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정형의 입자는 구형 입자에 비해 오히려 다양한 유해공기에 대한 흡착성능을 좋게 하는 데 유리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온교환수지 입자의 크기는 평균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너무 크면 흡착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상기보다 적으면 필터 내에서 이탈하여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입자크기를 특정 범위로 사용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착 소재로 적용되는 단독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면 건식부직포 제조과정 중에 혼합 사용하는 경우 두께가 커 V형 제조가 어렵고, 10㎛ 보다 작으면 저 융점 섬유 밖으로 빠져나가 작업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온교환수지 입자 등의 흡착소재를 적용하기 위한 기재로서는 저융점 섬유 또는 정전물질이 함유된 정전섬유를 사용하여 건식부직포 또는 습식부직포나 이들이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적합한 유해공기를 흡착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온교환수지 입자는 그 입자에 함유되는 이온교환 작용기로서 가스상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그 기능기로서는 예컨대 술폰산기, 아민기, 카르복실기, 암모니아기, 페놀기 및 인산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융점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피렌(PP) 단독, 시스코어(PET/PET, PP/PE, PET/NYLON, PPS/PP), 사이드바이사이드(PET/PET, PP/PE, PET/NYLON, PP/NYLON, PPS/PP)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섬유로서, 융점이 110℃ ~220℃ 인 것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저 융점 정전 섬유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피렌(PP) 단독, 시스코어(PET/PP, PET/PE, PP/PE), 사이드바이사이드(PET/PP, PET/PE, PP/PE)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저융점 섬유는 그 융점이 110℃ ~ 167℃, 더욱 좋기로는 110℃ ~ 167℃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융점이 상기 범위 보다 낮으면 필터 사용상 문제가 있고, 높으면 섬유를 결합하는데 고온의 건조기가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특정 조건으로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혼합한 흡착소재를 건식부직포 또는 습식부직포에 적용하여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흡착성능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는 이러한 이온교환수지 입자 및 정전물질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지만, 이들을 임의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와 같은 특정 물성을 가진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사용하고, 정전처리된 원단을 초음파 융착, 열융착이나 핫멜트 스프레이 방법으로 결합하여 흡착성능 및 정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활성탄으로는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크기와 유사하며 첨착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 NOx, SOx를 제거할 수 있고, 비표면적이 증가된 마이크로 구조가 발달된 비표면적이 높은 1,200m2/g ~ 2,400m2/g 활성탄을 사용하면 톨루엔, 아세톤, PGMEA 등의 흡착 능력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는 원단기준으로 전체 중량 350~1,000g/m2, 두께 0.5~2.0mm, 통기도 1~200cc/cm2/sec 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600g/m2 이내, 두께 0.5~1.2mm, 더 좋기로는 0.5~1.0mm, 그리고 통기도가 좋은 것은 5~100cc/cm2/sec인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다층 여재가 다층 필터로 제작할 경우 V자 단면에서 산과 산 간격을 3.5~8.0 피치(pitch)을 유지하고 산 높이를 10~150mm로 조정 가능하다. 또한, 다층 필터 구조로 산, 염기성 가스의 분리 여재 및 필터층을 달리하며, 여과면적을 증대시키고 가스 유속을 분산시키고 유속을 저하시켜서,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활성탄 입자 등의 층을 접촉하면서 통과하여 각 특성 등에 의한 상승효과에 의해 효율적인 공기정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예시하고 있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과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활성탄 입자를 함유한 건식 부직포 또는 습식부직포 형태의 유해공기 정화용 복합필터의 다층여재 및 다층 필터 구성도를 하나의 개략적인 예로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예컨대 건식 부직포 또는 습식부직포 제조시에 이온교환수지 입자, 정전섬유 등을 이용하여 도 1과 같은 건식 부직포 또는 습식부직포 제조 공정으로 건식, 습식부직포 형태의 유해공기 정화용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 원단의 제조공정은 예컨대, 건식부직포인 단섬유, 스펀본드 저 융점 섬유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섬유 웹 및 원단에 분말 이온교환수지와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또는 활성탄이 혼합된 것에 폴리에틸렌 분말 수지를 일정량 혼합하여 스캐터 장치를 통하여 스캐터링하고 온도 80~220℃로 압력 50kN~150kN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 원단의 제조공정은 예컨대, 