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245B1 -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power source of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power source of battery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2245B1 KR102672245B1 KR1020180104003A KR20180104003A KR102672245B1 KR 102672245 B1 KR102672245 B1 KR 102672245B1 KR 1020180104003 A KR1020180104003 A KR 1020180104003A KR 20180104003 A KR20180104003 A KR 20180104003A KR 102672245 B1 KR102672245 B1 KR 1026722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ke
- module
- battery pack
- microcontroller unit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156302 Porcine hemagglutinating encephalomyelitis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00456896 Drosophila melanogaster met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18 wa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LYXXMFPNIAWKQ-UHFFFAOYSA-N γ Benzene hexa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l)C(Cl)C(Cl)C(Cl)C1Cl JLYXXMFPNIAW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의 통신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는, 배터리 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및 통신 유닛이 구비된 배터리 팩에서,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으로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통신 전원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으로 통신 전원이 공급되는 통신 전원 경로상에 위치한 션트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압 출력 모듈; 상기 전압 출력 모듈로부터 출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웨이크업 모듈;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상기 웨이크업 모듈로부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턴온 모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that can effectively manage power supplied to a communication unit of a battery pack even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of the battery pack is in a sleep mode.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managing communication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communication unit for driving in a battery pack equipped with a battery cell, a microcontroller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a voltage output module including a shunt resistor located on a communication power path through which communication power is supplied from a battery cell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figured to output a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 shunt resistor; a wake-up module configured to compar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output module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microcontroller uni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a turn-on module configured to enable the wake-up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wake-up module to the microcontroller unit only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is in a sleep m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의 통신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attery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ttery management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manage power supplied to a communication unit of a battery pack even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of the battery pack is in a sleep mode. .
배터리는 휴대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전기로 구동되는 자동차(EV, HEV, PHEV)나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ESS) 등의 분야로까지 그 적용 분야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The application of batteries is rapidly expanding not only to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laptop computers, smartphones, and smart pads, but also to electric vehicles (EV, HEV, PHEV) and large-capacity power storage systems (ESS). It is becoming.
이러한 배터리의 가장 중요한 구성 중 하나는, 충전 및 방전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할 수 있는 이차 전지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에는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배터리 셀)가 포함된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나 ESS와 같은 중대형 배터리의 개발 및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중대형 배터리의 경우 수십 개 내지 수백 개 이상의 이차 전지가 사용되기도 한다.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 these batteries is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store and release energy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Typically, a battery pack includes one or more secondary cells (battery cell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and use of medium-to-large batteries such as automobiles and ESS has been expanding recently, and in the case of these medium-to-large batteries, dozens to hundreds or more secondary batteries may be used.
또한, 배터리에는 이러한 이차 전지뿐 아니라,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CU)이나 통신 유닛과 같은 다양한 유닛들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배터리 팩 등에 포함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은, 배터리 팩과 자동차의 모터, 또는 배터리 팩과 제너레이터나 전장품 사이에서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질 때, 그러한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은, 배터리 팩의 충방전 전류나 전압의 크기 등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위치한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batteries often include not only secondary batteries, but also various units such as microcontroller units (MCUs) and communication units. For example, a microcontroller unit included in an automobile battery pack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occurs between the battery pack and the car's motor, or between the battery pack and the generator or electrical equipment. You can. For example, the microcontroller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charge/discharge current or voltage level of the battery pack is normal and control the on/off of a switch located on the charge/discharge path of the battery pack.
그리고, 통신 유닛은, 배터리 팩 내부의 여러 부품 사이, 또는 배터리 팩과 배터리 팩 외부의 장치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유닛은, 배터리에 구비된 이차 전지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omponents inside the battery pack or between the battery pack and devices outside the battery pack. This communication unit can receive power for driving from a secondary cell included in the battery.
이러한 통신 유닛은, 칩과 같은 형태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과 함께 배터리 팩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통신 유닛은, IC(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통신 유닛은 통신 IC로 지칭되기도 한다. 이러한 통신 유닛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과 함께 BMS(Battery Managements System)에 탑재될 수 있다.This communication unit may be included inside the battery pack along with a microcontroller unit in a chip-like form.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IC (Integrated Circuit), in which case the communication unit is also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IC. This communication unit may be mounted in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together with a microcontroller unit.
일반적으로, 이러한 통신 유닛은, 허용 전압치가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BMS에 탑재된 통신 IC는, 구동용 전원(통신 전원)이 5V 내지 13V의 범위에서 공급되어야 하며, 이러한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파손이나 손상, 오동작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다만,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통신 유닛으로 공급되는 통신 전원의 크기를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Generally, these communication units have a set allowable voltage value. For example, for the communication IC mounted on the BMS, the driving power (communication power) must be supplied in the range of 5V to 13V, and if this range is exceeded, breakage, damage, malfunction, etc. may occur. However, in normal conditions, the microcontroller unit can detect the amount of communication power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ake appropriate action.
