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2924B1 -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2924B1
KR102682924B1 KR1020220102413A KR20220102413A KR102682924B1 KR 102682924 B1 KR102682924 B1 KR 102682924B1 KR 1020220102413 A KR1020220102413 A KR 1020220102413A KR 20220102413 A KR20220102413 A KR 20220102413A KR 102682924 B1 KR102682924 B1 KR 102682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late
commercial vehicle
support
vehicle bump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24446A (ko
Inventor
이종주
Original Assignee
이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주 filed Critical 이종주
Priority to KR102022010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2924B1/ko
Publication of KR2024002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2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29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용차 범퍼 조립체를 구성하는 범퍼 베이스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안착 플레이트와, 안착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회동축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레일과,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된 이송체와, 이송체에 장착되며 이송체에 대해 승하강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범퍼 베이스를 걸이구에 의해 걸어 안착플레이트로 로딩 또는 언로딩 할 수 있도록 된 피딩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assembling process of commercial vehicle bumper}
본 발명은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용차의 범퍼에 일체로 장착되는 요소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트럭과 같은 상용차는 엔진의 배치형태에 따라 엔진이 운전실 또는 차실의 밑이나 후방에 배치되어 차체의 전면이 돌출되지 않고 비교적 평탄한 모양을 갖도록 구성한 캡오버형트럭(Cab-Over_Engine-Truck)과 운전실 전방의 보닛에 엔진이 탑재되는 보닛형 트럭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캡오버형 대형트럭의 경우 충돌시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범퍼, 그릴을 포함한 범퍼 어셈블리(이하 범퍼 조립체라 한다)가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범퍼 조립체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요소외에도 양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헤드램프가 관통 삽입되면서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램프조립부가 장착되는 구조 등 다양한 장착요소가 장착되며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1998-0012593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형트럭과 같은 상용차의 범퍼 조립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조립대상 부품에 부품에 대한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용차의 범퍼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로 지원하는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는 상용차 범퍼 조립체를 구성하는 범퍼 베이스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회동축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된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체에 대해 승하강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범퍼 베이스를 걸이구에 의해 걸어 상기 안착플레이트로 로딩 또는 언로딩 할 수 있도록 된 피딩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회동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회동각도 조정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부분과, 상기 수평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수평부분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분과, 상기 제1경사부분의 종단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분과, 상기 수평부분의 타단에서 상기 수평부분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분과, 상기 제2경사부분의 종단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제2수직부분을 갖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서 안착대상 범퍼 베이스를 이탈이 방지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게 장착된 복수개의 구속지지편;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동각도 조정부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회동축에 결합된 링크를 회전시키는 회동실린더;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딩기 상에 상기 피딩기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작하는 업키 및 다운키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에 의하면, 범퍼의 조립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착플레이트가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한 일부를 범퍼베이스와 함께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착플레이트가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한 일부를 범퍼베이스와 함께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100)는 지지 프레임(110), 안착 플레이트(120), 이송레일(131), 이송체(140), 피딩기(150)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10)은 안착 플레이트(120)를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후술되는 이송레일(131)을 안착 플레이트(120) 상부에 장착할 수 있는 지지영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프레임(110)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를 구분하면 바닥면에 상호 나련하게 연장된 두 개의 하부 가로바(111), 하부 가로바(111)들의 일단에서 하부 지지바(111)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하부 가로바(111)들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 종단 세로바(113)와, 하부 가로바(111)들의 중간에서 하부 종단 세로바(113)와 나란하게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하부 가로바(111)들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 중간 세로바(114)와, 하부 가로바(111)들의 양단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4개의 수직지지바(115)와, 수직지지바(115)들의 상단에서 하부 세로바(111)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2개의 수직바 상호간을 각각 연결하는 상부 세로바(116)와 상부 세로바(116)의 양단에서 각각 하부 가로바(111)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부 세로바(116)와 결합된 상부 가로바(117)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10)은 하부 세로바(111) 상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안착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프레임(118) 및 후술되는 회동실린더(175)가 지지될 수 있게 일측 하부 가로바(11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실린더 지지프레임(119)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지지프레임(118)은 안착플레이트(120)를 하부 가로바(111)와 나란한 방향을 회전중심선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안착플레이트(120)의 양단에서 돌출되게 연장된 회동축(120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안착 플레이트(120)는 상용차 범퍼 조립체를 구성하는 범퍼 베이스(10)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118)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안착 플레이트(120)는 구분하면, 메인 프레임(121)과 구속 지지편(125)를 구비한다.
