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9403B1 - Mechanical descending device for evacuation - Google Patents

Mechanical descending device for evacu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9403B1
KR102699403B1 KR1020230153221A KR20230153221A KR102699403B1 KR 102699403 B1 KR102699403 B1 KR 102699403B1 KR 1020230153221 A KR1020230153221 A KR 1020230153221A KR 20230153221 A KR20230153221 A KR 20230153221A KR 102699403 B1 KR102699403 B1 KR 10269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um
rope
driven gear
driving
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3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민지
Original Assignee
구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지 filed Critical 구민지
Priority to KR102023015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94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940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로프가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의 양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 드럼부; 상기 복수의 구동 드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스케이프먼트 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을 생성하는 밸런스 휠; 상기 밸런스 휠의 회전 진동을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에 전달하는 팔렛트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climbing machin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ase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rope passes; a plurality of driving drums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ope; an escapement wheel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drums; a balance wheel generating rotational vibration about a rotational axis; and a pallet fork transmitting the rotational vibration of the balance wheel to the escapement wheel.

Description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Mechanical descending device for evacuation}Mechanical descending device for evacuation

본 발명은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재 발생시 여러 사람이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elevator that enables multiple people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mechanically without using electricity in the event of a fire.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많은 사람이 동시에 대피해야 하는데, 건물과 같은 소방대상물에 설치하는 피난기구인 종래의 완강기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 통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람이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어렵고, 사용자가 급하게 서둘러 사용하면 추락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many people need to evacuate at the same time. Conventional fire escapes, which are evacuation devices installed in fire-fighting objects such as buildings, allow people to evacuate to the ground when the passageways within the building cannot be used in the event of a fir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multiple people to use them at the same time, and there is a risk of a falling accident if the user uses them in a hurry.