그런데, 특정 상황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배터리 팩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주차 등이 된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슬립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통신 유닛으로 공급되는 통신 전원의 크기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전원의 크기가 통신 유닛의 허용 범위를 넘어 통신 유닛으로 공급되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해, 통신 유닛이 비정상적으로 전류를 소모하거나 손상 내지 파손, 또는 오동작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certain situations, the microcontroller unit may be in sleep mode. For example, in a vehicle battery pack,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and the vehicle is parked, the microcontroller unit may be placed in a sleep mode. In this sleep state, the microcontroller unit may not be able to detect the level of communication power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refore, even if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power exceeds the allowable range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microcontroller unit fails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caus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abnormally consume current, be damaged, damaged, or malfunction. Problems such as these may occu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더라도, 통신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 신속하게 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a battery pack that enables rapid processing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unit is abnormally high even if the microcontroller unit of the battery pack is in sleep mod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a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는, 배터리 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및 통신 유닛이 구비된 배터리 팩에서,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으로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통신 전원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으로 통신 전원이 공급되는 통신 전원 경로상에 위치한 션트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압 출력 모듈; 상기 전압 출력 모듈로부터 출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웨이크업 모듈;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상기 웨이크업 모듈로부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턴온 모듈을 포함한다.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ttery pack equipped with a battery cell, a microcontroller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communication unit for driving. A device for managing power, comprising: a voltage output module including a shunt resistor located on a communication power path through which communica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figured to output a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 shunt resistor; a wake-up module configured to compar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output module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microcontroller uni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a turn-on module configured to enable the wake-up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wake-up module to the microcontroller unit only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is in a sleep mode.
여기서, 상기 웨이크업 모듈은, 상기 전압 출력 모듈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으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wake-up module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wake-up signal to the microcontroller unit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output modul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또한, 상기 턴온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상기 웨이크업 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urn-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wake-up module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is in a sleep mode.
또한, 상기 전압 출력 모듈은, 증폭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oltage outpu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to amplify and output the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또한, 상기 웨이크업 모듈은, 2개의 입력 단자와 1개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비교기를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ake-up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 comparator having two input terminals and one output terminal.
또한, 상기 웨이크업 모듈은, 상기 비교기의 2개의 입력 단자 중, 제1 입력 단자에는 상기 전압 출력 모듈의 출력 단자가 직접 연결되고, 제2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ake-up module may have the output terminal of the voltage output modul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mong the two input terminals of the comparator, and a reference power sourc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또한, 상기 웨이크업 모듈은, 상기 비교기의 출력 단자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의 웨이크업 단자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wake-up module,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ke-up terminal of the microcontroller unit.
또한, 상기 턴온 모듈은, FET 및 풀업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urn-on module may include a FET and a pull-up resistor.
또한, 상기 턴온 모듈의 FET는, 드레인 단자가 상기 웨이크업 모듈로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웨이크업 전원 경로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ET of the turn-on modul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drain terminal is connected to a wake-up power path through which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wake-up module, and its source terminal is connected to ground.
또한, 상기 턴온 모듈의 풀업 저항은, 상기 웨이크업 전원 경로 상에서, 상기 통신 전원 경로와 상기 웨이크업 전원 경로가 연결된 제1 노드와 상기 FET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웨이크업 전원 경로가 연결된 제2 노드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l-up resistance of the turn-on module is between a first node on the wake-up power path to which the communication power path and the wake-up power path are connected and a second node to which the drain terminal of the FET and the wake-up power path are connected. It can be configured to be located in .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Additionally,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Additionally,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팩에 구비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특히 BMS에 구비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 팩에 구비된 통신 유닛으로 과도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을 신속하게 웨이크업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cessive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while the microcontroller unit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especially the microcontroller unit provided in the BMS, is in sleep mode, the microcontroller unit The unit can be woken up quickly.
따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과전류 등으로 인해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통신 유닛이 파손 또는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is in a sleep mod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problems such as battery discharge or communication unit breakage or damage due to overcurrent.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항 소자, OP AMP, FET와 같은 기본적인 회로 소자만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의 웨이크업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품 소자만으로 이루어진 회로 구성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IC와 같은 제어 유닛이나 별도의 전원 공급부가 추가로 마련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나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 및 시간이 크게 증대되지 않을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ke-up circuit of a microcontroller unit can be constructed using only basic circuit elements such as a resistor element, an OP AMP, and a FET. In particul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with a circuit configuration consisting of only the above components. Additionally, in order to implement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provide a control unit such as a separate IC or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Therefore, in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or th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may not be significantly increas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웨이크업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 2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is in a wake-up mode.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 2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is in a sleep mode state.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us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entirely repres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options that can replace them are availab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는, 배터리 팩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에는, 배터리 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및 통신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는, 배터리 셀로부터 통신 유닛으로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인 통신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battery pack. And, this battery pack may be equipped with a battery cell, a microcontroller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In particular,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communication power, which is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cell to a communication unit for driving.
