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403B1 - 엑스선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403B1
KR102541403B1 KR1020170159263A KR20170159263A KR102541403B1 KR 102541403 B1 KR102541403 B1 KR 102541403B1 KR 1020170159263 A KR1020170159263 A KR 1020170159263A KR 20170159263 A KR20170159263 A KR 20170159263A KR 102541403 B1 KR102541403 B1 KR 102541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arm
brake
weigh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839A (ko
Inventor
한대웅
이승환
이진우
디팍쿠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68,12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25563B2/en
Priority to PCT/KR2017/013894 priority patent/WO2018105948A1/ko
Publication of KR2018006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7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ounterpoise or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76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motor-assisted motion of the source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2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e.g. anti-collision devices
    • A61B6/105Braking or 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01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portable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08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upport of radiation sou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무게보상부가 구비되는 엑스선 영상장치를 개시한다. 엑스선 영상장치는, 본체에 연결되는 제1칼럼, 상기 제1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1칼럼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칼럼, 상기 제2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2칼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 및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무게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보상부,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은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칼럼에는, 상기 암에 연결되고, 상기 제2칼럼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암이 균일한 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엑스선 영상장치{X-ray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엑스선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X-ray)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선 영상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상체 내부를 영상화할 수 있다. 의료용 엑스선 영상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대상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 소스와 디텍터가 일정 공간에 고정되어 있어 엑스선 촬영을 하기 위해 환자가 엑스선 영상장치가 위치하는 검사실로 이동하고, 장치에 맞게 몸을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는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로 촬영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엑스선 촬영을 할 수 있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mobile x-ray imaging apparatus)가 개발되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는 이동 가능한 본체에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고, 휴대용 디텍터(portable x-ray detector)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한 환자를 직접 찾아가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는 칼럼이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비되는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비되는 칼럼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는 본체에 연결되는 제1칼럼, 상기 제1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1칼럼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칼럼, 상기 제2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2칼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 및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무게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보상부,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칼럼에는, 상기 암에 연결되고, 상기 제2칼럼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암이 균일한 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게보상부,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을 연결하는 와이어는 단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정하중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정토크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기 무게보상부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도록 마련되는 스프링 밸런서(spring balanc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보상부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가이드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풀리에 의해 상기 스프링 밸런서는 균일한 힘으로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의 하중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제2칼럼에는 상기 제2칼럼의 이동을 제동시킬 수 있는 칼럼 브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칼럼에는 상기 암의 이동을 제동시킬 수 있는 암 브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칼럼에는 상기 제2칼럼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제2칼럼이 상기 제1칼럼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최하단부에 위치될 때 상기 제2칼럼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칼럼에는 상기 암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암이 상기 제2칼럼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최상단부에 위치될 때 상기 암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는 본체에 연결되는 제1칼럼, 상기 제1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1칼럼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칼럼, 상기 제2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2칼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는 제1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는 제1무게보상부 및 상기 제2칼럼에 구비되고,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는 제2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는 제2무게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게보상부는 상기 제2칼럼과 상기 제1스프링 밸런서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게보상부는 상기 암과 상기 제2스프링 밸런서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는 암, 상기 