또한 종래의 기계식 완강기는 속도 조절을 사용자가 직접 해야 하므로 위험할 수 있고, 종래의 전기식 완강기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기가 필요하므로 화재 발생시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mechanical fire extinguishers can be dangerous because the user must directly control the speed, and conventional electric fire extinguishers can be difficult to use in the event of a fire because they require electricity to drive the motor.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0521호는 가속도 방지 기능을 갖는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감속부와 회전드럼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하여 하강시 가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강 속도가 안정되어 조난자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감속부와 회전드럼 사이에는 미끄럼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조절해야 하므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0521 relates to a descender having an acceleration prevention function, which minimizes the heat generated between a deceleration unit and a rotating drum,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acceleration during descent, thereby stabilizing the descent speed and preventing a fall accident of a victim in advan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frictional heat due to slipping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deceleration unit and the rotating drum, and since the frictional force must be adjusted to maintain a constant speed, it may be difficult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등록특허공보 제10-1977952호는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로프에 가해지는 힘을 제1권취부와 제2권취부로 분산시킴으로써 완강기의 사용시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제1권취부에서 풀린 와이어로프는 제2권취부의 권취롤러에 감겨짐에 따라 권취롤러의 회전과 함께 제1기어가 회전하면서 이와 함께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가 회전하여 감속장치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며, 제동패드와 마찰밴드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휠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브레이크 패드휠과 함께 회전하는 제2기어에 의해 제1기어를 감속시켜 결과적으로 권취롤러가 천천히 회전하도록 하여 제2권취부를 통해 풀려지는 와이어로프가 천천히 풀어지도록 하여 완강기의 하강시 자유낙하하지 않고 서서히 내려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제동패드와 마찰밴드 사이에는 미끄럼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조절해야 하므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Patent Publication No. 10-1977952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rope, and in order to improve safety by dispersing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rope into the first take-up part and the second take-up part, the safety of the rope when used can be improved. The wire rope released from the first take-up part is wound around the take-up roller of the second take-up part, and as the take-up roller rotates, the first gear rotates, and the second gear rotates in engagement with it to generate braking force by the reduction device. The rotation speed of the brake pad wheel is reduc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rake pad and the friction band, and the first gear is reduced by the second gear rotating together with the brake pad wheel, resulting in the take-up roller rotating slowly, so that the wire rope released through the second take-up part is slowly released, so that the rope does not fall freely when the rope is lowered, but rather descends slowly. However, frictional heat due to slippage is generated between the brake pad and the friction b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be difficult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as friction must be controlled to maintain a constant speed.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189호는 피난기구용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브레이크 패드의 각각에 방열을 위한 절개홈부를 구성하고, 이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되는 감속휠 및 감속휠 덮개에 각각 제 1, 2 방열부를 구성하여 공냉 효과로 발생하는 고열을 방출함으로써 과열로 인한 브레이크 패드 및 감속휠 덮개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하강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여전히 브레이크 패드와 감속휠 사이에는 미끄럼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조절해야 하므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6189 relates to an escape device for an evacuation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brake pads are provided with cut grooves for heat dissipation, and first and second heat dissipation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reduction wheel and reduction wheel cover on which the brake pads are mounted, respectively, to release the high heat generated by the air cooling effect, thereby preventing the brake pads and reduction wheel cover, etc. from being damaged due to overheating, thereby enabling normal operation of the brake pads and maintaining a stable descent speed. However,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frictional heat due to slipping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brake pads and the reduction wheel, and since the frictional force must be controlled to maintain a constant speed, it may be difficult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등록특허공보 제10-1311643호는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완강기의 원심브레이크를 이용한 감속 기능에 더하여 추가로 감속을 더 할 수 있는 별도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추가하여 피난자의 몸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도 안전하게 완강 기능이 가동하도록 하고 있으나, 별도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도 내측에 있는 브레이크 패드가 구동기어부의 구동기어 드럼에 밀착되어 마찰저항을 일으켜 구동기어부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있으므로, 여전히 브레이크 패드와 구동기어 드럼 사이에는 미끄럼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조절해야 하므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Patent Publication No. 10-1311643 relates to a dual brake descender. In addition to the deceleration function using the centrifugal brake of a conventional descender, a separate brake system is added to further decelerate the device, so that the descender function can be safely operated even when the body weight of the evacuee is heavy. However, even in the separate brake system, the brake pads on the insid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e gear drum of the drive gear part, causing frictional resistance to decelerate the rotation of the drive gear part. Therefore,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frictional heat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brake pads and the drive gear drum due to slipping, and since the frictional force must be adjusted to maintain a constant speed, it may be difficult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0521호Publication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0521 등록특허공보 제10-1977952호Patent Registration No. 10-197795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189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6189 등록특허공보 제10-1311643호Patent Registration No. 10-1311643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여러 사람이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multiple people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mechanically without using electricity in the event of a fi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끄럼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하지 않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the need to control frictional force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speed without generating frictional heat due to slid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마찰력을 조절할 필요없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without having to adjust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weigh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urpos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explicitly stated above can be easi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rough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은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로프가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의 양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 드럼부; 상기 복수의 구동 드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스케이프먼트 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을 생성하는 밸런스 휠; 상기 밸런스 휠의 회전 진동을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에 전달하는 팔렛트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climbing machin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ase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rope passes; a plurality of driving drums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ope; an escapement wheel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drums; a balance wheel generating rotational vibration about a rotational axis; and a pallet fork transmitting the rotational vibration of the balance wheel to the escapement wheel.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구동 드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은 상기 구동기어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 드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riven gear coaxially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drum parts; a driving gea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driven gear; and the escapement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axially fixed to the driving gear and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drum parts through the driving gear and the driven gear.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구동 드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의 한쪽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제 1 구동 드럼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의 다른 한쪽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 드럼부 및 제 3 구동 드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drive drum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drive drum part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rotating whil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ope; a second drive drum part and a third drive drum part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rotating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ope.

본 발명의 상기 종동기어는, 제 2 구동 드럼부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제 1 종동기어; 제 3 구동 드럼부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제 2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n 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driven gear coaxially fixed to a second driving drum portion; and a second driven gear coaxially fixed to a third driving drum portion.

본 발명의 상기 구동기어는, 제 1 종동기어 및 제 2 종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driven gear and the second driven gear.

