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594B1 -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 - Google Patents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594B1
KR102578594B1 KR1020230077989A KR20230077989A KR102578594B1 KR 102578594 B1 KR102578594 B1 KR 102578594B1 KR 1020230077989 A KR1020230077989 A KR 1020230077989A KR 20230077989 A KR20230077989 A KR 20230077989A KR 102578594 B1 KR102578594 B1 KR 102578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or
module
light pollution
pol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혁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신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신전자
Priority to KR102023007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5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 복수개의 집광 리플렉터의 측면 둘레를 각각 둘러싸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 복수개의 빛공해 반사판이 상기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제3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빛공해 반사판 모듈을 포함하여, 반사판이 등기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앞뒤로 이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투광등의 빛공해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우수한 광효율과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하고 반사판에 의한 풍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Light-pollution prevention type floodlight}
본 발명은 빛공해 방지 및 배광 조절이 가능한 투광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판이 등기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앞뒤로 이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 투광등의 빛공해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우수한 광효율과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하고 풍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광등은 빛을 모아 일정한 방향으로 비춰주는 등기구로서, 건물이나 작업장을 비추는 산업용 투광 등과, 자동차, 기차, 전동차 따위의 전조등, 또는 밤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찾기 위한 탐조등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투광등은 종래 일반적인 백열, 형광,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한 것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전력 효율이 우수한 LED 램프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LED는 전압의 인가에 따라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종래의 광원에 비해 소형이고, 수명은 길며, 전기 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직접 변환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고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속 응답이라 자동차 계기류의 표시 소자, 광 통신용 광원 등 각종 전자 기기의 표시용 램프, 숫자 표시 장치나 계산기의 카드 판독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비교적 전력 소모가 많은 백열등과 같은 실내외 조명등을 LED로 교체하고자 하는 움직임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LED 투광등의 개발이 한창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LED 투광등은 횡단보도에 설치된 투광등의 빛이 도로 주변의 건물이나 보행자 측으로 향하거나 또는 도로상의 운전자 측으로 향하여 빛공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빛공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사판을 구비하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종래의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은 도 3의 (b), 도 4의 (b),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공해 반사판(411)이 투광등 외부에 구비된 외장형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노출형으로 각종 오염 및 부식에 쉽게 노출되어 광효율과 기능적인 부분에 문제가 쉽게 발생하고, 모듈간 간섭으로 반사광이 발생하여 검정색 반사판을 사용하여 반사효율이 감쇄되고, 외부로 돌출되어 풍하중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또한 돌출된 반사판 외형이 도시 미관을 해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0124호(2018.08.1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반사판이 등기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앞뒤로 이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 투광등의 빛공해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우수한 광효율과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하고 반사판에 의한 풍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은, 일측에는 투광등 모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방열 구조로 형성된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면 상에 위치되고 일면 상에 하나 이상 복수개의 LED 소자가 제1 패턴에 따라 배열된 LED 인쇄회로기판; 상기 LED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 복수개의 LED 소자의 측면 둘레를 각각 둘러싸고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LED 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집광하여 상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 