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275B1 - 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4275B1 KR102534275B1 KR1020200087566A KR20200087566A KR102534275B1 KR 102534275 B1 KR102534275 B1 KR 102534275B1 KR 1020200087566 A KR1020200087566 A KR 1020200087566A KR 20200087566 A KR20200087566 A KR 20200087566A KR 102534275 B1 KR102534275 B1 KR 1025342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learner
- terminal
- lectur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어학 학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원격지에 위치한 학습자와 강의자간에 화상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어학 학습 강좌를 구현하는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원격지에 위치한 학습자와 강의자가 각각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통해 일대일로 연결되어 화상대화 기반의 어학 강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는 현지에 방문하지 않고도 원어민과의 외국어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anguage learning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that implements a language learning course based on a video conversation between a learner and a lecturer located in a remote location, and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er and a lecturer loca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one-to-one through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phone possessed by each other to provide a language lecture environment based on video conversation, so that the learner can It has the effect of conducting foreign language classes with native speakers without having to vis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학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지에 위치한 학습자와 강의자간에 화상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어학 학습 강좌를 구현하는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that implements a language learning course based on a video conversation between a learner and a lecturer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and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IT 기술의 발전 및 국제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외국어, 특히 영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형태의 IT 기반 외국어 학습 방법과 학습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arrival of the globalization era, the need for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English, has increased, and various types of IT-based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devices have been proposed.
외국어 학습은, 외국어 국제 공인 평가 시험뿐만 아니라, 개인의 외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특히 말하기와 쓰기 능력 향상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으나, 공지의 어학 학습 방법에 의하면, 외국어의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개발 및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 시험들에 대하여 세분화된 평가 요소에 따라 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강의자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가 단순 시청 또는 문장을 단순히 따라 읽는 형태로 진행되거나, 학원이나 해외 연수 등의 과정을 통하여 원어민과의 계속적으로 대화를 연습하는 형태에서 크게 바뀌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Foreign language learning can be said to require the improvement of speaking and writing skills in order to improve an individual's foreign language ability, as well as internationally recognized foreign language evaluation tests. Despite the fact that various evaluation tests for evaluation must be conducted professionally according to detailed evaluation factors, currently, learners simply watch or read sentences of learning contents provided by lecturers, The reality is that through the process of ', there has not been much change in the form of continuing to practice conversation with native speakers.
특히, 종래 학원을 통한 어학 학습은 정형화된 교재의 틀을 벗어나기 어렵고 여러 학습자가 일인의 원어민 강의자로부터 주입식으로 배우게 됨에 따라 자신의 능력과 수준, 특히 부족한 부분에 대한 학습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In particular, language learning through conventional academies is difficult to get out of the frame of standardized textbooks, and as many learners learn by injection from one native speaker, their ability and level, especially the lack of learning, is difficult to focus on. there is.
또한, 어학연수의 경우 원어민과 생활하면서 해당 외국어를 습득하게 되므로 학습효과는 증가하게 되지만, 외국에서의 체류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체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외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현지 원어민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부여된다 하더라도 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그 학습 효과의 편차가 상당하며, 어학연수의 장기체류 및 고비용 외화 유출 등 부작용이 있는 문제 및 학습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language training, the learning effect increases because you learn the foreign language while living with native speakers. Even if many opportunities to directly contact native speakers are provided, the learning effect varies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learner's inclination, and there are problems with side effects such as long-term stay in language training and high-cost foreign currency outflow, and problems in which the learning effect is halved. there is
즉, 지금까지의 어학 학습 방법에 의하면, 현지로의 어학연수 형태가 아니라면, 강의자에 의한 일방적인 읽기, 강의 듣기 위주의 수동적 교육방식을 벗어나지 못함에 따라 학습자의 외국어 말하기 실력의 향상이 어려우며 학습한 내용을 바로 말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없는 환경으로 인하여 학습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language learning method so far, unless it is a local language training form,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learner's foreign language speaking skills as the lecturer cannot escape the passive education method focused on one-sided reading and listening to the lecture.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is low due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ontent cannot be spoken and feedback cannot be received.
또한, 공지의 학습 기기, 전화 수업 등을 방식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개인의 정확한 말하기 레벨 측정이 불가하며, 결국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반복하는 정도의 강의만이 제공될 수 밖에 없으며, 실시간 학습 전용 미디어의 부재에 따라 비효율적인 학습환경이 한정적으로 제공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known learning devices and telephone classes are used,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actual speaking level of an individual accurately, and in the end, only lectures to the extent of repeating what is already known are provided, and there is no media dedicated to real-time learning. As a result, there is a limitation that inefficient learning environments can only be provided in a limited manne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형PC와 같은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학습자와 원격지의 강의자를 일대일로 연결하여 화상대화 기반으로 어학 강의를 진행하는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nguage learning in which a language lecture is conducted based on a video conversation by connecting a learner and a remote lecturer one-to-one using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stationary PC. There is a task to provide a terminal,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화상대화 기반 어학 강의시, 학습 콘텐츠의 실시간 추가, 갱신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인공지능 기반으로 학습자의 말하기 레벨을 실시간으로 분석함으로써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learning content can be added and updated in real time during online video conversation-based language lectures, and provides customized learning content by analyzing the speaking level of learners in real tim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other task is to provide a learning terminal,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은, 어학 학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어학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 상기 학습자 단말의 학습 방식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과 일대일 연결되어 온라인 방식으로 강의자에 의한 어학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강의자 단말 및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스탠드 얼론 방식의 어학 학습 콘텐츠의 진행을 위한 실행 파일을 제공하거나, 또는 등록된 하나 이상의 원격지 강좌 중 선택된 하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 상기 학습자 단말을 일대일로 매칭하여 동기화하는 학습 플랫폼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anguage lear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in a stand-alone manner or in real time by a remote lecturer according to a learner's selection to perform language learning. Among ongoing online methods, one or more learner terminals that execute any one language learning content, and one or more learner terminals are connected one-to-one with the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learning method of the learner terminal to provide language learning contents by the lecturer in an online manner. A lectur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and at the request of the learner terminal, an execution file for the progress of language learning contents in a stand-alone manner i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or one or more registered remote courses are provided. It may include a learning platform server that matches and synchronizes a lecturer terminal for the selected one and the learner terminal on a one-to-one basis.
상기 학습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말 통신부, 학습자로부터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을 선택 받는 학습 선택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와 저장소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고, 온라인 방식에 따른 학습시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의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1 동기화부, 상기 저장소에 저장된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자기주도 학습부 및 실시간으로 학습자를 촬영한 학습자 화상을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고, 통신 동기화된 강의자 단말이 제공하는 강의자의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학습절차를 실행하는 화상 학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includes a first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at accesse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 learning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of one of the stand-alone method and online method from the learner,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stand-alone method. Storage for storing content,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with learning content provided by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nd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when learning according to the stand-alone method, learner terminal when learning according to the online method, and lecturer terminal for the selected lecture A first synchronization unit that synchronize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ynchronization unit, a self-directed learning unit that executes the latest version of the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and a learner image captured in real time is provided to the lecturer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synchronized lecturer terminal It may include an image learning unit that executes a learning procedure by displaying an image of a lecturer and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on a screen.
