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461B1 - 포켓을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포켓을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461B1
KR102645461B1 KR1020230072834A KR20230072834A KR102645461B1 KR 102645461 B1 KR102645461 B1 KR 102645461B1 KR 1020230072834 A KR1020230072834 A KR 1020230072834A KR 20230072834 A KR20230072834 A KR 20230072834A KR 102645461 B1 KR102645461 B1 KR 10264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old
lines
weigh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근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KR102023007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07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inwardly protruding of folded part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3Integral reinforcements, e.g. folds,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켓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분리하여 담을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상기 바닥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포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켓을 구비한 용기{CONTAINER WITH POCKET}
본 발명은 포켓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분리하여 담을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장 또는 놀이공원 등의 매점이나 패스트푸드 전문점에서는 식사시간을 많이 할애할 수 없는 바쁜 사람들이나 학생, 어린이 등이 치킨이나 감자튀김 등의 음식물을 간편하게 담아 취식하도록 하기 위해 종이용기 등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0354144호(이하 종래기술)는 상기한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는 덮개가 달린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의 하부가 일회용 종이컵 형태로 밀봉되어 있으면서 종이용기를 형성하는 종이재의 내면에 비닐지가 코팅되어 있고, 상부 덮개는 겹쳐져서 봉해지는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되어서, 떡볶이와 같이 양념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담았을 때도 국물이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종이용기에 담겨지는 음식물의 량이 종이용기의 크기보다 다소 많이 담길 때에도 겹쳐져 끼워지는 제1,제2고정덮개의 끼워지는 길이를 조정하여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치킨이나 감자튀김 등의 음식물과 이에 곁들여서 먹도록 제공되는 케첩 또는 소스를 별도의 용기에 포장함으로써, 양손에 들고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취식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킨이나 감자튀김 등의 음식물과 상기한 음식물과 곁들여서 먹는 소스 등을 함께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한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포켓을 구비한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바닥,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상기 바닥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포켓;을 포함한다.
또한 전개도를 기준으로, 상기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 상단에 연결된 비부착부; 상기 비부착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비부착부와 상기 측면부를 연결하는 제1절취선; 및 제1접이선을 매개로 상기 측면부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비부착부를 감싸고, 상기 측면부의 내면과 부착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측면부와 상기 비부착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와 상기 비부착부는 제2접이선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1절취선은 하측으로 만곡된 아치형일 수 있다.
또한 전개도를 기준으로 상기 부착부가 접혀지도록 형성되고, 측면부가 접혀지도록 형성된 측면접힘선과 평행하고, 상기 측면접힘선의 단부에서 측면접힘선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과 연결되는 세로접힘선;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치킨이나 감자튀김 등의 음식물과 상기한 음식물과 곁들여서 먹는 소스 등을 함께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전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전개도를 접어 포켓을 구비한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한 용기(P)는 음식물과 상기 음식물에 곁들여 먹을 수 있는 소스 등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용기’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용기(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한 용기(P))는 본체(P1), 및 포켓(P2)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용기의 구성을 전개도가 접어진 상태(도 1 및 도 5 참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P1)는 바닥(P12), 측면(P13), 및 상기 측면(P13)과 상기 바닥(P12)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공간(P11)을 포함한다.
상기한 내측공간(P11)은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이며, 후술하는 포켓(P2)이 배치되는 공간이다.
바닥(P12)는 도 2 내지 도 4, 또는 도 6의 도시된 전개도가 접어진 상태를 기준(도 1 및 도 5 참조)으로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측면(P13)은 바닥(P12)에서 상측으로 또는 상향 경사지에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닥(P12)과 측면(P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P1)의 내측공간(P11)을 형성한다.