본 발명의 효과는 화재 발생시 여러 사람이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event of a fire, multiple people can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mechanically without using electric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미끄럼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하지 않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liminate the need to control frictional force to maintain a constant speed without generating frictional heat due to slid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마찰력을 조절할 필요없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enables the user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without having to adjust the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weight.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기 효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explicitly stated above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내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은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내부 한 측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내부 다른 측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내부를 로프가 관통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Figur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internal side of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internal aspect of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a rope penetrating the interior of a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구성 및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se embodiments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that are not explicitly shown in the embodiments may be easi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and may be considered as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내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는 화재 발생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200) 내부에 로프 가이드부(310, 320)을 설치하고 상기 보호케이스(200) 내부를 관통하는 로프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evacu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 a rope guide part (310, 320) inside a protective case (200) so that it can be safely lowere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mechanically without using electricity in the event of a fire, and the rop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ase (200) is mov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는 상기 보호케이스(200)를 자신의 신체 일부에 고정하고 매달리기만 하면 자동으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the user simply attaches the protective case (200) to a part of his or her body and hangs, allowing the user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automatically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도 1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상기 보호케이스(200) 내부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보호케이스(200) 내부를 로프가 관통하는 개구부를 제외하고 모든 면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In Fig. 1,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ase (200) is shown as being visible from the outside for explanation purposes, but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ase (200) can be sealed on all sides except for the opening through which the rope passes.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많은 사람이 동시에 대피해야 하는데, 종래의 완강기는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로프에 여러 사람이 매달려서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는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하나의 로프에 여러 사람이 매달려서 차례로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many people need to evacuate at the same time. Conventional escape devices are not only not easily usable by users, but also make it impossible for multiple people to hang from a single rope and use them simultaneously. However,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escap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usable by users, and allows multiple people to hang from a single rope and use them one after another simultaneously.

도 2는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내부 한 측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internal side of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는 보호케이스(200) 내부에 로프 가이드부(310, 320)를 설치하고 상기 보호케이스(200) 내부를 관통하는 로프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로프 가이드부(310, 320) 사이에서 로프의 양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제 1 구동 드럼부(410), 제 2 구동 드럼부(420), 제 3 구동 드럼부(43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iving drum part (410), a second driving drum part (420), and a third driving drum part (430) that are installed inside a protective case (200) and rotat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ope between the rope guide parts (310, 320) so that the rop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ase (200) move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도 2에는 도시된 바가 없으나, 제 1 구동 드럼부(410), 제 2 구동 드럼부(420), 제 3 구동 드럼부(430)가 상기 로프의 양 옆에 탄성력을 가지며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구동 드럼부(410), 제 2 구동 드럼부(420), 제 3 구동 드럼부(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축이 상기 로프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in order to ensure that the first driving drum unit (410), the second driving drum unit (420), and the third driving drum unit (430) are elastically and close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rope, the rotation axi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driving drum unit (410), the second driving drum unit (420), and the third driving drum unit (430) may be formed to have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rope.

도 2에는 상기 로프의 도시되지 않고 생략되어 있으나 상기 로프는 로프 가이드부(310, 320)를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로프의 한쪽 옆에, 즉 도 2에서는 상기 로프의 왼쪽편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제 1 구동 드럼부가 배치되고, 상기 로프의 다른 한쪽 옆에, 즉 도 2에서는 상기 로프의 오른쪽편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 드럼부 및 제 3 구동 드럼부가 배치된다.In Fig. 2, the rope is not depicted and is omitted, but the rope is arranged along a rope guide section (310, 320), and a first driving drum section that rotate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ope, that is, the left side of the rope in Fig. 2, is arranged, and a second driving drum section and a third driving drum section that ro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ope, that is, the right side of the rope in Fig. 2, are arranged.

제 1 구동 드럼부(410), 제 2 구동 드럼부(420), 제 3 구동 드럼부(430)의 배치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제 2 구동 드럼부(420)와 제 3 구동 드럼부(430)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거나 그 외에 다른 구동 드럼부가 더 추가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first driving drum unit (410), the second driving drum unit (420), and the third driving drum unit (430) is only one embodiment, and either the second driving drum unit (420) or the third driving drum unit (430) may be omitted or other driving drum units may be additionally arranged.