상기 강의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 통신부,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강좌건을 생성하고,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 하는 강의 생성부, 상기 학습자 단말에 의한 상기 강좌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2 동기화부, 실시간으로 강의자를 촬영한 강의자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통신 동기화된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여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화상 강의부,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강의자가 선택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영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하는 콘텐츠 애드온부 및 정상적으로 진행 완료된 강좌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에 보고하여 일, 주 또는 월 단위로 비용 정산을 요청하는 비용 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cturer terminal includes a second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at accesse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 lecture generator that generates one or more course items for learning content input from the lecturer and uploads them to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nd the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lecture, the second synchronization unit performs data synchronization, the video lecture unit performs the learning procedure by providing the lecturer image and learning contents captured in real time to the communication-synchronized learner terminal, learning in progress Regarding the procedure, the content add-on unit that adds the external content selected by the lecturer in the form of a real-time video or link to an external system and the cost is calculated according to a preset policy for the course that has been normally completed and reported to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 cost settlement unit requesting cost settlement on a weekly or monthly basis may be included.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학습자 단말 또는 강의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회원 가입 절차 진행하여 이용형태에 따른 권한을 부여하고, 회원 등록된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로그인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 등록부, 시스템 측 또는 등록된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가 선택되면,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좌 리스트 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선택되면, 상기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을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ing platform server, in accordance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earner or lecturer terminal requests, proceed wit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of the learner or lecturer, and authority according to the type of use. and a member registration unit that proceeds with the log-in procedure of registered learners or lecturers, a lis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list of lectures for a plurality of courses input from the system side or registered lecturers to the learner terminal, and from the learner terminal When a stand-alone course on the course list is selected, a content provider that transmits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server database to the learner terminal, and when an online course on the course list is selec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learner terminal and , and may include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lecturer terminal of the selected course.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학습자의 어학능력을 판단하는 복수의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상기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각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고,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 변경을 요청하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 요청하는 레벨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ing platform server determines the level of each learner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ing content and the learner's reply to a learning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for determining the learner's language ability is stored and a learning model derived using the learning data. and a level analysis unit requesting a change in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learning content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to the content providing unit.
상기 매칭부는, 상기 학습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상대방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earner terminal, the matching unit extracts the IP address of each of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IP address to the counterpart.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상기 강의자 단말에 실시간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제작 환경을 제공하는 강의툴 제공부 및 등록된 학습자 및 강의자의 정보 및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툴을 이용하여 제작 및 업로드한 강좌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ing platform server stores a lecture tool provider providing a real-time online learning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to the lecturer terminal, information on registered learners and lecturers, and lecture information produced and uploaded by the lecturer terminal using the lecture tool. may include a server database that
상기 제작 환경은, 모바일 Web RTC 표준을 만족할 수 있다.The production environment may satisfy the mobile Web RTC standard.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외부 콘텐츠에 대한 링크를 상기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ing platform server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system connection unit that provides a link to external content provided by an external system selected by the lecturer to the lecturer terminal for the ongoing learning procedure.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하나 이상의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모듈 및 하나 이상의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퀴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learning module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one or more learnings and a quiz module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one or more quizzes.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방법은, 학습자 단말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접속함에 따라, 학습 플랫폼 서버가 등록된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이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languag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earner terminal accesses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provides a course list for a plurality of registered courses Step of selecting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y one learning method among the learner terminal's stand-alone method or online method conducted in real time by a remote lecturer, an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learner terminal,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may include performing the stand-alone or online learning procedure.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 단말이 상기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전송하여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저장 또는 갱신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이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여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proceeding with the stand-alone method or online learn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learner terminal, when the learner terminal selects a stand-alone method course on the course list,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stored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 terminal to store or update the latest version of the learning content to perform data synchronization, and executing the learning procedure by the learner terminal executing the stored learning content.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상기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각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learner terminal, the step of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proceeding with the stand-alone method or online method learning procedure,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determines the type of learning content and Determining the level of each learner according to the learner's reply, and changing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provided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by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상기 학습자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의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 단말이 상기 강좌 리스트 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선택하는 단계,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상기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매칭된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상대방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이 서로 접속하여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learner terminal, the step of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proceeding with the stand-alone method or online method learning procedure, the step of the learner terminal selecting an online method course on the course list,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Matching the learner terminal with the lecturer terminal of the selected course,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extracting the IP address for each of the matched learner terminal and lectur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P address to the other party, and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It may include accessing each other, performing communication synchronization, and proceeding with a learning procedure.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이 서로 접속하여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는,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화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erforming communication synchronization by connecting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to each other and proceeding with the learning procedure, the lecturer terminal transmits the external content selected by the lecturer in the form of a real-time image or a link to an external system for the ongoing learning procedure. Additional steps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원격지에 위치한 학습자와 강의자가 각각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통해 일대일로 연결되어 화상대화 기반의 어학 강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는 현지에 방문하지 않고도 원어민과의 외국어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고 원어민과 바로 화상 대화를 수행할 수 있어 체험 위주의 고효율 학습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er and a lecturer loca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one-to-one through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phone possessed by each other to provide a language lecture environment based on video conversation, so that the learner can It is possible to conduct foreign language classes with native speakers without visiting the offic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nduct learning through applications and conduct video conversations directly with native speakers, which has the effect of providing experience-oriented and highly efficient learning experienc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어학 강의 중 WebRTC 기반으로 하여 화상, 음성, 배경 및 문서 등의 이종 콘텐츠를 제어 및 합성함으로써 보다 역동적인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more dynamic customized learning content by controlling and synthesizing heterogeneous content such as images, voices, backgrounds, and documents based on WebRTC during online language lect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이고, 도 4b는 도 4a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콘텐츠 제공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 의한 어학 학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 및 강의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including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arner autho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cturer autho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earning platform server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ent providing unit of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of FIG. 4A.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screens provided by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arner authority and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instructor authority,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D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ent screens related to learning provided to a learner terminal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H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ent screens related to quizzes provided to a learner terminal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comprise" or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Terminal", and "...System"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This means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embodiment" in this specification means to serve as an illustration, example, or illustration, but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examples. Also, while "comprising", "comprising", "having" and other similar terms are used, when used in the claims, the transition word "comprising" is an open term that does not exclude any additional or different elements. It can be used generically in a similar way to the term "comprising".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where appropriate. Terms such as "...Unit", "...Terminal" and "...System" as used herein also refer to computer-related entities, i.e., hardware ,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software in execution. In addition, each function executed in th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module units and recorded in one physical memory or distributed between two or more memories and recording media.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어학 학습 단말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어학 학습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표기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language learning system including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may be abbreviated as "language learning system" or "syste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학습자 권한을 갖는) 어학 학습 단말" 및 "(강의자 권한을 갖는) 어학 학습 단말"은 각각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로 혼용되어 표기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arner authority)" and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cturer authority)" may be interchangeably expressed as "learner terminal" and "lecturer terminal", respectivel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including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단말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은, 어학 학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어학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100), 학습자 단말(100)의 학습 방식에 따라, 학습자 단말(100)과 일대일 연결되어 온라인 방식으로 강의자에 의한 어학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강의자 단말(200) 및,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 연결되고, 학습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 단말(100)에 스탠드 얼론 방식의 어학 학습 콘텐츠의 진행을 위한 실행 파일을 제공하거나, 또는 등록된 하나 이상의 원격지 강좌 중 선택된 하나에 대한 강의자 단말(200)과 학습자 단말(100)을 일대일로 매칭하여 동기화하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language learning system including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ducted online in real time by a stand-alone method or a remote lecturer according to a learner's selection to perform language learning. Among the methods, one or
학습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학습자가 원격지에 위치한 강의자와의 온라인 방식 어학 학습을 진행하는 학습자 측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및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 및/또는 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The
이러한 학습자 단말(100)은 통신수단을 탑재하고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접속하여 학습자 권한을 부여받아 사용자 계정을 생성 및 회원 등록하고, 학습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영어, 일본어 등 외국어 학습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스탠드 얼론(Standalone)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하거나, 혹은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강의자와의 매칭을 통한 일대일 연결에 따라 온라인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This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100)은,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탑재된 딥 러닝 기반 학습자의 어학 능력 분석 기능에 따라, 스탠드 얼론 방식 학습을 진행함에 있어서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분석하여 적합한 레벨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아 학습을 진행할 수 있고, 온라인 방식에서는 원격자의 강의자 단말(200)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실시간 강의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강의자 단말(200)은 통신수단을 탑재하고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접속하여 강의자 권한을 부여받아 사용자 계정을 생성 및 회원 등록하고,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강의자 자신의 개설할 하나 이상의 강좌를 개설하여 등록하며, 이후 학습 플랫폼 서버(300)의 매칭을 통해 학습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강좌정보에는 강의자 단말(200)이 접속하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해당 시간에 온라인 방식 학습을 요청한 학습자 단말(100)과의 일대일 강의가 이루어지도록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The
이러한 강의자 단말(200)은 학습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강의 툴을 이용하여 자신의 강좌를 위한 학습 콘텐츠를 제작 및 준비할 수 있고, 학습자 단말(100)과 매칭되면 학습자 단말(100)의 IP주소를 학습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The
특히, 강의자 단말(200)은 강의 중 강의자를 촬영한 화상을 학습자 단말(1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함과 더불어 강의자가 입력한 다양한 형태의 강의자료를 삽입할 수 있고, 외부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학습 콘텐츠를 추가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이러한 강의자 단말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lecturer terminal will be described later.