여기서, 배터리 셀은, 충전 및 방전을 직접 수행하는 이차 전지로서, 배터리 팩에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배터리 셀은, 배터리 팩의 출력 및/또는 용량을 증대하기 위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battery cell is a secondary battery that directly performs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battery packs. In particular, these battery cells may be connected in series and/or parallel to increase the output and/or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은, MCU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의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각종 제어나 연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팩에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포함될 수 있는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은, 칩의 형태로서 이러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탑재되어, 프로세서로서의 각종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은, 배터리 팩의 과전압 내지 과전류 여부,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의 제어, SOC(State Of Charge)나 SOH(State Of Health) 추정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이 다양한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A microcontroller unit, also called an MCU, is generally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control or calculation tasks in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of a battery pack. Typically, a battery pack may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and a microcontroller unit may be mounted on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in the form of a chip to perform various processing operations as a processor. For example, the microcontroller unit can perform tasks such as determining whether the battery pack is overvoltage or overcurrent, controlling the charging switch and discharging switch, and estimating State Of Charge (SOC) or State Of Health (SOH). These microcontroller units can be implemented as various products, such as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통신 유닛은, 배터리 팩 내부의 여러 구성 요소 사이, 또는 해당 배터리 팩과 배터리 팩 외부의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배터리 팩에는, 마스터 BMS와 슬레이브 BMS가 포함될 수 있는데, 통신 유닛은, 마스터 BMS와 슬레이브 BMS 각각에 구비되어, 이들 사이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용 배터리 팩의 경우, BMS에 구비된 통신 유닛은,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같은 배터리 팩 외부의 다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등의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may enable communication to be perform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between various components within the battery pack or between the battery pack and other components external to the battery pack. For example, one battery pack may include a master BMS and a slave BMS, and a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master BMS and the slave BMS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m.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vehicle battery pack, the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BMS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external to the battery pack, such as the vehicle's ECU (Electronic Control Unit), through wired or wireless methods.
이러한 통신 유닛은, 칩과 같은 형태로 배터리 팩, 특히 배터리 팩의 BMS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의 BMS에는, 통신 유닛으로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CAN IC,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LIN IC, 이더넷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Ethernet IC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IC가 구비할 수 있다. 통신 유닛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때, 통신 유닛은, 해당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셀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원, 다시 말해 통신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is communication unit may be mounted in a chip-like form on a battery pack, particularly the BMS of the battery pack. For example, in the BMS of a battery pack, as communication units, CAN IC is used for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N IC is used for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and Ethernet IC is used for Ethernet communication. Various communication ICs such as the like may be provided. The communication unit must be powered to perform its function.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power for driving, that is, communication power, from the battery cells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이러한 배터리 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및 통신 유닛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배터리 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및 통신 유닛이 채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 각각에 대하여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배터리 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및 통신 유닛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such battery cells, microcontroller units, and communication units, various battery cells, microcontroller units, and communication units know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ploy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for each of them.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se battery cells, microcontroller units, and communication units ar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압 출력 모듈(110), 웨이크업 모듈(120) 및 턴온 모듈(13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상기 전압 출력 모듈(110)은, 통신 전원 경로 상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전원 경로란, 도 1에서 P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로부터 통신 유닛(30)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라 할 수 있다. 