암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칼럼, 상기 제1칼럼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칼럼, 상기 제2칼럼에 구비되어, 상기 제1칼럼 및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는 제1무게보상부 및 상기 제1칼럼에 구비되어,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는 제2무게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게보상부는 상기 제1칼럼 및 상기 암의 하중을 지지하는 유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무게보상부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과 상기 제2칼럼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칼럼 및 상기 암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칼럼에는, 상기 제1칼럼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압스프링은 상기 지지부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무게보상부는,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에는 상기 암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무게보상부는 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 소스의 위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어 다양한 각도 및 범위에서 엑스선 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는 칼럼이 연장 또는 단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엑스선 영상장치의 이동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영상장치에 구비되는 칼럼을 경량화하여 엑스선 영상장치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의 칼럼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의 칼럼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1)는 본체(10) 및 본체(10)에 장착된 엑스선 소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바퀴(12)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캐스터(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캐스터(16)에 의해 엑스선 영상장치(1)의 이동시 방향 전환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체(10)에는 손잡이(13)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손잡이(13)를 잡고 밀거나 당겨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10)에는 컨트롤 패널(15)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5)을 조작하여 엑스선 영상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연장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칼럼(20)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회전패널(14)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칼럼(20)은 회전패널(14)에 장착될 수 있다. 칼럼(20)은 회전패널(1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칼럼(20)이 회전함에 따라 칼럼(20)에 연결된 엑스선 소스(11)가 회전하여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엑스선 소스(11)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엑스선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칼럼(20)은 제1칼럼(21) 및 제1칼럼(21)으로부터 연장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칼럼(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칼럼(22)은 제1칼럼(2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칼럼(22)이 제1칼럼(21)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칼럼(20)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고, 제2칼럼(22)이 제1칼럼(21)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칼럼(20)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엑스선 소스(11)가 장착되는 암(30)이 장착될 수 있다. 암(30)은 제2칼럼(2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암(30)이 제2칼럼(22)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엑스선 소스(11)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암(30)은 연장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암(30)이 연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암(30)의 단부에 장착되는 엑스선 소스(11)가 측방으로 이동하여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일례로 암(30)은 제2칼럼(2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암(31), 제1암(31)으로부터 연장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암(32)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11)는 제2암(32)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암(32)이 제1암(31)으로부터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암(30)의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암(30)의 구성은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에 의해 엑스선 영상장치(1)가 이동될 때,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칼럼(20) 및 암(30)은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제2칼럼(22)은 제1칼럼(21)과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제2암(22)은 제1암(21)과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칼럼(20)의 길이와 암(30)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암(30)에 장착된 엑스선 소스(11)는 외부의 장애물과의 충격을 피하기 위해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엑스선 영상장치(1)가 이동될 때, 엑스선 영상장치(1)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칼럼(20) 및 암(30)의 길이는 단축될 수 있다. 엑스선 영상장치(1)에 의한 엑스선 영상이 촬영될 경우에는, 엑스선 소스(11)의 위치를 가변시켜 엑스선 촬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칼럼(20) 및 암(30)의 길이는 연장될 수 있다.
종래의 엑스선 영상장치는 칼럼을 연장 또는 단축시키는 별도의 구동원이 구비되었다. 칼럼이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움직이는 경우, 칼럼이 신속하게 움직이지 못하므로 엑스선 소스가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다른 예로서, 종래의 엑스선 영상장치는 수동으로 칼럼의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 작은 크기의 힘으로 제2칼럼을 움직일 수 있도록, 제2칼럼과 제2칼럼에 장착되는 암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해 무게 추 등을 이용하였다. 무게 추 등에 의해 무게를 보상하는 경우, 엑스선 영상장치의 무게가 증가되어 이동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원 또는 무게 추 등을 포함하지 않고 수동으로 칼럼의 길이를 연장 또는 단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엑스선 영상장치를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수동으로 칼럼의 길이를 연장 또는 단축할 수 있게 하는 칼럼의 내부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20)은 제1칼럼(21), 제2칼럼(22) 및 제2칼럼(22)에 장착되는 암(30)을 포함한다. 