전술한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서로를 매칭함으로써 원격지 온라인 방식 강의가 수행되도록 중개함과 아울러, 학습자 단말(100)이 스탠드 얼론 방식으로 자체적인 자기주도 학습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The
상세하게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요청에 따라 다수의 학습자 및 강의자를 회원 등록하고, 학습자의 강의 방식 선택에 대응하여 미리 준비된 자기 주도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강좌를 개설한 원격지의 강의자와의 매칭을 통해 동화상 기반 대화 형식의 일대일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detail, the
특히,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탑재된 딥 러닝 엔진을 통해, 자기 주도로 학습하는 학습자의 어학 능력을 분석하여 현재 레벨을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또한,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강의자가 온라인 상에서 강좌를 위한 학습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는 강의 툴을 제공하여 하나 이상의 강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고, 시스템 운영측에서 자체적으로 준비한 학습 콘텐츠에 따른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 및 강의자측에서 제작한 학습 콘텐츠에 따른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의도에 적절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학습 플랫폼 서버(300)와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 또는,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간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정보통신망으로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Here, a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서로 원격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학습자 및 강의자를 온라인 상에서 매칭 및 연결하여 실시간 동화상 기반 강의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학습자가 해당 국가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언어민과의 말하기 위주의 어학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tches and connects one or more learners and lecturers located remotely from each other online to implement a real-time video-based lecture environment, so that the learners directly visit the corresponding country. Even if you do not do this, you can carry out language learning centered on speaking with native speaker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학 학습 단말 및 이를 이루는 각 구성부들은 공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단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Hereinafter,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arner autho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anguage learning terminal and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language learning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able by a known microprocessor, recorded on a readable and writable recording medium, and loaded into the terminal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arner autho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 즉, 학습자 단말(100)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110), 학습자로부터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을 선택 받는 학습 선택부(120),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160),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와 저장소(160)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고, 온라인 방식에 따른 학습시 학습자 단말(100)과 선택된 강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의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1 동기화부(130), 저장소(160)에 저장된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자기주도 학습부(140) 및 실시간으로 학습자를 촬영한 학습자 화상을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고, 통신 동기화된 강의자 단말(200)이 제공하는 강의자의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학습절차를 실행하는 화상 학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arner autho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제1 단말 통신부(1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특히 온라인 방식의 학습에서는 강의자 단말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서로의 화상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학습 선택부(120)는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시스템에 등록된 복수의 강좌가 등록된 강좌 리스트를 수신하고, 학습자로부터 강좌 리스트 내 어느 하나의 강좌를 선택받아 해당 강좌를 학습 플랫폼 서버에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The
제1 동기화부(130)는 학습 진행을 위한 학습 콘텐츠의 동기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행하고자 하는 강좌가 스탠드 얼론 방식 강좌인 경우 제1 동기화부(130)는 해당 강좌의 학습 콘텐츠의 최신 버전이 저장소(16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이전 버전이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요청하여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하여 저장소(170)에 저장 또는 이전 버전을 갱신할 수 있다. The
또한, 실행하고자 하는 강좌가 온라인 방식 강좌인 경우, 상대방인 강의자 단말의 IP주소를 통해 접속을 시도하고, 서로간의 화상이 실시간으로 송수신되도록 통신 채널을 동기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lecture to be executed is an online lecture, access can be attempted through the IP address of the other lectur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channels can be synchronized so that image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real time.
자기주도 학습부(140)는 학습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 혼자서 학습을 수행하는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를 수행할 수 있다. 학습 플랫폼 서버와 동기화된 학습 콘텐츠의 실행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레벨에 적합한 다양한 말하기, 읽기 및 쓰기 등의 외국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말하기 학습의 경우, 학습자가 학습 콘텐츠가 제공하는 지문 또는 질문을 소리내어 말하면 자기주도 학습부(140)가 그 음성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학습 플랫폼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발음 및 내용이 정확한지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학습자 단말(100) 측에 회신하여 학습자가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lf-directed
화상 학습부(150)는 원어민과의 일대일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방식 강좌를 수행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100)은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학습자의 모습을 실시간을 촬영할 수 있고, 학습 플랫폼 서버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동기화된 강의자 단말과의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강의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강의자는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준비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저장소(160)는 스탠드 얼론 방식 학습을 위한 하나 이상의 학습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고, 저장소(160)에 저장되는 각종 정보들은 필요시 학습자 단말(100)의 각 구성부에 의해 생성, 갱신, 참조 및 삭제될 수 있다. The
또한, 저장소(160)는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의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lectur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cturer autho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단말(200)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 통신부(210),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강좌건을 생성하고,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 하는 강의 생성부(220), 학습자 단말에 의한 강좌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2 동기화부(230), 실시간으로 강의자를 촬영한 강의자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통신 동기화된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여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화상 강의부(240),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강의자가 선택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화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하는 콘텐츠 애드온부(250) 및 정상적으로 진행 완료된 강좌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고 학습 플랫폼 서버에 보고하여 일, 주 또는 월 단위로 비용 정산을 요청하는 비용 정산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제2 단말 통신부(2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학습자 단말과의 온라인 방식의 학습에서 해당 학습자 단말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서로의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강의 생성부(220)는 강의자가 자신의 준비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강좌를 학습 플랫폼 서버에 개설할 수 있다. 강의자는 실시간 화상 통신 강의를 진행함과 동시에 학습 내용을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작성하여 강의화면에 삽입할 수 있고, 강의 생성부(220)는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강의툴과 연동하여 강의자 학습 내용을 작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제2 동기화부(230)는 학습자와의 매칭에 따라 학습 플랫폼 서버로부터 학습자 단말의 IP주소를 수신하여 연결을 시도할 수 있고, 통신 채널을 동기화 할 수 있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200)간 화상이 실시간으로 송수신되어 표시되게 된다.The second synchronization unit 230 may receive the IP address of the learner terminal from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ccording to matching with the learner, attempt connection, and synchronize the communication channel. When the synchronization is completed, image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화상 강의부(240)는 강의자 단말(200)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강의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고, 학습 플랫폼 서버에 의해 서로 연결 및 동기화된 학습자 단말과의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강의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강의자는 준비한 학습 콘텐츠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실시간 대화 형식으로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The
콘텐츠 애드온부(250)는 강의자가 준비한 데이터 이외에도,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학습에 필요한 외부 콘텐츠를 강의 내용에 삽입할 수 있다. 일례로서, 포털 사이트와 같은 외부 시스템에서는 영어단어사전, 뉴스 동영상 및 영어기사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강의자는 강의 도중 강의에 도움이 되는 외부 콘텐츠가 존재하면, 그 외부 시스템의 URL를 학습 콘텐츠에 애드온(add-on)하여 학습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학습자가 해당 링크를 선택하면 연계된 외부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ent add-on
