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223B1 -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 - Google Patents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223B1
KR102647223B1 KR1020230174557A KR20230174557A KR102647223B1 KR 102647223 B1 KR102647223 B1 KR 102647223B1 KR 1020230174557 A KR1020230174557 A KR 1020230174557A KR 20230174557 A KR20230174557 A KR 20230174557A KR 102647223 B1 KR102647223 B1 KR 10264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lower plate
griddle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수
황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17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대용량 조리용 인덕션 그리들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탠드 프레임; 스탠드 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인덕션 상판부재에 의하여 폐쇄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방으로 회전개방 가능한 하부판을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장착공간에 하부판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인덕션 코일; 인덕션 코일의 하단의 상기 하부판 상에 설치되고 대응되는 인덕션 코일에 각각 교류전류를 인가하는 복수의 인덕션 회로유닛;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조리판; 및 인덕션 회로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인덕션 그리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Induction Griddle Having Detachable Induction Module}
본 개시는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덕션 그리들 본체 하우징의 하부판이 하단으로 개방되고, 하부판상에 설치된 인덕션 모듈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대용량 조리용 인덕션 그리들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최근 인덕션 방식이 적용된 인덕션 조리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인덕션 조리장치는 철성분이 함유된 조리용기가 인덕션 모듈의 상부에 안착되면, 인덕션 모듈이 전기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여 조리용기의 저항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가스렌지 등과 같은 전통적인 가열수단에 비하여 환경오염이 적고 연료비가 적게소요되며, 높은 열효율로 인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고, 조리시간 및 온도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인덕션 조리기기의 상술한 장점으로 인하여, 대량의 음식을 조리하여야 하는 대량급식 현장에서 이용되는 대량급식용 조리장치에 인덕션 방식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대형 식당이나, 군부대, 학교, 공장 등의 구내식당 등과 같은 대량급식 현장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대용량 조리용 인덕션 그리들은 부침요리 등을 위한 대형의 조리판이 본체의 상단에 구비된 인덕션 상판부재 위에 안착되고, 조리판 하단의 본체 내부에 인덕션 코일 및 인덕션 회로유닛 등이 설치되어 상부의 조리판을 유도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대형의 조리판을 골고루 가열하기 위하여 본체 내부에는 복수의 인덕션 코일이 나란히 배치되어 하나의 인덕션 그리들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복수의 인덕션 코일 및 그 회로유닛 등을 본체에 내장하여 하나의 인덕션 그리들을 구성하는 경우, 하나의 인덕션 코일이나 회로유닛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인덕션 코일이나 회로유닛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전체 인덕션 그리들을 분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용량 조리용 인덕션 그리들은 고중량 및 큰 크기를 갖는 조리판이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고 그 조리판 상에서 기름 등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조리 중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조리판을 들어내고 하단의 본체를 분리하기는 불가능하므로 인덕션 그리들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인덕션 그리들 사용자의 다양한 불편을 야기하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인덕션 그리들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덕션 그리들의 본체 하우징의 하부판이 하방으로 회전개방되고, 개방된 하부판으로부터 인덕션 코일 각각에 대한 인덕션 회로유닛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탈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덕션 그리들의 본체 하우징 내부의 장착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는 에어커튼이 형성되고, 이러한 에어커튼에 의하여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유로 및 제2 유로가 상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탠드 프레임; 상기 스탠드 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인덕션 상판부재에 의하여 폐쇄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방으로 회전개방 가능한 하부판을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하부판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인덕션 코일; 상기 인덕션 코일의 하단의 상기 하부판 상에 설치되고 대응되는 인덕션 코일에 각각 교류전류를 인가하는 복수의 인덕션 회로유닛;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조리판; 및 상기 인덕션 회로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인덕션 그리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덕션 그리들의 하방으로 회전개방 가능한 하부판 및 인덕션 회로유닛의 슬라이딩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본체 하우징 내부에 내장된 인덕션 코일 및 인덕션 회로유닛을 용이하게 수리 및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덕션 그리들 본체 하우징 내부에 형성한 에어커튼층에 의하여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유로 및 제2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열기에 의한 인덕션 회로유닛의 고장을 예방하고 내구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그리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덕션 그리들의 인덕션 회로유닛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덕션 그리들의 하부판을 회전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판이 회전개방된 인덕션 그리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덕션 그리들의 하부판을 회전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의 인덕션 회로유닛이 슬라이딩되어 탈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본체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에서 하부판 개폐레버의 멈춤돌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하부판 개폐레버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덕션 그리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덕션 그리들에서 인덕션 회로유닛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해당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덕션 그리들(100)은 조리시 작업자에게 적절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한 스탠드 프레임(140)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1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인덕션의 가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30)이 구비되며,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부침요리 등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판이 설치된다.
