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5771B1 - 반려동물용 브러쉬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5771B1
KR102685771B1 KR1020210100739A KR20210100739A KR102685771B1 KR 102685771 B1 KR102685771 B1 KR 102685771B1 KR 1020210100739 A KR1020210100739 A KR 1020210100739A KR 20210100739 A KR20210100739 A KR 20210100739A KR 102685771 B1 KR102685771 B1 KR 10268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hole
brush
skin
pet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798A (ko
Inventor
황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당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당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당개
Priority to KR102021010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57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57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와 후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전면부에 형성되는 솔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는 개방홀부; 상기 측면부의 일 측에서 상기 개방홀부를 관통하며 타 측의 일 영역까지 관통 형성되는 홈 형태의 인입부; 및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개방홀부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피부에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조명을 조사하는 진단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브러쉬{BRUSH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애완동물이 가족의 한 일원으로 인식하는 추세이고, 이러한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도 증가하고 있어 상기 애완동물에 지출되는 비용이 증가되는 등 전체적인 애완동물의 시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관리에 소요되는 것으로는 애완동물의 장식용 악세서리, 옷, 식품 이외에 미용 및 건강등이 있는데, 상기 애완동물을 가족의 한 일원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건강에 관련된 서비스 및 제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히, 애완동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털손질 등을 게을리하는 경우에는 털이 헝클어지고 습기가 많아 지는 등 각종 기생충과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됨으로, 애완동물이 피부질환이 발생하거나 건강상태가 나빠져서 이를 치료하는 비용이 더욱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털을 보다 청결하게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각종 기능성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여 왔다.
종래 다양한 브러쉬 중에는 애완동물의 피부질환 발생을 더욱 방지하도록 금속 재질의 빗솔이 적용된 제품이 있는데 금속 부품을 플라스틱 하우징에 고정 결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복잡한 결합구조가 마련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금속 부품을 효율적으로 고정하기 힘든 구조로 인해 장시간 사용 후에는 금속 빗솔 부분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 하락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1225호(2002.06.26.)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털을 빗어줌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반려동물의 털을 빗어줌과 동시에, 우드등 또는 백색 LED 등으로 형성되는 진단조명부와, 확대경 또는 편광필터로 형성되는 상태확인부를 통해 반려동물의 곰팡이 감염, 피부 병변 등을 감별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반려동물의 빗질과 함께, 반려동물의 피부에 연고를 바르거나 피부 병변의 샘플링 채취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부와 후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전면부에 형성되는 솔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는 개방홀부; 상기 측면부의 일 측에서 상기 개방홀부를 관통하며 타 측의 일 영역까지 관통 형성되는 홈 형태의 인입부; 및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개방홀부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피부에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조명을 조사하는 진단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전면부의 외측 테두리에서부터 상기 개방홀부의 테두리까지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하 방향에 따른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삽입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홈부를 통해 외부에서부터 상기 개방홀부까지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부에는 상기 솔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개방홀부에 의해 일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며, 반려동물의 피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태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삽입홈부의 상하방향 외측의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솔부의 길이보다 짧게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부를 통해, 외부에서부터 상기 개방홀부까지 삽입 가능한 어플리케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삽입홈부를 통해 상기 개방홀부까지 삽입되어, 반려동물의 피부와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에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삽입될 수 있는 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홀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피부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 모듈; 및 상기 개방홀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피부를 촬영할 수 촬영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조명부, 상기 살균 모듈, 상기 촬영 모듈 및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진단조명부, 상기 살균 모듈, 상기 촬영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촬영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털을 빗어줌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털을 빗어줌과 동시에, 우드등 또는 백색 LED 등으로 형성되는 진단조명부와, 확대경 또는 편광필터로 형성되는 상태확인부를 통해 반려동물의 곰팡이 감염, 피부 병변 등을 감별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빗질과 함께, 반려동물의 피부에 연고를 바르거나 피부 병변의 샘플링 채취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브러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이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 구성의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브러쉬(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브러쉬(1)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브러쉬(1)는 본체(10), 손잡이부(20), 상태확인부(30), 어플리케이터(40) 및 논슬립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솔부(17)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빗어줄 수 있는 부분이다.