습식부직포인 저 융점 섬유 또는 정전섬유의 배합, 분산, 해리 제조 단계를 거친 다음; 헤드박스에서 탈수 및 건조 단계를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해공기 정화용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 필터는 필터 성능의 향상을 위해 건식, 습식부직포 원단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습식부직포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한 형태의 필터원단으로 적용한 유해공기 정화용 다층 여재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습식부직포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한 형태의 필터원단으로 적용한 유해공기 정화용 다층 필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존의 케미컬 필터, 특히 복합필터에서 문제가 되었던 점들을 개선하여, 유해가스 포집 매체인 흡착소재로서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상기와 같은 특정 조건으로 복합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유해가스의 포집량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고농도의 가스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건식, 습식부직포를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저융점 섬유 또는 정전섬유와 함께 고르게 부착시키고 원단 밀도를 강화하여 공기 흐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분말이온교환수지, 이온교환수지 입자, 활성탄 입자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화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건식부직포 또는 습식부직포 형태의 원단을 콜게이터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 압력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 원단이 물성이 우수하고 흡착소재의 분포가 안정되게 유지되며 필터 원단 자체가 강성이 있기 때문에, V형 및 콜게이터 형태를 A, B, E 골형으로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하더라도 압력손실을 적게 하고 포집하고자 하는 가스 용량에 따라 크기와 형태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V형, 콜게이터 필터등을 복합화하여 압력손실을 나추고 가스 성능 및 초미세먼지 포집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과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활성탄 입자를 사용한 건식부직포 또는 습식부직포 형태의 유해공기 정화용 필터는 특히 반도체 공정 등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해가스의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휘발성 가스(VOC), 극성 가스와 이온교환 할 수 있도록 특정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음이온 교환수지의 입자를 건식, 습식부직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보다 바람직한 구조인 케미컬 필터의 콜게이터 형태로 사용할 경우 종래의 케미컬 필터에 비해 압력손실이 3-4배 이상 감소하여 그 적용성이 매우 향상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는 건식, 습식부직포의 원단의 밀도가 높고 흡착소재의 충전량이 많아도 기존의 방식으로 활성탄, 첨착활성탄 및 이온교환수지가 이용된 필터에 비해 압력손실이 월등하게 적고 가스 포집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운전의 효율성이 증가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케미컬 필터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는 일반 활성탄 및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한 필터에 비해 표면적이 1.5~4배 정도 증가하고, 우수한 흡착효율 등 현저하게 개선된 물성으로 정화효율이 매우 우수하므로 반도체 공장뿐만 아니라 화학 공장에서 배출되는 다양한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케미컬 필터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용 필터는 화학공정용 부품으로서 반도체 유입공기를 사전에 정화하기 위한 필터나 차량 내부의 공기정화를 위한 필터 등 사전 유입되는 공기정화 필터에도 사용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기존에 비해 다양한 유해가스의 흡착활성과 초미세먼지 포집 효율이 더욱 개선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과다한 이온교환수지 입자의 사용으로 인해 필터의 물리적 특성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물리 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흡착능력을 나타내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통과 압력도 높이지 않아서 공기정화 기능을 우수하게 개선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유해공기 정화용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는 실내나 다양한 산업시설의 공기정화를 위한 필터로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1) 저 융점섬유의 지지체(1)는
섬유경은 5㎛~30㎛ 내외 중량 15~60g/m2 범위의 써멀본드 지지체를 준비한다
(2) 저 융점 섬유 웹층은
평균직경 10㎛~50㎛ 내외, 중량 20~60g/m2 범위의 저 융점 섬유 또는 정전섬유를 카딩하고 다층의 웹을 지지체(1) 위에 적층한다.
(3)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또는 활성탄 입자의 이온교환수지 혼합물은
섬유 웹 사이로 골고루 스캐터링되어 균일한 혼입되도록 섬유 공간 내에 유지하도록 하며, 이때의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의 크기는 10㎛~100㎛이고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또는 활성탄 입자 크기는 150㎛~600㎛ 범위이다.
