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301B1 - Digital map making system using 3-dimensional data - Google Patents
Digital map making system using 3-dimensional dat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5301B1 KR102605301B1 KR1020230055314A KR20230055314A KR102605301B1 KR 102605301 B1 KR102605301 B1 KR 102605301B1 KR 1020230055314 A KR1020230055314 A KR 1020230055314A KR 20230055314 A KR20230055314 A KR 20230055314A KR 102605301 B1 KR102605301 B1 KR 102605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body
- lifting
- unit
- coupled
- bevel ge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은, 지중시설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준점적용장치, 항공기에 설치되는 GNSS장치,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3개 이상의 상기 기준점적용장치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GNSS장치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수신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촬영장; 및 상기 촬영장치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 및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을 포함하는 수치지도제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3D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coordinate signals from a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placed on top of an underground facility, a GNSS device installed on an aircraft, a camera for photographing terrain, and three or more of th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s. A filming location including a receiving receiver, the GNSS device,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mera and the receiver; and a video image DB that stores video images collect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a drawing image DB that stores drawing images drawn based on the video images, an image editing module that synthesizes and edits multiple video images, video images or drawings.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igital map maker including a coordinate synthesis module for synthesizing GNSS coordinates to an image and a video drawing module for creating a drawing image based on a video im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시설물을 기준점으로 하여 수치지도를 제작 시 기준점의 역할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동시에 기준점의 변화가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수정 및 갱신되게 함으로써, 수치지도의 3차원위치정보를 더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미사용시에는 외부의 노출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늘릴 수 있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when producing a digital map using underground facilities as a reference point, the role of the reference point is stably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if there is a change in the reference point, it is detected and corrected and updated. By doing so, the 3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map can be displayed more accurately, and when not in use, it is stably protected by preventing external exposure, and the production of a digital map using 3D data that improves durability and extends lifespan. It's about the system.
일반적으로 3차원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수치지도는 항공촬영 및 지상촬영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치지도의 제작을 위해 수집된 이미지들은 이웃하는 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완전한 일체의 이미지로 형성되어 수치지도로 완성된다.In general, digital maps that record 3D location information are created from images collected through aerial photography and ground photography, and the images collected for the production of digital maps are created as a complete image through interconnection between neighboring images. It is formed and completed as a numerical map.
여기서, 수치지도의 제작을 위해 수집된 이미지들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는 해당 이미지들 간 정확한 연결을 위한 기준이 필요하고, 이렇게 기준을 정확히 설정하기 위해서는 GNSS좌표에 따른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 및 지상영상이미지의 촬영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GNSS좌표별로 항공촬영 및 지상촬영을 정확히 수행해서 상기 GNSS좌표별로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 및 지상 영상이미지를 수집해야 하는 것이다.Here, in order to interconnect the images collected for the production of digital maps, a standard for accurate connection between the images is needed. In order to accurately set the standard, it is necessary to capture accurate aerial video images and ground video images according to GNSS coordinates. This must come first. In other words, aerial photography and ground photography must be accurately performed for each GNSS coordinate to collect accurate aerial video images and ground video images for each GNSS coordinate.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촬영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 요구되고, 이러한 기준점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또한 요구된다.And for this, a reference point is required to serve as a standard for filming, and a device that can display this reference point externally is also required.
종래에는 카메라가 신호 또는 빛을 수신해서 해당 지점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 장치들은 자체적으로 조사하는 빛을 카메라가 정확히 수신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부분이었고, 특히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되고 자체 관리되는 기능이 전무했으므로, 장치의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해당 장치가 수행하는 기준점의 역할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이유가 되므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In the past, various devices have been proposed that allow a camera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a point by receiving a signal or light. However, most conventional devices were based on technology that allowed cameras to accurately receive and photograph self-irradiating light, and in particular, there was no function to protect from external contamination and self-manage, so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device's lifespan being short. And this problem was a problem that needed to be solved urgently, as it was the reason why the device could not fully fulfill its role as a reference point.
또한, 지중시설물을 기준점으로 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경우, 지중시설물의 위치에 기준점표시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지중시설물의 고정된 좌표값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producing a digital map using an underground facility as a reference point, a reference point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t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to display the fixed coordinate value of the underground facility.