본체(10)는 하우징(11), 개방홀부(12), 인입부(13), 삽입홈부(14), 돌기부(15), 진단조명부(16) 및 솔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전면부(111)와 후면부(112)와 측면부(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전면부(111)와 후면부(112)가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부(113)가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1)의 전면부(111)와 후면부(112)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홀부(12)는 하우징(11)의 일 영역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홀부(12)는 하우징(1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홀 일 수 있다. 개방홀부(12)를 통해 전후 방향이 관통될 수 있다.
인입부(13)는 측면부(113)의 일 측에서 개방홀부(12)를 관통하며 타 측의 일 영역까지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입부(13)는 상하로 소정 길이만큼 측면부(113)의 우측면에서부터 개방되어 하우징(11) 내부가 비어있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홀부(12)를 관통하고, 하우징(11)의 좌측부의 내부의 일 영역이 비어있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부(13)는 측면부(113)의 일 측면에서부터 타 측 일부까지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인입부(13)에는 후술할 상태확인부(30)가 일 측에서부터 타 측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인입부(13)는 측면부(113)의 전후방향 중심에 형성되어, 전면부(111)와 후면부(112)는 차폐된 상태가 유지되며 하우징(11)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부(14)는 전면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부(14)는 전면부(111)의 외측 테두리에서부터 개방홀부(12)의 테두리까지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하 방향에 따른 소정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부(14)는 전면부(111)의 상하 방향의 높이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개방홀부(12)의 좌우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부(14)는 전면부(111)에서 소정 폭이 좌우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부분이다. 삽입홈부(14)를 통해 외부에서부터 개방홀부(12)까지 연통되며, 삽입홈부(14)에는 솔부(17)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삽입홀부로 어플리케이터(40)가 삽입될 수 있다.
돌기부(15)는 삽입홈부(14)의 상하방향 외측의 전면부(111)에서 솔부(17)의 길이보다 짧게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부(15)는 삽입홈부(14)의 상측방향의 외측 테두리와 하측방향의 외측 테두리에서 솔부(17)의 길이보다 짧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돌기부(15)는 삽입홈부(14)가 형성된 전면부(111)의 외측 테두리와 개방홀부(12)의 테두리 측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서부터 삽입홈부(14), 개방홀부(12)까지 연통될 수 있다.
돌기부(15)가 삽입홈부(14) 외측에 형성됨에 따라, 삽입홈부(14)의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삽입홈부(14)에 어플리케이터(40)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진단조명부(16)는 전면부(111)에서 개방홀부(12)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단조명부(16)는 반려동물의 피부에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조명을 조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진단조명부(16)는 우드등(wood's lamp) 또는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개방홀부(12)의 둘레를 따라 우드등과 백색 LED가 교번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진단조명부(16)를 통해 반려동물 피부의 곰팡이 감염을 진단할 수 있다. 특히, 백색 LED를 이용하여 피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솔부(17)는 다수의 인모와 같은 솔로 구성되어, 반려동물의 털을 빗을 수 있다. 솔부(17)는 전면부(111)에 다수개가 형성되되, 삽입홈부(14)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손잡이부(20)는 본체(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0)는 보관부(21), 투명창(22), 살균부(23) 및 버튼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21)는 손잡이부(20)의 내부에 형성되는 홈 형태로써, 내부에 어플리케이터(40)가 삽입 보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관부(21)는 손잡이부(20)의 하단에서부터 상부로 어플리케이터(40) 길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홈 형태일 수 있다. 보관부(21)에는 어플리케이터(40)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보관부(21)에 어플리케이터(40)가 삽입된 이후에는, 패킹부(25)가 보관부(21)의 하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어, 보관부(21) 내부에 어플리케이터(40)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투명창(22)은 보관부(21)가 형성된 부분의 손잡이 전면으로써, 투명한 강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보관부(21) 내부의 어플리케이터(4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살균부(23)는 보관부(21) 내부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어, 보관부(21)에 수용되는 어플리케이터(40)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부(23)는 살균 LED(611)로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24)는 손잡이부(2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진단조명부(16)의 전원 조절 및 진단조명부(16)의 우드등과 백색 