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0201B1 -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 Google Patents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0201B1
KR102700201B1 KR1020220023359A KR20220023359A KR102700201B1 KR 102700201 B1 KR102700201 B1 KR 102700201B1 KR 1020220023359 A KR1020220023359 A KR 1020220023359A KR 20220023359 A KR20220023359 A KR 20220023359A KR 102700201 B1 KR102700201 B1 KR 10270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temporomandibular joint
unit
pain
wo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6338A (ko
Inventor
김태훈
배원식
오재형
유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티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티브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티브로
Priority to KR102022002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0201B1/ko
Priority to PCT/KR2023/002365 priority patent/WO2023163464A1/ko
Publication of KR2023012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338A/ko
Priority to US18/240,570 priority patent/US20240033515A1/en
Priority to US18/533,192 priority patent/US2024010034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02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6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a particular treatment
    • A61N1/36071Pain
    • A61N1/36075Headache or migr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61N1/36189Control systems using modulation techniques
    • A61N1/36196Frequency mod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는 목을 감싸도록 착용 가능한 넥밴드부(110)와, 상기 넥밴드부(110)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제1설정길이를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0)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에서 상부로 제2설정길이를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제2연결부(13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측두근(temporalis muscle) 부위에 밀착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 및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와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가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교근(masseter muscle) 부위에 밀착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Headache and pain relief devic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본 발명은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턱관절 부위의의 긴장성 두통에 대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턱관절은 하악골(턱뼈)과 측두골(머리뼈) 사이에 위치하여 두 뼈를 연결하는 관절이며 양쪽 귀 바로 앞쪽에 위치한다. 턱관절은 모든 턱 운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며 턱근육과 인대에 의해 지지 되는데, 턱관절 사이에 있는 디스크는 뼈와 뼈 사이의 쿠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육과 인대, 디스크, 턱뼈가 함께 어우러져 개구(입 벌리기)와, 저작(씹는 행위), 말하기, 삼키기 등의 복합적인 활동을 담당하는데, 여러 요인에 의해 턱관절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것을 턱관절 장애라고 한다.
턱관절 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통증을 들 수 있는데, 음식을 씹거나 하품할 경우 양쪽 귀 앞의 아래턱뼈와 저작 근육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입을 열 때마다 턱 관절에서 딱딱거리는 소리가 나며(관절 잡음), 입과 턱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턱관절 장애는 관절원판장애, 관절염, 탈구, 강직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관절원판장애란 턱관절 속에 들어 있는 원판(디스크)이 원래 위치를 벗어난 상태이며, 초기에는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턱관절에서 달각거리는 소리가 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점차 진행됨에 따라 가끔씩 턱이 걸리는 느낌이 들 수 있다. 더 많이 진행되면 갑자기 입이 벌어지지 않으면서 턱관절에서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관절염이 있는 경우 관절이 아프고 음식을 씹거나 턱을 움직이는 것이 불편하며, 때로는 관절에서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나기도 한다. 관절염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턱관절의 강직이 일어나 입이 잘 벌어지지 않고, 음식물의 섭취가 어려워진다. 턱관절과 턱 근육은 기능적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관절병과 턱 근육병이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근긴장, 근막통, 근염, 근경련, 근경축 등이 생기기 쉽다. 이 중 근긴장이나 근막통은 근육의 피로가 누적되었을 때, 근염은 외상이나 감염에 의해, 그리고 근경련은 중추성 원인이나 전해질 대사에 장애가 있을 때 잘 발생하며, 여러 가지 내분비기능이나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근육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특히 통증 때문에 입을 벌리거나 음식물을 씹는 것이 불편해지는데, 이러한 통증은 두통이나 목, 어깨 등으로 확산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턱관절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진통제, 근육 이완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요법과, 찜질, 경피 신경자극, 적외선, 고주파 전극, 저출력 레이저 등을 이용한 물리치료요법과, 수술적 치료가 있다. 특히 물리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고주파 전극과 저출력 레이저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치료하는 효과가 크지만 시술 시간이 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되고, 고주파 전극을 이용한 치료의 경우, 치료사가 환자의 환부를 계속적으로 문질러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적외선, 저출력 레이저 등과 같이 광을 이용한 종래의 치료기술은 피하에 위치하는 턱관절의 심부까지 그 효과가 미치지 못해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최근 들어, 턱관절 부위의의 긴장성 두통에 대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로서 은침자극치료기가 소개되고 있다. 이는 미세의용전류를 이용하여 마치 은침으로 자극하는 효과를 내는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통증완화 장비이다.
