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46033B1 -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6033B1
KR102746033B1 KR1020230196248A KR20230196248A KR102746033B1 KR 102746033 B1 KR102746033 B1 KR 102746033B1 KR 1020230196248 A KR1020230196248 A KR 1020230196248A KR 20230196248 A KR20230196248 A KR 20230196248A KR 102746033 B1 KR102746033 B1 KR 102746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er
phc pile
screw
phc
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대
서상준
Original Assignee
박영대
서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대, 서상준 filed Critical 박영대
Priority to KR102023019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6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60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등 각종 건축물의 기초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지층에 시공되는 PHC(Pre-stressed High strength Concrete)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기성 PHC파일의 선단에 굴삭압밀용 오거를 장착하여서 천공홀의 저면까지 시멘트페이스트를 주입하면서 압밀시킴으로써 굴삭된 절토와 시멘트페이스트의 혼합이 잘되어 우수한 선단지지력을 조성하여 건축물의 기초지반을 견고히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저진동 및 저소음의 시공을 가능하게 한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PHC pile assembly with aug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층건물등 각종 건축물의 기초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지층에 시공되는 PHC(Pre-stressed High strength Concrete)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기성 PHC파일의 선단에 굴삭압밀용 오거를 장착하여서 천공홀의 저면까지 시멘트페이스트를 주입하면서 압밀시킴으로써 굴삭된 절토와 시멘트페이스트의 혼합이 잘되어 우수한 선단지지력을 조성하여 건축물의 기초지반을 견고히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저진동 및 저소음의 시공을 가능하게 한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등 각종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그 건축물의 기초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연약 지반에 파일(Pile)을 항타하고 있고, 이러한 파일시공은 건축물기초에 매우 중요한 공사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파일시공을 위하여는 기중기에 리더를 설치하여 유압헤머등을 이용하여서 항타에 의한 파일시공을 하거나, 굴삭방법에 의한 파일시공을 하고 있었으나, 굴삭 파일시공에는 굴삭 부위가 붕괴되는 예가 많아 케이싱(Casing)공법(한국 특허등록 10-2107183호)을 이용하여 시멘트페이스트와 파일을 굴삭공에 압입하여 파일시공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전의 파일시공 방법에서 항타에 의한 파일시공에는 진동에 의한 소음과 분진이 많이 발생되고 진동도가 높을 경우에는 주위의 건물에 손상을 주는 사례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어 민원의 발생이 많았으며, 또한, 항타를 충분히 지탱하는 파일생산에 문제점이 있고, 더욱 항타시 파일이 자주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케이싱공법으로 파일시공을 시공할 경우에도 케이싱튜브의 설치비용과 소모성비트를 장착하여 시공하므로 시공비용이 높아지고, 안전성 및 에너지 창출이 불확실하고 굴착의 범위가 넓어 시멘트페이스트가 필요이상으로 소모되며 시공작업 기간도 길어짐으로서 공비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파일 기초시공방법이 한국특허등록 10-0762991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공법은 건축물 또는 토목구조물이 축조될 지반과 지지층을 비트가 선단에 부착된 오거스쿠류를 이용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S11)와, 오거스쿠류 또는 별도의 몰탈공급장치를 통해 천공홀의 하부에 말뚝선단지지력 발휘를 위한 고강도몰탈을 충진하는 선단부몰탈충진단계(S12)와, 오거스쿠류와 빗트를 이용하여 선단부몰탈이 충진된 천공홀에 말뚝을 압입이나 회전시켜 관입하는 말뚝관입단계(S13)와, 말뚝관입단계에서 천공홀에 관입된 말뚝의 상부를 오거스쿠류와 빗트로 지지하고, 천공홀에 관입된 말뚝의 주변으로 마찰지지력 확보를 위해 오거스쿠류의 중공부 또는 별도의 몰탈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주면부몰탈을 재충진하는 주면부몰탈충진단계(S14)와, 선단부몰탈 및 주면부몰탈이 경화되는 양생단계(S15)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공법은 오거스크류를 이용하여 지반을 천공하고, 오거스크류를 제거한 후 말뚝을 관입하므로 공기 단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말뚝 관입후 말뚝 주변에 몰탈을 충진하므로 천공홀 주변 지반으로의 절삭토 및 몰탈의 압밀(壓密)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 10-2107183호 한국특허등록 10-07629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기성 PHC파일을 활용하면서 지반 기초공사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량된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반 천공시 발생되는 절토물과 투입되는 시멘트몰탈을 압밀하여 천공홀 주변 지반의 붕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반 천공시 암반을 효과적으로 천공하면서 절삭되는 암반등 절토물의 압밀이 용이하도록 한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HC파일을 관입후 PHC파일 선단에 결합된 오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는,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공장 제작된 중공의 PHC파일과, 상기 PHC파일의 선단에 결합되며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오거와, 상기 PHC파일과 상기 오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오거는 원기둥형의 오거몸체와, 상기 오거몸체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고정되며 상기 오거몸체의 회전시 지반을 절토하는 절토용 스크류와, 상기 절토용 스크류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거몸체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고정되는 압밀용 스크류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PHC파일의 하단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거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공과 대향되어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오거몸체는 상기 PHC파일의 중공과 연결되는 중공의 주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오거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주입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PHC파일의 중공을 통하여 상기 오거 내부에 일정압력으로 부식방지용 몰탈이 공급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부식방지용 몰탈이 상기 천공홀에 주입되어 상기 오거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되며,
