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0673B1 -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 Google Patents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0673B1
KR102710673B1 KR1020210177922A KR20210177922A KR102710673B1 KR 102710673 B1 KR102710673 B1 KR 102710673B1 KR 1020210177922 A KR1020210177922 A KR 1020210177922A KR 20210177922 A KR20210177922 A KR 20210177922A KR 102710673 B1 KR102710673 B1 KR 102710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winding
wound
balanced
output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615A (ko
Inventor
재 환 이
Original Assignee
재 환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환 이 filed Critical 재 환 이
Priority to KR102021017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06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0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50Arrangements for eliminating or reducing asymmetry in polyphas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상변압기 형태의 철심 1차측에 3 개의 권선을 감고, 1차측 합성자속(합성자계)이 단상 교류의 형태가 되도록 하여, 1차측 3상의 합성자계가 단상의 교번자계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단상 변압기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BALANCED 3-PHASE INPUT-SINGLE-PHASE OUTPUT TRANSFORMER}
본 발명은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상변압기 형태의 철심 1차측에 3 개의 권선을 감고, 1차측 합성자속(합성자계)이 단상 교류의 형태가 되도록 하여, 1차측 3상의 합성자계가 단상의 교번자계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단상 변압기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에너지는 발전소에서 원자력, 화석연료, 수력 및 신재생에너지 등에 의해 생산되며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송 배전 선로를 통하여 수용가에 공급되어 여러 가지 단상 및 3상의 부하에서 소비 되고 있다.
전력회사는 전력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345 kV, 765 kV 등의 높은 전압으로 승압을 하여 전송하며 또한 대용량의 전력전송을 위해 교류 계통의 3상의 송 배전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3상의 송 배전선로는 발전소에서 수용가까지의 매우 긴 거리에 분포하는 임피던스로 인하여 각상의 대지 간 임피던스 및 상간의 임피던스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 계통의 불평형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전력회사는 송전선로를 일정구간으로 나누어 연가를 함으로서 선로의 합성 임피던스의 평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임의의 수용가에는 수많은 3상 및 단상의 부하가 존재하며 3상의 부하는 대부분이 평형부하이지만 단상 부하에 의한 계통의 불 평형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전력품질의 저하 및 전력손실의 증가 등이 나타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규정이나 기준 등에서는 불평형의 최대허용 값을 규정하여 제한하고 있으며, 설계 및 시공 시에는 분전반 분기회로의 부하용량을 분산하여, 3상의 평형이 되도록 구성하여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수용가는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이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단상 부하의 사용 여부에 의해서 계통의 불 평형은 발생 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059368]에서는 단권에 중성점이 3개 있는 3상 4선 복권변압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059368](공개일자: 2005년06월20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상변압기 형태의 철심 1차측에 3 개의 권선을 감고, 1차측 합성자속(합성자계)이 단상 교류의 형태가 되도록 하여, 1차측 3상의 합성자계가 단상의 교번자계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단상 변압기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는, 철심(100); 상기 철심(100)의 1차측에 3 개의 권선이 순차적으로 감긴 1차권선부(200); 및 상기 철심(100)의 2차측에 1 개의 권선이 감긴 2차권선부(300);를 포함하며, 1차권선부(200)의 합성자속 피크치가 단상에서의 자속 피크치 보다 큰 단상 교류의 형태가 되고, 상기 1차권선부(200)의 3상 결선이 델타(△)결선 또는 와이(Y)결선이 되도록, 권선과 결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권선부(200)는 임의의 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1차권선부(200)는 3 개의 권선을 정방향으로 감은 후, 임의의 1 개의 권선이 역결선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권선부(200)는 3 개의 권선 중 2 개의 권선은 정방향으로 감고 다른 1 개의 권선은 역방향으로 감은 후, 역방향으로 감긴 권선에 연결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1차권선부(200)는 3 개의 권선 중 임의의 한 상에 해당되는 권선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고 두 부분의 코일 감김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감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권선부(200)는 구간을 구획하지 않은 2 개의 권선 중 어느 하나의 권선은 상이 정상이 되도록 결선되고, 다른 하나의 권선은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1차권선부(200)는 정상에 해당되는 권선 부분이 철심의 중심선과 특정 각도를 유지한 제1방향으로 편심되도록 권선되고, 역상에 해당되는 권선 부분이 철심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대칭되는 제2방향으로 편심되도록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에 의하면, 단상변압기 형태의 철심을 이용하여 단상을 공급 함에따라 1차측 및 2차측을 3상평형으로 단상부하를 사용할 수 있어서 불평형에 의한 배전선로의 전력손실를 절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통의 평형을 유지함으로서 불평형에 의한 오동작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불평형 전압과 고조파를 최소화 함으로써, 고 품질의 전력을 공급하여 3상 부하의 운전 효율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압측의 3상평형으로 인하여 불평형에 의한 과전압 발생이 없어 전력기기의 열화 억제 및 수명 연장 등에 영향을 미치며 전력손실 경감 및 이상소음, 진동의 억제 효과가 크다. 특히 역상 고조파에 의한 회전기기의 역방향 토크는 회전기기의 정 방향 토크 감소로 인한 출력저하의 억제 효과가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을 단순화 시킨 결선도.
