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39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using Rotating Sorting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using Rotating Sor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4392B1 KR102674392B1 KR1020230070229A KR20230070229A KR102674392B1 KR 102674392 B1 KR102674392 B1 KR 102674392B1 KR 1020230070229 A KR1020230070229 A KR 1020230070229A KR 20230070229 A KR20230070229 A KR 20230070229A KR 102674392 B1 KR102674392 B1 KR 1026743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lightweight foreign
- recycled aggregate
- construction waste
- foreign mat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구조물이나 건축구조물의 철거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로부터 나무나 비닐, 스티로폼, 기타 쓰레기 등의 경량이물질을 제거하여 자원으로서 유용하게 재활용될 수 있는 순환골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밀폐된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회전에 의해 건조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되 이송과정에서 나선 송풍구조를 이용한 상승기류가 내부에 형성되어서 상승기류에 의해 경량이물질을 부유시킴으로써 순환골재로부터 경량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건설폐기물로부터의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such as wood, vinyl, Styrofoam, and other waste from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at demolition sites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or building structures, and produces recycled aggregate that can be usefully recycled as a resource, using closed containers. It is made up of shaped members to transport dried construction waste by rotation. During the transfer process, an upward air current using a spiral blowing structure is formed inside, allow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to be suspended by the upward air current to efficiently separat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from recycled aggregate. It relates to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creening and separation device from construction waste” and the “circulat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구조물이나 건축구조물의 철거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로부터 나무나 비닐, 스티로폼, 기타 쓰레기 등의 경량이물질을 제거하여 자원으로서 유용하게 재활용될 수 있는 순환골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밀폐된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회전에 의해 건조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본체를 구비하되 이송과정에서 나선 송풍구조를 이용한 상승기류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서 상승기류에 의해 경량이물질을 부유 내지 부상시킴으로써 순환골재로부터 경량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건설폐기물로부터의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such as wood, vinyl, Styrofoam, and other waste from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at demolition sites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or building structures, and produces recycled aggregate that can be usefully recycled as a resource, using closed containers. It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that is made up of shaped members and transports dried construction waste by rotation.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an upward air current using a spiral blowing structure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are suspended or levitated by the rising air current, thereby removing the recycled aggregate. This is about a “lightweight foreign matter screening and separation device from construction waste” that can efficiently separat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또한 본 발명은 열풍 건조에 의해 수분이 함유된 건설폐기물을 건조시켜서 경량이물질과 순환골재 간의 결합을 약화시키고 상기한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를 통해서 경량이물질을 순환골재로부터 부유 내지 부상시켜서 분리 배출하며 경량이물질의 분리 배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의 비산물을 사이클론 방식의 흡입에 의해 빨아들여서 안전하게 수집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건설폐기물로부터 경량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면서도 분리된 경량이물질 및 비산물을 안전하게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를 이용한 건설폐기물로부터의 순환골재 생산장치 및 순환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ries moisture-containing construction waste by hot air drying to weaken the bond between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and recycled aggregate, and separates and discharges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by suspending or levitating them from recycled aggregate through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It has a structure that safely collects flying products such as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by sucking them in with cyclonic suction, effectively separat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from construction waste and safely collecting the separate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and flying products. This relates to a “circulat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and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method from construction waste using a lightweight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that can be discharged by using a lightweight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건설폐기물로부터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4091호에 개시된 기술 등이 있다.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produce recycled aggregates from construction wastes that can be recycled as resources. One example is the technology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94091.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나무나 비닐, 스티로폼, 기타 쓰레기 등의 경량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3492호 및 제10-2165168호 등에서는 트롬멜에서 경량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What is important in producing recycled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is to efficiently separate and remov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such as wood, vinyl, Styrofoam, and other waste. Republic of Korea Patent Nos. 10-2143492 and 10-2165168, etc. present a technology for effectively removing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from a trommel.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함에 있어서는 경량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분진, 미세 이물질 등의 비산물을 안전하게 포집하여 제거하는 것 역시 주변환경 오염의 방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When producing recycled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it is very important to not only effectively separate and remov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but also safely collect and remove flying products such as dust and fine foreign materials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로부터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순환골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나무나 비닐, 스티로폼, 기타 쓰레기 등의 경량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producing excellent quality recycled aggregate by efficiently separating and removing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ood, vinyl, Styrofoam, and other waste in producing recycled aggregate that can be recycled as a resource from construction waste. The purpose is to
또한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미세 이물질 등을 안전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주변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prevent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safely and effectively collecting dust and fin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recycled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나선형으로 흐르는 나선형 상승기류 및 본체의 연장방향으로 흐르는 주(主)방향 기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경량이물질과 순환골재가 혼합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이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경량이물질이 나선형 상승기류와 주방향 기류에 의해 부유하여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전방으로 날아가서 본체로부터 배출되고, 부유하지 못하고 남아 있는 순환골재는 본체의 전방으로 이송되어 본체로부터 배출됨으로써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량이물질과 순환골재가 선별 분리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이물질 선별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blower that forms a spiral upward airflow that flows in a spiral shape going forwar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main airflow that fl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extends; When construction waste mixed with lightweight foreign matter and recycled aggregate is inpu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onstruction waste is suspended by the spiral upward air current and circumferential air current and flies forwar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nd i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A lightweight foreign matter separation device is provided, wherein the recycled aggregate that does not float and remains is transpor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and the recycled aggregate contained in the construction waste are sorted and separated and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에 열풍(熱風)을 가하여 건설폐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순환골재 간의 결합력 내지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 간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열풍건조장치;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 분리 배출되는 경량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경량이물질 