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7661B1 - Load transfer system for remodeling using underground beam - Google Patents
Load transfer system for remodeling using underground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7661B1 KR102737661B1 KR1020220113308A KR20220113308A KR102737661B1 KR 102737661 B1 KR102737661 B1 KR 102737661B1 KR 1020220113308 A KR1020220113308 A KR 1020220113308A KR 20220113308 A KR20220113308 A KR 20220113308A KR 102737661 B1 KR102737661 B1 KR 1027376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nsion
- foundation
- underground beam
- existing
- exist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14 physical perform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9—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of foundations or foundatio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델링 공사에서 증축부 시공 시, 신설 기초 하부의 지중보에 매립되는 긴장재를 긴장하여 기존 구조물에 상향력을 가함으로써, 증축부로 인한 추가 하중이 기존 기초나 말뚝에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설 기초 내지 신설 말뚝으로 전이되도록 하여 기존 말뚝과 신설 말뚝 사이 하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은 기존 구조물을 증축하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증축부의 하중을 전이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존 구조물 하부의 기존 기초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신설 기초; 양측의 신설 기초 하부에 각각 평면상 기존 구조물의 양단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긴장재의 긴장에 의해 상향 캠버가 도입되어 기존 구조물에 상향력을 가하는 지중보; 및 상기 지중보의 단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지중보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말뚝; 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중보의 캠버에 의해 기존 기초에 상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증축부가 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transfer system for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which, when constructing an extension in a remodeling project, applies an upward force to an existing structure by tensioning a tendon embedded in an underground beam under a new foundation, thereby preventing additional load due to the extension from being added to an existing foundation or piles and transferring it to a new foundation or new piles, thereby resolving load imbalance between existing piles and new piles.
The load transfer system for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ransferring the load of an extension in a remodeling construction project for extending an existing structure, and comprises: a new foundation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of an existing foundation under an existing structure; an underground beam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each side of the new foundation on both sides in a plane toward both ends of the existing structure, and introducing an upward camber by the tension of a tendon provided inside to apply an upward force to the existing structure; and support piles provided under each end of the underground beam to support the load of the underground beam;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is constructed in a state where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by the camber of the underground beam.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모델링 공사에서 증축부 시공 시, 신설 기초 하부의 지중보에 매립되는 긴장재를 긴장하여 기존 구조물에 상향력을 가함으로써, 증축부로 인한 추가 하중이 기존 기초나 말뚝에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설 기초 내지 신설 말뚝으로 전이되도록 하여 기존 말뚝과 신설 말뚝 사이 하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transfer system for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which, when constructing an extension in a remodeling project, applies an upward force to an existing structure by tensioning a tendon embedded in an underground beam under a new foundation, thereby preventing additional load due to the extension from being added to an existing foundation or piles and transferring it to a new foundation or new piles, thereby resolving load imbalance between existing piles and new piles.
대규모로 아파트가 공급된 1기 신도시들이 건설된 지 30년이 경과되어 노후화된 아파트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민간 재건축 규제 강화로 인해 그 대안으로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As the first new towns that supplied apartments on a large scale have been built for 30 years and the number of aging apartments is rapidly increasing, interest in remodeling as an alternative is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strengthening of regulations on private reconstruction.
리모델링(remodeling)이란 건축물의 노후화를 억제하거나 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대수선하거나 건축물의 일부를 증축 또는 개축하는 행위이다(건축법 제2조제1 항제10호). 이에 신축이나 재건축과 달리 기존 건축물을 허물지 않고 보존하면서 사용중인 건축물의 물리적 성능을 유지하는 한편 사회적 성능을 개선하는 활동을 의미한다.Remodeling is an act of major repair or expansion or reconstruction of a part of a building to prevent the aging of a building or to improve its function (
이러한 리모델링 사업 중 기존 건축물의 연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증축에 대한 관심이 높다.Among these remodeling projects, there is a lot of interest in extensions that can increase the floor area of existing buildings.
공동주택 리모델링은 기존 구조물 옆에 수평 방향으로 증축부를 신설하는 수평 증축 방식과 기존 구조물 상부에 증축부를 신설하여 층수를 증가시키는 수직 증축 방식이 있다. 상기 방식들 모두 연직 하중이 증가되므로 증축으로 인한 추가 연직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말뚝을 추가 시공해야 한다.Apartment remodeling can be divided into a horizontal extension method, where a horizontal extension is built next to the existing structure, and a vertical extension method, where a new extension is built on top of the existing structure to increase the number of floors. Since both of the above methods increase the vertical load, additional piles must be constructed to support the additional vertical load caused by the extension.
그러나 말뚝을 추가로 신설하더라도 기존 말뚝의 하중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신설 말뚝과 기존 말뚝 간 하중 불균형이 불가피하다.However, even if additional piles are installed, the load burden on the existing piles will inevitably increase, so a load imbalance between the new piles and the existing piles is inevitable.
뿐만 아니라 기존 말뚝과 신설되는 보강 말뚝은 주변 지반의 변위차로 인해 주면 마찰력이 상이하고, 말뚝의 탄성 변형량 또한 차이가 있어 상호 상이한 거동 특성을 나타낸다.In addition, existing piles and newly installed reinforced piles have different frictional forces due to the difference in displacement of the surrounding ground, and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iles is also different, so they exhibit differ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등록특허 제10-1826086호에는 수직 증축부와 수평 증축부를 포스트텐션에 의해 구조적으로 일체화하는 대신 수직 증축부 및 수평 증축부와 기존 건축물을 구조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수직, 수평 증축부의 연직 하중을 기존 건축물이 아닌 수직, 수평 증축부가 최대한 부담하는 기술이 개시된다.Patent registration No. 10-1826086 discloses a technology in which, instead of structurally integrating a vertical extension and a horizontal extension through post-tension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xtensions are structurally separated from the existing building, so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xtensions bear the vertical load as much as possible, not the existing building.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증축부와 기존 건축물을 지지하는 기초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증축부 하중이 기초를 통해 기존 건축물을 지지하는 기존 말뚝에 가중될 수밖에 없다.However, since the above registered patent has the foundation supporting the extension and the existing build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oad of the extension cannot help but be added to the existing piles supporting the existing building through the foundation.
