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837B1 -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837B1
KR102608837B1 KR1020230131077A KR20230131077A KR102608837B1 KR 102608837 B1 KR102608837 B1 KR 102608837B1 KR 1020230131077 A KR1020230131077 A KR 1020230131077A KR 20230131077 A KR20230131077 A KR 20230131077A KR 102608837 B1 KR102608837 B1 KR 102608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ansformer
coupled
module
vib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김태우
Original Assignee
금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양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8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는 변압기의 하부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변압기의 하부 받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변압기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과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스프링형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고 저면에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에어백형 지지부재; 및 상기 에어백형 지지부재의 공기압을 임계값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여 변압기가 탄성체 방식의 방진장치 지지부에 안착된 후 측부와 하부의 에어백 방식의 방진장치를 작동시켜 변압기가 외력이나, 전압과 전류의 변성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SUPPORT APPARATUS FOR PREVENTING VIBRATION OF SUBSTATION TRANSFORMERS}
본 발명은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소 변압기의 변압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지반과 같은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변압기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 및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에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과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의 집합체를 이른다.
이러한 변전소에 설치되는 시설물들로는 변압기, 단로기, 차단기, 조상설비, 피뢰기, 또는 배전반을 예로 들 수 있다.
변전소의 변압기는 전기를 공급하는 핵심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음을 유발하는 특성 때문에 변전소 주변 거주자들에 의한 민원의 제기가 빈발하였다. 따라서, 변전소 운영 사업자에게 있어서, 변압기의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 개발은 환경 소음 저감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한편, 종래에는 변전소 변압기는 통상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초부 바닥 위에 별도의 장치없이 얹어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변압기로부터 또는 변압기로의 진동이 변압기와 콘크리트 기초부 상호간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이 별도의 진동 저감 장치가 제공되지 아니하여 변압기로부터의 진동이 기초부에 전달되는 경우에는 변전소 주변으로 그 진동이 전달되어 주변 구조물의 진동에 의한 형상 파괴, 변전소 주변의 소음 발생에 의한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초부에서 발생하는 진동 예를 들어 자동차 운행에 의해 발생된 진동 또는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된 진동 등이 변압기에 전달되는 경우에는, 변압기 내부의 구조물 형상 파괴에 의한 변압기의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변압기의 작동으로 인한 진동, 변압기를 향해 전가되는 지반으로부터의 진동을 제거하는 방진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변압기에 적용된 내진 및 방진 기술을 설명하면, 변압기의 하단부에는, 변압기를 지면에 배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가 변압기와 지면 사이에 개재한다.
이러한 앵커 볼트에 의한 단순 체결의 경우, 지진에 의한 진동이 변압기로 직접 전달되어 변압기가 파손 되거나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1138호(2016.09.2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탄성체 방식의 방진장치와 에어백 방식의 방진장치을 구비하여, 변압기가 탄성체 방식의 방진장치 지지부에 안착된 후 측부와 하부의 에어백 방식의 방진장치를 작동시켜 변압기가 외력이나, 전압과 전류의 변성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탄성체 방식의 방진장치에서 수평부재를 사방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모든 횡방향 진동을 잡을 수 있는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는 변압기의 하부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변압기의 하부 받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변압기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과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스프링형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고 저면에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에어백형 지지부재; 및 상기 에어백형 지지부재의 공기압을 임계값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의 스프링형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링형 지지부재를 상기 하우징 부재와 결합되도록 하는 베이스 모듈; 다이아몬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변압기의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수직 지지모듈; 및 상기 수직 지지모듈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변압기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다각도에서 잡아주는 수평 지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의 수직 지지모듈은 직사각형의 판구조로 이루어진 제1 철판몸체의 단축 양단에 각각 복수의 결합링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하부 일단에 형성된 결합링이 상기 베이스 모듈의 결합링과 중앙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하부 일단에 형성된 결합링이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부 타단에 형성된 결합링과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 타단에 형성된 결합링이 상기 수평 지지모듈의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링과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동일한 구조로 세로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에서 하부가 상기 베이스 모듈과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는 