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370B1 -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370B1
KR102546370B1 KR1020170015217A KR20170015217A KR102546370B1 KR 102546370 B1 KR102546370 B1 KR 102546370B1 KR 1020170015217 A KR1020170015217 A KR 1020170015217A KR 20170015217 A KR20170015217 A KR 20170015217A KR 102546370 B1 KR102546370 B1 KR 102546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pipe
flow path
pneumatic
valv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434A (ko
Inventor
백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3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60G17/0565Height adjus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1유로부와, 압축기와 에어스프링을 연결하는 제2유로부와, 압축기와 제2유로부를 연결하는 제3유로부와, 외기와 제2유로부를 연결하는 제4유로부와, 저장탱크와 제2유로부를 연결하는 제5유로부와,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하는 제6유로부를 포함하여, 신속한 차고 조절이 가능하고, 공압을 재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한 차고 조절이 가능하고, 공압을 재활용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스펜션은 승차감과 조종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승차감을 좋게 하면 조종안정성이 떨어지고 조종안정성을 좋게 하면 승차감이 떨어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서스펜션의 스프링을 부드럽게 하면 울퉁불퉁한 노면으로 인한 충격을 쉽게 흡수해서 승차감이 좋게 된다. 그러나 차체가 불안정해 조종안정성이 떨어진다. 반면에 스프링이 딱딱하면 조종안정성은 좋아지지만 노면의 요철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승차감은 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강철로 만들어진 코일 스프링은 강도를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공기를 이용한 에어 스프링이다. 에어 스프링은 공기압을 손쉽게 컨트롤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딱딱하거나 부드러워 질 수 있다. 이러한 에어 스프링을 사용하는 서스펜션이 에어 서스펜션(air suspension)이다.
종래에는 에어 서스펜션 중 오픈 방식은 차고 상향 혹은 리저버 충진을 위해 항상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압축을 실시하고, 차고 하향시 공압을 대기로 방출하기 때문에 시스템 압력 손실과 배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에어 서스펜션 중 클로즈드 방식은 내부의 공압만으로 차고 조절이 가능하나 차고 조절시 항상 압축기가 작동되어야 하므로, 전류 소비가 증가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21973호(2006.03.09. 공개, 발명의 명칭 : 폐루프 차고조절 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속한 차고 조절이 가능하고, 공압을 재활용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는: 외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1유로부; 상기 압축기와 에어스프링을 연결하는 제2유로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2유로부를 연결하는 제3유로부; 외기와 상기 제2유로부를 연결하는 제4유로부; 저장탱크와 상기 제2유로부를 연결하는 제5유로부; 및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하는 제6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로부는 외기와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1공압관; 및 상기 제1공압관에 형성되고,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하는 제1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로부는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2공압관; 상기 제2공압관에서 분기되어 복수개의 상기 에어스프링을 연결하는 제2분기관; 상기 제2공압관에 형성되는 제2건조기; 상기 제2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공압관을 개폐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2건조기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하는 제2체크밸브; 및 상기 제2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건조기와 상기 제2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2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유로부는 상기 압축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밸브와 상기 제2분기관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공압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3공압관; 상기 제3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3공압관을 개폐하는 제3밸브; 및 상기 제3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3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하는 제3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유로부는 상기 제2건조기와 상기 제2체크밸브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공압관과 연결되는 제4공압관; 상기 제4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4공압관을 개폐하는 제4밸브; 및 상기 제4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4밸브와 상기 제2공압관 사이에 배치되는 제4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유로부는 상기 제2재생기와 상기 제2밸브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공압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5공압관; 및 상기 제5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5공압관을 개폐하는 제5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6유로부는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제6공압관; 및 상기 제6공압관에 형성되고,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하는 제6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는 압축기 구동에 의해 차고를 상승시키거나, 압축기 구동이 없더라도 저장탱크의 공압을 이용하여 차고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는 압축기 구동에 의해 차고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공압을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재활용하거나, 공압을 외부로 배출하여 급속 하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초기 공압 충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저장탱크의 공압 충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저장탱크의 공압을 활용하여 차고를 상승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압축기를 활용하여 차고를 상승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저장탱크로 공압을 안내하면서 차고를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외부로 공압을 안내하면서 차고를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건조기를 재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1)는 제1유로부(10)와, 제2유로부(20)와, 제3유로부(30)와, 제4유로부(40)와, 제5유로부(50)와, 제6유로부(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1)는 공압에 의해 차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유로부(10)는 외기와 압축기(70)를 연결한다. 압축기(70)는 모터 구동에 의해 공압을 생성하는 장치이며, 1단 실린더를 구비하여 공압을 생성하거나, 1단실린더와 2단실린더를 구비하여 다단계 공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제2유로부(20)는 압축기(70)와 에어스프링(80)을 연결한다. 에어스프링(80)은 차량의 각 바퀴에 연결된 로워암에 하나씩 장착되고, 상단이 차체를 받쳐서 충격을 흡수한다. 에어스프링(80)은 공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차고를 조절할 수 있다.
