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838B1 - 상태표시판 - Google Patents

상태표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838B1
KR102554838B1 KR1020220156391A KR20220156391A KR102554838B1 KR 102554838 B1 KR102554838 B1 KR 102554838B1 KR 1020220156391 A KR1020220156391 A KR 1020220156391A KR 20220156391 A KR20220156391 A KR 20220156391A KR 102554838 B1 KR102554838 B1 KR 102554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tatus display
display unit
statu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박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훈 filed Critical 박상훈
Priority to KR102022015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은 도어 손잡이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출석, 결석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손잡이와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상태표시판 일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표시판{Status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손잡이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출석, 결석 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이나 서류 등을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는 선반과 서랍이 배치될 수 있고, 앞쪽에 경첩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가 결합된 캐비닛(cabinet)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캐비닛은 일반적으로 도어의 전면에 도어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를 파지하고 외력을 인가하여, 캐비닛 도어의 개폐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캐비닛은 일반적으로 학교나 도서관 등에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캐비닛 도어의 소정의 위치에 네임텍이 부착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81168호에서는, 캐비닛의 골격을 이루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네임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상기 네임플레이트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영구자석;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의 네임플레이트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구현하기 위해 프레임을 제작해야 하며, 영구자석 또한 구비해야한다는 점에서 캐비닛의 제작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비닛의 손잡이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이름 또는 사용자의 출석 또는 결석과 같은 현재 상태를 표시해주는 상태표시판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은 도어 손잡이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출석, 결석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손잡이와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상태표시판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은 별도의 프레임 또는 부재를 구비할 필요 없이, 캐비닛의 손잡이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사용자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은 이동부가 외력에 의해 위치이동 되더라도, 별도의 스토퍼를 제작하지 않음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의 구성 요소인 이동부 및 상태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의 구성 요소인 이동부, 고정부 및 상태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이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과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과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과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은 도어 손잡이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출석, 결석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손잡이와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상태표시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태표시부가 결합되는 고정본체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연장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본체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상태표시판 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돌출형성되는 고정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태표시부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표시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부는,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와 다른 상태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태표시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판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접촉되며,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과 접촉되는, 상태표시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상태표시판의 일부가 삽입될 경우, 상기 상태표시부가 배치되는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표시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돌출형성되는 고정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돌출부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상태표시판 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의 구성 요소인 이동부 및 상태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의 구성 요소인 이동부, 고정부 및 상태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이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과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과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8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과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x 방향은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 방향은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z 방향은 폭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10)은 캐비닛(cabinet)을 구성하는 도어의 손잡이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캐비닛을 주로 사용하는 학생인 경우, 도 1의 (a) 내지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태표시판(10)은 출석, 결석과 같은 사용자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상태표시판(10)은 도어 손잡이와 결합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200)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x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200)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2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표시부(30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2 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상태표시부(300)가 후면에서 결합되는 고정본체부(110) 및 상기 고정본체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본체부(110)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긴 고정연장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00)는 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본체부(210) 및 상기 고정본체부(1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S1)을 형성하는 이동연장부(22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연장부(120)가 상기 삽입 공간(S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부(20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200)는 사용자가 외력을 인가할 경우,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상기 상태표시부(30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고정본체부(110)의 후면에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상태표시부(300)는 상기 고정본체부(110)와 접착제 또는 피스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본체부(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표시부(300)는 사용자의 상태를 알리는 제1 표시부(310) 및 제2 표시부(320)를 구비한다.
다만, 도 2에서는 상기 제1 표시부(310)가 출석을 의미하는 Present로 기재하였으며, 상기 제2 표시부(320)가 결석을 의미하는 Absent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 일뿐, 사용자의 또 다른 상태, 예를 들어, 회의중, 부재중과 같이 사용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구가 기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태 표시가 각기 다른 상태표시부(300)를 복수 개 구비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부착, 탈착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는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이동부(200)는 불투명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이동부(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310) 또는 상기 제2 표시부(32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20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표시부(310) 및 상기 제2 표시부(320)와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제1 표시부(31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표시부(32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이동부(20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표시부(310)의 일부가 아닌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1 위치 및 도 3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표시부(320)의 일부가 아닌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표시부(300)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본체부(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태표시부(300)의 길이(L1)는 상기 고정본체부(110)의 길이(L2)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본체부(110)와 상기 상태표시부(300)의 길이 차에 의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연장부(22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외력을 인가 받더라도, 상기 고정부(200)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연장부(220)가 상기 상태표시부(300)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부(200)의 z 방향인 폭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태표시부(300)의 길이(L1)는 상기 고정연장부(12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100)는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고정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되되, 돌출형성되는 고정돌출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130)는 일례로, 후크 형상일 수 있으며, 후술될 손잡이부(20)와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130)는 또한, 도 6의 (a) 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131) 및 상기 고정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1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표시부(300)는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돌출부(131) 및 상기 제2 돌출부(13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상태표시부(300)는 상기 고정본체부(110) 상에서 상기 제1 돌출부(131) 및 상기 제2 돌출부(133) 사이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부주의한 외력 또는 물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상태표시부(300)와 상기 고정본체부(110)와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지더라도, 상기 상태표시부(300)는 상기 제1 돌출부(131) 및 상기 제2 돌출부(133)에 의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10)은 상기 상태표시판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S2)을 형성하는 손잡이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는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캐비닛의 도어 전면에 형성되는 도어 손잡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는 도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삽입홈(S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태표시판(10)은 상기 삽입홈(S2)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2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상태표시판(10)은 상기 손잡이부(20)의 삽입홈(S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이동부(200)로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이동부(200)를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알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표시판(10)은 상기 손잡이부(20)에 삽입될 경우, 상기 이동부(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손잡이부(20)는 전면의 일부에 상기 상태표시판(10)이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S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20)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S2)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삽입홈(S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삽입홈(S2)에 의해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S2)의 양 끝단을 의미하는 상기 손잡이부(20)의 일측(21)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23)은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S2)이 형성된 부분 보다 전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는 상기 고정돌출부(130)가 삽입되는 삽입구(S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돌출부(130)는 상기 삽입구(S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출부(130)의 길이(L3)는 상기 삽입구(S4)의 길이(L4)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출부(130)가 상기 삽입구(S4)로 삽입될 경우, 상기 이동부(200)의 일부는 상기 손잡이부(20)의 일측(21) 또는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23)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200)가 상기 제1 표시부(31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21)과 접촉하여,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8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200)가 상기 제2 표시부(32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에 위치 될 경우,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23)과 접촉하여,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상태표시판(10)은 상기 이동부(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별도의 스토퍼(stopper)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 손잡이부(20)의 삽입홈(S2)에 의한 단차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20)의 일측(21) 및 타측(23)과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0)는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상태표시판(1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상태표시부(300)가 삽입되며 배치되도록하는 배치 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상태표시부(300)가 상기 고정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상태표시부(300)와 상기 고정부(100)와의 결합력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부(300)는 상기 배치 공간(S3)에 배치됨으로서,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한편,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200) 및 상기 고정돌출부(130)의 길이(L5)는 상기 삽입구(S4)의 길이(L4)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돌출부(130)가 상기 삽입구(S4)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이동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부(20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파지하여, 상기 이동부(200)의 길이 방향의 위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만약, 상기 이동부(200) 및 상기 고정돌출부(130)의 길이(L5)와 상기 삽입구(S4)의 길이가 동일하다면, 상기 이동부(200)가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부(200)를 파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표시판(10)은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200) 및 상기 고정돌출부(130)의 길이(L5)는 상기 삽입구(S4)의 길이(L4)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20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부(200)를 파지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상태표시판
20: 손잡이부
100: 고정부
200: 이동부
300: 상태표시부
S1: 삽입 공간
S2: 삽입홈
S3: 배치 공간
S4: 삽입구