제3 제지판; 상기 제2 지지판과 동일한 구조로 세로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에서 하부가 상기 제3 제지판의 상부와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수평 지지모듈과 결합되는 제4 지지판, 및 하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모듈에 결합되고, 상부 타단이 상기 수평 지지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변압기의 종방향 대하여 방진 작용을 하는 종방향 방진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의 수평 지지모듈은 원통형 구조로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변압기의 하부 받침부와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받침부 지지편; 타원형 구조로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으며, 상기 받침부 지지편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등 간격으로 개재되는 복수의 타원 탄성체; 및 상기 타원 탄성체의 단축 부분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과 타원 탄성체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 지지편과 상기 타원 탄성체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타원 탄성체 지지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의 타원 탄성체 지지쇼바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과 타원 탄성체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된 암형 지지쇼바; 상기 암형 지지쇼바의 중공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숫형 지지쇼바에 의해 압축되거나 압축해제되는 내측 지지 스프링; 하부 일단이 상기 암형 지지쇼바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측 지지 스프링을 압축하거나 압축해제하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 지지편과 타원 탄성체에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숫형 지지쇼바; 및 상기 암형 지지쇼바, 숫형 지지쇼바, 및 내측 지지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끼워져 상기 타원 탄성체의 단축 양단에 결합되는 외측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는 탄성체 방식의 방진장치에서 수평부재를 사방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모든 횡방향 진동을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는 탄성체 방식의 방진장치와 에어백 방식의 방진장치를 구비하여, 변압기가 탄성체 방식의 방진장치 지지부에 안착된 후 측부와 하부의 에어백 방식의 방진장치를 작동시켜 변압기가 외력이나, 전압과 전류의 변성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의 단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의 스프링형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의 종방향 방진쇼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의 수평 지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에 변압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에 설치된 변압기를 에어백형 지지부재가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는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의 단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는 하우징 부재(100), 스프링형 지지부재(200), 에어백형 지지부재(300), 및 제어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부재(100)는 변압기(1)의 하부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주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메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100)가 메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은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무엇보다 물고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 부재(100)는 콘크리트(2) 바닥면에 볼트(10) 너트(20)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데, 상기 너트(20)는 가로방향으로 지지핀(2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2) 타설시 매립된다.
상기 볼트(10)는 상기 하우징 부재(100)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2) 바닥면에 매립된 볼트(10)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 부재(100)를 고정시킨다.
상기 변압기(1)의 하부 받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변압기(1)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과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상기 스프링형 지지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모듈(210), 수직 지지모듈(220), 및 수평 지지모듈(23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모듈(210)은 상기 하우징 부재(100) 바닥면에 볼트 또는 앙카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형 지지부재(200)를 상기 하우징 부재(100)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 지지모듈(220)은 제1 지지판(221), 제2 지지판(222), 제3 제지판(223), 제4 지지판(224), 및 종방향 방진쇼바(225)를 포함하여 다이아몬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1 지지판(221)은 제1 철판몸체(221a) 및 결합링(2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철판몸체(221a)는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 상기 결합링(221b)은 복수개가 상기 철판몸체(221a)의 양 단축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은 결합되는 상기 제2 지지판(222), 또는 베이스 모듈(210)에 형성된 결합링(221b)과 딱 맞게 삽입이 가능한 정도의 간격이다.
이때, 상기 결합링(221b)이 상기 간격에 삽입될 때, 소정 두께의 고무 와셔(221d)가 개재될 수 있는 정도의 여유 간격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와셔(221d)는 금속재질의 결합링(221b)이 하절기의 무더위에 팽창하여 비틀림과 같은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결합봉(221c)이 삽입될 때 상기 결합링(221b) 사이에 회전 비틀림 스프링(221e)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판(221,222,223,224), 베이스 모듈(210), 또는 수평 지지모듈(230)간 회동하는 부분에 완충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 비틀림 스프링(221e)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판(221)과 베이스 모듈(21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지지판(221,222,223,224), 베이스 모듈(210), 또는 수평 지지모듈(230)간 회동하는 부분에 개재된다.