복수개의 집광 리플렉터가 상기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제2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집광 리플렉터 모듈; 상기 하나 이상 복수개의 집광 리플렉터의 측면 둘레를 각각 둘러싸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 복수개의 빛공해 반사판이 상기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제3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빛공해 반사판 모듈;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된 투광등 모듈(즉, 상기 LED 인쇄회로기판, 상기 집광 리플렉터 모듈, 및 상기 빛공해 반사판 모듈)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가스켓을 매개로 상기 모듈 하우징의 위를 덮도록 형성된 투명 커버; 및 상기 투명 커버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된 테두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 하우징, 상기 LED 인쇄회로기판, 상기 집광 리플렉터 모듈, 및 상기 빛공해 반사판 모듈을 순차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따라 조절 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빛공해 반사판 모듈의 관통공에는 상기 조절 볼트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너트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빛공해 반사판 모듈의 높이(즉, 상기 집광 리플렉터에 대한 상기 빛공해 반사판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상기 조절 볼트의 단부에 대응하는 오링을 매개로 방수캡이 씌워져 상기 관통공을 밀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반사판이 등기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앞뒤로 이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투광등의 빛공해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보다 우수한 광효율과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하고 반사판에 의한 풍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단면도로, 반사판 이동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과 종래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4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과 종래에 따른 빛공해 반사판의 외형을 비교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5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과 종래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실제 설치 운영 시 빛의 배광 조사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실제 설치 운영 시 빛공해 발생 예시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빛공해 반사판의 이동 시 배광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과 종래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실제 설치 운영 시 빛의 배광 조사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분해 사시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하우징(10), LED 인쇄회로기판(20), 집광 리플렉터 모듈(30), 빛공해 반사판 모듈(40), 투명 커버(50), 테두리 커버(60), 조절 볼트(70), 및 방수캡(8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0)은 등기구 관련 투광등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는 투광등 모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방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장방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적어도 일면이 편평한 장방형의 수납 패널(11)이 구비될 수 있고, 수납 패널(11)은 손잡이(13)에 연결되고 그 손잡이(13)이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수납 패널(11)의 일면이 지향하는 각을 조정할 수 있다.
LED 인쇄회로기판(20)은 LED 소자(21)를 구비하여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 하우징(10)의 일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LED 인쇄회로기판(20)은 그 일면 상에 일정한 패턴(이하, 제1 패턴)에 따라 배열된 1개 이상 복수개의 LED 소자(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LED 인쇄회로기판(20)은 수납 패널(11)의 일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장방형 기판으로 형성되어 수납 패널(11)의 일면 상에 놓여 수납될 수 있다.
LED 소자(21)는 LED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집광 리플렉터 모듈(30)은 각 LED 소자(21)로부터 발광된 빛을 집광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LED 인쇄회로기판(20)의 일면 상에서 하나 이상 복수개의 LED 소자(21)의 측면 둘레를 각각 둘러싸고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LED 소자(21)로부터 발광된 빛을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 복수개의 집광 리플렉터(31)가 LED 소자(21)의 배열 패턴(즉, 제1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이하, 제2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집광 리플렉터(31)는 LED 인쇄회로기판(21)에 대응하는 장방형의 집광 패널(33)에 의해 지지되어 하나의 집광 리플렉터 모듈(30)을 형성할 수 있다.
빛공해 반사판 모듈(40)은 각 LED 소자(21)로부터 각 집광 리플렉터(31)를 통해 방출되는 빛의 배광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집광 리플렉터 모듈(30)의 집광 리플렉터(31)의 측면 둘레를 둘러싸되 적어도 일부(일측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 빛공해 반사판(41)이 집광 리플렉터(31)의 배열 패턴(즉, 제2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이하, 제3 패턴)으로 복수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빛공해 반사판(41)은 반사 패널(43)에 의해 지지되어 하나의 빛공해 반사판 모듈(40)을 형성할 수 있다.