공개특허 제10-2021-0152183호는 수평 증축부를 기존 건축물과 이격시키고 이들을 댐퍼부로 상호 연결하는 기술이 개시된다.Publication No. 10-2021-0152183 discloses a technology for separating a horizontal extension from an existing building and interconnecting them with a damper section.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증축부와 기존 건축물을 완전히 분리하므로, 수평 증축부와 기존 건축물의 내부 실을 기능적으로 통합하기 어렵다. However, since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completely separates the extension from the existing building, it is difficult to functionally integrate the horizontal extension and the internal rooms of the existing build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모델링 공사에서 증축부로 인한 구조물의 추가 하중이 기존 기초 또는 기존 말뚝에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설 기초 내지 신설 말뚝으로 전이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말뚝과 신설 말뚝 사이 하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 transfer system for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which can eliminate load imbalance between existing piles and new piles by preventing additional load of a structure due to an extension during a remodeling project from being applied to an existing foundation or existing piles and transferring it to a new foundation or new piles.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기존 구조물을 증축하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증축부의 하중을 전이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존 구조물 하부의 기존 기초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신설 기초; 양측의 신설 기초 하부에 각각 평면상 기존 구조물의 양단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긴장재의 긴장에 의해 상향 캠버가 도입되어 기존 구조물에 상향력을 가하는 지중보; 및 상기 지중보의 단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지중보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말뚝; 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중보의 캠버에 의해 기존 기초에 상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증축부가 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for transferring the load of an extension in a remodeling construction for adding to an existing structure, and provides a load transfer system for an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the system comprising: a new foundation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of an existing foundation under an existing structure; a ground beam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each side of the new foundation on both sides in a plane toward both ends of the existing structure, and introducing an upward camber by the tension of a tendon provided inside to apply an upward force to the existing structure; and support piles provided under each end of the ground beam to support the load of the ground beams; The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is constructed in a state where the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by the camber of the ground beam.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증축부는 일측이 기존 구조물과 접합되도록 상기 신설 기초의 상부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 transfer system for a remodeled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gird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is constructed on top of the newly constructed foundation so that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an existing structur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중보의 내측 또는 외측의 신설 기초 하부에는 신설 말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 transfer system for a remodeled extension using a 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a new pile is provided under a new founda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ground beam.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기존 구조물을 증축하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증축부의 하중을 전이시키기 위한 것으로, (a) 기존 구조물 하부의 기존 기초 양측 하부 지반을 굴착하여 평면상 기존 구조물의 양단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각각 트렌치를 형성하되, 상기 트렌치의 형성 전 또는 후에 상기 트렌치의 기존 구조물 외측 지반에 지지말뚝을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지중보를 시공하는 단계; (c) 상기 지중보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존 구조물 하부의 기존 기초 단부에 연장되는 신설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지중보의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상향 캠버가 도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지중보의 캠버에 의해 기존 기초에 상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기존 구조물에 증축부를 신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ferring the load of an extension section in a remodeling construction project for adding to an existing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s of: (a) excavating the lower ground on both sides of an existing foundation under an existing structure to form trenches so as to protrude to both ends of the existing structure in a plane, and constructing support piles on the ground outside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trenches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trenches; (b) constructing an underground beam inside the trench; (c) constructing a new foundation extending to the end of the existing foundation under the existing structure by pouring concrete on top of the underground beam; (d) applying a compressive prestress to the lower part of the underground beam to introduce an upward camber; and (e) constructing an extension section on the existing structure while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by the camber of the underground beam.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트렌치 형성 후 트렌치에 길이 방향으로 긴장재를 배치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지중보 시공 시 콘크리트 내부에 긴장재가 매립되도록 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중보의 긴장재를 긴장하여 지중보에 상향 캠버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 transfer method for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in step (a), after forming the trench, a tension member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rench, so that the tension member is embedded in the concrete when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beam in step (b), and in step (d), the tension member of the underground beam is tensioned, so that an upward camber is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beam.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트렌치 형성 후 트렌치에 길이 방향으로 쉬스관을 배치하여, 상기 (b) 단계 또는 (c) 단계에서 지중보의 시공 완료 후 쉬스관 내부에 긴장재를 삽입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중보의 긴장재를 긴장하여 지중보에 상향 캠버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 transfer method for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after forming the trench in step (a), a sheath pipe is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rench, after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an underground beam in step (b) or (c), a tension member is inserted inside the sheath pipe, and in step (d), the tension member of the underground beam is tensioned to introduce upward camber to the underground beam.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신설 기초의 시공 완료 후 일측이 기존 구조물과 접합되도록 증축부의 하부 일부층을 선시공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증축부의 상부 잔여층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ferring load of a remodeled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slab, characterized in that, in step (c),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ew foundation is completed, a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is pre-construct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structure, and in step (e), the upper remaining layer of the extension is constructed.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신설 기초가 시공될 위치의 하부 지반에 신설 말뚝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ferring load of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slab, characterized in that, prior to step (c), a new pile is constructed in the lower ground at a location where the new foundation is to be constructed.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델링 공사에서 증축 시, 기존 구조물 하부의 기존 기초 양측에 형성되는 신설 기초 하부의 지중보에 긴장재를 매립 설치하고, 긴장재를 긴장하여 지중보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n extension in a remodeling construction, a load transfer system for a remodeling extension section can be provided by installing a tension member embedded in a new foundation formed on both sides of an existing foundation under an existing structure, and introducing a compressive prestress to the lower part of the foundation b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이에 따라 지중보에 상향의 캠버가 도입되어 이로 인한 상향력이 신설 기초와 기존 기초에 전달되어 기존 말뚝의 하중 부담을 경감함으로써, 증축부로 인한 하중이 기존 기초 또는 말뚝에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설 기초 내지 신설 말뚝으로 전이되어 기존 말뚝과 신설 말뚝 사이 하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ly, an upward camber is introduced into the slab, and the resulting upward force is transmitted to the new foundation and the existing foundation, thereby reducing the load burden on the existing piles, thereby preventing the load caused by the extension from being add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or piles and transferring it to the new foundation or the new piles, thereby resolving the load imbalance between the existing piles and the new piles.
도 1은 본 발명 하중 전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지중보 캠버에 의한 상향력 도입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신설 말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기존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5는 기존 기초의 양측에 트렌치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지중보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신설 기초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지중보에 상향 캠버가 도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9는 수평 증축부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0은 트렌치의 양단 저면에 지지말뚝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1은 증축부의 하부 일부층이 선시공된 상태에서 지중보에 캠버가 도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신설 기초 하부에 신설 말뚝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ad transf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concept of introducing upward force by means of a ground camber.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new piles have been install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us of an existing structure.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rench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n existing founda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underground dam has been constructed.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new foundation has been constructe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upward camber is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dam.