상기 회전 비틀림 스프링(221e)은 변압기의 변압 용량에 따른 무게에 따라 상이한데, 즉 변압기의 무게에 비례하여 탄성계수가 커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판(221)의 하부 일단에 형성된 결합링(221b)은 상기 베이스 모듈(210)의 상단면에 형성된 결합링(221b) 사이의 이격된 간격에 천공된 중앙의 홀이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이후, 결합봉(221c)이 일치된 상기 제1 지지판(221)과 베이스 모듈(210)의 결합링(221b)에 형성된 홀을 관통 삽입된 후, 반대측에서 해당 결합봉(221c) 말단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판(221)과 베이스 모듈(210)을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제1 지지판(221)의 상부 타단에 형성된 결합링(221b)은 상기 제2 지지판(222)의 하부 일단에 형성된 결합링(221b)과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봉(221c) 일치된 홀을 관통 삽입된 후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판(221)과 제2 지지판(222)의 결합이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지지판(222)의 상부 타단에 형성된 결합링(221b)은 상기 수평 지지모듈(230)의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링(221b)과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봉(221c) 일치된 홀을 관통 삽입된 후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판(222)과 수평지지모듈(230)의 결합이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 제지판(223)과 제4 지지판(224)은 각각 제1 지지판(221)과 제2 지지판(222)의 좌우로 대칭되게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지지판(223)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모듈(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제4 지지판(224)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4 지지판의 상단은 상기 수평 지지모듈(230)의 하단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제지판(223), 제4 지지판(224), 베이스 모듈(210), 및 수평 지지모듈(230) 사이의 구체적인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종방향 방진쇼바(225)는 하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모듈(210)에 결합되고, 상부 타단이 상기 수평 지지모듈(230)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21,222,223,224), 베이스 모듈(210), 또는 수평 지지모듈(230)간 회동하는 부분에 개재된 회전 비틀림 스프링(221e)과 함께 변압기의 종방향 대하여 방진 작용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방향 방진쇼바(225)는 암형 쇼바(225a), 숫형 쇼바(225b), 내측 스프링(225c), 및 외측 스프링(225d)을 포함한다.
상기 암형 쇼바(225a)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하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모듈(210)에 결합되고, 상부 타단이 개방되어 상기 숫형 쇼바(225b)의 하부 일단이 중공된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내측 스프링(225c)은 상기 암형 쇼바(225a)의 중공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숫형 쇼바(225b)에 의해 압축되거나 압축 해제된다.
상기 숫형 쇼바(225b)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일단이 상기 암형 쇼바(225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측 스프링(225c)을 압축하거나 압축해제하고, 상부 타단이 상기 수평 지지모듈(230)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외측 스프링(225d)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암형 쇼바(225a), 숫형 쇼바(225b), 및 내측 스프링(225c)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끼워져 상하부가 각각 상기 수평 지지모듈(230)과 베이스 모듈(210)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 지지모듈(230)은 상기 수직 지지모듈(220)의 지지를 받아 해당 수직 지지모듈(220) 상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 지지모듈(230)은 상기 제3 지지판(223)과 상기 제4 지지판(224)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링(221b)과 결합봉(221c)에 의해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수평 지지모듈(230)의 구조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지지모듈(230)은 하우징(231), 받침부 지지편(232), 타원 탄성체(233), 및 타원 탄성체 지지쇼바(23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31)은 지름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원통형 구조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 지지편(232)은 상기 하우징(231)의 중심에 위치하고 원통형 구조이고, 상부가 상기 변압기(1)의 하부 받침부와 대응되는 구조를 갖으며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타원 탄성체(233)는 타원형 구조로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으며, 상기 받침부 지지편(232)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231) 내주면 사이에 복수개가 등 간격으로 개재된다.
상기 타원 탄성체 지지쇼바(234)는 상기 타원 탄성체(233)의 단축 부분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231)과 타원 탄성체(233)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 지지편(232)과 상기 타원 탄성체(233)를 관통하여 나사결합 된다.
참고로, 상기 나사에 의한 결합은 필요에 따라 용접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형태의 다른 결합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타원 탄성체 지지쇼바(234)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원 탄성체 지지쇼바(234)는 암형 지지쇼바(234a), 숫형 지지쇼바(234b), 내측 지지 스프링(234c), 및 외측 지지 스프링(234d)을 포함한다.
상기 암형 지지쇼바(234a)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231)과 타원 탄성체(233)에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상기 숫형 지지쇼바(234b)의 일단이 중공된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내측 지지 스프링(234c)은 상기 암형 지지쇼바(234a)의 중공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숫형 지지쇼바(234b)에 의해 압축되거나 압축해제된다.