인덕션 그리들(100)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요리는 다량의 기름이 이용되므로, 조리판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또는 물 등이 흘러내려 고이도록 상부로 개방되는 홈의 형태를 갖는 기름받이부(112)가 형성된다. 기름받이부(112) 양단의 하부에는 제어패널(130)의 양 측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랍 형태의 기름받이통(132)이 구비된다. 기름받이부(112)에 고이는 기름은 기름받이부(112) 양단에 하단으로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기름받이통(132)에 모이게 되며, 사용자는 기름받이통(132)만을 본체 하우징(110)에서 분리하여 그 내부에 모인 폐기름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인덕션 그리들(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리판 위에 조리판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조리판 커버(101)를 덮어둠으로써, 조리판을 먼지 등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인덕션 그리들(10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인덕션 그리들(100)의 스탠드 프레임(140)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인덕션 코일(104) 및 인덕션 회로유닛(120) 등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본체 하우징(110)의 저면을 이루는 하부판(111) 상에는 하부판(111)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인덕션 코일(104)이 구비되며, 인덕션 코일(104) 각각의 하부 공간, 즉, 인덕션 코일(104)과 하부판(111)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해당 인덕션 코일에 교류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인덕션 회로유닛(120)이 설치된다.
인덕션 회로유닛(120)은 하부판(111)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21)가 구비되고, 인덕션 코일(104)에 교류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교류전원장치(124), 제어회로(123) 및 온도센서(122)가 베이스 플레이트(121) 상에 고정 결합되어 일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어느 하나의 인덕션 코일(104)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회로 및 장치 유닛은 각각 일체의 인덕션 회로유닛(120)으로 구성되어 해당 인덕션 코일(104)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인덕션 회로유닛(120)은 하부판(111)과 수평인 상태로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착탈 가능하도록, 하부판(111)에 고정된 슬라이드 결합부재(115)에 의하여 하부판(111)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결합부재(115)는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양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드 프레임이 고정 결합되고, 슬라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의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양 측면의 가장자리 상부와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양 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부의 모서리가 가이드롤러 중앙의 홈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21) 양 측면의 가이드레일은 가이드롤러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21)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가이드레일이 가이드롤러로부터 이탈되는 지점까지 베이스 플레이트(121)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인덕션 회로유닛(120)은 하부판(1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하부판(111)은 하방으로 회전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판(111)은 본체 하우징(110)의 후측면과 접하는 하부판(111)의 후단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본체 하우징(110)의 하방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며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판(111)의 후단부를 따라 본체 하우징(110)의 후측면에 결합되어 절첩되는 복수의 경첩 부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부판(111)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판(111) 후단부 양 측면과 본체 하우징(110)의 후면 사이에 결합된 힌지 결합체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부판(111)을 회전 개방하면, 하부판(111) 상에 설치된 복수의 인덕션 코일(104) 및 복수의 인덕션 회로유닛(120)은 하부판(111)에 결합된 채로 함께 회전되어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복수의 인덕션 회로유닛(120)은 하부판(111)과 평행하도록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하부판(111)이 하단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인덕션 회로유닛(12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하부판(111)으로부터 인덕션 회로유닛(120)을 장탈할 수 있게 된다. 즉, 인덕션 그리들(100)은 하방으로 회전개방되는 하부판(111)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인덕션 회로유닛(120)의 구조를 이용하여, 필요시 인덕션 그리들(100)로부터 인덕션 회로유닛(120) 등과 같은 인덕션 모듈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의 인덕션 코일(104) 상부에는 인덕션 상판부재(103)가 결합된다. 여기서, 인덕션 상판부재(103)는 세라믹 또는 내열유리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122)가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복수의 관통구가 인덕션 상판부재(103)에 형성될 수 있다.
