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282B1 -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282B1
KR102661282B1 KR1020160134924A KR20160134924A KR102661282B1 KR 102661282 B1 KR102661282 B1 KR 102661282B1 KR 1020160134924 A KR1020160134924 A KR 1020160134924A KR 20160134924 A KR20160134924 A KR 20160134924A KR 102661282 B1 KR102661282 B1 KR 102661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air
blowing
residual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594A (ko
Inventor
김종석
박대윤
양인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282B1/ko
Priority to US15/785,902 priority patent/US20180103813A1/en
Priority to CN201710961453.4A priority patent/CN107957168B/zh
Publication of KR2018004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594A/ko
Priority to US16/904,214 priority patent/US1151716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5Hand apparatus with built-in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히 잔수를 흡입하는 기능만을 포함함에 따라, 바닥면 또는 벽면에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는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과,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에 잔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모터부와,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로부터 흡입된 액체가 저장되는 배수탱크와,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송풍모듈과,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흡입모터부, 배수탱크 및 에어송풍모듈이 장착된 본체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REMAINING WATER SUCTION DEVICE HAVING AIR BLOWING FUNCTION}
본 발명은 창이나 벽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물기를 흡입하는 잔수 흡입 기능과 에어를 강하게 분사하는 에어 송풍 기능을 포함하는 잔수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유리창 또는 벽면을 청소하는 경우 세제와 다량의 세척수를 사용하게 된다. 유리창의 표면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닦아내지 않으면 세척수에 먼지 등이 달라붙어 쉽게 재오염이 발생한다.
또한, 욕실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샤워를 한 후에는 벽면 또는 바닥면에 물기가 남게된다. 이 때, 잔류하는 물기(이하, 잔수라 함)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욕실이 비위생적인 공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벽면 또는 바닥면의 잔수를 제거하기 위한 잔수 흡입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며,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장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잔수 흡입 장치(10)는 흡입구(12a)를 구비하는 흡입 노즐(12)과, 흡입 노즐(12)을 통해서 흡입된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수공분리 챔버(14)와, 수공분리 챔버(14)에 분리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5)와, 상기 수공분리 챔버(14)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팬(17)과, 흡입 팬(17)을 구동하기 위한 흡입모터(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모터(16)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구(12a)에서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은 물탱크(15)에 저장된다. 또한, 물과 함께 흡입된 공기는 배기구(미도시)를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단순히 잔수를 흡입하는 기능만을 포함함에 따라, 바닥면이 아닌 벽면에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장치는 바닥면에 모여있지 않고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장치는 욕실 또는 화장실의 배수구 근처에 있는 잔수를 배수구로 이동시켜 배출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흡입기능만을 구비함에 따라 배수구 근처에 있는 잔수를 별도로 흡입하여 제거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장치는 흡입된 액체가 흡입모터로 유입될 경우 흡입모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설령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흡수필터를 구비한다 하더라도, 상기 흡수필터가 흡입모터의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흡입성능이 저하되거나 구조가 복잡해서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생산비용도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벽면에 붙어있는 잔수에 바람을 분사하여 벽면으로부터 잔수를 떨어뜨림으로써, 벽면의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에 산발적으로 분포된 잔수에 바람을 분사하여 한곳으로 모으고, 모인 잔수를 한번에 흡입함으로써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구 근처에 있는 잔수에 바람을 분사시켜 배수구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잔수를 흡입할 경우, 흡입된 액체가 흡입 모터가 아닌 배수탱크로 가이드 유동되도록 공기를 분사함에 따라, 상기 흡입모터가 파손될 우려를 원천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는 단순히 잔수를 흡입하는 기능만을 포함하기에, 효율적으로 잔수를 흡입하거나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송풍모듈과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에어송풍모듈을 통해 바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람을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을 통해 벽면으로 분사함으로써 벽면의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면은 잔수로 인해 세균과 곰팡이가 증식되어 비위생적인 상태로 변질되거나 부식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에 의하면 바닥면에 모여있지 않고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과, 흡입모터부와, 배수탱크와, 에어송풍모듈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에어송풍모듈을 통해 바람을 발생시키고, 바람을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을 통해 산발적으로 분포된 잔수에 바람을 분사하여 한곳으로 모을 수 있다. 