통신 유닛(30)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때, 통신 유닛(3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통신 전원이라 할 수 있으며, 통신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가 바로 통신 전원 경로(P1)라 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유닛(30)은, 구동을 위한 통신 전원을 배터리 셀(1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전원 경로(P1)는, 배터리 셀(10)과 통신 유닛(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전압 출력 모듈(110)은, 션트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션트 저항은, 일반적인 저항 소자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배터리 셀(10)과 통신 유닛(30) 사이의 통신 전원 경로(P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션트 저항은 2개의 단자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일단은 배터리 셀(10)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통신 유닛(3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압 출력 모듈(110)은, 이러한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전압 출력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압 출력 모듈(110)이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출력하여 그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그러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크업 모듈(120)은, 전압 출력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 출력값을 기준 전압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기준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전압 출력값과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ke-up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동작 상태는,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웨이크업 모드와 그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 상태에 있는 슬립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턴온 모듈(130)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웨이크업 모듈(120)에 의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의 웨이크업 신호 전송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을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시키는 신호라 할 수 있다. 즉, 웨이크업 신호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전송되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던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웨이크업 모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In general, the operating state of the
특히, 상기 턴온 모듈(130)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에만 웨이크업 신호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턴온 모듈(130)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웨이크업 모듈(120)로부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웨이크업 신호가 전송되지 않고,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웨이크업 모듈(120)로부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웨이크업 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urn-on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신 유닛(30)으로 공급되는 통신 전원의 전압 크기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웨이크업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통신 유닛(30)으로 유입되는 전류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되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에 의한 조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o wake up the
특히, 웨이크업 모듈(120)은, 전압 출력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전압 출력 모듈(110)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은, 통신 유닛(30), BMS, 배터리 팩 등의 사양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준 전압은, 전압 출력에 의해 실제 출력된 값과 비교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ake-up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신 유닛(30)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과다한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에 의해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신 유닛(30)으로 비정상적인 전류가 일정 시간 이상 흘러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이를테면 불필요한 전류 소모에 의한 배터리 방전, 통신 유닛(30)의 손상 내지 파손이나, 오작동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supplied to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에서, 웨이크업 모듈(120)은, 웨이크업 신호를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 공급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웨이크업 모듈(120)의 동작 수행을 위한 전원을 웨이크업 전원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웨이크업 전원 경로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웨이크업 모듈(120)은, 배터리 셀(10)로부터 웨이크업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웨이크업 전원 경로는, 도 1에서 P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과 웨이크업 모듈(120) 사이에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턴온 모듈(130)은, 웨이크업 전원 경로(P2)의 웨이크업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턴온 모듈(130)의 적어도 일부는, 웨이크업 전원 경로(P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턴온 모듈(130)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배터리 셀(10)로부터 웨이크업 모듈(120)로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턴온 모듈(130)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상태에 있는 경우, 배터리 셀(10)로부터 웨이크업 모듈(120)로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상태에 있다면, 웨이크업 모듈(120)이 구동되지 않으므로, 웨이크업 신호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turn-on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웨이크업 모듈(120)이 자동적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웨이크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ke-up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출력 모듈(110)은, 션트 저항(111) 이외에 증폭기(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증폭기(112)는, 션트 저항(111) 양단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션트 저항(111) 양단의 전압값은 작게 설계되어 전압값이 크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증폭기(112)를 통해, 션트 저항(111) 양단의 전압값은 크게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션트 저항(111)의 저항값이 작게 설계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셀(10)로부터 통신 유닛(30)으로 공급되는 통신 전원 경로 상에서, 션트 저항(111)에 의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특히, 이러한 증폭기(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P AMP(OPerating AMPlifier; 연산 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폭기(112)의 두 입력단(+ 입력 단자, - 입력 단자)은, 션트 저항(111)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폭기(112)의 하나의 출력단은, 웨이크업 모듈(120)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션트 저항(111) 양단의 전압은, 증폭기(112)로 입력되어 증폭된 후, 출력되어 웨이크업 모듈(120)로 입력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is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증폭기(112)는 구동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입력단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증폭기(112)는 배터리 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기(112)는, 2개의 전원 입력단을 구비하며, 하나의 전원 입력단은 통신 전원 경로(P1), 이를테면 N1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전원 입력단은 접지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비교기(12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기(121)는, 2개의 입력 단자와 1개의 출력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웨이크업 모듈(120)은, 이러한 비교기(121)를 통해, 전압 출력 모듈(110)의 출력값, 이를테면 션트 저항(111) 양단의 전압값에 대한 증폭값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2, the wake-up