인덕션 상판부재(103)의 상부면에는 조리판(102)이 안착되며, 조리판(102)은 그 하단의 인덕션 코일(104)에 의하여 유도가열된다. 이때, 온도센서(122)는 각각 조리판(102) 하단에 접촉되어, 조리판(102)의 가열 온도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100)은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에어커튼에 의하여 상하로 분리된 열기 배출유로를 형성하고, 각각의 유로를 통하여 열기를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1) 전단부에 하방으로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중단부에는 하방으로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하부판(111)에도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다. 즉, 인덕션 회로유닛(120)이 안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는 그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하부판(111)의 개구부를 통하여 본체 하우징(110)의 외부와 연통되고, 외기의 유입경로를 제공한다.
제1 송풍팬(125)은 대략 그 상단의 인덕션 코일(104)을 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1)와 경사각을 이루며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송풍팬은 제2 개구부의 상단에 베이스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2 송풍팬은 제어회로(123)의 방열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DC 냉각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풍팬은 제2 송풍팬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며, 이때, 제1 송풍팬은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인덕션 코일(104) 쪽을 향하여 토출하여 본체 하우징(110) 내부의 장착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는 에어커튼을 형성 할 수 있다. 즉, 제1 송풍팬에 의한 빠른 속도의 외기 흐름이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 상단을 따라 수평면 형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하며, 에어커튼을 기준으로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는 상하로 열기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가 각각 형성된다.
인덕션 그리들(100)의 조리과정에서 가열된 조리판(102)으로부터 상당한 양의 열기가 본체 하우징(110) 내부로 전달되며 인덕션 코일(104) 자체로부터도 열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인덕션 회로유닛(120)을 구성하는 다양한 소자들이 이러한 열기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오작동이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100)은 이러한 열기가 인덕션 회로유닛(120)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공간에는 가열된 조리판(102) 및 인덕션 코일(104)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에어커튼에 의하여 하부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에어커튼에 의하여 정의된 제1 유로를 통하여 본체 하우징(110)의 후방 배출구로 배출된다. 여기서, 후방 배출구는 본체 하우징(110) 후면 상단을 따라 수평의 장공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 하우징(110)의 하부공간에서는 인덕션 회로유닛(120)의 다양한 소자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에어커튼에 의하여 상부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곧바로 제2 송풍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유로를 따라 본체 하우징(110)의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 하우징(110)의 후방에는 후방 배출팬(112)이 구비되며, 제2 송풍팬과 함께 제2 유로를 형성한다. 제2 송풍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외기는 인덕션 회로유닛(12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와 함께 제2 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하방으로 회전개방되는 인덕션 그리들의 하부판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덕션 그리들의 하부판을 회전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판이 회전개방된 인덕션 그리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덕션 그리들의 하부판을 회전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인덕션 그리들의 하부판(111)은 본체 하우징의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판(111)의 후단부는 본체 하우징의 후면과 접하는 스탠드 프레임(140)의 수평 프레임을 따라 경첩 부재(114)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하부판(111)을 회전 개방하면, 하부판(111)은 후단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하방으로 열린 형태가 된다. 여기서, 하부판(111) 상에 설치된 복수의 인덕션 코일(104)뿐만 아니라 그 하단의 인덕션 회로유닛은 하부판(111)과 연동 회전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즉, 인덕션 그리들의 인덕션 코일(104)이나 인덕션 회로유닛에 고장이 발생하여 수리 또는 교체를 하여야 하는 경우, 인덕션 그리들을 전체적으로 분해하지 않고, 하부판(111)만을 개방하고, 인덕션 그리들의 하단부에서 인덕션 코일(104)이나 인덕션 회로유닛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의 하부판(111)은 상부의 조리판(102)이 안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그리들의 동작 중에도 곧바로 인덕션 코일(104)이나 인덕션 회로유닛에 대한 점검이나 수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리판(102)의 상부면에 조리중인 음식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하부판(111)만을 하방으로 개방하고 고장이 발생한 인덕션 코일이나 인덕션 회로유닛을 미리 준비된 대체 인덕션 코일이나 인덕션 회로유닛으로 즉시 교체함으로써 일시 중단된 조리과정을 속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은 복수의 인덕션 코일에 대응되는 