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886B1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886B1
KR102531886B1 KR1020160104300A KR20160104300A KR102531886B1 KR 102531886 B1 KR102531886 B1 KR 102531886B1 KR 1020160104300 A KR1020160104300 A KR 1020160104300A KR 20160104300 A KR20160104300 A KR 20160104300A KR 102531886 B1 KR102531886 B1 KR 102531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component
component
ratio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951A (ko
Inventor
정현주
손상모
고병섭
아난트 바이잘
정현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886B1/ko
Priority to PCT/KR2017/006410 priority patent/WO2018034417A1/en
Priority to EP17841601.2A priority patent/EP3449627B1/en
Priority to CN201780050424.0A priority patent/CN109565265B/zh
Priority to US15/627,603 priority patent/US10177728B2/en
Publication of KR2018001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951A/ko
Priority to US16/209,803 priority patent/US1053031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5/02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5Generation or adaptation of centre channel in multi-channel au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개시된다. 전자장치는 오디오처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오디오처리부는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제어부는 출력되는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의사에 맞게 오디오특성을 변경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사용 환경에 맞도록 오디오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오디오장치 등과 같은 전자장치는, 방송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한다. 전자장치의 오디오 출력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겠으나, 예컨대, 가정용 TV의 경우, 스테레오 스피커 등과 같이 단순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가정 내 TV의 음향 청취 환경은 TV에 의해 구현된 단순한 스테레오 스피커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극장이나 전문적인 A/V청취실 환경과 비교하여 제한적이다.
한편, 전자장치가 출력하는 오디오에는, 방송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오디오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성분은, 예컨대, 영화에서의 배우의 대사 또는 배경음악, 뉴스에서의 앵커의 음성, 스포츠에서의 경기장 함성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야간시간 또는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오디오 볼륨을 낮추게 되면, 전체 오디오성분이 감소함에 따라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오디오성분도 함께 감소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영화 시청 중에 오디오 볼륨을 낮추게 되면, 정보 전달에 필요한 배우의 대사가 잘 들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오디오 볼륨 조절만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관련 기술로서, 전자장치가 제공하는 메뉴를 이용하여, 특정 오디오성분을 강조하는 복수의 음향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을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뉴를 이용한 복수의 음향모드의 선택의 경우, 사용자가 메뉴에서 원하는 음향모드를 일일이 찾아서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간이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혹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이 강조되도록 오디오특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처리부; 및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하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여, 간이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혹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오디오의 레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이 강조되도록 오디오특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제어부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상기 제1오디오성분의 피크를 강조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는 또 다른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를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오디오로부터 강조하기를 원하는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제1값으로 하고,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상기 제1값과 다른 제2값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오디오의 레벨이 변경됨에 따라 기준치를 중심으로 어느 레벨 구간에서 다른 레벨 구간으로 전환되는 경우, 각기 다른 오디오성분이 강조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전자장치가 인식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오디오성분은 음성(voice)을 포함하며, 상기 제2오디오성분은 배경 오디오를 포함함으로써, 음장감 혹은 정보 전달 중 원하는 효과에 대응하는 오디오성분을 선택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상기 오디오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주변 조도, 주변 음성, 사용자 수(number), 상기 사용자의 위치,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 및 자막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오디오성분에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오디오의 레벨 이외 다른 사용 환경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강조하기를 원하는 오디오성분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전 사용 이력 및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입력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이 강조되도록 오디오레벨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하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여, 간이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혹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오디오의 레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이 강조되도록 오디오특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하게 된다.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상기 제1오디오성분의 피크를 강조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는 또 다른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를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오디오로부터 강조하기를 원하는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제1값으로 하고,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상기 제1값과 다른 제2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오디오의 레벨이 변경됨에 따라 기준치를 중심으로 어느 레벨 구간에서 다른 레벨 구간으로 전환되는 경우, 각기 다른 오디오성분이 강조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전자장치가 인식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오디오성분은 음성(voice)을 포함하며, 상기 제2오디오성분은 배경 오디오를 포함함으로써, 음장감 혹은 정보 전달 중 원하는 효과에 대응하는 오디오성분을 선택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오디오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조도, 주변 음성, 사용자 수(number), 상기 사용자의 위치,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 및 자막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오디오성분에 대한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오디오의 레벨 이외 다른 사용 환경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강조하기를 원하는 오디오성분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전 사용 이력 및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입력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이 