수거장치; 및 사이클론 방식으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경량이물질의 배출 및 수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물을 포집하는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생산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hot air to construction waste mixed with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ter to dry the construction wast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ter is reduced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 o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is improved. Reducing hot air drying devic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creening and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that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yclonic fly-by-product collection device is sequentially arranged to collect fly-by-produc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and collecting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by sucking air in a cyclonic mann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풍건조장치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에 열풍(熱風)을 가하여 건설폐기물을 이루고 있는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순환골재 간의 결합력 내지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 간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건조된 후 투입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되 이송과정에서 송풍에 의해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의 내부공간에 나선형 상승기류 및 주방향 기류를 형성하여 경량이물질을 날려서 분리함으로써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단계;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로부터 분리 배출되어 낙하되는 경량이물질을 경량이물질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수거함과 동시에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순환골재를 수거하는 단계; 및 사이클론 방식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경량이물질의 배출 및 수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미세한 이물질 등의 비산물을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생산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hot air is applied to the input construction waste using a hot air drying device to reduc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that make up the construction waste, and to reduc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 o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ordering step; Using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waste that has been dried and then inputted is transported. During the transfer process, a spiral upward airflow and a circumferential air flow ar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ng device by blowing, thereby making the light weight. Separating and discharging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ter by blowing away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that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using a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collection device and simultaneously collecting recycled aggregates that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ng device; and a step of collecting flying products such as dust or fine foreign materials generated during the discharge and collection of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using a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that sucks air in a cyclone method. Production methods are provided.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 순환골재 생산장치 및 순환골재 생산방법에 있어서,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의 본체에서 후방에는 건설폐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는 상기 본체 내에 부는 상승기류 및 주방향 기류에 의해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부유하게 된 경량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유출구와 순환골재가 배출되는 골재 유출구가 각각 본체의 전방면 위쪽과 본체의 전방면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송풍기는 바람이 주(主)방향으로 직선 진행하는 주방향 기류를 형성하는 주방향 송풍노즐과, 본체의 내부면을 따라서 바람을 보내어서 바람이 본체의 내부공간에 나선형태로 전방을 향하여 진행하는 나선형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나선 송풍노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본체는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있고 통형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본체의 내부면에는 주방향으로 연장된 판형태의 내측 날개부재가 본체의 내부면과 직교하여 본체의 주방향 단면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내측 날개부재는 본체의 주방향 단면에서 그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어서; 본체가 회전하면서 본체의 내측공간에 담겨있던 건설폐기물은 내측 날개부재에 의해 본체의 주방향 단면에서 정점을 향하여 끌려 올라가게 되고 상기 정점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측 날개부재로부터 자연스럽게 낙하하게 되고, 건설폐기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주방향 기류와 나선형 상승기류에 의해 경량이물질이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부유하면서 전방의 이물질 유출구로 날아가고, 낙하된 순환골재는 본체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골재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and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 inlet through which construction waste flows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l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and at the front within the main body. The foreign matter outlet through which lightweight foreign matter separated and suspended from the recycled aggregate by upward and circumferential air currents is discharged and the aggregate outlet through which the circulated aggregate is discharged are form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The blower has a main direction blowing nozzle that forms a main direction airflow in which the wind flows straight in the main direction, and sends wi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wind flows forward in a spiral shap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iral blowing nozzle that forms a spiral upward airflow and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he body is tilted lower toward the front and rotates around a cylindrical axi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plate-shaped inner wing member extending in the main direction is provid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cross-section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pieces are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line; As the main body rotates, the construction waste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pulled up toward the apex in the main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by the inner wing member, and as it approaches the apex, it naturally falls from the inner wing member, and the construction waste In the process of falling, lightweight foreign matter is separated from the recycled aggregate by the circumferential air current and spiral upward air current and flies to the forward foreign matter outlet while floating. The fallen recycled aggregate moves along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aggregate outlet. You can have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나 비닐, 스티로폼, 기타 쓰레기 등의 경량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고,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미세 이물질 등을 안전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순환골재 생산장치의 가동으로 인하여 주변환경이 오염되고 주위의 주민들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eparate and remove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ood, vinyl, styrofoam, and other waste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and thereby produce recycled aggregate of excellent quality.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effectively collect dust and fine foreign matte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nconvenience to surrounding resident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equipment. .
특히, 본 발명에서는 나선형 상승기류와 주방향 기류를 통해서 순환골재로부터 경량이물질을 쉽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부유시켜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를 이용하고 있는 바, 이를 통해서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의 분리 배출이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생산되는 순환골재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순환골재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순환골재 생산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ightweight foreign matter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that can easily and efficiently float and separat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from recycled aggregate through a spiral upward airflow and circumferential airflow, thereby separating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Separation and discharge can be carried out more effectively, and the quality of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ed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cost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recycled aggregate can be further reduc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improv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producing recycled aggregate.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생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에 구비된 본체만을 그 내부공간이 보이도록 표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체를 주방향의 전방을 향하여 바라본 형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body provided in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s internal space is visible.
