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457B1 -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결합한 냉풍기 - Google Patents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결합한 냉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457B1
KR102600457B1 KR1020210145932A KR20210145932A KR102600457B1 KR 102600457 B1 KR102600457 B1 KR 102600457B1 KR 1020210145932 A KR1020210145932 A KR 1020210145932A KR 20210145932 A KR20210145932 A KR 20210145932A KR 102600457 B1 KR102600457 B1 KR 102600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isture
moisture intake
ice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1061A (ko
Inventor
황준하
Original Assignee
황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하 filed Critical 황준하
Priority to KR102021014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4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4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5/0021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phase change material [PCM] fo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일측면에 형성되고 내부 유입팬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와; 아이스팩을 사용하여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고 결로현상으로 형성된 물방울을 기화 냉각에 사용하여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습기 흡입부와; 상기 습기 흡입부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냉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결합한 냉풍기{An air cooler for using evaporing cooling and dew condensation}
본 발명은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결합한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 냉풍기(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냉풍기는 기화냉각 방식으로, 수조(13)의 물을 여러 겹의 표면적이 넓은 필터(12)로 빨아올리고, 공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고 송풍팬(16)으로 송풍된 공기를 필터(12) 사이로 통과시키면 필터의 수분이 기화되면서 기화열을 빼앗겨 차가와진 공기를 공기 배출구(15)를 통해 배출한다.
이러한 냉풍기의 기화냉각 방식은 2가지의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첫째는, 배출된 공기가 온도는 다소 낮아지지만 습도가 높아져서 불쾌지수가 높아지므로 냉각감은 거의 개선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둘째로, 방안의 습도가 점점 높아지므로 기화효율은 공기 중 습도와 반비례하게 되어 시간이 갈수록 기화냉각에 의한 온도 하강 효과가 감소된다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풍기로는 배출되는 고습도의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습기 제거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배출되는 공기가 규조토 필터를 통과하게 하여 습기를 필터에 흡수시키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식은 처음에는 습도 제거가 이루어지지만 필터가 젖은 후에는 습기 제거 효과가 현저히 감소되어 거의 기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40982호(2008.07.07.등록) 한국공개특허 10-2004-0034319호(2004.04.28.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이스팩을 사용하여 결로현상을 이용하여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고, 그 결로 현상에 의해 모아진 물을 다시 기화냉각에 사용함으로써 방안의 습도를 전혀 상승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냉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하는 냉풍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일측면에 형성되고 내부 유입팬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와; 아이스팩을 사용하여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고 결로현상으로 형성된 물방울을 기화 냉각에 사용하여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습기 흡입부와; 상기 습기 흡입부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냉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상기 습기 흡입부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 흡입부의 하부에 유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결로현상으로 물방울을 수집하는 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 흡입부는 상기 공기 배출구 쪽에만 설치되거나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배출구 양쪽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습기 흡입부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ㄷ' 모양으로 내부 빈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면에 다수개의 아이스팩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습기 흡입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격벽구조를 형성하고,
상부에 상기 다수개의 아이스팩이 삽입되는 팩 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팩 흡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아이스팩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구획되거나 통합된 내부 적재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 흡입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쪽에 형성되는 제1 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배출구쪽에 형성되는 제2 습기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습기 흡입부에 적층구조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1 아이스팩과 상기 제2 습기 흡입부에 적층구조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2 아이스팩은 하부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중심점에서 상기 제1 아이스팩과 상기 제2 아이스팩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 사이에 지그 재그 형태로 다수개의 습기 흡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 