상기 오거몸체는 상기 절토용 스크류에 의해 절삭된 절토의 교반공간 확보 및 상기 부식방지용몰탈의 주입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PHC파일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PHC파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상면부에 상기 PHC파일의 중공에 결합되며 상기 주입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압밀용 스크류의 직경은 상기 절토용 스크류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PHC파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절토용 스크류의 하면에 상기 절토용 스크류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절삭스크류가 고정되되,
상기 절토용 스크류의 원주 가장자리와 상기 절삭스크류의 원주 가장자리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PHC파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배출공은 상기 오거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제1테이퍼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배출공을 개폐하며 상기 제1테이퍼면에 대응되는 제2테이퍼면을 가지는 경사마개를 구비하여서,
상기 부식방지용 몰탈의 공급압력에 의해서 상기 경사마개가 상기 천공홀측으로 이탈되어서, 상기 부식방지용몰탈이 상기 배출공측으로 토출되어 상기 오거의 외면부를 감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시공방법은,
a) 지상에 PHC파일에 압밀력 및 회전력을 제공하는 굴삭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PHC파일과 상기 오거를 상기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킨 후, 상호 조립된 PHC파일 조립체를 수직으로 세워서 상기 굴삭장치에 장착시키는 단계와;
b) 상기 굴삭장치를 가동하여 PHC파일 조립체를 압밀 및 회전시켜서 상기 오거를 통하여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PHC파일을 관입하되,
상기 오거에 의해 상기 천공홀에 절삭토를 형성하는 동안 지상에서 상기 천공홀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공급하여 절삭토와 시멘트 페이스트를 교반시키는 단계와;
c) 상기 PHC파일 조립체가 상기 천공홀에 관입이 완료된 후, 상기 PHC파일의 중공을 통하여 부식방지용 몰탈을 압송하여 공급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부식방지용 몰탈을 천공홀에 공급하여 상기 오거의 외주면을 포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종래에는 기성 PHC파일을 관입하기 위하여 지반을 천공한 오거를 제거한 후 기성 PHC파일을 관입함으로써 공기단축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기성 PHC파일의 선단부에 오거(200)를 장착함으로써 지반 기초공사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압밀용 스크류(230)의 직경을 절토용 스크류(2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절토용 스크류(220)에 의해서 천공된 천공홀(401)의 내벽면과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절삭토와 천공홀(401)로 유입되는 시멘트 페이스트(500)와의 원할한 교반공간을 형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압밀용 스크류(230)와 절토용 스크류(220)를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절삭된 절삭토와 천공홀(401)로 유입되는 시멘트 페이스트(500)와의 교반을 원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세째, 절토용 스크류(220)의 하면에 절토용 스크류(2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절삭스크류(250)를 구비함으로써, PHC파일(100)에 압밀력 및 회전력을 제공하는 굴삭장치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네째, 오거몸체(210)에 주입공간(240), 복수의 배출공(201) 및 경사마개(260)를 형성함으로써, 배출공(201)을 통하여 부식방지용 몰탈(600)이 천공홀(401)에 주입되어 오거(200)의 외주면을 포위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일 기초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 실시예의 PHC파일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오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 실시예의 PHC파일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연결수단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 실시예의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는 공장 제작된기성 PHC파일을 활용하면서 지반 기초공사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지며, 지반 천공시 발생되는 절토물과 투입되는 시멘트몰탈을 압밀하여 천공홀 주변 지반의 붕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 PHC파일 조립체는 절토스크류 및 절삭스크류의 단차부로 인하여 향상된 지반 천공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PHC파일을 관입후 PHC파일 선단에 결합된 오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 실시예의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를 나타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중공(101)의 PHC파일(100)과, 상기 PHC파일(100)의 선단에 결합되며 지반(400)을 천공하여 천공홀(401)을 형성하는 오거(200)와, 상기 PHC파일(100)과 상기 오거(2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0)를 구비한다. 상기 오거(200)의 단부에는 절삭비트(270)가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수단(300)은 상기 PHC파일(100)의 하단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암나사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오거몸체(21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암나사공(102)과 대향되어 복수의 관통공(261)이 형성된 플랜지(260)와, 상기 관통공(261)을 통하여 상기 암나사공(102)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270)를 구비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260)의 상면부에는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에 결합되는 돌출부(210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수단은 상기 오거몸체(210)의 돌출부(210a)가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관통공(261)과 암나사공(102)을 일치시켜서 체결볼트(27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PHC(Pre-stressed High strength Concrete)파일(100)은 압축강도가 큰 콘크리트와 철근을 사용하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원통형태로 제작한다.
