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7220B1 -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Google Patents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7220B1 KR102697220B1 KR1020210175652A KR20210175652A KR102697220B1 KR 102697220 B1 KR102697220 B1 KR 102697220B1 KR 1020210175652 A KR1020210175652 A KR 1020210175652A KR 20210175652 A KR20210175652 A KR 20210175652A KR 102697220 B1 KR102697220 B1 KR 1026972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arm
- adapter
- tie
- ti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는 아답터(50), 제1 암타이(60), 제2 암타이(62), 암타이밴드(70)가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되도록 생산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아답터(50)에 제1 암타이(60), 제2 암타이(62), 암타이밴드(70)를 각각 조립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주(1)에 설치되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제1 및 제2 암타이(60)(62)는 전주(1)의 외주면에 직접 밀착된 상태에서 상단과 결합된 아답터(50)와 하단과 결합된 암타이밴드(70)에 의해 전주(1)와 결속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공 점퍼선이나 COS(컷아웃 스위치) 인하선 등과 혼촉되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게 되므로 선로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에 직접 밀착되는 암타이와 암타이밴드를 구비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완철밴드 구조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1)를 감싸는 U밴드(2)와, 상기 U밴드(2)에 연결 고정되는 양쪽 볼트(3)에 이중너트(4a,4b)와 와셔(5)를 매개로 고정 체결되어 완철(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아답터(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완철밴드 구조체는 시공불량 또는 강풍 등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완철(10)의 처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전주(1)에 설치되는 암타이밴드(12)와 완철(10)을 연결하는 암타이(14)가 대부분 추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추가 설치되는 암타이(14)는 별도로 완철(10)과 전주(1)에 암타이밴드(12)를 매개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넓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설치시 작업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후 시공 점퍼선이나 COS(컷아웃 스위치) 인하선 등과 혼촉하여 선로 고장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주에 설치되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공 점퍼선이나 COS(컷아웃 스위치) 인하선 등과 혼촉되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게 되므로 선로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는, 전주를 감싸는 U밴드와, 상기 U밴드에 연결 고정되는 양쪽 제1 볼트를 매개로 고정 체결되어 완철을 지지하는 아답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의 일측에는 상기 전주의 외주면에 직접 밀착되는 제1 및 제2 암타이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의 하단에는 상기 전주의 외주면 반쪽에 밀착되는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아답터의 양단에는 상기 양쪽 제1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보다 바깥측에 제1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는 상기 아답터의 안쪽면에 대해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의 상단은 상기 아답터의 안쪽면에 면착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의 일측은 상기 전주의 외주면과 각각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는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간격유지판에 의해 상기 제1 암타이와 상기 제2 암타이의 중간 높이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간격유지판의 양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의 하단은 상기 암타이밴드의 안쪽면에 면착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의 양단에는 기존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의 양단과 맞닿아 제2 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제2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는 아답터, 제1 암타이, 제2 암타이, 암타이밴드가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되도록 생산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아답터에 제1 암타이, 제2 암타이, 암타이밴드를 각각 조립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주에 설치되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암타이는 전주의 외주면에 직접 밀착된 상태에서 상단과 결합된 아답터와 하단과 결합된 암타이밴드에 의해 전주와 결속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공 점퍼선이나 COS(컷아웃 스위치) 인하선 등과 혼촉되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게 되므로 선로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완철밴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암타이에 의해 완철이 취부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와 암타이밴드가 구비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 구조에 의해 1개의 완철을 전주에 설치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 구조에 의해 2개의 완철을 전주에 설치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암타이에 의해 완철이 취부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타이와 암타이밴드가 구비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 구조에 의해 1개의 완철을 전주에 설치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 구조에 의해 2개의 완철을 전주에 설치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완철밴드는, 전주(1)를 감싸는 U밴드(20)와, 상기 U밴드(20)에 연결 고정되는 양쪽 제1 볼트(30)를 매개로 고정 체결되어 완철(10)을 지지하는 아답터(50)로 구성되고, 상기 아답터(50)의 일측에는 상기 전주(1)의 외주면에 직접 밀착되는 제1 및 제2 암타이(60)(62)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60)(62)의 하단에는 상기 전주(1)의 외주면 반쪽에 밀착되는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70)가 결합된다.