Figure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extension has been constructe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support pile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s of both ends of a trench.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amber is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beam while the lower part of the extension has been pre-constructed.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new piles have been constructed under a new foundation.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하중 전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지중보 캠버에 의한 상향력 도입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ad transf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concept of introducing upward force by means of a ground camber.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은 기존 구조물(2)을 증축하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증축부(3)의 하중을 전이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존 구조물(2) 하부의 기존 기초(21)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신설 기초(31); 및 양측의 신설 기초(31)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긴장재(41)의 긴장에 의해 상향 캠버가 도입되어 기존 구조물(2)에 상향력을 가하는 지중보(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FIG. 2, etc., the load transfer system of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ransferring the load of an extension (3) in a remodeling construction project of extending an existing structure (2), and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new foundation (31) formed to extend on both sides of an existing foundation (21) under an existing structure (2); and an underground beam (4) provided under the new foundation (31) on both sides, which introduces an upward camber by the tension of a tension member (41) provided inside, thereby applying an upward force to the existing structure (2).
본 발명은 수평 증축 리모델링 공사 등에서 증축부(3)로 인한 구조물의 추가 하중이 기존 기초(21) 또는 기존 말뚝(22)에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설 기초(31) 내지 신설 말뚝(32)으로 전이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말뚝(22)과 신설 말뚝(32) 사이 하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1)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 transfer system (1) for a remodeled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which can eliminate load imbalance between an existing pile (22) and a new pile (32) by preventing additional load of a structure due to an extension (3) in a horizontal extension remodeling construction project from being applied to an existing foundation (21) or an existing pile (22) and transferring the load to a new foundation (31) or a new pile (32).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 기존 구조물(2)을 증축하는 리모델링 공사에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remodeling work for adding to existing structures (2) such as apartment complexes.
본 발명은 특히 기존 구조물(2)의 측방에 수평 증축부(3)를 신설하는 수평 증축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것이나 수직 증축 리모델링 공사에서 수직 증축으로 인한 추가 하중을 기존 구조물(2)의 외부로 전이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horizontal extension remodeling construction that newly installs a horizontal extension (3) on the side of an existing structure (2), but also to vertical extension remodeling construction when it is necessary to transfer additional load due to vertical extension to the outside of the existing structure (2).
기존 구조물(2)의 하부에는 기존 기초(21)와 기존 말뚝(22)이 구비된다. 즉, 기존 구조물(2)은 기존 기초(21) 상부의 상부 구조물을 의미한다.An existing foundation (21) and an existing pile (22)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xisting structure (2). That is, the existing structure (2) means an upper structure above the existing foundation (21).
상기 기존 기초(21)는 기존 구조물(2)의 하부 전체 면적에 걸쳐 구비되는 매트 기초일 수 있다.The above existing foundation (21) may be a mat foundation provided over the entire lower area of the existing structure (2).
상기 기존 기초(21)의 양측에는 신설 기초(31)가 각각 시공된다.A new foundation (31) is constructed on each side of the existing foundation (21).
상기 신설 기초(31)는 기존 기초(21)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기존 기초(21) 외측으로 돌출된다.The above-mentioned new foundation (31) is formed integrally by extending from the existing foundation (21) and protrudes outside the existing foundation (21).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설 기초(31)는 기존 구조물(2)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기존 구조물(2)의 길이 방향(장변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new foundation (31) is formed lengthwis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 side direc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2)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existing structure (2).
상기 지중보(4)는 각 신설 기초(31)의 하부에 구비된다.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newly constructed foundation (31).
상기 지중보(4)는 신설 기초(3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속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dam (4)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new foundation (31).
상기 지중보(4)는 현장 타설되는 RC 부재 또는 공장 제작되는 PC 부재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lab (4) can be a RC member cast on site or a PC member manufactured at a factory.
상기 지중보(4)의 내부에는 긴장재(41)가 매립 설치된다.Tension material (41) is installed embedded inside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tructure (4).
상기 긴장재(41)는 지중보(4)의 하부에 직선 배치되거나 도 2와 같이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로 곡선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tension member (41) can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t the bottom of the ground beam (4) or in a curved shape in a downward convex parabolic shape as shown in Fig. 2.
상기 긴장재(41)는 단부가 지중보(4)의 단부로 노출되고, 상기 지중보(4)의 단부에는 긴장재(41)의 정착 및 긴장을 위한 정착구(42)가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tension member (41) has an end exposed to the end of the ground beam (4), and an anchorage (42) for anchoring and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41)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ground beam (4).
상기 지중보(4)와 신설 기초(31)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긴장재(41)를 긴장하여 지중보(4)의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면 지중보(4)에 상향의 캠버(camber)가 형성된다(도 2).When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and the new foundation (31) are formed as one piece and the above-mentioned tension member (41) is tensioned to introduce compressive prestress to the lower part of the underground beam (4), an upward camber is formed in the underground beam (4) (Fig. 2).
이렇게 상기 지중보(4)에 캠버를 도입하면 신설 기초(31)에 상향력이 작용하고, 신설 기초(31)와 일체로 연결된 기존 기초(21)에 상기 상향력이 전달된다.When camber is introduced to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lab (4) in this way,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new foundation (31), and the upward force is transmitt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new foundation (31).
이에 따라 기존 말뚝(22)의 하중 부담이 미리 경감되어 증축부(3) 시공 시 증축부(3)로 인한 하중 증가를 상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ad burden of the existing pile (22) is reduced in advance, so that the increase in load due to the extension (3) can be offset when constructing the extension (3).
상기 지중보(4)에 의한 상향력의 크기는 증축부(3)로 인해 기존 말뚝(22)에 추가로 예상되는 하중과 대응되도록 구조계산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The size of the upward force by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can be set through structural calculation to correspond to the additional load expected on the existing pile (22) due to the extension (3).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보(4)는 평면상 기존 구조물(2)의 양단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중보(4)의 단부 하부에는 지중보(4)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말뚝(5)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ground beam (4) is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existing structure (2) in a plane, and a support pile (5) that supports the load of the ground beam (4)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ground beam (4).