하지만, 종래에 소개된 장비의 경우 장비 크기가 크고, 접촉부위가 뾰족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환부에 접촉시키기 위해 음압을 이용한 부황 같은 압축기를 쓰거나 하이드로겔 패치 등을 사용사고 있다. 이 때문에 모발 등 털이 많은 인체 부위나 땀이나 수분이 많은 인체 부위에는 밀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54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턱관절 부위의의 긴장성 두통에 대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통증 완화 장치에 비해 대폭 사이즈를 축소하여 사무직과 학생층에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스타일을 갖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을 감싸도록 착용 가능한 넥밴드부(110)와, 상기 넥밴드부(110)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제1설정길이를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0)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에서 상부로 제2설정길이를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제2연결부(13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측두근(temporalis muscle) 부위에 밀착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 및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와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가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교근(masseter muscle) 부위에 밀착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를 포함하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서,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측두근 부위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는 제1미세진동부(21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측두근 부위를 향하여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서,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 각각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 각각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부(1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상기 경사부(15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서, 상기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는 상기 경사부(150)의 내측에서 역삼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서,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교근 부위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는 제2미세진동부(31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교근 부위를 향하여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서,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과,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 각각의 하단이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위치에서 내측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과,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각각의 하단이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위치에는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돌출부(1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상기 돌출부(14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서, 상기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는 상기 돌출부(140)의 내측에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는, 상기 본체부(100)에 내장되며, 필요시 외부전원부(700)와 케이블(61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전원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부(6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의 길이를 제1설정방향(W1)으로 신축 조절하는 제1신축부(400); 및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의 길이를 제2설정방향(W2)으로 신축 조절하는 제2신축부(5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는, 사용자의 스마트워치(30) 및 스마트폰(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 및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턱관절 부위의의 긴장성 두통에 대한 통증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통증 완화 장치에 비해 대폭 사이즈를 축소하여 사무직과 학생층에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위를 블루투스 제어방식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 및/또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IoT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장비의 간소화 및 경량화 구현이 가능하며, 일반인도 직관적인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부위에 형상의 본체부의 구조적인 형상에 따라 제공되는 물리적 탄성력과 전도성 실리콘 고무에 의한 부드러운 밀착 및 적절한 압력 확보를 통해 미세전류의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모발이나 땀 및 수분이 많이 인체 부위에도 피부 밀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의 추가 구현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의 장착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의 사용 방식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의 추가 구현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의 장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의 사용 방식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10)는 본체부(100),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 및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넥밴드부(110),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넥밴드부(110)는 목을 감싸도록 착용 가능한 부위로서, 목의 후부를 감싸는 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연결부(120)는 상기 넥밴드부(110)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제1설정길이를 갖도록 연결되는 부위를 말한다.
제2연결부(130)는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에서 상부로 제2설정길이를 갖도록 연결되는 부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130)는 제1연결부(120)로부터 수직 상방을 기준으로 a도만큼 머리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를 머리(1)(도 5 참조)에 착용시 측두근(temporalis muscle)(2)(도 5 참조) 부위에 밀착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킬 수 있다.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와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가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를 머리(1)(도 5 참조)에 착용시 교근(masseter muscle)(3)(도 5 참조) 부위에 밀착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10)에서,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제1미세진동부(210)와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를 포함한다(도 2 참조).