FIG.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main body of FIG. 2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main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생산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편의상 순환골재 생산장치(100)를 이루고 있는 각 장치들은 그 내부 상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개략적인 단면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 for convenience, each device constituting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100 is shown in the form of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o express its internal state.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생산장치(100)는,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에 열풍(熱風)을 가하여 건설폐기물을 이루고 있는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순환골재 간의 결합력 내지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 간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열풍건조장치(1), 밀폐된 통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통형상 부재의 회전에 의해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되 이송과정에서 송풍에 의해 내부에 나선형 상승기류 및 주방향 기류를 형성하여 경량이물질을 날려서 분리함으로써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 분리 배출되어 낙하되는 경량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 및 사이클론 방식으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경량이물질의 배출 및 수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미세한 이물질 등의 비산물을 포집하는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가 순환골재 생산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hot air to the input construction waste to reduc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constituting the construction waste, and to reduce the bonding force or circulation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 A hot air drying device (1), which reduces the bonding force between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includes a sealed cylindrical member to transport construction waste by rotating the cylindrical member, and creates a spiral upward airflow inside by blowing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A lightweight foreign matter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2) that separates and discharges recycled aggregates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by forming a circumferential airflow to blow and separat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a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collection device (3) for collect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that fall after being separated and discharged, and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which collects flying products such as dust and fine foreign materials generated during the discharge and collection process of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by sucking air in a cyclonic manner, is arranged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생산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순환골재 생산장치(100)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에서 경량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생산방법은, 열풍건조장치(1)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에 열풍(熱風)을 가하여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순환골재 간의 결합력 내지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 간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밀폐된 통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회전하게 되는 통형상 부재를 포함하는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를 이용하여, 건조된 후 투입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되 이송과정에서 송풍에 의해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의 내부공간에 나선형 상승기류 및 주방향 기류를 형성하여 경량이물질을 날려서 분리함으로써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단계;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로부터 분리 배출되어 낙하되는 경량이물질을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를 이용하여 수거함과 동시에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순환골재를 수거하는 단계; 및 사이클론 방식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를 이용하여 경량이물질의 배출 및 수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미세한 이물질 등의 비산물을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Meanwhile,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recycled aggregate by selectively separating and removing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using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hot air to the input construction waste using a hot air drying device (1) to reduc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nstruction waste and to reduce the moisture content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 Reducing the bonding force or bonding force between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Using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2), which includes a sealed cylindrical member and rotates, the construction waste inputted after drying is transported, and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are sorted and separated by blowing during the transfer process. A step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by forming a spiral upward airflow and circumferential airflow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2) to blow and separat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Collect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that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2) and falling using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collection device (3) and simultaneously collecting recycled aggregates that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ng device (2); and a step of collecting flying products such as dust or fine foreign materials generated during the discharge and collection of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using a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that sucks air in a cyclonic manner.
본 명세서에서는 순환골재의 생산을 위하여 건설폐기물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편의상 "전방"이라고 기재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골재 생산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construction waste sequentially moves for the production of recycled aggregate is referred to as “forward” for convenience. In the following, each device constituting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열풍건조장치(1)(A) Hot air drying device (1)
열풍건조장치(1)는,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에 열풍(熱風)을 가하여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순환골재 간의 결합력 내지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 간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hot air drying device (1) applies hot air to the input construction waste to reduce the water content of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ter and reduces the bonding force between recycled aggregate or the bonding force between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구체적으로 열풍건조장치(1)에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기(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열풍건조장치(1)에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후방에는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는 건조된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 이송 챔버(11)가 구비되어 있다. 밀폐 이송 챔버(11)의 내부공간에는 스크린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투입구를 통해서 밀폐 이송 챔버(11)에 투입된 건설폐기물은 스크린 부재로 낙하되고, 스크린 부재 상에 펼쳐진 상태로 배출구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는데, 열풍기(10)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열풍이 밀폐 이송 챔버(11)의 내부에 가해지게 되어 스크린 부재에 펼쳐진 건설폐기물은 열풍에 의해 건조되면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스크린 부재에 펼쳐진 건설폐기물을 이루는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은 그 함수율이 낮아지게 되고 순환골재 간의 결합력 내지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 간의 결합력도 크게 감소된다. Specifically, the hot air drying device 1 is equipped with a hot air blower 10 that generates hot air. In addition, the hot air drying device (1) is equipped with a sealed transfer chamber (11) that has a sealed internal space and has an inlet at the rear through which construction waste is input and an outlet at the front through which dried construction waste is discharged. It is done. A screen member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aled transfer chamber 11. Therefore, the construction waste introduced into the sealed transfer chamber 11 through the inlet falls onto the screen member and is transferred forward toward the outlet in a spread state on the screen member. The high-temperature hot air generated by the hot air blower 10 is blown into the sealed transfer chamber. The construction waste that is applied to the interior of (11) and spread on the screen member is dried and transported by hot air. In this proces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that make up the construction waste spread on the screen member is lowered,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s o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is greatly reduced.
필요에 따라서는 스크린 부재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크린 부재가 진동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투입구로 투입되어 낙하된 건설폐기물이 스크린 부재 상에서 더욱 고르게 펼쳐질 수 있고 열풍에 의한 건조 과정에서 순환골재 사이 및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 사이가 더욱 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If necessary, a configuration capable of applying vibration to the screen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In other words, the screen member can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vibrated. Through this, the construction waste that has fallen through the inlet can be spread more evenly on the screen member, and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ter can be better separ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by hot air.