상기 지중보(4)의 상향 캠버에 의해 신설 기초(31)와 기존 기초(21) 및 기존 구조물(2)에 상향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향력으로 인해 지중보(4)에 작용하는 반력을 지지하여야 한다.In order to apply an upward force to the new foundation (31), the existing foundation (21) and the existing structure (2) by the upward camber of the above-mentioned slab (4),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slab (4) due to this upward force must be supported.
이를 위해 상기 지중보(4)의 단부를 기존 구조물(2)의 양단으로 돌출시키고, 돌출된 지중보(4)의 하부에 지지말뚝(5)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ends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can be protruded to both ends of the existing structure (2), and a support pile (5) can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ding underground beam (4).
즉, 상기 지지말뚝(5)은 기존 구조물(2)의 네 모서리 외측에 각각 구비되며, 기존 구조물(2) 양측의 각 지중보(4)는 각 양단부가 지지말뚝(5)의 상단에 거치된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support piles (5) are provided on each of the four outer corners of the existing structure (2), and each of the ground beams (4) on both sides of the existing structure (2)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upport piles (5) at both ends.
이에 따라 상기 지중보(4)의 캠버에 의해 기존 구조물(2)에 상향력 작용 시 이로 인한 반력을 양단부의 지지말뚝(5)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existing structure (2) due to the camber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the resulting reaction force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iles (5) at both ends.
상기 지중보(4)의 단부를 지지말뚝(5)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거치하도록 지중보(4)의 단부에 단면이 확대된 확대지지부(40)가 형성될 수 있다.An enlarged support part (40) with an enlarged cross-section can be formed at the end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to stably support the end of the underground beam (4) on the top of the support pile (5).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축부(3)는 일측이 기존 구조물(2)과 접합되도록 상기 신설 기초(31)의 상부에 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extension (3) can be constructed on top of the new foundation (31)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structure (2).
즉, 상기 증축부(3)는 기존 구조물(2)의 일측에서 연장되도록 수평 증축될 수 있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3) can be extended horizontally so as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existing structure (2).
이 경우 상기 증축부(3)는 신설 기초(31)의 상부에 시공된다.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3) is constructed on top of the new foundation (31).
상기 지중보(4)의 긴장재(41)를 긴장하여 지중보(4)에 캠버를 도입하여 기존 구조물(2)에 상향력을 가함으로써 기존 말뚝(22)의 하중 부담을 경감시킨 후 상기 증축부(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시공할 수 있다.By tensioning the tendon (41)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to introduce camber to the underground beam (4) and apply upward force to the existing structure (2), the load burden of the existing pile (22) is reduced, and then part or all of the above-mentioned additional section (3) can be constructed.
이에 따라 기존 구조물(2)의 일측에 접합되는 수평 증축부(3)의 하중이 기존 구조물(2)을 통해 기존 기초(21) 및 기존 말뚝(22)으로 전달되더라도 기존 말뚝(22)의 하중을 미리 경감시켜두었기 때문에 서로 상쇄되어 최종적으로는 기존 말뚝(22)의 추가적인 하중 부담이 없다.Accordingly, even if the loa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isting structure (2) is transferr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and existing pile (22) through the existing structure (2), since the load of the existing pile (22) has been reduced in advance, they are offset each other and ultimately there is no additional load burden on the existing pile (22).
즉, 수평 증축 시 기존 말뚝(22)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말뚝(5) 등의 외부로 전이시켜 기존 말뚝(22)의 하중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horizontally expanding, the load transmitted to the existing pile (22) can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ile (5), etc.,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existing pile (22).
도 3은 신설 말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new piles have been installed.
도 1,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보(4)의 내측 또는 외측의 신설 기초(31) 하부에는 신설 말뚝(32)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FIG. 3, etc., a new pile (32)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a new foundation (31) on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lab (4).
본 발명에서는 기존 말뚝(22)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중보(4)를 통해 지지말뚝(5)으로 전이시키는 것으로, 상기 지지말뚝(5)은 지중보(4)의 상향력에 의한 반력 즉, 증축부(3)에 의해 기존 말뚝(22)에 추가로 예상되는 하중만큼을 지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transmitted to the existing pile (22) is transferred to the supporting pile (5) through the ground beam (4), and the supporting pile (5) supports the additional load expected to the existing pile (22) by the reaction force due to the upward force of the ground beam (4), i.e., the extension part (3).
따라서 증축부(3)로 인한 나머지 하중에 대해서는 별도의 보강말뚝을 설치하여 지지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remaining load due to the extension (3) must be supported by installing separate reinforcing piles.
이를 위해 상기 신설 기초(31)의 하부에 신설 말뚝(32)을 설치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new pile (32) can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new foundation (31).
즉, 상기 증축부(3)의 신설에 의한 총 하중은 상기 지지말뚝(5)과 상기 신설 말뚝(32)이 분담하여 지지한다.That is, the total load due to the new construction of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3) is supported by sharing it between the above-mentioned support pile (5) and the above-mentioned new pile (32).
상기 지중보(4)의 캠버에 의한 상향력을 기존 기초(21)에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지중보(4)는 기존 기초(21) 측에 가깝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신설 말뚝(32)은 지중보(4)와 간섭되지 않도록 지중보(4)의 외측에 구비할 수 있다. In order to smoothly transmit the upward force due to the camber of the above-mentioned slab (4)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slab (4) be installed close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In this case, the new pile (32)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lab (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lab (4).
필요에 따라 상기 지중보(4)를 외측에 설치하고, 신설 말뚝(32)을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If necessary,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dam (4) can be installed on the outside and a new pile (32) can be installed on the inside.
도 4는 기존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기존 기초의 양측에 트렌치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us of an existing structure, and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us in which trench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isting foundation.
