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585B1 - 울타리 - Google Patents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585B1
KR102666585B1 KR1020230067255A KR20230067255A KR102666585B1 KR 102666585 B1 KR102666585 B1 KR 102666585B1 KR 1020230067255 A KR1020230067255 A KR 1020230067255A KR 20230067255 A KR20230067255 A KR 20230067255A KR 102666585 B1 KR102666585 B1 KR 10266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vertical support
area
pai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정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정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정건설
Priority to KR102023006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울타리는 내측 영역을 정의하는 베이스 부재, 베이스 부재에 삽입되는 수직 지지대, 베이스 부재와 수직 지지대를 결합하는 고정 부재, 고정 부재를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에 결합하는 복수의 너트들, 및 베이스 부재와 수직 지지대 사이에 제공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되, 베이스 부재는 내측 영역의 하부에 삽입된 흙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울타리{FENCE}
본 개시는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울타리는 울타리 외부에서 울타리 내부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울타리는 사람에 의한 외력(예를 들어, 사람이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서 변형되거나 제거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견고성을 가져야 한다. 울타리는 기본적으로 수직 지지대, 수평 지지대, 그리고 이들을 덮는 망 요소로 구성된다. 견고성은 수직 지지대가 견고하게 매립되었는지와 울타리의 구성요소들의 재질이 충분히 견고한지 등에 따라 결정된다.
수직 지지대는 바로 땅에 매립되거나, 지중에 기초 구조를 설치한 후 기초 구조 상에 수직 지지대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수직 지지대를 바로 땅에 매립하는 경우, 수직 지지대는 사람이 흔드는 힘에 의해 쉽게 땅에서 이탈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지중에 설치되는 기초 구조는, 먼저 땅을 파고 그 안에 콘크리트를 바로 부어서 형성되거나, 땅을 판 후 틀을 넣고 그 틀 안에 콘크리트를 붓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직 지지대는 2~3 m 간격으로 50 cm 정도의 깊이에 설치되므로, 땅을 파는 작업은 장시간이 소요되며, 그 강도가 강하므로, 울타리 설치 작업 중에서 시간과 인력을 상당한 정도로 차지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땅을 파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견고성이 개선된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가 용이한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속도가 빠른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만,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개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내측 영역을 정의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삽입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수직 지지대를 결합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수직 지지대에 결합하는 복수의 너트들;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수직 지지대 사이에 제공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내측 영역의 하부에 삽입된 흙을 포함하는 울타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내측 영역이 수직 방향을 따라 완전히 개방되도록 개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수직 지지대를 관통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수직 지지대를 관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1 고정 홀들과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 및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 및 상기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을 지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을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지중에 제공되는 매립 영역; 및 지면 상에 제공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은 상기 돌출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땅을 파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견고성이 개선된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설치가 용이한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설치 속도가 빠른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효과는 상기 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이 A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를 수평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베이스 부재, 수직 지지대, 고정 부재, 복수의 너트들, 및 콘크리트부를 수직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7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도 7의 울타리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를 제2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의 베이스 부재, 수직 지지대, 제1 직선형 고정 부재, 용접 영역들, 및 콘크리트부를 제1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2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베이스 부재, 수직 지지대,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 용접 영역들, 및 콘크리트부를 제1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2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A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베이스 부재, 수직 지지대, 제3 직선형 고정 부재, 너트들, 및 콘크리트부를 제1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 b, 및 c'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를 제2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베이스 부재, 수직 지지대, 고정 부재, 복수의 너트들, 및 콘크리트부를 제1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울타리(10)가 제공될 수 있다. 