건조되어 함수율이 매우 낮아지고 순환골재 간 내지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 간의 결합력이 저감된 건설폐기물은 배출구를 통해서 열풍건조장치(1)로부터 배출된다. 건설폐기물의 용이한 이송을 위해 스크린 부재는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밀폐 이송 챔버(11) 자체가 전방으로 가면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Construction waste, which is dried and has a very low moisture content and a reduced binding force between recycled aggregates or between recycled aggregates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is discharged from the hot air drying device (1) through the discharge port. For easy transport of construction was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member is arranged slanted in a manner that lowers as it moves forward, and if necessary, the sealed transfer chamber 11 itself is disposed slanted so as to lower as it moves forwar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It is also desirable.
(B)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B) Lightweight foreign matter screening and separation device (2)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는 열풍건조장치(1)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량이물질과 순환골재를 선별 분리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2)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hot air drying device (1)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sorting and separat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and recycled aggregate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and discharging them.
구체적으로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회전하면서 내부공간에 담겨진 것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나선형으로 꼬이면서 흐르는 나선 상승기류 및 본체(20)의 연장방향으로 흐르는 주방향 기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송풍기(21)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orting and separating device 2 includes a
본체(20)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내부공간을 가지는 것으로서, 본체(20)에서 후방에는 건설폐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본체(20) 내에 부는 나선 상승기류 및 주방향 기류에 의해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부유하게 된 경량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유출구(27)와 순환골재가 배출되는 골재 유출구(2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물질 유출구(27)는 본체(20)의 전방면 위쪽에 형성되며, 골재 유출구(28)는 본체(20)의 전방면 아래쪽에 형성된다. 순환골재가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본체(20)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전방으로 가면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主)방향"은 통형상의 본체(2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The
송풍기(21)에는 바람을 본체(20) 내로 불어주는 송풍노즐이 구비되며, 이러한 송풍노즐은 본체(2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송풍기(21)에 구비되는 송풍노즐은 바람이 주(主)방향으로 직선 진행하게 되는 형태의 주방향 기류를 형성하는 주방향 송풍노즐(22a)과, 본체(20)의 내부면을 따라서 바람을 보내어서 본체(20)의 내부공간에 나선형태로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는 나선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나선 송풍노즐(22b)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전방단부에 주방향 송풍노즐(22a)이 구비된 하나의 송풍관이 송풍기(21)에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하나의 송풍관이 분기되어 나선 송풍노즐(22b)로 이어지는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방향 송풍노즐(22a)과 나선 송풍노즐(22b)을 각각을 위하여 개별적인 송풍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blower 21 is equipped with a blowing nozzle that blows wind into the
도 2에는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에 구비된 본체(20)만을 그 내부공간이 보이도록 표현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본체(20)를 주방향의 전방을 향하여 바라본 형태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본체(20)의 내부에 그려진 나선형의 청색 화살표 S는 나선 송풍노즐(22b)에 의한 송풍에 의해 본체(20)의 내부공간에서 나선형태로 전방으로 진행하는 나선형 상승기류(S)를 나타내고, 도 3에서 주방향으로 연장된 붉은 색 화살표 M는 주방향 송풍노즐(22a)에 의해 직선 형태로 전방을 향하여 부는 주방향 기류(M)를 나타낸다. Figure 2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본 발명에서 본체(20)는 그 내부공간에 담겨진 순환골재를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송하고 더 나아가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이 움직이면서 서로 간의 분리가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그 통형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도 1에서 부재번호 26는 본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본체(20)의 외측에 구비되는 회전휠(wheel)(26)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본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은 이와 같이 본체(20)의 외부에 회전휠(26)을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20)의 내부면에는 주방향으로 연장된 판형태의 내측 날개부재(24)가 본체(20)의 내부면과 직교하여 본체(20)의 주방향 단면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내측 날개부재(24)는 본체(20)의 주방향 단면에서 그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여기서 "본체(20)의 주방향 단면"은 본체(2)를 주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의 단면형상을 의미한다. 내측 날개부재(24)는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망(net)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측 날개부재(24)는 본체(20)가 회전할 때 그 내부공간에 담겨진 건설폐기물을 함께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체(20)가 회전하면서 본체(20)의 내측공간에 담겨있던 건설폐기물은 내측 날개부재(24)에 의해 본체(20)의 주방향 단면에서 정점을 향하여 끌려 올라가게 되고 상기 정점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측 날개부재(24)로부터 자연스럽게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건설폐기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것처럼 주방향 기류와 나선형 상승기류에 의해 경량이물질은 쉽게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부유(浮游) 내지 부상(浮上)하면서 전방으로 날아가게 된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아래에서는 이러한 경량이물질의 분리 및 부유/부상 이송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Below,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flotation/floating of these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is explained in more detail.