또한, 모인 잔수를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을 이용하여 한번에 흡입하여 배수탱크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분산된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잔수가 말끔하게 흡입되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에 의하면 욕실 또는 화장실의 배수구 근처에 있는 잔수도 흡입하여 제거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송풍모듈과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에어송풍모듈을 통해 바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람을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을 통해 배수구 근처에 있는 잔수에 분사시켜 잔수를 배수구로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수구 근처의 잔수를 별도로 흡입할 필요 없이 보다 말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에 의하면 흡입된 액체가 흡입모터로 유입될 경우, 흡입모터가 자체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풍모터로부터 발생된 바람의 유동방향을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또는 본체바디를 향해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개폐조절레버부를 포함하고, 본체바디에 관통홀을 형성시킨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잔수를 흡입할 경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로 향하는 송풍관을 차단하고, 송풍모터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관통홀을 통해 배수탱크로 분사한다. 따라서 흡입된 액체가 흡입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잔수의 종류 및 상태에 맞추어 잔수흡입모드와 에어송풍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벽면에 붙어있는 잔수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도 있으나, 벽면의 상태나 잔수가 분포된 정도에 따라 에어송풍모드를 선택하여 벽면에 붙어있는 잔수에 바람을 분사하여 벽면으로부터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결국, 넓은 면적의 벽면에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잔수를 흡입할 때 잔수에 근접하게 잔수 흡입 장치를 위치시키고 잔수를 흡입한다. 이에 따라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바람으로 잔수를 제거할 경우 빠른 시간내에 잔수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욕실 바닥에 산발적으로 분포된 잔수에 바람을 분사하여 한곳으로 모으고, 모인 잔수를 한번에 흡입함에 따라 일일이 분포된 잔수를 흡입할 필요가 없게되어 잔수의 제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송풍에 의해 욕실 바닥이 빨리 건조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구 근처에 있는 잔수를 흡입할 필요없이, 바람을 분사시켜 배수구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잔수를 제거할 수 있고, 작업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잔수를 흡입할 경우, 송풍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의 유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흡입된 액체가 흡입모터로 유동되지 않도록 에어블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유입에 따른 흡입모터의 파손을 원천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흡입모터로의 액체 유입 차단을 위한 별도의 필터를 장착할 필요가 없는 바,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유체 유동 가이드바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전방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잔수흡수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에어송풍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유체 유동 가이드바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개폐조절레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잔수흡수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에어송풍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20)는 잔수를 흡입하기 위한 잔수흡입기능과, 잔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송풍기능을 동시에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잔수흡입과 에어송풍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잔수 흡입 장치는 잔수흡입모듈(21), 에어송풍모듈(22) 및 제어부(23)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잔수흡입모드와 에어송풍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에 대한 신호를 잔수흡입모듈(21) 또는 에어송풍모듈(2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잔수흡입모듈(21) 또는 상기 에어송풍모듈(22)은 각각 잔수흡입 또는 에어분사를 구현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의 세부 기술구성, 유기적 결합 및 작동관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잔수 흡입 장치(100)는 본체바디(110a, 110b),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 배수탱크(130), 흡입모터부(140) 및 에어송풍모듈(도 2에 22로 도시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송풍모듈(22)은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기 것으로, 송풍모터(150)와, 상기 송풍모터(1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관부(후술되는 송풍관(116b)에 대응됨)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송풍모듈의 구체적인 기술구성 및 유기적인 결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바디(110)는 제1 본체바디(110a)와 제2 본체바디(11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바디(110a)에는 흡입모터부(140) 및 송풍모터(150)가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수탱크(13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본체바디(110b)는 흡입되는 잔수 및 공기와,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기 위한 유체 유동 가이드바디로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바디(110b)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본체바디(110a)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이 장착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보다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본체바디(110b)는 