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235B1 -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235B1
KR102674235B1 KR1020220082812A KR20220082812A KR102674235B1 KR 102674235 B1 KR102674235 B1 KR 102674235B1 KR 1020220082812 A KR1020220082812 A KR 1020220082812A KR 20220082812 A KR20220082812 A KR 20220082812A KR 102674235 B1 KR102674235 B1 KR 10267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fting
seesaw
coupled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5547A (ko
Inventor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주)비트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트버스 filed Critical (주)비트버스
Priority to KR102022008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235B1/ko
Publication of KR2024000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로에 구비된 수직부재와 개폐도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개폐도어의 승강 이동량을 조절하여 수직부재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의 개폐 여부는 물론 배수구의 개폐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는 공급구가 개구된 농수로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공급구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관통 형성되는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이 배수구의 양측에 수직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수직부재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부재의 상부에서 수직부재의 하부로 갈수록 수직부재에 접근하는 경사안내부가 길게 관통 형성되는 도어가이드부재와, 경사안내부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도어가이드부재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일단부가 개폐도어에 결합되는 전달부재 및 전달부재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되고 전달부재를 승강 이동시키는 부재승강모듈을 포함하고, 개폐도어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의 최대하강위치는 부재승강모듈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개폐도어는 최대상승위치와 최대하강위치 사이에서 부재승강모듈에 의해 승강 이동된다.

Description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WATER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GRICULTURAL WATERWAY}
본 발명은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수로에 구비된 수직부재와 개폐도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개폐도어의 승강 이동량을 조절하여 수직부재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의 개폐 여부는 물론 배수구의 개폐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농수로 개폐장치에서 고정편이 형성되는 개폐판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편을 뒤로 회전시켜 상부에 위치하는 걸이구에 고정하여 배출관으로 농수 등을 송수하는 농수로 개폐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일반적인 농수로 개폐장치는 구조가 간단한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농지의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농수로로 역류하는 문제와 함께, 개폐판과 배출관의 접촉면 사이에 끼워지는 불순물(나무뿌리와 자갈 등)로 인하여 누수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과 접촉이 빈번한 고정편의 부식으로 인하여 개폐 기능이 조기에 상실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장착되는 개폐판은 가이드 레일 내에서 상승 및 하강작용을 하면서, 경작지 등에 농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종래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의 작동은 승강로드를 가압 및 해제시키는 가압 고정볼트에 의하여 개폐판을 고정 및 해제 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의 주요구성부인 가압 고정볼트가 농수와의 상시 접촉에 의한 부식으로 누수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88346호 (발명의 명칭 : 농수로용 수문 개폐장치, 2022. 04. 2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수로에 구비된 수직부재와 개폐도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개폐도어의 승강 이동량을 조절하여 수직부재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의 개폐 여부는 물론 배수구의 개폐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는 공급구가 개구된 농수로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관통 형성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이 상기 배수구의 양측에 상기 수직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수직부재에 접근하는 경사안내부가 길게 관통 형성되는 도어가이드부재; 상기 경사안내부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가이드부재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일단부가 상기 개폐도어에 결합되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전달부재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되고, 상기 전달부재를 승강 이동시키는 부재승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최대상승위치와 상기 개폐도어의 최대하강위치는 상기 부재승강모듈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최대상승위치와 상기 최대하강위치 사이에서 상기 부재승강모듈에 의해 승강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부재승강모듈은, 상기 농수로에 직립 설치되는 설치지주; 상기 농수로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설치지주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전달부재가 링크 결합되는 시소부재; 및 상기 시소부재에서 이격되어 상기 설치지주에 결합되고, 상기 시소부재의 타단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개폐도어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시소부재의 타단부가 안정되게 승강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부재승강모듈은,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시소부재의 일측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시소정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소부재의 타단부에는, 타단부로부터 상기 시소축을 향해 길게 관통 형성되는 전달가이드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재에는, 상기 시소부재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달가이드슬릿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슬라이더;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상기 설치지주에 이격 배치되는 캠축에 결합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시소부재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캠; 및 상기 설치지주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캠의 회전을 