열풍건조장치(1)로부터 건조된 상태로 배출된 건설폐기물은 본체(20)의 유입구를 통해서 본체(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때, 송풍기(21)와 주방향 송풍노즐(22a)에 의해 주방향으로 강한 바람(주방향 기류)이 불어오므로, 1차적으로는 건설폐기물이 본체(20)의 유입구를 통해서 본체(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순환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밀도를 가지는 나무, 스티로폼 등과 같은 경량이물질이 이러한 주방향의 강한 바람(주방향 기류)에 의해 주방향으로 날아가게 된다.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in a dried state from the hot air drying device (1)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inlet of the main body (20). At this time, since a strong wind (circumferential airflow) blow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blower 21 and the circumferential blowing nozzle 22a, construction waste primarily flows into the
한편, 본체(20)는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그 내면에는 내측 날개부재(24)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유입구를 통해서 내부공간에 유입된 건설폐기물은 본체(20)가 회전함에 따라 내측 날개부재(24)에 의해 본체(20)의 주방향 단면의 정점을 향하여 끌려가다가 정점 부근에서 낙하하게 되는데, 이러한 내측 날개부재(24)에 의한 정점 방향의 이송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주방향으로 본체(20)의 내부를 바라보았을 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건설폐기물은 본체(20)가 회전함에 따라 내측 날개부재(24)에 의해 본체(20)의 주방향 단면의 정점을 향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렇게 움직인 건설폐기물은 본체(20)의 주방향 단면의 정점에 다가가면서 내측 날개부재(24)에서 미끄러져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건설폐기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주방향 송풍노즐(22a)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주방향으로 부는 강한 바람(주방향 기류)에 의해 경량이물질은 주방향으로 날아가게 되고, 순환골재는 그 무게에 의해 낙하하게 되어 경량이물질과 순환골재 간의 2차적인 분리가 이루어진다. Meanwhile, since the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나선 송풍노즐(22b)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나선 송풍노즐(22b)에 의해 본체(20)의 내부면을 따라서 바람이 불게 되어 본체(20)의 내부공간에 나선형태로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는 나선형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선형 상승기류는 경량이물질을 순환골재로부터 분리시켜 부유 내지 부상하게 만든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나선 송풍노즐(22b)이 불어주는 바람은 본체(20)의 내부면을 따라서 나선형태로 꼬이면서 주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나선형태의 바람은 경량이물질에 대해 떠오르게 힘을 가하게 된다. 즉, 나선 송풍노즐(22b)에 의해 부는 바람은 경량이물질을 부양시키는 상승기류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순환골재에 섞여 있던 경량이물질은 상승기류에 의해 쉽게 부유하게 되는데, 상승기류는 나선형으로 움직이면서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부유 내지 부상된 경량이물질은 상승기류와 함께 주방향의 전방을 향하여 날아가게 된다. 이 때 본체(20)의 내부에는 주방향 송풍노즐(22a)에 의해 이미 주방향 기류가 불고 있는 상태이므로 부유된 경량이물질은 상승기류뿐만 아니라 주방향 기류의 영향에 의해 더욱 쉽게 주방향으로 날아가게 된다. 즉, 나선 송풍노즐(22b)에 의해 나선형의 송풍이 이루어지면서 본체(20)의 내부에는 상승기류가 만들어져서 경량이물질이 부유하게 되고, 본체(20) 내에 형성된 상승기류와 주방향 기류에 의해 전방으로 날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경량이물질은 매우 효과적으로 그리고 쉽게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iral blowing nozzle (22b) as described above, and the wind b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앞서 언급한 것처럼 내측 날개부재(24)가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망(net)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나선 송풍노즐(22b)에 의해 불어오는 바람은 내측 날개부재(24)를 통과하여 흐르게 되고 이를 통해서 나선형의 상승기류가 본체(20)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위와 같은 경량이물질의 효율적인 분리 작용이 원활하게 일어나게 된다. As mentioned above, when the
경량이물질이 분리되어 제거된 순환골재는 본체(20)의 회전 및 본체(20)의 전방으로의 기울어짐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고, 본체(20)의 전방면 아래쪽에 형성된 골재 유출구(28)를 통해서 본체(20)로부터 배출된다. 본체(20)로부터 배출된 순환골재는 낙하되어 컨베어어 벨트 등과 같은 이송장치(29)에 의해 적절한 이송보관 장소로 옮겨질 수 있다. The recycled aggregate from which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has been separated and removed is transported forward by the rotation of the
한편, 나선형 상승기류 및 주방향 기류에 의해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부유하게 된 경량이물질은 전방을 향하여 날아가서, 이물질 유출구를 통해서 본체(20)로부터 배출된다. 이물질 유출구에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유출관(23)이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것처럼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이 유출관(3)에 작용하게 되므로, 본체(20)의 내부공간에서 부유하여 전방으로 날아온 경량이물질은 쉽게 유출구과 유출관(23)으로 흡입되어서, 순환골재와는 구별된 상태로 본체(20)의 외부로 배출된다. Meanwhil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recycled aggregate and suspended by the spiral upward air current and circumferential air flow flies toward the front and is discharged from the
(C)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C)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3)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는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의 전방에 위치하여, 본체(20)의 이물질 유출구를 통해서 분리 배출된 낙하되는 경량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는 상대적으로 넓은 내부 낙하공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체(20)의 이물질 유출구를 통해서 분리 배출된 경량이물질은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의 내부 낙하공간에 이르러서 부유 속도가 저하되고, 그에 따라 낙하하게 된다.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collection device 3 is located in front of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2 and is a device for collecting fall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separ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outlet of the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에는 후술하는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로 이어지는 흡입관(40)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의 내부 낙하공간에서도 낙하하지 않고 여전히 부유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분진, 미세한 경량이물질 등의 비산물은 후술하는 것처럼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로부터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관(40)으로 빨려 들어가서 배출된다.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3 is connected to a suction pipe 40 leading to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flying products such as dust and fin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that may still exist in a floating state without falling even in the internal falling space of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3) are affected by the suction force acting from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as described later. It is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40 and discharged.