암(30)에는 엑스선 소스(11)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칼럼(21), 제2칼럼(22) 및 암(30)은 하나의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무게보상부에 의해 제2칼럼(22), 암(30) 및 엑스선 소스(11)의 무게가 보상된 상태에서 제2칼럼(22), 암(3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무게보상부는 스프링 밸런서(spring balancer)(5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밸런서(500)는 제1칼럼(2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 밸런서(500)는 제1칼럼(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칼럼(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스프링 밸런서(500)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스프링 밸런서(500)는 제1칼럼(21)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프링 밸런서(500)는 풀리(pulley)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는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말린(rolled) 형태의 스프링(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풀리는 드럼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보상부는 가이드 풀리(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풀리(212)는 제1칼럼(2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풀리(212)는 제1칼럼(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칼럼(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 풀리(212)는 스프링 밸런서(5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칼럼(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풀리(212)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가이드 풀리(212)는 제1칼럼(21)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와이어(w)는 가이드 풀리(212)에 감길 수 있다. 가이드 풀리(212)에 감긴 와이어(w)는 제2칼럼(22)의 하측에 위치된 제3풀리(220)에 감기도록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풀리(212)는 일반 풀리(pulley)의 일종으로서 종래 개시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풀리(212)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제2칼럼(22), 제2칼럼(22)에 장착되는 암(30)의 하중이 제1탄성부재(210)에 의해 균일하게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칼럼(22), 암(30)의 하중이 보상된 상태에서 제2칼럼(22)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와이어(w)는 제2칼럼(22)의 하측에 위치된 제3풀리(220)에 감기고, 제2칼럼(22)의 상측에 위치된 제4풀리(22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w)는 제4풀리(221)에 감기고 연장되어, 암(3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칼럼(22)의 하측에는 제2탄성부재(2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24)는 균일한 하중을 지지하는 정하중 스프링 또는 균일한 토크를 지지하는 정토크 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24)의 일측은 암(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24)에 의해 암(30)은 균일한 힘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칼럼(2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무게보상구조는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을 보상할 수 있다. 제2칼럼(22)이 하강할 수 있는 최하부까지 하강하여 더 이상 하강할 수 없는 지점까지 하강된 상태를 파킹(parking) 상태라고 하면, 파킹 상태에서 암(3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무게보상구조는 제2칼럼(22)의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제2칼럼(32)이 파킹된 상태에서 암(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무게보상구조는 암(30)의 하중만을 지지하게 된다. 무게보상구조는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을 모두 지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제2칼럼(22)이 파킹된 상태에서 암(30)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필요한 힘은 제2칼럼(22)이 파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암(30)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필요한 힘과 상이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24)는, 제2칼럼(22)이 파킹된 상태에서도 암(30)이 균일한 하중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암(30)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24)는 암(30)이 균일한 하중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제2칼럼(22)의 하중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탄성력을 암(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암(30)은 제2칼럼(22)의 파킹 여부와 무관하게 균일한 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24)는 암(3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일례로 제2탄성부재(224)는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말린(rolled) 형태로 구비되어, 암(30)이 상승하면 말려있는 제2탄성부재(224)가 펴져서 연장되고, 암(30)이 하강하면 펴졌던 제2탄성부재(224)가 말려서 단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밸런서(500)에 의해 제2칼럼(22)과 암(30)의 무게가 보상되고, 제2칼럼(22)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224)에 의해 암(30)이 균일한 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엑스선 소스(11)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구동원에 의해 엑스선 소스(11)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 비해 신속하게 엑스선 소스(11)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무거운 추 등을 이용하는 종래의 무게보상부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무게보상부는 복수의 풀리, 와이어 및 탄성부재 등의 기구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무게보상부에 비해 무게가 가볍다. 따라서 엑스선 영상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고, 엑스선 영상장치를 이동시키기가 용이하다.
칼럼(20)에는 제2칼럼(22)의 이동을 제동시킬 수 있는 칼럼 브레이크(223) 및 암(30)의 이동을 제동시킬 수 있는 암 브레이크(222)가 구비될 수 있다. 칼럼 브레이크(223) 및 암 브레이크(222)는 제2칼럼(22)에 위치될 수 있다. 칼럼 브레이크(223) 및 암 브레이크(222)의 설치 위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칼럼(20)에는 제2칼럼(22)과 암(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는, 제1칼럼(21)에 구비되는 제1센서(213) 및 제2칼럼(22)에 구비되는 제2센서(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213)는 제1칼럼(21)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2칼럼(22)을 감지할 수 있다. 제2센서(225)는 제2칼럼(22)의 상부에 위치되어 암(30)을 감지할 수 있다. 제1센서(213) 또는 제2센서(225)가 각각 제2칼럼(22) 또는 암(30)을 감지하는 결과에 따라 제2칼럼(22) 또는 암(30)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센서(213)는 제2칼럼(22)가 제1칼럼(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최하부 측에 위치되고, 제2센서(225)는 암(30)이 제2칼럼(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최상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엑스선 영상장치(1) 내에는 칼럼(20) 및 암(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센서(213) 또는 제2센서(225)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칼럼 브레이크(223) 또는 암 브레이크(22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제2칼럼(22)과 암(30)이 움직이지 않도록 칼럼 브레이크(223)와 암 브레이크(222)는 각각 온(on)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엑스선 소스(11)를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칼럼 브레이크(223)가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칼럼 브레이크(223)가 오프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외력을 가해 제2칼럼(22)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칼럼(22)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1센서(213)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칼럼 브레이크(223)를 온 상태가 되게 한다. 