그러나 지중시설물이 지진이나 지반의 침하 또는 약화 등에 의해 그 위치가 변하는 경우 지상에 설치된 기준점표시장치가 표시하는 좌표값과 실제 지중시설물의 좌표값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location of an underground facility changes due to an earthquake or ground subsidence or weaken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ordinate values displayed by the reference point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ground do not match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actual underground facility.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technical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s background technolog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it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중시설물을 기준점으로 하여 수치지도를 제작 시 기준점의 역할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동시에 기준점의 변화가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수정 및 갱신되게 함으로써, 수치지도의 3차원위치정보를 더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미사용시에는 외부의 노출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늘릴 수 있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bly perform the role of a reference point when producing a digital map using underground facilities as a reference point, and at the same time detect any change in the reference point and allow it to be corrected and updated, thereby creating a three-dimensional digital map. It provides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3D data that allows loc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more accurately, protects the system stably by preventing external exposure when not in use, and improves durability to extend lifespa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중시설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준점적용장치; 항공기에 설치되는 GNSS장치,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3개 이상의 상기 기준점적용장치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GNSS장치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수신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점적용장치로부터의 좌표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방법으로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좌표신호에 각각 포함된 GNS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의 절대위치를 연산하며 상기 절대위치와 상기 GNSS장치의 GNSS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촬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 및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을 포함하는 수치지도제작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점적용장치는, 상기 지중시설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크류 구동부; 상기 스크류 구동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승강 장치; 상기 승강 장치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승강되어 설치된 위치의 GNSS좌표값을 포함한 좌표신호를 송출하는 제1 송신부; 상기 지중시설물의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바디의 좌표와 실제 상기 지중시설물의 좌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동신호를 송출하는 제2송신부;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송신부의 상승 시 상기 제1 송신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개폐 구동부;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의 조도 신호에 따라 주간에는 상기 제1송신부가 좌표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가 설치된 지점의 GNSS좌표값을 입력받아 전송하는 제어부; 및 일단은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부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중시설물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상단 내부의 하부판에 고정설치되는 광센서, 상기 연결관의 하단 내부의 상기 지중시설물에 고정설치되는 반사판이 구비되어 상기 지중시설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에 마련된 지지 블록에 결합되는 구동 하우징; 상기 구동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모터; 일측부는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1 베벨기어; 일측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에 기어 맞물림되고 타측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2 베벨기어; 일측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에 기어 맞물림되고 타측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베벨기어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3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제1 송신부의 제1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1 승강부; 상기 제2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제1 송신부의 제2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2 승강부; 및 상기 제3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제1 송신부의 제3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3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같이 회전되는 제1 스크류; 상기 제1 스크류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스크류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1 승강받침대; 상기 제1 승강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승강받침대와 같이 승강되며 상기 제1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1 승강포스트; 및 상기 구동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승강받침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2 베벨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베벨기어와 같이 회전되는 제2 스크류; 상기 제2 스크류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스크류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2 승강받침대; 상기 제2 승강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승강받침대와 같이 승강되며 상기 제2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2 승강포스트; 및 상기 구동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승강받침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승강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3 베벨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3 베벨기어와 같이 회전되는 제3 스크류; 상기 제3 스크류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3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스크류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3 승강받침대; 상기 제3 승강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제3 승강받침대와 같이 승강되며 상기 제3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3 승강포스트; 및 상기 구동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제3 승강받침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송신부의 상승 시 상기 제1 송신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송신부의 상승 시 상기 제1 송신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주간에는 상기 승강 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송신부를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상승됨과 아울러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베이스 바디의 밀폐된 영역을 개방시키며, 야간에는 상기 승강 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송신부를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로 하강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베이스 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an underground facility; A GNSS device installed on an aircraft, a camera for photographing terrain features, a receiver that receives coordinate signals from three or mor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NSS device, the camera, and the receiver, and coordinates from th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Track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aircraft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calculate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aircraft through the GNSS coordinate values included in each coordinate signal, and compare the absolute position with the GNSS position signal of the GNSS device. A film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ler that checks the video image while designating the filming area as a re-filming area when a difference exceeds a standard value occurs; and a video image DB that stores video images collect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a drawing image DB that stores drawing images drawn based on the video images, an image editing module that synthesizes and edits multiple video images, video images or drawings. A digital map maker including a coordinate synthesis module for synthesizing GNSS coordinates to an image and a video drawing module for creating a drawing image based on a video image, wherein th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includes a base body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ground facility. ; A screw driv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ase body; A lifting device connected to the screw drive unit and raised and lowered; a first transmitting unit provided in the lift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coordinate signal including GNSS coordinate values of a location that is lifted and installed outside of the base body; a