제1미세진동부(2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측두근 부위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세진동모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측두근 부위를 향하여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가 반구 형상으로 돌출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 각각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10)에서,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 각각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상기 경사부(15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경사부(150)의 내측에서 b도만큼 테이퍼진 형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2연결부(130)의 구조적인 형상이 물리적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적절한 압력으로 피부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는 상기 경사부(150)의 내측에서 역삼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10)에서,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제2미세진동부(310)와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제2미세진동부(3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교근 부위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세진동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교근 부위를 향하여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과,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 각각의 하단이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위치에서 내측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10)에서,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과,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각각의 하단이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위치에는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돌출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상기 돌출부(14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는 상기 돌출부(140)의 내측에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10)는 전원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부(600)를 더 포함한다(도 4 참조).
예를 들어, 배터리부(6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필요시 외부전원부(700)와 케이블(61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전원 충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100)를 통해 충분한 배터리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관용적으로 알려진 하나의 충전 방식(예: C 타입 충전 방식 등)을 이용하여 가정 및 직장에서 편리하게 충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10)는, 본체부(100)의 사이즈 변경을 위한 제1, 2신축부(400, 500)를 포함한다(도 4 참조).
제1신축부(400)는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의 길이를 제1설정방향(W1)으로 신축 조절 할 수 있다.
제2신축부(500)는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의 길이를 제2설정방향(W2)으로 신축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2 신축부(400, 5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머리 사이즈에 따라 본체부(100)의 크기 및 형상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10)는, 사용자의 스마트워치(30) 및 스마트폰(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 및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편리한 제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10)는 인버터(20)에 의해 구동 조절이 가능하며, 제어부는 블루투스 제어방식으로 사용자의 스마트워치(30) 및/또는 스마트폰(40)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IoT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기존 장비에 비해 장치의 간소화 및 경량화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인도 직관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턱관절 부위의의 긴장성 두통에 대한 통증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특히, 기존의 통증 완화 장치에 비해 대폭 사이즈를 축소하여 사무직과 학생층에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접촉부위에 형상의 본체부의 구조적인 형상에 따라 제공되는 물리적 탄성력과 전도성 실리콘 고무에 의한 부드러운 밀착 및 적절한 압력 확보를 통해 미세전류의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모발이나 땀 및 수분이 많이 인체 부위에도 피부 밀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20: 인버터
30: 스마트워치
40: 스마트폰
100: 본체부
110: 넥밴드부
120: 제1연결부
130: 제2연결부
140: 돌출부
150: 경사부
200: 제1저주파전기자극부
210: 제1미세진동부
220: 제1전도성실리콘고무
300: 제2저주파전기자극부
310: 제2미세진동부
320: 제2전도성실리콘고무
400: 제1신축부
500: 제2신축부
600: 배터리부
610: 케이블
700: 외부전원부

Claims (12)

  1. 목을 감싸도록 착용 가능한 넥밴드부(110)와,
    상기 넥밴드부(110)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제1설정길이를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0)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에서 상부로 제2설정길이를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제2연결부(13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측두근(temporalis muscle) 부위에 밀착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 및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와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가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교근(masseter muscle) 부위에 밀착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측두근 부위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는 제1미세진동부(21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측두근 부위를 향하여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 각각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부(1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상기 경사부(15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교근 부위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는 제2미세진동부(31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교근 부위를 향하여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저주파를 통전시키는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의 길이를 제1설정방향(W1)으로 신축 조절하는 제1신축부(400); 및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착용시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의 길이를 제2설정방향(W2)으로 신축 조절하는 제2신축부(500);