LED등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태확인부(30)는 하우징(11)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태확인부(30)는 인입부(13)를 통해 하우징(11) 내부로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개방홀부(12)에 의해 일 영역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태확인부(30)는 확대경 또는 편광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확대경 또는 편광필터로 구성되는 상태확인부(30)가 개방홀부(12)에 위치되어, 사용자는 상태확인부(30)를 통해 반려동물의 피부를 확대된 모습 또는 특정 빛에 반응하는 피부의 병변 등 반려동물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반려동물용 브러쉬(1)는, 솔부(17)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빗어주는 동시에, 진단조명부(16)와 상태확인부(30)를 통해 반려동물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40)는 반려동물의 피부에 약을 도포하거나, 피부 병변 부위의 샘플링을 위한 채취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터(40)는 연결바(41), 면봉부(42) 및 채취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41)는 소정길이로 형성되되, 하우징(1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홈부(1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20)의 보관부(21)에 삽입 가능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면봉부(42)는 연결바(41)의 일 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연고를 바르거나 약을 도포하기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채취부(43)는 연결바(41)의 타 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피부 채취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채취부(43)는 피부를 긁어낼 수 있도록 단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40)는 삽입홈부(14)를 통해, 외부에서부터 개방홀부(12)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솔부(17)로 반려동물의 털을 빗질하는 도중에, 상태확인부(30)와 진단조명부(16)를 통해 피부 병변 부위가 발견되면, 피부 병변 부위에 상태확인부(30)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삽입홈부(14)를 통해 개방홀부(12)까지 어플리케이터(40)의 면봉부(42) 또는 채취부(43)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병변 부위가 상태확인부(30)를 통해 확대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40)로 병변 부위에 약을 바르거나 피부를 채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다.
이렇게 사용이 완료된 어플리케이터(40)는 보관부(21)에 삽입되어 보관되며, 필요에 따라 꺼내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된 어플리케이터(40)가 보관부(21)에 다시 삽입되면 살균부(23)가 자동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되어 어플리케이터(40)를 살균 소독할 수 있다. 특히, 살균부(23)가 보관부(21)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 어플리케이터(40)의 사용한 부분을 살균부(23)와 가까이 위치되도록 보관부(21)에 삽입함으로써 보다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살균부(23)는 보관부(21)에 어플리케이터(40)가 수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다. 즉, 보관부(21) 내부에는 어플리케이터(40)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미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논슬립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후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논슬립부(50)는 실리콘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면부(112)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90)를 후면부(112)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태확인부(30)를 통해 확인되는 반려동물의 피부 상태를 녹화 및 촬영이 가능하다. 이때, 논슬립부(50)가 후면부(112)에 설치됨으로써, 후면부(112)에 위치되는 사용자단말기(90)가 하우징(11)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논슬립부(50)와 사용자단말기(90)가 밀착되어 사용자단말기(90)가 후면부(112)에 위치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브러쉬(1)는 반려동물의 털을 빗어주는 동시에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피부 상태가 안좋은 부위에 약을 발라주거나 채취가 용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6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모듈(60)이 본체부(61)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브러쉬는 살균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모듈(60)은 하우징(11)의 개방홀부(12)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개방홀부(12)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피부를 살균할 수 있다. 살균모듈(60)은 개방홀부(12)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개방홀부(12)의 크기(즉,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모듈(6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모듈(60)은 본체부(61), 체결부(62) 및 회전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61)는 살균모듈(60)의 전방부를 이루며 소정의 높이로 수 있다. 본체부(61)의 전면에는 살균 LED(611)가 설치될 수 있다. 살균모듈(60)이 개방홀부(12)에 장착된 경우, 살균 LED(611)는 하우징(11)의 전면부(111)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살균 LED(611) 조명을 피부에 조사할 수 있다.