second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movement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moves and the coordinates of the base body do not match the actual coordinates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 opening/closing drive unit provided on the base body and guiding the first transmission uni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when the first transmission unit rises; An illuminance sensor provided on the base body;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transmitter to transmit coordinate signals during the da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signal from the illuminance sensor and receives and transmits GNSS coordinates of the point where the base body is installed; and a connecto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of the base body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 optical sensor fixed to the lower plate inside the top of the connector, and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It includes a position detection unit provided with a reflector fixed to the underground facility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the screw drive unit includes a drive housing coupled to a support block provided inside the base body; a drive motor provided inside the drive housing; a first bevel gear whos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whose other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housing; a second bevel gear whose one side is 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and whose other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housing; One side is gear-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housing and includes a third bevel gear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bevel gear, and the lifting device includes the first bevel gear. A first lifting unit connected to a gear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to which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coupled; a second lift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bevel gear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to which a second transmitter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coupled; And a third lifting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third bevel gear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to which the third transmitter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coupled, wherein the first lifting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bevel gear through the driving housing and said 1 A first screw that rotates like a bevel gear; a first lifting suppor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screw and being lift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screw by rotation of the first screw; A first lifting post provided on the first lifting support and being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first lifting support and to which the first transmitter is coupled; and a first guide provided in the driving housing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lifting support, wherein the second lifting part is coupled to the second bevel gear through the driving housing and rotates like the second bevel gear. a second screw; a second lifting suppor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second screw and being lift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screw by rotation of the second screw; a second lifting post provided on the second lifting pedestal,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second lifting pedestal, and to which the second transmitter is coupled; and a second guide provided in the driving housing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econd lifting support, and the third lifting part is coupled to the third bevel gear through the driving housing and rotates like the third bevel gear. a third screw; a third lifting suppor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third screw and being lift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hird screw by rotation of the third screw; A third lifting post provided on the third lifting support and being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third lifting support and to which the third transmitter is coupled; and a third guide provided in the driving housing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third lifting support,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driving unit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ase body, so that when the first transmitting unit rises,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base body. a first driving unit mov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and a second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ase body and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when the first transmitting unit rises, and the control unit is operated during the day. The lifting device is driven to raise the first transmitt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and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re operated to open the sealed area of the base body, and the lifting device is driven at night.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three-dimensional data can be provided that lowers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nto the interior of the base body and operates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to cover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there is.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기 개방된 영역의 일부 영역을 덮는 제1 커버;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커버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 일측부는 상기 제1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1 구동실린더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커버와 같이 이동되는 제1 덮개; 일측부는 상기 제1 덮개의 저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1 구동실린더의 상면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구동실린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롤러를 스토핑시키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기 개방된 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덮는 제2 커버;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커버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실린더; 일측부는 상기 제2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구동실린더에 지지되어 상기 제2 커버와 같이 이동되는 제2 덮개; 일측부는 상기 제2 덮개의 저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2 구동실린더의 상면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제2 롤러; 및 상기 제2 구동실린더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롤러를 스토핑시키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제1 송신기가 통과되는 제1 홀, 상기 제2 송신기가 통과되는 제2 홀, 상기 제3 송신기가 통과되는 제3 홀이 마련되고,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제1 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 상기 제2 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제3 홀이 마련된 상기 베이스 바디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over covering a portion of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a first driving cylinder provided on the base body to move the first cover; a first cove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cov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first driving cylinder and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cover; a first roller,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v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cylinder; and a first stopper provided on the first driving cylinder to stop the first roller, wherein 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second cover covering the remaining area of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a second driving cylinder provided on the base body to move the second cover; a second cove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cov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econd driving cylinder and moved together with the second cover; a second roller,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cov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cylinder; and a second stopper provided on the second driving cylinder to stop the second roller, wherein the base body includes a firs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transmitter