울타리(10)는 베이스 부재(110), 수직 지지대(210), 고정 부재(120), 복수의 너트들(130a, 130b, 130c), 콘크리트부(140), 수평 지지대(220), 및 망 요소(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땅(1)에 매립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그 내부에 내측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내측 영역은 베이스 부재(110)의 측벽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개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부재(110)는 원형 관 형상 또는 사각형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수직 방향(DR1)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수직 방향(DR1)은 중력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수직 방향(DR1)은 중력 방향과 완전히 동일한 방향뿐만 아니라 중력 방향으로부터 약간 틀어진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영역은 수직 방향(DR1)을 따라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사람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0)는 철 재질일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지중에 제공되는 매립 영역(110a) 및 지면(1u) 상에 제공되는 돌출 영역(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매립 영역(110a)의 높이는 돌출 영역(110b)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높이는 수직 방향(DR1)을 따르는 크기일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폭(ID)은 베이스 부재(110) 및 내측 영역 아래의 땅(1)이 베이스 부재(110)가 매립됨에 따라 밀려날 수 있을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폭(ID)은 100~25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매립 영역(110a) 하부에 잔류 흙 영역(1a)이 제공될 수 있다. 잔류 흙 영역(1a)은 베이스 부재(110)를 땅(1)에 매립할 때, 베이스 부재(110)의 하부에 남은 땅(1)의 일부분일 수 있다. 잔류 흙 영역(1a)의 상면은 지면(1u)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 영역(110b)에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은 베이스 부재(110)를 관통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은 수평 방향(DR2)을 따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수평 방향(DR2)은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수평 방향(DR2)은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과 완전히 동일한 방향뿐만 아니라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약간 틀어진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에 후술되는 고정 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 내에 수직 지지대(210)가 제공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10)가 베이스 부재(11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다른 예에서, 수직 지지대(210)는 베이스 부재(110)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중심부는 베이스 부재(1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베이스 부재(110)의 중심축에 인접한 위치를 지칭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10)는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 지지대(210)는 원형 관 형상 또는 사각형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평 방향을 따르는 수직 지지대(210)의 외측 폭은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폭(ID)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지지대(210)는 베이스 부재(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1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 지지대(210)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 및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H3)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 및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H3)은 수직 지지대(210)를 관통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은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에 후술되는 고정 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H3)은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H3)은 수평 방향(DR2)을 따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H3)에 후술되는 고정 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10)는 사람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지지대(210)는 철 재질일 수 있다. 수직 지지대들(210) 사이의 간격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베이스 부재(110) 및 수직 지지대(210)를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제1 영역(120a) 및 제2 영역(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20a)은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 및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을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20a)은 베이스 부재(110) 및 수직 지지대(210)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영역(120a)의 단부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은 적어도 수직 지지대(210)의 내측부터 제2 영역(120b)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영역(120a)의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에 의해 제1 영역(120a)은 후술되는 제2 너트(130b) 및 제3 너트(130c)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영역(120b)은 제1 영역(120a)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영역(120b)은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H3)을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20b)은 베이스 부재(110)는 관통하지 않고, 수직 지지대(210)만 관통할 수 있다. 제2 영역(120b)의 단부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산은 적어도 수직 지지대(210)의 내측부터 제1 영역(120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영역(120b)의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산에 의해 제2 영역(120b)은 제1 너트(130a)와 결합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사람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20)는 철 재질일 수 있다.
제1 너트(130a)는 고정 부재(120)의 제2 영역(120b)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 너트(130a)는 제3 고정 홀(H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너트(130a)는 수직 지지대(210)의 외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너트(130a)는 수직 지지대(21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 제2 너트(130b)는 고정 부재(120)의 제1 영역(120a)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2 너트(130b)는 수직 지지대(210)와 베이스 부재(1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너트(130b)는 제2 고정 홀(H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너트(130b)는 수직 지지대(210)의 외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너트(130b)는 수직 지지대(21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 제3 너트(130c)는 고정 부재(120)의 제1 영역(120a)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3 너트(130c)는 제1 고정 홀(H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너트(130c)는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3 너트(130c)는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너트들(130a, 130b, 130c)에 의해 고정 부재(120)는 베이스 부재(110) 및 수직 지지대(2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와 수직 지지대(210) 사이에 콘크리트부(140)가 제공될 수 있다. 