위해 상기 캠축을 회전시키는 승강모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 이동되며, 상기 시소부재의 일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시소부재의 일단부에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시소축을 향해 길게 관통 형성되는 구동가이드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피스톤에는, 상기 시소부재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가이드슬릿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슬라이더;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상기 설치부재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 이동되며, 상기 시소부재의 일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피스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소축으로부터 상기 시소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재가 결합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는, 상기 시소축으로부터 상기 시소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전달부재가 결합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에 따르면, 농수로에 구비된 수직부재와 개폐도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개폐도어의 승강 이동량을 조절하여 수직부재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의 개폐 여부는 물론 배수구의 개폐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부재승강모듈에 의해 전달부재의 승강 이동량을 한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승강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설치지주의 설치 위치를 특정시키는 한편, 농수로에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시소부재의 피벗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구동부재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달부재의 최대상승위치와 전달부재의 최대하강위치를 명확하게 특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소정지부재의 부가 결합 관계를 통해 개폐도어를 정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고, 전달부재 및 개폐도어의 추가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소부재와 전달부재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시소부재의 피벗 운동에 따라 전달부재의 승강 이동을 명확하게 하고, 개폐도어가 도어가이드부재에서 원활하게 승강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캠구동방식의 승강구동부재를 통해 승강캠의 회전 동작으로 시소부재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개폐도어 및 전달부재의 하중으로 개폐도어 및 전달부재가 간편하게 하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 실린더방식의 승강구동부재를 통해 피스톤의 승강 이동만으로도 시소부재의 피벗 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배수구의 개폐에 대응하여 승강구동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벗형 실린더방식의 승강구동부재를 통해 피스톤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실린더의 피벗 운동 및 시소부재의 피벗 운동을 명확하게 하고, 배수구의 개폐에 대응하여 승강구동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소부재에서 시소축의 위치 한정을 통해 승강구동부재가 시소부재의 타단부를 상대적으로 작게 승강 이동시키더라도 시소부재의 타단부에서 전달부재가 최대상승위치와 최대하강위치로 간편하게 승강 이동되도록 하고, 농수로의 주변에서 부재승강모듈의 동작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가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가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수직부재(10)와, 도어가이드부재(20)와, 개폐도어(30)와, 전달부재(40)와, 부재승강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재(10)는 공급구(H)가 개구된 농수로(WR)의 내측면에 결합 고정된다.
수직부재(10)에는 공급구(H)와 연통되는 배수구(11)가 관통 형성된다.
도어가이드부재(20)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수직부재(10)에 돌출 형성된다. 도어가이드부재(20)는 배수구(11)의 양측에 수직부재(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어가이드부재(20)에는 수직부재(10)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부재(10)의 상부에서 수직부재(10)의 하부로 갈수록 수직부재(10)에 접근하는 경사안내부(21)가 길게 관통 형성된다.
개폐도어(30)는 배수구(11)를 개폐한다. 개폐도어(30)는 경사안내부(21)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도어가이드부재(2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도어(30)는 도어패널(31)과, 경사슬라이더(32)를 포함하고, 밀착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31)은 배수구(1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수구(11)를 간편하게 폐쇄할 수 있다.
경사슬라이더(32)는 도어패널(31)에서 농수로(WR)의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경사슬라이더(32)는 볼트고정방식, 용접고정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되어 도어패널(31)에 고정될 수 있다.
경사슬라이더(32)는 제1슬라이더(32-1)와, 제2슬라이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라이더(32-1)는 도어패널(31)의 상부에 구비된다. 제1슬라이더(32-1)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도어가이드부재(20)에 각각 형성된 경사안내부(21)에 끼움 결합되어 경사안내부(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제2슬라이더(32-2)는 제1슬라이더(32-1)에서 이격되어 도어패널(31)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2슬라이더(32-2)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도어가이드부재(20)에 각각 형성된 경사안내부(21)에 끼움 결합되어 경사안내부(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제1슬라이더(32-1)의 직경은 제2슬라이더(3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경사슬라이더(32)가 경사안내부(21)를 따라 하강하는 경우, 제1슬라이더(32-1)는 개폐도어(30)의 상부를 수직부재(10) 쪽으로 강하게 밀착시키고, 제1슬라이더(32-1)는 개폐도어(30)의 하부를 수직부재(10) 쪽으로 강하게 밀착시키켜, 수직부재(10)와 개폐도어(30)의 밀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밀착부재(33)는 도어패널(31)에서 수직부재(10)와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고, 배수구(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부재(10)에 밀착되도록 한다.
전달부재(40)는 일단부가 개폐도어(30)에 결합된다. 전달부재(40)의 일단부는 경사슬라이더(32) 중 제1슬라이더(32-1)보다 상측에서 개폐도어(30)에 결합되어 경사슬라이더(32)의 작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일예로, 전달부재(40)는 로드 형상을 나타내어 후술하는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에 따라 개폐도어(30)를 잡아당기거나 개폐도어(30)를 밀어내어 개폐도어(30)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달부재(40)는 로프 형상을 나타내어 후술하는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에 따라 개폐도어(30)를 잡아당기고, 개폐도어(30)의 자중에 의해 개폐도어(30)의 부드러운 하강을 구현할 수 있다.