본 발명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은 기존 구조물(2)을 증축하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증축부(3)의 하중을 전이시키기 위한 것으로, (a) 기존 구조물(2) 하부의 기존 기초(21) 양측 하부 지반을 굴착하여 각각 트렌치(10)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트렌치(10)의 내부에 지중보(4)를 시공하는 단계; (c) 상기 지중보(4)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존 구조물(2) 하부의 기존 기초(21) 단부에 연장되는 신설 기초(31)를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지중보(4)의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상향 캠버가 도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기존 구조물(2)에 증축부(3)를 신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ad transfer method of a remodeling extension section using an underground s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ransferring the load of an extension section (3) in a remodeling construction project for extending an existing structure (2), and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steps of: (a) excavating the lower ground on both sides of an existing foundation (21) under an existing structure (2) to form a trench (10), respectively; (b)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ill (4) inside the trench (10); (c) pouring concrete on top of the underground sill (4) to construct a new foundation (31) extending to the end of the existing foundation (21) under the existing structure (2); (d) applying compressive prestress to the lower part of the underground sill (4) to introduce upward camber; and (e) constructing an extension section (3) on the existing structure (2).
본 발명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전술한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을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load transfer method of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structing a load transfer system of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slab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상기 (a) 단계에서는 기존 구조물(2) 하부의 기존 기초(21) 양측 하부 지반을 굴착하여 각각 트렌치(10)를 형성한다.In the above step (a), the lower ground on both sides of the existing foundation (21) under the existing structure (2) is excavated to form a trench (10) on each side.
즉, 도 4와 같이 기존 구조물(2)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중보(4) 형성을 위해 기존 기초(21)의 양측 하부 지반을 굴착하여 소정 깊이로 트렌치(10)를 형성한다(도 5).That is, in a state where an existing structure (2)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4, a trench (1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by excavating the lower ground on both sides of the existing foundation (21) to form an underground dam (4) (Fig. 5).
상기 트렌치(10)는 기존 구조물(2)의 장변 측 양측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trench (10) can be formed long on both sides of the long side of the existing structure (2).
도 6은 지중보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underground dam has been constructed.
다음으로, 도 6에서와 같이 (b) 상기 트렌치(10)의 내부에 지중보(4)를 시공한다.Next, as shown in Fig. 6, (b) an underground dam (4) is constructed inside the trench (10).
상기 지중보(4)가 현장 타설되는 RC 부재인 경우, 상기 트렌치(10)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보(4)를 형성할 수 있다.I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is an RC member cast on site, the underground beam (4) can be formed by placing reinforcing bars inside the trench (10) and pouring concrete.
상기 지중보(4)가 PC 부재인 경우, 미리 제작된 지중보(4)를 양중하여 트렌치(10) 내부에 안치시켜 지중보(4)를 시공할 수 있다.If the above-mentioned dam (4) is not made of PC, the pre-fabricated dam (4) can be lifted and placed inside the trench (10) to construct the dam (4).
도 7은 신설 기초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a new foundation has been constructed.
그리고 도 7과 같이 (c) 상기 지중보(4)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존 구조물(2) 하부의 기존 기초(21) 단부에 연장되는 신설 기초(31)를 시공한다.And as shown in Fig. 7, (c) concrete is poured on top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to construct a new foundation (31) extending to the end of the existing foundation (21) at the bottom of the existing structure (2).
상기 지중보(4)의 상부에는 기존 기초(21)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신설 기초(31)를 시공한다.A new foundation (31)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existing foundation (21) is constructed on top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lab (4).
상기 지중보(4) 상부의 신설 기초(31)는 지중보(4)와 구조적으로 일체화되어 지중보(4)와 함께 T형 보를 형성할 수 있다.The new foundation (31) above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can be structurally integrated with the underground beam (4) to form a T-shaped beam together with the underground beam (4).
상기 지중보(4)가 RC 부재인 경우, 상기 신설 기초(31)는 지중보(4)와 동시에 시공하여 지중보(4)와 신설 기초(31)를 일체화된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I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is made of RC material, the new foundation (31) can be constructed simultaneously with the underground beam (4) to form the underground beam (4) and the new foundation (31) as an integrated material.
상기 지중보(4)가 PC 부재인 경우, 상기 지중보(4)의 상부에 정착철근을 돌출시키고 상부에 신설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설 기초(31)와 지중보(4)를 일체화할 수 있다. I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is made of PC material, the anchoring reinforcing bars can be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and new foundation concrete can be poured on the upper portion to integrate the new foundation (31) and the underground beam (4).
도 8은 지중보에 상향 캠버가 도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ward camber is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dam.
이후 도 8과 같이 (d) 상기 지중보(4)의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상향 캠버가 도입되도록 한다.Afterwards, as shown in Fig. 8, (d) compressive prestress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to introduce upward camber.
상기 지중보(4)와 신설 기초(31)의 시공을 완료한 후, 상기 (d) 단계에서는 지중보(4)의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and new foundation (31) is completed,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to the lower part of the underground beam (4) in step (d).
이에 따라 상기 지중보(4)에 상향의 캠버가 발생하고, 신설 기초(31) 및 이와 연결된 기존 기초(21)에 상향력이 작용한다. 상기 기존 기초(21)에 전달된 상향력에 의해 기존 말뚝(22)은 일시적으로 응력이 감소한다.Accordingly, an upward camber occurs in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lab (4), and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new foundation (31) and the existing foundation (21) connected thereto. The stress in the existing pile (22) is temporarily reduced by the upward force transmitt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상기 지중보(4)의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지중보(4)의 내부에 긴장재(41)가 매립될 수 있다.To introduce compressive prestres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slab (4), a tension member (41) may be embedded inside the slab (4).
도 9는 수평 증축부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Figure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extension has been constructed.
마지막으로 도 9와 같이 (e) 상기 기존 구조물(2)에 증축부(3)를 신설한다. Finally, as shown in Fig. 9, (e) an extension (3) is newly installed on the existing structure (2).
즉, 상기 지중보(4)의 캠버에 의해 기존 기초(21)에 상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기존 구조물(2)의 양측에서 신설 기초(31) 상부에 증축부(3)를 신설한다.That is, while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by the camber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an extension (3) is newly constructed on top of the new foundation (31) on both sides of the existing structure (2).
상기 증축부(3)의 하중은 기존 기초(21)와 신설 기초(31)로 분배되어 기존 기초(21) 하부의 기존 말뚝(22)에도 증축으로 인한 하중이 전달되나, 기존 말뚝(22)의 일시적인 응력 감소분에 의해 증축부(3)에 의한 하중이 상쇄된다.The load of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3) is distribut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and the new foundation (31), and the load due to the extens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existing pile (22) under the existing foundation (21), but the load due to the extension (3) is offset by the temporary stress reduction in the existing pile (22).