칼럼 브레이크(223)가 온되면 제2칼럼(22)은 더 이상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멈춘다. 엑스선 소스(11)가 하부로 더 이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암 브레이크(222)가 오프된 상태에서 암(30)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엑스선 소스(11)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암 브레이크(222)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암 브레이크(222)가 오프되면, 사용자는 외력을 가해 암(30)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암(30)이 상부로 이동하여 제2센서(225)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는 암 브레이크(222)를 온 시킬 수 있다. 암 브레이크(222)가 온되면 암(30)은 더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멈춘다. 엑스선 소스(11)가 상부로 더 이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칼럼 브레이크(223)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2칼럼(22)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엑스선 소스(11)를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칼럼(22)이 암(30)보다 먼저 하부로 이동하고, 엑스선 소스(11)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암(30)이 제2칼럼(22)보다 먼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엑스선 소스(11)를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칼럼(22) 또는 암(30)을 이동시키는 순서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센서(213), 제2센서(225), 칼럼 브레이크(223) 및 암 브레이크(222)의 제어 방법 및 설치 위치 등은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20)은 제1칼럼(21) 및 제1칼럼(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칼럼(22) 및 제2칼럼(2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암(30)을 포함할 수 있다. 암(30)에는 엑스선 소스(11)가 장착될 수 있다. 제2칼럼(22) 및 암(30)의 무게는 복수의 무게보상부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경우, 단일한 와이어(w)가 제1칼럼(21), 제2칼럼(22) 및 암(30)을 연결하여, 전체가 하나로 연결된 무게보상부에 의해 제2칼럼(22) 및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경우, 복수의 무게보상부에 의해 제2칼럼(22) 및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복수의 무게보상부는 제1무게보상부 및 제2무게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칼럼(21) 및 제2칼럼(22)에는 각각 유사한 구조의 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칼럼(21)에 위치된 제1무게보상부에 의해 제2칼럼(22) 및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고, 제2칼럼(22)에 위치된 제2무게보상부에 의해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제1무게보상부 및 제2무게보상부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제1무게보상부 및 제2무게보상부는 각각 제1칼럼(21) 및 제2칼럼(22)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무게보상부는 제1스프링 밸런서(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프링 밸런서(212a)는 제1칼럼(2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스프링 밸런서(212a)는 제1칼럼(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칼럼(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1스프링 밸런서(212a)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제1스프링 밸런서(212a)는 제1칼럼(21)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와이어(w1)는 제1스프링 밸런서(212a)에 감길 수 있다. 제1와이어(w1)는 제1스프링 밸런서(212a)를 감고 통과하여, 제2칼럼(2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와이어(w1)의 일측은 제1스프링 밸런서(212a)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칼럼(22)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스프링 밸런서(212a)는,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제2탄성부재(224)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스프링 밸런서(212a)는 제1와이어(w1)를 통해 전달된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스프링 밸런서(212a)에 의해 제2칼럼(22)과 암(30)의 하중이 보상된 상태에서 제2칼럼(2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제1무게보상부와 유사한 제2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무게보상부는 제1스프링 밸런서(212a)와 유사한 제2스프링 밸런서(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칼럼(22)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칼럼(2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칼럼(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2스프링 밸런서(212b)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칼럼(22)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와이어(w2)는 제2스프링 밸런서(212b)에 감고 통과하여 암(3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와이어(w2)의 일측은 제2스프링 밸런서(212b)에 고정되고, 타측은 암(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와이어(w2)를 통해 전달된 암(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스프링 밸런서(212b)에 의해 암(30)의 하중이 보상된 상태에서 암(3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의 칼럼 브레이크(223), 암 브레이크(222), 제1센서(213) 및 제2센서(225)의 구조 및 기능은,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칼럼 브레이크(223), 암 브레이크(222), 제1센서(213) 및 제2센서(225)에 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칼럼(21)과 제2칼럼(22)에 각각 별개의 무게보상부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4 및 도 5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와 일부 상이한 점이 있으나, 수동으로 엑스선 소스의 위치를 신속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도 7 및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20)은 제1칼럼(21) 및 제2칼럼(22)을 포함하고, 제1칼럼(21)과 제2칼럼(22)에는 각각 별개의 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칼럼(21)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에 의해 제2칼럼(22) 및 제2칼럼(22)에 장착되는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에 의해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제1칼럼(21)에는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유압스프링(214)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유압스프링(2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227)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27)는 제2칼럼(22)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칼럼(22)으로부터 제1칼럼(21) 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유압스프링(214)은 지지부(227)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유압스프링(214)이 지지부(227)의 저면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의해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이 보상될 수 있다.