전달부재(40)의 일단부는 전달축(미도시)을 매개로 개폐도어(30)에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부재승강모듈(100)은 전달부재(40)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된다. 부재승강모듈(100)은 전달부재(40)를 승강 이동시킨다.
그러면,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는 부재승강모듈(100)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개폐도어(30)는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 사이에서 부재승강모듈(100)에 의해 승강 이동된다.
부재승강모듈(100)은 농수로(WR)에 직립 설치되는 설치지주(110)와, 농수로(WR)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설치지주(11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전달부재(40)가 링크 결합되는 시소부재(120)와, 시소부재(120)에서 이격되어 설치지주(110)에 결합되고 시소부재(120)의 타단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지주(110)는 지주브라켓(111)에 결합되고, 지주브라켓(111)은 농수로(WR)의 외측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설치지주(110)는 지주보강브라켓(112)을 매개로 지주브라켓(111)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설치지주(110)는 농수로(WR)의 외측면에 결합되므로, 시소부재(120)가 피벗 운동할 때, 시소부재(12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승강 이동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시소부재(120)는 시소축(121)을 매개로 설치지주(11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시소부재(120)의 타단부에는 시소부재(120)의 타단부로부터 시소축(121)을 향해 길게 관통 형성되는 전달가이드슬릿(122)이 구비된다. 이에 대응하여 전달부재(40)에는 시소부재(120)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전달가이드슬릿(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슬라이더(1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소축(121)으로부터 시소부재(120)의 일단부와 승강구동부재(130)가 결합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는 시소축(121)으로부터 시소부재(120)의 타단부와 전달부재(40)가 결합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시소부재(120)의 일단부가 승강 이동되는 량을 최소화하고, 시소부재(130)의 타단부가 승강 이동되는 량을 최대화시켜 개폐도어(30) 및 전달부재(40)의 승강 이동량을 최대로 확보하여 배수구의 개폐 및 배수구의 개도 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승강구동부재(130)는 캠구동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재(130)는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의 타단부가 안정되게 승강 이동되도록 한다.
승강구동부재(130)는 승강캠(131)과, 승강모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캠(131)은 설치지주(110)에 이격 배치되는 캠축(132)에 결합된다. 승강캠(131)의 가장자리에는 시소부재(120)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캠(131)은 타원형 패널 또는 원형 패널로 구성되고, 캠축(132)은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승강캠(13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승강모터(133)는 설치지주(110)에 결합된다. 승강모터(133)는 모터브라켓(1331)을 매개로 설치지주(110)에 결합된다. 승강모터(133)는 승강캠(131)의 회전을 위해 캠축(132)을 회전시킨다.
승강캠(131)의 회전에 따라 시소부재(120)의 일단부는 승강캠(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되므로, 시소부재(120)의 일단부가 승강캠(131)의 하부에 배치될 때, 캠축(132)으로부터 시소부재(120)의 일단부가 멀어지는 경우, 개폐도어(30)는 상승되고, 시소부재(120)의 일단부가 캠축(132)으로 가까워지는 경우, 개폐도어(30)는 하강된다.
또한, 승강캠(131)의 회전에 따라 시소부재(120)의 일단부는 승강캠(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되므로, 시소부재(120)의 일단부가 승강캠(131)의 상부에 배치될 때, 캠축(132)으로부터 시소부재(120)의 일단부가 멀어지는 경우, 개폐도어(30)는 하강되고, 시소부재(120)의 일단부가 캠축(132)으로 가까워지는 경우, 개폐도어(30)는 상승된다.
부재승강모듈(100)은 개폐도어(30)가 배수구(11)를 폐쇄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의 일측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시소정지부(142)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소정지부(142)재(140)는 시소부재(120)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지주(110)에 구비되는 정지브라켓(141)과, 정지브라켓(141)에 돌출 형성되고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가 지지되는 시소정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전달가이드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가이드부재(50)는 지지브라켓(51)을 포함하고, 지지대(52)와, 고정앵커(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51)은 농수로(WR)의 상부에 구비된다.
지지브라켓(51)에는 전달부재(40)가 통과하는 부재통과부(51-1)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51)에는 전달부재(40)가 승강 이동됨에 따라 전달부재(40)의 위치를 한정하는 위치한정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52)는 수직부재(10)와 지지대(52)를 연결시킨다.
고정앵커(53)는 지지브라켓(51)을 농수로(WR)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전달가이드부재(50)의 지지브라켓(51)에 구비되고, 전달부재(40)를 지지브라켓(51)에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재(60)는 너트부재(61)와, 볼트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부재(61)는 지지브라켓(51)에 일체로 결합된다.
