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499B1 -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6499B1 KR102636499B1 KR1020210102972A KR20210102972A KR102636499B1 KR 102636499 B1 KR102636499 B1 KR 102636499B1 KR 1020210102972 A KR1020210102972 A KR 1020210102972A KR 20210102972 A KR20210102972 A KR 20210102972A KR 102636499 B1 KR102636499 B1 KR 102636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tomer
- mobile phone
- phone number
- store
- stoc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2—Cards defining paid or billed services or quant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장에 비치하지 어려운 무재고 상품을 카드 형태로 제작하여 매장 판매대에 진열하고,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한 고객의 배송지로 상품을 배송하는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이 매장에 전시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하기 위해 입력한 휴대폰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일회성 비밀번호와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 완료에 따른 온라인 주소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주소에서 상기 고객의 인증 로그인에 따라 상기 무재고 상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에 비치하지 어려운 무재고 상품을 카드 형태로 제작하여 매장 판매대에 진열하고,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한 고객의 배송지로 상품을 배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편의점 또는 동네마트와 같은 소규모 매장은 상품을 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적이며, 상품 회전율이 대형마트에 비해 떨어지므로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관리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러나, 소비자(또는 고객)는 다양한 상품을 원하며, 매장에 본인이 원하는 상품이 비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추후 매장을 다시 방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해당 매장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은 매출에 연관되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만, 기존에는 온라인 상에서만 사용 가능한 상품 또는 현금화할 수 있는 상품을 카드 형태로 제작한 상품 카드만을 매장 판매대에 진열하여 판매하였으며, 무형 서비스 상품, 식료품 또는 부피가 비교적 큰 상품과 같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상품에 대한 판매가 소비자에게 제공되지 못하는 시스템 환경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형 서비스 상품, 식료품 또는 부피가 비교적 큰 상품에 대한 무재고 상품을 카드 형태로 제작하여 매장 판매대에 진열하며, 고객이 오프라인(Offline) 결제를 진행하고, 휴대 단말기로 배송지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로 무재고 상품을 배송함으로써, 고객이 배송지에서 상품을 수령하도록 무재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은 고객이 매장에 전시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하기 위해 입력한 휴대폰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일회성 비밀번호와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 완료에 따른 온라인 주소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주소에서 상기 고객의 인증 로그인에 따라 상기 무재고 상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내 포스 시스템(POS)에 입력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를 상기 포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는 상기 무재고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입력된 카드 형태인 것이며, 상기 무재고 상품은 상기 매장에 실물로 비치되지 않은 상품으로, 렌탈 및 케어의 무형 서비스 상품, 식료품 또는 부피가 비교적 큰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OTP)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의 제공 후, 상기 매장에서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를 결제 완료한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온라인 주소(URL)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주소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객이 상기 매장으로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무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 요청하는 경우,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승인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온라인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이 상기 온라인 주소에서 상기 휴대폰번호 및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 로그인을 완료한 후, 구매정보를 확인 및 배송정보를 입력하면, 배송정보와 상품정보를 포함한 주문정보를 외부 배송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은 회원가입 없이 상기 온라인 주소에 배송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은 고객이 매장에 전시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하기 위해 입력한 휴대폰번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일회성 비밀번호와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 완료에 따른 온라인 주소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하는 제공부 및 상기 온라인 주소에서 상기 고객의 인증 로그인에 따라 상기 무재고 상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매장 내 포스 시스템(POS)에 입력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를 상기 포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공부는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OTP)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하며,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의 제공 후, 상기 매장에서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를 결제 완료한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온라인 주소(URL)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부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를 제공한 이후에 상기 고객이 상기 매장으로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무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 요청하는 경우,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승인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온라인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요청부는 상기 고객이 상기 온라인 주소에서 상기 휴대폰번호 및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 로그인을 완료한 후, 구매정보를 확인 및 배송정보를 입력하면, 배송정보와 상품정보를 포함한 주문정보를 외부 배송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형 서비스 상품, 식료품 또는 부피가 비교적 큰 상품에 대한 무재고 상품을 카드 형태로 제작하여 매장 판매대에 진열하며, 고객이 오프라인(Offline) 결제를 진행하고, 휴대 단말기로 배송지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로 무재고 상품을 배송함으로써, 고객이 배송지에서 상품을 수령하도록 무재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에서 오프라인으로 결제한 고객에게만 상품을 배송함으로써, 유통사의 재고 보관이 없어 상품의 온도관리, 보관관리와 같은 품질관리에 용이하므로, 고객에게 배송되지 전까지 상품관리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피가 큰 상품부터 식료품, 그리고 무형의 서비스 상품까지 다양한 상품이 카드 형태로 