포켓(P2)은 상기 측면(P13)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내측공간(P11)에 배치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포켓(P2)는 후술하는 측면부(2)에 연결되고 내측공간(P11)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비부착부(3)와 측면부(2)(또는 측면(P13))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포켓(P2)은 마찬가지로 전개도가 접어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측이 개구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등과 곁들어 먹을 수 있는 소스와 같은 것들이 수용될 수 있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용기는 포켓(P2)을 포함함으로써, 분리돼서 담아야 하는 것들을 동시에 담을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과 연결되어 있어 본체(P1)와 연결하기 위한 공정 또한 필요치 않다는 이점이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전개도를 접어 포켓을 구비한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한 용기(P)(이하 ‘본 제1용기’이라 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제1용기(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한 용기(P))를 전개도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제1용기는 전개도를 기준으로 상기 측면(P13)을 구성하는 측면부(2) 상단에 연결된 비부착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개도가 접어졌을 때 측면(P13)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P12)을 구성하는 전개도 상의 바닥부(1)와 전개도에서 접이선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전개도를 기준으로 도 2와 같이 상기 바닥부(1)는 측면부(2)의 하측에 연결되거나, 도 3 및 도 4와 같이 바닥부(1)의 둘레를 따라 측면부(2)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측(하부, 하단 등)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전개도를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단 등)을 의미하고, 상측(상부, 상단 등)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전개도를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전개도는 상기 바닥부(1)와 측면부(2) 사이에 구비되는 접이선에서 접어지고, 측면부(2)는 후술하는 측면접힘선(9)에 의해 접어져 도 7a와 같이 본체(P1)를 구성할 수 있다. 전개도에서 바닥부(1)와 측면부(2)를 접어 상기한 본체(P1)를 구성하는 것은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제1용기는 상기 비부착부(3)와 상기 측면부(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비부착부(3)와 상기 측면부(2)를 연결하는 제1절취선(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용기는 제1접이선(6)을 매개로 상기 측면부(2)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비부착부(3)를 감싸고 상기 측면부(2)의 내면과 부착되는 부착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비부착부(3)는 상기한 측면부(2)와 부착이 되지 않는 것이고, 부착부(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부(2)의 내면과 부착된다. 여기에서 내면이란 도 2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저면을 의미하며, 반대로 외면은 평면을 의미한다.
부착부(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에 의해 측면부(2)와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비부착부(3)와 측면부(2)은 전개도에서 제1절취선(4)을 매개로 연결되는데, 상기한 제1절취선(4)을 전개도를 접는 과정 또는 그 이전에 절취되는 부분이다.
상술하였듯이 상기한 부착부(5)는 상기한 측면부(2) 상단에 연결된다고 하였는데, 측면부(2)와 부착부(5) 사이에는 제1접이선(6)이 구비되고, 따라서 부착부(5)와 측면부(2)는 제1접이선(6)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제1접이선(6)은 비부착부(3)를 기준으로 좌우측 각각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는 전개도를 기준으로 이웃하는 측면부(2)들 중 좌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한 쌍의 제1접이선(6) 중 좌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좌측단과 연결되는 제1절개선(5a), 이웃하는 측면부(2)들 중 우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한 쌍의 제1접이선(6) 중 우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우측단과 연결되는 제2절개선(5b), 상기 제1절개선(5a)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우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선(5c), 상기 제2절개선(5b)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좌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선(5d), 및 상기 제1경사선(5c)의 상단과 상기 제2경사선(5d)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세로접힘선(8)의 상단과 연결하는 수평절개선(5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한 쌍의 제1접이선(6), 제1절개선(5a), 제1경사선(5c), 수평절개선(5e), 제2경사선(5d), 제2절개선(5b), 제1대각접이선(71), 및 상기 제2대각접이선(72)에 의해 형성되는 면 형상체일 수 있다. 