볼트부재(62)는 너트부재(61)에 나사 결합되고, 부재통과부(51-1)를 통과하는 전달부재(40)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에는 농수로(WR)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미도시)의 측정값 또는 입력값에 따라 배수구(11)개방신호 또는 배수폐쇄신호 또는 배수개도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신호부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컨트롤러(150)는 부재승강모듈(100)에서 승강모터(133)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배수구(11)의 개폐 및 배수구(11)의 개도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수직부재(10)와, 도어가이드부재(20)와, 개폐도어(30)와, 전달부재(40)와, 부재승강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재(10)는 공급구(H)가 개구된 농수로(WR)의 내측면에 결합 고정된다.
수직부재(10)에는 공급구(H)와 연통되는 배수구(11)가 관통 형성된다.
도어가이드부재(20)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수직부재(10)에 돌출 형성된다. 도어가이드부재(20)는 배수구(11)의 양측에 수직부재(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어가이드부재(20)에는 수직부재(10)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부재(10)의 상부에서 수직부재(10)의 하부로 갈수록 수직부재(10)에 접근하는 경사안내부(21)가 길게 관통 형성된다.
개폐도어(30)는 배수구(11)를 개폐한다. 개폐도어(30)는 경사안내부(21)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도어가이드부재(2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도어(30)는 도어패널(31)과, 경사슬라이더(32)를 포함하고, 밀착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31)은 배수구(1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수구(11)를 간편하게 폐쇄할 수 있다.
경사슬라이더(32)는 도어패널(31)에서 농수로(WR)의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경사슬라이더(32)는 볼트고정방식, 용접고정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되어 도어패널(31)에 고정될 수 있다.
경사슬라이더(32)는 제1슬라이더(32-1)와, 제2슬라이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라이더(32-1)는 도어패널(31)의 상부에 구비된다. 제1슬라이더(32-1)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도어가이드부재(20)에 각각 형성된 경사안내부(21)에 끼움 결합되어 경사안내부(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제2슬라이더(32-2)는 제1슬라이더(32-1)에서 이격되어 도어패널(31)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2슬라이더(32-2)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도어가이드부재(20)에 각각 형성된 경사안내부(21)에 끼움 결합되어 경사안내부(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제1슬라이더(32-1)의 직경은 제2슬라이더(3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경사슬라이더(32)가 경사안내부(21)를 따라 하강하는 경우, 제1슬라이더(32-1)는 개폐도어(30)의 상부를 수직부재(10) 쪽으로 강하게 밀착시키고, 제1슬라이더(32-1)는 개폐도어(30)의 하부를 수직부재(10) 쪽으로 강하게 밀착시키켜, 수직부재(10)와 개폐도어(30)의 밀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밀착부재(33)는 도어패널(31)에서 수직부재(10)와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고, 배수구(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부재(10)에 밀착되도록 한다.
전달부재(40)는 일단부가 개폐도어(30)에 결합된다. 전달부재(40)의 일단부는 경사슬라이더(32) 중 제1슬라이더(32-1)보다 상측에서 개폐도어(30)에 결합되어 경사슬라이더(32)의 작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일예로, 전달부재(40)는 로드 형상을 나타내어 후술하는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에 따라 개폐도어(30)를 잡아당기거나 개폐도어(30)를 밀어내어 개폐도어(30)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달부재(40)는 로프 형상을 나타내어 후술하는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에 따라 개폐도어(30)를 잡아당기고, 개폐도어(30)의 자중에 의해 개폐도어(30)의 부드러운 하강을 구현할 수 있다.
전달부재(40)의 일단부는 전달축(미도시)을 매개로 개폐도어(30)에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부재승강모듈(100)은 전달부재(40)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된다. 부재승강모듈(100)은 전달부재(40)를 승강 이동시킨다.
그러면,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는 부재승강모듈(100)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개폐도어(30)는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 사이에서 부재승강모듈(100)에 의해 승강 이동된다.