유압스프링(214)이 제2칼럼(22)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은 상기 지지부(227)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도 6에 도시된 제2칼럼(22)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보상부는 제2스프링 밸런서(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칼럼(22)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칼럼(2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칼럼(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2스프링 밸런서(212b)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칼럼(22)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와이어(w2)의 일측은 제2스프링 밸런서(212b)에 고정되어 제2스프링 밸런서(212b)에 감기고, 타측은 암(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와이어(w2)를 통해 전달된 암(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스프링 밸런서(212b)에 의해 암(30)의 하중이 보상된 상태에서 암(3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칼럼 브레이크(223), 암 브레이크(222), 제1센서(213) 및 제2센서(225)의 구조 및 기능은,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칼럼 브레이크(223), 암 브레이크(222), 제1센서(213) 및 제2센서(225)에 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칼럼(21) 및 제2칼럼(22)에는 각각 별개의 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칼럼(21)에 유압스프링(214)이 구비되고 제2칼럼(22)에는 풀리, 와이어를 포함하는 무게보상부가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칼럼(22)에 유압스프링(214)이 구비되고, 제1칼럼(21)에는 도 6에 도시된 제1무게보상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는, 수동으로 엑스선 소스의 위치를 신속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는 점, 유압스프링, 풀리, 와이어 등을 포함하는 경량의 무게보상부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9 및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20)은 제1칼럼(21)과 제2칼럼(22)에 각각 별개의 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칼럼(21)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에 의해 제2칼럼(22) 및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고, 제2칼럼(22)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에 의해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제1칼럼(21)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1칼럼(21)과 같이 유압스프링(214)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제1칼럼(21) 측으로 연장된 지지부(227)가 구비되고, 유압스프링(214)은 지지부(227)를 지지할 수 있다. 유압스프링(214)이 지지부(227)의 저면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이 보상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제5탄성부재(224a)가 구비될 수 있다. 제5탄성부재(224a)는 균일한 하중을 지지하는 정하중 스프링 또는 균일한 토크를 지지하는 정토크 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5탄성부재(224a)는 제2칼럼(22)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5탄성부재(224a)의 일측은 암(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5탄성부재(224a)는 암(3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단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암(30)은 스파이럴 형상으로 말려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암(30)이 하강하면 제5탄성부재(224a)가 풀려서 연장되고, 암(30)이 상승하면 제5탄성부재(224a)가 말려서 제5탄성부재(224a)로부터 암(30)까지 연장된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암(30)의 하중은 제5탄성부재(224a)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5탄성부재(224a)에 의해 암(30) 및 암(30)에 장착된 엑스선 소스(11)의 하중이 보상된 상태에서 암(3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칼럼 브레이크(223), 암 브레이크(222), 제1센서(213), 제2센서(225)의 구성 및 기능 등에 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칼럼 브레이크(223), 암 브레이크(222), 제1센서(213), 및 제2센서(225)에 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20)은, 제1칼럼(21), 제1칼럼(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칼럼(22) 및 제2칼럼(2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암(30)을 포함한다. 암(30)에는 엑스선 소스(11)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칼럼(21)과 제2칼럼(22)에는 각각 별개의 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칼럼(21)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에 의해 제2칼럼(22) 및 제2칼럼(22)에 장착되는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에 의해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제2칼럼(22)이 제1칼럼(21)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제1칼럼(21)에 구비되는 구동원(215)에 의해 자동으로 제2칼럼(22)과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암(30)이 제2칼럼(22)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기계적인 구조를 가진 무게보상부에 의해 암(30)의 무게가 보상될 수 있다.
제1칼럼(21)에는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유압스프링(214)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유압스프링(2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227)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유압스프링(2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227)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227)는 제2칼럼(22)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칼럼(22)으로부터 제1칼럼(21) 측으로 연장되어 유압스프링(214)에 의해 저면이 지지될 수 있다. 유압스프링(214)에 의해 제2칼럼(22)이 지지하는 힘에 의해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이 보상될 수 있다.