상기 제1경사선(5c) 및 상기 제2경사선(5d)는 상기 부착부(5)의 꼭지점 부분이 모따기 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절취선(4)의 좌측단은 한 쌍의 제1접이선(6) 중 좌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우측단 및 상기 제1대각접이선(71)의 하단과 동시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절취선(4)의 우측단은 한 쌍의 제1접이선(6) 중 우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좌측단과 상 및 제2대각접이선(72)의 하단과 동시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부착부(5)는 전개도에서 상기 비부착부(3)를 감싼다고 하였는데, 비부착부(3)에서 제1절취선(4)과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부착부(5)와 비부착부(3)는 제2접이선(7)을 매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전개도를 접는 과정에서 제1절취선(4)은 절취된 상태이고, 부착부(5)는 제1접이선(6)에 의해 접어져 부착부(5)와 상기 부착부(5)와 연결된 비부착부(3)은 도 7b와 같이 내측공간(P11)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7c와 같이, 비부착부(3)를 둘러싸는 부착부(5)가 측면부(2)(또는 측면(P13)에 부착되고, 비부착부(3)는 반대로 측면부(2)와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비부착부(3)와 측면부(2)(또는 측면(P13))에 의해 상기한 포켓(P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제1용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단순히 접고 절취하는 동작만으로 포켓(P2)이 구비되는 본 제1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비부착부(3)가 부착부(5)를 둘러싸므로, 포켓(P2)에서 소스와 같은 내용물이 비부착부(3)와 측면(P13)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비부착부(3)와 부착부(5)를 상호 연결하되 비부착부(3)와 부착부(5)가 접어지도록 하는 제2접이선(7)에 의해 비부착부(3)가 부착부(5)를 이동시켜 비부착부(3)가 측면부(2)(또는 측면(P13))에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한 제2접이선(7)은 하단이 상기 제1절취선(4) 좌측단에 연결되고 우측으로 상향 경사진 제1대각접이선(71), 및 하단이 상기 제1절취선(4) 우측단에 연결되고 좌측으로 상향 경사지며, 상단이 상기 제1대각접이선 상단에 연결되는 제2대각접이선(7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좌측(좌측단 등)은 도 2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좌측(좌측단 등)을 의미하고, 우측(우측단 등)은 도 2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우측(우측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이때 제1절취선(4)는 하측으로 만곡된 아치형일 수 있는데, 전개도를 기준으로 따라서 비부착부(3)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1절취선(4)이 하측으로 만곡된 아치형 이어서, 전개도에서 비부착부(3)는 하측으로 볼록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비부착부(3)와 연결된 부착부(5)가 제1접이선(6)에 의해 접어져 도 1 및 도 7a와 같이 비부착부(3)가 내측공간(P11)에 배치됐을 때는 반대로 비부착부(3)가 상측으로 볼록한 상태가 되므로 포켓(P2)의 상하 높이를 보다 크게 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양의 내용물을 포켓(P2)에 수용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개도를 기준으로 본 제1용기는 부착부(5)가 접혀지도록 형성되는 세로접힘선(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세로접힘선(8)은 전개도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세로접힘선(8)은 본 제1용기의 측면부(2)가 접혀지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측면접힘선(9)과 평행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측면접힘선(9) 중 어느 하나의 단부(상단)에서 측면접힘선(9)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9a)과 상기한 세로접힘선(8)의 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부착부(5)은 제1접이선(6)에 의해 접혀져, 측면부(2)의 내면에 부착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접힘선(8)이 다수의 측면접힘선(9)과 평행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연장선(9a)과 연결되므로, 부착부(5)가 접혀진 상태에서 도 7c와 같이 세로접힘선(8)이 다수의 측면접힘선(9) 중 어느 하나와 접하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착부(5)가 들뜨지 않고 보다 많은 면적이 측면부(2)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부착부(5)와 측면부(2)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포켓(P2)에 수용된 내용물이 비부착부(3)와 측면부(2)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부착부(5)의 꼭지점 부분(51)은 모따기(Chamfering) 되어 있는 형상일 수 있다.