흡입부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내면은 직물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는 단열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풍기에서 아이스팩을 사용하여 결로현상을 이용하여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고, 그 결로 현상에 의해 모아진 물을 다시 기화냉각에 사용함으로써 방안의 습도를 전혀 상승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냉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기존 냉풍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풍기(100)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풍기(100)에서 습기 흡입부(14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냉풍기(200)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냉풍기(300)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일체형 냉풍기(30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풍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풍기(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풍기(100)에서 습기 흡입부(14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풍기(100)는, 냉풍기 본체 내측의 송풍팬(미도시)을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작동시키면, 송풍날개가 고속회전하면서 냉풍기 본체의 일측면의 공기 유입구(110) 방향으로 외부 공기를 강하게 흡입하게 된다. 이때 흡입되는 공기는 상온의 온도이지만 습기 흡입부(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냉각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110)의 반대편 측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50)를 통해 냉풍이 송풍된다. 이때, 습기 흡입부(140)는 아이스팩을 사용하여 결로현상을 이용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결로현상으로 형성된 물방울을 다시 기화 냉각에 사용하여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 흡입부(140)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ㄷ' 모양으로 내부 빈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면에 아이스팩(142a, 142b, 142c)을 수용하는 하우징(14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43)은 상기 습기 흡입부(140)의 일측에서 돌출된 격벽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구조의 하우징(143)은 상부에 아이스팩(142)이 삽입되는 팩 흡입구(141)를 구비하고, 상기 팩 흡입구(141)를 통해 아이스팩 3개(142a, 142b, 142c)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구획되거나 통합된 내부 적재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아이스팩(142a, 142b, 142c)이 삽입되는 격벽 구조의 하우징(143)에서 삽입되는 아이스팩(142a, 142b, 142c)이 접촉하는 하우징(143)의 내면에 대해서는 전부 직물(얇은 천)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43)의 외면은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아이스팩(142a, 142b, 142c) 표면에서 결로현상으로 생성되는 물방울을 물 흡수력이 좋은 천(직물)에 스며들게 하여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습기 흡입부(140)에서 유입된 공기는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143)으로 인해 'ㄷ' 모양으로 내부 빈공간에서 U자형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습기 흡입부(140)에 유입된 공기는 아이스팩(142a, 142b, 142c)이 구비된 격벽 구조의 하우징(143)를 싸고 돌면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다시 아래에서 위로 돌아 나가면서 형성된 U자형 공기유로를 따라 냉각된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송풍된다.
또한, 습기 흡입부(140)의 하부에는 수조(130)를 형성하고, 상기 습기 흡입부(140)의 하부에는 유입홀(131)을 형성하여 상기 유입홀(131)을 통해 상기 아이스팩(142)을 통해 결로현상으로 생성된 수분이 상기 수조(130)로 들어가게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외부공기의 습기 제거 및 기화냉각을 위해 수조(130)의 물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스팩의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이용하며 수조(130)의 구성은 필수적이 않고 단지 결로현상으로 생성된 수분을 수거하는 역할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습기 흡입부(140)를 통해 유입될 때 필터부(120)를 거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여과 또는 필터링되어 정화될 수 있어, 냉풍기를 통해 제공되는 공기는 냉풍이고 정화된 공기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습기 흡입부(140)는 냉풍기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50) 쪽에만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칭적으로 공기 유입구(110)와 공기 배출구(150)의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팩(142a, 142b, 142c)은 고흡수성 폴리머(SAP) 아이스팩이 사용될 수 있으나, 친환경적인 문제로 100% 물 또는 소량의 친환경(생분해성) 첨가제를 을 사용한 얼음을 이용한 종이 아이스팩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냉풍기(200)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냉풍기(300)에 대해 설명하며, 도 2 및 도 3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풍기(100)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냉풍기(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냉풍기(200)는, 냉풍기 본체 내측의 송풍팬(211)을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작동시키면, 송풍날개가 고속회전하면서 냉풍기 측면의 일측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210)를 통해 외부 공기를 강하게 흡입하게 된다. 이때 흡입되는 공기는 상온의 온도로 아이스팩(241a 내지 241c, 242a 내지 242c)을 구비한 습기 흡입부(240a, 240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아이스팩(241)의 물을 기화시키고, 물이 기화되는 증발 잠열로 인해 공기가 냉각되어 냉풍기 본체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기 유입구(210)의 반대편 측면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250)로 냉풍이 송풍된다. 이때, 공기 배출구(250)를 송풍전에 내부의 필터부(220)를 통해 공기정화되므로, 공기 정화된 냉풍이 송풍되게 된다.