상기 숫형 지지쇼바(234b)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일단이 상기 암형 지지쇼바(234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측 지지 스프링(234c)을 압축하거나 압축해제하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 지지편(232)과 타원 탄성체(233)에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외측 지지 스프링(234d)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암형 지지쇼바(234a), 숫형 지지쇼바(234b), 및 내측 지지 스프링(234c)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끼워져 상기 타원 탄성체(233)의 단축 양단에 결합된다.
상기 에어백형 지지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부재(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에어 지지부(310), 저면 에어 지지부(320), 공기압 센서(330), 및 에어 흡배기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에어 지지부(310)는 상기 하우징 부재(1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변압기(1)가 횡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횡방향 완충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저면 에어 지지부(320)는 상기 하우징 부재(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변압기(1)의 바닥면을 지지하면서 해당 변압기(1)가 종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종방향 완충을 담당한다.
상기 측면 에어 지지부(310)와 저면 에어 지지부(320)는 에어튜브(311, 321)와 고무패드(312, 322)로 구성되는데, 상기 에어튜브(311, 321)는 상기 하우징 부재(100)의 측면 또는 저면에 결합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된다.
상기 고무패드(312, 322)는 상기 에어튜브(311, 321)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변압기(1)의 측면 또는 저면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해당 에어튜브(311, 321)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변압기(1)를 가압하여 측면과 저면을 지지하면서 회방향 진동 또는 종방향 진동을 흡수한다.
상기 공기압 센서(330)는 상기 측면 에지 지지부(310)와 저면 에어 지지부(320)의 에어튜브(311, 321) 내부에 형성되어 해당 에어튜브(311, 321)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한다.
상기 공기압 센서(330)가 측정한 공기압 값은 상기 제어부재(400)에 전달된다.
상기 에어 흡배기부(340)는 상기 하우징 부재(100)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압 센서(330)가 측정한 에어튜브(311, 321) 내부의 공기압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재(400)의 제어를 받아 임계값 이상인 경우 에어튜브(311, 321) 내부의 에어를 흡입하여 공기압을 낮춰주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 에어튜브(311, 321) 내부에 에어를 배기하여 공기압을 올려준다.
상기 제어부재(400)는 상기 하우징 부재(100)에 형성되고,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압 센서(330)가 측정한 공기압 값을 수신하여 해당 공기압 값이 임계값 이상인지 이하인지 판단하여 상기 에어 흡배기부(340)를 제어한다.
상기 에어백형 지지부재(300)는 측면 에어 지지부(310)와 저면 에어 지지부(320)가 팽창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압기(1)를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볼트
20 : 너트
21 : 지지핀
100 : 하우징 부재
200 : 스프링형 지지부재
210 : 베이스 모듈
220 : 수직 지지모듈
221 : 제1 지지판
221a : 철판몸체
221b : 결합링
221c : 결합봉
221d : 고무 와셔
221e : 회전 비틀림 스프링
222 : 제2 지지판
223 : 제3 지지판
224 : 제4 지지판
225 : 종방향 방진쇼바
225a : 암형 쇼바
225b : 숫형 쇼바
225c : 내측 스프링
225d : 외측 스프링
230 : 수평 지지모듈
231 : 하우징
232 : 받침부 지지편
233 : 타원 탄성체
234 : 타원 탄성체 지지쇼바
234a : 암형 지지쇼바
234b : 숫형 지지쇼바
234c : 내측 지지 스프링
234d : 외측 지지 스프링
300 : 에어백형 지지부재
310 : 측면 에어 지지부
311 : 에어튜브
312 : 고무패드
320 : 저면 에어 지지부
321 : 에어튜브
322 : 고무패드
330 : 공기압 센서
340 : 에어 흡배기부
400 : 제어부재

Claims (4)

  1. 변압기의 하부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변압기의 하부 받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변압기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과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스프링형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고 저면에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에어백형 지지부재; 및
    상기 에어백형 지지부재의 공기압을 임계값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형 지지부재는
    상기 변압기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다각도에서 잡아주는 수평 지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 지지모듈은
    원통형 구조로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변압기의 하부 받침부와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받침부 지지편;
    타원형 구조로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으며, 상기 받침부 지지편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등 간격으로 개재되는 복수의 타원 탄성체; 및
    상기 타원 탄성체의 단축 부분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과 타원 탄성체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 지지편과 상기 타원 탄성체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타원 탄성체 지지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형 지지부재는
    상기 스프링형 지지부재를 상기 하우징 부재와 결합되도록 하는 베이스 모듈; 및
    다이아몬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변압기의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잡아주는 수직 지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모듈은