제3유로부(30)는 압축기(70)와 제2유로부(20)를 연결하고, 제4유로부(40)는 외기와 제2유로부(20)를 연결하며, 제5유로부(50)는 저장탱크(90)와 제2유로부(20)를 연결한다. 제6유로부(60)는 저장탱크(90)와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한다.
제1유로부(10)는 제1공압관(11)과 제1체크밸브(12)를 포함한다. 제1유로부(10)는 압축기(70) 구동시 외부공기가 압축기(70)에 공급되도록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제1공압관(11)은 외기와 압축기(70)를 연결한다. 제1체크밸브(12)는 제1공압관(11)에 형성되고,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한다. 일 예로, 제1체크밸브(12)는 외기가 압축기(70)에 도달되도록 공압 흐름을 허용하고, 압축기(70)에서 외부로 공압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유로부(20)는 제2공압관(21)과, 제2분기관(22)과, 제2건조기(23)와, 제2밸브(24)와, 제2체크밸브(25)와, 제2재생기(26)를 포함한다. 제2유로부(20)는 압축기(70)에서 압축된 유체를 안내하고, 차고 조절을 위한 유체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공압관(21)은 일단부가 압축기(70)에 연결된다. 제2분기관(22)은 제2공압관(21)에서 복수개가 분기되어 각각의 에어스프링(80)과 연결된다. 제2분기관(22)에는 제2스프링밸브(27)가 형성되어 제2분기관(22)을 개폐한다. 제2스프링밸브(27)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2분기관(22)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2건조기(23)는 제2공압관(21)에 형성되고, 제2공압관(21)을 통과하는 유체를 건조시킨다. 일 예로, 제2건조기(23)는 제2공압관(21)을 통과하는 유체의 수분을 걸러낼 수 있다.
제2밸브(24)는 제2공압관(21)에 형성되고, 제2공압관(21)을 개폐한다. 제2밸브(24)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2공압관(2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2체크밸브(25)는 제2공압관(21)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체크밸브(25)는 압축기(70)와 제2건조기(23) 사이에 해당되는 제2공압관(21)에 배치되어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한다. 일 예로, 제2체크밸브(25)는 압축기(70)에서 압축된 공압이 제2건조기(23)에 도달되도록 공압 흐름을 허용하고, 제2건조기(23)에서 압축기(70)로의 공압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재생기(26)는 제2공압관(21)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재생기(26)는 제2건조기(23)와 제2밸브(24) 사이에 해당되는 제2공압관(21)에 배치된다. 일 예로, 제2재생기(26)는 오리피스이며, 유체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제2재생기(26)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재생기(26)는 제2건조기(23)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3유로부(30)는 제3공압관(31)과, 제3밸브(32)와, 제3체크밸브(33)를 포함한다. 제3유로부(30)는 차고 하강시 유체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3공압관(31)은 압축기(7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2공압관(21)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공압관(31)은 제2밸브(24)와 제2분기관(22) 사이에 위치되는 제2공압관(21)에 연결된다.
제3밸브(32)는 제3공압관(31)에 형성되고, 제3공압관(31)을 개폐한다. 제3밸브(32)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3공압관(3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3체크밸브(33)는 제3공압관(31)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체크밸브(33)는 압축기(70)와 제3밸브(32)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한다. 일 예로, 제3체크밸브(33)는 압축기(70)에서 압축된 공압이 제3밸브(32)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3밸브(32)를 통과한 공압이 압축기(70)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4유로부(40)는 제4공압관(41)과, 제4밸브(42)와, 제4재생기(43)를 포함한다. 제4유로부(40)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1)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가 될 수 있다.
제4공압관(41)은 제2공압관(21)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공압관(41)의 일단부는 제2건조기(23)와 제2체크밸브(25) 사이에 위치되는 제2공압관(21)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4공압관(41)의 타단부는 외부공기와 연결되어 외부로 유체 배출이 가능하다.
제4밸브(42)는 제4공압관(41)에 형성되고, 제4공압관(41)을 개폐한다. 제4밸브(42)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4공압관(4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4재생기(43)는 제4공압관(41)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재생기(43)는 제4밸브(42)와 제2공압관(21) 사이에 해당되는 제4공압관(41)에 배치된다. 일 예로, 제4재생기(43)는 오리피스이며, 유체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제4재생기(43)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제4재생기(43)는 제2건조기(23)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5유로부(50)는 제5공압관(51)과 제5밸브(52)를 포함한다. 제5유로부(50)는 저장탱크(90)와의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체를 안내한다.