부재승강모듈(100)은 농수로(WR)에 직립 설치되는 설치지주(110)와, 농수로(WR)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설치지주(11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전달부재(40)가 링크 결합되는 시소부재(120)와, 시소부재(120)에서 이격되어 설치지주(110)에 결합되고 시소부재(120)의 타단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지주(110)는 지주브라켓(111)에 결합되고, 지주브라켓(111)은 농수로(WR)의 외측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설치지주(110)는 지주보강브라켓(112)을 매개로 지주브라켓(111)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설치지주(110)는 농수로(WR)의 외측면에 결합되므로, 시소부재(120)가 피벗 운동할 때, 시소부재(12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승강 이동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시소부재(120)는 시소축(121)을 매개로 설치지주(11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시소부재(120)의 타단부에는 시소부재(120)의 타단부로부터 시소축(121)을 향해 길게 관통 형성되는 전달가이드슬릿(122)이 구비된다. 이에 대응하여 전달부재(40)에는 시소부재(120)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전달가이드슬릿(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슬라이더(1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소축(121)으로부터 시소부재(120)의 일단부와 승강구동부재(130)가 결합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는 시소축(121)으로부터 시소부재(120)의 타단부와 전달부재(40)가 결합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승강구동부재(130)는 고정형 실린더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재(130)는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의 타단부가 안정되게 승강 이동되도록 한다.
승강구동부재(130)는 설치지주(110)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134)와, 승강실린더(134)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승강실린더(134)에 의해 승강 이동되며 시소부재(120)의 일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피스톤(135)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실린더(134)는 실린더브라켓(1341)을 매개로 설치지주(110)에 결합 고정된다.
이때, 시소부재(120)의 일단부에는 시소부재(120)의 일단부로부터 시소축(121)을 향해 길게 관통 형성되는 구동가이드슬릿(124)이 구비되고, 승강피스톤(135)에는 시소부재(120)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구동가이드슬릿(12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슬라이더(12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피스톤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구동가이드슬릿(124)에서 구동슬라이더(125)가 왕복 이동되고, 시소부재(120)의 일단부는 승강 이동되며, 개폐도어(30)가 승강 이동되므로, 배수구(11)의 개폐 또는 배수구(11)의 개도 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부재승강모듈(100)은 개폐도어(30)가 배수구(11)를 폐쇄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의 일측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시소정지부(142)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소정지부(142)재(140)는 시소부재(120)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지주(110)에 구비되는 정지브라켓(141)과, 정지브라켓(141)에 돌출 형성되고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가 지지되는 시소정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전달가이드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가이드부재(50)는 지지브라켓(51)을 포함하고, 지지대(52)와, 고정앵커(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51)은 농수로(WR)의 상부에 구비된다.
지지브라켓(51)에는 전달부재(40)가 통과하는 부재통과부(51-1)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51)에는 전달부재(40)가 승강 이동됨에 따라 전달부재(40)의 위치를 한정하는 위치한정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52)는 수직부재(10)와 지지대(52)를 연결시킨다.
고정앵커(53)는 지지브라켓(51)을 농수로(WR)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전달가이드부재(50)의 지지브라켓(51)에 구비되고, 전달부재(40)를 지지브라켓(51)에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재(60)는 너트부재(61)와, 볼트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부재(61)는 지지브라켓(51)에 일체로 결합된다.
볼트부재(62)는 너트부재(61)에 나사 결합되고, 부재통과부(51-1)를 통과하는 전달부재(40)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에는 농수로(WR)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미도시)의 측정값 또는 입력값에 따라 배수구(11)개방신호 또는 배수폐쇄신호 또는 배수개도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신호부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컨트롤러(150)는 부재승강모듈(100)에서 승강실린더(134)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배수구(11)의 개폐 및 배수구(11)의 개도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수직부재(10)와, 도어가이드부재(20)와, 개폐도어(30)와, 전달부재(40)와, 부재승강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재(10)는 공급구(H)가 개구된 농수로(WR)의 내측면에 결합 고정된다.
수직부재(10)에는 공급구(H)와 연통되는 배수구(11)가 관통 형성된다.
수직부재(10)의 하부에는 밀착가이드부(12)재가 구비될수 있다. 밀착가이드부(12)재는 배수구(11)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부재(10)로부터 농수로(WR)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를 나타내도록 수직부재(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다. 밀착가이드부(12)재는 개폐도어(3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30)의 하단부를 수직부재(10) 쪽으로 유도하므로, 개폐도어(30)의 하부가 수직부재(10)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도어가이드부재(20)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수직부재(10)에 돌출 형성된다. 도어가이드부재(20)는 배수구(11)의 양측에 수직부재(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어가이드부재(20)에는 수직부재(10)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부재(10)의 상부에서 수직부재(10)의 하부로 갈수록 수직부재(10)에 접근하는 경사안내부(21)가 길게 관통 형성된다.
개폐도어(30)는 배수구(11)를 개폐한다. 개폐도어(30)는 경사안내부(21)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도어가이드부재(2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도어(30)는 도어패널(31)과, 경사슬라이더(32)를 포함하고, 밀착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31)은 배수구(1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수구(11)를 간편하게 폐쇄할 수 있다.