강조되도록 오디오레벨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간이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혹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이 강조되도록 오디오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분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개선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강조부를 포함하는 신호개선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과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오디오레벨에 따라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작동하는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추가적으로 변경하는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종류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추가적으로 변경하는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된 사용자의 수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추가적으로 변경하는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추가적으로 변경하는 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사상은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전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장치의 구현 예시로서, 오디오의 출력과 함께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일례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디오장치, A/V장치 등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전자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는 태블릿, 모바일 폰,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LFD, 셋탑박스, MP3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BD 플레이어, 라디오장치, A/V리시버, 스피커장치, 차량용 오디오장치 등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를 제공한다. 컨텐츠신호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 신호 또는 전자장치(1)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컨텐츠는, 전자장치(1)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
컨텐츠는 오디오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컨텐츠는, 오디오 외에 영상 혹은 기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오디오출력부(도 2의 부호 207 참조) 또는 연결부(도 2의 부호 205 참조)에 연결된 스피커(2)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한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출력부(207) 또는 스피커(2)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의 특성을 변경한다. 오디오의 특성은, 컨텐츠의 오디오를 구성하는 오디오성분에 관한 특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의 오디오는,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을 포함한다. 제1오디오성분은, 예컨대, 영화와 같은 컨텐츠에서 배우의 대사, 나레이션 등일 수 있으며, 제2오디오성분은, 그 영화의 배경오디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츠의 오디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복수의 성분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오디오성분과 제2오디오 성분은 각각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1채널과 2채널, 주성분과 보조성분 또는 중심성분과 보조성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디오성분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오디오성분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는, 출력되는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한다. 오디오의 레벨은, 오디오의 볼륨일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예컨대, 사용자가 오디오의 볼륨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되는 오디오의 볼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오디오의 볼륨이 소정 기준치 이하 혹은 이상이 되는 경우,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조되도록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언급된 영화와 같은 컨텐츠를 시청하는 중에, 사용자가 오디오의 볼륨을 소정 기준치 이하로 줄이는 경우, 전자장치(1)는, 배우의 대사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성분을 배경오디오에 해당하는 제2오디오성분보다 상대적으로 강조되도록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소정의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변경되는 오디오의 볼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는, 오디오의 볼륨 감소와 같이 사용자의 간이한 조작만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오디오에 포함된 오디오성분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을 상대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의 변경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오디오성분이 제1오디오성분보다 강조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의 볼륨이 소정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조되도록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3개 이상의 오디오성분의 경우, 2이상의 오디오성분이 나머지 오디오성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조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2이상의 오디오성분 간 강조되는 정도는 모두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혹은 서로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전자장치(1)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는 신호처리부(201) 및 제어부(209)를 포함한다. 전자장치(1)는 신호수신부(200), 오디오출력부(207), 연결부(205), 디스플레이부(203) 및 입력수신부(211)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어느 하나가 배제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수신부(200)는 외부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컨텐츠신호는 전송스트림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신호수신부(200)는 컨텐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신호수신부(200)는 복수의 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컨텐츠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00)는 셋탑박스, DVD, PC 등과 같은 영상처리기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3)는 신호처리부(201)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03)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3)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03)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03)는, 백라이트유닛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201)는 신호수신부(20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및 오디오를 디스플레이부(203) 및 오디오출력부(207)를 통해 출력한다. 신호처리부(201)는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213)와, 음성처리를 수행하는 오디오처리부(215)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부(213)는 신호수신부(200)를 통해 수신되는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3)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3)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213)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는, 예를 들면 입력되는 전송스트림을 영상신호, 오디오신호, 부가데이터의 각 하위 스트림으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15)는 오디오신호에 대해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수신부(200)에 전송스트림이 수신되면, 오디오처리부(215)는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는 오디오신호에 오디오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오디오 프로세스가 수행된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출력부(207) 또는 연결부(205)를 통한 스피커(2)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제공한다.