도 3은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내부 다른 측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internal aspect of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는 보호케이스(200) 내부에 로프 가이드부(310, 320)를 설치하고 상기 보호케이스(200) 내부를 관통하는 로프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로프 가이드부(310, 320) 사이에서 로프의 양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제 1 구동 드럼부(410), 제 2 구동 드럼부(420), 제 3 구동 드럼부(430)를 포함하고 있고, 제 2 구동 드럼부(420)의 하부에는 제 2 구동 드럼부(420)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제 1 종동기어(510)가 배치되고, 제 3 구동 드럼부(430)의 하부에는 제 3 구동 드럼부(430)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제 2 종동기어(520)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3,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climb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pe guide section (310, 320) installed inside a protective case (200), and includes a first driving drum section (410), a second driving drum section (420), and a third driving drum section (430)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and rotate on both sides of the rope between the rope guide sections (310, 320) so that the rop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ase (200) move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and a first driven gear (510) that is coaxially fixed to the second driving drum section (420) is arrang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drum section (420), and a second driven gear (520) that is coaxially fixed to the third driving drum section (430) is arrang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driving drum section (430).

제 1 종동기어(510) 및 제 2 종동기어(52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구동기어(600)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600)의 하부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이 배치된다.In order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driven gear (510) and the second driven gear (520), a driving gear (600) is arranged between them, and an escapement wheel (700) is arranged coaxially and closely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gear (600).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의 외주면에는 이스케이프먼트 휠 톱니(710)가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로프(10)에 힘이 가해지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된다.Escapement wheel teeth (71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scapement wheel (700), and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rope (10) by the user, it rotate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을 생성하는 밸런스 휠(800)이 배치되고, 상기 밸런스 휠(800)의 회전 진동을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에 전달하는 팔렛트 포크(900)가 배치된다.In order to allow the escapement wheel (700) to rotate at a constant speed, a balance wheel (800) that generates rotational vibration around a rotational axis is arranged, and a pallet fork (900)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vibration of the balance wheel (800) to the escapement wheel (700) is arranged.

상기 밸런스 휠(800)의 회전축에는 밸런스 스프링(810)이 연결되고 상기 밸런스 스프링(810)의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상기 밸런스 휠(800)의 회전 진동이 생성된다.A balance spring (81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alance wheel (800), and as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balance spring (810) are repeated, rotational vibration of the balance wheel (800) is generated.

상기 밸런스 휠(800)의 회전 진동은 상기 팔렛트 포크(900)에 전달되고, 상기 팔렛트 포크(900)를 통하여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은 상기 밸런스 휠(800)의 회전 진동의 반주기 동안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 톱니(710)가 하나씩 돌아가면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The rotational vibration of the balance wheel (800) is transmitted to the pallet fork (900), and the escapement wheel (700) is rotated at a constant speed through the pallet fork (900). The escapement wheel (700) is rotated at a constant speed as the escapement wheel teeth (710) turn one by one during a half cycle of the rotational vibration of the balance wheel (800).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 상기 밸런스 휠(800), 상기 팔렛트 포크(90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구성은 기계식 무브먼트를 사용하는 시계의 내부 부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 상기 밸런스 휠(800), 상기 팔렛트 포크(90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구성을 완강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의 일정한 속도를 기어 구조 등을 통하여 구동 드럼부에 전달한다.The configuration that rotate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by the escapement wheel (700), the balance wheel (800), and the pallet fork (900) is generally used as an internal component of a watch using a mechanical move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constant speed of the escapement wheel (700) to the driving drum part through a gear structure or the like in order to apply the configuration that rotate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by the escapement wheel (700), the balance wheel (800), and the pallet fork (900) to a watch.

도 4는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내부를 로프가 관통하는 모습을 도시한다.Figure 4 illustrates a rope penetrating the interior of a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는 보호케이스(200) 내부에 로프 가이드부(310, 320)를 설치하고 상기 보호케이스(200) 내부를 관통하는 로프(10)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도록 상기 로프 가이드부(310, 320) 사이에 제 1 구동 드럼부(410), 제 2 구동 드럼부(420), 제 3 구동 드럼부(430)를 배치하여 상기 로프(10)의 양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rope guide part (310, 320) inside a protective case (200) and arranges a first driving drum part (410), a second driving drum part (420), and a third driving drum part (430) between the rope guide parts (310, 320) so that a rope (10)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ase (200) move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thereby rotating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ope (10).