경사슬라이더(32)는 도어패널(31)에서 농수로(WR)의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경사슬라이더(32)는 볼트고정방식, 용접고정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되어 도어패널(31)에 고정될 수 있다.
경사슬라이더(32)는 제1슬라이더(32-1)와, 제2슬라이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라이더(32-1)는 도어패널(31)의 상부에 구비된다. 제1슬라이더(32-1)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도어가이드부재(20)에 각각 형성된 경사안내부(21)에 끼움 결합되어 경사안내부(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제2슬라이더(32-2)는 제1슬라이더(32-1)에서 이격되어 도어패널(31)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2슬라이더(32-2)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도어가이드부재(20)에 각각 형성된 경사안내부(21)에 끼움 결합되어 경사안내부(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제1슬라이더(32-1)의 직경은 제2슬라이더(3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경사슬라이더(32)가 경사안내부(21)를 따라 하강하는 경우, 제1슬라이더(32-1)는 개폐도어(30)의 상부를 수직부재(10) 쪽으로 강하게 밀착시키고, 제1슬라이더(32-1)는 개폐도어(30)의 하부를 수직부재(10) 쪽으로 강하게 밀착시키켜, 수직부재(10)와 개폐도어(30)의 밀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밀착부재(33)는 도어패널(31)에서 수직부재(10)와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고, 배수구(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부재(10)에 밀착되도록 한다.
전달부재(40)는 일단부가 개폐도어(30)에 결합된다. 전달부재(40)의 일단부는 경사슬라이더(32) 중 제1슬라이더(32-1)보다 상측에서 개폐도어(30)에 결합되어 경사슬라이더(32)의 작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일예로, 전달부재(40)는 로드 형상을 나타내어 후술하는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에 따라 개폐도어(30)를 잡아당기거나 개폐도어(30)를 밀어내어 개폐도어(30)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달부재(40)는 로프 형상을 나타내어 후술하는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에 따라 개폐도어(30)를 잡아당기고, 개폐도어(30)의 자중에 의해 개폐도어(30)의 부드러운 하강을 구현할 수 있다.
전달부재(40)의 일단부는 전달축(미도시)을 매개로 개폐도어(30)에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부재승강모듈(100)은 전달부재(40)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된다. 부재승강모듈(100)은 전달부재(40)를 승강 이동시킨다.
그러면,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는 부재승강모듈(100)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개폐도어(30)는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 사이에서 부재승강모듈(100)에 의해 승강 이동된다.
부재승강모듈(100)은 농수로(WR)에 직립 설치되는 설치지주(110)와, 농수로(WR)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설치지주(11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전달부재(40)가 링크 결합되는 시소부재(120)와, 시소부재(120)에서 이격되어 설치지주(110)에 결합되고 시소부재(120)의 타단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지주(110)는 지주브라켓(111)에 결합되고, 지주브라켓(111)은 농수로(WR)의 외측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설치지주(110)는 지주보강브라켓(112)을 매개로 지주브라켓(111)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설치지주(110)는 농수로(WR)의 외측면에 결합되므로, 시소부재(120)가 피벗 운동할 때, 시소부재(12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승강 이동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시소부재(120)는 시소축(121)을 매개로 설치지주(11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시소부재(120)의 타단부에는 시소부재(120)의 타단부로부터 시소축(121)을 향해 길게 관통 형성되는 전달가이드슬릿(122)이 구비된다. 이에 대응하여 전달부재(40)에는 시소부재(120)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전달가이드슬릿(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슬라이더(1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소축(121)으로부터 시소부재(120)의 일단부와 승강구동부재(130)가 결합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는 시소축(121)으로부터 시소부재(120)의 타단부와 전달부재(40)가 결합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승강구동부재(130)는 피벗형 실린더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재(130)는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와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의 타단부가 안정되게 승강 이동되도록 한다.
승강구동부재(130)는 설치지주(11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실린더(134)와, 승강실린더(134)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승강실린더(134)에 의해 승강 이동되며 시소부재(120)의 일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피스톤(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치지주(110)에는 회동브라켓(1342)이 결합 고정되고, 회동브라켓(1342)에는 회동축(1343)을 매개로 승강실린더(134)가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피스톤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실린더(134)는 피벗 운동되고, 시소부재(120)의 일단부는 승강 이동되며, 개폐도어(30)가 승강 이동되므로, 배수구(11)의 개폐 또는 배수구(11)의 개도 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부재승강모듈(100)은 개폐도어(30)가 배수구(11)를 폐쇄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의 일측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시소정지부(142)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소정지부(142)재(140)는 시소부재(120)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지주(110)에 구비되는 정지브라켓(141)과, 정지브라켓(141)에 돌출 형성되고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가 지지되는 시소정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전달가이드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가이드부재(50)는 지지브라켓(51)을 포함하고, 지지대(52)와, 고정앵커(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51)은 농수로(WR)의 상부에 구비된다.