Claims (6)

  1. 도어 손잡이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판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와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태표시부가 결합되는 고정본체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고정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연장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태표시부의 길이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본체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상태표시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돌출형성되는 고정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태표시부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표시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와 상이한 상태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태표시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판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돌출형성되는 고정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돌출부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삽입구의 길이보다 작은,
    상태표시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상태표시판의 일부가 삽입될 경우,
    상기 상태표시부가 배치되는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표시판.














KR1020220156391A 2022-11-21 2022-11-21 상태표시판 KR102554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391A KR102554838B1 (ko) 2022-11-21 2022-11-21 상태표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391A KR102554838B1 (ko) 2022-11-21 2022-11-21 상태표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838B1 true KR102554838B1 (ko) 2023-07-12

Family

ID=8716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391A KR102554838B1 (ko) 2022-11-21 2022-11-21 상태표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8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08B1 (ko) * 2013-07-02 2014-01-07 김용덕 사물함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08B1 (ko) * 2013-07-02 2014-01-07 김용덕 사물함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9669B2 (ja) 電子機器
US8073508B2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5244755A (en) Battery compartment door and latch having longitudinal snaps
US9545028B2 (en) Electronic circuit un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6652297B1 (en) Connector covering assembly
EP2309705A1 (en) Mobile terminal
US4574425A (en) Flexible hinge assembly having a substrate supporting portion
US8749971B2 (en) Electronic device and fixing structure therefor
KR102554838B1 (ko) 상태표시판
US20140265781A1 (en) Panel with magnetic hinge
KR100747455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TW201903803A (zh) 具有減噪效果的鍵盤
JP4633849B1 (ja) 携帯型電子機器
CN219039648U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保护套组件
WO2020183782A1 (ja) 押釦および電子機器
JP5097185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4522821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271591B1 (ko) 변형가능한 다용도 책상
TWM644732U (zh) 鎖緊機構及具有該鎖緊機構的收納櫃
JP2522782Y2 (ja) 制御機器の前部の構造
JP5466930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3503447B2 (ja) コーナー用キャビネット
JP5199211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094945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H087695A (ja) 情報処理装置のキャップ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