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510B1 -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510B1
KR102625510B1 KR1020220161104A KR20220161104A KR102625510B1 KR 102625510 B1 KR102625510 B1 KR 102625510B1 KR 1020220161104 A KR1020220161104 A KR 1020220161104A KR 20220161104 A KR20220161104 A KR 20220161104A KR 102625510 B1 KR102625510 B1 KR 102625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ft column
composite beam
pair
wide composi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홍수
양송현
이문옥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이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이문옥 filed Critical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Priority to KR102022016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5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FT기둥에 CFT기둥의 폭보다 넓은 너비의 와이드 합성보가 접합되는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는,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CFT기둥; 철골조립체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와이드 합성보;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의 춤과 너비에 맞춰, 철골조립체의 상·하부면과 동일한 레벨로 상기 CFT기둥의 강관 외부 또는 내부에 접합 설치되는 상·하부다이아프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는, 한쌍의 T형강이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면서 상부플랜지에 의한 너비가 CFT기둥의 강관 폭보다 넓게 배치된 상태에서 한쌍의 T형강의 웨브 하단이 연결플레이트로 연결됨으로써 한쌍의 T형강과 연결플레이트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더불어 상부다이아프램은, 철골조립체의 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와 동일한 너비 및 두께의 플레이트로 마련되어 CFT기둥의 강관 외부 둘레를 둘러싸게 수평으로 접합 설치되는 외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형태가 된다.

Description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Joint CFT Column and Wide Hybrid Beam}
본 발명은 CFT기둥에 CFT기둥의 폭보다 넓은 너비의 와이드 합성보가 접합되는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쌍의 T형강과 연결플레이트로 조립한 철골조립체를 이용하여 와이드 합성보를 시공하고 CFT기둥에 적절한 다이아프램을 적용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킨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CFT(Concrete filled steel tube)구조는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강관과 콘크리트가 상호 구속되는 구조로, 강관은 콘크리트를 구속시켜 압축내력을 증가시키고 콘크리트는 강관의 국부좌굴을 감소시켜 단면의 증가 없이 내력을 크게 증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된다. CFT구조는 부재단면을 줄일 수 있고 거푸집 공사를 생략할 수 있으며, 더불어 강관에 의한 외피 구성으로 콘크리트 분진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으로 CFT구조는 고층건출물, 대형건축물, 공장건축물 등에 많이 적용되는 실정이다.
CFT구조에서 기둥과 보 접합부에는 강관의 국부좌굴을 방지하고 접합부의 응력집중에 보강하기 위해 다이아프램을 사용한다. 다이아프램은 설치방법에 따라 강관 외부에 설치되는 외다이아프램, 강관 내부에 설치되는 내다이아프램, 강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다이아프램이 있다.
한편 대형 물류창고, 주차장 등의 구조물은 높은 천장고와 넓은 경간(스팬)으로 설계될 것이 요구되며, 그에 따라 와이드보(wide beam)의 적용이 늘고 있다. 와이드보는 보의 춤을 줄이는 대신 폭을 키움으로써 단면 크기가 대형된 보 부재로, 층간 구조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동일 층고에서 천장고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공사비 절감에 유리하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철골 부재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콘크리트가 현장에서 충전되어 철골과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와이드 합성보가 시도되고 있다.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가 동시에 적용된다면 기둥부재의 단면을 줄이고 천장고를 높일 수 있어 공간효율성에서 더욱 유리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CFT구조와 와이드 합성보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개발하게 되었으며, 특히 CFT기둥에 CFT기둥의 폭보다 넓은 너비의 와이드 합성보가 접합되는 접합구조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991638 B1 KR 10-2001041 B1