빛공해 반사판(41)은 집광 리플렉터(31)와 1:1로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 복수개의 집광 리플렉터(31)가 구비된 경우 빛공해 반사판(41)도 집광 리플렉터(31)와 1:1로 대응하는 수와 배열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빛공해 반사판(41)은 종래의 외장형 빛공해 반사판(도 4의 (b)의 411 참조)과는 달리 즉, 등기구(투광등)를 외부에서 통으로 감싸는 종래의 외장형 구조와는 달리 등기구(투광등)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형 구조(도 4의 (a)의 41 참조)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빛공해 반사판(41)은 등기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앞뒤로 이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특징(도 7의 (a)(b) 참조)을 구비함으로써, 기존 투광등 대비 빛공해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7의 (a) 참조) 보다 우수한 광효율(도 7의 (b) 참조)과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하고 반사판에 의한 풍하중을 감소(즉, 종래 대비 소형이고 내장형이므로 풍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투명 커버(50)는 모듈 하우징(10) 위를 덮는 투명 재질의 커버로서, 모듈 하우징(10)의 일측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가스켓(G)을 매개로 투명 커버(50)의 테두리가 모듈 하우징(10)의 위를 덮도록 형성되어, 모듈 하우징(10)의 일측에 순차 수납된 LED 인쇄회로기판(20), 집광 리플렉터 모듈(30), 및 빛공해 반사판 모듈(40)을 포함하는 투광등 (내부)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테두리 커버(60)는 투명 커버(50)의 테두리를 모듈 하우징(10)의 대응하는 테두리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커버(50)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장방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투명 커버(50)의 테두리에 테두리 커버(60)를 덮고 나사 등의 조립 부품을 이용하여 투명 커버(50)의 테두리를 모듈 하우징(10)의 테두리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듈 하우징(10)과 투명 커버(50)의 내부에 관련 투광등 모듈이 안전하게 수납/내장되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순차 적층된 구조의 모듈 하우징(10)과 LED 인쇄회로기판(20)과 집광 리플렉터 모듈(30)과 빛공해 반사판 모듈(40)에는 각각 이들(10,20,30,40)을 순차 관통하여 연통하는 관통공(10a,20a,30a,40a)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10a,20a,30a,40a)을 따라 조절 볼트(70)가 삽입될 수 있다.
빛공해 반사판 모듈(40)에 형성된 관통공(40a)에는 조절 볼트(70)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너트의 나사선(40b)이 형성(도 2의 (a)(b) 참조)될 수 있다.
도 2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조절 볼트(70)를 회전시키면 조절 볼트(70)의 나사선을 따라 너트의 나사선(40b)이 이동하여 빛공해 반사판 모듈(40)의 높이 즉, 집광 리플렉터(31)에 대한 빛공해 반사판(41)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방수캡(80)은 관통공(10a,20a,30a,40a)을 포함하는 모듈 하우징(10)의 하부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조절 볼트(70)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오링(O)을 매개로 모듈 하우징(10)의 타측면에 방수캡(80)을 씌워서 관통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단면 예시도로, 반사판 이동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도 2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수캡(80)을 제거하고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조절 볼트(70)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빛공해 반사판(41)이 앞으로 이동하여 집광 리플렉터(31) 대비 빛공해 반사판(41)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조절된다.
다른 예로, 도 2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조절 볼트(7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빛공해 반사판(41)이 뒤로 이동하여 집광 리플렉터(31) 대비 빛공해 반사판(41)의 높이가 도 2의 (a) 경우보다 낮게 조절되며, 조절 후 방수캡(80)을 부착한다.
도 3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과 종래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설치 예시도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은 빛공해 반사판(41)이 모듈 하우징(10)과 투명 커버(50)의 내부에 구비된 내장형 투광등 구조인 반면, 대조적으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은 빛공해 반사판(411)이 투광등 외부에 구비된 외장형 구조이다.
도 4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과 종래에 따른 빛공해 반사판(41, 411)의 외형을 비교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빛공해 반사판(41)은 내장형 구조라서 외부로부터의 습기, 먼지, 기타 오염/부식 유발 물질 등으로 인한 오염 부식을 방지하여 오염 부식으로 인한 반사효율 감쇄가 없고,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풍하중 등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무게가 가볍고,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빛공해 반사판(411)은 외장형 구조라서 외부 노출형으로 각종 오염 및 부식에 노출되어 광효율과 기능적인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고, 모듈간 간섭으로 반사광이 발생하여 검정색 반사판을 사용하여 반사효율이 감쇄되고, 본 발명 대비 상대적으로 큰 면적이 돌출되어 풍하중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또한 돌출된 반사판 외형이 도시 미관을 해칠 수 있다.