비용 정산부(26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록한 강좌에 따른 강의를 수행함에 따른 강의자의 비용에 대한 정산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강의자는 수행된 강좌 이력에 대한 비용정산을 월 단위로 학습 플랫폼 서버에 청구할 수 있고, 이에 학습 플랫폼 서버는 정책에 따라 해당 강의자에게 비용을 지급 처리할 수 있다.The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강의자 단말(200)에는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의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소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 플랫폼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of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콘텐츠 제공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A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earning platform server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ent provider of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of FIG. 4A.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310), 학습자 단말(100) 또는 강의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회원 가입 절차 진행하여 이용형태에 따른 권한을 부여하고, 회원 등록된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로그인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 등록부(320), 시스템 측 또는 등록된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330),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가 선택되면, 서버 데이터베이스(390)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100)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340),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강좌 리스트 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선택되면, 학습자 단말(100)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200)을 매칭하는 매칭부(350), 학습자의 어학능력을 판단하는 복수의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360),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각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고,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 변경을 요청하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 요청하는 레벨 분석부(370), 강의자 단말(200)에 실시간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제작 환경을 제공하는 강의툴 제공부(380) 및 등록된 학습자 및 강의자의 정보 및 강의자 단말(200)이 강의툴을 이용하여 제작 및 업로드한 강좌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390) 및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강의자 단말(200)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외부 콘텐츠에 대한 링크를 강의자 단말(200)에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 연계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 the
서버 통신부(3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회원 등록부(320)는 학습 플랫폼 서버에 최초 접속한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회원 등록부(320)는 서비스 이용양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학습자 권한을 부여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거나, 강의자 권한을 부여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권한 부여에 따라 각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구현되는 기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게 된다.The
리스트 제공부(330)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된 복수의 강좌에 대한 리스트를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습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강좌는 스탠드 얼론 방식의 학습을 위한 시스템 운영측에서 준비한 학습 콘텐츠와, 온라인 방식의 학습을 위한 강의자 권한으로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준비한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의한 강좌일 수 있고, 시스템에 등록된 강좌들의 리스트는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됨에 따라, 학습자가 자신이 의도한 방식의 강좌를 선택적으로 수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콘텐츠 제공부(340)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된 강좌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학습자 단말(100)에 의해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가 선택된 경우, 콘텐츠 제공부(340)는 선택된 강좌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가 학습자 단말(100)에 저장되었는지 여부 또는 저장된 콘텐츠의 버전을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버전이 다른 경우, 서버 데이터베이스(390)에서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100)에 전송 또는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The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부(340)는 연령대, 레벨, 관심사에 따라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학습자의 연령대를 4세부터 60세 이상 7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학습자의 레벨은 1부터 8까지 분류하고, 학습자의 관심사를 4개의 자기관리, 4개의 자연, 4개의 취미, 9개의 자기개발, 5개의 사람, 3개의 행복 및 5개의 기타로 분류하면, 학습자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피드(feed)는 7×8×42=2352 로서, 총 2352개의 콘텐츠 피드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부(340)는 학습 후 퀴즈를 풀고 관련된 화상 수업을 진행하는 형식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모듈 및 퀴즈를 제공하는 퀴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부(3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매칭부(350)는 학습자 단말(100)이 온라인 방식의 학습을 선택한 경우, 등록된 강좌 중, 강의 일정이 부합하는 강좌와 학습자를 매칭할 수 있다. 또는, 해당 학습자가 이미 수강중인 강좌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강좌의 강의자 단말(200)의 온라인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학습자 단말(100)과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When the
특히, 매칭부(350)는 학습자 단말(100) 및 강의자 단말(200)과의 연결 시도시,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서로의 IP주소를 상대방에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학습 데이터베이스(36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딥 러닝 모델(deep learning model)의 생성을 위한 다수의 학습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데이터는 시스템 운영측에서 준비한 학습 콘텐츠의 진도, 콘텐츠에 포함된 연습문제의 정답률, 말하기에 대한 응답에 따른 학습자의 레벨에 관한 것으로,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탑재된 딥 러닝 엔진에 학습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다수의 학습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각 학습자들의 현재 레벨을 판단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The
레벨 분석부(370)는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학습자가 수강한 학습 콘텐츠에 대한 회신, 즉 문제풀이 및 말하기 결과 등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현재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The
강의툴 제공부(380)는 강의자 단말(200)에 온라인 상에서 콘텐츠 작업이 가능한 작업 환경인 강의툴을 제공할 수 있다. 강의자는 강의툴을 이용하여 강의에 포함될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입력하여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The lecture
서버 데이터베이스(390)는 회원 등록된 학습자, 강의자들의 회원정보와, 매칭시 연결을 위한 IP주소와 같은 연결정보와, 학습을 위한 다수의 학습 콘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또한, 서버 데이터베이스(390)에는 학습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setting values for operating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방식의 강의를 수행하는 경우, 강의자가 강의 중 외부 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영어기사, 영상 등의 외부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으며, 학습 플랫폼 서버(300)는 그 외부 콘텐츠를 학습자와 공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부 시스템 연계부(3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ducting an online lecture, the lecturer can utilize external contents such as various English articles and videos provided by the
이러한 외부 시스템 연계부(395)는 강의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외부 시스템(400)이 운영하는 타 웹 사이트 등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강의자가 어느 하나의 웹 사이트 또는 그에 포함되는 외부 콘텐츠를 강의화면에 가져오고자 할 때, 강의화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그 웹 사이트, 외부 콘텐츠의 URL를 추출할 수 있다.This external
이때, 외부 시스템 연계부(395)는 강의화면에 표시되는 외부 콘텐츠에 대하여 URL 텍스트 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해당 URL를 통해 접속시 표시되는 초기화면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생성하여 함께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강의와 더불어 그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external
도 4b는 도 4a의 학습 플랫폼 서버의 콘텐츠 제공부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Figure 4b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 provider of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of Figure 4a.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부(340)는 하나 이상의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모듈(341) 및 하나 이상의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퀴즈 모듈(34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 the
먼저,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모듈(341)은 어휘와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Vocab(3411), 어휘 패턴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Pattern Pratice(3412), 대화와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Dialogue(3413) 및 질문/답변 형식의 학습 콘텐츠인 QA(3414)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Vocab(3411)는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단어를 듣고 따라 음성으로 말해보도록 하는 콘텐츠로서, 해당 단어와 관련된 사진, 재생되는 문장, 예문 및 말하기 녹음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Pattern Pratice(3412)는 전술한 Vocab(3411)에서 학습자가 학습한 단어들에 대하여 그 패턴을 말해보도록 하는 콘텐츠로서, 학습한 단어를 활용한 문장에 대한 예문 및 말하기 녹음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Pattern Pratice (3412) is content that allows learners to speak the patterns of the words learned in the aforementioned Vocab (3411), and can provide functions such as example sentences and speech recordings using the learned words. there is.
Dialogue(3413)는 예시된 상황에 적절한 대화를 듣고 따라 음성으로 말해보도록 하는 콘텐츠로서, 현재 상황이 묘사된 사진, 대화 듣기, 텍스트 형태의 대화 내용 표시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QA(3414)는 질문 및 답변 콘텐츠로서, 현재 상황이 묘사된 사진, 텍스트 형태의 예문 및, 예문에 대한 답변 입력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퀴즈 모듈(345)은 어휘 선택과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는 Select Vocab 1/2(3451), 단어와 의미를 함께 제공하는 형식의 Select Vocab with Translation 1/2(3451), 4개의 예시 중 어느 하나의 정답을 선택하는 Select Vocab 1/4(3453), 질문에 적합한 정답을 선택하도록 하는 QA(3454), 사진 및 매칭된 단어가 적절하게 매칭되었는지 O, X로 선택하도록 하는 OX(3455), 사진과 문장을 제시하여 문장내 빈칸에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도록 하는 Blank(3456), 국어 예문과 복수의 영문 단어를 제시하여 국어 예문에 맞도록 그 복수의 영문 단어를 조합하도록 하는 Dictation with Translation(3457) 및 예문에 대한 듣기를 제공하고, 복수의 영문단어를 제시하여 예문에 맞게 조합하도록 하는 Dictation with listening(3458)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Select Vocab 1/2(3451)는 학습 모듈(341)에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를 이용한 학습 이후, 두 개의 사진 예시 중 학습자가 배운 단어가 의미하는 바에 일치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lect Vocab 1/2 (3451) may provide a quiz that allows the learner to select one that matches the meaning of the learned word among two photo examples after learning using the learning content provided to the learning module (341). there is.