유압스프링(214)에 의해 제2칼럼(22) 및 암(30)의 무게가 보상되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제2칼럼(2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칼럼(22)이 상부로 이동하면 유압스프링(214)은 연장되고, 제2칼럼(22)이 하부로 이동하면 유압스프링(214)은 압축될 수 있다.
유압스프링(214)은 내부에 구비되는 유체가 압축 또는 팽창되는 힘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하는데, 압축될 때의 힘과 팽창될 때의 힘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칼럼(22)이 상부로 이동할 때 또는 하부로 이동할 때, 유압스프링(214)에 의해 보상되는 힘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유압스프링(214)에 의해 보상되는 힘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제1칼럼(21)에는 구동원(215)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원(215)와 제2칼럼(22) 측은 연결부(2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부(216)는 구동원(215)과 제2칼럼(22)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227)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칼럼(22)은 연결부(216)를 통해 구동원(215)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동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원(215)이 단독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을 보상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출력이 큰 구동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동원의 크기가 커지고 무게가 무거워질 수 있다. 그러나 유압스프링(214)이 구동원(215)과 함께 구비됨으로써,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을 보상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215)의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연결부(216)는 복수의 풀리 및 벨트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도 6에 도시된 제2무게보상부와 유사한 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보상부는 제2스프링 밸런서(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칼럼(22)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칼럼(2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칼럼(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2스프링 밸런서(212b)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가이드 풀리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칼럼(22)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와이어(w2)의 일측은 제2스프링 밸런서(212b)에 고정되어 제2스프링 밸런서(212b)에 감기고, 타측은 암(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스프링 밸런서(212b)는 제2와이어(w2)를 통해 전달된 암(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스프링 밸런서(212b)에 의해 암(30)의 하중이 보상된 상태에서 암(30)을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칼럼(22)은 구동원(215)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암(30)은 수동 방식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럼(20)은, 제1칼럼(21), 제1칼럼(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칼럼(22) 및 제2칼럼(2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암(30)을 포함할 수 있다. 암(30)에는 엑스선 소스(11)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칼럼(21)에는, 도 11에 개시된 제1칼럼(21)과 같이, 유압스프링(214)과 구동원(215)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제2칼럼(22)이 제1칼럼(21)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때, 제2칼럼(22) 및 암(30)의 무게는 구동원(215)에 의해 자동으로 보상될 수 있다. 도 11의 유압스프링(214) 및 구동원(215)에 대한 내용은 도 12의 유압스프링(214) 및 구동원(215)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동원(215)과 함께 유압스프링(214)이 함께 구비됨으로써, 제2칼럼(22) 및 암(30)의 하중을 보상하기 위한 구동원의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제2칼럼(22)에는 암(30)의 하중을 보상하기 위한 별개의 구동원(228)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칼럼(22)의 내부에는 제2칼럼(22)의 길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볼스크류(229)가 구비될 수 있다. 볼스크류(229)는 구동원(228)과 연결되어 구동원(228)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암(30)에는 너트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너트부(300)는 볼스크류(229)에 장착되어, 볼스크류(229)가 회전함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암(30)은 너트부(300)와 함께 볼스크류(229)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볼스크류(229)와 너트부(300)의 구성에 의해 암(30)은 자동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거나, 구동원(228)과 연결된 볼스크류(229)와 너트부(300)의 구성에 의해 암(30)의 무게가 자동으로 보상되고 암(3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풀리, 와이어,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무게보상부, 유압스프링을 포함하는 무게보상부, 구동원을 포함하는 무게보상부의 몇몇 실시예가 개시되고 있다. 제1칼럼(21)과 제2칼럼(22)에는 동일한 구조의 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이한 구조의 무게보상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칼럼(21)과 제2칼럼(22)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의 조합은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게보상부는 와이어가 감기는 풀리 유닛(pulley unit)(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풀리 유닛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풀리 및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제2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풀리는 한 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제2풀리도 한 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풀리, 와이어,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무게보상부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말린(rolled) 형태의 스프링뿐만 아니라 인장 스프링, 압축 스프링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 밸런서는 직경이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직경이 상이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직경이 상이한 형태의 일 예로서, 스프링 밸런서는 중심부의 직경이 양쪽 단부의 직경보다 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는 무게보상부가 엑스선 영상장치에 구비되는 칼럼에 구비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엑스선 영상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무게보상부가 필요한 기기라면 어디에든 적용가능하다.