상기 오거(200)는 원기둥형의 오거몸체(210)와, 상기 오거몸체(210)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고정되며 상기 오거몸체(210)의 회전시 지반(400)을 절토하는 절토용 스크류(220)와,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거몸체(210)의 둘레에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와 반대방향의 나선형으로 고정되는 압밀용 스크류(230)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와 절토용 스크류(220)는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절삭된 절삭토와 추후 천공홀(401)로 유입되는 시멘트 페이스트(500)와의 교반을 원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천공홀(401) 측벽으로의 압밀을 효율적으로 한다.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의 직경은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의 직경을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에 의해서 천공된 천공홀(401)의 내벽면과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절삭토와 추후 천공홀(401)로 유입되는 시멘트 페이스트(500)와의 원할한 교반공간을 형성하게 한다.
다른 예의 PHC파일 조립체를 나타낸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하면에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절삭스크류(250)가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가장자리와 상기 절삭스크류(250)의 가장자리 사이에 단차부(255)가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 작은 폭의 상기 절삭스크류(250)가 먼저 천공홀(401)의 내면을 소폭으로 절토한 후 상대적으로 큰 폭의 절토용 스크류(220)가 큰폭으로 절토하게 되므로, 지상에 설치되어 상기 PHC파일(100)에 압밀력 및 회전력을 제공하는 굴삭장치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거몸체(210)는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과 연결되는 주입공간(240)이 형성되고, 상기 오거몸체(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주입공간(240)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공(201)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을 통하여 상기 오거(200) 내부에 일정압력으로 부식방지용 몰탈(600)이 공급되고, 상기 배출공(201)을 통하여 상기 부식방지용 몰탈(600)이 상기 천공홀(401)에 주입되어 상기 오거(200)의 외주면을 포위함으로써 부식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각 배출공(201)은 상기 오거몸체(210)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제1테이퍼면(201a)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배출공(201)을 개폐하며 상기 제1테이퍼면(201a)에 대응되는 제2테이퍼면(261)을 가지는 경사마개(260)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마개(260)는 상기 오거(200)에 의한 지반 천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절삭토가 상기 배출공(201)을 통하여 상기 오거몸체(21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주입공간(240)에 절삭토가 충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식방지용 몰탈(600)의 공급압력에 의해서 상기 경사마개(260)가 상기 천공홀(401)측으로 이탈되어서, 상기 부식방지용몰탈(600)이 상기 배출공(201)측으로 토출되어 상기 오거(200)의 외면부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오거(2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오거몸체(210)의 직경은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에 의해 절삭된 절토의 교반공간 확보 및 상기 부식방지용몰탈(600)의 주입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PHC파일(100)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를 지반에 설치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a) 지상에 상기 PHC파일(100)에 압밀력 및 회전력을 제공하는 굴삭장치(미도시)를 설치한다. 상기 PHC파일(100)과 상기 오거(200)를 상기 연결수단(30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키고, 상호 조립된 PHC파일 조립체를 수직으로 세워서 상기 굴삭장치에 장착시킨다.
b)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굴삭장치를 가동하여 PHC파일 조립체를 압밀 및 회전시키면서 지반(400)을 천공한다.
c) 도 6b를 참조하면, 조립체 선단부의 오거(200)를 통하여 지반을 천공하여 절삭토를 형성하 는 동안 지상에서 천공홀(401)에 시멘트 페이스트(500)를 공급하여 절삭토와 시멘트 페이스트(500)가 교반시킨다.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의 직경은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에 의해서 천공된 천공홀(401)의 내벽면과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절삭토와 시멘트 페이스트(500)와의 원할한 교반공간을 형성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와 절토용 스크류(220)는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절삭된 절삭토와 시멘트 페이스트(500)의 교반을 원할히 하고 천공홀(401)의 벽면 내부측으로 절삭토 및 시멘트 페이스트(500)를 원할히 압밀시킨다.
d)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와 절토용 스크류(220)의 회전과 관입되는 PHC파일(100)의 체적에 의해서, 상호 교반된 절삭토와 시멘트 페이스트(500)는 천공홀(401)을 벽면을 통하여 지반(400)에 압밀되어 압밀토(410)를 형성하여서 천공홀(4010 주변의 붕괴를 방지하고 지반을 견고하게 한다.