Select Vocab with Translation 1/2(3451)는 두 개의 사진 예시 중, 제시된 단어와 뜻이 가장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lect Vocab with Translation 1/2 (3451) may provide a quiz for selecting one of the two photo examples that most closely matches the suggested word and meaning.
Select Vocab 1/4(3453)는 4 개의 사진 예시 중, 제시된 단어와 뜻이 가장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lect Vocab 1/4 (3453) may provide a quiz for selecting one photo that most closely matches the suggested word and meaning among four photo examples.
QA(3454)는 사진을 제시하고, 영어로 된 질문을 통해 질문에 알맞은 응답을 선택하는 방식의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The
OX(3455)는 사진 및 지문은 제시하고, 제시된 사진과 지문의 뜻이 부합하는지 또는 아닌지를 O, X로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The
Blank(3456)는 사진 및 사진에 대한 빈칸을 갖는 지문을 제시하고, 빈칸에 알맞은 단어 또는 문장을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ctation with Translation(3457)는 문장을 번역하는 퀴즈로서, 국어지문과 해당 지문에 대한,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 단어를 제시하고 각 영어 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지문에 대한 완전한 해석문장을 도출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Dictation with Translation (3457) is a quiz that translates sentences. It presents a Korean text and a plurality of unordered English words for the text and determines the order of each English word to derive a complete interpretive sentence for the text. We can provide a quiz to help you.
Dictation with listening(3458)는 문장을 번역하는 퀴즈로서, 국어 지문을 음성으로 출력하고,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 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각 영어 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지문에 대한 완전한 해석문장을 도출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Dictation with listening (3458) is a quiz that translates sentences. It outputs Korean fingerprints by voice and presents a plurality of English words whose order is not determined so that the learner determines the order of each English word to complete the interpretation of the sentence. A quiz to derive can be provid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 의한 어학 학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 의한 어학 학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속하는 학습자 단말, 강의자 단말 및 학습 플랫폼 서버와, 그 구성부가 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the execution subject for each stage is a learner terminal, a lecturer terminal, and a learning platform server belonging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constituent parts.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방법은, 학습자 단말이 학습 플랫폼 서버에 접속함에 따라, 학습 플랫폼 서버가 등록된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고(S100), 이에 학습자 단말은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원격지의 강의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110).Referring to FIG. 5, in the languag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earner terminal accesses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provides a course list for a plurality of registered courses to the learner terminal (S100 ), the learner terminal can select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stand-alone method or the online method conducted in real time by a remote lecturer (S110).
먼저, 학습자 단말이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를 선택하는 경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선택된 강좌에 따라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에 전송하여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저장 또는 갱신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S120).First, when a learner device selects a stand-alone course on the course list,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transmits the learning content stored according to the selected course to the learner device to store or update the latest version of the learning content to perform data synchronization. (S120).
다음으로, 이러한 데이터 동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학습자 단말은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여 자기 주도형의 학습절차를 진행한다(S130).Next, when the data synchroniz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learner terminal executes the stored learning contents to proceed with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S130).
이후,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고(S140), 가 판단결과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의 학습에서는 변경된 난이도에 따른 학습 콘텐츠가 제공되게 된다.Thereafter,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may determine the level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ing content and the learner's reply to the learning model derived using the learning data (S140),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determines the level of the learne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correspondingly provided learning content. Accordingly, in subsequent learning,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hanged level of difficulty is provided.
또한, S110 단계에서 학습자 단말이 강좌 리스트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를 선택하는 경우,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을 매칭 및 연결한다(S150).In addition, when the learner terminal selects an online course on the course list in step S110,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matches and connects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of the selected course (S150).
매칭과정이 완료되면, 학습 플랫폼 서버는 매칭된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상대방에 각각 전송하며, 이에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은 서로 접속하여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고, 학습절차를 진행하게 된다(S160). 여기서, 학습절차의 진행시, 강의자 단말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화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할 수 있고, 이는 강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S170).When the matching process is completed,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extracts the IP address for each of the matched learner terminal and lectur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other party, and the learner terminal and lecturer terminal connect to each other to perform communication synchronization and complete the learning procedure. It proceeds (S160). Here, while the learning procedure is in progress, the lecturer terminal may add the external content selected by the lecturer in the form of a real-time image or a link to an external system, which may be reflected on the lecture screen in real time (S17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학 학습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을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an example of a screen provided by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 및 강의자 권한의 어학 학습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screens provided by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learner authority and a language learning terminal with instructor authority,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100)은 자기 주도형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 얼론 방식에서는 학습 플랫폼 서버가 배포한 학습 콘텐츠를 통해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그 학습내용에 따른 일 화면으로서 이미지, 텍스트를 화면상에 제공하고, 화자의 말을 듣고 따라하는 말하기 화면(W100)이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 얼론 방식의 학습시, 시스템은 탑재되는 딥 러닝 엔진에 의해 학습자의 말하기에 대한 음성분석을 통해 학습자 레벨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stand-alone learning, the system can determine the learner level through voice analysis of the learner's speech by the built-in deep learning engine, and provide customized learning content accordingly. can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강의자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화상 기반 온라인 방식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 the
학습자 단말과 강의자 단말(200)간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이 생성되면, 학습자의 현재 화상 화면(W210)이 실시간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강의자의 화상의 학습자 단말측에서 표시될 수 있다. 화상 화면(W210) 내에는 PIP화면을 통해 강의자 자신의 얼굴도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When a communication channel for video call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또한, 화상 화면(W210)의 하부창(W220)에는 강의자가 준비한 강의 내용이 화면 내에 함께 표시될 수 있고, 이에 학습자는 강의내용에 포함되는 주요 단어, 예시문장, 발음 등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lecture prepared by the lecturer can be displayed on the lower window W220 of the image screen W210, and the learner can check key words, example sentences, pronunciation, etc.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lecture.
특히, 화상 화면(W210)은 둘 이상의 모바일 장치간 콘텐츠 제어 합성이 가능한 WebRTC 기반으로 구현됨에 따라 초저지연의 화상 대화를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video screen W210 is implemented based on WebRTC, which enables content control synthesis between two or more mobile devices, it can provide video conversation with ultra-low latency.
또한, 하부창(W220)과 더불어 강의자는 강의화면에 강의와 관련된 외부 콘텐츠를 반영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콘텐츠 화면(W230)에는 강의가 추가한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외부 콘텐츠 및 외부 웹 사이트의 링크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서로 원격지에 위치하는 강의자 및 학습자는 각자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대화형의 어학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long with the lower window (W220), the lecturer can reflect external content related to the lecture on the lecture screen, and on this external content screen (W230), external content provided by the external system added by the lecture and links to external websites address, etc. may be included. Accordingly, a lecturer and a learner loca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can check each other's faces in real time and provide interactive language lectures.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8A to 8D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ent screens related to learning provided to a learner terminal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Vocab 콘텐츠(W300)로써 문장을 설명하는 그림 데이터인 사진(W310)을 제공하고 사진 내용에 대한 영어설명을 음성을 재생하여 학습자가 해당 문장을 듣고,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선택시 문제와 관련된 예문을 제공하는 예문 아이콘(W320), 문장에 대한 번역문을 제공하는 선택버튼(W333), 영어 예문 또는 패턴(W340),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문장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읽기기능(W350) 및 학습자의 학습을 위한 말하기를 녹음하는 녹음버튼(W36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8A, as Vocab content (W300), a picture data (W310) for explaining a sentence is provided, and an English description of the picture is reproduced as a voice so that the learner can listen to and read the sentence. When selected, an example icon (W320) that provides an example sentence related to the problem, a selection button (W333) that provides a translation for the sentence, an English example sentence or pattern (W340), and a reading that plays the sentence aloud according to the learner's choice A function (W350) and a record button (W360) for recording a learner's speaking for learning may be included.