passes, a second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transmitter passes, and A third hole through which a third transmitter passes is provided, and the opening/closing driver includes the base body in the area where the first hole is provided, the base body in the area where the second hole is provided, and the base body where the third hole is provided. Each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중시설물을 기준점으로 하여 수치지도를 제작 시 기준점의 역할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동시에 기준점의 변화가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수정 및 갱신되게 함으로써, 수치지도의 3차원위치정보를 더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미사용시에는 외부의 노출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늘릴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perform the role of a reference point when producing a digital map using underground facilities as a reference point, and at the same time detect any change in the reference point and allow it to be corrected and updated, thereby providing 3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map. It allows for more accurate display, and when not in use, it prevents exposure to the outside, providing stable protection, and improving durability to extend lifesp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준점적용장치와 지중시설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송신기의 상부 영역의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개폐 구동부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개폐 구동부의 작동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with improved accuracy using 3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and underground facilities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n opening/closing driver provided on the base body of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transmitter shown in FIG. 2.
FIG. 4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the opening/closing driving unit shown in FIG. 2.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준점적용장치와 지중시설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송신기의 상부 영역의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개폐 구동부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개폐 구동부의 작동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with improved accuracy using 3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and underground facilities shown in Figure 1. It is a drawing, and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unit provided in the base body of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transmitter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n operating diagram of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unit shown in FIG. 2. .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은, 지중시설물(10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준점적용장치(A); 항공기에 설치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장치(11),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 3개 이상의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 상기 GNS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의 좌표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방법으로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좌표신호에 각각 포함된 GNS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의 절대위치를 연산하며, 상기 절대위치와 상기 GNSS장치(11)의 GNSS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14)를 포함하는 촬영장치(10); 상기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21),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 및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을 포함하는 수치지도제작기(2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with improved accuracy using 3D dat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A)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기준점적용장치(A)는, 상기 지중시설물(10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100)와,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크류 구동부(200)와, 상기 스크류 구동부(200)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승강 장치(300)와, 상기 승강 장치(300)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승강되어 설치된 위치의 GNSS좌표값을 포함한 좌표신호를 송출하는 제1 송신부(400)와, 상기 지중시설물(1000)의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좌표와 실제 상기 지중시설물(1000)의 좌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동신호를 송출하는 제2송신부와, 상기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송신부(400)의 상승 시 상기 제1 송신부(400)가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개폐 구동부(600)와, 상기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는 조도센서와, 상기 조도센서의 조도 신호에 따라 주간에는 상기 제1송신부가 좌표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100)가 설치된 지점의 GNSS좌표값을 입력받아 전송하는 제어부(800)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하부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중시설물(100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연결관(910), 상기 연결관(910)의 상단 내부의 하부판에 고정설치되는 광센서(920), 상기 연결관(910)의 하단 내부의 상기 지중시설물(1000)에 고정설치되는 반사판(930)이 구비되어 상기 지중시설물(10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900)를 포함한다.Th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A) includes a
베이스 바디(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시설물(1000)의 상부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스크류 구동부(200)와 승강 장치(300)가 마련되고, 외부에는 제1 송신부(400)와 제2 송신부(500)와 조도 센서(700)와 제어부(800)와 위치감지부(900)가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110)이 마련되어 제1 송신기(410)의 승강 통로로 제공될 수 있고, 좌측벽에는 제2 홀(120)이 마련되어 제2 송신기(420)의 승강 통로로 제공될 수 있고, 우측벽에는 제3 홀(130)이 마련되어 제3 송신기(430)의 승강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a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내측 바닥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블록(140)이 마련되어 스크류 구동부(200)의 구동 하우징(210)을 지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a
스크류 구동부(200)는, 승강 장치(300)를 승강시켜 승강 장치(300)에 마련된 제1 송신부(400)를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승강시킬 수 있다.The
본 실시 예에서 스크류 구동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블록(140)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동 하우징(210)과, 구동 하우징(2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모터(220)와, 일측부는 구동 모터(220)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구동 하우징(210)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1 베벨기어(230)와, 일측부는 제1 베벨기어(230)에 기어 맞물림되고 타측부는 구동 하우징(210)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2 베벨기어(240)와, 일측부는 제1 베벨기어(230)에 기어 맞물림되고 타측부는 구동 하우징(210)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제2 베벨기어(24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3 베벨기어(25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 예에서 제1 베벨기어(230)와 제2 베벨기어(240)와 제3 베벨기어(250)는 서로 90도 각도록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고, 구동 모터(220)와 연결된 제1 베벨기어(230)가 회전되면 제2 베벨기어(240)와 제3 베벨기어(250)도 회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베벨기어(230)와 제2 베벨기어(240)와 제3 베벨기어(250)는 구동 하우징(210)에 마련된 베어링 부재에 의해 회전되게 구동 하우징(210)에 지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승강 장치(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구동부(200)에 연결되어 승강되어 제1 송신부(400)를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상승시키거나 제1 송신부(400)를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로 하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본 실시 예에서 승강 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벨기어(230)와 연결되어 승강되며 제1 송신부(400)의 제1 송신기(410)가 결합되는 제1 승강부(310)와, 제2 베벨기어(240)와 연결되어 승강되며 제1 송신부(400)의 제2 송신기(420)가 결합되는 제2 승강부(320)와, 제3 베벨기어(250)와 연결되어 승강되며 제1 송신부(400)의 제3 송신기(430)가 결합되는 제3 승강부(33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 예에서 제1 승강부(310)는, 구동 하우징(210)을 통해 제1 베벨기어(230)와 결합되어 제1 베벨기어(230)와 같이 회전되는 제1 스크류(311)와, 제1 스크류(311)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제1 스크류(311)의 회전에 의해 제1 스크류(311)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1 승강받침대(312)와, 제1 승강받침대(312)에 마련되어 제1 승강받침대(312)와 같이 승강되며 제1 송신기(410)가 결합되는 제1 승강포스트(313)와, 구동 하우징(210)에 마련되어 제1 승강받침대(31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314)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 예에서 제2 승강부(320)는, 구동 하우징(210)을 통해 제2 베벨기어(240)와 결합되어 제2 베벨기어(240)와 같이 회전되는 제2 스크류(321)와, 제2 스크류(321)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제2 스크류(321)의 회전에 의해 제2 스크류(321)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2 승강받침대(322)와, 제2 승강받침대(322)에 마련되어 제2 승강받침대(322)와 같이 승강되며 제2 송신기(420)가 결합되는 제2 승강포스트(323)와, 구동 