흡입부(111b), 격벽부(112b), 공기 배출부(113b), 액체 배출부(114b), 공기 유동챔버(115b) 및 송풍관(11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11b)는 관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잔수 및 공기가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로부터 동시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112b)는 상기 흡입부(111b)를 통해 유입된 잔수를 액체 배출부(114b)로 유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격벽부(112b)는 상기 흡입부(111b)에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체 배출부(114b)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부(111b)를 통해 유입된 잔수는 격벽부(112b)에 1차로 충동하고, 상기 격벽부(112b)를 타고 흘러내려 2차로 상기 액체 배출부(114b)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 배출부(114b)는 상기 제1 본체바디(110a)에 장착된 배수탱크(130)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부(111b)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격벽부(112b)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113b)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113b)는 상기 제1 본체바디(110a)에 장착된 흡입모터부(140)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동챔버(115b)는 상기 액체 배출부(114b)를 향해 유동된 공기를 공기 배출부(113b)로 유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통챔버(115b)는 상기 격벽부(112b)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배출부(113b)와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112b)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부(111b)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송풍관(116b)은 상기 에어송풍모듈의 송풍관부가 구체적인 구현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관(116b)는 상기 제1 본체바디(110a)에 장착된 송풍모터(150)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관(116b)은 송풍모터(1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에서 분사될 때 유속이 빨라지도록 상기 송풍모터(150)를 향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송풍관(116b)의 형상으로 가압된 공기가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바디(110a, 110b)는 그 기능에 따라 제1 본체바디(110a)와 제2 본체바디(110b)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본체바디(110a)와 제2 본체바디(110b)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보다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은 잔수의 흡입과 에어의 분사를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흡입부(121)와 블로잉부(1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121)는 잔수를 흡입하기 위한 것이고, 본체바디(110)의 외부으로부터 상기 제2 본체바디(110b)의 흡입부(111b)를 향해 관통되는 관통부(1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121a)는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자형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121a)에는 접촉판 부재(121b', 121b")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판 부재(121b', 121b")는 잔수 흡입시 벽면(또는 바닥면)과의 접촉시 흡입부(121) 또는 벽면(또는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잉부(122)는 상기 송풍모터(180)로부터 유동되는 가압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로잉부(122)는 상기 본체바디(110)의 외부와 상기 제2 본체바디(110b)의 송풍관(116b)을 연통하는 관통부(1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122a)는 노즐로 구현되도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모터(1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의 블로잉부(122)를 통해 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관(116b)로부터 관통부(122a)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탱크(130)에는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로부터 흡입된 액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흡입모터부(140)는 흡입모터(141), 흡입관(142) 및 흡입팬(14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142)의 일단은 상기 흡입모터(14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본체바디(110b)의 공기 배출부(113b)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송풍모터(150)는 상기 제2 본체바디(110b)의 송풍관(116b)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팬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터(150)가 장착되는 제1 본체바디(110a)에는 필터(111a)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111a)는 송풍모터(150)에 대향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잔수흡입 및 에어송풍에 대한 각각의 기술구현과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잔수흡수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사용자가 잔수흡수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흡입모터(141)는 작동되고, 상기 잔수 및 공기는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의 흡입부(121)에 유입된다.
이후, 상기 흡입부(121)에 유입된 액체 및 공기는 제2 본체바디(110b)의 흡입부(111b)로 유동된다.
먼저 액체의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흡입부(111b)로 유동된 액체는 격벽부(112b)에 충돌하고 격벽부를 타고 흐른다. 그리고 상기 액체는 액체 배출부(114b)를 통해 배수탱크(130)에 유입된다. 즉,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의 유동경로는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의 흡입부(121) -> 제2 본체바디(110b)의 흡입부(111b) -> 격벽부(112b) -> 액체 배출부(114b) -> 배수탱크(130)이다.
다음으로,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흡입부(111b)로 유동된 공기는 격벽부(112b)에 충돌하거나 가이드되어 공기 배출부(113b)를 통해 흡입모터부(140)의 흡입관(142)에 유입된다.