저 융점 분말 수지는 LDPE, HDPE 등을 사용하며 분말이온교수지, 이온교환수지 입자, 활성탄 입자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10㎛~450㎛ 범위의 입자크기의 저융점 분말 수지를 준비한다.
또한, 분말이온교환수지는 -100℃에서 냉동 분말화한 수지이다
(4) 지지체(2)는
지지체(1), 저 융점 섬유 웹층,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또는 활성탄 입자의 혼합물이 저 융점 섬유 웹층에 혼합되고 그 위에 놓인다.
통기성을 원활하게 위해서 저 융점 섬유는 섬유경 10㎛~30㎛ 내외, 중량 15~40g/m2 범위의 것을 사용한다.
(5) 이후 지지체(1), 저 융점 섬유 웹,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와 혼합된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활성탄 입자와 지지체(2)를 결합하여 열풍건조기 또는 열 압착 롤러를 통과하고 다시 열 압착 롤러 및 냉각 롤러를 통해서 1차 원단이 제조되었다. 이후에 분말상 이온교환수지 입자의 이탈 방지 및 초미세먼지 포집을 위하여 50㎚~10㎛의 정전섬유(건식,습식), 나노섬유 및 테프론 다공성 이축 필름으로 된 여재를 핫 멜트 스프레이 방법, 열 융착 방법 및 초음파 결합 방법으로 결합하였다.
상기 복합필터는 전체 중량 150~1,000g/m2, 두께 0.5~2.0mm, 통기도 1~200cc/cm2/sec. 입자 효율 85~99.97%인 물성을 가진 다층 케미컬 여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5
정전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PE/PP 40% : 60%) 20㎛ 30%와 정전 해도사 PP 2.5㎛ 20%, 분말 이온교환수지와 비분말상 이온교환수지 50%를 혼합하여 단위중량이 350~600g/m2이고, 두께가 0.8~1.5mm이며, 통기도가 50~200cm3/cm2/sec) 여재에 중량 25~60g/m2 효율 90~ 99.5%인 멜트브로운, 습식부직포 여재를 핫멜트 스프레이로 결합하여 복합 여재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2에 제시한 구성으로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저 융점 섬유 및 저 융점 분말수지로 이루어진 흡착소재를 제작하였다. 하기 표에서 각성분의 함량 수치는 중량부이다.
상기 준비한 이온교환수지 입자, 저 융점 분말 수지 및 저 융점 섬유를 이용한 정전 건식, 습식부직포 원단 비율은 다음 표 1과 같다.
실시예(여재) | 1 | 2 | 3 | 4 | 5 | |
지지체(1) | 15 | 40 | 50 | 이온교환수지 30㎛/150㎛ (30/70) 300 저 융점 섬유 100 저 융점 분말 수지 50 *습식부직포 |
이온교환수지 90㎛/150㎛ (30/70) 400 저 융점 섬유 120 저 융점 분말 수지 60 *습식부직포 |
|
저 융점 섬유 층(웹) | 20 | 30 | 40 | |||
이온교환수지 입자 비율 (냉동 분말/비분말/활성탄 중량%, 무정형, g/m2) |
30㎛/150㎛ (30/70) |
30㎛/150㎛ (30/55/15) |
90㎛/600㎛ (30/55/15 |
|||
275 | 400 | 700 | ||||
저 융점 분말 수지 | 27 | 40 | 50 | |||
지지체(2) | 15 | 40 | 50 | |||
초 미세 먼지 층 |
중량, g/m2 | 25 | 60 | 25 | 25 | 40 |
부직포 형태 | 멜트브로운 | 습식부직포 | 멜트브로운 | 멜트브로운 | 테프론 다공성 필름 | |
전체 필터원단 중량(g/m2) | 377 | 610 | 915 | 450 | 620 | |
두께(mm) | 1.25 | 1.5 | 1.9 | 1.3 | 1.7 | |
효율(%), 0.3㎛, 5.3.cm/sec | 99.97 | 99.5 | 85 | 99.97 | 95.0 | |
압력손실(mmAq), 5.3cm/sec | 3.5 | 4.1 | 1.0 | 3.7 | 3.1 |
비교예 1-3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이온교환수지 입자는 구형입자를 사용하고, 그 입자크기는 달리 사용하였다. 각 성분의 사용함량과 사용조건은 다음 표 2, 3과 같은 조성으로 구성하여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여재 | 1 | 2 | 3 |
지지체(1) | 40 | 40 | 40 |
저 융점 섬유 층(웹) | 70 | 150 | 200 |
이온교환수지 입자 비율 (상온 분말/비분말 중량%, g/m2) |
30㎛/150㎛(30/70) | 325㎛ | 600㎛ |
400, 분말 수지 이탈 큼 저융점 분말 수지 X |
700(105활성탄) | 1,500 | |
지지체(2) | 40 | 40 | 40 |
전체 필터원단 중량(g/m2) | 550 | 930 | 1,780 |
두께(mm) | 1.8 | 2.6 | 3.7 |
효율(%), 0.3㎛, 5.3.cm/sec | 9.0 | 8.5 | 10.2 |
