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7937B1 -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 - Google Patents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7937B1 KR102737937B1 KR1020220091170A KR20220091170A KR102737937B1 KR 102737937 B1 KR102737937 B1 KR 102737937B1 KR 1020220091170 A KR1020220091170 A KR 1020220091170A KR 20220091170 A KR20220091170 A KR 20220091170A KR 102737937 B1 KR102737937 B1 KR 102737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column
- column unit
- girder body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01208 Crucibl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9 fire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유닛의 상면 전방 측에 거더 본체가 거치되고, 기둥 유닛의 상면 일측 측방 측에 거더 본체의 양 단부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편측 거치부가 거치되는 것으로, 시공성과 시공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업업 공법이나 다층 1절주 기둥에 적용 가능하고, 층고 확보에 유리하며, 가설 동바리가 필요 없는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수평 설치형 PC 거더는 복수의 기둥 유닛이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된 기둥 부재의 상기 기둥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상기 기둥 유닛의 상면 전방 측에 거치되는 거더 본체; 상기 거더 본체의 양 단부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둥 유닛의 상면 일측 측방 측에 거치되는 편측 거치부; 및 상기 거더 본체의 상면에 상기 거더 본체보다 폭이 좁고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거더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 단부에는 정착철근이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수평 설치형 PC 거더는 복수의 기둥 유닛이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된 기둥 부재의 상기 기둥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상기 기둥 유닛의 상면 전방 측에 거치되는 거더 본체; 상기 거더 본체의 양 단부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둥 유닛의 상면 일측 측방 측에 거치되는 편측 거치부; 및 상기 거더 본체의 상면에 상기 거더 본체보다 폭이 좁고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거더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 단부에는 정착철근이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둥 유닛의 상면 전방 측에 거더 본체가 거치되고, 기둥 유닛의 상면 일측 측방 측에 거더 본체의 양 단부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편측 거치부가 거치되는 것으로, 시공성과 시공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업업 공법이나 다층 1절주 기둥에 적용 가능하고, 층고 확보에 유리하며, 가설 동바리가 필요 없는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RC) 구조는 거푸집 설치와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순서로 구조물을 시공한다.
이때,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작업이 현장에서 이루어지므로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공기가 많이 소요되며, 균일한 품질 확보가 쉽지 않다. 또한, 거푸집 지지를 위해 외부에 별도의 가설재를 설치해야 하므로 가설재 설치 및 해체 공정이 추가되고, 가설재의 간섭으로 인해 작업자 통행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수반된다.
이에 최근에는 공장 선제작된 PC(Precast Concrete)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는 PC 공법의 적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PC 공법은 공장 선제작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 방법이 간단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별도의 내화 처리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PC 공법에서는 PC 기둥을 세운 다음, PC 거더를 양중하여 PC 기둥 상부로 이동시킨 후 PC 거더를 하강시켜 PC 기둥 상면에 거치하여 골조를 형성한다.
그런데 기둥 선시공 후 지하층과 지상층 슬래브를 동시에 시공하는 업업 공법에서는 지상층에 거더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하층에 거더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양중 장비로 PC 거더를 하강시켜 각 층 기둥 상부에 PC 거더를 거치하는 PC 공법의 특성상 지상층에 선시공된 PC 거더의 간섭으로 인해 지하층 PC 거더를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없다. 따라서 업업 공법에서는 PC 거더를 사용하기 곤란하다.
한편, PC 기둥 상단에는 정착철근이 돌출 구비된다. 그러므로 정착철근의 간섭으로 인해 PC 거더가 PC 기둥 상단에 거치되는 물림 폭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PC 거더가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춤에 비해 폭이 넓은 와이드거더는 PC 거더의 폭이 기둥 폭보다 커 전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등록특허 제10-1586385호는 PC 거더를 폭이 넓은 와이드보로 형성하면서, PC 거더의 단부 양측을 PC 기둥 측으로 연장 형성하여 PC 기둥의 상면 양측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시공 안전성을 확보한다.
그런데 공기 단축을 위해 PC 기둥을 다층 1절주로 형성하여 복수 층을 동시에 시공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PC 거더의 단부가 돌출되면 상부층 기둥 간섭으로 인해 하부층 기둥 상단에 PC 거더를 설치하기 어렵다.