이때, 분리형 냉풍기(200)는 냉풍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210)와 공기 배출구 (250)양측에 아이스팩(241a 내지 241c, 242a 내지 242c)을 구비한 제1 및 제2 습기 흡입부(240a, 240b)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때, 아이스팩(241a 내지 241c, 242a 내지 242c)은 냉장고 등에서 미리 냉동한 아이스팩들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습기 흡입부(240a, 240b)의 양측에 투입구를 형성하고, 결로현상으로 형성된 물방울이 맺혀 떨어지면 그 물이 모이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습기 흡입부(240a, 240b)의 하부에 수조(230)를 형성하고, 상기 수조(230)로 결로현상으로 형성된 물방울이 유입하도록 상기 수조(230)와 상기 제1 및 제2 습기 흡입부(240a, 240b)와 연결되는 연결관이나 연결 튜브(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210)에 형성되는 제1 습기 흡입부(240a)에는 별도의 계단식 적층구조의 제1 거치대(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거치대에서 위에서 아래로 3개의 아이스팩(242a, 242b, 242c)을 수용하는 적층구조의 3개 제1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은 제1 습기 흡입부(240a)의 일측에서 돌출된 격벽구조가 적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별도의 제1 거치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대칭적으로, 공기 배출구(250)에 형성되는 제2 습기 흡입부(240b)에도 별도의 계단식 적층구조의 제2 거치대(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거치대에서 위에서 아래로 3개의 아이스팩(241a, 241b, 241c)을 수용하는 적층구조의 3개 제2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은 제2 습기 흡입부(240b)의 일측에서 돌출된 격벽구조가 적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별도의 제2 거치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적층구조의 제1 하우징와 제2 하우징은 상호 대칭적으로 하부의 수조(230)를 향하여 다소 비스듬하게 설치하여(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가지며 경사진 계단식 적층구조로 형성됨) 송풍시 수분이 상기 수조(230)에 쉽게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은 일측에 아이스팩(242a 내지 242c)가 삽입되는 팩 흡입구(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팩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아이스팩 3개(242a, 242b, 242c)가 위에서 아래로 개별적으로 삽입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은 일측에 아이스팩(241a 내지 241c)가 삽입되는 팩 흡입구(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팩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아이스팩 3개(241a, 241b, 241c)가 위에서 아래로 개별적으로 삽입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내면에 대해서는 전부 직물(얇은 천)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외면은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아이스팩(142a 내지 142c, 141a 내지 141c)) 표면에서 결로현상으로 생성되는 물방울을 물 흡수력이 좋은 천(직물)에 스며들게 하여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습기 흡입부(240a, 240b)에 구비된 아이스팩(142a 내지 142c, 141a 내지 141c)을 통해 공기 유입구(210)쪽에 설치된 다수개의 아이스팩(142a 내지 142c241)의 결로에 의해 유입 공기의 습도가 낮아지므로 냉풍기의 기화효율이 상승하고, 공기 배출구(250)쪽에 설치된 다수개의 아이스팩(141a 내지 141c)의 결로에 의해 배출공기의 습도가 낮아지므로 전체적으로 냉각효율을 개선하고 습도 상승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수조(230) 물보충 간격을 늘릴 수 있다.