본 발명은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가 동시에 적용되는 새로운 합성구조를 위해 개발된 것으로, CFT기둥에 CFT기둥의 폭보다 넓은 너비의 와이드 합성보가 접합되는 접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한쌍의 T형강과 연결플레이트로 조립한 철골조립체를 이용하여 와이드 합성보를 시공하고 CFT기둥에 적절한 다이아프램을 적용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킨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CFT기둥; 철골조립체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와이드 합성보;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의 춤과 너비에 맞춰, 철골조립체의 상·하부면과 동일한 레벨로 상기 CFT기둥의 강관 외부 또는 내부에 접합 설치되는 상·하부다이아프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는, 한쌍의 T형강이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면서 상부플랜지에 의한 너비가 CFT기둥의 강관 폭보다 넓게 배치된 상태에서 한쌍의 T형강의 웨브 하단이 연결플레이트로 연결됨으로써 한쌍의 T형강과 연결플레이트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마련되고, 더불어 상부다이아프램은, 철골조립체의 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와 동일한 너비 및 두께의 플레이트로 마련되어 CFT기둥의 강관 외부 둘레를 둘러싸게 수평으로 접합 설치되는 외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형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부에서 한쌍의 T형강과 연결플레이트로 조립한 철골조립체를 이용하여 와이드 합성보를 시공하고 이러한 와이드 합성보에 대응하게 CFT기둥에 적절한 다이아프램을 적용하기 때문에 접합부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H형강을 절단하여 T형강을 준비하고 다이아프램을 플레이트로 마련하는 등 기존 자재를 적극 활용하고 더불어 기존 접합방식(용접, 볼트)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부 시공에 있어서 시공성이 향상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CFT기둥에 CFT기둥의 폭보다 넓은 너비의 와이드 합성보가 접합되는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모든 실시예는 공통적으로 한쌍의 T형강(210)과 연결플레이트(220)로 조립된 철골조립체(200)를 이용하면서 와이드 합성보를 시공하고 더불어 철골조립체(200)의 춤과 너비에 동일한 레벨로 적절한 상·하부다이아프램을 적용하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CFT기둥은 강관(100)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기둥부재로, 통상의 CFT기둥과 동일하다. CFT기둥의 강관(100)에는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의 춤과 너비에 맞춰 상·하부다이아프램이 미리 용접접합으로 설치된다.
와이드 합성보는 철골조립체(200)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보부재로, 본 발명에서 철골조립체(200)는 한 쌍의 T형강(210)과 연결플레이트(220)로 조립된 더블T형강 구조가 된다. 다시 말해 철골조립체(200)는 한쌍의 T형강(210)이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면서 상부플랜지(211)에 의한 너비가 CFT기둥의 강관(100) 폭보다 넓게 배치된 상태에서, 한쌍의 T형강의 웨브(212) 하단이 연결플레이트(220)로 연결되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로써 철골조립체(200)는 한쌍의 T형강(210)과 연결플레이트(220)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조가 된다.
철골조립체(200)에서 한쌍의 T형강(210)은 H형강의 웨브 가운데를 절단하여 마련하면 간편하게 자재 확보가 가능하며, 가령 높이 900mm H형강을 절단하여 450mm T형강 한쌍을 마련할 수 있다. 즉, 한쌍의 T형강(210)은 시중에서 손쉽게 조달이 가능한 기성 제품인 H형강의 웨브 가운데를 절단하여 제작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상부플랜지(211) 두께는 기성 제품인 H형강의 플랜지 두께와 같을 수 있다.
한쌍의 T형강의 웨브(212) 하단과 연결플레이트(220)의 연결은 용접 접합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접합철물(앵글 등)을 적절히 이용하여 볼트 접합도 가능하다.
상·하부다이아프램은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의 춤과 너비에 맞춰, 철골조립체(200)의 상·하부면과 동일한 레벨로 CFT기둥의 강관(100) 외부 또는 내부에 접합 설치되며, 이러한 상·하부다이아프램에 의해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에서 CFT기둥으로 응력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접합부의 안정적인 구조내력이 확보된다.