도 3은 도 2의 1차측을 델타 형상으로 배치한 결선도.
도 4는 일반적인 형태의 권선과 결선을 한 3상 자속 그래프.
도 5는 4의 c상을 역상으로 한 도 1의 1차측 3상 자속 그래프.
도 6은 도 5의 합성자속(실선) 그래프.
도 7은 도 1의 c상에 해당되는 권선 감는 방향과 결선 방향을 바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8은 한상은 정상, 다른 한상은 역상, 나머지 한상은 반으로 나누어 반은 정상 나머지 반은 역상으로 연결한 것을 델타 형상으로 배치한 결선도.
도 9는 도 8이 적용된 변압기를 단순화 시킨 결선도.
도 10은 도 8의 합성자속(실선) 그래프.
도 11은 도 8이 적용된 변압기의 개념도.
도 12는 도 10의 1 위치에서의 벡터합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
도 13은 도 10의 2 위치에서의 벡터합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단순화 시킨 결선도이며, 도 3은 도 2의 1차측을 델타 형상으로 배치한 결선도이고, 도 4는 일반적인 형태의 권선과 결선을 한 3상 자속 그래프이며, 도 5는 4의 c상을 역상으로 한 도 1의 1차측 3상 자속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5의 합성자속(실선) 그래프이며, 도 7은 도 1의 c상에 해당되는 권선 감는 방향과 결선 방향을 바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한상은 정상, 다른 한상은 역상, 나머지 한상은 반으로 나누어 반은 정상 나머지 반은 역상으로 연결한 것을 델타 형상으로 배치한 결선도이며, 도 9는 도 8이 적용된 변압기를 단순화 시킨 결선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합성자속(실선) 그래프이며, 도 11은 도 8이 적용된 변압기의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1 위치에서의 벡터합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13은 도 10의 2 위치에서의 벡터합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는 단상부하의 증감에 무관하게 1차측의 3상평형을 유지할수 있는 변압기로, 기존의 변압기는 2차측의 단상부하의 변동량에 따라 1차측의 3상 불평형이 발생하였으나,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에 의해 불평형이 개선되어 전력품질의 향상 및 전력손실의 개선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는 철심(100), 1차권선부(200) 및 2차권선부(300)를 포함한다.
철심(100)은 자기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철로 형성된 것으로, 철은 높은 자성을 띠기 때문에 철심 외부에 코일을 감고 전류를 흘려보내면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며 통로역할을 하는 전자석으로 변한다. 이는 철심(100)이 없는 것보다 더 많은 자기장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철심(100)의 재료는 철과 같은 강자성 물질이나, 아철산염과 같은 강자성 화합물로 만들 수 있다.
순수 철은 보통 고유저항이 커 자기장을 많이 발생시키는 규소강판을 여러 층으로 겹쳐서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에서 철심(100)의 일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철심(100)을 사용하여 코일의 자기장 세기를 높일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철심(100)의 형태는 단상 내철형 변압기 형태(액자형 철심), 단상 외철형 변압기의 형태(E형 철심) 등 단상 변압기의 형태로 형성된다.
1차권선부(200)는 상기 철심(100)의 1차측에 3 개(삼상)의 권선이 순차적으로 감긴다.
도 1을 예로 설명하면, a상과 연결될 권선이 상기 철심(100)의 1차측 상부에 감기고, b상과 연결될 권선이 상기 철심(100)의 1차측 중부에 감기고, c상과 연결될 권선이 상기 철심(100)의 1차측 하부에 감긴다.
2차권선부(300)는 상기 철심(100)의 2차측에 1 개의 권선이 감긴다.
즉, 1차측의 3상권선과 2차측의 단상 권선을 상기 철심(100)에 1차와 2차의 전압비에 따라 감는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는 상기 1차권선부(200)의 합성자속 피크치가 단상에서의 자속 피크치 보다 큰 단상 교류의 형태가 되고, 상기 1차권선부(200)의 3상 결선이 델타(△)결선 또는 와이(Y)이 되도록, 권선과 결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형태의 권선과 결선이라면 도 4에 도시된 자속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1차측의 합성자속은 0이거나 0에 가깝게 나오게 되므로, 상기 철심(100)의 1차측에 감긴 권선의 감긴 방향을 일부 변경하거나, 상기 철심(100)의 1차측에 감긴 권선과의 결선 중 일부를 다르게 결선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철심(100)의 1차측에 감긴 상기 1차권선부(200)의 합성자속 피크치가 단상에서의 자속 피크치 보다 큰 단상 교류의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권선과 결선을 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의 1차권선부(200)는 임의의 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차권선부(200)는 임의의 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예로, 도 4의 c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경우, 도5에 도시된 자속의 형태가 되며, 도6의 실선으로 도시된 합성자속 형태가 된다.