제 2 구동 드럼부(420)의 하부에는 제 2 구동 드럼부(420)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제 1 종동기어(510)가 배치되고, 제 3 구동 드럼부(430)의 하부에는 제 3 구동 드럼부(430)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제 2 종동기어(520)가 배치되며, 제 1 종동기어(510)와 제 2 종동기어(520)의 사이에 구동기어(600)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600)의 하부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이 배치된다.A first driven gear (510) is arrang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drum unit (420) and is coaxially fixed to the second driving drum unit (420). A second driven gear (520) is arrang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driving drum unit (430) and is coaxially fixed to the third driving drum unit (430). A driving gear (600)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driven gear (510) and the second driven gear (520). An escapement wheel (700) is arrang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gear (600) and is coaxially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gear (600).

밸런스 휠(800)의 회전 진동에 의하여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과 함께 상기 구동기어(600)가 회전하여 제 1 종동기어(510)와 제 2 종동기어(520)에도 일정한 속도의 회전을 발생시킨다.The escapement wheel (700) rotates at a constant speed by the rotational vibration of the balance wheel (800), and the drive gear (600) rotates together with the escapement wheel (700) to cause the first driven gear (510) and the second driven gear (520) to rotate at a constant speed.

제 1 종동기어(510)와 제 2 종동기어(520)에 각각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제 2 구동 드럼부(420)와 제 3 구동 드럼부(430)는 상기 로프(10)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움직이도록 하고, 제 1 구동 드럼부(410)와 함께 상기 로프(10)를 양 옆에서 파지하게 된다.The second driving drum unit (420) and the third driving drum unit (430), which are coaxially and closely fixed to the first driven gear (510) and the second driven gear (520), respectively, allow the rope (10) to mov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and together with the first driving drum unit (410), hold the rope (10) from both sides.

결국 본 발명은 미끄럼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하지 않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마찰력을 조절할 필요없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Ultimatel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enerate frictional heat due to slipping and does not require the control of frictional force to maintain a constant speed, and allows the user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without the need to control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weight.

도 5는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FIG. 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인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의 제 1 구동 드럼부(410)의 하부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이 배치되고 사용자의 체중이 로프(10)를 통하여 제 1 구동 드럼부(410)에 전달되면 제 1 구동 드럼부(410)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scapement wheel (700) coaxially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riving drum part (410) of the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user's body weigh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ing drum part (410) through a rope (10), the first driving drum part (410) rotate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또한 사용자의 몸무게를 고려하여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의 반경을 조절함으로써 더욱 더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상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radius of the escapement wheel (700) considering the user's weight, it is possible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more constant speed.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의 배치 위치와 반경은 제 1 구동 드럼부(410), 제 2 구동 드럼부(420), 제 3 구동 드럼부(430)의 일정한 회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변경 가능하고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The position and radius of the above escapement wheel (700) can be changed to generate constant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drum unit (410), the second driving drum unit (420), and the third driving drum unit (430), and a plurality of escapement wheels (700) can be installed.

물론,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700)의 일정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밸런스 휠(800)과 상기 팔렛트 포크(900)도 함께 연결된다.Of course, the balance wheel (800) and the pallet fork (900) are also connected together for constant rotation of the escapement wheel (700).

10: 로프
100: 완강기
200: 보호케이스
310, 320: 로프 가이드부
410: 제 1 구동 드럼부
420: 제 2 구동 드럼부
430: 제 3 구동 드럼부
510: 제 1 종동기어
520: 제 2 종동기어
600: 구동기어
700: 이스케이프먼트 휠
710: 이스케이프먼트 휠 톱니
800: 밸런스 휠
810: 밸런스 스프링
900: 팔렛트 포크
10: Rope
100: The End
200: Protective Case
310, 320: Rope guide section
410: 1st drive drum section
420: 2nd drive drum section
430: Third drive drum section
510: 1st driven gear
520: 2nd driven gear
600: Drive Gear
700: Escapement wheel
710: Escapement wheel teeth
800: Balance Wheel
810: Balance Spring
900: Pallet Fork