한편, 공기 배출부(113b)를 향하지 않고, 액체 배출부(114b)를 향해 유동된 공기는 공기 유동챔버(115b)를 통해 다시 공기 배출부(113b)로 유동되고, 흡입모터부(140)의 흡입관(142)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142)에 유입된 공기는 제1 본체바디(110a)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도 6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유동경로는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의 흡입부(121) -> 제2 본체바디(110b)의 흡입부(111b) -> 격벽부(112b) -> 공기 배출부(113b) -> 흡입모터부(140)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에어송풍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사용자가 에어송풍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송풍모터(150)는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터(1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2 본체바디(110b)의 송풍관(116b)을 통해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120)의 블로잉부(122)로 유동되고,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는 단면적이 순차적을 감소되는 송풍관(116b)와 블로잉부(122)의 관통부(122a)를 거치면서 가압된 상태로 분사될 수 있다.
즉, 도 7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모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경로는 송풍관(116b)-> 블로잉부의 관통부(122a)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잔수처리 방식에 따라 잔수흡입모드와 에어송풍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유체 유동 가이드바디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2 본체바디 및 송풍모터 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잔수 흡입 장치(200)는 본체바디(210a, 210b),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220), 배수탱크(230), 흡입모터부(240), 송풍모터(2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바디(210)는 제1 본체바디(210a)와 제2 본체바디(210b)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바디(210a),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220), 배수탱크(230) 및 흡입모터부(24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100)의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잔수 흡입 장치(200)는 상기 송풍모터(2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액체 배출부(214b)를 향해 분사하여 흡입모터부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본체바디(210b)는 유체 유동 가이드바디로서 흡입부(211b), 격벽부(212b), 공기 배출부(213b), 액체 배출부(214b) 및 공기 유동챔버(215b) 및 송풍관(21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관(216b)은 상기 제1 본체바디(210a)에 장착된 송풍모터(250)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관(216b)에는 상기 격벽부(212b)의 전방부 즉, 상기 흡입부(211b)와 상기 격벽부(212b) 사이의 영역에 대향되어 관통홀(216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216b')는 상기 송풍모터(2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액체 배출부(214b)를 향하도록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6b')의 선택적 개폐를 위해 개폐조절레버부(217b)가 상기 제2 본체바디(210b)에 장착된다.
즉, 잔수흡입시에는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송풍모터(2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의 블로잉부(222)로 유동하지 않고, 관통홀(216b')을 통해 액체 배출부(114b)를 향하여 유동하여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개폐조절레버부는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으며, 도 9은 및 도 10은 이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레버(217b')와 차단판(217b")를 포함하는 개폐조절레버부(217b)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217b')는 제2 본체바디(210b)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차단판(217b")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217b")은 상기 레버(217b')의 조작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217b")은 상기 송풍관(216b)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홀(216b')을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217b")은 상기 레버(217b')의 조작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본체바디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217b")은 송풍관 내부를 이동하면서 관통홀과 송풍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탄성재질을 갖는 탄성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모터(250)는 풍속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관통홀(216b')을 통해 공기를 분사할 경우, 에어송풍모드에 비하여 작은 풍속의 공기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터(250)에 있어서 풍속의 강약 조절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고, 공지된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잔수흡입 및 에어송풍에 대한 각각의 기술구현과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11은 도 8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잔수흡수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사용자는 레버(217b')를 통해 관통홀(216b')은 개방되고,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220)의 관통부(222a)에 연결된 송풍관(216b) 측은 폐쇄되도록 상기 차단판(217b")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잔수흡수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흡입모터(241)는 작동되고, 상기 잔수 및 공기는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220)의 흡입부(221)를 통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221)을 통해 유입된 액체 및 공기는 제2 본체바디(210b)의 흡입부(211b)로 유동된다.
또한, 송풍모터(250)가 작동하고, 상기 흡입부(211b)로 유동된 액체가 격벽부(212b)에 충돌될 경우, 상기 송풍모터(2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관통홀(216b')을 통해 액체 배출부(214b)을 향해 분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체가 흡입모터부(240)로 유동되는 것이 원천 차단되고, 액체 배출부(214b)를 향해 가이드 유동된다.