도 8b를 참조하면, 어휘 패턴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Pattern Pratice 콘텐츠(W400)로서, 학습한 단어 또는 단어 패턴에 대하여 말하기 학습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단어 또는 단어패턴에 대응하는 사진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해당 문장에 대한 말하기 녹음 기능(W410)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B, as Pattern Pratice content (W400), which is learning content related to vocabulary patterns, speaking learning is performed on the learned word or word pattern, and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word or word pattern is provided, and the learner's The learning proceeds through the speech recording function (W410) for the sentence.
도 8c를 참조하면, 대화와 관련된 학습 콘텐츠인 Dialogue 콘텐츠(W500)로서 대화에 관련된 사진(W510)을 제공함과 아울러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대화내용을 음성으로 재생하는 대화듣기(W520)를 제공하여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특히, Dialogue 콘텐츠(W500)는 제1 화자의 대화내용(W530) 및 제2 화자의 대화내용(W540)을 텍스트로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음성과 함께 대화내용을 확인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대화듣기(W520) 기능은 챈트(chant) 방식으로 반복 청취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8C, as Dialogue content (W500), which is learning content related to conversation, a picture (W510) related to the conversation is provided, as well as a conversation listening (W520) that reproduces the conversation with voice according to the learner's selection. will proceed In particular, the Dialogue content (W500) displays the conversation contents (W530) of the first speaker and the conversation contents (W540) of the second speaker as text, so that the learner can check the conversation contents together with the voice to support learning. . In addition, the conversation listening function (W520) can be repeatedly listened to in a chant method.
도 8d를 참조하면, 질문/답변 형식의 학습 콘텐츠인 QA 콘텐츠(W600)로서, 예문에 해당하는 사진(W610)을 제공하고, 텍스트 형식의 질문(W620)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문제를 푸는 방식의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D, as QA content (W600), which is learning content in a question/answer format, a picture (W610) corresponding to an example sentence is provided and a question (W620) in a text format is provided so that the learner solves the problem. learning proceeds.
이러한 QA 콘텐츠는 화상 수업 시 활용 가능하고, 영작 첨삭 서비스로의 확장도 가능하다.These QA contents can be used during video classes, and can be expanded to English writing editing services.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9A to 9H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ent screens related to quizzes provided to a learner terminal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퀴즈 모듈이 제공하는 퀴즈 형식의 콘텐츠인 Select Vocab 1/2(W700)로서, 두 개의 사진(W700)을 제공하고, 두 사진 중 어느 하나와 연관된 영어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어느 사진(W700)과 관련된 단어인지 맞추는 퀴즈를 진행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9A, as Select Vocab 1/2 (W700), which is a quiz-type content provided by a quiz module, two pictures (W700) are provided, and an English word associated with one of the two pictures is presented. The learner proceeds with a quiz in which the word is related to which picture (W700).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의 Select Vocal 1/2와 유사한 방식의 퀴즈 콘텐츠로서, Select Vocab with Translation 1/2(W800)는 두 개의 사진(W800)을 각 사진의 의미하는 바를 국어로 함께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제시된 영어단어와 관련된 어느 하나의 사진(W800)을 맞추는 퀴즈를 진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9B, as a quiz content similar to the above Select Vocal 1/2, Select Vocab with Translation 1/2 (W800) displays the meaning of two pictures (W800) together in Korean, so that learners can A quiz is conducted to match any one picture (W800) related to the presented English word.
도 9c를 참조하면, Select Vocab 1/4(W900)는 상기의 두 퀴즈 콘텐츠와 유사한 방식의 콘텐츠로서, 4개의 예시된 사진 중, 제시된 단어와 뜻이 가장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사진을 학습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c, Select Vocab 1/4 (W900) is content similar to the two quiz contents above, and the learner selects one picture that most closely matches the suggested word and meaning among the four exemplified pictures. You can give a quiz to do it.
도 9d를 참조하면, QA(W1000)는 사진을 제시하고, 영어로 작성된 질문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질문에 알맞은 응답 특히, 올바른 문법에 따른 해답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의 퀴즈를 제공하는 퀴즈 콘텐츠이다.Referring to FIG. 9D , QA (W1000) is a quiz content that provides a quiz in such a way that a picture is presented and a question written in English is provided so that the learner selects an answer appropriate to the question, in particular, an answer according to correct grammar.
도 9e를 참조하면, OX(W1100)는 사진 및 지문은 제시하고, 학습자가 제시된 사진과 지문의 뜻이 부합하는지 또는 아닌지를 O, X로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하는 퀴즈 콘텐츠이다.Referring to FIG. 9E , OX (W1100) is a quiz content that presents photos and fingerprints and provides a quiz for learners to select whether or not the meanings of the presented photos and fingerprints match with O and X.
도 9f를 참조하면, Blank(W1200)는 사진 및 사진과 관련된 지문을 제공하되, 지문에 빈칸을 생성하여 학습자가 빈칸에 알맞은 단어 또는 문장을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 콘텐츠이다. 특히 Blank(W1200)는 학습자가 음성을 듣고 알맞은 답안을 선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난이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 저난이도보다 상대적으로 긴 문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F, Blank (W1200) is a quiz content that provides a picture and a fingerprint related to the picture, but creates a blank in the fingerprint so that the learner selects a word or sentence suitable for the blank. In particular, for Blank (W1200), a method in which a learner listens to a voice and selects an appropriate answer can be applied, and a sentence that is relatively longer than a low difficulty level can be provided when the level of difficulty is to be increased.
또한, Blank(W1200)는 번역 아이콘 클릭시 해당 지문의 국어번역문을 제공할 수 있고, 반복 듣기 기능 및, Diglogue 또는 문장을 별도의 학습카드에 설정하고 불러오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lank (W1200) can provide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corresponding fingerprint when the translation icon is clicked, and can provide a repeat listening function and a function to set and load Diglogue or sentences in a separate learning card.
도 9g를 참조하면, Dictation with Translation(W1300)는 문장을 번역하는 퀴즈 콘텐츠로서, 국어지문과 해당 지문에 대한,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 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각 영어 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지문에 대한 완전한 해석문장을 도출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G , Dictation with Translation (W1300) is a quiz content that translates sentences, and presents a Korean language text and a plurality of unordered English words for the corresponding text so that the learner can determine the order of each English word presen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quiz to determine and derive a complete interpretive sentence for the fingerprint.
특히, Dictation with Translation(W1300)에서 제시되는 지문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어 단어는 학습자의 학습카드에 저장된 단어를 읽어드려 해당 단어를 지문의 단어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학습자는 이전 학습시 학습카드에 저장해놓은 단어를 재 학습할 수 있는 복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particular, for a plurality of English words included in the fingerprint presented in Dictation with Translation (W1300), words stored in the learner's learning card may be read and the corresponding words may be provided as words of the fingerprint.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learner can expect the effect of review to re-learn the words stored in the learning card during previous learning.
도 9g를 참조하면, Dictation with listening(W1400)는 문장을 번역하는 퀴즈 콘텐츠로서, 영어 지문을 음성으로 출력하고,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 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각 영어 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지문에 대한 완전한 문장을 도출하도록 하는 받아쓰기와 같은 퀴즈 콘텐츠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G, Dictation with listening (W1400) is a quiz content that translates sentences, outputs English fingerprints by voice, and presents a plurality of English words whose order has not been determined so that the learner determines the order of each English word. It is possible to provide quiz content such as dictation to derive a complete sentence for a fingerprint.