한편,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트렌치(10) 형성 후 트렌치(10)에 길이 방향으로 긴장재(41)를 배치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지중보(4) 시공 시 콘크리트 내부에 긴장재(41)가 매립되도록 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중보(4)의 긴장재(41)를 긴장하여 지중보(4)에 상향 캠버가 도입될 수 있다. Meanwhile, after forming the trench (10) in step (a), a tension member (41) is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rench (10), so that the tension member (41) is embedded in the concrete when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beam (4) in step (b), and an upward camber can be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beam (4) b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41) of the underground beam (4) in step (d).
상기 지중보(4)의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지중보(4)에 캠버를 도입하기 위해 상기 지중보(4)의 하부에 긴장재(41)를 매립할 수 있다.In order to introduce camber to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by applying compressive prestres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a tension member (41) can be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이를 위해 상기 (a) 단계에서 트렌치(10) 굴착 후 트렌치(10) 내부에 긴장재(41)를 직선 또는 곡선 배치할 수 있다. To this end, after excavating a trench (10) in step (a), tension material (41) can be placed in a straight or curved manner inside the trench (10).
그리고 상기 (b) 단계에서 지중보(4) 시공 시 트렌치(1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보(4) 내부에 긴장재(41)를 매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긴장재(41) 단부의 정착구(42)가 지중보(4)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적절하게 보양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And in the step (b) above, when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beam (4), concrete can be poured inside the trench (10) to embed the tension member (41) inside the underground beam (4). In this case, the anchorage hole (42) at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41) is properly protected so that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nd of the underground beam (4), and then the concrete is poured.
상기 긴장재(41)는 쉬스관 내부에 미리 삽입한 후, 긴장재(41)가 삽입된 상태로 쉬스관을 배치하여 비부착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도 있다.The above-mentioned tension member (41) can be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in advance, and then the sheath tube can be placed with the tension member (41) inserted, thereby introducing prestress in a non-attached post-tensioning manner.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트렌치(10) 형성 후 트렌치(10)에 길이 방향으로 쉬스관을 배치하여, 상기 (b) 단계 또는 (c) 단계에서 지중보(4)의 시공 완료 후 쉬스관 내부에 긴장재(41)를 삽입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중보(4)의 긴장재(41)를 긴장하여 지중보(4)에 상향 캠버가 도입될 수 있다. In the step (a) above, after the trench (10) is formed, a sheath pipe is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rench (10),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beam (4) is completed in the step (b) or (c) above, a tension member (41) is inserted inside the sheath pipe, and in the step (d) above, the tension member (41) of the underground beam (4) is tensioned so that an upward camber can be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beam (4).
상기 (a) 단계에서 트렌치(10)에 쉬스관만 배치하고, (b) 단계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보(4) 내부에 덕트가 형성된 상태에서 나중에 긴장재(41)를 덕트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In the above step (a), only the sheath pipe (10) is placed in the trench, and in step (b), concrete is poured to form a duct inside the underground beam (4), and later, the tension member (41) can be inserted inside the duct.
이와 같이 비부착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긴장재(41)를 설치할 경우, 기존 말뚝(22)이나 신설 말뚝(32) 또는 지지말뚝(5)의 응력을 모니터링하면서 증축부(3) 시공 단계 또는 시공 완료 후 추가로 긴장재(41)를 긴장하여 응력을 재분배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41) using the non-attached post-tensioning method, the stress of the existing pile (22), the new pile (32), or the support pile (5) can be monitored while additionall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41)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extension section (3) or aft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reby redistributing the stress.
도 10은 트렌치의 양단 저면에 지지말뚝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support pile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s of both ends of a trench.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트렌치(10)는 평면상 기존 구조물(2)의 양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렌치(10)의 형성 전 또는 후에 상기 트렌치(10)의 기존 구조물(2) 외측 지반에 지지말뚝(5)이 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in the step (a), the trench (1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beyond both ends of the existing structure (2) in a plane, and a support pile (5) can be constructed on the ground outside the existing structure (2) of the trench (10)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trench (10).
상기 지중보(4)의 양단에 지지말뚝(5)이 구비되는 경우, 지중보(4)의 시공 전 지지말뚝(5)을 시공할 수 있다.In case support piles (5)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dam (4), the support piles (5) can be construct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dam (4).
상기 지지말뚝(5)은 트렌치(10) 굴착 후 트렌치(10) 저면 지반에 시공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트렌치(10) 굴착 후 먼저 지지말뚝(5)을 시공한 후 트렌치(10) 부위를 굴착할 수도 있다.The above support pile (5) can be constructed on the bottom ground of the trench (10) after excavating the trench (10), but in some cases, the support pile (5) can be constructed first after excavating the trench (10) and then the trench (10) area can be excavated.
상기 지지말뚝(5)은 PHC 파일,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강관 말뚝 등 다양한 방식의 말뚝을 적용 가능하다.The above support pile (5)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piles such as PHC piles, cast-in-place concrete piles, and steel pipe piles.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지중보(4)는 양단이 지지말뚝(5)의 상단에 각각 거치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In the step (b) above, the underground beam (4) can be constructed so that both ends are respectively placed on the tops of the support piles (5).
도 11은 증축부의 하부 일부층이 선시공된 상태에서 지중보에 캠버가 도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amber is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beam while the lower part of the extension has been pre-construct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신설 기초(31)의 시공 완료 후 일측이 기존 구조물(2)과 접합되도록 증축부(3)의 하부 일부층(3')을 선시공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증축부(3)의 상부 잔여층(3")을 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in the step (c), the lower part of the layer (3') of the extension (3) is pre-construct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structure (2)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ew foundation (31) is completed, and in the step (e), the upper remaining layer (3") of the extension (3) can be constructed.
상기 신설 기초(31)의 두께가 크지 않은 경우, 지중보(4)에 상향 캠버 도입 시 신설 기초(31)에만 변형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기존 기초(21)에 상향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If the thickness of the above-mentioned new foundation (31) is not large, when an upward camber is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beam (4), deformation may be concentrated only in the new foundation (31) and the upward force may not be properly transmitt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따라서 기존 구조물(2)과 충분한 연결 강성을 발휘하도록 지중보(4)의 긴장재(41)를 긴장하기 전에 수평 증축되는 증축부(3)의 하부 일부층(3')을 먼저 시공할 수 있다. Therefore, before tensioning the tendon (41) of the underground beam (4) to ensure sufficient connection rigidity with the existing structure (2), the lower part (3') of the horizontally expanded extension section (3) can be constructed first.