하우징(210)에 마련되어 제2 승강받침대(32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324)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 예에서 제3 승강부(330)는, 구동 하우징(210)을 통해 제3 베벨기어(250)와 결합되어 제3 베벨기어(250)와 같이 회전되는 제3 스크류(331)와, 제3 스크류(331)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제3 스크류(331)의 회전에 의해 제3 스크류(331)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3 승강받침대(332)와, 제3 승강받침대(332)에 마련되어 제3 승강받침대(332)와 같이 승강되며 제3 송신기(430)가 결합되는 제3 승강포스트(333)와, 구동 하우징(210)에 마련되어 제3 승강받침대(33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334)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 예는 제1 베벨기어(230)가, 도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스크류(311)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스크류(311)와 나사 결합된 제1 승강받침대(312)는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제2 베벨기어(24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스크류(321)와 나사 결합된 제2 승강받침대(322)를 상승시킬 수 있고, 제3 베벨기어(25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3 스크류(331)와 나사 결합된 제3 승강받침대(332)를 상승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제1 송신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포스트(31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송신기(410)와, 제2 승강포스트(32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송신기(420)와, 제3 승강포스트(33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3 송신기(4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본 실시 예에서 제1 송신부(400)는 제어부(8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신호를 일정세기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참고로, 좌표신호에는 기준점적용장치(A)가 위치한 GNSS좌표값 및 기준점적용장치(A)의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고, GNSS좌표값 및 식별코드를 포함한 좌표신호는 통상적인 A/D변환 등을 통해 무선 송출되어 인접 지역을 통행 중인 항공기 또는 차량에 설치된 촬영장치(10)가 이를 수신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제2 송신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어 제어부(800)로부터 이동신호를 전송받아 송출하며, 이동신호와 함께 기준점적용장치(A)의 식별코드도 동시에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어떤 기준점적용장치(A)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알 수 있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개폐 구동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110)과 제2 홀(120)과 제3 홀(130)이 마련된 영역의 베이스 바디(100)에 각각 마련되며 제1 송신부(400)의 상승 시 개방되어 제1 송신부(4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시키며 제1 송신부(400)의 하강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져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opening and
본 실시 예에서 개폐 구동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외벽에 마련되어 제1 송신부(400)의 상승 시 제1 송신부(400)가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되는 제1 구동부(610)와, 베이스 바디(100)의 외벽에 마련되어 제1 송신부(400)의 상승 시 제1 송신부(400)가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구동부(61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구동부(620)와, 베이스 바디(100)의 외벽에 마련되어 제1 구동부(610)와 제2 구동부(6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630)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개폐 구동부(600)의 제1 구동부(6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상기 개방된 영역의 일부 영역을 덮는 제1 커버(611)와,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어 제1 커버(611)와 제1 로드(612a)로 연결되어 제1 커버(611)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612)와, 일측부는 제1 커버(61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구동실린더(612)에 지지되어 제1 커버(611)와 같이 이동되는 제1 덮개(613)와, 일측부는 제1 덮개(613)의 저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타측부는 제1 구동실린더(612)의 상면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제1 롤러(614)와, 제1 구동실린더(612)에 마련되어 제1 롤러(614)를 스토핑시키는 제1 스토퍼(61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개폐 구동부(600)의 제2 구동부(620)는, 베이스 바디(100)의 개방된 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덮는 제2 커버(621)와,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어 제2 커버(621)와 제2 로드(622a)로 연결되어 제2 커버(621)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실린더(622)와, 일측부는 제2 커버(62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 구동실린더(622)에 지지되어 제2 커버(621)와 같이 이동되는 제2 덮개(623)와, 일측부는 제2 덮개(623)의 저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타측부는 제2 구동실린더(622)의 상면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제2 롤러(624)와, 제2 구동실린더(622)에 마련되어 제2 롤러(624)를 스토핑시키는 제2 스토퍼(625)를 포함한다.The
개폐 구동부(600)의 가이드 레일(6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며 제1 커버(611)와 제2 커버(621)의 이동 시 제1 커버(611)와 제2 커버(621)의 하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조도 센서(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외벽에 마련되어 제어부(800) 의해 작동제어되어 외부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신호를 출력한다.As shown in FIG. 2, the
제어부(8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어 스크류 구동부(200)와 승강 장치(300)와 제1 송신부(400)와 제2 송신부(500)와 개폐 구동부(600)와 조도 센서(700)와 위치 감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800)는 베이스 바디(100)가 설치된 지점의 GNSS좌표값이 입력돼 상기 좌표신호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800)는 조도센서로부터 조도신호를 수신하여 주간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시키고 야간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정지시키고,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신호를 제1 송신부(400)를 매개로 송출하고, 광센서(920)로부터 출력되는 상술한 이동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베이스 바디(100)의 식별코드와 함께 제2 송신부(500)로 전송한다. 제어부(800)는 입력장치(i)와 디스플레이장치(ds)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나아가 제어부(800)는 주간에는 승강 장치(300)를 구동시켜 제1 송신부(400)를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상승됨과 아울러 제1 구동부(610)와 제2 구동부(620)를 작동시켜 베이스 바디(100)의 밀폐된 영역을 개방시키며, 야간에는 승강 장치(300)를 구동시켜 제1 송신부(400)를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로 하강함과 아울러 제1 구동부(610)와 제2 구동부(620)를 작동시켜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개방된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밀폐된 영역이란 제1 커버(611)와 제2 커버(621)에 의해 덮여진 공간을 의미하고, 개방된 영역은 제1 홀(110)의 영역, 제2 홀(120)의 영역, 제3 홀(130)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800)는 제1 송신부(400)가 같이 승강되거나 하강되게 제어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촬영장치(10)는 항공촬영을 위한 항공기에 설치되는 GNSS장치(11), 항공기에 설치되어 지형 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 기준점적용장치(A)의 송신기(700)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 항공기에 설치되어 GNS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는 컨트롤러(14)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GNS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 및 항공기는 항공촬영시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컨트롤러(14)는 GNS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며, GNSS장치(11)로부터의 GNSS위치신호와 수신기(13)로부터의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를 비교하여 GNSS위치신호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와 기준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면,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한다.The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GNSS장치(11)를 통해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항공기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추가로 수신한다. 이때, 3개의 기준점적용장치(A)는 각각 동일한 세기의 좌표신호를 송출하지만 항공기와의 거리차로 인해 촬영장치(10)가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좌표신호의 세기는 기준점적용장치(A)별로 모두 다르게 된다. 결국 컨트롤러(14)는 서로 다른 세기로 수신한 좌표신호를 통해 3개의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대비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에 포함된 GNS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가 위치한 절대위치에 대한 GNSS좌표값을 연산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확인된 상기 GNSS좌표값과 GNSS장치(11)에서 확인한 위치를 비교해서 차이가 있을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별도로 체크해 수정대상임을 분명히 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n aircraft that checks its current loc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참고로, 컨트롤러(14)는 기준점적용장치(A)에서 송출하는 좌표신호의 송출 세기를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신한 상기 좌표신호의 세기를 확인해서 해당 기준점적용장치(A)의 거리를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의 좌표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14)는 공지,공용의 삼각측량 방법을 통해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대비 항공기의 위치를 추적해 확인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수치지도제작기(20)는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21),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 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가 출력되고 수치지도제작기(2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 및 입력시키는 입출력모듈(26)을 포함한다. 또한, 수치지도제작기(20)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지리 및 공간정보를 도화이미지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수치지도의 해당 정보 클릭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수치지도가 되도록 제작하는 정보링크모듈(27)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이미지편집모듈(23)은 촬영장치(10)에서 수집한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연결 및 편집해서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영상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해 크기 및 해상도 등의 조정처리가 진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편집모듈(23)은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이미지의 출력 및 편집을 위해 공지,공용의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촬영이 요구되는 영상이미지는 편집시 언제든지 대체 가능하도록 처리되어서, 재촬영에 의한 새로운 영상이미지가 입력되면 해당 위치의 영상이미지가 교체되어 갱신되며 이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여 그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The