참고로, 철골조립체의 상부에는 데크플레이트 또는 슬래브 거푸집이 설치되고 철근이 배근되며,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완료되면 슬래브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는 와이드 합성보를 구성하는 철골조립체(200)의 상·하부면 모두가 CFT기둥의 강관(100) 폭보다 넓은 너비로 마련되고, 상·하부다이아프램 모두가 외다이아프램(311, 321)으로 마련된 예가 된다. 더불어 제1실시예는 CFT기둥에는 장변방향으로 와이드 합성보가 시공되고, 단변방향으로 CFT기둥의 강관(100) 폭보다 같거나 좁은 너비로 H형강보(B)가 시공된 경우를 예시한다. 단변방향으로 H형강보(B) 대신에 합성보 등 다른 형태의 보부재가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실시예는 철골조립체(200)의 상·하부면 모두가 CFT기둥의 강관(100) 폭보다 넓은 너비로 마련된 예가 되기 때문에, 상·하부다이아프램 각각은 외다이아프램(311, 321)을 기본으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 철골조립체(200)의 상부면이 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211)에 의해 마련되고 그 너비가 CFT기둥의 강관(100) 폭보다 더 넓기 때문에, 철골조립체의 상부면(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이 접합되는 상부다이아프램은 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211)와 동일한 너비 및 두께로 마련되어 CFT기둥의 강관(100) 외부 둘레를 둘러싸게 접합 설치되는 외다이아프램(311)이 기본이 되는 것이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외다이아프램만으로 응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내다이아프램이 CFT 내부에 추가설치될 수도 있다.
철골조립체(200)의 하부면은 연결플레이트(220)에 의해 마련되고 그 너비가 철골조립체의 상부면(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보다 좁으면서 CFT기둥의 강관(100) 폭보다는 더 넓기 때문에, 철골조립체의 하부면(연결플레이트)이 접합되는 하부다이아프램은 연결플레이트(220)와 동일한 너비 및 두께와 너비로 마련되어 CFT기둥의 강관(100) 외부 둘레를 둘러싸게 접합 설치되는 외다이아프램(312)이 기본이 된다. 이로써 상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11)에는 철골조립체의 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211)가, 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21)에는 철골조립체의 연결플레이트(220)가 접합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접합방법은 볼트접합 또는 용접접합 모두 가능하다.
제1실시예는 상·하부다이아프램이 외다이아프램(311, 321)만으로 제안되고 있는데, 구조설계에 따라 내다이아프램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후술하는 제2,3실시예 참고).
도 1 및 도 2에서 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21)은 상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11)보다 좁은 너비이면서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고 있는데, 좁은 너비이면서 짧은 길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21)이 상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11)보다 좁은 너비이면서 짧은 길이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철골조립체의 연결플레이트(220)가 한쌍의 T형강(210)보다 적절하게 연장되게 마련되어 연결플레이트(220)가 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21)에 접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철골조립체의 상부 플랜지의 두께는 상부다이어프램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동일한 두께일 경우에는 현장 용접작업이 보다 수월하며, 볼트접합일 경우에는 두께가 동일하므로 볼트접합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플레이트와 하부다이어프램의 두께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두께를 동일하게 설계하면서 다이어프램의 응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외부 다이아프램과 내부 다이아프램을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제1실시예는 단변방향으로 H형강보(B)가 접합되는 경우를 예시하는데, H형강보(B)는 그 상·하부플랜지가 상·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11, 321)에 용접접합 또는 볼트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설치를 위해 H형강보(B)는 상부플랜지가 하부플랜지보다 짧은 형태로 마련된다.
한편 상·하부다이아프램이 외다이아프램(311, 312)으로 설치되면, 외다이아프램 상호 간을 연결하여 보강하기 위해 수직스티프너(3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부는 한쌍의 T형강의 웨브(212)가 CFT기둥의 강관(100)에 직접 접하지 않기 때문에 상·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11, 321)과 T형강의 웨브(212) 사이가 개구될 수 있는데, 이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기 위해 커버플레이트(340)가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340)의 설치로 상·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11, 321) 사이도 내부공간으로 형성되어 철골조립체(200)의 내부공간과 함께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접합부가 일체화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와이드 합성보를 구성하는 철골조립체(200)의 상부면만이 CFT기둥의 강관(100) 폭보다 넓은 너비로 마련되고, 상·하부다이아프램은 모두 외다이아프램(311, 321) 및 내다이아프램(312, 322)으로 마련된 예가 된다. 제2실시예는 철골조립체(200)의 하부면 너비, 하부다이어프램(321, 322)의 형태, 단변방향 H형강보(B)의 접합위치, 내다이아프램(312, 322)의 부가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실시예에서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11, 321)에 접합된다. 다만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철골조립체(200)가 연결플레이트(220)에 의한 하부면이 CFT기둥의 강관(100) 폭과 동일한 너비로 마련되기 때문에, 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21)은 철골조립체의 연결플레이트(220)가 접합되는 위치에만 부분적으로 CFT기둥의 강관(100) 외부에 접합 설치된다.