제5공압관(51)은 제2공압관(2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저장탱크(90)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5공압관(51)은 제2재생기(26)와 제2밸브(24) 사이에 위치되는 제2공압관(21)과 연결된다.
제5밸브(52)는 제5공압관(51)에 형성되고, 제5공압관(51)을 개폐한다. 제5밸브(52)로는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제5공압관(5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6유로부(60)는 제6공압관(61)과 제6체크밸브(62)를 포함한다. 제6유로부(60)는 외부공기와 저장탱크(90)를 연결하여 외부공기를 저장탱크(90)에 공급한다.
제6공압관(61)은 외부와 연통되고, 저장탱크(90)와 연결된다. 제6체크밸브(62)는 제6공압관(61)에 형성되고,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한다. 일 예로, 제6체크밸브(62)는 저장탱크(90)에 저장된 유체가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공기가 저장탱크(90)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6공압관(61)의 단부에는 공기주입장치가 탈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초기 공압 충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밸브(24)가 제2공압관(21)을 개방하고, 제2스프링밸브(27)가 제2분기관(22)을 개방하며, 제5밸브(52)가 제5공압관(51)을 개방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제6공압관(61)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저장탱크(90)에 공기가 충진된다. 저장탱크(90)에 충진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제5공압관(51)과, 제2공압관(21)과, 제2분기관(22)을 통해 각각의 에어스프링(80)에 충진된다. 한편, 에어스프링(80)에 공기 충진이 완료되면, 제4밸브(42)가 제4공압관(41)을 개방하고, 제2밸브(24)가 제2공압관(21)을 개방하여, 압축기(70) 내부 및 유로상에 남아있는 잔압을 제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저장탱크의 공압 충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5밸브(52)가 제5공압관(51)을 개방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압축기(70)가 구동되면, 외부공기가 제1공압관(11)을 통해 압축기(70)에 공급되어 압축되고, 제2체크밸브(25)와 제5공압관(51)을 통해 저장탱크(90)에 충진된다. 이때, 압축된 공기는 제2건조기(23)를 통과하면서 제습이 된다. 한편, 저장탱크(90)에 충진이 완료되면, 제4밸브(42)가 제4공압관(41)을 개방하고, 제2밸브(24)가 제2공압관(21)을 개방하여, 압축기(70) 내부 및 유로상에 남아있는 잔압을 제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저장탱크의 공압을 활용하여 차고를 상승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밸브(24)가 제2공압관(21)을 개방하고, 제5밸브(52)가 제5공압관(51)을 개방하며, 제2스프링밸브(27)가 제2분기관(22)을 개방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저장탱크(90)에 저장된 공기가 제5공압관(51)과, 제2공압관(21)과, 제2분기관(22)으로 순차 이동되어 에어스프링(80)에 도달한다. 이때, 에어스프링(80)에서 공압이 상승하면 차고 상승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압축기를 활용하여 차고를 상승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밸브(24)가 제2공압관(21)을 개방하고, 제2스프링밸브(27)가 제2분기관(22)을 개방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압축기(70)가 구동되면, 외부공기가 제4공압관(41)을 통해 압축기(70)에 공급되어 압축되고, 압축된 공기는 제2공압관(21)과 제2분기관(22)으로 순차 이동되어 에어스프링(80)에 도달한다. 이때, 에어스프링(80)에서 공압이 상승하면 차고 상승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저장탱크로 공압을 안내하면서 차고를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스프링밸브(27)가 제2분기관(22)을 개방하고, 제3밸브(32)가 제3공압관(31)을 개방하며, 제5밸브(52)가 제5공압관(51)을 개방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압축기(70)가 구동되면, 에어스프링(80)에 저장된 공기가 제3공압관(31)을 통해 압축기(70)에 도달한다. 압축기(70)를 통과한 압축된 공기는 제2건조기(23)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후 저장탱크(90)에 저장된다. 이때, 에어스프링(80)에서 공압이 제거되면서 차고 하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외부로 공압을 안내하면서 차고를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스프링밸브(27)가 제2분기관(22)을 개방하고, 제3밸브(32)가 제3공압관(31)을 개방하며, 제4밸브(42)가 제4공압관(41)을 개방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압축기(70)가 구동되면, 에어스프링(80)에 저장된 공기가 제3공압관(31)을 통해 압축기(70)에 도달한다. 압축기(70)를 통과한 압축된 공기는 제4공압관(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에어스프링(80)에서 공압이 제거되면서 차고 하강이 가능하다. 외부로 공압을 배출하는 방식(도 7 참조)은 저장탱크(90)에 공압을 저장하는 방식(도 6 참조) 보다 신속한 차고 하강을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에서 건조기를 재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밸브(42)가 제4공압관(41)을 개방하고, 제5밸브(52)가 제5공압관(51)을 개방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저장탱크(90)에 저장된 공기는 제2건조기(23)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2건조기(23) 내부 수분을 제거하여 제2건조기(23)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1)는 압축기(70) 구동에 의해 차고를 상승시키거나, 압축기(70) 구동이 없더라도 저장탱크(90)의 공압을 이용하여 차고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1)는 압축기(70) 구동에 의해 차고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공압을 저장탱크(90)에 저장하여 재활용하거나, 공압을 외부로 배출하여 급속 하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1유로부 11 : 제1공압관
12 : 제1체크밸브 20 : 제2유로부
21 : 제2공압관 22 : 제2분기관
23 : 제2건조기 24 : 제2밸브
25 : 제2체크밸브 26 : 제2재생기
27 : 제2스프링밸브 30 : 제3유로부
31 : 제3공압관 32 : 제2밸브
33 : 제3체크밸브 40 : 제4유로부
41 : 제4공압관 42 : 제4밸브
43 : 제4재생기 50 : 제5유로부
51 : 제5공압관 52 : 제5밸브
60 : 제6유로부 61 : 제6공압관
62 : 제6체크밸브 70 : 압축기
80 : 에어스프링 80 : 저장탱크

Claims (5)

  1. 외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1유로부;
    상기 압축기와 에어스프링을 연결하는 제2유로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2유로부를 연결하는 제3유로부;
    외기와 상기 제2유로부를 연결하는 제4유로부;