압력손실(mmAq), 5.3cm/sec | 1.7 | 1.5 | 1.2 |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에 대하여 TSI8130A 여과면적 100cm2 유속 5.3cm/sec로 NaCl 0.3㎛입자로 효율 및 압력손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에 대하여 필터를 40mm, 60mm, 100mm, 절곡 및 미니플리트하여 각 산수를 조정하여 필터를 제작하였다
또한 콜게이터로 A형으로 40mm로 필터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에 대하여 복합 유해가스의 제거효율 평가하기 위하여 가로(240mm) x 세로(225mm) x 100mm를 DIN-71460-2 시험기 장착하고 암모니아, NO2, SO2는 20ppm의 분위기로 연속적으로 흘려 준 후, 1분이 단위로 복합 유해가스의 제거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그 평가는 암모니아, NO2, SO2에 대해 실시하고 그 결과는 다음 표 3 내지 표 5에 각각 나타내었다. 여기서 각 수치는 해당 성분의 제거효율(%)을 의미한다.
실시예 | 1 (실시여재1) |
2 (실시여재2) |
3 (실시여재3) |
4 (실시여재4) |
5 (실시여재5) |
|
필터 사이즈(W*L*H) | 240 x 225 x 100 | |||||
필터 형태 | V형 | |||||
필터 산수(EA) | 48 | 40 | 34 | 48 | 37 | |
산 간격(mm) | 5 | 6 | 7 | 5 | 6.5 | |
여재 중량(g/m2) | 377 | 610 | 915 | 450 | 620 | |
필터 여과면적(m2) | 2.2 | 1.8 | 1.5 | 2.2 | 1.7 | |
필터 중량(g/m2) | 814 | 1,098 | 1,400 | 972 | 1,032 | |
필터 효율(%), @90m3/hr | 99.98 | 99.8 | 88.2 | 99.99 | 98.5 | |
압력손실(mmAq), @90m3/hr | 2.0 | 2.5 | 1.3 | 2.4 | 1.8 | |
가스효율(시간) @150m3/hr 20ppm→4ppm |
암모니아 | 3:30 | 5:40 | 7:35 | 4:10 | 3:10 |
SO2 | 0:30 | 1:05 | 1:30 | 0:55 | 0:20 | |
NO2 | 0:40 | 1:20 | 1:50 | 1:05 | 0:35 |
실시예 | 6 (실시여재1 +실시여재3) |
7 (실시여재3 +실시여재5) |
8 (실시여재1 +실시여재4) |
|
필터 사이즈(W*L*H) | 240 x 225 x 40 + 240 x 225 x 60 |
여재3 : 240 x 225 x 40 여재1 :240 x 225 x 60 |
240 x 225 x 40 + 240 x 225 x 60 |
|
필터 형태 | V형 + V형 | V형 + V형 | 콜게이형 + V형 | |
필터 산수(EA) | 48+34 | 37+34 | (-)+37 | |
여재 중량(g/m2) | 377/915 | 377/620 | 377/450 | |
필터 여과면적(m2) | 0.72+0.92 | 0.72+0.92 | 0.72+0.92 | |
필터 중량(g/m2) | 271+890 | 660+570 | 400+414 | |
필터 효율(@90m3/hr) | 99.98 | 99.8 | 99.99 | |
압력손실(mmAq), @90m3/hr | 2.3 | 2.0 | 1.4 | |
가스효율(시간) @150m3/hr 20ppm→4ppm |
암모니아 | 10:30 | 9:20 | 6:40 |
SO2 | 2:10 | 1:50 | 1:20 | |
NO2 | 2:50 | 2:15 | 0:30 |
비교예 | 비교 여재 1 -30㎛/150㎛(30/70) 상온 분말 |
비교 여재 2 | 비교 여재 3 | |
필터 사이즈(W*L*H) | 240 x 225 x 100 | |||
필터 형태 | V형 | |||
필터 산수(EA) | 38 | 22 | 12 | |
산 간격(mm) | 6.5 | 11 | 20 | |
여재 중량(g/m2) | 550 | 930 | 1780 | |
필터 여과면적(m2) | 1.7 | 1.0 | 0.5 | |
필터 중량(g/m2) | 941 | 921 | 961 | |
필터 효율(%), @90m3/hr | 9.5 | 8.2 | 9.8 | |
압력손실(mmAq), @90m3/hr | 0.8 | 0.7 | 0.8 | |
가스효율(시간) @150m3/hr 20ppm→4ppm |
암모니아 | 2:20 | 1:50 | 3:20 |
SO2 | 0:15 | 0:10 | 0:18 | |
NO2 | 0:25 | 0:20 | 0:30 |
그 결과, 상기 각 실험결과에서와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적용 필터는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의 흡착소재를 적용한 필터에서 유해가스에 대한 투과율이 비교예의 경우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가스정화 효율 및 입자 포집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기존 제품(비교예)에 비해 현격하게 우수한 공기정화 성능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Claims (7)
- (1) 저융점 섬유 제1 지지체층;
(2) 다공성 구조의 무정형 입자로서 이온결합형 기능기를 가지며, 이온교환용량이 1.2 meq/㎖ 이상인 비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 70-95중량%와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가 5-30중량%로 혼합된 이온교환수지 입자 40-70중량%를 화학적 흡착소재로 함유하거나,