    직사각형의 판구조로 이루어진 제1 철판몸체의 단축 양단에 각각 복수의 결합링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하부 일단에 형성된 결합링이 상기 베이스 모듈의 결합링과 중앙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하부 일단에 형성된 결합링이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부 타단에 형성된 결합링과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 타단에 형성된 결합링이 상기 수평 지지모듈의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링과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동일한 구조로 세로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에서 하부가 상기 베이스 모듈과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는 제3 제지판;
    상기 제2 지지판과 동일한 구조로 세로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에서 하부가 상기 제3 제지판의 상부와 결합봉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수평 지지모듈과 결합되는 제4 지지판, 및
    하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모듈에 결합되고, 상부 타단이 상기 수평 지지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변압기의 종방향 대하여 방진 작용을 하는 종방향 방진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4. 삭제
KR1020230131077A 2023-09-27 2023-09-27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Active KR10260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077A KR102608837B1 (ko) 2023-09-27 2023-09-27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077A KR102608837B1 (ko) 2023-09-27 2023-09-27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837B1 true KR102608837B1 (ko) 2023-12-01

Family

ID=8912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077A Active KR102608837B1 (ko) 2023-09-27 2023-09-27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99951A (zh) * 2024-04-10 2024-07-05 沭阳县通润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组合式防渗室外集成配电柜
CN118782349A (zh) * 2024-07-29 2024-10-15 北京城中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振控稳流电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151B1 (ko) * 2013-08-19 2013-12-13 (주)설악전기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394535B1 (ko) * 2013-11-21 2014-05-14 박정배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661138B1 (ko) 2016-06-17 2016-10-10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KR102392476B1 (ko) * 2022-01-03 2022-04-29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수배전반 안전을 위한 내진장치
KR102427497B1 (ko) * 2021-11-18 2022-08-01 주식회사 탐라계전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151B1 (ko) * 2013-08-19 2013-12-13 (주)설악전기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394535B1 (ko) * 2013-11-21 2014-05-14 박정배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661138B1 (ko) 2016-06-17 2016-10-10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KR102427497B1 (ko) * 2021-11-18 2022-08-01 주식회사 탐라계전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2392476B1 (ko) * 2022-01-03 2022-04-29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수배전반 안전을 위한 내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99951A (zh) * 2024-04-10 2024-07-05 沭阳县通润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组合式防渗室外集成配电柜
CN118782349A (zh) * 2024-07-29 2024-10-15 北京城中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振控稳流电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837B1 (ko)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CN107327535A (zh) 一种用于变电站电气设备的叠层式金属橡胶隔震支座
CN108869626A (zh) 一种金字塔型可调节式隔振平台
KR101991284B1 (ko) 댐핑장치
KR102077294B1 (ko) 전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장치용 면진 장치
KR101752842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CN105406374B (zh) 一种可调节安装位置的抗震型变电站支柱设备连接装置
CN110762156A (zh) 一种用于换流阀塔的预张力阻尼悬挂减振装置
KR101520906B1 (ko) 하이브리드 내진 수배전반
CN104376972A (zh) 一种500kV变压器隔震结构及安装方法
CN104976432A (zh) 一种管路隔振抗冲弹性支吊架
KR102341159B1 (ko)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
CN110770464A (zh) 联接设备、支撑结构和方法
KR101757826B1 (ko) 수배전반의 내진 장치
KR20200094969A (ko) 면진 및 공진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EP0131758B1 (en) High voltage thyristor valve
CN206481017U (zh) 一种母线组件及使用该母线组件的gis设备
JP3779000B2 (ja) 免震装置
CN109869034B (zh) 一种用于输电塔的减振装置
CN204590299U (zh) 三向多重环式调谐质量阻尼器减震装置
KR102472187B1 (ko) 리프트업 응력 감쇠를 포함한 3축 진동 감쇠 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CN210111416U (zh) 一种抽出式开关柜防护装置
KR102358917B1 (ko) 진동감쇠기능이 강화된 함체
CN214784937U (zh) 竖向可脱离的建筑用橡胶支座
JPS601723B2 (ja) ブツシ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