또한, Dictation with listening(W1400)는 상기의 퀴즈 콘텐츠와 같이 학습카드에 저장된 단어를 읽어드려 해당 단어를 예문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Dictation with listening (W1400) can read a word stored in a learning card like the above quiz content and provide the word as an example sentence.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Although many details ar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is should be interpreted as an exam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according to the described examples, but should be defined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학습자 단말 110 : 제1 단말 통신부
120 : 학습 선택부 130 : 제1 동기화부
140 : 자기주도 학습부 150 : 화상 학습부
160 : 저장소 200 : 강의자 단말
210 : 제2 단말 통신부 220 : 강의 생성부
230 : 제2 동기화부 240 : 화상 강의부
250 : 콘텐츠 애드온부 260 : 비용정산부
300 : 학습 플랫폼 서버 310 : 서버 통신부
320 : 회원 등록부 330 : 리스트 제공부
340 : 콘텐츠 제공부 350 : 매칭부
360 : 학습 데이터베이스 370 : 레벨 분석부
380 : 강의툴 제공부 390 : 서버 데이터베이스
395 : 외부시스템 연계부 400 : 외부 시스템100: learner terminal 110: first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20: learning selection unit 130: first synchronization unit
140: self-directed learning unit 150: video learning unit
160: storage 200: lecturer terminal
210: second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20: lecture generation unit
230: second synchronization unit 240: video lecture unit
250: content add-on unit 260: cost calculation unit
300: learning platform server 310: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member registration unit 330: list provision unit
340: content provider 350: matching unit
360: learning database 370: level analysis unit
380: lecture tool provision unit 390: server database
395: external system connection unit 400: external system
Claims (15)
상기 학습자 단말의 학습 방식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과 일대일 연결되어 온라인 방식으로 강의자에 의한 어학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강의자 단말; 및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스탠드 얼론 방식의 어학 학습 콘텐츠의 진행을 위한 실행 파일을 제공하거나, 또는 등록된 하나 이상의 원격지 강좌 중 선택된 하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 상기 학습자 단말을 일대일로 매칭하여 동기화하는 학습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학습자 단말 또는 강의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회원 가입 절차 진행하여 이용형태에 따른 권한을 부여하고, 회원 등록된 학습자 또는 강의자의 로그인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 등록부;
시스템 측 또는 등록된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강좌에 대한 강좌 리스트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좌 리스트상의 스탠드 얼론 방식의 강좌가 선택되면,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좌 리스트 상의 온라인 방식의 강좌에 선택되면, 상기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좌의 강의자 단말을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하나 이상의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모듈; 및
하나 이상의 퀴즈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퀴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모듈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단어를 듣고 따라 음성으로 말하도록 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단어와 관련된 사진, 재생되는 문장, 예문 및 말하기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어휘 학습부;
상기 어휘 학습부에서 학습자가 학습한 단어에 대한 패턴을 말하도록 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한 단어를 활용한 문장에 대한 예문 및 말하기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패턴 연습부;
예시된 상황의 대화를 듣고 따라 음성으로 말하도록 하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상황이 묘사된 사진, 대화 듣기, 텍스트 형태의 대화 내용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다이얼로그 학습부; 및
질문 및 답변 학습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상황이 묘사된 사진, 텍스트 형태의 예문 및, 예문에 대한 답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제1 질문 및 답변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퀴즈 모듈은,
상기 학습 모듈에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를 이용한 학습 이후, 미리 준비된 두 개의 사진 예시 중 학습자가 배운 단어가 의미하는 바에 일치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퀴즈를 제공하는 제1 어휘 선택 퀴즈부;
미리 준비된 2 개의 사진 예시 중, 제시된 단어와 뜻이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는 퀴즈를 제공하는 제2 어휘 선택 퀴즈부;
미리 준비된 4 개의 사진 예시 중, 제시된 단어와 뜻이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는 퀴즈를 제공하는 제3 어휘 선택 퀴즈부;
미리 준비된 사진을 제시하고, 영어로 된 질문을 통해 질문에 맞은 응답을 선택하는 방식의 퀴즈를 제공하는 제2 질문 및 답변 기능;
미리 준비된 사진 및 지문을 제시하고, 제시된 사진과 지문의 뜻이 부합하는지 또는 아닌지를 O, X로 선택하도록 하는 퀴즈를 제공하는 OX 퀴즈부;
미리 준비된 사진 및 해당 사진에 대한 빈칸을 갖는 지문을 제시하고, 상기 빈칸에 맞은 단어 또는 문장을 선택하는 퀴즈를 제공하는 블랭크 퀴즈부;
미리 준비된 국어지문과 상기 국어지문에 대한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단어를 제시하고, 상기 영어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국어지문에 대한 해석문장을 도출하는 퀴즈를 제공하는 제1 문장 번역 퀴즈부; 및
미리 준비된 국어지문을 음성으로 출력하고,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복수의 영어단어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각 영어 단어의 순서를 결정하여 지문에 대한 해석문장을 도출하는 퀴즈를 제공하는 제2 문장 번역 퀴즈부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One or more learner terminals that execute language learning content of any one of a stand-alone method and an online method conducted in real time by a remote lecturer according to a learner's selection to perform language learning;
one or more lecturer terminals that are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s one-to-one and provide language learning contents by the lecturer in an online manner according to the learning method of the learner terminal; and
It is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and at the request of the learner terminal, an execution file for the progress of language learning content in a stand-alone manner i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or a selected one of one or more registered remote courses A learning platform server for matching and synchronizing the lecturer terminal and the learner terminal for one-to-one,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earner terminal or lecturer terminal, a member registration process of the learner or lecturer, granting authority according to the type of use, and proceeding with the login procedure of the registered learner or lecturer;
a list providing unit providing a course list for a plurality of courses input from a system side or a registered lecturer to the learner terminal;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transmits learning contents stored in a server database to the learner terminal when a stand-alone course on the course list is selec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When an online course on the course list is selec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of the selected course;
The content provider,
a learning module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one or more learning; and
contains a quiz module that provides content related to one or more quizzes;
The learning module,
A vocabulary learning unit that provides a picture related to the word, a reproduced sentence, an example sentence, and a speech recording function in order to provide learning content that allows the learner to speak by voice after hearing the word played through the learner's terminal;
a pattern practice unit that provides example sentences for sentences using the learned words and a speech recording function in order to provide learning content that allows the learner to speak patterns for the words learned in the vocabulary learning unit;
A dialog learning unit that provides learning content in which a conversation in an example situation is heard and spoken along with a voice, and a picture depicting a specific situation, a conversation listening function, and a function of displaying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form of text are provided; and
In order to provide question and answer learning content, a first question and answer function unit providing a photo depicting a specific situation, an example sentence in the form of text, and a function to input an answer to the example sentence is included,
The quiz module,
A first vocabulary selection quiz unit providing a quiz in which a learner selects one of two pre-prepared photo examples that matches the meaning of the learned word after learning using the learning content provided to the learning module;
a second vocabulary selection quiz unit providing a quiz for selecting one of the two previously prepared photo examples that matches the meaning of the proposed word;
a third vocabulary selection quiz unit that provides a quiz for selecting one of four pre-prepared photo examples that matches the meaning of the proposed word;
a second question and answer function that presents pre-prepared photos and provides a quiz in which a correct answer is selected through questions in English;
An OX quiz unit that presents pre-prepared photos and fingerprints and provides a quiz to select whether or not the meaning of the presented photos and fingerprints coincides with O and X;
A blank quiz unit presenting a previously prepared photograph and a fingerprint having a blank for the corresponding photograph, and providing a quiz for selecting a word or sentence matching the blank;
A first sentence translation quiz that presents a previously prepared Korean text and a plurality of English words in which the order of the Korean text is not determined, and provides a quiz that determines the order of the English words to derive an interpretive sentence for the Korean text. wealth; and
The second sentence translation quiz unit provides a quiz in which a learner determines the order of each English word by outputting a previously prepared Korean fingerprint by voice and presenting a plurality of English words whose order is not determined to derive an interpretive sentence for the fingerprint. Inclusive language learning system.