1: 엑스선 영상장치 10: 본체
11: 엑스선 소스 20: 칼럼
21: 제1칼럼 21: 제2칼럼
30: 암

Claims (19)

  1. 본체에 연결되는 제1칼럼;
    상기 제1칼럼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에 풀리를 포함하는 제2칼럼;
    상기 제2칼럼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는 암; 및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1칼럼에 구비되는 무게보상부;
    상기 제2칼럼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암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상기 제2칼럼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칼럼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센서;
    상기 암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2칼럼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센서;
    상기 제2칼럼에 마련되어, 상기 제1칼럼에 대한 상기 제2칼럼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칼럼 브레이크;
    상기 제2칼럼에 마련되어, 상기 제2칼럼에 대한 상기 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암 브레이크; 및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칼럼 브레이크 또는 상기 암 브레이크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소스를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칼럼이 상기 제1칼럼에 대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상기 제2칼럼이 감지되면 상기 칼럼 브레이크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제2칼럼의 이동을 제한한 이후, 상기 암 브레이크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암이 상기 제2칼럼에 대해 하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암이 상기 제2칼럼에 대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암이 감지되면 상기 암 브레이크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암의 이동을 제한한 이후, 상기 칼럼 브레이크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제2칼럼이 상기 제1칼럼에 대해 상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보상부,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는 단일하게 구비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정하중 탄성부재인 엑스선 영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정토크 탄성부재인 엑스선 영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보상부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도록 마련되는 스프링 밸런서(spring balancer)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보상부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가이드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풀리에 의해 상기 스프링 밸런서는 균일한 힘으로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의 하중을 보상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측은 상기 제1칼럼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암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칼럼 하부의 상기 풀리를 통해 상기 제2칼럼을 지지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칼럼 하부의 상기 풀리는 제1풀리이고,
    상기 제2칼럼은 상부에 마련되는 제2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 브레이크는 상기 제2풀리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 브레이크가 온 상태로 제어되면 상기 제2풀리가 고정되어 상기 암의 이동이 제한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제2칼럼이 상기 제1칼럼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최하단부에 위치될 때 상기 제2칼럼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 브레이크는 상기 제2칼럼 하부에 마련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암이 상기 제2칼럼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최상단부에 위치될 때 상기 암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3. 본체에 연결되는 제1칼럼;
    상기 제1칼럼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칼럼;
    상기 제2칼럼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는 암;
    상기 제1칼럼에 구비되고, 상기 제2칼럼 및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는 제1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는 제1무게보상부;
    상기 제2칼럼에 구비되고,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는 제2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는 제2무게보상부;
    상기 제2칼럼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칼럼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센서;
    상기 암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2칼럼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센서;
    상기 제2칼럼에 마련되어, 상기 제1칼럼에 대한 상기 제2칼럼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칼럼 브레이크;
    상기 제2칼럼에 마련되어, 상기 제2칼럼에 대한 상기 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암 브레이크; 및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칼럼 브레이크 또는 상기 암 브레이크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게보상부는 상기 제2칼럼과 상기 제1스프링 밸런서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게보상부는 상기 암과 상기 제2스프링 밸런서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소스를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칼럼이 상기 제1칼럼에 대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상기 제2칼럼이 감지되면 상기 칼럼 브레이크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제2칼럼의 이동을 제한한 이후, 상기 암 브레이크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암이 상기 제2칼럼에 대해 하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암이 상기 제2칼럼에 대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암이 감지되면 상기 암 브레이크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암의 이동을 제한한 이후, 상기 칼럼 브레이크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제2칼럼이 상기 제1칼럼에 대해 상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4.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는 암;