가령, 신일산업제품(수조 용량 6리터)의 한 냉풍기로 실험을 해본 결과(제공된 아이스팩은 두께 1.5cm 내외, 길이 15cm, 폭 10cm 정도의 소형 4개였음)를 살펴보면, 위 4개의 아이스팩을 공기 배출구쪽에 설치하여 회수되는 수분은 1시간 동안 8cc 정도였다. 이를 공기 유입구쪽에 설치하였을 때는 3cc 정도의 수분이 회수되었다. 또한, 아이스팩의 기능이 유용성 충분한 때까지의 지속 시간은 2시간 내외였다. 위 1시간 동안 수조에서 소모된 물의 양은 50cc 미만이었다. 다만, 이 실험의 결과치는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일 뿐 수분 회수 효율이나 아이스팩 지속시간 측정에는 유의미하지 않다. 이는 단열재의 사용이나 효율적인 구조를 갖추지 아니한 실험이고 습도나 온도등 조건을 특별히 고려하지 아니한 터프한 실험이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냉풍기(3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일체형 냉풍기(30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냉풍기(300)는, 결로현상으로 생성된 수분을 수조에 모으는 것이 아니고 직접 기화냉각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때, 일체형 냉풍기(300)는 냉풍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310)와 공기 배출구 (350) 사이 공간에 냉풍기 본체의 일면 또는 반대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아이스팩(342a 내지 342d)을 구비한 제1 내지 제4 습기 흡입부(340a 내지 340d)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310)에 형성되는 제1 습기 흡입부(340d)는 'U' 모양으로 내부 빈공간을 형성하도록 냉풍기 본체의 뒷면(일측면)에 아이스팩(342d)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냉풍기 본체의 뒤면에서 돌출된 격벽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구조의 하우징은 상부 또는 전면에 아이스팩(342d)이 삽입되는 팩 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팩 흡입구를 통해 다수개의 아이스팩이 삽입되도록 구획되거나 통합된 내부 적재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어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제1 습기 흡입부(340d)와 동일한 구조로서 제2 습기 흡입부(340c)가 냉풍기 본체의 앞면(타측면)에 형성되어, 제2 습기 흡입부(340c)는 '∩' 모양(역 U자형)으로 내부 빈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 습기 흡입부(340b)는 'U' 모양으로 내부 빈공간을 형성하도록 냉풍기 본체의 뒷면(일측면)에 아이스팩(342b)을 수용하는 제3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4 습기 흡입부(340a)가 냉풍기 본체의 앞면(타측면)에 형성되어, 제4 습기 흡입부(340a)는 '∩' 모양(역 U자형)으로 내부 빈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 내지 제4 습기 흡입부(340d, 340c, 340b, 340a)로 인해 형성된 내부 빈공간에서 순차적으로 U자형에서 역U자형, 다시 U자형과 역U자형으로 바뀌면서 공기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제1 내지 제4 습기 흡입부(340d, 340c, 340b, 340a)에 유입된 공기는 아이스팩(342d, 342c, 342b, 342a)이 구비된 격벽 구조의 하우징를 싸고 돌면서 유입구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U자형에서 역U자형, 다시 U자형과 역U자형으로 지그재그로 바뀌면서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지그재그 U자형 공기유로를 따라 냉각된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350)를 통해 외부로 송풍된다.