특히,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비교기(121)의 2개의 입력 단자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단자(제1 입력 단자)에 전압 출력 모듈(110)의 출력 단자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크업 모듈(120)은, 다른 하나의 입력 단자(제2 입력 단자)에 기준 전원(V_ref)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비교기(121)의 출력 단자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MCU)의 웨이크업 단자(웨이크업 핀)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wake-up
따라서,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전압 출력 모듈(110)의 증폭기(112)에 의해 증폭된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기(121)를 통해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은, 이와 같은 비교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는, 2개의 입력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MCU)으로의 출력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ke-up
더욱이,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P AMP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기(121)의 2개의 입력 단자 중, 제1 입력 단자는 + 입력 단자이고, 제2 입력 단자는 - 입력 단자일 수 있다. 여기서, 전압 출력 모듈(110)의 증폭기(112)도 OP AMP로 구현된 경우, 웨이크업 모듈(120)의 OP AMP의 + 입력 단자에는 전압출력 모듈의 OP AMP의 출력 단자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크업 모듈(120)의 OP AMP의 -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원(V_ref)의 양극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전원(V_ref)의 음극 단자는 접지(GND)될 수 있다. 따라서, 증폭기(112)의 출력 전압은 비교기(121)의 + 입력 단자로 입력되고, 비교기(121)의 -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교기(121)는, 2개의 입력 단자로 입력된 증폭기(112)의 증폭 전압과 기준 전압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원(V_ref)은, 비교기(121)로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소스이다. 특히, 상기 기준 전원(V_ref)은, 기준 전압을 고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전원은, 동일한 크기의 전압을 비교기(121)의 하나의 입력단에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Moreover, the
또한, 웨이크업 모듈(120)의 OP AMP의 출력 단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웨이크업 단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웨이크업 단자는, 웨이크업 모듈(1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웨이크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단자로서, 웨이크업 핀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웨이크업 모듈(120)의 OP AMP로부터 웨이크업 단자로 일정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되고, 이후 웨이크업 상태로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 AMP of the wake-up
따라서, 웨이크업 모듈(120)의 OP AMP는, 증폭기(112)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웨이크업 여부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P AMP of the wake-up
한편, 상기 웨이크업 모듈(120)의 제1 입력 단자는, 도 2에서 L1 경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크업 모듈(120)의 제1 입력 단자는 전압 출력 모듈(110)의 출력 단자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압 출력 모듈(110)의 출력 단자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전압 출력 모듈(110)의 출력 단자와 웨이크업 모듈(120)의 제1 입력 단자가 직접 연결된 노드(N3)는, L1 경로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wake-up
특히,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에는 ADC 핀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ADC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ADC 단자는, 전압 출력 모듈(110)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해당 신호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크업 모듈(120)의 제1 입력 단자, 다시 말해 전압 출력 모듈(110)의 출력 단자는, 도 2에서 L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ADC 단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ADC 단자로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션트 저항(111) 양단의 전압값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에 있는 경우라면, 션트 저항(111) 양단의 전압값은 증폭기(112)에 의해 증폭 출력되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ADC 단자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이와 같이 ADC 단자를 통해 입력된 값의 크기를 통해 배터리 셀(10)로부터 통신 유닛(30)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파악된 전류의 크기가 과다한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경고음, 경고 표시 등)를 전송하거나, 통신 전원 경로 상에 위치하는 스위치 등을 턴오프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통신 유닛(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가 아닌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라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ADC 단자는 비활성화 상태가 되어 ADC 단자를 통한 통신 전원의 전류 크기 파악이 이루어질 수 없다.In particular, th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웨이크업 모듈(120)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 공급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가 OP AMP로 구현된 경우, 이러한 OP AMP의 동작을 위해 직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크업 모듈(120)로 이러한 동작을 위한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웨이크업 전원 경로라 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OP AMP는, 2개의 전원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전원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웨이크업 전원 경로에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wake-up
도 2를 참조하면, 웨이크업 모듈(120)에 구비된 OP AMP의 전원 단자 중 하나는 웨이크업 전원 경로(P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OP AMP의 전원 단자 중 다른 하나는 접지(GND)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크업 전원 경로(P2)는 배터리 셀(10)과 웨이크업 모듈(120) 사이에 구비되므로, 웨이크업 모듈(120)의 OP AMP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을 배터리 셀(10)로부터 공급받는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웨이크업 모듈(120)이, 별도의 전원 없이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셀(10)로부터 직접 구동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웨이크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의 구현을 위한 구성이 간단해지고,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부피 및 무게 등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one of the power terminals of the OP AMP provided in the wake-up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턴온 모듈(130)은, FET(13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풀업 저항(132)(pull up resistor)을 구비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2, the turn-on