복수의 부분 하부판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인덕션 그리들은 제1 부분 하부판(111a), 제2 부분 하부판(111b) 및 제3 부분 하부판(111c)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부분 하부판 상에는 대응되는 인덕션 코일 및 인덕션 회로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부분 하부판(111a), 제2 부분 하부판(111b) 및 제3 부분 하부판(111c)은 각각 본체 하우징의 후면과 접하는 스탠드 프레임(140)의 수평 프레임을 따라 경첩 부재(114)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부분 하부판은 개별적으로 본체 하우징의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제1 부분 하부판(111a), 제2 부분 하부판(111b) 및 제3 부분 하부판(111c)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분 하부판만을 개방하고, 해당 하부판에서의 인덕션 코일 및 인덕션 회로유닛을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 하부판(111a), 제2 부분 하부판(111b) 및 제3 부분 하부판(111c) 중에서 제2 부분 하부판(111b)에 대응되는 조리판 상에서의 중단부 영역에서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제1 부분 하부판(111a) 및 제3 부분 하부판(111c)에 설치된 인덕션 코일 및 인덕션 회로유닛을 정상 가동시킨 상태에서 제2 부분 하부판(111b)만을 개방하고 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부분 하부판(111b)의 인덕션 코일 및 인덕션 회로유닛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제2 부분 하부판(111b)을 다시 회전시켜 수평상태로 거치시키고 정상 가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의 인덕션 회로유닛이 슬라이딩되어 탈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방으로 회전 개방 가능한 하부판(111) 상에, 3 개의 인덕션 코일 각각에 교류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제1 인덕션 회로유닛(120a), 제2 인덕션 회로유닛(120b) 및 제3 인덕션 회로유닛(120c)이 구비된다. 여기서, 각각의 인덕션 회로유닛(120a, 120b, 120c)은, 하부판(111)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1a, 121b, 121c)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21a, 121b, 121c)는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착탈 가능하도록, 하부판(111) 상에 고정된 슬라이드 결합부재(115a, 115b, 115c)에 각각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인덕션 회로유닛(120a)은 하부판(111) 상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21a)의 좌우 측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부는 제1 슬라이드 결합부재(115a)의 좌우측 가이드롤러의 하단에 각각 결합지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인덕션 회로유닛(120a)의 전방 및 후방 측면에 대응되는 하부판(111) 상의 위치에는 제1 인덕션 회로유닛(120a)이 임의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지지 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전히 안착된 상태에서의 제1 인덕션 회로유닛(120a)의 후방 측면에 대응되는 하부판(111) 상의 위치에는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며, 제1 인덕션 회로유닛(120a)의 전방 측면에 대응되는 하부판(111) 상의 위치에는 상하로 출몰 가능한 멈춤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덕션 회로유닛(120b)은 하부판(111) 상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b)에 전방으로 작용하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예를 들면, 하부판(111)이 수평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b)를 전방으로 당기거나, 또는 하부판(111)이 하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2 인덕션 회로유닛(120b)의 자중에 의하여 하부판(111)의 전방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1b)는 제2 슬라이드 결합부재(115b)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직선 경로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3 인덕션 회로유닛(120c)은 하부판(111)으로부터 완전하게 장탈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3 베이스 플레이트(121c)의 좌우 측면 가이드레일부가 제3 슬라이드 결합부재(115c)로부터 이탈될 때까지, 제3 인덕션 회로유닛(120c)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제3 인덕션 회로유닛(120c)은 하부판(111)으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제3 인덕션 회로유닛(120c)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분리된 제3 인덕션 회로유닛(120c)만을 인덕션 그리들과 별도의 위치로 이전하여 수리하거나, 제3 인덕션 회로유닛(120c)이 설치되었던 자리에 미리 준비한 대체 인덕션 회로유닛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본체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 하우징의 저면에는 각각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개구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21) 및 하부판(111)을 모두 관통하여 본체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제1 송풍팬(125)이 인덕션 코일(104)을 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1)와 경사각을 이루며 설치되어,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인덕션 코일(104)을 향하여 토출시켜 인덕션 코일(104)의 높이 주변에 에어커튼 층을 형성한다. 한편, 제2 개구부의 상단에는 제2 송풍팬(127)이 설치되어, 제2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인덕션 회로유닛 주변, 예를 들면, 제어회로(123)의 냉각을 위한 히트파이프를 향하여 토출시킨다. 여기서, 제1 송풍팬(125)은 제2 송풍팬(127)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며 외기를 토출한다.