체결부(62)는 본체부(61)와 연결되며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62)는 개방홀부(12)에 위치될 때, 인입부(13)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체결부(62)의 측면에는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돌출돌기(621)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62)가 인입부(13)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돌출돌기(621)가 체결부(62) 외측으로 인출됨에 따라 살균모듈(60)이 하우징(11)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부(63)는 체결부(6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63)와 체결부(62)는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부(63)가 회전됨에 따라 돌출돌기(621)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회전됨에 따라 내부의 돌기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일반적인 구조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일 예로, 회전부(63)와 돌출돌기(621)가 연결되어, 회전부(63)가 회전됨에 따라 돌출돌기(621)가 함께 회전되며 체결부(62) 내부로 인입되거나, 회전부(63)가 반대로 회전됨에 따라 돌출돌기(621)가 반대로 회전되며 체결부(62)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63)의 후면에는 파지부(631) 및 조절부(632)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63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며, 조절부(632)는 살균 LED(611)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모듈(60)은 개방홀부(12)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피부를 살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듈(7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브러쉬는 촬영모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모듈(70)은 하우징(11)의 개방홀부(12)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개방홀부(12)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모듈(70)은 하우징(11)의 개방홀부(12)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개방홀부(12)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피부를 촬영 또는 녹화할 수 있다. 촬용모듈은 개방홀부(12)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개방홀부(12)의 크기(즉,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촬영모듈(7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촬영모듈(70)은 바디(71), 장착부(72) 및 회동부(73)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71)는 촬영모듈(70)의 전방부를 이루며 소정의 높이로 수 있다. 바디(71)의 전면에는 카메라부(711) 설치될 수 있다. 촬영모듈(70)이 개방홀부(12)에 장착된 경우, 카메라부(711)는 하우징(11)의 전면부(111)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피부를 촬영 또는 녹화할 수 있다.
장착부(72)는 바디(71)와 연결되며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72)는 개방홀부(12)에 위치될 때, 인입부(13)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장착부(72)의 측면에는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장착돌기(721)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72)가 인입부(13)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장착돌기(721)가 장착부(72)의 외측으로 인출됨에 따라 촬영모듈(70)이 하우징(11)에 장착될 수 있다.
회동부(73)부는 장착부(7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동부(73)와 장착부(72)는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부(73)가 회전됨에 따라 장착돌기(721)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회전됨에 따라 내부의 돌기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일반적인 구조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일 예로, 회동부(73)와 장착돌기(721)가 연결되어, 회동부(73)가 회전됨에 따라 장착돌기(721)가 함께 회전되며 장착부(72) 내부로 인입되거나, 회동부(73)가 반대로 회전됨에 따라 장착돌기(721)가 반대로 회전되며 장착부(72)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회동부(73)의 후면에는 그립부(731) 및 모니터부(7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73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며, 모니터부(732)는 카메라부(711)가 촬영하는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90)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브러쉬(1)는 제어모듈(80) 및 사용자단말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80)은 진단조명부(16), 살균모듈(60), 촬영모듈(70), 버튼부(24) 및 사용자단말기(9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모듈(80)은 진단조명부(16), 살균모듈(60), 촬영모듈(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80)은 촬영모듈(70)과 신호를 송수신하여, 촬영모듈(7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단말기(9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모듈(8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통해 사용자단말기(90), 촬영모듈(70), 살균모듈(60) 등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90)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제어모듈(80)은 촬영모듈(70)에서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단말기(90)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90)는 정보저장부(91) 및 정보분석부(92)를 더 포함하며, 정보저장부(91)는 전송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고, 정보분석부(92)는 전송받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피부 상태를 데이터화 및 기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어모듈(80)이 사용자단말기(90)와 통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촬영모듈(70)과 사용자단말기(90) 간에 직접 통신하여, 촬영모듈(70)에서 사용자단말기(90)로 바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반려동물용 브러쉬
10: 본체 11: 하우징
111: 전면부 112: 후면부
113: 측면부 12: 개방홀부
13: 인입부 14: 삽입홈부
15: 돌기부 16: 진단조명부
17: 솔부 20: 손잡이부
21: 보관부 22: 투명창
23: 살균부 24: 버튼부
25: 패킹부 30: 상태확인부
40: 어플리케이터 41: 연결바
42: 면봉부 43: 채취부
50: 논슬립부 60: 살균모듈
61: 본체부 611: 살균 LED
62: 체결부 621: 돌출돌기