메인프레임(121)은 범퍼 베이스(10)에 대응되게 굴곡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메인 프레임(121)은 사각 판형상으로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부분(121a)과, 수평부분(121a)의 일단에서 수평부분(121a)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분(121b)과, 제1경사부분(121b)의 종단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분(121c)과, 수평부분(121a)의 타단에서 수평부분(121a)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분(121d)과, 제2경사부분(121d)의 종단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제2수직부분(121e)을 갖는 구조로 되어있다.
구속 지지편(125)은 메인 프레임(121)의 상면에서 안착대상 범퍼 베이스(10)를 이탈이 방지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게 복수개가 장착되어 있다.
구속 지지편(125)은 메인 프레임(121)의 바닥면에 하부 가로바(111)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바형태로 연장된 바닥밀착부분(125a)과, 바닥밀착부분(125a)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바형태로 돌출된 수직 구속부분(125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직 구속부분(125b) 및/또는 바닥 밀착부분(125a)에는 범퍼 베이스(10)의 접촉시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소재와 같은 완충패드(126)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구속 지지편(125)의 수직 구속부분(125b)은 적용되는 범퍼 베이스(10)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바닥밀착부분(125a)에 대해 상호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레일(131)은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안착플레이트(120)의 회동축(120a)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송레일(131)은 상부 세로바(116)의 저부에서 상부 세로바(116)를 통해 지지되게 결합되어 있고, 상부 가로바(116)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에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이송레일(131)은 상부 세로바(116)의 저부에 결합되어 연장된 메인 지지레일(131a)과 메인 지지레일(131a)과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 서브지지레일(131b)로 구축되어 있고, 서브지지레일(131b)은 메인지지레일(131a)의 저부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연결판(13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송체(140)는 이송레일(131)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송레일(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이송체(140)는 이송바디(141)와, 이송바디(141)에 장착되어 서브 이송레일(131b)에 구속되어 회전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143) 및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143)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45)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와 다른 동력전달방식에 의해 이송롤러(143)를 정역 회전구동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딩기(150)는 이송체(140)의 하부에 장착되며 이송체(140)에 대해 승하강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범퍼 베이스(10)를 걸이구(155)에 의해 걸어 안착플레이트(120)로 로딩 또는 언로딩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피딩기(150)는 이송바디에 대해 구속상태로 승하강 될 수 있게 수평상으로 돌출되게 판형상으로 연장된 수평서프트 부분을 가지는 제1구속플레이트와(151)와, 제1구속플레이트(15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원기둥형태의 연장봉(153)과, 연장봉(153)의 하단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직 확장부분(155)과, 수직 확장부분(155)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걸이구(155)가 형성된 수직 홀더(157)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피딩기(150)의 제1구속플레이트(151) 상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체인(161)을 승하강 되게 구동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승하강 되게 구축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른 구동방식으로 피딩기를 승하강 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홀더(157)는 실린더를 적용하여 하단의 걸이구(155)를 미세하게 수직상으로 승하강 할 수 있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홀더(157)는 수직 확장부분(155)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홀더(157)는 수직확장부분(155) 상에 수평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장공(155a)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간격을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걸이구(158)는 수직 홀더(157)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고,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범퍼 베이스(10)를 걸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업키(159a)는 피딩기(150)의 수직 확장부분(155) 상에 설치되어 있고, 다운키(159b)는 업키(159a)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상의 수직 확장부분(155)에 설치되어 있다.
업키(159a)는 피딩기(150)의 상승을 지시하는 조작키이고, 다운키(159b)는 피딩기(150)이 하강을 지시하는 조작키이다.
따라서, 업키(159a)를 조작자가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승하강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피딩기(150)가 상승하고, 다운키(159b)를 조작자가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승하강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피딩기(150)가 하강한다.
회동각도 조정부(170)는 지지프레임(110)에 대해 안착플레이트(120)의 회동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동각도 조정부(170)는 안착플레이트(120)의 회동축(120a)에 일단이 결합된 링크(162)와, 링크(162)의 타단에 진퇴되는 로드가 결합되어 로드의 진퇴에 의한 링크(162)의 회전에 의해 안착플레이트(120)를 회전시키는 회동실린더(175)로 구축되어 있다.