더불어 제2실시예에서는 상·하부다이아프램으로 내다이아프램(312, 322)이 더 부가되어 CFT기둥의 강관(100) 내부에 수평으로 접합 설치되고 있다. 내다이아프램(312, 322)은 철골조립체의 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211) 내지 연결플레이트(220)와 동일한 두께의 플레이트로 마련되면서 충전구멍(H)이 형성되게 마련되어 외다이아프램(311, 321)과 동일한 레벨로 강관(100) 내부에 수평으로 접합 설치된다. 내다이아프램의 충전구멍(H)은 강관(100) 내부에서 내다이아프램(312, 322) 위아래로 콘크리트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데, 철골조립체(200)에서 CFT기둥으로의 응력흐름이 원활하게 유도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4(a)는 상부다이아프램의 내다아이프램(312)에 원형의 충전구멍(H)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도 4(b)는 하부다이아프램의 내다이아프램(322)에 길쭉한 타원형의 충전구멍(H)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특히 도 4(b)와 같이 한변이 오목하게 라운드처리된 하프플레이트 한쌍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됨으로써 한쌍의 하프플레이트 사이에 길쭉한 타원형의 충전구멍이 형성되는 구조의 내다이아프램(322)은 응력전달 및 콘크리트 충전에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변방향으로 H형강보(B)가 접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H형강보(B)는 상부플랜지가 상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11)에 접합되고, 하부플랜지가 CFT기둥의 강관(100) 외부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설치를 위해 H형강보(B)는 상부플랜지가 하부플랜지보다 짧은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스티프너(330), 커버플레이트(340)가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의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며,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의 형태, 하부다이어프램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제3실시예에서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는 연결플레이트(220)가 한쌍의 T형강(210)보다 연장 돌출된 형태가 되는데, 그 결과 하부다이아프램은 외다이아프램이 별도 마련되지 않고 철골조립체의 연결플레이트(220)가 CFT기둥의 강관(100)에 직접 접합된다. 철골조림체의 연결플레이트와 동일한 레벨로 강관(100) 내부에 하부다이아프램의 내다이아프램(322)이 접합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강관
200: 철골조립체
210: T형강
220: 연결플레이트
311, 321: 외다이아프램
312, 322: 내다이아프램
330: 보강스티프너
340: 커버플레이트
B: H형강보

Claims (8)

  1. 강관(100)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CFT기둥;
    철골조립체(200)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와이드 합성보;
    상기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의 춤과 너비에 맞춰, 철골조립체(200)의 상·하부면과 동일한 레벨로 상기 CFT기둥의 강관(100) 외부에 접합 설치되는 상·하부다이아프램;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는, 한쌍의 T형강(210)이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면서 상부플랜지(211)에 의한 너비가 상기 CFT기둥의 강관(100) 폭보다 넓게 배치된 상태에서 한쌍의 T형강의 웨브(212) 하단이 연결플레이트(220)로 연결됨으로써 한쌍의 T형강(210)과 연결플레이트(220)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다이아프램은, 상기 철골조립체의 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211)와 동일한 너비 및 두께의 플레이트로 마련되어 상기 CFT기둥의 강관(100) 외부 둘레를 둘러싸게 수평으로 접합 설치되는 외다이아프램(311);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는, 한쌍의 T형강의 상부플랜지(211)가 상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311)에 이어져 접합되고, 연결플레이트(220)가 하부다이어프램(320)에 이어져 접합되며,
    상기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는, 한쌍의 T형강의 웨브(212) 사이에 의한 너비가 상기 CFT기둥의 강관(100) 폭보다 넓게 배치된 상태에서 한쌍의 T형강의 웨브(212) 하단이 연결플레이트(220)로 연결되는 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다이아프램은, 상기 철골조립체의 연결플레이트(220)와 동일한 너비 및 두께의 플레이트로 마련되어 상기 CFT기둥의 강관(100) 외부 둘레를 둘러싸게 수평으로 접합 설치되는 외다이아프램(321);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는, 연결플레이트(220)가 하부다이어프램의 외다이아프램(321)에 이어져 접합되며,