지지브라켓(51)에는 전달부재(40)가 통과하는 부재통과부(51-1)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51)에는 전달부재(40)가 승강 이동됨에 따라 전달부재(40)의 위치를 한정하는 위치한정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52)는 수직부재(10)와 지지대(52)를 연결시킨다.
고정앵커(53)는 지지브라켓(51)을 농수로(WR)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전달가이드부재(50)의 지지브라켓(51)에 구비되고, 전달부재(40)를 지지브라켓(51)에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재(60)는 너트부재(61)와, 볼트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부재(61)는 지지브라켓(51)에 일체로 결합된다.
볼트부재(62)는 너트부재(61)에 나사 결합되고, 부재통과부(51-1)를 통과하는 전달부재(40)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는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에는 농수로(WR)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미도시)의 측정값 또는 입력값에 따라 배수구(11)개방신호 또는 배수폐쇄신호 또는 배수개도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신호부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컨트롤러(150)는 부재승강모듈(100)에서 승강실린더(134)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배수구(11)의 개폐 및 배수구(11)의 개도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에서는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가 수평 상태이고,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가 상향 경사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개폐도어(30)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가 하향 경사를 나타내고,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가 수평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개폐Ehdj의 최대하강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가 하향 경사를 나타내고, 개폐도어(30)의 최대상승위치에 대응하여 시소부재(120)가 상향 경사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농수로(WR)용 수문개폐장치에 따르면, 농수로(WR)에 구비된 수직부재(10)와 개폐도어(3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개폐도어(30)의 승강 이동량을 조절하여 수직부재(10)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11)의 개폐 여부는 물론 배수구(11)의 개폐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부재승강모듈(100)에 의해 전달부재(40)의 승강 이동량을 한정할 수 있다.
또한, 부재승강모듈(10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설치지주(110)의 설치 위치를 특정시키는 한편, 농수로(WR)에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시소부재(120)의 피벗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승강구동부재(13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달부재(40)의 최대상승위치와 전달부재(40)의 최대하강위치를 명확하게 특정시킬 수 있다.
또한, 시소정지부(142)재(140)의 부가 결합 관계를 통해 개폐도어(30)를 정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고, 전달부재(40) 및 개폐도어(30)의 추가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소부재(120)와 전달부재(4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시소부재(120)의 피벗 운동에 따라 전달부재(40)의 승강 이동을 명확하게 하고, 개폐도어(30)가 도어가이드부재(20)에서 원활하게 승강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캠구동방식의 승강구동부재(130)를 통해 승강캠(131)의 회전 동작으로 시소부재(120)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개폐도어(30) 및 전달부재(40)의 하중으로 개폐도어(30) 및 전달부재(40)가 간편하게 하강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형 실린더방식의 승강구동부재(130)를 통해 피스톤의 승강 이동만으로도 시소부재(120)의 피벗 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배수구(11)의 개폐에 대응하여 승강구동부재(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벗형 실린더방식의 승강구동부재(130)를 통해 피스톤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실린더(134)의 피벗 운동 및 시소부재(120)의 피벗 운동을 명확하게 하고, 배수구(11)의 개폐에 대응하여 승강구동부재(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소부재(120)에서 시소축(121)의 위치 한정을 통해 승강구동부재(130)가 시소부재(120)의 타단부를 상대적으로 작게 승강 이동시키더라도 시소부재(120)의 타단부에서 전달부재(40)가 최대상승위치와 최대하강위치로 간편하게 승강 이동되도록 하고, 농수로(WR)의 주변에서 부재승강모듈(100)의 동작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WR: 농수로 H: 공급구
10: 수직부재 11: 배수구 12: 밀착가이드부
20: 도어가이드부재 21: 경사안내부 30: 개폐도어
31: 도어패널 32: 경사슬라이더 32-1: 제1슬라이더
32-2: 제2슬라이더 33: 밀착부재 40: 전달부재
50: 전달가이드부재 51: 지지브라켓 51-1: 부재통과부
51-2: 위치한정부 52: 지지대 53: 고정앵커
60: 위치고정부재 61: 너트부재 62: 볼트부재
100: 부재승강모듈 110: 설치지주 111: 지주브라켓
112: 지주보강브라켓 120: 시소부재 121: 시소축
122: 전달가이드슬릿 123: 전달슬라이더 124: 구동가이드슬릿
125: 구동슬라이더 130: 승강구동부재 131: 승강캠
132: 캠축 133: 승강모터 1331: 모터브라켓
134: 승강실린더 1341: 실린더브라켓 1342: 회동브라켓
1343: 회동축 135: 승강피스톤 140: 시소정지부재
141: 정지브라켓 142: 시소정지부 150: 컨트롤러

Claims (6)