여기서, 턴온 모듈(130)의 FET(131)는 웨이크업 전원 경로(P2)와 접지(GND)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FET(131)는 MOSFET(Met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구현될 수 있다. FET(131)에는 드레인 단자, 소스 단자 및 게이트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FET(131)의 드레인 단자(D)는, 웨이크업 전원 경로(P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N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업 전원 경로 상의 한 점에 FET(131)의 드레인 단자(D)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FET(131)의 소스 단자(S)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GND)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FET(131)가 턴온되면, 웨이크업 전원 경로(P2)는 접지(GND)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즉, FET(131)가 턴온되는 경우, 웨이크업 전원 경로는 N2 노드에서 접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웨이크업 전원 경로에 의한 웨이크업 모듈(120)로의 전원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바람직하게는, FET(131)의 게이트 단자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MCU)의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다른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 상태인지 웨이크업 모드 상태인지에 따라, FET(131)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되는 신호가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FET(131)의 게이트 단자로는 소정 전압을 갖는 전원이 공급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FET(131)의 게이트 단자로는 OV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에 있다면, FET(131)의 게이트 단자로는 아무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Preferably, different signals may be su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에 있는 경우, FET(131)의 게이트 단자에 FET(131)의 문턱전압값 이상의 전압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에 있는 경우, FET(131)의 게이트 단자에는 FET(131)의 문턱전압값 미만의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에 있는 경우 FET(131)는 턴온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FET(131)는 턴오프된다고 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가 차량용 배터리 팩에 채용된 경우, FET(131)의 게이트 단자에는 Run/Crank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의 Run/Crank 신호는, FET(131)의 게이트 단자에 대한 문턱 전압값 이상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테면, 문턱 전압이 5V인 FET(131)가 웨이크업 모듈(120)에 채용된 경우, 이러한 FET(131)의 게이트 단자에는 Run/Crank 신호로서 8V의 전압을 갖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문턱 전압값 이상의 전압을 갖는 전원이 FET(131)의 게이트 단자(G)로 제공되는 경우, FET(131)의 드레인 단자(D)로부터 소스 단자(S)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이러한 Run/Crank 신호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 차량 측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Run/Crank 신호는 차량의 ON/OFF 상태를 나타내는 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Run/Crank 신호는, 차량이 ON 상태가 되는 경우, 차량 측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이 걸리거나 차량의 시동 키가 ON 상태에 놓인 경우, 차량에 구비된 장치로부터 Run/Crank 신호가 FET(131)의 게이트 단자로 입력될 수 있다.This Run/Crank signal can be supplied from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 Run/Crank signal can be said to be a key that indicates the ON/OFF status of the vehicle. This Run/Crank signal can be supplied from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in the ON stat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or the vehicle's ignition key is placed in the ON state, a Run/Crank signal from a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may be input to the gate terminal of the FET (131).
차량에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FET(131)는 턴온되어 웨이크업 모듈(12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차량에 시동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FET(131)는 턴오프되어 웨이크업 모듈(1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웨이크업 모듈(120)은, 비교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웨이크업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질 수 있다.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
또한, 턴온 모듈(130)의 풀업 저항(132)(P/up Resistor)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업 전원 경로(P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풀업 저항(132)(P/up Resistor)은, 통신 전원 경로(P1)와 웨이크업 전원 경로(P2)가 만나는 노드(제1 노드, N1)와 FET(131)와 웨이크업 전원 경로(P2)가 만나는 노드(제2 노드, N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노드(N2)는, FET(131)의 드레인 단자(D)가 웨이크업 전원 경로(P2)와 만나는 노드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ull-up resistor 132 (P/up resistor) of the turn-on
이와 같은 구성에서, 풀업 저항(132)의 기능은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Run/Crank 신호값에 따라 FET(131)의 드레인 단자의 전압값(또는 N2노드의 전압값)이 바뀌게 될 수 있다. 만일, Run/Crank 신호가 Off(LOW)일 경우, FET(131)는 턴오프될 수 있다. 이때 풀업 저항(132)이 없다면, N2노드에 걸리는 전압은 플로팅(floating)된 상태로 불안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웨이크업 모듈(120)로의 전원 공급을 불안정하게 하고, 웨이크업 모듈(120)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증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 구성과 같이, 풀업 저항(132)이 구성됨으로써, FET(131)가 턴오프되더라도 N2노드에는 확실한 배터시 셀(10) 전압이 걸리게 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function of the pull-up
도 3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의 동작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웨이크업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Run/Crank 신호는, 도 3에서 화살표 a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FET(131)의 게이트 단자(G)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Run/Crank 신호는, FET(131)의 문턱전압보다 큰 전압을 갖고 있으므로, FET(131)는 턴온될 수 있다. 이 경우, 웨이크업 전원 경로(P2)는, 화살표 a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2 노드(N2)에서 FET(131)를 경유하여 접지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로는 동작 전원(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는 특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의 출력단으로부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으로 별도의 웨이크업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차량 측으로부터 Run/Crank 신호가 FET(131)의 게이트 단자(G)로 공급되면, 제1 노드(N1)로부터 제2 노드(N2)까지 공급된 전류는 FET(131)의 드레인 단자(D) 및 소스 단자(S)를 거쳐, 그라운드(GND)로 흐르게 되고, 비교기(121)로는 흐르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
한편, 배터리 셀(10)로부터 CAN IC, LIN IC, Ethernet IC 등과 같은 통신 유닛(30)으로 전류(I1)가 흐르는 경우, 전압 출력 모듈(110)은, 션트 저항(111) 양단의 전압을 증폭기(112)를 통해 증폭하여, 도 3에서 화살표 a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출력단으로 증폭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증폭기(112)의 출력단은 웨이크업 모듈(120)에 구비된 비교기(121)의 입력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기(121)에는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비교기(121)의 입력단에 증폭 전압이 공급되더라도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도 3에서 L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112)의 출력단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ADC 단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증폭기(112)에 의해 출력된 증폭 신호는, 도면에서 화살표 a4로 표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ADC 단자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웨이크업 모드에 있으므로, ADC 단자는 이미 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ADC 단자로 증폭기(112)의 출력 신호가 공급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이러한 신호를 파악하고, 통신 전원 경로에 흐르는 전류(I1)가 기준값 이상인지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메모리 등에 기준값 등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urrent (I1) flows from the