63: 회전부 631: 파지부
632: 조절부 70: 촬영모듈
71: 바디 711: 카메라부
72: 장착부 721: 장착돌기
73: 회동부 731: 그립부
732: 모니터부 80: 제어모듈
90: 사용자단말기 91: 정보저장부
92: 정보분석부

Claims (8)

  1. 전면부와 후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전면부에 형성되는 솔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는 개방홀부;
    상기 측면부의 일 측에서 상기 개방홀부를 관통하며 타 측의 일 영역까지 관통 형성되는 홈 형태의 인입부; 및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개방홀부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피부에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조명을 조사하는 진단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전면부의 외측 테두리에서부터 상기 개방홀부의 테두리까지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하 방향에 따른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삽입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홈부를 통해 외부에서부터 상기 개방홀부까지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부에는 상기 솔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개방홀부에 의해 일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며, 반려동물의 피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태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삽입홈부의 상하방향 외측의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솔부의 길이보다 짧게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를 통해, 외부에서부터 상기 개방홀부까지 삽입 가능한 어플리케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삽입홈부를 통해 상기 개방홀부까지 삽입되어, 반려동물의 피부와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에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삽입될 수 있는 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홀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피부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 모듈; 및
    상기 개방홀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피부를 촬영할 수 촬영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단조명부, 상기 살균 모듈, 상기 촬영 모듈 및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진단조명부, 상기 살균 모듈, 상기 촬영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촬영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KR1020210100739A 2021-07-30 2021-07-30 반려동물용 브러쉬 Active KR10268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739A KR102685771B1 (ko) 2021-07-30 2021-07-30 반려동물용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739A KR102685771B1 (ko) 2021-07-30 2021-07-30 반려동물용 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98A KR20230018798A (ko) 2023-02-07
KR102685771B1 true KR102685771B1 (ko) 2024-07-16

Family

ID=8525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739A Active KR102685771B1 (ko) 2021-07-30 2021-07-30 반려동물용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57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131Y1 (ko) 2001-06-25 2001-12-13 봉 우 이 물품의 수납이 가능토록 된 헤어 브러쉬
KR200320453Y1 (ko) 2003-04-08 2003-07-23 (주) 케이.아이.씨.에이 헤어브러시
KR200461484Y1 (ko) * 2010-12-20 2012-07-16 (주)아모레퍼시픽 피지제거용 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239U (ja) * 1994-05-13 1994-11-08 勝徳 河合 動物用ブラシ
KR200281225Y1 (ko) 2002-04-25 2002-07-13 장국주 애완동물 브러쉬
KR20200058003A (ko) * 2018-11-19 2020-05-27 (주)헤드라인 애완동물 케어용 브러시
KR20210047403A (ko) * 2019-10-21 2021-04-30 주식회사 케이페이스 애완동물용 led 브러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131Y1 (ko) 2001-06-25 2001-12-13 봉 우 이 물품의 수납이 가능토록 된 헤어 브러쉬
KR200320453Y1 (ko) 2003-04-08 2003-07-23 (주) 케이.아이.씨.에이 헤어브러시
KR200461484Y1 (ko) * 2010-12-20 2012-07-16 (주)아모레퍼시픽 피지제거용 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98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200B2 (en) Ectoparasite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7012740B2 (ja) 多重光源を用いた皮膚状態測定装置
US9516861B2 (en) Lighted flea comb
WO201507306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toothbrush with smart sensors for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KR20170003635U (ko) 드라이 및 털포집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관리기
KR20210047403A (ko) 애완동물용 led 브러쉬 시스템
US20160366855A1 (en) Pet comb apparatus
KR102039934B1 (ko) 운동용 스마트 실내 애완견 장난감
US20210127980A1 (en) An intraoral medical device for predicting abnormalities in oral cancer, malignant disorders, interdental caries, and peridontal pockets
BR112020026800A2 (pt) Dispositivo de imagiologia intraoral
KR102685771B1 (ko) 반려동물용 브러쉬
KR20060007303A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KR102184064B1 (ko) 애완동물 헬스캐어 청소기용 헤드 브러시
KR200497431Y1 (ko) 반려동물 전용 광조사 케어장치
CN210492134U (zh) 一种宠物刷
US20230225494A1 (en) Teeth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7252320B (zh) 超声探头的辅助装置
KR20180000416U (ko) 애완동물용 진공빗
CA3221325A1 (en) Dental transillumination system
KR20220109040A (ko) 3축 구동장치를 이용한 해충 포집 및 관리시스템
CN102113765A (zh) 一种具有光纤取像功能的牙刷结构
CN110622880A (zh) 一种带有皮肤检测功能的宠物梳
KR20200122797A (ko)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KR102188367B1 (ko)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KR20200041593A (ko) 반려동물 피부 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