즉, 상기 액체의 가이드 유동은 액체의 유동방향을 강제적으로 액체 배출부(214b)를 향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액체는 액체 배출부(214b)를 통해 배수탱크(230)에 유입되고, 공기는 액체 배출부(214b) 및 공기 유동챔버(215b)를 통해 흡입모터부(240)의 흡입관(242)에 유입되고, 외부로 배출된다.
도 12은 도 8에 도시한 잔수 흡입 장치에 있어서, 에어송풍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사용자는 레버(217b')를 통해 관통홀(216b')은 폐쇄되고,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220)의 관통부(222a)에 연결된 송풍관(116b) 측은 개방되도록 상기 차단판(217b")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에어송풍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송풍모터(2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2 본체바디(210b)의 송풍관(216b)으로 유동되고,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220)의 블로잉부(22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16b')은 상기 차단판(217b")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공기는 손실되지 않고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22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는 잔수를 흡입할 경우, 송풍모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흡입된 액체가 흡입모터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현함에 따라 액체 유입에 따른 상기 흡입모터의 파손은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잔수 흡입 장치 11b: 상기 흡입부
12: 흡입 노즐 12a: 흡입구
14b: 공기 배출구 14a: 배출구
14: 수공분리 챔버 15: 물 탱크
16: 흡입모터 17: 흡입 팬
18: 배기구
100: 잔수 흡입 장치 110: 본체바디
110a: 제1 본체바디 110b: 제2 본체바디
111b: 흡입부 112b: 격벽부
113b: 공기 배출부 114b: 액체 배출부
115b: 공기 유동챔버 116b: 송풍관
120: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121a: 관통부
121: 흡입부 122a: 관통부
122: 블로잉부 130: 배수탱크
140: 흡입모터부 141: 흡입모터
142: 흡입관 143: 흡입팬
150: 송풍모터 180: 송풍모터
200: 잔수 흡입 장치 210a: 제1 본체바디
210b: 제2 본체바디 210: 상기 본체바디
211b: 흡입부 212b: 격벽부
213b: 공기 배출부 214b: 액체 배출부
215b: 공기 유동챔버 216b': 관통홀
216b: 송풍관 217b': 레버
217b": 차단판 217b: 개폐조절레버부
220: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221: 흡입부
222: 블로잉부 230: 배수탱크
240: 흡입모터부 241: 흡입모터
121b', 121b": 접촉판 부재 250: 송풍모터
250: 송풍모터

Claims (14)

  1.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에 잔수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모터부;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로부터 흡입된 액체가 저장되는 배수탱크;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에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송풍모듈;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흡입모터부, 배수탱크 및 에어송풍모듈이 장착된 본체바디; 및
    상기 에어송풍모듈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또는 본체바디를 향해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개폐조절레버부를 포함하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송풍모듈은
    송풍모터와, 상기 송풍모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송풍관부를 포함하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디는
    상기 흡입모터부 및 송풍모터가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수탱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본체바디와,
    상기 제1 본체바디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이 결합되고, 흡입되는 잔수 및 공기와, 상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제2 본체바디를 포함하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바디는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로부터 액체 및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제1 본체바디에 장착된 배수탱크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액체 배출부와,
    상기 흡입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체 배출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격벽부와,
    상기 제1 본체바디에 장착된 흡입모터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공기배출부와,
    상기 제1 본체바디에 장착된 송풍모터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송풍관이 형성된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바디는
    상기 격벽부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통된 공기 유동챔버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부가 위치되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터부는
    흡입모터와,
    일단은 상기 흡입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본체바디의 공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흡입관을 포함하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은
    잔수를 흡입하기 위한 관통부가 형성된 흡입부와,