콘크리트부(140)는 베이스 부재(110)와 수직 지지대(210)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부(140)는 무수축 콘크리트(non-shrink concrete)를 포함할 수 있다. 무수축 콘크리트는 경화 과정에서 부피가 줄어들지 않으므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콘크리트부(140)의 상면이 지면(1u)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다른 예에서, 콘크리트부(140)의 상면은 지면(1u)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 수직 지지대(210), 제1 내지 제3 너트들(130a, 130b, 130c), 및 콘크리트부(140)의 결합에 의해 견고성이 향상된 울타리(10)가 제공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220)는 수직 지지대(2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220)는 수직 지지대(210)와 수평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220)는 수직 지지대(210)에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지지대(220)는 별도의 너트들(미도시) 및 너트들(미도시)을 이용하여 수직 지지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220)는 사람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지지대(220)는 철 재질일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최하부의 수평 지지대(220)와 지면(1u) 사이의 틈이 과장되게 도시되었다. 실제 최하부의 수평 지지대(220)는 지면(1u)에 매우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들(220) 사이의 간격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망 요소(230)는 수평 지지대(220) 및 수직 지지대(2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망 요소(230)는 격자 형태로 연결되는 수평 지지대(220) 및 수직 지지대(210)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망 요소(230)는 수평 지지대(220) 및 수직 지지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망 요소(230)는 수평 지지대(220) 및 수직 지지대(210)에 용접되거나, 별도의 고정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평 지지대(220) 및 수직 지지대(210)에 결합될 수 있다. 망 요소(230)는 사람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망 요소(230)는 철 재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베이스 부재(110)는 개구가 지면(1u)을 향하도록 하여 땅(1)에 바로 매립되므로, 별도로 땅(1)을 파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울타리 설치가 용이하고 간단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울타리 설치 작업의 속도가 개선되고, 필요한 인적인 자원, 물적인 자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되는 울타리(1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도 7의 울타리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은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10)가 땅(1)에 매립될 수 있다.(S100) 베이스 부재(110)는 개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0)는 일 개구가 지면(1u)을 향한 상태로 땅(1)에 바로 매립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를 매립하는 것은 작업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기계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가 땅(1) 속으로 들어갈 때, 베이스 부재(110) 및 내측 영역 아래의 땅(1)도 밀려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폭(ID)은 베이스 부재(110) 및 내측 영역 아래의 땅(1)이 베이스 부재(110)가 매립됨에 따라 밀려날 수 있을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폭(ID)은 100~25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110)를 매립하기 위해 별도로 땅(1)을 파는 작업은 요구되지 않는다.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영역에 땅(1)의 일부가 남을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영역에 남은 땅(1)은 잔류 흙 영역(1a)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잔류 흙 영역(1a)의 상면은 지면(1u)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10) 내에 수직 지지대(210)가 삽입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10)가 베이스 부재(11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다른 예에서, 수직 지지대(210)는 베이스 부재(110)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10)와 베이스 부재(110)는 수직 지지대(210)의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이 베이스 부재(110)의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과 마주하도록 서로 정렬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가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 및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H3)에 삽입되어 베이스 부재(110) 및 수직 지지대(210)를 관통할 수 있다. 고정 부재(120)가 수직 지지대(210)를 관통한 후, 베이스 부재(110)에 도달하기 전에 제2 너트(130b)가 고정 부재(120)의 제1 영역(120a)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고정 부재(120)는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 및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H3)에 최대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서 고정 부재(120)는 오른쪽으로 최대한 밀착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가 수직 지지대(210) 및 베이스 부재(110)를 완전히 관통한 상태에서 제1 너트(130a) 및 제3 너트(130c)가 각각 고정 부재(120)의 제2 영역(120b) 및 제1 영역(120a)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너트(130a)는 고정 부재(120)가 수직 지지대(210)를 관통한 후, 베이스 부재(110)에 도달하기 전에 고정 부재(120)의 제2 영역(12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지지대(210)는 베이스 부재(110)에 고정될 수 있다.(S200)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10) 내에 콘크리트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S300) 콘크리트부(140)는 베이스 부재(110)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것 및 주입된 콘크리트를 굳히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는 무수축 콘크리트일 수 있다. 무수축 콘크리트는 경화 과정에서 부피가 줄어들지 않으므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콘크리트가 지면(1u)보다 높은 위치까지 주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다른 예에서, 콘크리트는 지면(1u)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위치까지 주입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 수직 지지대(210), 제1 내지 제3 너트들(130a, 130b, 130c), 및 콘크리트부(140)의 결합에 의해 견고성이 향상된 울타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면, 수평 지지대(220)가 수직 지지대(210)에 고정될 수 있다.(S400) 예를 들어, 수평 지지대(220)는 별도의 너트들(미도시) 및 너트들(미도시)을 이용하여 수직 지지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들(220) 사이의 간격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망 요소(230)가 수평 지지대(220) 및 수직 지지대(210)에 고정될 수 있다. 