    를 더 포함하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는,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 각각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구비되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전도성실리콘고무(220)는 상기 경사부(150)의 내측에서 역삼각형으로 배열되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과,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 각각의 하단이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위치에서 내측을 향하여 구비되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120) 각각의 전단과, 상기 복수의 제2연결부(130)각각의 하단이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는 위치에는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돌출부(1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는 상기 돌출부(140)의 내측에 위치하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전도성실리콘고무(320)는 상기 돌출부(140)의 내측에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배열되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에 내장되며, 필요시 외부전원부(700)와 케이블(61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전원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부(600);
    를 더 포함하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스마트워치(30) 및 스마트폰(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저주파전기자극부(200) 및 상기 제2저주파전기자극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KR1020220023359A 2022-02-23 2022-02-23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Active KR10270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359A KR102700201B1 (ko) 2022-02-23 2022-02-23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PCT/KR2023/002365 WO2023163464A1 (ko) 2022-02-23 2023-02-18 턱관절 질환으로 인한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US18/240,570 US20240033515A1 (en) 2022-02-23 2023-08-31 Headache and pain relief device due to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US18/533,192 US20240100340A1 (en) 2022-02-23 2023-12-08 Headache and pain relief device due to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359A KR102700201B1 (ko) 2022-02-23 2022-02-23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338A KR20230126338A (ko) 2023-08-30
KR102700201B1 true KR102700201B1 (ko) 2024-08-28

Family

ID=8776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359A Active KR102700201B1 (ko) 2022-02-23 2022-02-23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240033515A1 (ko)
KR (1) KR102700201B1 (ko)
WO (1) WO202316346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772B1 (ko) * 2013-06-28 2015-06-22 주식회사 이루다 턱관절 통증 완화장치
KR101920493B1 (ko) 2018-05-02 2018-11-21 김상경 목 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7998A (en) * 1922-12-26 1924-03-25 Woolf Milton Electrode
US1849745A (en) * 1930-09-04 1932-03-15 Herman S Hoffman Electrode device
US3620219A (en) * 1969-05-07 1971-11-16 Donald E Barker Facial nerve stimulator
US3659614A (en) * 1969-12-29 1972-05-02 Bernard Jankelson Adjustable headband carrying electrodes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the facial and mandibular nerves
US3709228A (en) * 1971-01-07 1973-01-09 D Barker Apparatus for facial stimulation
US3851651A (en) * 1972-12-22 1974-12-03 P Icenbice Facial stimulating apparatus having sequentially energized electrodes
US4233986A (en) * 1978-07-18 1980-11-18 Agar Ginosar Electronics And Metal Produc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in by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
US5421799A (en) * 1994-08-01 1995-06-06 Rabin; Gustavo R. Scalp massager
US5611771A (en) * 1994-11-14 1997-03-18 Sharper Image Corporation Head mounted pulse action facial massager
US6638295B1 (en) * 1998-08-04 2003-10-28 Schroeer Frederikus Johannes Pressure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meliorating migraine headache
US6077237A (en) * 1998-11-06 2000-06-20 Adaboy, Inc. Headset for vestibular stimul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US6179794B1 (en) * 1998-11-19 2001-01-30 Jon Burras Adjustable vibrating head massaging device
US20030045922A1 (en) * 2001-08-29 2003-03-06 Nancy Northrop Skin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WO2005117797A2 (en) * 2004-05-26 2005-12-15 The Metrohealth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ef of headache
US8142373B1 (en) * 2006-09-08 2012-03-27 Riles Carol W Temple massaging headband
ES1064812Y (es) * 2007-02-08 2007-08-01 Riu Juan Jose Duelo Dispositivo anti-migraña perfeccionado
US9532915B1 (en) * 2008-03-17 2017-01-03 Michelle McKinney Migraine helmet
WO2011093540A1 (ko) * 2010-01-28 2011-08-04 Ye Kyung Bok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US20120302929A1 (en) * 2011-05-23 2012-11-29 Vitaly Tkachenko Head mounted pulse action facial and head massager band
US20130204169A1 (en) * 2012-01-20 2013-08-08 Endetek, Inc. Pain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NL1040380C2 (en) * 2013-09-07 2015-03-10 Anthonius Fredericus Maria Bende Face masks and software/application for activating no production in sinuses.