즉, 도 4의 형태에서 c상이 역상이 되도록 하면, c상은 정상의 파형에서 180ㅀ 뒤집어져 도 5의 형태가 되고, a, b, c 상이 합성되어 3상의 합성된 자속이 도6의 실선 형태로 나타난다.
도 6에서 c상의 파형은 합성자속(실선)이 잘 보이도록 생략하였다.
이때, 도 6의 1과 2의 위치에서 합성자속은 단상(각상)의 피크치 2배의 최대자속이 발생하고, 3과 4의 지점에서의 합성자속은 0 이 된다.
즉, 1차측의 3상(a, b, c) 합성자속은 c상을 기준으로 2배의 최대자속이 발생되고, 위상은 c상과 동일한 위상의 단상 형태의 교번자계가 발생된다.
이 합성자속은 철심을 경유하여 2차측 권선과 쇄교하므로 2차측의 권선에 단상의 기전력을 유기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는 1차측 3상의 합성자계가 단상의 교번 자계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단상 변압기와 같은 원리로 동작 한다.
임의의 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의 1차권선부(200)는 3 개의 권선을 정방향으로 감은 후, 임의의 1 개의 권선이 역결선 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방향은 철심의 축 어느 한 방향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이 될 수도 있고 반시계방향이 될 수도 있다.
즉, 3 개의 권선을 정방향으로 감겼다는 표현은 3 개의 권선이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역결선은 다른 결선과 반대로 결선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입력측(예, 도 1의 A, B)이 권선의 상측에 결선되면, 다른 하나의 입력측(예, 도 1의 C)은 권선의 하측에 결선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의 1차권선부(200)는 3 개의 권선 중 2 개의 권선은 정방향으로 감고 다른 1 개의 권선은 역방향으로 감은 후, 역방향으로 감긴 권선에 연결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결선은 모든 상을 동일하게 하되, 어느 1 개의 권선만 역방향으로 감을 수 있다.
예를 들어, c상을 역상이 되도록 권선과 결선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1의 C상과 결선하고자 하는 권선을 반대 방향으로 감고, 도 1의 C도 반대 방향으로 결선하면 된다.
상기에서 임의의 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구체적인 실시예 두 가지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임의의 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권선 및 결선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의 1차권선부(200)는 3 개의 권선 중 임의의 한 상에 해당되는 권선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고 두 부분의 코일 감김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감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구획된 두 부분이 동일한 비율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1차권선부(200)의 합성자속 피크치가 단상에서의 자속 피크치 보다 큰 단상 교류의 형태가 될 수 있다면, 구획된 두 부분은 서로 다른 비율을 갖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 상에 해당되는 권선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고 두 부분의 코일 감김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감은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의 1차권선부(200)는 구간을 구획하지 않은 2 개의 권선 중 어느 하나의 권선은 상이 정상이 되도록 결선되고, 다른 하나의 권선은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된 두 부분이 동일한 비율인 경우, 3상 중 임의의 한상은 정상으로 결선하고, 다른 한상을 역상으로 결선하며, 나머지 한상의 권선을
Figure 112021144289667-pat00001
로 나누어 그 절반을 정상으로 결선하고, 나머지 절반을 역상으로 결선하면, 합성자속은 도 10의 실선과 같은 형태가 된다.
이때, 도 10의 1의 위치에서 합성자속은 단상(각상)의 피크치 1.7배의 최대자속이 발생하고, 2의 지점에서의 합성자속은 0 이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의 1차권선부(200)는 정상에 해당되는 권선 부분이 철심의 중심선과 특정 각도를 유지한 제1방향으로 편심되도록 권선되고, 역상에 해당되는 권선 부분이 철심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대칭되는 제2방향으로 편심되도록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결선하되, 도 11과 같이 철심의 중심선과 특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1방과 제2방향이 철심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정상에 해당되는 권선의 중심축이 제1방향으로 편심된 경우, 역상에 해당되는 권선의 중심축이 제2방으로 편심되도록 한다.