에어커튼 층이 형성됨으로써, 본체 하우징 내부공간은 에어커튼 층을 기준으로 상부공간층과 하부공간층, 두 개의 층으로 열적으로 격리된다. 즉, 조리판 및 인덕션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은 에어커튼 층 및 그 이상의 높이 영역인 상부공간층 내에서만 순환되며, 인덕션 회로유닛 등에서 발생하는 열은 에어커튼 층 하단의 하부공간층 내에서만 순환된다.
결과적으로, 제1 송풍팬(125)에 의한 제1 외기 흐름은 상단의 에어커튼 층 또는 제1 유로(10)를 형성하게 되고, 제2 송풍팬(127)에 의한 제2 외기 흐름은 하단의 제2 유로(2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외기 흐름은 에어커튼 층뿐만 아니라, 제1 유로(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대적으로 고속의 제1 송풍팬(125)에 의한 제1 외기 흐름은 조리판(102) 및 인덕션 코일(104)에서 발생한 열기가 하단부의 인덕션 회로유닛 등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는 측면에서는 에어커튼 층으로 볼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그 열기가 후방 배출구(11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는 관점에서는 제1 유로(10)로 볼 수 있다.
한편, 제2 송풍팬에 의한 제2 외기 흐름은 에어커튼 층으로부터 격리되어 본체 하우징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유로(20)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제2 유로(20)는 제2 송풍팬(127) 및 후방 배출팬(113)에 의하여 형성된 열기배출 경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된 외기는 인덕션 회로유닛의 열기를 흡수하여 후방 배출팬(113)을 향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그 과정에서 인덕션 회로유닛을 구성하는 다양한 소자 등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에서 하부판 개폐레버의 멈춤돌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은 인덕션 회로유닛의 베이스 플레이트(121) 전방 단부에 대응되는 하부판(111) 상의 위치에 형성된 멈춤돌기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멈춤돌기부(151)는 상하로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판(111)의 회전개방 전, 즉, 평행상태로 안착된 상태에서는 멈춤돌기부(151)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하부판(111)을 회전개방하는 중에는 멈춤돌기부(151)가 돌출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지 않도록 멈춤지지하게 된다.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축의 역할을 수행하는 하부판(111)의 후방측 단부와 달리, 하부판(111)의 전방측 단부는 하부판(111)의 개폐 여부에 따라 스탠드 프레임에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되어야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그리들에는 하부판(111)의 전방측 단부의 저면에 미리 설정된 각도 구간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개폐레버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개폐레버를 회전 조작함에 따라, 하부판(111)은 스탠드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여기서, 개폐레버는 하부판(111)의 개폐 여부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21)를 선택적으로 멈춤 지지할 수 있는 멈춤돌기부(151)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부판(111)은 회전 개방됨에 따라 전방으로 점차 기울어지게 되며, 하부판(111)의 기울기가 커질수록 하부판(111) 위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21)는 자중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게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거나 나아가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멈춤돌기부(151)는 개폐레버가 열림 상태이면 하부판(111)의 상부로 돌출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1)를 멈춤지지하게 된다.
도 8은 도 7의 하부판 개폐레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판 개폐레버는 하부판(111)의 단부 저면에 형성되는 축베어링과 같은 축회전 부재(152)에 결합되어 하부판(111)과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두 지점간의 구간을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빗장편(154a, 154b)과 조작레버(L)를 포함한다. 빗장편(154a, 154b)과 조작레버(L)는 회전축과 수직인 어느 하나의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레버(L)를 회전시킨 각도만큼 빗장편(154a, 154b)도 동일하게 회전된다.