또한, 상하부 기둥 유닛 사이 공간에는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하는데, 양측 PC 거더의 단부가 서로 이격되므로 별도의 타설막이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 기술은 슬래브 시공을 위해 PC 슬래브를 설치할 때 PC 거더 상면에 PC 슬래브가 거치된다. 그러므로 슬래브 하부로 돌출되는 거더 춤이 커 층고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성과 시공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업업 공법이나 다층 1절주 기둥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층고 확보에 유리하며 가설 동바리가 필요 없는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 유닛이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된 기둥 부재의 상기 기둥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PC 거더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상기 기둥 유닛의 상면 전방 측에 거치되는 거더 본체; 상기 거더 본체의 양 단부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둥 유닛의 상면 일측 측방 측에 거치되는 편측 거치부; 및 상기 거더 본체의 상면에 상기 거더 본체보다 폭이 좁고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거더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 단부에는 정착철근이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설치형 PC 거더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 유닛이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된 복수의 기둥 부재; 및 이웃하는 기둥 부재의 상기 기둥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 설치형 PC 거더; 로 구성되되, 인접 설치되는 상기 수평 설치형 PC 거더는 편측 거치부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기둥 유닛의 좌우 측방 측에 각각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거더 후시공 골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기둥 부재의 기둥 유닛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 이웃하는 주형강재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외부에 결합되는 거푸집으로 구성되고, 상하부 기둥 유닛은 상기 주형강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거더 후시공 골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기둥 유닛의 상단에는 상기 PC 거더를 거치하기 위해 양 단부가 기둥 유닛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주형강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받침 부재와 상기 받침 부재의 기둥 유닛 외부로 돌출된 부위 상부를 덮는 커버 부재로 구성되는 거더 브래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거더 후시공 골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주형강재에는 기둥 유닛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기둥 유닛의 상단에 거치된 PC 거더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거더 후시공 골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둥 유닛의 상면 전방 측에 거더 본체가 거치되고, 기둥 유닛의 상면 일측 측방 측에 거더 본체의 양 단부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편측 거치부가 거치되는 수평 설치형 PC 거더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 거더의 단부가 2변에서 기둥 유닛의 상면에 거치되며, PC 거더가 PC 기둥 상단에 거치되는 물림 폭이 충분하므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둘째, 한 쌍의 편측 거치부를 거더 본체의 동일한 변 측에 형성하여 PC 거더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시공된 상부 PC 거더의 간섭이 없어 업업 공법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층 1절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PC 슬래브 또는 데크플레이트가 높이가 낮은 거더 본체의 상면에 거치되므로, PC 슬래브 하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감소하여 층고 확보에 유리하다.
넷째, PC 거더의 거더 본체 상면에 거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좁은 보강부가 구비되는 경우, PC 거더의 처짐을 줄여 가설 동바리를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수평 설치형 PC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2층 1절주인 기둥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PC 거더의 연속 설치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PC 거더의 연속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하부 PC 거더를 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PC 슬래브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기둥 부재가 PSRC 기둥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기둥 부재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거더 브래킷이 구비된 기둥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지지바가 구비된 PC 거더 후시공 골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2층 1절주인 기둥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PC 거더의 연속 설치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PC 거더의 연속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하부 PC 거더를 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PC 슬래브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기둥 부재가 PSRC 기둥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기둥 부재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거더 브래킷이 구비된 기둥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지지바가 구비된 PC 거더 후시공 골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수평 설치형 PC 거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2층 1절주인 기둥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PC 거더의 연속 설치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PC 거더의 연속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하부 PC 거더를 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PC 슬래브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수평 설치형 PC 거더는 복수의 기둥 유닛(10)이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된 기둥 부재(1)의 상기 기둥 유닛(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면 전방 측에 거치되는 거더 본체(21); 및 상기 거더 본체(21)의 양 단부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면 일측 측방 측에 거치되는 편측 거치부(2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공성과 시공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업업 공법이나 다층 1절주 기둥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층고 확보에 유리하며 가설 동바리가 필요 없는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수평 설치형 PC 거더(2)는 공장 등에서 선제작되는 것으로, 현장에서 미리 설치된 기둥 부재(1)에 조립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이다.
상기 기둥 부재(1)는 복수의 기둥 유닛(10)이 상하로 이격되게 상호 연결된 다층 1절주 부재이다.
상기 기둥 부재(1)가 PC 부재인 경우, 상하부 기둥 유닛(10)은 주철근(101)이 서로 연결되어 상하로 서로 이격된다(도 2).