    상기 에어송풍모듈로부터 유동된 가압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관통부가 형성된 블로잉부가 형성된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관통부는 일자형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탄성재질의 접촉판 부재가 장착된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바디에는
    상기 송풍모터에 대향되도록 필터가 장착된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10.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에 잔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모터부;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로부터 흡입된 액체가 저장되는 배수탱크;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송풍모터;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흡입모터부, 배수탱크 및 송풍모터가 장착된 본체바디; 및
    상기 송풍모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 또는 본체바디를 향해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개폐조절레버부를 포함하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디는
    상기 흡입모터부 및 송풍모터가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수탱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본체바디와,
    상기 제1 본체바디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이 결합되고, 흡입되는 잔수 및 공기와,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제2 본체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절레버부는 상기 제2 본체바디에 장착된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바디는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로부터 액체 및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제1 본체바디에 장착된 배수탱크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액체 배출부와,
    상기 흡입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체 배출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격벽부와,
    상기 제1 본체바디에 장착된 흡입모터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공기배출부와,
    상기 제1 본체바디에 장착된 송풍모터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송풍관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관에는 상기 흡입부와 상기 격벽부 사이의 영역에 대향되어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조절레버부는 상기 송풍관의 관통홀과 상기 흡입 및 블로잉 일체형 노즐에 연결된 송풍관의 일측을 선택적을 개폐시키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레버부는
    상기 제2 본체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KR1020160134924A 2016-10-18 2016-10-18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KR102661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924A KR102661282B1 (ko) 2016-10-18 2016-10-18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US15/785,902 US20180103813A1 (en) 2016-10-18 2017-10-17 Remaining water suction device having air blowing function
CN201710961453.4A CN107957168B (zh) 2016-10-18 2017-10-17 具有空气送风功能的残留水吸入装置
US16/904,214 US11517162B2 (en) 2016-10-18 2020-06-17 Remaining water suction device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924A KR102661282B1 (ko) 2016-10-18 2016-10-18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594A KR20180042594A (ko) 2018-04-26
KR102661282B1 true KR102661282B1 (ko) 2024-04-25

Family

ID=6190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924A KR102661282B1 (ko) 2016-10-18 2016-10-18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80103813A1 (ko)
KR (1) KR102661282B1 (ko)
CN (1) CN1079571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282B1 (ko) * 2016-10-18 202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CN108739482B (zh) * 2018-08-16 2023-10-20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风道切换的清洗机
JP7412194B2 (ja) * 2020-01-28 2024-01-12 株式会社マキタ ワイパーブレード及びブロワ装置
CN111643005A (zh) * 2020-05-21 2020-09-11 芜湖清柏白露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五金加工的机床表面废料清理结构
DE102020118595A1 (de) 2020-07-14 2022-01-20 Alfred Kärcher SE & Co. KG Saug-Reinigung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aug-Reinigungsgeräts
KR102440455B1 (ko) * 2021-03-04 2022-09-05 김봉섭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운무 살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123A1 (en) * 2005-08-16 2007-02-22 Jared Bird Vacuum cleaner
CN101909500A (zh) * 2008-01-11 2010-12-08 阿尔弗雷德·凯驰两合公司 硬表面抽吸设备
