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167B1 - 세척이 용이한 석쇠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이 용이한 석쇠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167B1
KR102594167B1 KR1020230017896A KR20230017896A KR102594167B1 KR 102594167 B1 KR102594167 B1 KR 102594167B1 KR 1020230017896 A KR1020230017896 A KR 1020230017896A KR 20230017896 A KR20230017896 A KR 20230017896A KR 102594167 B1 KR102594167 B1 KR 10259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ox
wire surface
grill
lower plate
sh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123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123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123푸드
Priority to KR102023001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측에 화구가 마련되어 연탄, 가스, 숯불 등의 열원이 투입되어 상측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이화로; 상기 구이화로의 상측에 배치되어 조리를 위한 열이 발생되는 진행되는 가열함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함은 오븐효과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박스형태로 형성된 가열로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가열함 하판; 상기 가열함 하판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고 오븐효과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박스형태로 형성된 가열로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열함 상판;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함 하판에 거치되는 석쇠; 를 포함하는 석쇠구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척이 용이한 석쇠구이 장치 {Grill Device for easily water washing}
본 발명은 석쇠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구이에 이용되는 석쇠의 형태는 그물망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그물망형태의 석쇠는 강철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와이어로 만들어지며 그물망형태와 같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직조되거나 성형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석쇠는 다양한 크기의 구멍과 다양한 두께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석쇠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직접가열 방식을 이용한 조리기구는 화염에 의해 고기가 타는 경우가 많아 고기가 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고기의 기름이 화염으로 낙하하여 화염을 증폭시키거나 그을림이나 연기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염에 의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력을 낮추게 되면 화염과 함께 열기도 급격하게 줄어들어 급랭하므로 불기운만으로 익히기가 쉽지 않았다.
간접가열 방식을 이용한 조리기구는 표면에 고기가 달라붙거나 고기의 수분에 의해 기름이 튀고 잘 배출되지 않아 고기가 기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507277호(2015.03.24.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석쇠구이 장치를 이용하여 고기를 조리하는 경우 고기에 균일한 열을 적용하게 되어 고기에 균일한 익힘 정도를 형성하고 분리와 조립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세척과 이동이 용이한 석쇠구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에 화구가 마련되어 연탄, 가스, 숯불 등의 열원이 투입되어 상측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이화로; 상기 구이화로의 상측에 배치되어 조리를 위한 열이 발생되는 진행되는 가열함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함은 오븐효과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박스형태로 형성된 가열로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가열함 하판; 상기 가열함 하판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고 오븐효과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박스형태로 형성된 가열로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열함 상판;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함 하판에 거치되는 석쇠; 를 포함하는 석쇠구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쇠구이 장치는 폴딩 및 조립이 용이하게 형성된 가열함 및 석쇠가 구비되어 세척의 용이성이 형성되고, 석쇠에 구비되는 열전달브라켓에 의해 고기에 균일한 열과 향이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쇠구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함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가열함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석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쇠구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측에 화구가 마련되어 연탄, 가스, 숯불 등의 열원이 투입되어 상측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가열로 형태로 형성되는 구이화로(100)와, 구이화로(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고기의 조리를 위한 열이 발생되는 진행되는 가열함(200)을 포함하고 가열함(200)은 오븐효과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박스형태로 형성된 가열로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가열함 하판(210)과, 가열함 하판(210)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고 오븐효과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박스형태로 형성된 가열로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열함 상판(220);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가열함 하판(210)에 거치되는 석쇠(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석쇠구이 장치는 구이화로(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이화로(100)는 본 발명의 석쇠구이 장치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이화로(100)는 외관이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구이화로(100)는 연탄, 가스, 숯불 등을 열원으로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구이화로(100)는 일측에 연탄, 가스, 숯불 등을 이용하여 가열될 경우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분진 등을 배출할 수 있는 집진기(미도시) 또는 스크러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이화로(100)는 일측에 열원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구이화로(100)의 