상기 아답터(50)의 양단에는 상기 양쪽 제1 볼트(30)가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60)(62)보다 바깥측에 제1 볼트구멍(5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60)(62)는 상기 아답터(50)의 안쪽면에 대해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때 제1 및 제2 암타이(60)(62)의 상단이 상기 아답터(50)의 안쪽면에 면착되어 용접된다.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60)(62)의 일측은 상기 전주(1)의 외주면과 각각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60)(62)는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간격유지판(64)에 의해 상기 제1 암타이(60)와 상기 제2 암타이(62)의 중간 높이가 서로 결합되되, 상기 간격유지판(64)의 양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60)(62)와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60)(62)의 하단은 상기 암타이밴드(70)의 안쪽면에 면착되어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70)의 양단에는 기존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80)의 양단과 맞닿아 제2 볼트(32)에 의해 체결되도록 제2 볼트구멍(7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는 아답터(50), 제1 암타이(60), 제2 암타이(62), 암타이밴드(70)가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1개의 완철(10)을 전주(1)에 설치할 때에는 도 4와 같이 아답터(50)는 전주(1)를 감싸는 U밴드(20)에 연결 고정되는 양쪽 제1 볼트(30)를 매개로 완철(10)과 결속되고,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70)는 반원 형태의 기존 암타이밴드(80)와 제2 볼트(32)에 의해 전주(1)에 결속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완철(10)을 전주(1)에 설치할 때에는 도 5와 같이 아답터(50), 제1 암타이(60), 제2 암타이(62), 암타이밴드(70)가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된 2쌍을 전주(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면서 결속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 처럼, 본 발명의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는 아답터(50), 제1 암타이(60), 제2 암타이(62), 암타이밴드(70)가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되도록 생산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아답터(50)에 제1 암타이(60), 제2 암타이(62), 암타이밴드(70)를 각각 조립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주(1)에 설치되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암타이(60)(62)는 전주(1)의 외주면에 직접 밀착된 상태에서 상단과 결합된 아답터(50)와 하단과 결합된 암타이밴드(70)에 의해 전주(1)와 결속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공 점퍼선이나 COS(컷아웃 스위치) 인하선 등과 혼촉되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게 되므로 선로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전주
10 : 완철
20 : U밴드
30 : 제1 볼트
32 : 제2 볼트
50 : 아답터
52 : 제1 볼트구멍
60 : 제1 암타이
62 : 제2 암타이
64 : 간격유지판
70 : 암타이밴드
72 : 제2 볼트구멍
80 : 기존 암타이밴드
10 : 완철
20 : U밴드
30 : 제1 볼트
32 : 제2 볼트
50 : 아답터
52 : 제1 볼트구멍
60 : 제1 암타이
62 : 제2 암타이
64 : 간격유지판
70 : 암타이밴드
72 : 제2 볼트구멍
80 : 기존 암타이밴드
Claims (9)
- 전주를 감싸는 U밴드와, 상기 U밴드에 연결 고정되는 양쪽 제1 볼트를 매개로 고정 체결되어 완철을 지지하는 아답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의 일측 안쪽면에는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에 의해 면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주의 외주면에 직접 밀착되는 제1 및 제2 암타이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의 하단 안쪽에는 상기 전주의 외주면 반쪽에 밀착되는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가 면착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의 양단에는 기존 반원 형태의 암타이밴드의 양단과 맞닿아 제2 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제2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의 양단에는 상기 양쪽 제1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보다 바깥측에 제1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의 일측은 상기 전주의 외주면과 각각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는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간격유지판에 의해 상기 제1 암타이와 상기 제2 암타이의 중간 높이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판의 양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암타이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5652A KR102697220B1 (ko) | 2021-12-09 | 2021-12-09 |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653A KR20240122404A (ko) | 2021-12-09 | 2024-08-01 | 간격유지판이 용접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486A KR20240123289A (ko) | 2021-12-09 | 2024-08-01 | 볼트구멍이 형성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867A KR20240124241A (ko) | 2021-12-09 | 2024-08-02 | 암타이 간격이 유지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932A KR20240122408A (ko) | 2021-12-09 | 2024-08-02 | 간격유지판을 활용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808A KR20240122405A (ko) | 2021-12-09 | 2024-08-02 | 곡면의 암타이가 형성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5652A KR102697220B1 (ko) | 2021-12-09 | 2021-12-09 |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02653A Division KR20240122404A (ko) | 2021-12-09 | 2024-08-01 | 간격유지판이 용접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486A Division KR20240123289A (ko) | 2021-12-09 | 2024-08-01 | 볼트구멍이 형성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808A Division KR20240122405A (ko) | 2021-12-09 | 2024-08-02 | 곡면의 암타이가 형성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867A Division KR20240124241A (ko) | 2021-12-09 | 2024-08-02 | 암타이 간격이 유지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932A Division KR20240122408A (ko) | 2021-12-09 | 2024-08-02 | 간격유지판을 활용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7058A KR20230087058A (ko) | 2023-06-16 |