상기 증축부(3)의 하부 일부층(3')이 선시공 상태에서 지중보(4)에 캠버를 도입하면, 지중보(4) 상부의 신설 기초(31)와 신설 기초(31) 상부의 증축부 하부 일부층(3')이 강체(rigid body)로 작용하게 되고, 신설 기초(31)와 증축부 하부 일부층(3')이 각각 기존 기초(21)와 기존 구조물(2)의 하부 일부층과 일체로 접합되면서 충분한 연결 강성을 발휘하여 지중보(4)에 의한 하중을 기존 구조물(2)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When camber is introduced to the ground beam (4) in the lower part (3') of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3) in a pre-constructed state, the new foundation (31) on top of the ground beam (4) and the lower part (3') of the extension above the new foundation (31) act as rigid bodies, and the new foundation (31) and the lower part (3') of the extensio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and the lower part of the existing structure (2), respectively, thereby demonstrating sufficient connection rigidity and stably transmitting the load by the ground beam (4) to the existing structure (2).
상기 지중보(4)의 단부에 지지말뚝(5)이 설치된 경우, 증축부 하부 일부층(3')의 중량은 지중보(4)를 통해 지지말뚝(5)으로 전이되어 지지말뚝(5)에 의해 지지된다.When a support pile (5)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the weight of the lower part of the extension (3') is transferred to the support pile (5) through the underground beam (4)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ile (5).
도 12는 신설 기초 하부에 신설 말뚝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new piles have been constructed under a new foundation.
도 3,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신설 기초(31)가 시공될 위치의 하부 지반에 신설 말뚝(32)이 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FIG. 12, etc., prior to step (c), a new pile (32) can be constructed in the lower ground at the location where the new foundation (31) is to be constructed.
상기 증축부(3)가 기존 구조물(2)의 일측에 수평 증축되는 경우, 증축부(3)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신설 기초(31)가 시공될 위치의 하부 지반에 신설 말뚝(32)을 시공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3) is horizontally extended on one side of the existing structure (2), a new pile (32) can be constructed in the lower ground at the location where the new foundation (31) is to be construct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extension (3).
상기 신설 말뚝(32)은 평면상 지중보(4)와 중복되지 않은 위치에 시공한다.The above-mentioned new pile (32) is constructed in a loca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ground beam (4) on a flat surface.
상기 신설 말뚝(32)은 신설 기초(31) 시공 이전의 어느 단계에서 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a) 단계에서 트렌치(10)를 시공한 후 지지말뚝(5) 시공과 함께 신설 말뚝(32)을 시공할 수도 있고, 상기 (b) 단계에서 지중보(4)의 시공을 완료한 후 신설 말뚝(32)을 시공할 수도 있다.The above-mentioned new pile (32) can be constructed at any stage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the new foundation (31). That is, the new pile (32) can be constructed together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ile (5)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trench (10) in the above-mentioned stage (a), or the new pile (32) can be construct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beam (4) is completed in the above-mentioned stage (b).
1: 하중 전이 시스템
10: 트렌치
2: 기존 구조물
21: 기존 기초
22: 기존 말뚝
3: 증축부
3': 하부 일부층
3": 상부 잔여층
31: 신설 기초
32: 신설 말뚝
4: 지중보
40: 확대지지부
41: 긴장재
42: 정착구
5: 지지말뚝1: Load transfer system
10: Trench
2: Existing structures
21: Existing foundation
22: Existing piles
3: Extension
3': Lower part of the floor
3": Upper residual layer
31: New foundation
32: New pile
4: Underground
40: Expanding support
41: Tension
42: Settlement
5: Support stakes
Claims (10)
기존 구조물(2) 하부의 기존 기초(21)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신설 기초(31);
양측의 신설 기초(31) 하부에 각각 평면상 기존 구조물(2)의 양단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비되는 긴장재(41)의 긴장에 의해 상향 캠버가 도입되어 기존 구조물(2)에 상향력을 가하는 지중보(4); 및
상기 지중보(4)의 단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지중보(4)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말뚝(5); 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중보(4)의 캠버에 의해 기존 기초(21)에 상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증축부(3)가 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
In order to transfer the load of the extension (3) during remodeling work to expand an existing structure (2),
A new foundation (31) formed as an extension on both sides of the existing foundation (21) below the existing structure (2);
An underground beam (4) that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both ends of an existing structure (2) on a plane below the newly constructed foundation (31) on both sides, and applies an upward camber to the existing structure (2) by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41) provided inside; and
A remodeling extension load transfer system using an under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ile (5) which is provided at each lower end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to support the load of the underground beam (4), and the extension (3) is constructed in a state where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by the camber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상기 증축부(3)는 일측이 기존 구조물(2)과 접합되도록 상기 신설 기초(31)의 상부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
In paragraph 1,
A remodeling extension load transfer system using an under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3) is constructed on top of the newly constructed foundation (31)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structure (2).
상기 지중보(4)의 내측 또는 외측의 신설 기초(31) 하부에는 신설 말뚝(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시스템.
In paragraph 1,
A load transfer system for a remodeled extension using a 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a new pile (32) is provided under a new foundation (31) on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ground beam (4).