좌표합성모듈(24)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3차원 위치정보인 GNSS좌표를 합성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표시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3차원 위치정보인 좌표를 합성한다. 상기 기준점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며, 표시방법은 촬영을 통한 자연표시방법 또는 도화를 통한 인위적인 표시방법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The coordinate
영상도화모듈(25)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서면에 직접 도화하는 도화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온라인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한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영상도화모듈은 수치지도 제작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정보링크모듈(27)은 GIS시스템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상기 도화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해당 지점을 클릭할 경우 링크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작업자는 도화이미지 작성과정에서 GIS시스템의 특정 정보에 링크될 대상물을 대상물이미지로 상기 도화이미지에 표시한다.The
이렇게 완성된 수치지도는 입출력모듈(26)을 통해 출력된다.The numerical map completed in this way is output through the inpu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 : 기준점적용장치 10 : 촬영장치
11 : GNSS장치 12 : 카메라
13 : 수신기 14 : 컨트롤러
20 : 수치지도제작기 21 : 영상이미지DB
24 : 좌표합성모듈 25 : 영상도화모듈
100 : 베이스 바디 110 : 제1 홀
120 : 제2 홀 130 : 제3 홀
140 : 지지 블록 200 : 스크류 구동부
210 : 구동 하우징 220 : 구동 모터
230 : 제1 베벨기어 240 : 제2 베벨기어
250 : 제3 베벨기어 300 : 승강 장치
310 : 제1 승강부 311 : 제1 스크류
312 : 제1 승강받침대 313 : 제1 승강포스트
314 : 제1 가이드 320 : 제2 승강부
321 : 제2 스크류 322 : 제2 승강받침대
323 : 제2 승강포스트 324 : 제2 가이드
330 : 제3 승강부 331 : 제3 스크류
332 : 제3 승강받침대 333 : 제3 승강포스트
334 : 제3 가이드 400 : 제1 송신부
410 : 제1 송신기 420 : 제2 송신기
430 : 제3 송신기 500 : 제2 송신부
600 : 개폐 구동부 610 : 제1 구동부
611 : 제1 커버 612 : 제1 구동실린더
612a : 제1 로드 613 : 제1 덮개
614 : 제1 롤러 615 : 제1 스토퍼
620 : 제2 구동부 621 : 제2 커버
622 : 제2 구동실린더 622a : 제2 로드
623 : 제2 덮개 624 : 제2 롤러
625 : 제2 스토퍼 630 : 가이드 레일
700 : 조도 센서 800 : 제어부
900 : 위치감지부 910 : 연결관
920 : 광센서 930 : 반사판
1000 : 지중시설물 i : 입력장치
ds : 디스플레이장치A: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10: Photographing device
11: GNSS device 12: Camera
13: Receiver 14: Controller
20: Digital map maker 21: Video image DB
24: Coordinate synthesis module 25: Image drawing module
100: base body 110: first hole
120: 2nd hole 130: 3rd hole
140: support block 200: screw driving unit
210: drive housing 220: drive motor
230: 1st bevel gear 240: 2nd bevel gear
250: Third bevel gear 300: Elevating device
310: first lifting unit 311: first screw
312: first lifting support 313: first lifting post
314: first guide 320: second lifting unit
321: second screw 322: second lifting support
323: 2nd lifting post 324: 2nd guide
330: Third lifting unit 331: Third screw
332: Third lifting support 333: Third lifting post
334: Third guide 400: First transmitting unit
410: first transmitter 420: second transmitter
430: third transmitter 500: second transmitter
600: opening/closing driving unit 610: first driving unit
611: first cover 612: first driving cylinder
612a: first rod 613: first cover
614: first roller 615: first stopper
620: second driving unit 621: second cover
622:
623: second cover 624: second roller
625: second stopper 630: guide rail
700: Light sensor 800: Control unit
900: Position detection unit 910: Connector
920: Optical sensor 930: Reflector
1000: Underground facility i: Input device
ds: display device
Claims (1)
항공기에 설치되는 GNSS장치,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3개 이상의 상기 기준점적용장치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GNSS장치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수신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점적용장치로부터의 좌표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방법으로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좌표신호에 각각 포함된 GNS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의 절대위치를 연산하며 상기 절대위치와 상기 GNSS장치의 GNSS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촬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NS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 및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을 포함하는 수치지도제작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점적용장치는,
상기 지중시설물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크류 구동부;
상기 스크류 구동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승강 장치;
상기 승강 장치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승강되어 설치된 위치의 GNSS좌표값을 포함한 좌표신호를 송출하는 제1 송신부;
상기 지중시설물의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바디의 좌표와 실제 상기 지중시설물의 좌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동신호를 송출하는 제2송신부;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송신부의 상승 시 상기 제1 송신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개폐 구동부;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의 조도 신호에 따라 주간에는 상기 제1송신부가 좌표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가 설치된 지점의 GNSS좌표값을 입력받아 전송하는 제어부; 및
일단은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부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중시설물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상단 내부의 하부판에 고정설치되는 광센서, 상기 연결관의 하단 내부의 상기 지중시설물에 고정설치되는 반사판이 구비되어 상기 지중시설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에 마련된 지지 블록에 결합되는 구동 하우징;
상기 구동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모터;
일측부는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1 베벨기어;
일측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에 기어 맞물림되고 타측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2 베벨기어;
일측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에 기어 맞물림되고 타측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베벨기어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3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제1 송신부의 제1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1 승강부;
상기 제2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제1 송신부의 제2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2 승강부; 및
상기 제3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제1 송신부의 제3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3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같이 회전되는 제1 스크류;
상기 제1 스크류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스크류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1 승강받침대;
상기 제1 승강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승강받침대와 같이 승강되며 상기 제1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1 승강포스트; 및
상기 구동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승강받침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2 베벨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베벨기어와 같이 회전되는 제2 스크류;
상기 제2 스크류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스크류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2 승강받침대;
상기 제2 승강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승강받침대와 같이 승강되며 상기 제2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2 승강포스트; 및
상기 구동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승강받침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승강부는,
상기 구동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제3 베벨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3 베벨기어와 같이 회전되는 제3 스크류;
상기 제3 스크류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3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스크류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제3 승강받침대;
상기 제3 승강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제3 승강받침대와 같이 승강되며 상기 제3 송신기가 결합되는 제3 승강포스트; 및