상기 PC 거더(2)는 기둥 부재(1)의 상기 기둥 유닛(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각 기둥 유닛(10)의 상단에 거치되어 설치된다(도 3 등).
상기 PC 거더(2)는 거더 본체(21)와 한 쌍의 편측 거치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더 본체(21)는 장방형 평면으로 높이보다 폭이 큰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거더 본체(21)는 와이드거더를 형성하기 위해 기둥 유닛(10)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더 본체(21)는 단변 측 단부 즉,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면 전방 측에 거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 유닛(10)의 전방 측은 거치되는 PC 거더(2) 측을 의미한다.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부에는 상부 기둥 유닛(10)과의 연결을 위해 주철근(101) 등이 돌출 형성되므로, 주철근(101) 외부의 피복 두께 부분에 거더 본체(21)의 단부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편측 거치부(22)는 거더 본체(21)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거더 본체(21)와 일체로 연장되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편측 거치부(22)는 PC 거더(2)가 설치되는 기둥 유닛(10)의 상면 일측 측방 측에 거치된다.
따라서 상기 PC 거더(2)는 단부가 2변에서 기둥 유닛(10)의 상면에 거치되므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PC 거더(2)에 구비되는 한 쌍의 편측 거치부(22)는 거더 본체(21)의 동일한 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PC 거더(2)를 기둥 부재(1)의 측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기둥 유닛(10)에 PC 거더(2)가 기설치된 경우에도 하부 기둥 유닛(10)에 PC 거더(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 가능하다(도 5).
이웃하는 기둥 부재(1) 사이 스팬에 PC 거더(2)를 설치한 후 인접하는 스팬에 설치되는 PC 거더(2)는 먼저 설치된 PC 거더(2)와 편측 거치부(22)를 반대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다(도 3).
이에 따라 하나의 기둥 유닛(10) 상부에 설치되는 2개의 PC 거더(2) 중 일측 PC 거더(2)의 편측 거치부(22)는 기둥 유닛(10)의 좌측 변에, 타측 PC 거더(2)의 편측 거치부(22)는 기둥 유닛(10)의 우측 변에 각각 거치되어 상호 간섭 없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편측 거치부(22)는 기둥 유닛(10) 상면의 일측 측방 측 변 길이 전체에 걸쳐 거치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편측 거치부(22)는 기둥 유닛(10)의 상부에 현장 콘크리트 타설 시 타설막이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 본체(21)의 상면 장변 측 측방에는 슬래브 시공을 위해 PC 슬래브(3) 또는 데크플레이트가 거치될 수 있다.
상기 PC 슬래브(3)는 중량 절감을 위해 할로우 코어 슬래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C 슬래브(3)는 높이가 낮은 거더 본체(21)의 상면에 거치되므로, PC 슬래브(3) 하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감소하여 층고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PC 거더(2)와 PC 슬래브(3)를 설치한 후에는 PC 슬래브(3)와 PC 거더(2) 및 기둥 유닛(10)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호 일체화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PC 거더(2)의 단부 및 상면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정착되는 정착철근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 본체(21)의 상면에는 상기 거더 본체(21)보다 폭이 좁은 보강부(23)가 거더 본체(21)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수평 설치형 PC 거더(2)는 춤보다 폭이 큰 와이드거더로 형성되므로, 시공 중 처짐이 과도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가설 동바리를 설치하여 PC 거더(2)를 지지해야 한다.