US20150224019A1 (en) * 2014-02-07 2015-08-13 Comfort Solutions, LLC Headwear with integrated vibratory elements, and a therapeutic method of use
CN109069828A (zh) * 2015-12-15 2018-12-21 波士顿科学医学有限公司 用于头痛的非侵入性治疗的系统和方法
UY36934A (es) * 2016-03-31 2017-11-30 Medecell S A Proceso para establecer un protocolo de electroestimulación para el control de cefaleas, y el respectivo equipo portátil de electroestimulación para el control de cefaleas utilizando el referido protocolo
US20170291007A1 (en) * 2016-04-06 2017-10-12 Sonusmed, Incorporated Therapeutic Vibration System
KR20180064781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라임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전기근육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US10864371B2 (en) * 2017-11-05 2020-12-15 Nurelief, L.L.C. External stimulation of the cranial nerves
US10974047B2 (en) * 2017-11-16 2021-04-13 Lisa C. Nelson Adjustable TMJ headband
WO2019152136A1 (en) * 2018-01-30 2019-08-08 Apex Neuro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anxiety and related disorders via delivery of mechanical stimulation to nerve, mechanoreceptor, and cell targets
KR102140081B1 (ko) * 2018-05-09 2020-07-31 (주)광세의료기 반려동물용 저주파 치료기
IT201800003256U1 (it) * 2018-08-13 2020-02-13 Salvatore Morra Dispositivo di stimolazione cranica
KR102795871B1 (ko) 2019-12-13 2025-04-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턱관절 통증 치료용 광원치료기
KR102380215B1 (ko) * 2020-03-18 2022-03-30 (주)디지링크 전기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및 제어 방법
EP4323053A4 (en) * 2021-04-16 2025-03-05 Texas Medical Center SYSTEM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AT LEAST TWO NERVE BRANCH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772B1 (ko) * 2013-06-28 2015-06-22 주식회사 이루다 턱관절 통증 완화장치
KR101920493B1 (ko) 2018-05-02 2018-11-21 김상경 목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3464A1 (ko) 2023-08-31
KR20230126338A (ko) 2023-08-30
US20240100340A1 (en) 2024-03-28
US20240033515A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4942A1 (en) Resilient head mounted device for neurostimulation and sensing of body parameters
US20250099034A1 (en) Headset for neurostimulation and sensing of body parameters
US20250010019A1 (en) Multimodal, modular, magnetically coupled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optimization of stimul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US10974047B2 (en) Adjustable TMJ headband
US201701654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treatment of head pain
US5540735A (en) Apparatus for electro-stimulation of flexing body portions
EP2177198B1 (en) Neurological disease prevention apparatus
US20170027812A1 (en) Nerve stimulation system and related controller
US20090048642A1 (en) Neurostimulation
CN103269746A (zh) 用于外部枕神经刺激的头带
KR100412569B1 (ko)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CN113226452B (zh) 波叠加型微电流生物施加装置
KR102700201B1 (ko) 턱관절 부위의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KR20230150901A (ko) 턱관절에 대한 온찜질 기능을 갖는 인체 자극기기 및 전기식 찜질기
WO2023181055A1 (en) A pain abating device
KR102501041B1 (ko)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US20240189576A1 (en) Resilient Head Mounted Device and Method for Transdermal Neurostimulation and Sensing of Body Parameters
KR102728423B1 (ko) 습윤식 안면 찜질기
CN219001746U (zh) 一种覆盖型膝部理疗仪
KR102603579B1 (ko) 뇌파측정이 가능한 비침습 뇌신경 자극 장치
CN210250496U (zh) 头部按摩装置
JP2025008666A (ja) 視力回復装置、電気装置、及び視力回復方法
CN116549864A (zh) 一种高度适形性的弱光led治疗仪及工作方法
KR20200134842A (ko) 휴대용 1ch 경두개 자극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03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