부착부(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부(2)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꼭지점 부분(51)이 모따기 되어 모서리와 같은 첨예한 부분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에서부터 박리되어 측면부(2)에 부착된 부착부(5)가 측면부(2)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제1용기는 전개도를 접었을 때 기준으로, 측면(P13) 상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절취선(101), 및 한 쌍의 수직절취선(101)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절취선(102)을 포함하는 홈절취선(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홈절취선(10)은 반칼 작업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P13)은 다수의 측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도 1에서는 바닥(P12)이 사각형 형상이어서 총 4개의 측면판이 구비되어 있다). 다수의 측면판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측면판은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측면(P13)은 4개의 모서리와 4개의 측면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수직절취선(101)은 상기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이웃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연결절취선(102)은 상기 한 쌍의 수직절취선(101)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제1용기는 전개도를 접었을 때 기준으로 수직절취선(101)의 하단과 연결절취선(102)의 단부를 연결하는 만곡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연결절취선(102)은 수직절취선(101)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연결절취선(102)의 길이(측면에서 연결절취선(102)의 길이)는 한 쌍의 수직절취선(101)이 거리(측면에서 수직절취선(101)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고, 수직절취선(101)의 하단에서 연결절취선(102)의 단부 측으로 만곡되어 수직절취선(101)의 하단과 연결절취선(102)의 양단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반칼 작업이라 함은 작업 대상을 완전히 절단하는 완칼 작업과 비교되는 것으로, 다양 분야에서 절취선 등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된 공정이다. 따라서 반칼 작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측면(P13)에는 반칼 작업에 의해 홈절취선(10)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한 홈은 측면(P13)에서 파여진 곳으로 주변보다 약하고 외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홈절취선(10)은 외력에 의해 쉽게 절취될 수 있다. 홈절취선(10)이 완전히 절취됨에 따라 측면(P13)에는 상단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1용기는 홈절취선(10)을 포함하여 상기한 홈부를 만들도록 하거나 또는 홈절취선이 절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길이를 갖는 내용물의 상단부가 본 제1용기에서 돌출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홈절취선(10)이 반칼 작업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홈절취선을 보다 쉽게 절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용기는 본체(P1)의 외면(내측공간(P11)을 형성하는 내면에 반대되는 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상기 방수재(GS)에 혼합되는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상기 본체(P1)의 외면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P1)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우레탄은 방수 재료로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액상 형태로 도포 대상체에 도포된 후 경화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능성첨가재(G)는 입자 형태로서 액상 상태의 우레탄에 혼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을 포함한다.
기능성첨가재(G)의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라텍스, 테트라데케인, 알루미늄,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피-스티렌술포닉산, 폴리에틸렌이민 등의 중량부는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기준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제1완충재(G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을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내피재(G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폴리우레탄 폼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다공질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서 완충성과 방음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완충성 및 방음성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으며,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후술하는 내피재(G2)를 터지게 하여 내피재(G2)에서 유출될 위험이 있다.
상기한 내피재(G2)는 후술하는 외피재(G3)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것이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제1완충재(G1)가 소실될 우려가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은 필름 형태로 제조되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싼 상태로 열융착 등에 의한 방법 등에 의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쌀 수 있다. 즉, 제1완충재(G1)는 내피재(G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피재(G3)는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여 신축 가능한 재질이며, 상기한 내피재(G2)(내피재(G2) 및 후술하는 제2완충재(G4))를 감싸되 섬유상일 수 있다. 상기한 외피재(G3)는 상기한 방수재(GS)와 혼합된다.
상기한 외피재(G3)가 섬유상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외피재(G3)와 내피재(G2)의 사이에는 제2완충재(G4)가 배치되는데, 따라서 외피재(G3)는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으며, 라텍스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충분히 감싸지 못하여 제2완충재(G4)가 소실될 위험이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자체 중량을 지나치게 증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2완충재(G4)는 테트라데케인(Tetradecane)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된다.
테트라데케인은 융점이 약 4~6℃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테트라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완충재(G4)의 융점은 상온인 1~30℃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고상 상태로 상기 내피재(G2)를 감쌀 수 있고, 상기한 외피재(G3)에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한 라텍스는 시트 상에서 고상의 제2완충재(G4)를 감싼 상태로 접착제 또는 융착(열융착)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온도가 변화됨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는데, 특히 기공에 수용되는 공기의 부피 또한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수축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 시키는 완충 효과가 저감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2완충재(G4)가 상기한 제1완충재(G1)에 잠열을 공급하여 제2완충재(G4)가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2완충재(G4)의 완충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완충재(G4)가 외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팽창되어 내피재(G2)에서 손상시키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융점이 4~6℃어서 방수재(GS)가 0℃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결로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방수재(GS)가 열팽창 되거나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방수재(GS)가 우글쭈글해지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제1완충재(G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단열 성능이 있기 때문에 제2완충재(G4)가 제1완충재(G1)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한 방수재(GS)와 제2완충재(G4)의 열 교환을 방해하여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완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한 외피재(G3) 내측에 배치되기 어렵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도 