또는 활성탄 입자와 비분말상의 이온교환 수지 입자의 혼합입자 70~95중량%와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가 5-30중량%로 혼합된, 분말 이온교환수지, 이온교환수지 입자 및 활성탄 입자의 혼합물 40-70중량%를 화학적 흡착소재로 함유하고,
저융점 섬유를 15-55중량% 포함하며,
저 융점 분말 수지를 5~15중량%를 포함하는 흡착층;
(3) 그리고, 상기 (1),(2)에 50㎚~10㎛의 초극세섬유, 정전섬유, 나노섬유 및 테프론 다공성 이축 필름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집진층
을 포함하는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중량 150~1,000g/m2, 두께 0.5~2.0mm, 통기도 1~200cc/cm2/sec. 입자 효율 85~99.97%인 물성을 가진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말상의 이온교환수지 입자는 평균입경이 10~150㎛ 범위이며 -5℃ ~ -270℃ 범위의 냉동온도에서 분쇄한 냉동 분말 수지를 사용한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융점 섬유로는 융점이 110℃ ~220℃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에 정전물질이 함유된 저융점 정전 섬유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융점 섬유의 제1 지지체층; 상기 제 1 지지체층 위에 저 융점 섬유 웹을 적층하고 상기 화학적 흡착소재를 포함하는 흡착층; 저융점 섬유의 제2 지지체층; 그리고 초극세섬유, 정전섬유, 나노섬유 및 다공성 테프론 필름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초미세먼지 집진층
을 함유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식부직포, 습식부직포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의 원단을 포함하되 원단을 단순하게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원단의 단면이 V형, 콜게이터형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를 포함하는 다층 여재 및 다층 케미컬 복합필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2945A KR102749090B1 (ko) | 2021-11-24 | 2021-11-24 |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 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2945A KR102749090B1 (ko) | 2021-11-24 | 2021-11-24 |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 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6980A KR20230076980A (ko) | 2023-06-01 |
KR102749090B1 true KR102749090B1 (ko) | 2025-01-06 |
Family
ID=8677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2945A Active KR102749090B1 (ko) | 2021-11-24 | 2021-11-24 |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 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9090B1 (ko)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816B1 (ko) | 2001-03-12 | 2005-01-05 | 이후근 |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케미컬 필터여재 |
KR100507969B1 (ko) | 2001-05-31 | 2005-08-17 | 이후근 | 이온교환섬유와 이온교환수지를 결합시킨 복합이온교환필터와 이를 이용한 케미칼 필터 |
ES2292941T3 (es) | 2002-02-12 | 2008-03-16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Receptor para estaciones de telecomunicacion inalambricas y metodo. |
US6837112B2 (en) | 2003-03-22 | 2005-01-04 | Stec Inc. | Capacitance manometer having a relatively thick flush diaphragm under tension to provide low hysteresis |
JP2006207526A (ja) | 2005-01-31 | 2006-08-10 | Mitsubishi Heavy Ind Ltd | 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及び可変ノズル機構構成部材の製造方法 |