즉, 정상에 해당되는 a상(정상)과 c상(
Figure 112021144289667-pat00002
정상)의 권선을 제1방향(가)으로 편심 배치하고, 역상에 해당되는 b상(역상)과 c상(
Figure 112021144289667-pat00003
역상)의 권선을 제2방향(나)으로 편심 배치하여 (가)와 (나)를
Figure 112021144289667-pat00004
각으로 편심 배치를 함으로써, c상의 자속 상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의 1 위치 벡터합성 자속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1의 위치에서의 벡터합성은
Figure 112021144289667-pat00005
이고,
Figure 112021144289667-pat00006
Figure 112021144289667-pat00007
각이 커짐에 따라 감소한다.
도 11의 2 위치 벡터합성 자속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2의 위치에서의 벡터합성은
Figure 112021144289667-pat00008
,
Figure 112021144289667-pat00009
이다.
상기의 예들에서 1차측 델타(△)결선의 예들을 선보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와이(Y)결선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철심
200: 1차권선부
300: 2차권선부

Claims (7)

  1. 철심(100);
    상기 철심(100)의 1차측에 3 개의 권선이 순차적으로 감긴 1차권선부(200); 및
    상기 철심(100)의 2차측에 1 개의 권선이 감긴 2차권선부(300);
    를 포함하며,
    1차권선부(200)의 합성자속 피크치가 단상에서의 자속 피크치 보다 큰 단상 교류의 형태가 되고, 상기 1차권선부(200)의 3상 결선이 델타(△)결선 또는 와이(Y)결선이 되도록, 권선과 결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1차권선부(200)는
    3 개의 권선 중 임의의 한 상에 해당되는 권선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고 두 부분의 코일 감김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감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권선부(200)는
    임의의 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권선부(200)는
    3 개의 권선을 정방향으로 감은 후, 임의의 1 개의 권선이 역결선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권선부(200)는
    3 개의 권선 중 2 개의 권선은 정방향으로 감고 다른 1 개의 권선은 역방향으로 감은 후, 역방향으로 감긴 권선에 연결된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권선부(200)는
    구간을 구획하지 않은 2 개의 권선 중 어느 하나의 권선은 상이 정상이 되도록 결선되고, 다른 하나의 권선은 상이 역상이 되도록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권선부(200)는
    정상에 해당되는 권선 부분이 철심의 중심선과 특정 각도를 유지한 제1방향으로 편심되도록 권선되고,
    역상에 해당되는 권선 부분이 철심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대칭되는 제2방향으로 편심되도록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KR1020210177922A 2021-12-13 2021-12-13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KR102710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22A KR102710673B1 (ko) 2021-12-13 2021-12-13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22A KR102710673B1 (ko) 2021-12-13 2021-12-13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615A KR20230089615A (ko) 2023-06-21
KR102710673B1 true KR102710673B1 (ko) 2024-09-25

Family

ID=8699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922A KR102710673B1 (ko) 2021-12-13 2021-12-13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067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9310A (ja) * 1988-06-08 1989-12-13 Toshiba Corp 三相−単相変換用タップ切換変圧器
DE19754845A1 (de) * 1997-12-10 1999-06-17 Philips Patentverwaltung Transformator
KR20050059368A (ko) 2003-12-13 2005-06-20 김기성 단권에 중성점이 3개 있는 3상 4선 복권변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615A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1113A (en) Transformers for multipulse AC/DC converters
US7233506B1 (en) Low kVA/kW transformers for AC to DC multipulse converters
US6249443B1 (en) Nine-phase transformer
US9154048B2 (en) Balanced flux isolation transformer based eighteen pulse rectification scheme for use with variable frequency drives
US7049921B2 (en) Auto-transformer for use with multiple pulse rectifiers
JP2010520636A (ja) 変圧器構造
CN104247251A (zh) 调节变压器
JP5033898B2 (ja) 受電設備
US7474188B2 (en) 40° phase-shifting autotransformer
US6982884B1 (en) Autotransformers to parallel AC to DC converters
JPS607115A (ja) 3相内鉄形変圧器
KR102710673B1 (ko) 평형3상입력-단상출력변압기
US4112403A (en) Saturated reactor arrangements
US20080231241A1 (en) Transformers
JP5026029B2 (ja) 電流バランサおよび低圧配電システム
KR102479522B1 (ko) 변위 교차권선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JP2007235014A (ja) 分割平衡巻型変圧器、単相3線式配電システム
KR100534144B1 (ko)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US6208230B1 (en) Transformer for cycloconverter
JP4867053B2 (ja) リアクトル
Liang et al. Transformer winding connections for practical industrial applications
JPH0217900A (ja) 永久磁石励磁電気機械
KR200363026Y1 (ko) 지상설치변압기용 입력측 과부하 저감장치
CN106252036A (zh) 一种智能无级有载调压变压器
KR200338373Y1 (ko)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