내부에 열원이 안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석쇠구이 장치는 가열함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함(200)은 고기의 가열이 진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가열함(200)은 구이화로(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구이화로에 투입되는 열원으로 인해 가열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가열함(200)은 상하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총 6방향이 모두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함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열함(200)은 가열함 하판(210) 및 가열함 상판(2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함(200)은 가열함 하판(210)과 가열함 상판(220)이 결합되어 사각의 박스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함 하판(210)과 가열함 상판(220)을 형성하는 각 면은 폴딩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열함 하판(210) 및 가열함 상판(220)은 박스와 같이 접는 동작으로 가열함(200)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볼팅, 본딩 등으로 가열함(200)의 형상을 유지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함(200)은 가열함 하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함 하판(210)은 하부면을 제외한 4 개의 면이 접이식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함 하판(210)의 4 개의 면은 접어질 경우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함 하판(210)은 전/후면부를 형성하는 양측면이 석쇠(300)를 거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열함 하판(210)은 하판전면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전면부(211)는 가열함 하판(210)의 전면을 형성하는 면이 될 수 있다. 하판전면부(211)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두 개의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판전면부(211)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두 개의 단부의 중심에 석쇠거치홈(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석쇠거치홈(211a)은 석쇠가 가열함(200)에 배치될 수 있도록 석쇠의 양끝단이 거치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함(200)은 가열함 상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함 상판(220)은 가열함 하판(210)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함 상판(220)은 가열함(200)의 상측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열함 상판(220)은 가열함 하판(210)과 일측이 힌지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열함 상판(220)에는 가열함 하판(210)의 석쇠거치홈(211a)과 같은 홈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가열함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열함 상판(220)은 가열함 하판(210)과 힌지형태로 결합된 부분(220a)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함(200)의 회전동작은 석쇠를 가열함(200)의 내부로 투입할 경우 필요한 동작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함(200)의 회전으로 가열함 상판(220)과 가열함 하판(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개방되어 석쇠가 투입될 수 있다.
한편, 가열함 상판(220)은 상판전면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전면부(221)는 상부면에서 소정 각도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제 1경사면(22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경사면(221a)과 일측변을 공유하여 연결되는 면으로 형성되는 제 2경사면(2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경사면(221b)은 가열함 상판(220)의 상부면(220b)과 수직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경사면(221b)에는 석쇠의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석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쇠구이장치는 석쇠를 포함할 수 있다. 석쇠(300)는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석쇠(300)는 외주면이 그물망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석쇠(300)는 그물망형태의 외주면의 내부에 고기가 출입될 수 있는 충분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석쇠(300)는 복수개의 면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석쇠(300)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4 개의 면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면은 수평와이어면(310)과 수직와이어면(320)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석쇠(300)는 수평와이어면(31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와이어면(310)은 원통형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와이어가 연장되어 배치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와이어면(3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와이어는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석쇠(300)는 수직와이어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와이어면(320)은 원통형태의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와이어가 연장되어 배치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와이어면(32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는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평와이어면(310)과 수직와이어면(320)은 결합되어 복수개의 십자격자형태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수평와이어면(310)과 수직와이어면(320)은 각각 반원을 이루는 원호형태로 굽어질 수 있다. 또한, 수평와이어면(310)과 수직와이어면(320)은 결합될 경우 석쇠(300)로 형성되는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와이어면(310)은 수직와이어면(320)과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브라켓(330)은 'ㅗ'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브라켓(330)은 단면이 180도의 반원을 이루는 원호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브라켓(330)는 수평와이어면(310)과 수직와이어면(320)을 형성하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브라켓(330)은 복수개가 석쇠(300)의 교차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브라켓(330)의 개수는 수평와이어면(310)과 수직와이어면(320)이 충분히 결합될 수 있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브라켓(34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평와이어면(310) 또는 수직와이어면(320)의 와이어에는 열전달브라켓(340)이 형성될 수 있다. 