상기 학습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말 통신부;
학습자로부터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학습 방식을 선택 받는 학습 선택부;
상기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
스탠드 얼론 방식에 따른 학습시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와 저장소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고, 온라인 방식에 따른 학습시 학습자 단말과 선택된 강의에 대한 강의자 단말과의 통신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1 동기화부;
상기 저장소에 저장된 최신 버전의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자기주도 학습부; 및
실시간으로 학습자를 촬영한 학습자 화상을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고, 통신 동기화된 강의자 단말이 제공하는 강의자의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학습절차를 실행하는 화상 학습부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learner terminal,
A first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at accesse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 learning selection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stand-alone or online learning methods from a learner;
a storage for storing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stand-alone method;
During stand-alone learning, data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learning contents provided by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nd the learning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and communication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for the selected lecture during online learning. a first synchronization unit;
a self-directed learning unit that executes the latest version of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and
An image learning unit that provides a learner's image captured in real time to the lecturer's terminal and displays the lecturer's image and learning contents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synchronized lecturer's terminal on the screen to execute the learning process.
A language learning system that includes a.
상기 강의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 통신부;
강의자로부터 입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강좌건을 생성하고,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 하는 강의 생성부;
상기 학습자 단말에 의한 상기 강좌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제2 동기화부;
실시간으로 강의자를 촬영한 강의자 화상 및 학습 콘텐츠를 통신 동기화된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여 학습절차를 진행하는 화상 강의부;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강의자가 선택한 외부 콘텐츠를 실시간 영상 또는 외부 시스템의 링크 형태로 추가하는 콘텐츠 애드온부; 및
정상적으로 진행 완료된 강좌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에 보고하여 일, 주 또는 월 단위로 비용 정산을 요청하는 비용 정산부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lecturer terminal,
a second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at accesse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 lecture generating unit that creates one or more course items for learning content input from a lecturer and uploads them to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 second synchronization unit performing data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urse by the learner terminal;
a video lecture unit that proceeds with a learning process by providing a lecturer image and learning content captured in real time to a communication-synchronized learner terminal;
A content add-on unit for adding external content selected by the lecturer in the form of a real-time video or a link to an external system for an ongoing learning procedure; and
A cost settlement unit that calculates costs according to a preset policy for courses that have been normally completed and reports them to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to request cost settlement on a daily, weekly or monthly basis.
A language learning system that includes a.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학습자의 어학능력을 판단하는 복수의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학습 모델에 상기 학습 콘텐츠의 유형 및 학습자의 회신에 따라 각 학습자의 레벨을 판단하고, 해당 학습자의 레벨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 변경을 요청하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 요청하는 레벨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 learning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for determining a learner's language ability are stored; and
The content agent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each learne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learner's reply to the learning model derived using the learning data, and requesting a change in difficulty of the provided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Level analysis department requesting study
A language lear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상기 매칭부는,
상기 학습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 각각에 대한 IP주소를 추출하고 상대방에 각각 전송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matching uni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earner terminal,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extracts the IP address for each of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cturer terminal and transmits each to the other party.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상기 강의자 단말에 실시간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제작 환경을 제공하는 강의툴 제공부; 및
등록된 학습자 및 강의자의 정보 및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툴을 이용하여 제작 및 업로드한 강좌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 lecture tool providing unit providing a production environment for real-time online learning contents to the lecturer terminal; and
A server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of registered learners and lecturers and lecture information created and uploaded by the lecturer terminal using lecture tools
A language learning system that includes a.
상기 제작 환경은, 모바일 Web RTC 표준을 만족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7,
The production environment is a language learning system that satisfies the mobile Web RTC standard.
상기 학습 플랫폼 서버는,
진행중인 학습절차에 대하여, 상기 강의자 단말이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외부 콘텐츠에 대한 링크를 상기 강의자 단말에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 연계부
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earning platform server,
An external system connection unit that provides a link to external contents provided by an external system selected by the lecturer terminal to the lecturer terminal for the learning procedure in progress.
A language lear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566A KR102534275B1 (en) | 2020-07-15 | 2020-07-15 | 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566A KR102534275B1 (en) | 2020-07-15 | 2020-07-15 | 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9180A KR20220009180A (en) | 2022-01-24 |
KR102534275B1 true KR102534275B1 (en) | 2023-05-19 |
Family
ID=8004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566A KR102534275B1 (en) | 2020-07-15 | 2020-07-15 | 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42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0406B1 (en) * | 2022-12-20 | 2023-06-30 | 정하진 | System for providing online interactive realtime english speaking class platform service |
KR102574916B1 (en) * | 2023-05-30 | 2023-09-06 | 주식회사 골드앤에스 | English Learning Method using English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ommunication-centered Interaction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5183A (en) * | 2003-03-25 | 2003-07-02 | (주)오투라인 | Method and system for tele-education management |
KR100784298B1 (en) * | 2006-01-17 | 2007-12-13 | 문상주 | Learning management system |
KR20110058419A (en) * | 2009-11-26 | 2011-06-0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on/off line connection-based education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KR101739023B1 (en) | 2015-09-14 | 2017-05-23 | 한호연 | Participatory language learning service provision system |
KR20170073187A (en) * | 2015-12-18 | 2017-06-28 |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엠투엠 | Next E-Learning Live Video Lecture System and How It Works |
KR20200003650A (en) * | 2018-07-02 | 2020-01-10 | 주식회사 그린키위 | Method for providing lecture using customized user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
-
2020
- 2020-07-15 KR KR1020200087566A patent/KR102534275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9180A (en) | 2022-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485964B (en) | A kind of recording of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 method and system of program request | |
US20040186743A1 (en) |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individuals to experience an interview simulation and to develop career and interview skills | |
US20050084830A1 (en) | Method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of a multi-user network requiring materials to be presented in audio and digital text format | |
US20080280269A1 (en) | A Homework Assignment and Assessment System for Spoken Language Education and Testing | |
US716011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education using meaning unit and relational question | |
KR102534275B1 (en) | 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 |
KR20180105861A (en) | Foreign language study application and foreign language study system using contents included in the same | |
KR20210003326A (en) | System for language study service for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
Dang | Exploring CALL options for teaching EFL in Vietnam | |
CN112053595A (en) | Computer-implemented training system | |
KR20070006742A (en) | Language teaching method | |
KR102101817B1 (en) | Language study supporting apparatus using video publicated on the internet | |
CN114048299A (en) | Dialogue method, apparatus,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 |
JP3930402B2 (en) | ONLINE EDU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 |
Ockey et al. | Evaluating technology-mediated second language oral communication assessment delivery models | |
KR20000036950A (en) | A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for teaching and test in english | |
KR102098377B1 (en) |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service learning grammar using puzzle game | |
Ismailia et al. | Implementing a Video Project for Assessing Students’ Speaking Skills: A Case Study in a Non-English Department context | |
JP6656529B2 (en) |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training system | |
KR10061389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earning progres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dia | |
KR10089138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Conversation Of Reverse Academy | |
Nguyen | Assisting language learning with Appla application | |
KR101957044B1 (en) | Class assist method for simultaneous interpretation class learner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 |
KR101957043B1 (en) | Class assisit method for simultaneous interpretation class instructo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 |
Mehta et al. | Evolution in Automated Translator for Real Time Voice to Sign Language Transformation for the Deaf and Dumb Peop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