따라서 시공 중 PC 거더(2)의 처짐을 줄여 가설 동바리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거더 본체(21)의 상면에 거더 본체(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부(23)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더 본체(21)의 좌우 양측 상면에는 PC 슬래브(3) 또는 데크플레이트가 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보강부(23)는 거더 본체(21)보다 폭을 좁게 형성하여 거더 본체(21)의 양측 상면이 노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PC 거더(2)의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강부(23)는 평면상 좌우 양 측면 중앙부가 오목하고 양 단부는 확대된 독본(dog bone)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3)의 측면 중앙을 오목하게 형성하면, PC 거더(2)의 측면에 PC 빔(미도시)의 단부가 거치되는 경우 PC 빔 단부의 정착철근이 수용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PC 슬래브(3) 설치 시, 상기 PC 슬래브(3)는 단부를 보강부(23)의 측면에 밀착시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도 6).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23)는 거더 본체(21)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23)의 단부에는 정착철근(23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더 본체(21)의 길이 방향 단부에 정착철근(231)이 돌출되면, PC 거더(2)를 수평 이동하여 기둥 유닛(10)의 상단으로 진입시킬 때 기둥 유닛(10) 상부의 주철근(101)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더 본체(2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보강부(23)를 이용하여 보강부(23)의 길이를 거더 본체(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거더 본체(21)와 보강부(23)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23)의 단부에 정착철근(231)을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PC 거더(2) 설치 시 상하부 기둥 유닛(10) 사이의 주철근(101) 등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정착철근(231)은 거더 본체(21)의 단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단에 양측 PC 거더(2)를 설치한 후 양측 PC 거더(2)의 정착철근(231)을 잇는 이음철근을 배근하고,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인접하는 PC 거더(2)를 상호 이음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PC 거더 후시공 골조는 복수의 기둥 유닛(10)이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된 복수의 기둥 부재(1); 및 이웃하는 기둥 부재(1)의 상기 기둥 유닛(10)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 설치형 PC 거더(2); 로 구성되되, 인접 설치되는 상기 수평 설치형 PC 거더(2)는 편측 거치부(22)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기둥 유닛(10)의 좌우 측방 측에 각각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 부재(1)는 복수의 기둥 유닛(10)을 상하로 연결한 다층 1절주 부재이다.
1열로 배치된 기둥 유닛(10) 사이에 설치되는 각 PC 거더(2)들은 인접하는 PC 거더(2)와 평면상 종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 유닛(10)의 좌측과 우측에서 교대로 PC 거더(2)를 수평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단에 거치되는 양측 PC 거더(2)는 편측 거치부(22)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인접하는 PC 거더(2)의 편측 거치부(22)에 의해 기둥 유닛(10)의 상부 내부 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이웃하는 열의 PC 거더(2) 사이에는 PC 슬래브(3)나 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기둥 부재가 PSRC 기둥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기둥 부재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 부재(1)의 기둥 유닛(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11), 이웃하는 주형강재(11)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12) 및 상기 연결바(12)의 외부에 결합되는 거푸집(13)으로 구성되고, 상하부 기둥 유닛(10)은 상기 주형강재(1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둥 부재(1)는 PC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다층 1절주 기둥을 PC 부재로 형성하면 중량이 과도하게 커져 양중이 곤란하다.
이에 상기 기둥 부재(1)의 기둥 유닛(10)을 PSRC 기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PSRC 기둥은 주형강재(11)를 외곽에 배치하고, 이웃하는 주형강재(11)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바(12)의 외부에 거푸집(13)이 일체로 구비된 선조립 기둥 조립체이다. 이러한 PSRC 기둥은 공장 등에서 선제작하여 현장에 세운 후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되는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이다.
PSRC 기둥은 PC 부재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다층 1절주로 형성하여도 양중 부담이 적다.
상기 기둥 유닛(10)은 기둥 유닛(10)의 각 모서리에 부재 면과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주형강재(11)가 배치된다. 이웃하는 주형강재(11)는 기둥 유닛(10)의 횡방향으로 연결바(1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주형강재(11)와 연결바(12)는 앵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12)는 주형강재(11)의 외측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주형강재(11)는 현장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기둥 유닛(10)의 주근 역할을 하고, 연결바(12)는 띠철근 역할을 한다.
상기 기둥 유닛(10)의 외부에는 거푸집(13)이 결합되는데, 상기 거푸집(13)은 경량이면서도 높은 강성을 발휘하도록 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13)은 기둥 유닛(10)에 영구 존치되는 영구 거푸집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탈형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거푸집(13)은 연결바(12)에 결합된다.
상기 거푸집(13)은 연결바(12)를 통해 주형강재(11)에 고정되므로, 별도로 거푸집 지지를 위한 가설 지지대가 필요 없다.
이때, 상하부 기둥 유닛(10)은 기둥 유닛(10)의 주형강재(1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주형강재(11)는 기둥 부재(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 형성되고, 각 층 기둥 유닛(10)마다 주형강재(11)의 외부에 연결바(12)와 거푸집(13)을 설치하여 상하부 기둥 유닛(10)을 형성할 수 있다.