x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피-스티렌술포닉산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1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은 외피재(G3)의 양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도 x에서 우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은 에틸렌이민을 중합한 폴리머로 현존하는 소재 중 양이온 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양이온성 물질(G8) 및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각각은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라텍스 등에 쌓여진 상태로 상기한 외피재(G3)와 열융착 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포스트(G5)는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외피재(G3)의 외측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가벼운 금속이어서 사용된 것으로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가 지나치게 무거워져 분산성이 저하되며,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길이나 폭이 지나치게 감소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시적으로 포스트(G5)는 내측 단부가 공지된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한 외피재(G3) 외측에 부착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 상기한 외피재(G3)는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한 포스트(G5)의 내측단부가 상기한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다수의 결합부재(G6) 각각은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예시적으로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구비)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은 기능성첨가재(G)의 중심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한 단위체(GU)는 방수재(GS)에서 교반 시에 전단력에 의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가 분리되어 방수재(GS), 기능성첨가재(G) 및 기타 첨가재들의 교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 후 또는 방수재(GS)가 본체(P1)에 도포되는 과정 또는 본체(P1)에 도포된 이후 이웃하는 단위체(GU)은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양이온성 물질(G8)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가까워지게 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어느 하나(이하 제1단위체)의 상기한 결합부재(G6)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를 포함함으로 탄성 변형(압축변형)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다른 하나(이하 제2단위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가 제2단위체의 결합부재(G6) 사이를 통과하게 된 경우 제1단위체의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가 제2단위체의 양이온성 물질(G8)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고,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는 탄성 복원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원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의 내측단과 제2단위체 결합부재(G6)들의 내측단이 상호 지지되어 걸어지게 되어(걸림 결합) 제1단위체와 제2단위체가 상호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들이 상호 결합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방수재(GS)가 열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억제하고 방수재(GS)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포켓을 구비한 용기: P
본체: P1 내측공간: P11
바닥: P12 측면: P13
바닥부: 1 측면부: 2
비부착부: 3 제1절취선: 4
부착부: 5 꼭지점 부분: 51
제1접이선: 6 제2접이선: 7
제1대각접이선: 71 제2대각접이선: 72
세로접힘선: 8 측면접힘선: 9
연장선: 9a 홈절취선: 10
수직절취선: 101 연결절취선: 102

Claims (2)

  1. 바닥,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상기 바닥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포켓;
    을 포함하고,
    전개도를 기준으로, 상기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 상단에 연결된 비부착부;
    상기 비부착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비부착부와 상기 측면부를 연결하는 제1절취선; 및
    제1접이선을 매개로 상기 측면부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비부착부를 감싸고, 상기 측면부의 내면과 부착되는 부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측면부와 상기 비부착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부착부와 상기 비부착부는 제2접이선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1절취선은 하측으로 만곡된 아치형이고,
    전개도를 기준으로 상기 비부착부는 부채꼴 형상이고,
    전개도를 기준으로 상기 부착부가 접혀지도록 형성되고, 측면부가 접혀지도록 형성된 측면접힘선과 평행하고, 상기 측면접힘선의 단부에서 측면접힘선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과 연결되는 세로접힘선;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접이선은,
    하단이 상기 제1절취선 좌측단에 연결되고 우측으로 상향 경사진 제1대각접이선; 및
    하단이 상기 제1절취선 우측단에 연결되고, 좌측으로 상향 경사지고, 상단이 상기 제1대각접이선 상단에 연결되는 제2대각접이선;
    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와 상기 측면부가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기 부착부의 꼭지점 부분은 모따기 되어 있는 형상이고,
    상기 전개도를 접었을 때 기준으로, 상기 측면 상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절취선, 및 한 쌍의 수직절취선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절취선을 포함하는 홈절취선;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홈절취선은 반칼 작업하여 형성되고,
    상기 측면은 다수의 측면판을 포함하되, 상호 이웃하는 측면판은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한 쌍의 수직절취선은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이웃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절취선은 상기 한 쌍의 수직절취선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절취선은 상기 한 쌍의 수직절취선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절취선의 하단과 상기 연결절취선의 단부를 연결하는 만곡절취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접이선은 비부착부를 기준으로 한 쌍이 구비되고,
    전개도를 기준으로 이웃하는 측면부들 중 좌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한 쌍의 제1접이선 중 좌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좌측단과 연결되는 제1절개선, 이웃하는 측면부들 중 우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한 쌍의 제1접이선 중 우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우측단과 연결되는 제2절개선, 상기 제1절개선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우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선, 상기 제2절개선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좌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선, 및 상기 제1경사선의 상단과 상기 제2경사선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세로접힘선의 상단과 연결하는 수평절개선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한 쌍의 제1접이선, 제1절개선, 제1경사선, 수평절개선, 제2경사선, 제2절개선, 제1대각접이선, 및 상기 제2대각접이선에 의해 형성되는 면 형상체이고,
    상기 제1경사선 및 상기 제2경사선은 상기 부착부의 꼭지점 부분이 모따기 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1절취선의 좌측단은 한 쌍의 제1접이선 중 좌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우측단과 상기 제1대각접이선의 하단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절취선의 우측단은 한 쌍의 제1접이선 중 우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좌측단과 상기 제2대각접이선의 하단과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을 구비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상기 방수재(GS)에 혼합되는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
    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재(GS)는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을 구비한 용기.