    상기 암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칼럼;
    상기 제1칼럼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칼럼;
    상기 제2칼럼에 구비되어, 상기 제1칼럼 및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는 제1무게보상부; 및
    상기 제1칼럼에 구비되어, 상기 암의 무게를 보상하는 제2무게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게보상부는 상기 제1칼럼 및 상기 암의 하중을 지지하는 유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칼럼에는, 상기 제1칼럼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압스프링은 상기 지지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게보상부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과 상기 제2칼럼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칼럼 및 상기 암의 하중을 지지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게보상부는,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에는 상기 암이 장착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게보상부는 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KR1020170159263A 2016-12-09 2017-11-27 엑스선 영상장치 KR10254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68,126 US10925563B2 (en) 2016-12-09 2017-11-30 X-ray imaging apparatus
PCT/KR2017/013894 WO2018105948A1 (ko) 2016-12-09 2017-11-30 엑스선 영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68035 2016-12-09
KR1020160168035 201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839A KR20180066839A (ko) 2018-06-19
KR102541403B1 true KR102541403B1 (ko) 2023-06-09

Family

ID=6279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263A KR102541403B1 (ko) 2016-12-09 2017-11-27 엑스선 영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25563B2 (ko)
KR (1) KR102541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7076B2 (ja) * 2018-08-06 2022-07-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装置
DE102019130562B4 (de) * 2018-11-14 2024-04-04 Ewellix AB Teleskopische Hubeinheit
CN109626260B (zh) * 2018-12-18 2021-08-03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横臂升降组件及移动式放射线装置
WO2021011499A1 (en) * 2019-07-12 2021-01-21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Independent stereotactic radiotherapy dose calculation and treatment plan verification
KR102469173B1 (ko) * 2022-01-07 2022-11-18 (주)디알젬 엑스선 촬영장치용 신축 컬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9807A1 (en) * 2010-04-13 2011-10-13 Dirisio Anthony Collapsible column movement apparatus for mobile x-ray device
US20140098942A1 (en) 2012-10-05 2014-04-10 Canon Kabushiki Kaisha Radiation gener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7921B2 (ja) 1998-07-09 2008-11-05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移動形x線装置
US8672543B2 (en) 2010-04-13 2014-03-18 Carestream Health, Inc. Counterweight for mobile x-ray device
MY176299A (en) 2013-07-04 2020-07-28 Soc Espa?Ola De Electromedicina Y Calidad S A Mobile x-ray device with telescopic column
JP6191350B2 (ja) 2013-09-13 2017-09-0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装置
KR101780478B1 (ko) * 2013-10-25 2017-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3852364U (zh) 2014-02-28 2014-10-01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升降装置和包括该升降装置的x射线照相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9807A1 (en) * 2010-04-13 2011-10-13 Dirisio Anthony Collapsible column movement apparatus for mobile x-ray device
US20140098942A1 (en) 2012-10-05 2014-04-10 Canon Kabushiki Kaisha Radiation generating apparatus
JP2014073322A (ja) * 2012-10-05 2014-04-24 Canon Inc 放射線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9269A1 (en) 2020-03-05
KR20180066839A (ko) 2018-06-19
US10925563B2 (en)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403B1 (ko) 엑스선 영상장치
US10813450B2 (en) Mobile workstation with adjustable height
US9591919B2 (en) Height adjustable desk system and method
US9055911B2 (en) Radiation generating device and radiation imaging apparatus
JP6766864B2 (ja) 移動型放射線装置
US11051775B2 (en) Collapsible column movement apparatus for mobile x-ray device
US20070142175A1 (en) Automated mechanism for collapsing exercise equipment
EP3311746B1 (en) 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KR20130057978A (ko) 이동식 x-선 장치용 절첩식 칼럼 운동 장치
US7670048B2 (en) Drive unit for X-ray system
KR101833940B1 (ko) 운동기구
US20120018596A1 (en) Vertical Columns of Dollies Used for Filming
JP6769496B2 (ja) 移動型放射線撮影装置
US10856652B2 (en) Telescopic column with internal cable
JP6632211B2 (ja) 放射線撮像装置
JP2024522880A (ja) X線撮影装置用伸縮カラム
KR101690461B1 (ko) 천장형 엑스선 촬영장치
JPWO2019069521A1 (ja) 診断用x線装置
US11812852B2 (en) Actuator system and multifunctional table comprising such an actuator system
JP2634776B2 (ja) 伸縮支柱
US20170265288A1 (en) Articulated x-ray support boom using jammable material
US20190069872A1 (en) Moving type radiation device
JP6501640B2 (ja) 昇降装置
US20240188913A1 (en) Mobile X-Ray Device with Telescopic Column Including Counterbalancing Compression Spring Mechanism
JP2024518361A (ja) 可搬型放射線撮像装置のためのカウンタバランス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