도 4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의 동작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예를 들어, 차량용 배터리 팩에서, 차량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n/Crank 신호는, FET(131)의 게이트 단자(G)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FET(131)는 턴오프되고, 배터리 셀(10)로부터 웨이크업 전원 경로(P2)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는, 도면에서 화살표 b1 및 b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풀업 저항(132)을 거쳐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교기(121)로 공급된 전원은, 웨이크업 전원으로서 비교기(121)를 동작시키게 된다. For example, in a vehicle battery pack, when the vehicle is not started, the
따라서, 배터리 셀(10)로부터 통신 유닛(30)으로 전류(I2)가 흐르는 경우, 전압 출력 모듈(110)은, 션트 저항(111) 양단의 전압을 증폭기(112)를 통해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증폭기(112)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도 4에서 화살표 b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의 + 입력 단자로 입력될 수 있다. 그러면,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는 + 입력 단자로 입력된 증폭 전압과 기준 전원(V_ref)으로부터 - 입력 단자로 입력된 기준 전압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증폭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면, 웨이크업 모듈(120)의 비교기(121)는, 도 4에서 화살표 b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출력 단자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며, 이와 같이 출력된 웨이크업 신호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웨이크업 단자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모드 상태에 있던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이러한 웨이크업 신호를 입력받아 웨이크업 모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urrent I2 flows from the
한편,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 상태인 경우에는, ADC 단자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노드(N3) 및 L1 경로를 통해 증폭기(112)의 출력단과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의 ADC 단자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증폭기(112)에 의한 증폭 전압을 입력받을 수 없다. 그러나,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웨이크업 모드 상태로 전환되면 ADC 단자는 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웨이크업된 이후부터는, 제3 노드(N3) 및 L1 경로를 통해 증폭기(112)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된 ADC 단자로부터 증폭기(112)의 출력 전압을 입력받고, 비정상 상황인지를 파악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여기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통신 전원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 다양한 형태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통신 유닛(30)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과다한 경우, 사용자에게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 경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통신 유닛(30)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과다한 경우,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구비된 충전 스위치나 방전 스위치를 턴오프시킬 수도 있다.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은, 통신 전원 경로(P1) 상에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를 턴오프시킬 수도 있다.Her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팩 자체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이러한 배터리 팩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와 함께, 배터리 셀(10),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 통신 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에는, 배터리 셀(10)과 팩 단자(Pack+, Pack-) 사이의 충방전 전류가 흐르는 대전류 경로(C) 상에 충전 스위치(41) 및 방전 스위치(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 이외에 배터리 팩에 포함될 수 있는 여러 구성요소들은, 본원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is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는,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상술한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한 전기 자동차나 일반 자동차의 경우에도, 배터리 팩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차와 같은 상황에서는 BMS, 특히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에 의하면, 이처럼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20)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 하더라도, 통신 유닛(30)으로 공급되는 통신 전원의 효과적이면서도 신속한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100)가 적용되는 경우,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안전성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ttery pack communic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10: 배터리 셀
20: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30: 통신 유닛
41: 충전 스위치, 42: 방전 스위치
100: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
110: 전압 출력 모듈
111: 션트 저항, 112: 증폭기
120: 웨이크업 모듈
121: 비교기
130: 턴온 모듈
131: FET, 132: 풀업 저항10: battery cell
20: Microcontroller unit
30: communication unit
41: charging switch, 42: discharging switch
100: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unit
110: voltage output module
111: shunt resistor, 112: amplifier
120: Wake-up module
121: comparator
130: Turn-on module
131: FET, 132: pull-up resistor
Claims (12)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상기 통신 유닛으로 통신 전원이 공급되는 통신 전원 경로상에 위치한 션트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압 출력 모듈;
상기 전압 출력 모듈로부터 출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웨이크업 모듈;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상기 웨이크업 모듈로부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턴온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턴온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이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상기 웨이크업 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In a battery pack equipped with a battery cell, a microcontroller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a device for managing communication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communication unit for driving,
a voltage output module including a shunt resistor located on a communication power path through which communica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figured to output a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 shunt resistor;
a wake-up module configured to compar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output module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microcontroller uni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A turn-on module configured to enable the wake-up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wake-up module to the microcontroller unit only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is in a sleep mode.
Including,
The turn-on module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wake-up module when the microcontroller unit is in a sleep mode.