망 요소(230)는 격자 형태로 연결되는 수평 지지대(220) 및 수직 지지대(210)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망 요소(230)는 수평 지지대(220) 및 수직 지지대(210)에 용접되거나, 별도의 고정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평 지지대(220) 및 수직 지지대(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은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울타리(1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달리, 수직 지지대(210)는 잔류 흙 영역(1a)에 매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잔류 흙 영역(1a)의 최상면은 수직 지지대(210)의 최하부면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2 홀들(H2)이 한 쌍의 제1 홀들(H1)과 마주하도록 정렬되기 위해, 수직 지지대(210)의 높이가 조정되어 잔류 흙 영역(1a) 내에 매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베이스 부재(110)는 개구가 지면(1u)을 향하도록 하여 땅(1)에 바로 매립되므로, 별도로 땅(1)을 파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울타리 설치가 용이하고 간단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울타리 설치 작업의 속도가 개선되고, 필요한 인적인 자원, 물적인 자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되는 울타리(1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를 제2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의 베이스 부재, 수직 지지대, 제1 직선형 고정 부재, 용접 영역들, 및 콘크리트부를 제1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들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의 차이점이 중점적으로 설명된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울타리(1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달리, 울타리(11)는 고정 부재(120) 및 복수의 너트들(130a, 130b, 130c) 대신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 및 용접 영역들(132a, 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는 베이스 부재(110) 및 수직 지지대(210)를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는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 및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을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는 나사산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다른 예에서,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는 표면에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는 사람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는 철 재질일 수 있다.
제1 용접 영역(132a)은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용접 영역(132a)은 제1 고정 홀(H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용접 영역(132a)은 제1 고정 홀(H1) 주변의 베이스 부재(110)와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를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접 영역(132a)은 용접봉이 용융된 후 굳은 용접용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용접 영역(132b)은 수직 지지대(210)의 외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용접 영역(132b)은 제2 고정 홀(H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용접 영역(132b)은 제2 고정 홀(H2) 주변의 수직 지지대(210)와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를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용접 영역(132b)은 용접봉이 용융된 후 굳은 용접용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용접 영역들(132b)에 의해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는 베이스 부재(110) 및 수직 지지대(2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210)가 제3 고정 홀(H3)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다른 예에서, 수직 지지대(210)는 제3 고정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베이스 부재 및 수직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베이스 부재, 수직 지지대,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 용접 영역들, 및 콘크리트부를 제1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들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의 차이점이 중점적으로 설명된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울타리(1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달리, 울타리(12)는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 대신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은 베이스 부재(110)를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은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을 각각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은 나사산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다른 예에서,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은 표면에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은 사람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은 철 재질일 수 있다.
한 쌍의 제2 용접 영역들(132b)은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의 단부와 수직 지지대(210)의 외측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용접 영역들(132b)은 한 쌍의 제2 직선형 고정 부재들(124)의 단부와 수직 지지대(210)를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도 2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울타리의 개념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A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베이스 부재, 수직 지지대, 제3 직선형 고정 부재, 너트들, 및 콘크리트부를 제1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들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의 차이점이 중점적으로 설명된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울타리(1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달리, 울타리(12)는 제1 직선형 고정 부재(122) 및 용접 영역들(132a, 132b) 대신 제3 직선형 고정 부재(126) 및 너트들(130b, 13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직선형 고정 부재(126)는 베이스 부재(110) 및 수직 지지대(210)를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3 직선형 고정 부재(126)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직선형 고정 부재(126)는 그 표면에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제3 직선형 고정 부재(126)는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 및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을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직선형 고정 부재(126)는 사람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직선형 고정 부재(126)는 철 재질일 수 있다.