강성이 큰 주형강재(11)에 의해 상하부 기둥 유닛(10)이 연결되면, 시공 중 변형 우려가 없어 부재 절곡이나 전도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거더 브래킷이 구비된 기둥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단에는 상기 PC 거더(2)를 거치하기 위해 양 단부가 기둥 유닛(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주형강재(11)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받침 부재(141)와 상기 받침 부재(141)의 기둥 유닛(10) 외부로 돌출된 부위 상부를 덮는 커버 부재(142)로 구성되는 거더 브래킷(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둥 부재(1)를 PC 부재로 형성하면, 기둥 유닛(10)의 상면이 콘크리트 평탄면이므로 PC 거더(2)를 쉽게 거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기둥 부재(1)를 PSRC 기둥으로 형성할 경우, PC 거더(2)를 설치한 후 기둥 부재(1)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에 상기 PC 거더(2)를 기둥 유닛(10) 상단에 거치 시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 부재(141)와 커버 부재(142)로 구성된 거더 브래킷(14)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 유닛(10)의 주형강재(11)를 이용하여 주형강재(11)에 횡방향으로 복수의 받침 부재(141)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부재(141)는 양단이 기둥 유닛(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에 PC 거더(2)가 거치된다.
상기 받침 부재(141)는 주형강재(11)의 측면에 볼트 고정되는 플레이트 또는 ㄱ형강이나 ㄷ형강 등일 수 있다.
상기 받침 부재(141)는 복수 개를 각각 다른 열의 주형강재(11)에 결합하여 서로 분리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상기 PC 거더(2)의 수평 이동 설치 시 PC 거더(2)의 하부가 받침 부재(141)에 걸려 설치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받침 부재(141)의 기둥 유닛(10) 외부로 돌출된 부위 상부를 커버 부재(142)로 덮어 연속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142)는 PC 거더(2)의 하면이 접촉되는 부위에 설치한다.
도 10은 지지바가 구비된 PC 거더 후시공 골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형강재(11)에는 기둥 유닛(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기둥 유닛(10)의 상단에 거치된 PC 거더(2)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바(1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PC 거더(2)를 설치한 후 외부 충격에 의한 PC 거더(2)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주형강재(11)에 지지바(15)를 결합하여 양측 PC 거더(2)를 지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바(15)는 PC 거더(2)의 거더 본체(21) 상면에 밀착되도록 주형강재(11)의 일측에 볼트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거더 본체(21)의 상부에 보강부(23)가 돌출 형성된 경우, 상기 보강부(23)를 거더 본체(21)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지지바(15)를 거더 본체(21)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바(15)는 PC 거더(2)의 보강부(23) 단부에 돌출된 정착철근(231)과 이음되어 양측 PC 거더(2)의 단부를 연속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1: 기둥 부재
10: 기둥 유닛
101: 주철근
11: 주형강재
12: 연결바
13: 거푸집
14: 거더 브래킷
141: 받침 부재
142: 커버 부재
15: 지지바
2: PC 거더
21: 거더 본체
22: 편측 거치부
23: 보강부
231: 정착철근
3: PC 슬래브
10: 기둥 유닛
101: 주철근
11: 주형강재
12: 연결바
13: 거푸집
14: 거더 브래킷
141: 받침 부재
142: 커버 부재
15: 지지바
2: PC 거더
21: 거더 본체
22: 편측 거치부
23: 보강부
231: 정착철근
3: PC 슬래브
Claims (7)
- 복수의 기둥 유닛(10)이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된 기둥 부재(1)의 상기 기둥 유닛(10) 사이에 설치되는 PC 거더(2)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면 전방 측에 거치되는 거더 본체(21);
상기 거더 본체(21)의 양 단부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면 일측 측방 측에 거치되는 편측 거치부(22); 및
상기 거더 본체(21)의 상면에 상기 거더 본체(21)보다 폭이 좁고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거더 본체(21)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 단부에는 정착철근(231)이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2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설치형 PC 거더.
- 삭제
- 삭제
- 복수의 기둥 유닛(10)이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된 복수의 기둥 부재(1); 및
이웃하는 기둥 부재(1)의 상기 기둥 유닛(10) 사이에 설치되는 제1항에 의한 수평 설치형 PC 거더(2); 로 구성되되,
인접 설치되는 상기 수평 설치형 PC 거더(2)는 편측 거치부(22)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기둥 유닛(10)의 좌우 측방 측에 각각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거더 후시공 골조.
- 제4항에서,
상기 기둥 부재(1)의 기둥 유닛(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11), 이웃하는 주형강재(11)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12) 및 상기 연결바(12)의 외부에 결합되는 거푸집(13)으로 구성되고, 상하부 기둥 유닛(10)은 상기 주형강재(1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거더 후시공 골조.