열전달브라켓(340)은 수평와이어면(310) 또는 수직와이어면(320)을 형성하는 와이어 중 하나의 선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전달브라켓(340)은 도 7의 (a)와 같이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7의 (b)와 같은 일측에 굴곡 또는 돌출된 단부가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전달브라켓(340)은 복수개의 관통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관통홀(341)은 고기와 접촉되는 열전달브라켓(340)에 훈연과 열의 유입이 용이하게 되어 고기로 전달되는 열과 훈연향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석쇠구이 장치는 폴딩 및 조립이 용이하게 형성된 가열함 및 석쇠가 구비되어 세척의 용이성이 형성되고, 석쇠에 구비되는 열전달브라켓에 의해 고기에 균일한 열과 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구이화로 200 : 가열함
210 : 가열함 하판 211 : 하판전면부
211a : 석쇠거치홈 220 : 가열함 상판
221 : 상판전면부 221a : 제 1경사면
221b : 제 2경사면 300 : 석쇠
310 : 수평와이어면 320 : 수직와이어면

Claims (5)

  1. 상측에 화구가 마련되어 연탄, 가스, 숯불과 같은 열원이 투입되어 상측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이화로(100);
    상기 구이화로(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조리를 위한 열이 발생되는 진행되는 가열함(200)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함(200)은
    오븐효과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박스형태로 형성된 가열로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가열함 하판(210);
    상기 가열함 하판(210)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고 오븐효과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박스형태로 형성된 가열로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가열함 상판(220);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함 하판(210)에 거치되는 석쇠(300); 를 포함하고
    상기 석쇠(3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관의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와이어가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수평와이어면(310); 및
    상기 수평와이어면(310)의 와이어에 수직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와이어가 균일한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와이어면(320); 을 포함하고
    상기 석쇠(300)는
    상기 수평와이어면(310)과 수직와이어면(320)이 결합되어 복수개의 십자격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와이어면(310) 및 수직와이어면(320)은
    각각 반원을 이루는 원호형태로 굽어져 결합되어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와이어면(310)및 상기 수직와이어면(320)과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브라켓(330)이 결합되고
    결합브라켓(330)은 'ㅗ'형태로 형성되고 단면이 180도의 반원을 이루는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와이어면(310)또는 상기 수직와이어면(320) 중 하나의 선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굴곡 또는 돌출된 단부가 형성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관통홀(341)이 형성되는 열전달브라켓(340);을 더 포함하는 석쇠구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함 하판(210)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두개의 단부로 형성되어 중심에 석쇠거치홈(211a)이 형성되는 하판전면부(211); 를 포함하는 석쇠구이 장치.
KR1020230017896A 2023-02-10 2023-02-10 세척이 용이한 석쇠구이 장치 Active KR102594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896A KR102594167B1 (ko) 2023-02-10 2023-02-10 세척이 용이한 석쇠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896A KR102594167B1 (ko) 2023-02-10 2023-02-10 세척이 용이한 석쇠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167B1 true KR102594167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896A Active KR102594167B1 (ko) 2023-02-10 2023-02-10 세척이 용이한 석쇠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050A (ko) * 2011-03-02 2012-09-12 고재구 회전식 구이기
KR101430550B1 (ko) * 2013-05-06 2014-08-18 한인영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101507277B1 (ko) 2014-05-02 2015-03-30 한인영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20170105872A (ko) * 2016-03-10 2017-09-20 (주)백암이노베이션 십자형 철근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050A (ko) * 2011-03-02 2012-09-12 고재구 회전식 구이기
KR101430550B1 (ko) * 2013-05-06 2014-08-18 한인영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101507277B1 (ko) 2014-05-02 2015-03-30 한인영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20170105872A (ko) * 2016-03-10 2017-09-20 (주)백암이노베이션 십자형 철근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2560B1 (en) Vertical hearth barbecue grill
US5617778A (en) Gas Barbecue Assembly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US20120266856A1 (en) Heat and Grease Deflector for a Barbecue Grill
CA2354991A1 (en) Ducted smoker for barbecue grill
CN101309592A (zh) 烟增强器
KR101244100B1 (ko) 연기나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는 그릴
KR200475939Y1 (ko) 직화구이용 석쇠
KR101647724B1 (ko) 직화 구이장치
KR102594167B1 (ko) 세척이 용이한 석쇠구이 장치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715634B1 (ko) 복층형 구이용 팬
JP7575596B2 (ja) 電気グリル
KR20160050973A (ko) 화로대
KR101363449B1 (ko) 초벌구이 시스템
KR20090002256U (ko) 숯불구이 화로
KR102648540B1 (ko) 다용도 화로대
KR200479718Y1 (ko) 다용도 불판 및 이를 이용한 불판 장치
JP7274254B2 (ja) 焼物器
CN108703672A (zh) 电热烧烤炉
JP6850594B2 (ja) グリル
JP2015227751A (ja) 網焼きコンロ。
KR20160139569A (ko) 프라이팬을 이용한 숯불 구이장치
KR100208330B1 (ko) 그릴조리부를 갖는 가스렌지
JPH10161A (ja) 火気分散金枠焼き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