제작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전국 매장에 입점하므로, 입점 가능한 상품의 제약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판매대에 진열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은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휴대폰번호와 일회성 비밀번호(OTP) 인증을 통해 로그인이 가능하므로, 누구나 손쉽게 상품 구매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에서 오프라인으로 결제한 고객에게만 직접 상품을 출납하면서, 판매 완료된 상품만 정산하기 때문에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며, 빠르고 편리한 대금 정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상품 구매 절차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과 고객, 매장 및 제휴사 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과 고객, 매장 및 제휴사 간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상품 구매 절차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과 고객, 매장 및 제휴사 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과 고객, 매장 및 제휴사 간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매장에 비치하지 어려운 무재고 상품을 카드 형태로 제작하여 매장 판매대에 진열하고,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한 고객의 배송지로 무재고 상품을 배송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대형 상품, 서비스 상품, 식료품과 같이 매장에 실물 비치가 어려운 상품을 카드 형태로 제작하여 판매대에 진열 및 판매하는 서비스이다. 고객은 매장에서 무재고 상품 카드에 대한 오프라인(Offline) 결제를 진행하고, 본 발명은 결제 완료에 따라 고객의 휴대 단말기로 배송정보 입력이 가능한 URL을 전달하며, 입력된 배송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상품공급 제휴사에 전달함으로써, 고객이 배송지에서 상품을 수령하도록 하는 무재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은 고객이 매장에 전시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하기 위해 입력한 휴대폰번호를 수신한다. 단계 S110은 매장 내 포스 시스템(POS)에 입력되는 고객의 휴대폰번호를 포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매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재고 상품 카드가 판매대에 진열되어 있으며, 고객은 무재고 상품 카드들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한 무재고 상품 카드를 선택하여 계산대로 이동한다. 이에, 고객은 매장 내 포스 시스템(POS)에 본인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대폰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고객은 계산대에 위치한 매장 직원에게 휴대폰번호를 구두로 전할 수 있으며, 직접 포스 시스템에 휴대폰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매장 내 포스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고객의 휴대폰번호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제공하며, 단계 S110은 포스 시스템으로부터 고객의 휴대폰번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장은 편의점, 동네마트, 소규모 마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품을 사고파는 장소이면 무관하다. 또한, 상기 무재고 상품은 매장에 실물로 비치되지 않은 상품으로, 가구, 가전, 의류, 생활용품과 같이 부피가 큰 대형 상품, 렌탈, 케어와 같은 무형의 서비스 상품 또는 식료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는 무재고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입력된 카드 형태인 것으로, 해당하는 무재고 상품의 이미지 및 가격 정보와 결제 수단인 바코드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고객이 소지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PDA, 노트북,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워치 및 AR 글래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터치-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기능 집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 또는 가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으므로 종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2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은 매장에서 수신되는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일회성 비밀번호와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 완료에 따른 온라인 주소를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한다.
단계 S120은 매장에서 수신되는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일회성 비밀번호(OTP)를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단계 S120은 매장에서 수신되는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일회성 비밀번호(One Time Password, OTP)를 발행하며, 이는 동일한 휴대폰번호라도 매장에서 수신될 때마다 일회성으로 생성한다. 이에, 단계 S120은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된 일회성 비밀번호를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한다.
고객은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 일회성 비밀번호(OTP)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매장에서 무재고 상품 카드를 오프라인 결제하면, 단계 S120은 매장으로부터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 완료에 따른 승인요청에 따라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온라인 주소(Uniform Resource Locator, URL)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회성 비밀번호는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비밀번호로써, 일회성이 지나면 무효화된다. 실시예로, 일회성 비밀번호는 기 설정된 개수의 숫자 조합일 수 있으며, 숫자, 영문자 및 기호가 무작위로 섞인 비밀번호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주소는 고객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 접속이 가능한 웹 주소로써,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무재고 상품에 대한 상품명, 이미지 및 가격의 상품정보를 제공하며, 배송업체 정보와 인증을 위한 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주소에는 고객이 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배송지에 대한 배송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은 온라인 주소에서 고객의 인증 로그인에 따라 무재고 상품의 배송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고객이 매장에서 무재고 상품 카드를 오프라인 결제하면, 본인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 온라인 주소를 포함한 문자메시지가 수신된다. 이에, 고객은 휴대 단말기로 수신된 온라인 주소에서 휴대폰번호 및 일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본인 인증 로그인을 수행하며, 인증 로그인 완료 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명, 이미지 및 가격의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수령하고자 하는 배송지의 주소 및 이름을 포함한 배송정보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단계 S130은 고객의 인증 로그인 완료 후, 배송정보가 입력되면, 무재고 상품이 해당 배송지로 배송되도록 외부 배송업체에 배송정보와 상품정보를 포함한 주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은 별도의 회원가입이나 이름, 주소, 생년월일과 같은 개인정보 없이, 온라인 주소에 휴대폰번호와 일회성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 로그인 후, 배송정보만을 입력함으로써, 배송지에서 상품 수령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상품 구매 절차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장 내 판매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재고 상품 카드가 진열되며, 고객은 진열된 카드 상품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무재고 상품 카드를 선택(a)한다.