상기 구동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제3 승강받침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송신부의 상승 시 상기 제1 송신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송신부의 상승 시 상기 제1 송신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주간에는 상기 승강 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송신부를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상승됨과 아울러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베이스 바디의 밀폐된 영역을 개방시키며, 야간에는 상기 승강 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송신부를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로 하강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베이스 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으며,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기 개방된 영역의 일부 영역을 덮는 제1 커버;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커버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
일측부는 상기 제1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1 구동실린더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커버와 같이 이동되는 제1 덮개;
일측부는 상기 제1 덮개의 저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1 구동실린더의 상면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구동실린더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롤러를 스토핑시키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기 개방된 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덮는 제2 커버;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커버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실린더;
일측부는 상기 제2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구동실린더에 지지되어 상기 제2 커버와 같이 이동되는 제2 덮개;
일측부는 상기 제2 덮개의 저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타측부는 상기 제2 구동실린더의 상면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제2 롤러; 및
상기 제2 구동실린더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롤러를 스토핑시키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제1 송신기가 통과되는 제1 홀, 상기 제2 송신기가 통과되는 제2 홀, 상기 제3 송신기가 통과되는 제3 홀이 마련되고,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제1 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 상기 제2 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제3 홀이 마련된 상기 베이스 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A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placed on top of an underground facility;
A GNSS device installed on an aircraft, a camera for photographing terrain features, a receiver that receives coordinate signals from three or mor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NSS device, the camera, and the receiver, and coordinates from th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Track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aircraft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calculate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aircraft through the GNSS coordinate values included in each coordinate signal, and compare the absolute position with the GNSS position signal of the GNSS device. A film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ler that checks the video image while designating the filming area as a re-filming area when a difference exceeds a standard value occurs; and
A video image DB that stores video images collect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a drawing image DB that stores drawing images drawn based on the video images, an image editing module that synthesizes and edits multiple video images, and a video image or drawing image. It includes a digital map maker including a coordinate synthesis module for synthesizing GNSS coordinates and a video drawing module for creating a drawing image based on a video image,
The reference point application device is,
A base body disposed on top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 screw driv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ase body;
A lifting device connected to the screw drive unit and raised and lowered;
a first transmitting unit provided in the lift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coordinate signal including GNSS coordinate values of a location that is lifted and installed outside of the base body;
a second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movement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moves and the coordinates of the base body do not match the actual coordinates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 opening/closing drive unit provided on the base body and guiding the first transmission uni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when the first transmission unit rises;
An illuminance sensor provided on the base body;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transmitter to transmit coordinate signals during the da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signal from the illuminance sensor and receives and transmits GNSS coordinates of the point where the base body is installed; and
A connector at one e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of the base body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 optical sensor fixed to the lower plate inside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and the above inside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It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fixed to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includes a posi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y,
The screw drive unit,
a drive housing coupled to a support block provided inside the base body;
a drive motor provided inside the drive housing;
a first bevel gear on one side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on the other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housing;
a second bevel gear whose one side is 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and whose other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housing;
One side is gear-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housing and includes a third bevel gear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bevel gear,
The lifting device is,
a first lif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bevel gear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to which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coupled;
a second lift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bevel gear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to which a second transmitter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coupled; and
It is connected to the third bevel gear to be lifted and includes a third lifting unit to which the third transmitter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coupled,
The first lifting unit,
A first screw coupled to the first bevel gear through the driving housing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bevel gear;
a first lifting suppor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screw and being lift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screw by rotation of the first screw;
A first lifting post provided on the first lifting support and being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first lifting support and to which the first transmitter is coupled; and
It includes a first guide provided in the driving housing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lifting support,
The second lifting unit,
a second screw coupled to the second bevel gear through the drive housing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econd bevel gear;
a second lifting suppor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second screw and being lift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screw by rotation of the second screw;
a second lifting post provided on the second lifting pedestal,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second lifting pedestal, and to which the second transmitter is coupled; and
It includes a second guide provided in the driving housing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econd lifting support,
The third lifting unit,
A third screw coupled to the third bevel gear through the drive housing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third bevel gear;
a third lifting suppor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third screw and being lift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hird screw by rotation of the third screw;
A third lifting post provided on the third lifting support and being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third lifting support and to which the third transmitter is coupled; and