(a) 기존 구조물(2) 하부의 기존 기초(21) 양측 하부 지반을 굴착하여 평면상 기존 구조물(2)의 양단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각각 트렌치(10)를 형성하되, 상기 트렌치(10)의 형성 전 또는 후에 상기 트렌치(10)의 기존 구조물(2) 외측 지반에 지지말뚝(5)을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트렌치(10)의 내부에 지중보(4)를 시공하는 단계;
(c) 상기 지중보(4)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존 구조물(2) 하부의 기존 기초(21) 단부에 연장되는 신설 기초(31)를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지중보(4)의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상향 캠버가 도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지중보(4)의 캠버에 의해 기존 기초(21)에 상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기존 구조물(2)에 증축부(3)를 신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
In order to transfer the load of the extension (3) during remodeling work to expand an existing structure (2),
(a) a step of excavating the lower ground on both sides of the existing foundation (21) of the existing structure (2) to form trenches (10) so as to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existing structure (2) in a plane, and constructing support piles (5) on the outer ground of the existing structure (2) of the trench (10)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trench (10);
(b) a step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dam (4) inside the trench (10);
(c) a step of constructing a new foundation (31) extending to the end of the existing foundation (21) under the existing structure (2) by pouring concrete on top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slab (4);
(d) a step of applying compressive prestress to the lower part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to introduce upward camber; and
(e) a step of newly constructing an extension (3) on the existing structure (2) while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existing foundation (21) by the camber of the above-mentioned underground beam (4); a remodeling extension load transfer method using an under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following.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트렌치(10) 형성 후 트렌치(10)에 길이 방향으로 긴장재(41)를 배치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지중보(4) 시공 시 콘크리트 내부에 긴장재(41)가 매립되도록 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중보(4)의 긴장재(41)를 긴장하여 지중보(4)에 상향 캠버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
In Article 5,
A load transfer method for a remodeling extension using an under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after forming the trench (10) in the step (a), a tension member (41) is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rench (10), so that the tension member (41) is embedded in the concrete when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beam (4) in the step (b), and an upward camber is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beam (4) b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41) of the underground beam (4) in the step (d).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트렌치(10) 형성 후 트렌치(10)에 길이 방향으로 쉬스관을 배치하여, 상기 (b) 단계 또는 (c) 단계에서 지중보(4)의 시공 완료 후 쉬스관 내부에 긴장재(41)를 삽입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중보(4)의 긴장재(41)를 긴장하여 지중보(4)에 상향 캠버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
In Article 5,
A remodeling extension load transfer method using an under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trench (10) is formed in the step (a) above, a sheath pipe is placed in the trench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beam (4) is completed in the step (b) or (c) above, a tension member (41) is inserted inside the sheath pipe, and in the step (d) above, the tension member (41) of the underground beam (4) is tensioned so that an upward camber is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beam (4).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신설 기초(31)의 시공 완료 후 일측이 기존 구조물(2)과 접합되도록 증축부(3)의 하부 일부층(3')을 선시공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증축부(3)의 상부 잔여층(3")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
In Article 5,
In the above step (c),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ew foundation (31) is completed, the lower part of the floor (3') of the extension (3) is pre-construct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structure (2).
A remodeling extension load transfer method using an underground dam,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e) above, the upper remaining layer (3") of the extension (3) is constructed.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신설 기초(31)가 시공될 위치의 하부 지반에 신설 말뚝(32)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보를 이용한 리모델링 증축부 하중 전이 공법.In Article 5,
A remodeling extension load transfer method using an underground beam, characterized in that a new pile (32) is constructed in the lower ground at the location where the new foundation (31) is to be constructed prior to the above step (c).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3308A KR102737661B1 (en) | 2022-09-07 | 2022-09-07 | Load transfer system for remodeling using underground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3308A KR102737661B1 (en) | 2022-09-07 | 2022-09-07 | Load transfer system for remodeling using underground bea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4919A KR20240034919A (en) | 2024-03-15 |
KR102737661B1 true KR102737661B1 (en) | 2024-12-04 |
Family
ID=9027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3308A Active KR102737661B1 (en) | 2022-09-07 | 2022-09-07 | Load transfer system for remodeling using underground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37661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61476A (en) | 2004-12-09 | 2006-06-22 | Takenaka Komuten Co Ltd |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
KR101393305B1 (en) * | 2013-07-01 | 2014-05-09 | 김동규 | Apartment remodeling method using movable housing facilities such as camping car |
KR102156868B1 (en) * | 2019-09-09 | 2020-09-16 | 이인영 | Remodeling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73800B1 (en) | 2020-06-24 | 2020-11-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Road transfer apparatus with rotation control unit on new foundation and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thereof |
KR102218442B1 (en) | 2020-08-12 | 2021-02-22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Method and Structure for Reinforcing Pile Base of Building in Remodeling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81806A (en) * | 1989-07-25 | 1992-01-21 | Pommelet Yves M | Building structure foundation system |
KR100386696B1 (en) * | 2001-01-30 | 2003-06-09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Foundation concrete pouring method of building structure |
-
2022
- 2022-09-07 KR KR1020220113308A patent/KR1027376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61476A (en) | 2004-12-09 | 2006-06-22 | Takenaka Komuten Co Ltd |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
KR101393305B1 (en) * | 2013-07-01 | 2014-05-09 | 김동규 | Apartment remodeling method using movable housing facilities such as camping car |
KR102156868B1 (en) * | 2019-09-09 | 2020-09-16 | 이인영 | Remodeling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73800B1 (en) | 2020-06-24 | 2020-11-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Road transfer apparatus with rotation control unit on new foundation and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thereof |
KR102218442B1 (en) | 2020-08-12 | 2021-02-22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Method and Structure for Reinforcing Pile Base of Building in Remodel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4919A (en) | 2024-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8918B1 (en)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frame by channel | |
KR101148272B1 (en) | Downward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applying SCFSliding Channel Form | |
US6988337B1 (en) | Mean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ully precast top arch overfilled system | |
KR10053138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that enables continuous retaining wall using steel wale and diaphragm effect of concrete slab | |
JP6855296B2 (en) |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40047924A (en) |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step retaining wall using pc panel needless of concrete forms for slope reinforcement | |
KR100313720B1 (en) | Composit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20190022132A (en) | Top-down method using precast-concrete colum | |
JP3780816B2 (en) | Seismic isolat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 |
JP7189001B2 (en) | How to construct the foundation of a building | |
KR20200104534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busing PC integrating method without support | |
KR10064024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lab-Outer Wall Simultaneous Placement Using Basement File Without Edge Beam | |
KR102737661B1 (en) | Load transfer system for remodeling using underground beam | |
KR20090043625A (en) | Slab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layer using steel cross beam | |
JP6368584B2 (en) |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 |
KR20080103260A (en) |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separate casting and reverse suppor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20110043976A (en) | Inverse perforation using prefabricated columns and building structures thereby | |
JPH11310928A (en) | Vibration isolation reinforcing method for existing structure | |
JP3641227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 |
KR101641837B1 (en) | Section formation method for weight reduction at section building of bridge lower structure | |
JP2006002428A (en) |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floors and seismic isolat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 |
KR101058982B1 (en) | Interlaminar beam of soil wall composed of PA piles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80155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load transfer system for remodeling using existing wall | |
JP7106305B2 (en) | Structural columns and seismically isolated buildings | |
JP2006316495A (en) | Foundation structure of bridge pi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