KR1020230072834A 2023-06-07 2023-06-07 포켓을 구비한 용기 KR102645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834A KR102645461B1 (ko) 2023-06-07 2023-06-07 포켓을 구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834A KR102645461B1 (ko) 2023-06-07 2023-06-07 포켓을 구비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461B1 true KR102645461B1 (ko) 2024-03-08

Family

ID=9023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834A KR102645461B1 (ko) 2023-06-07 2023-06-07 포켓을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4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5454A1 (en) * 2000-03-01 2001-11-01 Liming Cai Food scoop with condiment holder
US20030015580A1 (en) * 2001-07-19 2003-01-23 Pellati Carlo Andrea Broadsheet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nd container manufactured from such a broadsheet
US20060016863A1 (en) * 2004-07-25 2006-01-26 Aricoga Creative Development, Llc Container with integral compartments
KR102531450B1 (ko) * 2022-12-20 2023-05-11 김남현 금속 가공 방법
KR102560330B1 (ko) * 2023-01-11 2023-07-26 박호영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리니어 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5454A1 (en) * 2000-03-01 2001-11-01 Liming Cai Food scoop with condiment holder
US20030015580A1 (en) * 2001-07-19 2003-01-23 Pellati Carlo Andrea Broadsheet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nd container manufactured from such a broadsheet
US20060016863A1 (en) * 2004-07-25 2006-01-26 Aricoga Creative Development, Llc Container with integral compartments
KR102531450B1 (ko) * 2022-12-20 2023-05-11 김남현 금속 가공 방법
KR102560330B1 (ko) * 2023-01-11 2023-07-26 박호영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리니어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958B2 (en) Suspension packaging system
EP1657166B1 (en) Suspension packaging system
EP2539235B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cushioning structure
US6298989B1 (en) Package case
WO2007127243A2 (en) Suspension package assembly
CN105407766B (zh) 运输盒
CN101119896A (zh) 包括水平铰接的侧壁部分的可折叠容器
JP7268687B2 (ja) 包装袋
ES2621273T3 (es) Paquete con un asa en banda, asa en banda y pieza en bruto para formar un paquete con un asa en banda
US10315829B2 (en) Multi-layered suspension package assembly
ES2198755T3 (es) Componente amortiguador para embalajes.
WO2014043569A1 (en) Multi-layered suspension package assembly
WO2012161425A1 (en) Foldable paper cu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45461B1 (ko) 포켓을 구비한 용기
JPH10273174A (ja) 包装用緩衝材
US20140166734A1 (en) Blank for container
JP2006298377A (ja) 気泡性緩衝シート及び緩衝袋
WO2006037170A1 (en) Collapsible shopping bag with closed end formed by overlapping interlocking portions
HUE026563T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capacity flexible container, the flexible container thus produced and the corresponding packaging
CA2973665C (en) Dual-compartment container
JP4103422B2 (ja) 緩衝板付カートン
JP3010357U (ja) ミシン目入り緩衝封筒
JP7376844B2 (ja) 包装容器
CN217576492U (zh) 包装盒
KR102603967B1 (ko) 접이가 용이하도록 괘선 및 라운드 절단면을 포함하는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