회동각도 조정부(170)는 메인 제어유니트(미도시)에 의해 회동각도를 조정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범퍼(10)를 걸이구(158)에 걸어 안착 플레이트(120) 상부로 이송체(140)를 제어하여 이송한 다음 안착 플레이트(120)에 안착되게 피딩기(150)를 조작하고, 안착 플레이트(120)에 안착된 베이스 범퍼(10)에 조립대상 부품들을 실장한 다음 안착 플레이트(12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상으로 기립되게 회동시킨 다음 걸이구(158)로 걸어 승강 및 회수 위치로 이송체(140)를 이송시키는 과정을 통해 범퍼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또한, 걸이구에 걸려진 베이스 범퍼(10)를 안착 플레이트(120)로 안착되게 로딩하는 과정에서도 안착 플레이트(12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상으로 기립되게 회동시킨 다음 베이스 범퍼(10)를 안착 플레이트(120)에 지지시키고 이후 걸이구(158)를 분리 및 안착플레이트(120)를 회동시킨 다음 조립작업을 진행해도 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에 의하면, 범퍼의 조립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0: 지지 프레임 120: 안착 플레이트
131: 이송레일 140: 이송체
150: 피딩기 158: 걸이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상용차 범퍼 조립체를 구성하는 범퍼 베이스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양단에서 돌출되게 연장된 회동축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된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체에 대해 승하강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범퍼 베이스를 걸이구에 의해 걸어 상기 안착플레이트로 로딩 또는 언로딩 할 수 있도록 된 피딩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양단에서 돌출되게 연장된 상기 회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회동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회동각도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부분과, 상기 수평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수평부분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분과, 상기 제1경사부분의 종단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분과, 상기 수평부분의 타단에서 상기 수평부분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분과, 상기 제2경사부분의 종단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제2수직부분을 갖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서 안착대상 범퍼 베이스를 이탈이 방지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게 장착된 복수개의 구속지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각도 조정부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링크를 회전시키는 회동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기 상에 상기 피딩기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작하는 업키 및 다운키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KR1020220102413A 2022-08-17 2022-08-17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Active KR102682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413A KR102682924B1 (ko) 2022-08-17 2022-08-17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413A KR102682924B1 (ko) 2022-08-17 2022-08-17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446A KR20240024446A (ko) 2024-02-26
KR102682924B1 true KR102682924B1 (ko) 2024-07-05

Family

ID=9005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413A Active KR102682924B1 (ko) 2022-08-17 2022-08-17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29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107B2 (ja) * 1992-02-12 2000-08-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ンパ組付け装置
KR102290088B1 (ko) * 2019-12-16 2021-08-17 (주)비엠아이 범퍼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446A (ko) 202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831232U (zh) 矩形钢构件的180度翻转机构
KR102722068B1 (ko) 자동차 시트용 팔레트
KR102682924B1 (ko) 상용차 범퍼 조립 지원 장치
CN115257654A (zh) 一种换电站及其换电平台
KR100768671B1 (ko) 타이어 교환장치
JP3704232B2 (ja) タイヤ取付け装置
CN215967189U (zh) 自卸车车厢翻转焊接装置
KR20120011383A (ko) 견인차량용 차량 승강장치
CN113650550B (zh) 车载运输装置
CN210176416U (zh) 一种车辆牵引设备
CN209008449U (zh) 一种后翻转动自卸车车厢
KR20230081374A (ko) 타이어 리프트
KR20120011384A (ko) 견인차량용 차량 적재장치
KR100666248B1 (ko) 차량 바디의 셔틀라인 시스템
CN209936765U (zh) 后桥夹具
JP3783627B2 (ja) パレットロック装置
CN217498568U (zh) 一种操作方便的举升机汽车四轮3d定位装置
CN222024012U (zh) 车辆维修用卧式千斤顶
CN221497791U (zh) 一种翻转轴前移式后翻车厢
CN111377365B (zh) 一种汽车起重机械
CN205112368U (zh) 一种汽车内饰件下模翻转机构
CN116690090B (zh) 一种柴油工程自卸车驾驶室翻转焊接工装
CN219257208U (zh) 一种带升降功能的车载摩托车挂车架
CN222511415U (zh) 切管机卸料接短料结构
JP2020083503A (ja) 昇降機構及び貨物容器昇降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