또한, 시공하고자 하는 천공홀(401)의 깊이에 따라 상기 PHC파일(100)의 상단부에 다른 PHC파일(100)을 연결하여 천공홀에 관입한다.
e) 도 6d를 참조하면, PHC파일 조립체의 관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을 통하여 부식방지용 몰탈(600)을 압송하여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을 통하여 상기 오거(200) 내부에 일정압력으로 부식방지용 몰탈(600)을 공급하면, 상기 배출공(201)에 결합된 경사마개(260)가 천공홀(401)측으로 이탈되어 배출공(201)을 개방시킨다.
이어서 개방된 배출공(201)을 통하여 부식방지용 몰탈(600)이 천공홀(401)에 주입되어 상기 오거(200)의 외주면을 포위함으로써 부식이 방지되도록 한다.
100...PHC파일 101...중공
200...오거 210a...돌출부
201...배출공 210...오거몸체
220...절토용 스크류 230...압밀용 스크류
240...주입공간

Claims (6)

  1.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공장 제작된 중공(101)의 PHC파일(100)과,
    상기 PHC파일(100)의 선단에 결합되며 지반(400)을 천공하여 천공홀(401)을 형성하는 오거(200)와,
    상기 PHC파일(100)과 상기 오거(2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오거(200)는 원기둥형의 오거몸체(210)와, 상기 오거몸체(210)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고정되며 상기 오거몸체(210)의 회전시 지반(400)을 절토하는 절토용 스크류(220)와,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거몸체(210)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고정되는 압밀용 스크류(230)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PHC파일(100)의 하단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암나사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오거몸체(21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공(102)과 대향되어 복수의 관통공(261)이 형성된 플랜지(260)와, 상기 관통공(261)을 통하여 상기 암나사공(102)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270)를 구비하며,
    상기 오거몸체(210)는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과 연결되는 중공의 주입공간(240)이 형성되고, 상기 오거몸체(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주입공간(240)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공(201)이 형성되어서,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을 통하여 상기 오거(200) 내부에 일정압력으로 부식방지용 몰탈(600)이 공급되고, 상기 배출공(201)을 통하여 상기 부식방지용 몰탈(600)이 상기 천공홀(401)에 주입되어 상기 오거(200)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되며,
    상기 오거몸체(210)는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에 의해 절삭된 절토의 교반공간 확보 및 상기 부식방지용몰탈(600)의 주입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PHC파일(100)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60)의 상면부에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에 결합되며 상기 주입공간(240)과 연통되는 중공의 돌출부(210a)를 가지며,
    상기 압밀용 스크류(230)의 직경은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하면에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절삭스크류(250)가 고정되되,
    상기 절토용 스크류(220)의 원주 가장자리와 상기 절삭스크류(250)의 원주 가장자리 사이에 단차부(2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배출공(201)은 상기 오거몸체(210)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제1테이퍼면(201a)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배출공(201)을 개폐하며 상기 제1테이퍼면(201a)에 대응되는 제2테이퍼면(261)을 가지는 경사마개(260)를 구비하여서,
    상기 부식방지용 몰탈(600)의 공급압력에 의해서 상기 경사마개(260)가 상기 천공홀(401)측으로 이탈되어서, 상기 부식방지용몰탈(600)이 상기 배출공(201)측으로 토출되어 상기 오거(200)의 외면부를 감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6. 청구항 1의 PHC파일 조립체를 지반에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지상에 PHC파일(100)에 압밀력 및 회전력을 제공하는 굴삭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PHC파일(100)과 상기 오거(200)를 상기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킨 후, 상호 조립된 PHC파일 조립체를 수직으로 세워서 상기 굴삭장치에 장착시키는 단계와;
    b) 상기 굴삭장치를 가동하여 PHC파일 조립체를 압밀 및 회전시켜서 상기 오거(200)를 통하여 지반(400)에 천공홀(401)을 형성하면서 상기 PHC파일(100)을 관입하되,
    상기 오거(200)에 의해 상기 천공홀(401)에 절삭토를 형성하는 동안 지상에서 상기 천공홀(401)에 시멘트 페이스트(500)를 공급하여 절삭토와 시멘트 페이스트(500)를 교반시키는 단계와;
    c) 상기 PHC파일 조립체가 상기 천공홀(401)에 관입이 완료된 후, 상기 PHC파일(100)의 중공(101)을 통하여 부식방지용 몰탈(600)을 압송하여 공급하고,