이후에, 고객은 선택한 무재고 상품 카드를 계산대로 이동하며, 무재고 상품 카드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대폰번호를 포스 시스템(POS)에 입력(b)한다. 고객이 포스 시스템에 휴대폰번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의해 발행된 일회성 비밀번호(OTP)가 휴대 단말기로 제공되며, 고객은 일회성 비밀번호의 수신 후, 매장에서 무재고 상품 카드를 오프라인 결제한다.
고객이 무재고 상품 카드를 오프라인 결제한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고객의 휴대 단말기로 온라인 주소(URL)를 포함한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며, 고객은 온라인 주소에 접속 후, 일회성 비밀번호(OTP)와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여 인증 로그인을 수행한다. 인증 로그인이 완료된 고객은 온라인 주소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확인하며, 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배송지의 배송정보를 입력(c)한다.
배송정보 입력을 완료한 고객은 적어도 하루가 지난 후에 입력한 배송지에서 상품을 수령(d)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과 고객, 매장 및 제휴사 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과 고객, 매장 및 제휴사 간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100), 매장(200) 및 배송업체(또는 제휴사, 3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100)은 매장(200)에 진열된 무재고 상품 카드들 중에서 구매를 원하는 무재고 상품 카드를 선택하여 포스 시스템에서 무재고 상품 카드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며, 일회성 비밀번호의 수신 이후에 무재고 상품 카드를 오프라인 결제할 수 있다. 이에, 고객(100)은 무재고 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500)으로부터 일회성 비밀번호(OTP)와 배송지 입력이 가능한 온라인 주소(URL)를 수신하며, 온라인 주소에 접속하여 인증 로그인 후, 수령하고자 하는 배송지의 배송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고객(100)은 매장(200)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무재고 상품을 오프라인 결제 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송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매장에서 목적지까지 상품을 옮기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고객(100)은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휴대폰번호와 일회성 비밀번호의 인증 로그인만으로 배송지에서 상품 수령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200)은 판매대에 진열된 무재고 상품 카드들 중에서 고객(100)이 구매하기 위해 선택한 무재고 상품 카드에 대한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며, 고객(100)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대폰번호를 포스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매장(200)은 한정된 매장 공간에 부피가 큰 상품, 무형의 서비스 상품 또는 식료품의 무재고 상품이 카드 형태로 제작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진열함으로써, 상품의 온도관리, 보관관리와 같은 품질관리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며,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업체(300)는 결제된 상품만을 고객이 입력한 배송정보로 배송하므로, 판매 완료된 상품만 정산하기 때문에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며, 배송 전까지 상품관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배송업체(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500)과 제휴된 업체로서, 배송정보와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배송지로 상품을 배송하고, 고객에게 상품 배송에 관련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고객(100)은 편의점인 매장(200)을 방문하여 판매대에 진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재고 상품 카드들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무재고 상품에 대한 카드를 선택한다(단계 401).
단계 402 및 단계 403에서, 고객(100)이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를 원하는 경우, 매장(200)은 무재고 상품 카드의 바코드 스캔과 함께 고객(100)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대폰번호를 포스 시스템(POS)에 입력하며, 고객의 휴대폰번호를 시스템(500)에 제공하여 일회성 비밀번호(OTP) 발행을 요청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500)은 고객(100)의 휴대폰번호에 따른 일회성 비밀번호(OTP)를 발행하여 고객(100)의 휴대폰번호로 OTP를 제공한다.
고객(100)은 시스템(500)으로부터 수신된 일회성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매장(200)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무재고 상품 카드를 오프라인 결제한다. 이로 인하여, 매장(200)은 시스템(500)에 무재고 상품 구매 및 배송의 단계 진행을 위한 무재고서비스 승인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며, 고객(100)에게 무재고 상품 카드 결제에 대한 구매 완료 및 영수증을 전달한다(단계 404, 405, 406).