(D)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D) Cyclone flying waste collection device (4)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는 사이클론 형태의 공기흐름을 만드는 장치로서, 흡입력에 의해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에 존재하는 분진, 미세한 경량이물질 등의 비산물을 흡입관(40)을 통해서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로 빨아들이게 된다.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로 흡입된 비산물은 사이클론 현상에 의해 낙하되어 수거되고 폐기된다. 이 때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로 흡입된 공기는 순환파이프(43)를 통해서 다시 경량이물질 선별분리 장치(2)의 송풍기(21)로 보내져서 송풍에 이용될 수 있다.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에 필터(44)를 더 설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입자 등의 비산물을 포집하여 제거한 후 순환파이프(43)를 통해서 송풍기(21)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기의 순환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하나의 송풍기(21)만으로도 사이클론 형태의 공기흐름을 만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순환파이프(43)를 이용한 공기 순환구성을 이용하게 되면, 하나의 송풍기(21)만으로도 본체(20)의 내부공간으로의 송풍을 만들어냄은 물론이고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에서의 사이클론 형태의 공기흐름을 위한 흡입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에서의 사이클론 형태의 공기흐름 형성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전체적인 장치의 간소화 및 장치제작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is a device that creates a cyclone-shaped air flow, and the flying products such as dust and fin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present in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3) are collected through the suction pipe (40) by suction force. It is sucked into the product collection device (4). The flying products sucked into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fall due to the cyclone phenomenon and are collected and discarded. At this time, the air sucked into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can be sent back to the blower (21) of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eparation device (2)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43) and used for blowing.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stall a filter (44) in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to collect and remove flying products such as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nd then circulate the air through the blower (21)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43). do. Using this air circula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generate suction force to create a cyclone-shaped air flow with just one blower (21). When using the air circulation configuration using the circulation pipe 43 as described above, not only does a single blower 21 create b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위에서 설명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경량이물질 선별분리 장치,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100) 및 순환골재 생산방법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나 비닐, 스티로폼, 기타 쓰레기 등의 경량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바, 자원재활용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효능을 발휘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creening and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100 using the same, and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method, light foreign materials such as wood, vinyl, Styrofoam, and other waste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are removed. It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and removed, thereby producing excellent quality recycled aggregate, which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resource recycling.
특히, 본 발명의 경량이물질 선별분리 장치,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100) 및 순환골재 생산방법에 의하면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미세 이물질 등을 안전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순환골재 생산장치(100)의 가동으로 인하여 주변환경이 오염되고 주위의 주민들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creening and separation device,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100 using the same, and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effectively collect dust, fine foreign substances, etc.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recycled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nconvenience to surrounding resident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100.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순환골재 생산장치(100) 및 순환골재 생산방법에서는, 나선형 상승기류와 주방향 기류를 통해서 순환골재로부터 경량이물질을 쉽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부유시켜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를 이용하고 있는 바, 이를 통해서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의 분리 배출이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생산되는 순환골재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순환골재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순환골재 생산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Above all, in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100 and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weight foreign matter screening device that can easily and efficiently float and separat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from the recycled aggregate through a spiral upward airflow and circumferential airflow. (2) is used, and through this, the separation and discharge of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ter can be carried out more effectively,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ed recycled aggregat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cost of producing recycled aggregate can be reduced. This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improv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by enabling further savings.
1: 열풍건조장치
2: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
3: 경량이물질 수거장치
4: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1: Hot air drying device
2: Lightweight foreign matter screening and separation device
3: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4: Cyclone flying waste collection device
Claims (5)
내부공간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있고 통형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본체(20) 및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나선형으로 흐르는 나선형 상승기류 및 본체(20)의 연장방향으로 흐르는 주(主)방향 기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송풍기(21)를 포함하며, 본체(20)에서 후방에는 건설폐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는 본체(20) 내에 부는 나선형 상승기류 및 주방향 기류에 의해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부유하게 된 경량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유출구와 순환골재가 배출되는 골재 유출구가 각각 본체(20)의 전방면 위쪽과 본체(20)의 전방면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송풍기(21)는 바람이 주(主)방향으로 직선 진행하는 주방향 기류를 형성하는 주방향 송풍노즐(22a)과 본체(20)의 내부면을 따라서 바람을 보내어서 바람이 본체(20)의 내부공간에 나선형태로 전방을 향하여 진행하는 나선형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나선 송풍노즐(22b)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본체(20)의 후방에 위치하며; 경량이물질과 순환골재가 혼합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이 열풍건조장치(1)의 스크린 부재로부터 본체(2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경량이물질이 나선형 상승기류와 주방향 기류에 의해 부유 내지 부상하여 본체(20)의 내부공간에서 전방으로 날아가서 본체(20)로부터 배출되고, 부유하지 못하고 남아 있는 순환골재는 본체(20)의 전방으로 이송되어 본체(20)로부터 배출됨으로써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량이물질과 순환골재가 선별 분리되어 배출되는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
상기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경량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 및