It includes a third guide provided in the driving housing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third lifting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ase body and moved so that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when the first transmitting unit rises; and
a second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ase body and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when the first transmitting unit rises;
The control unit drives the lifting device during the day to raise the first transmitter to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and operates the first drive unit and the second drive unit to open the sealed area of the base body, and at night. Driving the lifting device to lower the first transmitting unit into the interior of the base body, and operating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to cover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The first driving unit,
a first cover covering a portion of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a first driving cylinder provided on the base body to move the first cover;
a first cove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cov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first driving cylinder and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cover;
a first roller,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v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cylinder; and
A first stopper provided on the first driving cylinder to stop the first roller,
The second driving unit,
a second cover covering the remaining area of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a second driving cylinder provided on the base body to move the second cover;
a second cove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cov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econd driving cylinder and moved together with the second cover;
a second roller,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cov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cylinder; and
It includes a second stopper provided on the second driving cylinder to stop the second roller,
The base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transmitter passes, a second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transmitter passes, and a third hole through which the third transmitter passes,
The opening/closing driving unit is provided on the base body in the area where the first hole is provided, the base body in the area where the second hole is provided, and the base body where the third hole is provided. Digital mapping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5314A KR102605301B1 (en) | 2023-04-27 | 2023-04-27 | Digital map making system using 3-dimensional dat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5314A KR102605301B1 (en) | 2023-04-27 | 2023-04-27 | Digital map making system using 3-dimensional dat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5301B1 true KR102605301B1 (en) | 2023-11-23 |
Family
ID=8897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5314A Active KR102605301B1 (en) | 2023-04-27 | 2023-04-27 | Digital map making system using 3-dimensional dat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530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8759B1 (en) * | 2024-03-19 | 2024-12-05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The Precise Numeric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DSM, DTM and Reference points |
KR102738758B1 (en) * | 2024-03-19 | 2024-12-05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Digital map updating system with combining base point and aerial image |
KR102738757B1 (en) * | 2024-03-19 | 2024-12-05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8716B1 (en) * | 2008-05-14 | 2009-03-17 | 새한항업(주) | GS numerical map correction system using GPS receiver and aerial photography |
KR100892445B1 (en) * | 2008-05-19 | 2009-04-10 |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 Numerical Mapping System Using GPS Measuring System and Reference Point Marking Information |
KR100954221B1 (en) * | 2009-08-10 | 2010-04-21 | (주)원지리정보 | Virtual information system for electronic map drawing using plane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gps fiducial point |
KR101116289B1 (en) * | 2011-11-17 | 2012-03-14 | 주식회사 공간정보 | Updating system for digital map |
-
2023
- 2023-04-27 KR KR1020230055314A patent/KR1026053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8716B1 (en) * | 2008-05-14 | 2009-03-17 | 새한항업(주) | GS numerical map correction system using GPS receiver and aerial photography |
KR100892445B1 (en) * | 2008-05-19 | 2009-04-10 |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 Numerical Mapping System Using GPS Measuring System and Reference Point Marking Information |
KR100954221B1 (en) * | 2009-08-10 | 2010-04-21 | (주)원지리정보 | Virtual information system for electronic map drawing using plane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gps fiducial point |
KR101116289B1 (en) * | 2011-11-17 | 2012-03-14 | 주식회사 공간정보 | Updating system for digital map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8759B1 (en) * | 2024-03-19 | 2024-12-05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The Precise Numeric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DSM, DTM and Reference points |
KR102738758B1 (en) * | 2024-03-19 | 2024-12-05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Digital map updating system with combining base point and aerial image |
KR102738757B1 (en) * | 2024-03-19 | 2024-12-05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5301B1 (en) | Digital map making system using 3-dimensional data | |
US11740086B2 (en) | Method for ascertaining the suitability of a position for a deployment for surveying | |
KR101534486B1 (en) | Sewer 3D remote control exploration system | |
US7460980B2 (en) | Method for the control of a pipe inspection system and for the evaluation of the inspection data | |
CN104067111B (en) | For following the tracks of the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with the difference on monitoring objective object | |
KR102027932B1 (en) | Space image drawing system based on high precision aerial image | |
AU2004282274B2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actual position of a geodetic instrument | |
KR100990183B1 (en) | Digital map's upgrade system | |
KR101944816B1 (en) | Detection Automatic System of Excavating Work | |
KR102573683B1 (en) | Photoflight device for fixing stereo camera | |
KR102098016B1 (en) | Air shooting system for processing image with photograph and edit shooting image | |
CN112334733A (en) | Calibration device for imaging device, monitoring device, working machine, and calibration method | |
KR102642145B1 (en) | Image processing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of image by correcting error | |
CN114667434A (en) | Method and mobile capturing device for capturing infrastructure elements of an underground line network | |
KR101099014B1 (en) | Image drawing image correction system that corrects the error of drawing image by combining GPS and aerial photographing image | |
JP3796488B2 (en) | Sinking sinking guidance device and sinking guidance method | |
KR101097898B1 (en) | Aerial Drawing Image-based GPS Drawing System | |
KR100984114B1 (en) | Digital map making system | |
CN114910011A (en) | Deep foundation pit excavation depth automatic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 |
KR101239931B1 (en) | Numerical data updating system with realtime update numerical data | |
KR102608539B1 (en) | Aerial photography system for express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by taking aerial photograph in multiple direction | |
KR102596659B1 (en) |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 |
KR102512696B1 (en) | Real time update system reflecting the topography change | |
KR101144193B1 (en) | Map data collecting system using image data and gps data | |
JP5139740B2 (en) | Tail clearance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and tail clearance automatic measuremen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4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