  1. 공급구가 개구된 농수로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관통 형성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이 상기 배수구의 양측에 상기 수직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수직부재에 접근하는 경사안내부가 길게 관통 형성되는 도어가이드부재; 상기 경사안내부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가이드부재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일단부가 상기 개폐도어에 결합되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전달부재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되고, 상기 전달부재를 승강 이동시키는 부재승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최대상승위치와 상기 개폐도어의 최대하강위치는 상기 부재승강모듈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최대상승위치와 상기 최대하강위치 사이에서 상기 부재승강모듈에 의해 승강 이동되며,
    상기 부재승강모듈은,
    상기 농수로에 직립 설치되는 설치지주; 상기 농수로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설치지주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전달부재가 링크 결합되는 시소부재; 상기 시소부재에서 이격되어 상기 설치지주에 결합되고, 상기 시소부재의 타단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시소부재의 일측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시소정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상기 설치지주에 이격 배치되는 캠축에 결합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시소부재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캠; 및
    상기 설치지주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캠의 회전을 위해 상기 캠축을 회전시키는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재는,
    상기 설치지주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 이동되며, 상기 시소부재의 일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시소부재의 일단부에는, 일단부로부터 시소축을 향해 길게 관통 형성되는 구동가이드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피스톤에는, 상기 시소부재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가이드슬릿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슬라이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KR1020220082812A 2022-07-05 2022-07-05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KR102674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812A KR102674235B1 (ko) 2022-07-05 2022-07-05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812A KR102674235B1 (ko) 2022-07-05 2022-07-05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547A KR20240005547A (ko) 2024-01-12
KR102674235B1 true KR102674235B1 (ko) 2024-06-11

Family

ID=8954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812A KR102674235B1 (ko) 2022-07-05 2022-07-05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42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8839A1 (en) 2006-07-03 2008-01-16 TBS Soest b.v. Sewer line system provided with an adjusting device
KR101786925B1 (ko) * 2017-03-24 2017-10-17 유한회사 동일산업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CN208685564U (zh) 2018-07-31 2019-04-02 深圳桦沁园环保科技有限公司 水利闸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787A (ko) * 1999-09-08 2001-04-06 한상관 자동수문
KR20050004456A (ko) * 2003-07-02 2005-01-12 상 을 이 물추와 지렛대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수문 시스템
KR102388346B1 (ko) 2021-11-17 2022-04-20 주식회사 한길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8839A1 (en) 2006-07-03 2008-01-16 TBS Soest b.v. Sewer line system provided with an adjusting device
KR101786925B1 (ko) * 2017-03-24 2017-10-17 유한회사 동일산업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CN208685564U (zh) 2018-07-31 2019-04-02 深圳桦沁园环保科技有限公司 水利闸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547A (ko)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843A (en) Automatic toilet seat lowering apparatus
US4056203A (en) Platform lift
KR102674235B1 (ko)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KR20060038151A (ko) 저수지 비상 방수문의 개폐 안전장치
CN208965700U (zh) 一种用于排口流量控制的调流器
KR101046404B1 (ko)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JP6469630B2 (ja) 扉体昇降機構を有するフラップゲート
KR101306219B1 (ko) 저동력 발란싱 레디얼 게이트
KR100839229B1 (ko) 수문 개폐 시스템용 자동 조작장치
JP2005146559A (ja) 起伏式ゲート設備の作動装置
JP2020159018A (ja) ポンプゲート
KR100372179B1 (ko)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KR20016853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CN221545519U (zh) 一种避免水溢的升降式闸门机构
CN219796300U (zh) 一种可调节水位浮球阀
KR200246809Y1 (ko) 수문의 개폐장치
JP4046517B2 (ja) 段階的開閉式ゲートポンプ設備
SU1739365A2 (ru) Регул тор уровн воды верхнего бьефа
JP3171211U (ja) 水門
CN215906705U (zh) 一种带自锁功能的顶升式闸门泵
KR200250205Y1 (ko) 수직 상승 수문
JP2002212997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200320676Y1 (ko) 수문 인양장치
KR200340314Y1 (ko) 수위 자동조절형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