    상기 배출공(201)을 통하여 부식방지용 몰탈(600)을 천공홀(401)에 공급하여 상기 오거(200)의 외주면을 포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파일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0230196248A 2023-12-29 2023-12-29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Active KR102746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6248A KR102746033B1 (ko) 2023-12-29 2023-12-29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6248A KR102746033B1 (ko) 2023-12-29 2023-12-29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46033B1 true KR102746033B1 (ko) 2024-12-20

Family

ID=9403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6248A Active KR102746033B1 (ko) 2023-12-29 2023-12-29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6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711926A (zh) * 2025-03-04 2025-03-28 陕西隆岳地基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地基施工用钻桩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163A (ko) * 2001-06-19 2001-08-22 임철웅 점성토 연약지반의 복합지반 조성을 위한 시공법 및 그시공물의 구조와 연성 콘크리트 말뚝의 제조방법 및 연성콘크리트 말뚝
KR100762991B1 (ko) 2006-08-08 2007-10-02 지에스이앤씨(주) 고강도 몰탈을 충진하는 기성말뚝 매입공법
KR101662694B1 (ko) * 2016-01-27 2016-10-05 케이피이엔씨 주식회사 내부굴착에 의한 phc 말뚝의 시공방법
KR20190068221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우리가 회전관입식 phc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2107183B1 (ko) 2019-08-21 2020-05-06 박천호 Phc 파일 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교반 연결용 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163A (ko) * 2001-06-19 2001-08-22 임철웅 점성토 연약지반의 복합지반 조성을 위한 시공법 및 그시공물의 구조와 연성 콘크리트 말뚝의 제조방법 및 연성콘크리트 말뚝
KR100762991B1 (ko) 2006-08-08 2007-10-02 지에스이앤씨(주) 고강도 몰탈을 충진하는 기성말뚝 매입공법
KR101662694B1 (ko) * 2016-01-27 2016-10-05 케이피이엔씨 주식회사 내부굴착에 의한 phc 말뚝의 시공방법
KR20190068221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우리가 회전관입식 phc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2107183B1 (ko) 2019-08-21 2020-05-06 박천호 Phc 파일 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교반 연결용 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711926A (zh) * 2025-03-04 2025-03-28 陕西隆岳地基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地基施工用钻桩设备
CN119711926B (zh) * 2025-03-04 2025-05-13 陕西隆岳地基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地基施工用钻桩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735B1 (ko) 회전ㆍ압입에 의한 관입되는 무소음ㆍ무진동 스크류기성말뚝 기초공법
JP5265500B2 (ja) 杭の中掘工法、基礎杭構造
AU2387588A (en) Drills for piles and soil stabilization
KR102746033B1 (ko)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2155530A (ja) 既製杭の埋設方法及び先端金具
KR101662694B1 (ko) 내부굴착에 의한 phc 말뚝의 시공방법
JP5777166B2 (ja) 小口径コンクリート場所打ち杭による地盤補強工法
KR101726229B1 (ko) 바이브레이션 해머를 이용한 파일의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공법
JP4974364B2 (ja) 杭の埋設方法
KR101812463B1 (ko) 선단 확장 강관을 이용한 회전 압입식 파일 시공방법
KR101042271B1 (ko)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KR101042272B1 (ko)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KR101500087B1 (ko) 기존 건물과 일체 거동을 위한 기초슬래브의 보강 공법 및 보강 구조
JP2003119775A (ja) 基礎杭構造
JPS5985028A (ja) 鋼管杭及びその埋設工法
EP1041240A2 (en) Auger drill
JP4811176B2 (ja) 既製杭の施工方法
AU2015349623A1 (en) Construction screw pile
KR100996444B1 (ko)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시공방법과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구조체 및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구조체의 요철단면관
RU2238366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инъекционной сваи
JP4189550B2 (ja) 螺旋羽根付き既製杭の施工方法、推進用ケーシング
JP5777167B2 (ja) 小口径コンクリート場所打ち杭による地盤補強工法
KR100888166B1 (ko) 현장타설 쏘일콘크리트파일의 시공방법 및쏘일콘크리트파일
RU72986U1 (ru) Свая
KR10045044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과 앵커체를 조합한 말뚝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