이 방식에서는 아이스팩 표면에 결로현상으로 생성되는 물방울을 물 흡수력이 좋은 천(직물)에 스며들게 하여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아이스팩 삽입구의 장치 내부 표면 전부를 얇은 천(직물)으로 형성하며, 그 천 외부는 단열재를 사용한다. 방안의 습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결로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유입구 쪽에 수조를 설치하여 유입구 쪽의 천에 수분이 수조로부터 수분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되, 이는 습도가 특히 낮은 경우에 예비적으로 수조에 물을 투입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0, 200,300: 냉풍기
11, 110, 210, 310: 공기 유입구
12, 120, 220: 필터부
13, 130, 230: 수조
140, 240a, 240b, 340a, 340b, 340c, 340d: 습기 흡입부
142a, 142b, 142c, 241a, 241b, 241c, 242a, 242b, 242c. 324a, 342b, 343c, 342d: 아이스 팩
16, 211, 311: 송풍팬
15, 150, 250, 350: 공기 배출구

Claims (7)

  1. 삭제
  2. 본체 일측면에 형성되고 내부 유입팬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와;
    아이스팩을 사용하여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고 결로현상으로 형성된 물방울을 기화 냉각에 사용하여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습기 흡입부와;
    상기 습기 흡입부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습기 흡입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쪽에 형성되는 제1 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배출구쪽에 형성되는 제2 습기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습기 흡입부에 적층구조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1 아이스팩과 상기 제2 습기 흡입부에 적층구조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2 아이스팩은 하부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중심점에서 상기 제1 아이스팩과 상기 제2 아이스팩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상기 습기 흡입부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흡입부의 하부에 유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결로현상으로 물방울을 수집하는 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팩은 종이 아이스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습기 흡입부의 하부에 수조를 형성하고,
    상기 수조와 상기 제1 및 제2 습기 흡입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KR1020210145932A 2021-10-28 2021-10-28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결합한 냉풍기 Active KR102600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32A KR102600457B1 (ko) 2021-10-28 2021-10-28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결합한 냉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32A KR102600457B1 (ko) 2021-10-28 2021-10-28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결합한 냉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061A KR20230061061A (ko) 2023-05-08
KR102600457B1 true KR102600457B1 (ko) 2023-11-08

Family

ID=8638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932A Active KR102600457B1 (ko) 2021-10-28 2021-10-28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결합한 냉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9442B (zh) * 2024-02-21 2024-04-30 上海库宝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冷风机
CN117847664B (zh) * 2024-03-08 2024-05-28 深圳中科精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组合式相变蓄热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23Y1 (ko) * 2003-05-22 2003-09-13 이광기 가습 및 냉풍겸용 공기청정기
JP2010038523A (ja) * 2008-08-07 2010-02-18 Motoyoshi Fujimori 除湿機能付冷風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319A (ko) 2003-01-20 2004-04-28 이동욱 간접 냉각방식의 기화냉풍기
KR200440982Y1 (ko) 2007-04-26 2008-07-11 이성수 기화식 냉풍기의 수질개선용 드레인장치
KR101478345B1 (ko) * 2013-04-24 2014-12-31 황익현 증발수를 이용한 흡입 배출식 냉 온풍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23Y1 (ko) * 2003-05-22 2003-09-13 이광기 가습 및 냉풍겸용 공기청정기
JP2010038523A (ja) * 2008-08-07 2010-02-18 Motoyoshi Fujimori 除湿機能付冷風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061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457B1 (ko) 기화냉각과 결로현상을 결합한 냉풍기
US4103433A (en) Home laundry dryer
CN104214842B (zh) 带除湿功能的空气净化器
US2749725A (en) Portab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140144175A1 (en) Undercounter ice maker with increased capacity ice storage bin
JP2016020782A (ja) 気化式空気調和機
JP2014224633A (ja) 除湿機
US20060248917A1 (en) Air cooling device
TW405024B (en) Demoisturizer
KR20110112531A (ko) 기화 제습식 공조기
JP3018213B2 (ja) 熱交換器
JPH03105127A (ja) 冷風扇
CN215892588U (zh) 一种除湿机
JP2004190907A (ja) 多段式間接型熱交換装置を備えたデシカント空調装置
CN207214088U (zh) 一种锅炉蒸发器清灰装置
KR100522201B1 (ko) 흡수식 냉동기의 엘리미네이터 구조
KR102344033B1 (ko) 공기정화 기능과 에어컨 기능이 동시에 발현되는 실외기없는 복합기
WO2020029479A1 (zh) 除湿机
CN221324800U (zh) 冰箱
JP4036703B2 (ja) 冷却ユニットのドレン水処理装置
JP7544194B2 (ja) 空調機
JPWO2020017549A1 (ja) 除湿乾燥ユニットおよび洗濯乾燥機
JP2940786B2 (ja) 除湿機
CN214481977U (zh) 一种高速公路机电用辅助散热装置
CN218214274U (zh) 一种便于通风散热的自助终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7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10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7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3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