빗장편(154a, 154b)과 조작레버(L)가 회전하는 미리 설정된 두 지점은 회전축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동일한 거리를 갖는 스탠드 프레임(140) 방향의 일 지점과, 그 반대방향인 하부판(111)의 후면 방향의 다른 하나의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빗장편(154a, 154b)과 조작레버(L)는 회전축으로부터 두 지점이 이루는 각도구간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동일한 거리는 회전축으로부터 빗장편(154a, 154b)의 단부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판(111) 전방 방향에 대응되는 스탠드 프레임(140) 저면의 일 지점에는 빗장편이 걸림지지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하부판 지지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 지지부(141)의 걸림홈에 빗장편(154a)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면, 하부판(111)은 수평으로 지지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탠드 프레임(140) 방향의 일 지점은 하부판 지지부(141)가 위치한 지점일 수 있으며, 빗장편(154a)과 조작레버(L)가 하부판 지지부가 위치한 지점을 향할 때를 하부판 개폐레버의 닫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빗장편(154a)과 조작레버(L)의 정반대 방향의 하부판(111)에는 하부판(111)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멈춤돌기부(151a, 151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멈춤돌기부(151a, 151b)는 완전히 안착된 상태의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전방 단부와 인접한 지점의 하부판(111) 내부에 상하로 형성된 멈춤돌기 가이드(153) 내부에 위치하며, 멈춤돌기 가이드(153)에 의하여 상하이동이 가이드 된다.
상기 하부판(111)의 후면 방향의 다른 하나의 지점은 멈춤돌기부(151a, 151b)가 위치한 일 지점일 수 있다. 빗장편(154b)과 조작레버(L)가 멈춤돌기부(151a, 151b)의 하부 지점으로 회전이동하면, 하부판(111)의 저면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태의 멈춤돌기부(151b)의 하단부가 빗장편(154b)에 접촉되며 밀어올려진다. 따라서, 멈춤돌기부(151b)는 빗장편(154b)에 의하여 멈춤돌기 가이드(153)를 따라 상승하며, 멈춤돌기부(151b)의 상단부는 하부판(111)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빗장편(154b)과 조작레버(L)가 멈춤돌기부(151b)가 위치한 지점을 향할 때를 하부판 개폐레버의 열림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하부판(111)이 개방되기 전, 즉, 개폐레버가 닫힘 모드일 때, 빗장편(154a) 과 조작레버(L)는 스탠드 프레임(140) 저면을 향하고 있으며, 빗장편(154a)은 하부판 지지부(141)의 걸림홈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후, 인덕션 코일 또는 인덕션 회로유닛(120)의 고장 등으로 하부판(111)을 회전 개방하여야 할 경우, 사용자는 조작레버(L)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림 모드로 조작하게 되며, 하부판 지지부(141)의 걸림홈에 걸려있던 빗장편(154a)과 조작레버(L)는 멈춤돌기부(151b) 하단의 하부판(111) 저면을 향하여 회전한다. 여기서, 빗장편(154b)에 의하여 멈춤돌기부(151b)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져 돌출되고, 인덕션 회로유닛이 현재 위치에서 더 이상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전단부를 멈춤지지한다.
사용자가 회전개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기울어진 하부판(111)으로부터 인덕션 회로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장탈하고자 할 경우, 다시 조작레버(L)를 닫힘 모드 방향으로 조작한다. 이 경우, 빗장편(154b)은 더 이상 멈춤돌기부(151b)를 하단으로부터 밀어올리지 않게 되므로, 멈춤돌기부(151b)는 다시 멈춤돌기 가이드(153)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멈춤돌기부(151a)는 더 이상 하부판(111) 상면에 돌출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1)는 어떠한 장애물 없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지며, 사용자는 인덕션 회로유닛을 하부판(111)으로부터 분리 장탈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하부판 개폐레버를 이용하여 하부판(111)을 회전 개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덕션 회로유닛의 슬라이딩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판(111)의 개방시, 인덕션 회로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유로 20: 제2 유로
100: 인덕션 그리들 101: 조리판 커버
102: 조리판 103: 인덕션 상판부재
104: 인덕션 코일 110: 본체 하우징
111: 하부판 112: 전원부
113: 후방 배출팬 114: 경첩 부재
115: 슬라이드 결합부재 117: 후방 배출구
120: 인덕션 회로유닛 121: 베이스 플레이트
122: 온도센서 123: 제어회로
124: 교류전원장치 125: 제1 송풍팬
127: 제2 송풍팬 130: 제어패널
140: 스탠드 프레임 151: 멈춤돌기부
152: 축회전 부재 153: 멈춤돌기 가이드
154: 빗장편 L: 레버

Claims (10)

  1. 스탠드 프레임;
    상기 스탠드 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인덕션 상판부재에 의하여 폐쇄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방으로 회전개방 가능한 하부판을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하부판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인덕션 코일;
    상기 인덕션 코일의 하단의 상기 하부판 상에 설치되고 대응되는 인덕션 코일에 각각 교류전류를 인가하는 복수의 인덕션 회로유닛;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조리판; 및