도 5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과 종래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실제 설치 운영 시 빛의 배광 조사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빛공해 반사판(41)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형 빛공해 챙 구조이므로 기존 조명과 동일각도 회전 시 상향 빛이 거의 없고(① 참조), 기존 대비 돌출 반사판이 없어 모듈간 간섭이 없다(② 참조).
대조적으로, 종래의 빛공해 반사판(411)에 따르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형 빛공해 챙 구조이므로 조명 설치 각도가 도 5의 (a)와 동일 상태에서 LED소자의 위치별로 빛의 컷오프량이 달라져 상향빛이 발생하고(① 참조), 외부 돌출 반사판(411)으로 인한 모듈간 간섭으로 반사광이 발생하여(② 참조) 빛공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검정색 반사판을 사용하게 되어 반사효율 감쇄된다.
도 6은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실제 설치 운영 시 빛공해 발생 예시도로, 종래에 따르면 지주대 또는 부착대 설치 투광등으로부터 도로 주변 건물 및 보행자 측으로 방출되는 빛공해가 유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빛공해를 방지하고 유효 배광은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빛공해 반사판의 이동 시 배광 설명을 위한 도면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공해 반사판(41)을 앞으로 이동하면 빛을 반사시켜 배광각도는 좁게하고 유효배광은 증가시키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공해 반사판(41)을 뒤로 이동하면 넓은 배광 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과 종래에 따른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의 실제 설치 운영 시 빛의 배광 조사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빛공해 반사판(41)에 따르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형 빛공해 챙 구조이므로 기존 조명과 동일각도 회전시 상향 빛 없고(도 5의 (a) ① 참조) 돌출 반사판이 없어 모듈간 간섭이 없는(도 5의 (a) ② 참조) 반면, 대조적으로 종래의 빛공해 반사판(411)에 따르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소자 위치별로 빛의 컷오프량이 달라져 상향빛 발생하고(도 5의 (b) ① 참조) 모듈간 간섭으로 반사광 발생하여(도 5의 (b) ② 참조) 검정색 반사판을 사용하여 반사효율 감쇄시켜야 한다.
도 8의 (a)와 (b)를 비교하면, 측면 동일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기준으로 (a)의 내부형 빛공해 챙은 LED소자가 보이지 않는 반면 (b)의 외부형 빛공해 챙은 LED소자가 보여 눈부심을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윗면 동일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기준으로 (a)의 내부형 빛공해 챙은 LED소자가 보이지 않는 반면 (b)의 외부형 빛공해 챙은 LED소자가 보여 눈부심을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모듈 하우징
20: LED 인쇄회로기판
21: LED 소자
30: 집광 리플렉터 모듈
31: 집광 리플렉터
40: 빛공해 반사판 모듈
41; 빛공해 반사판
50: 투명 커버
60: 테두리 커버
70: 조절 볼트
80: 방수캡

Claims (3)

  1. 일측에는 투광등 모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방열 구조로 형성된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면 상에 위치되고 일면 상에 하나 이상 복수개의 LED 소자가 제1 패턴에 따라 배열된 LED 인쇄회로기판;
    상기 LED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 복수개의 LED 소자의 측면 둘레를 각각 둘러싸고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LED 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집광하여 상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 복수개의 집광 리플렉터가 상기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제2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집광 리플렉터 모듈;
    상기 하나 이상 복수개의 집광 리플렉터의 측면 둘레를 각각 둘러싸되 적어도 측면의 일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LED 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 복수개의 빛공해 반사판이 상기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제3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빛공해 반사판 모듈;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된 투광등 모듈(즉, 상기 LED 인쇄회로기판, 상기 집광 리플렉터 모듈, 및 상기 빛공해 반사판 모듈)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가스켓을 매개로 상기 모듈 하우징의 위를 덮도록 형성된 투명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 상기 LED 인쇄회로기판, 상기 집광 리플렉터 모듈, 및 상기 빛공해 반사판 모듈을 순차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따라 조절 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빛공해 반사판 모듈의 관통공에는 상기 조절 볼트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너트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빛공해 반사판 모듈의 높이(즉, 상기 집광 리플렉터에 대한 상기 빛공해 반사판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상기 조절 볼트의 단부에 대응하는 오링을 매개로 방수캡이 씌워져 상기 관통공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