Claims (5)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에 있어서,
로프가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의 양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 드럼부;
상기 복수의 구동 드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스케이프먼트 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을 생성하는 밸런스 휠;
상기 밸런스 휠의 회전 진동을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에 전달하는 팔렛트 포크;
상기 복수의 구동 드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스케이프먼트 휠은 상기 구동기어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고,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 드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드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의 한쪽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제 1 구동 드럼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의 다른 한쪽 옆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 드럼부 및 제 3 구동 드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
In the case of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s,
A cas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through which a rope passes;
A plurality of driving drum parts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ope;
An escapement wheel that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drum parts;
A balance wheel that generates rotational vibrations around an axis of rotation;
A pallet fork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vibration of the balance wheel to the escapement wheel;
A driven gear coaxially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drum sections;
Including a driving gear that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the above driven gear;
The above escapement wheel is coaxially fixed to the driving gear and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drum parts through the driving gear and the driven gear,
The above multiple driving drum parts,
A first driving drum portion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ope;
A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riving drum section and a third driving drum section, which are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ro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o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는,
제 2 구동 드럼부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제 1 종동기어;
제 3 구동 드럼부에 동축으로 밀착 고정되는 제 2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riven gear is,
A first driven gear coaxially fixed to the second driving drum;
A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driven gear coaxially fixed to a third driving dru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제 1 종동기어 및 제 2 종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개인용 자동 완강기.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driving gear is,
A mechanical personal automatic lifting machine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a first driven gear and a second driven gea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53221A 2023-11-08 2023-11-08 Mechanical descending device for evacuation Active KR102699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3221A KR102699403B1 (en) 2023-11-08 2023-11-08 Mechanical descending device for evacu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3221A KR102699403B1 (en) 2023-11-08 2023-11-08 Mechanical descending device for evacu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9403B1 true KR102699403B1 (en) 2024-08-27

Family

ID=9258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3221A Active KR102699403B1 (en) 2023-11-08 2023-11-08 Mechanical descending device for evacu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940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269A (en) * 1987-06-18 1988-11-01 Clay Richard B Descent regulator and escape system
CN102949785A (en) * 2012-10-31 2013-03-06 吉林大学 High-rise circulating escape device based on escapement principle
KR101311643B1 (en) 2012-05-14 2013-09-25 강희선 Emergency descending device with dual brake system
KR200476189Y1 (en) 2014-02-24 2015-02-05 (주)서한에프앤씨 Automatic descending life line
KR101977952B1 (en) 2018-02-21 2019-05-13 주식회사 에스엠투 Descending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KR20200090521A (en) 2019-01-21 2020-07-29 김택상 Decending life line having acceleration preventing function
KR20230136528A (en) *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엔도로보틱스 Apparatus for moving a tubular memb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269A (en) * 1987-06-18 1988-11-01 Clay Richard B Descent regulator and escape system
KR101311643B1 (en) 2012-05-14 2013-09-25 강희선 Emergency descending device with dual brake system
CN102949785A (en) * 2012-10-31 2013-03-06 吉林大学 High-rise circulating escape device based on escapement principle
KR200476189Y1 (en) 2014-02-24 2015-02-05 (주)서한에프앤씨 Automatic descending life line
KR101977952B1 (en) 2018-02-21 2019-05-13 주식회사 에스엠투 Descending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KR20200090521A (en) 2019-01-21 2020-07-29 김택상 Decending life line having acceleration preventing function
KR20230136528A (en) *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엔도로보틱스 Apparatus for moving a tubular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7771B1 (en) Fall Protection Safety Device with a Braking Mechanism
KR101863018B1 (en) Centrifugal brake mechanism
JPS59217589A (en) Slow elevator
EP3030325B1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KR101311643B1 (en) Emergency descending device with dual brake system
ES2582036T3 (en) Safety device, in particular safety line
US4448284A (en) People rescue device
JP2005511214A (en) Variable speed lifesaving device
CN108721795B (en) A working condition-adaptive high-rise emergency escape device
KR102699403B1 (en) Mechanical descending device for evacuation
EP3530323A1 (en) Descending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CN102553093B (en) Descent controller
KR20200058257A (en) A Emergency Escape System In High-Rise Buildings
KR20200090521A (en) Decending life line having acceleration preventing function
KR102321581B1 (en) Self driving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CN210138383U (en) Rope winding mechanism for slow descending device
KR102095868B1 (en) Descending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KR20080038984A (en) Waning machine
CN207286461U (en) Improved Structure of Fixed Escape Ladder
CN107224680A (en) Fall-slowing device for rescuing from high building
JPH11267230A (en) Slow descender for escape
KR920005723B1 (en) Portable safety lowering device
KR100883838B1 (en) Non-powered descent control
JPH0223313Y2 (en)
KR102592783B1 (en) Descending Apparatus for Evacuation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