    상기 인덕션 회로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인덕션 코일에 교류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교류전원장치, 제어회로 및 온도측정센서가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 결합된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과 수평인 상태로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판 상에 고정된 슬라이드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부판에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판 상의 위치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방향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측면의 가장자리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판상의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 및 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1 송풍팬이 상기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상기 인덕션 코일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경사각을 이루며 설치되며, 제2 송풍팬이 상기 제2 개구부의 상단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인덕션 그리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측면과 접하는 후단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판을 회전 개방하면 상기 하부판 상에 설치된 복수의 인덕션 코일 및 상기 복수의 인덕션 회로유닛이 상기 하부판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인덕션 그리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상기 복수의 인덕션 코일에 대응되는 복수의 부분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 하부판은 각각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측면과 접하는 단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과 결합되는
    인덕션 그리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팬은,
    상기 제2 송풍팬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인덕션 코일을 향하여 토출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의 장착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는 에어커튼층을 형성하는
    인덕션 그리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에는,
    상기 조리판 및 상기 인덕션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에는,
    상기 제2 송풍팬에 의하여 인덕션 회로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인덕션 그리들.
KR1020230174557A 2023-12-05 2023-12-05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 KR10264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557A KR102647223B1 (ko) 2023-12-05 2023-12-05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557A KR102647223B1 (ko) 2023-12-05 2023-12-05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223B1 true KR102647223B1 (ko) 2024-03-14

Family

ID=9024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4557A KR102647223B1 (ko) 2023-12-05 2023-12-05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2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381Y1 (ko) * 2004-06-24 2004-09-13 유길상 인덕션 낮은 렌지
KR102223927B1 (ko) * 2020-08-28 2021-03-05 화신주방산업(주)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KR102405444B1 (ko) * 2022-02-23 2022-06-07 주식회사 네오오토 캠핑카용 벽장 직립 수납식 조리대장치
KR102544526B1 (ko) * 2023-02-23 2023-06-16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부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381Y1 (ko) * 2004-06-24 2004-09-13 유길상 인덕션 낮은 렌지
KR102223927B1 (ko) * 2020-08-28 2021-03-05 화신주방산업(주)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KR102405444B1 (ko) * 2022-02-23 2022-06-07 주식회사 네오오토 캠핑카용 벽장 직립 수납식 조리대장치
KR102544526B1 (ko) * 2023-02-23 2023-06-16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부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3675B (zh) 一种烹调设备
KR100734361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EP1731843B1 (en) Oven
EP3633270B1 (en) Cooking apparatus
US11234556B2 (en) Cooking apparatus
KR102647223B1 (ko) 착탈가능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인덕션 그리들
EP3680555B1 (en) Cooking appliance
EP1444933A1 (en) Cooking apparatus
JP2005180905A (ja) 電気オーブンのドア冷却構造体
US10667647B2 (en) Outdoor collapsible convection oven
US20040154609A1 (en) Cooking apparatus
US20210310666A1 (en) Cooktop system and fume extraction device for the downward extraction of cooking fumes
WO2013021905A1 (ja) 加熱調理器
KR102633024B1 (ko) 인덕션 다단 취반기
JP5014291B2 (ja) グリル装置
EP3067620B1 (en) Self-cleaning brazier for heating apparatus
EP1444935A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ng unit
KR20070037175A (ko) 단열 기능이 보장된 전기 레인지
KR200477159Y1 (ko) 유수분리식 튀김기
CN110360562A (zh) 燃气灶具
US20220357106A1 (en) Safety locking mechanism for a multi-pane door assembly of an oven appliance
JP3141555U (ja) 電気調理器の筐体
KR102665619B1 (ko) 전기가열방식을 이용한 다기능 조리솥
KR20180028856A (ko) 도어 및 이를 갖는 오븐
KR101623600B1 (ko) 야외용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