KR1020230077989A 2023-06-19 2023-06-19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 Active KR102578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989A KR102578594B1 (ko) 2023-06-19 2023-06-19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989A KR102578594B1 (ko) 2023-06-19 2023-06-19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594B1 true KR102578594B1 (ko) 2023-09-14

Family

ID=8801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7989A Active KR102578594B1 (ko) 2023-06-19 2023-06-19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59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659A (ja) * 1997-04-17 2002-01-15 スティングレイ・ライティ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二重反射がさ照明装置
KR20110014251A (ko) * 2011-01-21 2011-02-10 한현희 가로등 점검구 커버 결합구조체
KR20130141760A (ko) * 2012-06-18 2013-12-27 김윤형 엘이디램프 조명장치
JP2014116143A (ja) * 2012-12-07 2014-06-26 Iwasaki Electric Co Ltd 照明器具
KR20170000230A (ko) * 2015-06-23 2017-01-02 김효준 분산 방열 무영등
KR101818652B1 (ko) * 2017-08-21 2018-01-15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빛 공해 방지장치 및 하우징과 모듈간의 열전달 장치를 갖는 led가로등 모듈
KR101890124B1 (ko) 2017-11-03 2018-09-28 (주)유양디앤유 Led 투광등
JP2019106370A (ja) * 2017-12-13 2019-06-27 株式会社日本Css 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659A (ja) * 1997-04-17 2002-01-15 スティングレイ・ライティ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二重反射がさ照明装置
KR20110014251A (ko) * 2011-01-21 2011-02-10 한현희 가로등 점검구 커버 결합구조체
KR20130141760A (ko) * 2012-06-18 2013-12-27 김윤형 엘이디램프 조명장치
JP2014116143A (ja) * 2012-12-07 2014-06-26 Iwasaki Electric Co Ltd 照明器具
KR20170000230A (ko) * 2015-06-23 2017-01-02 김효준 분산 방열 무영등
KR101818652B1 (ko) * 2017-08-21 2018-01-15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빛 공해 방지장치 및 하우징과 모듈간의 열전달 장치를 갖는 led가로등 모듈
KR101890124B1 (ko) 2017-11-03 2018-09-28 (주)유양디앤유 Led 투광등
JP2019106370A (ja) * 2017-12-13 2019-06-27 株式会社日本Css 照明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3658B2 (ja) 照明装置
RU2541124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8079736B2 (en) Lighting apparatus
EP2268966B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US8007127B2 (en) Lens for LED outdoor lamp, and its applied road lamp, security lamp, tunnel lamp, park lamp, guard lamp, industrial flood lamp, and outdoor lamp
CN101793371B (zh) 车辆用灯具
EP2505912A2 (en) Lamp device and luminaire
KR100879818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
JP2009266780A (ja) 発光体および照明器具
KR20100009257A (ko) 엘이디 조명장치
JP5217789B2 (ja) 照明器具
KR200485097Y1 (ko)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가로등
JP2011034856A (ja) 照明装置
JP5105452B2 (ja) 照射方向を変更可能とした自動車運搬船の倉内作業用led照明装置
KR100990753B1 (ko) 광 조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모듈
US20150362137A1 (en) Lamp with led light bulb
KR102578594B1 (ko) 빛공해 방지형 투광등
KR101115562B1 (ko) 조명장치
KR100930228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2632672B1 (ko) 보안등용 엘이디모듈
JP6135476B2 (ja) ランプ
JP2015002152A (ja) 照射方向可変形led照明器具
KR101905850B1 (ko) 방수형 엘이디 조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CN212204169U (zh) 一种壁灯
CN221780585U (zh) 一种led投光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