- 제5항에서,
상기 기둥 유닛(10)의 상단에는 상기 PC 거더(2)를 거치하기 위해 양 단부가 기둥 유닛(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주형강재(11)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받침 부재(141)와 상기 받침 부재(141)의 기둥 유닛(10) 외부로 돌출된 부위 상부를 덮는 커버 부재(142)로 구성되는 거더 브래킷(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거더 후시공 골조.
- 제5항에서,
상기 주형강재(11)에는 기둥 유닛(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기둥 유닛(10)의 상단에 거치된 PC 거더(2)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바(1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거더 후시공 골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1170A KR102737937B1 (ko) | 2022-07-22 | 2022-07-22 |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 |
PCT/KR2023/009768 WO2024019388A1 (ko) | 2022-07-22 | 2023-07-10 |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1170A KR102737937B1 (ko) | 2022-07-22 | 2022-07-22 |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3524A KR20240013524A (ko) | 2024-01-30 |
KR102737937B1 true KR102737937B1 (ko) | 2024-12-04 |
Family
ID=8961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1170A Active KR102737937B1 (ko) | 2022-07-22 | 2022-07-22 |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37937B1 (ko) |
WO (1) | WO2024019388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175B1 (ko) * | 2009-05-11 | 2011-05-23 | 대림산업 주식회사 | 피알씨 복합화 공법에 의한 건축 구조물에 이용되는 피씨 보의 연속식 결속구조 |
KR101459003B1 (ko) * | 2014-02-05 | 2014-11-07 | 덕산콘크리트(주) |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와이드 거더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63802A (ja) * | 2006-09-07 | 2008-03-21 | Takenaka Komuten Co Ltd |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部材同士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
KR101012402B1 (ko) * | 2010-10-12 | 2011-02-09 | (주)다음기술단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
KR102440832B1 (ko) * | 2020-09-08 | 2022-09-06 | 주식회사 비에스티엔지니어링 | 절곡철근을 이용한 pc 보-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2022
- 2022-07-22 KR KR1020220091170A patent/KR102737937B1/ko active Active
-
2023
- 2023-07-10 WO PCT/KR2023/009768 patent/WO2024019388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175B1 (ko) * | 2009-05-11 | 2011-05-23 | 대림산업 주식회사 | 피알씨 복합화 공법에 의한 건축 구조물에 이용되는 피씨 보의 연속식 결속구조 |
KR101459003B1 (ko) * | 2014-02-05 | 2014-11-07 | 덕산콘크리트(주) |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와이드 거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3524A (ko) | 2024-01-30 |
WO2024019388A1 (ko) | 2024-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130444A1 (en) | Tilt-Up Concrete Spandrel Assemblies and Methods | |
RU2318099C1 (ru) |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й каркас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 |
US20040098934A1 (en) | Load bearing building panel | |
US20220356706A1 (en) | Reinforcing Steel Skeletal Framework | |
KR100923634B1 (ko) | 철재 계단이 구비된 건축 모듈러 유닛 | |
KR102296982B1 (ko) |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 |
US20240084579A1 (en) | Composite frame having end-embedded girder joint structure | |
KR100923564B1 (ko) |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 |
KR20190084712A (ko) |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 |
KR101735077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 |
KR102737937B1 (ko) | 수평 설치형 p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pc 거더 후시공 골조 | |
KR102289243B1 (ko) | 철근 선조립기둥, u형 강판보 및 골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식화공법 | |
KR102266630B1 (ko) | 모듈러 바닥판을 이용한 합성보 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 |
JP4528432B2 (ja) |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階段の製造方法及びササラ桁用型枠 | |
KR100837831B1 (ko) |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 |
KR20220153333A (ko)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
RU2206673C2 (ru) |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каркасов | |
RU2272108C2 (ru) | Каркас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 |
JPH084195A (ja) | 建物用パネル | |
KR100195785B1 (ko) | 기성콘크리트기둥과 기성콘크리트거더의 연결구조및 그 시공방 법 | |
KR102634379B1 (ko) | Pc 보 접합용 선조립기둥조립체 일체형 선조립브래킷조립체 | |
KR102533400B1 (ko) |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SU1090835A1 (ru) | Многоэтажное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 |
KR930005630B1 (ko) | 건축물의 조립식 슬라브 | |
SU1214874A1 (ru) |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й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каркас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8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