    저장탱크와 상기 제2유로부를 연결하는 제5유로부; 및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하는 제6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부는
    외기와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1공압관; 및
    상기 제1공압관에 형성되고,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하는 제1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로부는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2공압관;
    상기 제2공압관에서 분기되어 복수개의 상기 에어스프링을 연결하는 제2분기관;
    상기 제2공압관에 형성되는 제2건조기;
    상기 제2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공압관을 개폐하는 제2밸브;
    상기 제2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2건조기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하는 제2체크밸브; 및
    상기 제2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건조기와 상기 제2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2재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5유로부는
    상기 제2재생기와 상기 제2밸브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공압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5공압관; 및
    상기 제5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5공압관을 개폐하는 제5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부는
    상기 압축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밸브와 상기 제2분기관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공압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3공압관;
    상기 제3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3공압관을 개폐하는 제3밸브; 및
    상기 제3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3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하는 제3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유로부는
    상기 제2건조기와 상기 제2체크밸브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공압관과 연결되는 제4공압관;
    상기 제4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4공압관을 개폐하는 제4밸브; 및
    상기 제4공압관에 형성되고, 상기 제4밸브와 상기 제2공압관 사이에 배치되는 제4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유로부는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제6공압관; 및
    상기 제6공압관에 형성되고, 일방향 공압 흐름을 허용하는 제6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1020170015217A 2017-02-02 2017-02-02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10254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217A KR102546370B1 (ko) 2017-02-02 2017-02-02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217A KR102546370B1 (ko) 2017-02-02 2017-02-02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434A KR20180090434A (ko) 2018-08-13
KR102546370B1 true KR102546370B1 (ko) 2023-06-23

Family

ID=6325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217A KR102546370B1 (ko) 2017-02-02 2017-02-02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3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5009A (ja) * 2013-11-29 2015-06-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4705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Luftfederanlage,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DE102011121756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KR102227854B1 (ko) * 2014-11-11 2021-03-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5009A (ja) * 2013-11-29 2015-06-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434A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146B2 (ja) 自動車用空圧式衝撃吸収装置
US7862061B2 (en) Air suspension system
KR102001706B1 (ko)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
KR102272444B1 (ko)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KR101993497B1 (ko)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력 매체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CN104039570B (zh) 机动车的空气悬架系统和用于对其进行控制的方法
KR20140125823A (ko)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 및/또는 공압 시스템 작동 방법
CN104379944A (zh) 致动器
US20160244112A1 (en) Axle lif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CN111216503B (zh) 车辆的空气悬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10032502A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KR102546370B1 (ko)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101301753B1 (ko)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KR102007356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20100126967A (ko) 에어 현가 공압 회로
KR101301752B1 (ko)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JP5989217B2 (ja) 自動車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および自動車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制御方法
KR102483225B1 (ko) 에어서스펜션 장치
KR102372403B1 (ko)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0153164B1 (ko) 에너지 재생이 가능한 충격완충장치
KR102562114B1 (ko) 에어 현가 공압 회로
JP2007099096A (ja) 車両制御装置
KR101585243B1 (ko) 에어 현가 공압 회로
JP2019038500A (ja) 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102383220B1 (ko) 유압식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