JP4863193B2 (ja) | 2005-08-31 | 2012-01-25 |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 半導体発光装置 |
KR20070041467A (ko) | 2007-03-16 | 2007-04-18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유파틸린을 포함하는 유방암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 |
KR101337207B1 (ko) | 2012-02-07 | 2013-12-05 | 주식회사 에코프로 | 공기 정화용 복합 필터 |
CN109982765A (zh) * | 2016-12-14 | 2019-07-05 | 菲勒有限公司 | 过滤器滤材、具有该过滤器滤材的过滤器元件以及过滤器滤材的制造方法 |
KR102039512B1 (ko) * | 2017-11-30 | 2019-11-01 |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 유해공기 정화용 필터 |
KR102162025B1 (ko) * | 2019-03-08 | 2020-10-06 |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 정전분말 및 정전섬유로 이루어진 습식 정전 부직포 |
-
2021
- 2021-11-24 KR KR1020210162945A patent/KR102749090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6980A (ko) | 2023-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17986B2 (en) |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air filter devices | |
JP4944540B2 (ja) |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 |
US8512569B2 (en) | Fluid filtration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EP0269462B1 (en) | Adsorptive sheet | |
KR100639280B1 (ko) | 다공성의 강산성 중합체를 채용한 필터 | |
US20130101477A1 (en) | Non-woven electret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
JP6109334B2 (ja) | 不織布エレクトレット繊維ウェブ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812388B1 (ko) | 유해가스 및 악취제거용 에어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7069198A (ja) | ガス除去用濾材、複合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 | |
KR101659820B1 (ko) | 탈취용 필터재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진 복합필터 | |
JP2014144421A (ja) | 脱臭・ガス除去用フィルタ | |
KR102749090B1 (ko) | 다층 여재 및 다층 구조의 케미컬 복합 필터 | |
KR102720014B1 (ko) | 이온교환수지 입자를 함유한 유해공기 정화용 복합필터 | |
Lim et al. | Multidirectional evaluations of a carbon air filter to verify their lifespan and various performances | |
KR20040030847A (ko) | 필터 및 필터의 제조 방법 | |
KR100986797B1 (ko) | 부직포 필터 | |
KR102720021B1 (ko) | 분말이온교환수지 입자를 함유한 유해공기 정화용 콜게이터 필터 | |
WO2020244611A1 (zh) | 一种具有过滤voc气体性能的汽车空调过滤材料及其工艺 | |
JP2005034693A (ja) | エアフィルタ用濾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2755377B1 (ko) | 공기정화용 항균 탈취 복합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766115B1 (ko) | 장수명 자동차용 흡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48819B1 (ko) | 활성탄소섬유, 활성탄 및 섬유상 바인더를 통해 유해가스 흡착거동이 제어된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 |
Lim et al. | Preparation of fiber based binder materials to enhance the gas adsorption efficiency of carbon air filter | |
KR20240010766A (ko) | 콤비 필터 | |
WO2024038421A1 (en) | Filter media comprising adsorb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