    상기 상·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과 T형강의 웨브 사이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상·하부다이아프램의 외다이아프램 상호 간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수직스티프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하부다이아프램은, 상기 철골조립체의 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211)와 동일한 두께의 플레이트로 충전구멍(H)이 형성되게 마련되어 상기 CFT기둥의 강관(100) 내부에 수평으로 접합 설치되는 내다이아프램(3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상부다이아프램은, 상기 철골조립체의 한쌍의 T형강 상부플랜지(211)와 동일한 두께의 플레이트로 충전구멍(H)이 형성되게 마련되어 상기 CFT기둥의 강관(100) 내부에 수평으로 접합 설치되는 내다이아프램(3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상부다이아프램의 내다이아프램(312)은, 한변이 오목하게 라운드처리된 하프플레이트 한쌍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됨으로써 한쌍의 하프플레이트 사이에 충전구멍(H)이 형성되게 마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와이드 합성보의 철골조립체(200)는, H형강의 웨브 가운데를 절단하여 확보한 한쌍의 T형강(210)을 이용하면서 마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KR1020220161104A 2022-11-28 2022-11-28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Active KR10262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104A KR102625510B1 (ko) 2022-11-28 2022-11-28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104A KR102625510B1 (ko) 2022-11-28 2022-11-28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510B1 true KR102625510B1 (ko) 2024-01-16

Family

ID=8971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104A Active KR102625510B1 (ko) 2022-11-28 2022-11-28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5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041A (ko) 1999-10-14 2001-01-05 홍영표 연속적인 포장대의 자동적재장치
JP2001200587A (ja) * 2000-01-18 2001-07-27 Ohbayashi Corp 丸鋼管柱の柱梁仕口構造
KR20090105512A (ko) * 2008-04-03 2009-10-07 최진욱 철판거푸집과 보의 연결구조
KR101397991B1 (ko) * 2012-09-06 2014-05-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
KR20180061566A (ko) * 2016-11-29 2018-06-08 (주)엔테이지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KR101991638B1 (ko) 2018-06-25 2019-06-20 이정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041A (ko) 1999-10-14 2001-01-05 홍영표 연속적인 포장대의 자동적재장치
JP2001200587A (ja) * 2000-01-18 2001-07-27 Ohbayashi Corp 丸鋼管柱の柱梁仕口構造
KR20090105512A (ko) * 2008-04-03 2009-10-07 최진욱 철판거푸집과 보의 연결구조
KR101397991B1 (ko) * 2012-09-06 2014-05-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
KR20180061566A (ko) * 2016-11-29 2018-06-08 (주)엔테이지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KR101991638B1 (ko) 2018-06-25 2019-06-20 이정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48B1 (ko)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 시스템
KR102079008B1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CN105926674B (zh) 高强度城市地下综合管廊
US20150167289A1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KR101178381B1 (ko)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80575B1 (ko)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과 보 접합부 구조
KR101920417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KR102108335B1 (ko) 내진성능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철골보구조
CN106988484A (zh) 屈曲约束钢连梁及其钢板混凝土组合剪力墙结构体系
CN113062476A (zh) 一种重载大跨度组合梁-柱结构及施工方法
JP2020037775A (ja) ノンブレース鉄骨造建物その構築方法および柱脚ユニット
KR20090109678A (ko) Cft 기둥을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 방법
CN105821903A (zh) 框架式组合结构综合管廊
KR102625510B1 (ko) Cft기둥과 와이드 합성보의 접합구조
JP3320708B1 (ja) 鉄骨柱梁の接合構造、および鉄骨柱梁の接合工法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JP2886467B2 (ja) 閉鎖型断面の鉄骨柱と鉄骨梁の仕口構造
JP2009030319A (ja) 大スパン構造建築物
CN112049259A (zh) H型钢梁-柱连接内嵌连接件角钢节点及制备方法
GB2131849A (en) Structural framework
JP7155488B2 (ja) 構造物耐震補強構造
KR200358912Y1 (ko) 원형강관기둥과 h-형강철골보의 연결이음구조
JPS6349776B2 (ko)
CN109750752B (zh) 一种rcs混合框架梁柱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JP2002309591A (ja) 杭頭部と鋼製地中梁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