US20130183141A1 (en) * 2012-01-18 2013-07-18 Foshan Shunde Xinshengyuan Electrical Appliances Co., Ltd. Air mov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3732A (en) * 1993-01-15 1999-08-31 The Hoover Company Door valve for utility vacuum cleaners
DE9312607U1 (de) * 1993-08-23 1993-10-28 Electrostar Schöttle GmbH & Co, 73262 Reichenbach Saug- und Blasvorrichtung
US5599401A (en) * 1994-08-04 1997-02-04 Jancar Industries, Inc. Portable, hand-held, self-contained multi-surface, hydro-cleaning apparatus
EP0988822A1 (en) * 1998-09-10 2000-03-29 Eco Byte S.r.l. Multipurpose portable apparatus for surface cleaning
JP3643041B2 (ja) * 2001-02-15 2005-04-27 リョービ株式会社 吸引・送風装置のモード切換機構
US6725500B2 (en) * 2001-05-03 2004-04-27 Vortex, L.L.C. Air recirculating surface cleaning device
DE10323776A1 (de) * 2003-05-23 2004-12-09 Vulkan Technic Maschinen-Konstruktions Gmbh Verfahren zum Reinigen von Objektträgern und Vorrichtung hierfür
GB2405577A (en) * 2003-09-05 2005-03-09 Reckitt Benckiser Cleaning Device
CN201524030U (zh) * 2009-10-28 2010-07-14 张建炜 一种吸水器
DE102011050697A1 (de) * 2011-05-27 2012-11-29 Leifheit Ag Flüssigkeitssaugvorrichtung zum Abziehen und Aufsaugen von Flüssigkeiten
US9326651B2 (en) * 2012-04-25 2016-05-03 Mohammed Jarallah ALSHEHRI Vacuum cleaner with blower and flexible head for improved particulate removal
CN102772168A (zh) * 2012-05-24 2012-11-14 朱厚林 一种硬质表面的吸水器
DE102012107994A1 (de) * 2012-08-29 2014-03-06 Alfred Kärcher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tragbaren Hartflächenabsauggeräts und Hartflächenabsaug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14068673A (ja) * 2012-09-27 2014-04-21 Hitachi Koki Co Ltd 手持ち式クリーナ
CN203042128U (zh) * 2013-02-05 2013-07-10 朱厚林 一种改进的硬质表面的吸水器
WO2015007329A1 (de) * 2013-07-18 2015-01-2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Tragbares hartflächenreinigungsgerät
CN103948346A (zh) * 2014-05-21 2014-07-30 苏州鑫荣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带烘干功能的吸尘装置
DE102015108527A1 (de) * 2015-05-29 2016-12-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Flüssigkeitssaugeinrichtung
US20180184866A1 (en) * 2015-09-09 2018-07-05 Albert W. Gebhard Dual Fluid Channel Vacuum Apparatus
CN105496303B (zh) * 2016-01-20 2018-01-3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手持式吸尘器
WO2017124628A1 (zh) * 2016-01-20 2017-07-27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手持式吸尘器
US10531773B2 (en) * 2016-01-20 2020-01-14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CN205514364U (zh) * 2016-01-21 2016-08-31 宁波嘉福塑胶电器有限公司 一种镜面吸水器
KR102661282B1 (ko) * 2016-10-18 202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123A1 (en) * 2005-08-16 2007-02-22 Jared Bird Vacuum cleaner
CN101909500A (zh) * 2008-01-11 2010-12-08 阿尔弗雷德·凯驰两合公司 硬表面抽吸设备
US20130183141A1 (en) * 2012-01-18 2013-07-18 Foshan Shunde Xinshengyuan Electrical Appliances Co., Ltd. Air mov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57168B (zh) 2020-10-20
US20180103813A1 (en) 2018-04-19
US20200315417A1 (en) 2020-10-08
CN107957168A (zh) 2018-04-24
KR20180042594A (ko) 2018-04-26
US11517162B2 (en)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282B1 (ko)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JP4184421B2 (ja) 手乾燥装置
KR20140033895A (ko) 식기 세척기
JP2010178942A (ja) 手乾燥装置
CN106175595A (zh) 可反向冲洗的空气过滤器
JP2004357820A (ja) 手乾燥装置
JP5909633B2 (ja) 手乾燥装置
US20200375422A1 (en) Wet/dry vacuum device
JP4579196B2 (ja) 手乾燥装置
KR100869822B1 (ko)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JP3704084B2 (ja) 循環水流を用いた水洗式塗装ブース
JP3704083B2 (ja) 2段水流を用いた水洗式塗装ブース
KR20110119605A (ko) 송풍구 개폐장치를 가진 초음파 가습기
KR20180033963A (ko) 비데
KR101446382B1 (ko) 손 건조장치
CN219270810U (zh) 污水箱及洗地装置
KR101268821B1 (ko) 식기 세척기
JPH0128141Y2 (ko)
KR20070105056A (ko) 식기 세척기
JP7451322B2 (ja) 手指の洗浄装置
KR100959699B1 (ko) 세탁물의 오점 제거용 흡입판
KR101932653B1 (ko) 초절수형 양변기
KR20090018287A (ko)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JP2018089105A (ja) 手乾燥装置
JP6475120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