사이클론 방식으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경량이물질의 배출 및 수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물을 포집하는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데;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는 내부 낙하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에는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로 이어지는 흡입관(40)이 연결되어 있어서,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로부터 분리 배출된 경량이물질은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의 내부 낙하공간에 이르러서 부유 속도가 저하되어 낙하하게 되고,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의 내부 낙하공간에서도 낙하하지 않고 여전히 부유한 상태로 존재하는 비산물은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로부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관(40)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며;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와 경량이물질 선별분리 장치(2)의 송풍기(21)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파이프(43)가 구비되어 있고,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에는 필터(44)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44)를 거쳐서 비산물이 추가로 제거된 상태로 순환파이프(43)를 통해서 송풍기(21)로 공급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송풍기(21)에 의해 본체(2)의 내부공간으로의 송풍과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 내에서 사이클론 방식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생산장치. A hot air blower (10) that generates hot air, a sealed transfer chamber (11) that has a sealed internal space and has an inlet at the rear through which construction waste is input and an outlet at the front through which dried construction waste is discharged, and It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aled transfer chamber 11 and includes a screen member that vibrates so that construction waste can spread and move; When construction waste mixed with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sealed transfer chamber 11 through the inlet and falls onto the screen member, hot air is applied to the construction waste to dry it, thereby reduc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ter. A hot air drying device (1) that reduces the bonding force between recycled aggregates or the bonding force between recycled aggregates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A main body 20 that is made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ternal space, is inclined to become lower as it goes forward, and rotates about the cylindrical axis, and a spiral rising airflow that flows spirally forwar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main body. It includes a blower 21 that forms a main airflow flowing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main body 20, and an inlet through which construction waste flows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20, and the main body 20 is at the front. The foreign matter outlet through which light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recycled aggregate and suspended by the spiral upward air current and the circumferential air current blowing inside are discharged, and the aggregate outlet through which the circulated aggregate is discharged, are locat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0, respectively. It is formed on the lower front surface; The blower 21 sends wi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main direction blowing nozzle 22a, which forms a main direction airflow in which the wind moves straight in the main direction, so that the wind blows into the main body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iral blowing nozzle (22b) that forms a spiral upward airflow moving forward in a spiral shape in the internal space and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20; In the process of injecting construction waste mixed with lightweight foreign matter and recycled aggregate from the screen member of the hot air drying device 1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0,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onstruction waste is caught in the spiral upward air current and the circumferential air flow. It floats or floats and flies forwar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0 and i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20, and the remaining recycled aggregate that fails to float is transpor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20 and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20, thereby generating construction wast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eparation device (2) in which light foreign matter and recycled aggregate contained in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A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3) for collect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2); and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yclonic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which collects flying produc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and collecting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by sucking air in a cyclonic manner, is arranged sequentially;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3) has an internal falling space, and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collection device (3) is connected to a suction pipe (40) leading to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so that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creening and separation device (2) Lightweight foreign matter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light reaches the internal falling space of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3) and falls due to a decrease in floating speed. It does not fall even in the internal falling space of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collection device (3) and still exists in a floating state. The flying products are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40) by the suction force from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A circulation pipe (43) is provided that connects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and the blower (21) of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eparation device (2), and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is equipped with a filter (44). It is provided so that the air sucked into the cyclone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is supplied to the blower (21)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43) with the flying products additionally removed through the filter (44). ,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wer (21) creates a suction force that bl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 and sucks air in a cyclonic manner within the cyclone flyaway collection device (4).
경량이물질 선별분리 장치에 구비된 본체(20)의 내부면에는 주방향으로 연장된 판형태의 내측 날개부재(24)가 본체(20)의 내부면과 직교하여 본체(20)의 주방향 단면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내측 날개부재(24)는 본체(20)의 주방향 단면에서 그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어서;
본체(20)가 회전하면서 본체(20)의 내측공간에 담겨있던 건설폐기물은 내측 날개부재(24)에 의해 본체(20)의 주방향 단면에서 정점을 향하여 끌려 올라가게 되고 상기 정점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측 날개부재(24)로부터 자연스럽게 낙하하게 되고, 건설폐기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주방향 기류와 나선형 상승기류에 의해 경량이물질이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부유하면서 전방의 이물질 유출구로 날아가고, 낙하된 순환골재는 본체(20)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골재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생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provided in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eparation device, a plate-shaped inner wing member 24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is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in the main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It is provided to protrude toward, and a plurality of inner wing members 24 are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in the circumferential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20;
As the main body 20 rotates, the construction waste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20 is pulled up toward the apex in the circumferential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20 by the inner wing member 24, and as it approaches the apex, It falls naturally from the inner wing member 24, and in the process of falling, the construction waste is separated from the recycled aggregate by the circumferential airflow and the spiral upward airflow and flies to the front foreign material outlet while floating, and the fallen recycled aggregate is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along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aggregate outlet.