KR102697220B1 true KR102697220B1 (ko) | 2024-08-22 |
Family
ID=86948534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5652A Active KR102697220B1 (ko) | 2021-12-09 | 2021-12-09 |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653A Pending KR20240122404A (ko) | 2021-12-09 | 2024-08-01 | 간격유지판이 용접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486A Pending KR20240123289A (ko) | 2021-12-09 | 2024-08-01 | 볼트구멍이 형성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808A Pending KR20240122405A (ko) | 2021-12-09 | 2024-08-02 | 곡면의 암타이가 형성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932A Pending KR20240122408A (ko) | 2021-12-09 | 2024-08-02 | 간격유지판을 활용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867A Pending KR20240124241A (ko) | 2021-12-09 | 2024-08-02 | 암타이 간격이 유지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02653A Pending KR20240122404A (ko) | 2021-12-09 | 2024-08-01 | 간격유지판이 용접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486A Pending KR20240123289A (ko) | 2021-12-09 | 2024-08-01 | 볼트구멍이 형성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808A Pending KR20240122405A (ko) | 2021-12-09 | 2024-08-02 | 곡면의 암타이가 형성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932A Pending KR20240122408A (ko) | 2021-12-09 | 2024-08-02 | 간격유지판을 활용한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20240102867A Pending KR20240124241A (ko) | 2021-12-09 | 2024-08-02 | 암타이 간격이 유지되는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6) | KR10269722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18565A (ja) | 2007-11-02 | 2009-05-28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腕金装置補強器具 |
KR102225695B1 (ko) | 2020-10-14 | 2021-03-08 | 김용식 | 암타이 랙크 밴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1122U (ko) | 2006-11-13 | 2008-05-16 | 성화금속 주식회사 |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KR101399036B1 (ko) * | 2011-11-30 | 2014-05-28 | 한국전력공사 | 완금 밴드 |
KR20210000517A (ko) * | 2019-06-25 | 2021-01-05 | 한국전력공사 | 스마트 암타이 |
KR102417971B1 (ko) * | 2020-05-29 | 2022-07-07 | 권오연 | 전주용 완금 밴드 |
-
2021
- 2021-12-09 KR KR1020210175652A patent/KR102697220B1/ko active Active
-
2024
- 2024-08-01 KR KR1020240102653A patent/KR20240122404A/ko active Pending
- 2024-08-01 KR KR1020240102486A patent/KR20240123289A/ko active Pending
- 2024-08-02 KR KR1020240102808A patent/KR20240122405A/ko active Pending
- 2024-08-02 KR KR1020240102932A patent/KR20240122408A/ko active Pending
- 2024-08-02 KR KR1020240102867A patent/KR20240124241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18565A (ja) | 2007-11-02 | 2009-05-28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腕金装置補強器具 |
KR102225695B1 (ko) | 2020-10-14 | 2021-03-08 | 김용식 | 암타이 랙크 밴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7058A (ko) | 2023-06-16 |
KR20240122404A (ko) | 2024-08-12 |
KR20240122405A (ko) | 2024-08-12 |
KR20240123289A (ko) | 2024-08-13 |
KR20240124241A (ko) | 2024-08-16 |
KR20240122408A (ko) | 2024-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22053B1 (ko) |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 |
KR102697220B1 (ko) | 개량형 완철밴드의 아답터 구조 | |
KR20210131982A (ko) |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 |
JP5149772B2 (ja) | がいし連への避雷器取付構造 | |
CN105811315A (zh) | 110kv变电站电缆架设夹具 | |
CN215907563U (zh) | 一种双拉线二联板平衡器 | |
CN218805336U (zh) | 一种内咬合式防脱型支撑器 | |
KR102075824B1 (ko) | 개폐기용 지지유닛 | |
KR20120095092A (ko) | 송전 철탑 인상 장치 | |
JP2007207631A (ja) | 架空送電線懸垂装置の横揺れ防止構造 | |
KR20190056711A (ko) |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체결장치 | |
KR101024898B1 (ko) |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 |
CN222422992U (zh) | 一种横担柱式af线绝缘子更换工具 | |
KR20240122415A (ko) | 스페이서 1개 사용이 가능한 티분기용 클램프 구조체 | |
CN213025686U (zh) | 一种特高压干式空心平波电抗器 | |
CN203891581U (zh) | 一种自锁式围栏连接部件 | |
KR20240178843A (ko) | 내회전 방지 결합형 연장완철 장치 및 지지방법 | |
KR101110204B1 (ko) | 가공지선 지지대 | |
KR200309524Y1 (ko) |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가공지선 고정구 | |
KR20240174315A (ko) | 철탑용 추락방지장치 | |
CN114517440B (zh) | 一种大节段拱肋及其施工方法 | |
KR20050093282A (ko) | 조가선 고정용 밴드 | |
KR200259577Y1 (ko) | 터널용 브라켓트 | |
US2442165A (en) | Insulator | |
KR100603907B1 (ko) | 납축전지의 단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5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