이후에, 단계 407에서, 시스템(500)은 고객(100)의 결제 완료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승인을 처리한 후, 고객(100)의 휴대폰번호로 배송정보 입력을 위한 온라인 주소(URL)를 전달한다.
고객(100)은 온라인 주소에서 일회성 비밀번호와 휴대폰번호 입력으로 인증 로그인을 수행한 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명, 이미지 및 가격의 상품정보를 확인하여 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배송지의 주소 및 이름을 포함한 배송정보를 입력한다(단계 408).
이에, 단계 409 및 단계 410에서, 시스템(500)은 고객(100)이 입력한 배송정보와 상품정보를 포함한 주문정보를 제휴사(300)에 전달하며, 제휴사(300)는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배송지로 매장(200) 내 무재고 상품을 배송하며, 배송과 관련된 배송 서비스를 고객(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은 매장에 실제로 비치하지 어려운 무재고 상품을 카드 형태로 제작하여 매장 판매대에 진열하고,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한 고객의 배송지로 상품을 배송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500)은 수신부(510), 제공부(520), 요청부(530) 및 DB(540)를 포함한다.
수신부(510)는 고객이 매장에 전시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하기 위해 입력한 휴대폰번호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부(510)는 매장 내 포스 시스템(POS)에 입력되는 고객의 휴대폰번호를 포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매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재고 상품 카드가 판매대에 진열되어 있으며, 고객은 무재고 상품 카드들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한 무재고 상품 카드를 선택하여 계산대로 이동한다. 이에, 고객은 매장 내 포스 시스템(POS)에 본인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의 휴대폰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고객은 계산대에 위치한 매장 직원에게 휴대폰번호를 구두로 전할 수 있으며, 직접 포스 시스템에 휴대폰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매장 내 포스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고객의 휴대폰번호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500)에 제공하며, 수신부(510)는 포스 시스템으로부터 고객의 휴대폰번호를 수신하게 된다.
제공부(520)는 매장에서 수신되는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일회성 비밀번호와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 완료에 따른 온라인 주소를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한다.
제공부(520)는 매장에서 수신되는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일회성 비밀번호(OTP)를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공부(520)는 매장에서 수신되는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일회성 비밀번호(One Time Password, OTP)를 발행하며, 이는 동일한 휴대폰번호라도 매장에서 수신될 때마다 일회성으로 생성한다. 이에, 제공부(520)는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된 일회성 비밀번호를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한다.
고객은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 일회성 비밀번호(OTP)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매장에서 무재고 상품 카드를 오프라인 결제하면, 제공부(520)는 매장으로부터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 완료에 따른 승인요청에 따라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온라인 주소(Uniform Resource Locator, URL)를 제공할 수 있다.
요청부(530)는 온라인 주소에서 고객의 인증 로그인에 따라 무재고 상품의 배송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고객이 매장에서 무재고 상품 카드를 오프라인 결제하면, 본인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 온라인 주소를 포함한 문자메시지가 수신된다. 이에, 고객은 휴대 단말기로 수신된 온라인 주소에서 휴대폰번호 및 일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본인 인증 로그인을 수행하며, 인증 로그인 완료 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명, 이미지 및 가격의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수령하고자 하는 배송지의 주소 및 이름을 포함한 배송정보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요청부(530)는 고객의 인증 로그인 완료 후, 배송정보가 입력되면, 무재고 상품이 해당 배송지로 배송되도록 외부 배송업체에 배송정보와 상품정보를 포함한 주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B(540)는 매장 내 판매대에 비치된 무재고 상품 카드에 대한 무재고 상품 정보 및 바코드번호를 포함하며, 해당 매장에 입점되는 무재고 상품 카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비록, 도 5의 시스템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5의 시스템 도 1 내지 도 4의 방법 또는 시스템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에 의한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의 수신부에 의해, 고객이 매장에 전시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하기 위해 입력한 휴대폰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공부에 의해,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일회성 비밀번호와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 완료에 따른 온라인 주소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하는 단계; 및
요청부에 의해, 상기 온라인 주소에서 상기 고객의 인증 로그인에 따라 상기 무재고 상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에 진열된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를 상기 매장에서 오프라인으로 결제한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휴대폰번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매장 내 포스 시스템(POS)에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번호를 상기 포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OTP)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의 제공 후, 상기 매장에서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를 결제 완료한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온라인 주소(URL)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은 회원가입 없이 상기 온라인 주소에 배송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는
상기 무재고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가 입력된 카드 형태인 것이며,
상기 무재고 상품은
상기 매장에 실물로 비치되지 않은 상품으로, 렌탈 및 케어의 무형 서비스 상품, 식료품 또는 부피가 비교적 큰 상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주소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객이 상기 매장으로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무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 요청하는 경우,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승인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온라인 주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이 상기 온라인 주소에서 상기 휴대폰번호 및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 로그인을 완료한 후, 구매정보를 확인 및 배송정보를 입력하면, 배송정보와 상품정보를 포함한 주문정보를 외부 배송업체에 제공하는,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 삭제