청구항 제3항 또는 제4항의 순환골재 생산장치를 이용하며;
열풍건조장치(1)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에 열풍(熱風)을 가하여 건설폐기물을 이루고 있는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순환골재 간의 결합력 내지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 간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를 이용하여, 건조된 후 투입된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되 이송과정에서 송풍에 의해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의 내부공간에 나선형 상승기류 및 주방향 기류를 형성하여 경량이물질을 날려서 분리함으로써 순환골재와 경량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단계;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로부터 분리 배출되어 낙하되는 경량이물질을 경량이물질 수거장치(3)를 이용하여 수거함과 동시에 경량이물질 선별분리장치(2)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순환골재를 수거하는 단계; 및
사이클론 방식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사이클론 비산물 포집장치(4)를 이용하여 경량이물질의 배출 및 수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물을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생산방법.As a method of producing recycled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Using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device of claim 3 or 4;
Using a hot air drying device (1), hot air is applied to the input construction waste to reduce the water content of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that make up the construction waste, and to reduc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 o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step;
Using the lightweight foreign matter sorting and separating device (2), construction waste that has been dried and then inputted is transported. During the transfer process, a spiral upward airflow and a circumferential air flow ar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ng device (2) by blowing to make the light weight.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recycled aggregate and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by blowing away the foreign materials;
Collecting lightweight foreign materials that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on device (2) and falling using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collection device (3) and simultaneously collecting recycled aggregates that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lightweight foreign material sorting and separating device (2); and
A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collecting flying products generated during the discharge and collection of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using a cyclonic flying product collection device (4) that sucks air in a cyclonic man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0229A KR102674392B1 (en) | 2023-05-31 | 2023-05-3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using Rotating Sor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0229A KR102674392B1 (en) | 2023-05-31 | 2023-05-3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using Rotating Sor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4392B1 true KR102674392B1 (en) | 2024-06-13 |
Family
ID=9148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0229A Active KR102674392B1 (en) | 2023-05-31 | 2023-05-3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using Rotating Sor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4392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78532A (en) * | 1978-05-25 | 1981-07-14 | Birch Peter R | Air classification apparatus |
KR20050056762A (en) * | 2003-12-10 | 2005-06-16 | 탄용환경개발(주) | A device recycling a sand with a waste matter of a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2010179201A (en) * | 2009-02-03 | 2010-08-19 | Kobelco Eco-Solutions Co Ltd | Trommel type waste sorter and waste treatment facility |
KR101294091B1 (en) | 2011-08-11 | 2013-08-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from Recycled Aggregate |
KR101346354B1 (en) * | 2012-04-24 | 2013-12-31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Landslide debris screening system for landfill |
KR102143492B1 (en) | 2020-04-03 | 2020-08-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Trommel and Apparatus for Sorting Lightweight Waste |
KR102165168B1 (en) | 2020-07-31 | 2020-10-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Tromme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Lightweight Waste |
-
2023
- 2023-05-31 KR KR1020230070229A patent/KR1026743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78532A (en) * | 1978-05-25 | 1981-07-14 | Birch Peter R | Air classification apparatus |
KR20050056762A (en) * | 2003-12-10 | 2005-06-16 | 탄용환경개발(주) | A device recycling a sand with a waste matter of a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2010179201A (en) * | 2009-02-03 | 2010-08-19 | Kobelco Eco-Solutions Co Ltd | Trommel type waste sorter and waste treatment facility |
KR101294091B1 (en) | 2011-08-11 | 2013-08-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from Recycled Aggregate |
KR101346354B1 (en) * | 2012-04-24 | 2013-12-31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Landslide debris screening system for landfill |
KR102143492B1 (en) | 2020-04-03 | 2020-08-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Trommel and Apparatus for Sorting Lightweight Waste |
KR102165168B1 (en) | 2020-07-31 | 2020-10-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Tromme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Lightweight Was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35925B2 (en) | Selective particle size separation device for hard powdered material by centrifugal action and method of using such device | |
CN105396781B (en) | Vibrate pneumatic separator | |
KR100953665B1 (en) | Equipment for separating and classifing of impurity content of constructional waste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 |
KR20100108652A (en) | The grain sorter | |
KR102006454B1 (en) | dry tipic apparatus for seperating sand | |
US4002559A (en) | Screw conveyor with dewatering means | |
KR102116386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from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 | |
KR10267439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using Rotating Sorting Device | |
KR100516002B1 (en) | Refuse sorting structures of intermediate handling for disposal of construction | |
US246093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sbestos | |
KR10093147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eparating flammables from construction waste by using water and pressurized air | |
KR102094862B1 (en) | Foreign Material Sorting System In Construction Waste By Striking-Vibration-Blowing-Suction Continuous Process | |
KR101659409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complex waste and separation method of complex waste | |
KR101294029B1 (en) | separating apparatus of wasted electric wire | |
KR20090041483A (en) | Foreign Material Separator for Construction Waste | |
CN109186205A (en) | The coal slurry drying-machine sorted again for tail coal mud | |
CN209363265U (en) | A kind of process system handling aging rubbish | |
CN205056461U (en) | Vibration pneumatic separator | |
KR2004001393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eration of light-weight waste from construction waste using cyclone dust collectorCyclone dust collector | |
KR100638115B1 (en) | Vortex elimination method of circulating aggregate production device of construction waste with blowing means | |
KR200450648Y1 (en) |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onstruction waste | |
CN209238430U (en) | A kind of Chinese medicine removal of impurities pneumatic separator | |
CN109500064A (en) | A kind of process system handling aging rubbish and method | |
KR20200099770A (en) | Aggregate sorting device | |
CN110465496A (en) | A kind of stem pneumatic separ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6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7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4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