한 쌍의 제2 너트들(130b)은 제3 직선형 고정 부재(126)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너트들(130b)은 수직 지지대(210)와 베이스 부재(1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너트들(130b)은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H2)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너트들(130b)은 수직 지지대(210)의 외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너트들(130b)은 수직 지지대(21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너트들(130b)의 각각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2 너트(130b)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 너트들(130c)은 고정 부재(12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3 너트들(130c)은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H1)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너트들(130c)은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너트들(130c)은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 너트들(130c)의 각각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3 너트(13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설명을 위한 예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 땅 1u: 지면
1a: 잔류 흙 영역 10, 11, 12, 13: 울타리
110: 베이스 부재 120: 고정 부재 130a~130c: 너트들 140: 콘크리트부
210: 수직 지지대 220: 수평 지지대
230: 망 요소

Claims (5)

  1. 내측 영역을 정의하고 철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삽입되고 철을 포함하는 수직 지지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수직 지지대를 결합하고 철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수직 지지대에 결합하는 복수의 너트들;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수직 지지대 사이에 제공되고, 무수축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내측 영역의 하부에 삽입된 잔류 흙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내측 영역이 수직 방향을 따라 완전히 개방되도록 개관 형상을 갖고,
    상기 잔류 흙 영역은 상기 베이스 부재가 매립되는 땅의 일부이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수직 지지대를 관통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수직 지지대를 관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1 고정 홀들과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 및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낮은 위치에 제공되고, 일 단부에 제1 나사산을 포함하며, 타 단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을 지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 홀들 중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일 단부와 인접한 제2 고정 홀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 중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일 단부와 인접한 제1 고정 홀을 지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제공되고, 일 단부에 제2 나사산을 포함하며, 타 단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을 지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한 쌍의 제3 고정 홀들 중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일 단부와 인접한 제3 고정 홀을 지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너트들은, 상기 제2 나사산이 지나는 상기 제3 고정 홀 상에서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1 너트, 상기 제1 나사산이 지나는 상기 제2 고정 홀 상에서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2 너트, 및 상기 제1 나사산이 지나는 상기 제1 고정 홀 상에서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3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지중에 제공되는 매립 영역, 및 지면 상에 제공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홀들은 상기 돌출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가 지중에 매립됨에 따라 상기 땅이 밀려나되 상기 땅의 일부인 상기 잔류 흙 영역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내측 영역의 상기 하부에 삽입되도록 100 내지 250 밀리미터(mm)의 내측 폭을 갖는 울타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67255A 2023-05-24 2023-05-24 울타리 KR10266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255A KR102666585B1 (ko) 2023-05-24 2023-05-24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255A KR102666585B1 (ko) 2023-05-24 2023-05-24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6585B1 true KR102666585B1 (ko) 2024-05-14

Family

ID=9107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255A KR102666585B1 (ko) 2023-05-24 2023-05-24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5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326Y1 (ko) * 2005-03-22 2005-06-10 김철광 안전 펜스
JP3110948U (ja) * 2005-03-02 2005-07-07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支柱
JP2015212507A (ja) * 2014-04-15 2015-11-26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長尺物の基礎構造および長尺物の基礎構造体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948U (ja) * 2005-03-02 2005-07-07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支柱
KR200386326Y1 (ko) * 2005-03-22 2005-06-10 김철광 안전 펜스
JP2015212507A (ja) * 2014-04-15 2015-11-26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長尺物の基礎構造および長尺物の基礎構造体構築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232B2 (en) Foundation construction for superstructures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CN105937274B (zh) 装配式预制剪力墙水平拼缝槽钢焊接连接装置和连接方法
JP2867075B2 (ja) 除去可能な地盤アンカー及びそれを用いた地盤アンカー施工法
US3438157A (en) Utility manhole
KR102666585B1 (ko) 울타리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102037223B1 (ko) 뒤틀림 및 흔들림 현상을 저감한 연속벽체 시공을 위한 구조물(겹이음 cip)
EP1490569A1 (en) A prefabricated tower foundation comprising equipment shelters and a method for its deployment on site
JP5271720B2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62794Y1 (ko) 수로관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시공 구조
JP3052106B2 (ja) プレストレス導入地下連続壁の施工法
CN219315694U (zh) 地下连续墙
KR102652376B1 (ko)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차수벽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토류벽 형성방법
KR102376530B1 (ko) 소재 교차 연결장치
KR102059375B1 (ko) 펜스 지주용 기초대 및 그 시공방법
KR100464929B1 (ko) 어스앵커
JP3673841B2 (ja) 永久地盤アンカー等の施工用ガイドパイプ及び前記ガイドパイプを使用する連続地下壁の施工方法
KR100903216B1 (ko) 패널을 이용한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15290160U (zh) 一种用于软土基坑的复合支护结构
CN113106979B (zh) 上盖基坑的挖掘方法及上盖增层的施工方法
CN210658608U (zh) 一种适用于边坡的截排水装置
KR200270098Y1 (ko) 어스앵커
RU2188907C1 (ru) Фундамент сейсмостойкого здания на колоннаде, расположенной в подвальном этаже
KR101601904B1 (ko) 압입식 기초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