- 고객이 매장에 전시된 무재고 상품 카드를 구매하기 위해 입력한 휴대폰번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일회성 비밀번호와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의 결제 완료에 따른 온라인 주소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하는 제공부; 및
상기 온라인 주소에서 상기 고객의 인증 로그인에 따라 상기 무재고 상품의 배송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부는
상기 매장에 진열된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를 상기 매장에서 오프라인으로 결제한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휴대폰번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매장 내 포스 시스템(POS)에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번호를 상기 포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공부는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에 따라 발행되는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OTP)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제공하며,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의 제공 후, 상기 매장에서 상기 무재고 상품 카드를 결제 완료한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온라인 주소(URL)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은 회원가입 없이 상기 온라인 주소에 배송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를 제공한 이후에 상기 고객이 상기 매장으로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무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 요청하는 경우, 상기 매장에서 수신되는 승인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의 휴대폰번호로 상기 온라인 주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부는
상기 고객이 상기 온라인 주소에서 상기 휴대폰번호 및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 로그인을 완료한 후, 구매정보를 확인 및 배송정보를 입력하면, 배송정보와 상품정보를 포함한 주문정보를 외부 배송업체에 제공하는,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2972A KR102636499B1 (ko) | 2021-08-05 | 2021-08-05 |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2972A KR102636499B1 (ko) | 2021-08-05 | 2021-08-05 |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1290A KR20230021290A (ko) | 2023-02-14 |
KR102636499B1 true KR102636499B1 (ko) | 2024-02-21 |
Family
ID=8522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2972A KR102636499B1 (ko) | 2021-08-05 | 2021-08-05 |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649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5864B1 (ko) * | 2007-02-08 | 2008-02-21 | 서용성 | 수, 발주 시스템을 활용한 온, 오프라인 판매와 구매 및 통합 관리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5273B1 (ko) * | 2014-01-03 | 2017-02-10 | 주식회사 키즈팩토리 | 상점 경영 및 마케팅 관리 시스템 |
KR101644545B1 (ko) * | 2014-08-01 | 2016-08-16 | 주식회사 케이티 | 비회원 고객의 온라인 상품구매 방법 및 시스템 |
KR20170089382A (ko) * | 2016-01-26 | 2017-08-03 | 권혁준 | 상품 카드 기반의 상품 판매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102246467B1 (ko) * | 2019-01-03 | 2021-04-30 | 롯데하이마트 주식회사 | 옴니앱을 통한 통합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
-
2021
- 2021-08-05 KR KR1020210102972A patent/KR1026364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5864B1 (ko) * | 2007-02-08 | 2008-02-21 | 서용성 | 수, 발주 시스템을 활용한 온, 오프라인 판매와 구매 및 통합 관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1290A (ko) | 2023-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50414B2 (en) | Cloud based system for engaging shoppers at or near physical stores | |
US11995632B1 (en) | Point of sale terminal of a mobile device | |
US8838501B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ermissions management | |
US991658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using a digital pass | |
US948968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coupon-less offers to registered card members | |
US2017030089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Wallet Payment Tool | |
US20150220985A1 (en) | Identifying purchase patterns and marketing based on user mood | |
US20130332251A1 (en) |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purchasing items from a merchant | |
AU2018204730A1 (en) | Improved ordering and payment systems | |
US1003216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payments over a network | |
JP6074350B2 (ja) | 商品販売管理サーバ及びインターネット販売促進システム | |
KR20200011621A (ko) | 판매점 수납 대행과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 |
CN110692091A (zh) | 用于电子收据服务的系统和方法 | |
KR102636499B1 (ko) | 무재고서비스 상품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20110035571A (ko) | 위젯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
KR101505032B1 (ko) |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 |
KR101505033B1 (ko) |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 |
KR101505031B1 (ko) |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 |
KR100621206B1 (ko) | 쇼핑몰을 이용한 상품공급 및 중개방법 | |
KR102557183B1 (ko) |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인화된 마케팅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US20240062259A1 (en) | Browser extensions and applications for cross-platform item data identifications | |
KR101442591B1 (ko) |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 |
WO2014142260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