상기 웨이크업 모듈은, 상기 전압 출력 모듈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으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ke-up module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wake-up signal to the microcontroller unit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output modul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상기 전압 출력 모듈은, 증폭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voltage output module further includes an amplifier to amplify and output the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상기 웨이크업 모듈은, 2개의 입력 단자와 1개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비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ke-up module is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mparator having two input terminals and one output terminal.
상기 웨이크업 모듈은, 상기 비교기의 2개의 입력 단자 중, 제1 입력 단자에는 상기 전압 출력 모듈의 출력 단자가 직접 연결되고, 제2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원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According to clause 5,
The wake-up module is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mong the two input terminals of the comparator, the output terminal of the voltage output modu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reference p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Device.
상기 웨이크업 모듈은, 상기 비교기의 출력 단자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의 웨이크업 단자로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According to clause 5,
The wake-up module is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ke-up terminal of the microcontroller unit.
상기 턴온 모듈은, FET 및 풀업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urn-on module is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ET and a pull-up resistor.
상기 턴온 모듈의 FET는, 드레인 단자가 상기 웨이크업 모듈로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웨이크업 전원 경로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가 접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According to clause 8,
The FET of the turn-on module has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a wake-up power path through which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wake-up module, and a source terminal connected to ground.
상기 턴온 모듈의 풀업 저항은, 상기 웨이크업 전원 경로 상에서, 상기 통신 전원 경로와 상기 웨이크업 전원 경로가 연결된 제1 노드와 상기 FET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웨이크업 전원 경로가 연결된 제2 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통신 전원 관리 장치.According to clause 9,
The pull-up resistor of the turn-on module is located on the wake-up power path between a first node to which the communication power path and the wake-up power path are connected and a second node to which the drain terminal of the FET and the wake-up power path are connected. A battery pack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003A KR102672245B1 (en) | 2018-08-31 | 2018-08-31 |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power source of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003A KR102672245B1 (en) | 2018-08-31 | 2018-08-31 |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power source of battery pa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944A KR20200025944A (en) | 2020-03-10 |
KR102672245B1 true KR102672245B1 (en) | 2024-06-03 |
Family
ID=6980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4003A KR102672245B1 (en) | 2018-08-31 | 2018-08-31 |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power source of battery p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224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1462A (en) | 2022-07-19 | 2024-01-2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of battery manag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2540658B1 (en) * | 2022-10-12 | 2023-06-08 | (주)미섬시스텍 | PMS with Increased Versatility and Its Control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31873A (en) * | 2009-11-30 | 2011-07-07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Motor driv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5685B1 (en) * | 2013-10-30 | 2015-06-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Apparatus for motor drive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481905B1 (en) * | 2015-09-22 | 2022-12-27 |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 Battery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
KR102063937B1 (en) * | 2016-04-05 | 2020-01-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
KR102001287B1 (en) * | 2016-06-23 | 2019-07-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1866037B1 (en) * | 2016-07-11 | 2018-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
KR101927124B1 (en) * | 2016-11-22 | 2018-12-10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eventing trouble of battery |
-
2018
- 2018-08-31 KR KR1020180104003A patent/KR10267224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31873A (en) * | 2009-11-30 | 2011-07-07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Motor driv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944A (en) | 2020-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25824B2 (en) | Master battery management unit using power from battery module | |
CN110574217B (en) | BMS awakens equipment, and including BMS and group battery of this BMS awakens equipment up | |
CN107554335B (en) | Vehicle-mounted power system and automobile | |
KR101946698B1 (en) | Steering power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CN104228713B (en) | A kind of Automobile Transportation mode control device and method | |
US10985586B2 (en) |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of electrical vehicle | |
US20160001719A1 (en) | Charging Method | |
JP5408352B2 (en) |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control device | |
JP5803446B2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ack | |
CN114072984B (en) |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 |
KR102247393B1 (en)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US7550947B2 (en) | Battery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 |
KR102672245B1 (en) |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power source of battery pack | |
KR100584324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complex mobile terminal | |
US10324514B2 (en) | MCU wake-up device and method in sleep mode | |
CN211606187U (en) | Vehicle-mounted electronic equipment power-down protection circuit and automobile | |
CN112513652A (en) | Internal resistance detection device and power supply device | |
KR102680305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Parallel Multi Battery Pack and Method thereof | |
JP2003079058A (en) | Battery pack | |
US11942609B2 (en) | Reduced power wireless battery management system | |
CN115441518B (en) |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battery control switch and battery management unit | |
CN209852115U (en) | Battery system for electric automobile, over-discharge protection device and automobile | |
KR102469456B1 (en) | Auxiliary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vehicle | |
CN219498933U (en) | Vehicle-mounted video recording power-off protection circuit | |
KR20110056927A (en) | Engine starting determin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