오디오처리부(215)는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15)는 오디오에 포함된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을 구분하고,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15)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오디오출력부(207)는 오디오처리부(215)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207)는, 예컨대, 가청 주파수인 20Hz 내지 20KHz 대역의 오디오를 출력하게 마련된다. 오디오출력부(207)는 처리 가능한 오디오 채널 및 출력 주파수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203)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03)의 좌우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207)는 출력하는 오디오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서브우퍼(sub-woofer), 미드우퍼(mid-woofer), 미드레인지(mid-range) 스피커, 트위터(tweeter)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05)는 오디오처리부(215)에서 처리된 오디오를 스피커(2)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수신부(211)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209)로 전달한다. 입력수신부(211)는 사용자입력의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전자장치(1)의 외측에 설치된 메뉴버튼,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3)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의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 디스플레이부(203)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사용자의 제스처입력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인식하는 마이크, 외부장치와 통신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통신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입력수신부(21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입력뿐 아니라, 다양한 다른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는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 등의 특정 환경에서 오디오를 특정 레벨로 변경하는 이전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이전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현재의 환경이 특정 환경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오디오를 특정 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저녁 9시 이후에 혼자 전자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오디오의 레벨을 30으로 맞추었다면, 전자장치(1)는, 저녁 9시에 사용자가 혼자 전자장치(1)를 사용한다고 판단되면, 오디오의 레벨을 3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 없이도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하여, 오디오에 포함된 오디오성분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을 상대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209)는 전자장치(1)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09)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전자장치(1)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1)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1)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제어부(209)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또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가 변경되도록 오디오처리부(215)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제어부(209)는,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이 소정 기준치 이상 혹은 이하인 경우,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조되도록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9)는 오디오의 레벨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서의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와, 오디오 레벨이 소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서의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서로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9)는 변경되는 오디오 레벨이 낮을수록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을 높이고, 오디오 레벨이 높을수록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중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예와 같이,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은, 영화와 같은 컨텐츠에서, 배우의 대사 및 배경오디오에 각각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레벨이 낮은 경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배우의 대사가 상대적으로 크게 들리고, 오디오 레벨이 높은 경우, 현장감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한 배경오디오가 상대적으로 크게 들리므로, 간이한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을 강조시킬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15)는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처리부(215)는 주파수영역에서 제1오디오성분(100) 및/또는 제2오디오성분(101)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피크를 강조함으로써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처리부의 블록도이다.
오디오처리부(215)는, 신호분리부(300) 및 신호개선부(301)를 포함한다. 신호분리부(300)는, 신호수신부(200)로부터 입력오디오가 수신되면, 수신된 입력오디오를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으로 분리한다. 신호개선부(301)는 분리된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을 입력받아, 변경된 오디오레벨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증폭 정도를 제어하여 출력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한다. 신호개선부(301)의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증폭 정도는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개선부(301)는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변경된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참조하여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레벨을 조절한다. 신호개선부(301)는 조절된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을 믹스하여 출력오디오를 출력한다.
이하, 신호분리부(300)와 신호개선부(301)의 자세한 구성을 블록도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분리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분리부(300)는, 제1오디오성분(100)을 중앙성분으로, 제2오디오성분(101)을 주변성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앙성분은, 예컨대,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컨텐츠에서 오디오 중 배우의 대사나 나레이션과 같은 오디오성분일 수 있다. 출력되는 오디오의 중앙 성분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2채널(Stereo)일 경우 전자장치(1)의 전면 중앙으로 패닝될 수 있다.
신호분리부(300)는 도메인 변환부(400), 상관계수 산출부(401), 중심성분추출부(403) 및 차감부(405)를 포함한다.
도메인 변환부(400)는 제1채널과 제2채널을 포함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 받아 도메인을 변환한다. 도메인 변환부(400)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상관계수 산출부(401)는 도메인 변환부(400)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한다. 상관계수 산출부(401)는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두 채널 사이의 일관성(coherence)을 나타내는 제1계수와 두 채널 사이의 유사성(similarity)을 나타내는 제2계수를 구하고, 제1계수와 제2계수를 이용하여 상관 계수를 구한다. 상관계수는 산출된 상관계수를 중심성분추출부(403)로 보낸다.
중심성분추출부(403)는 상관 계수 및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로부터 제1오디오성분(100)을 추출한다. 중심성분추출부(403)는 오디오 신호의 산술 평균을 구하고 여기에 상관 계수를 곱하여 제1오디오성분(100)을 생성한다.
차감부(405)는 시간 도메인에서, 오디오신호와 제1오디오성분(100)의 차를 구한다. 차감부(405)는 좌 신호에서 제1오디오성분(100)을 차감하여 제2오디오성분 좌 신호를 구하고, 우 신호에서 제1오디오성분(100)을 차감하여 제2오디오성분 우 신호를 생성한다. 제2오디오성분(101)은 제2오디오성분 좌신호와 우신호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면과 상술된 설명에서는 오디오신호가 2채널신호인 경우만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신호가 5.1채널 또는 그 이상의 멀티채널 오디오신호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개선부의 블록도이다.
신호개선부(301)는 신호분리부(300)로부터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을 입력 받는다. 신호개선부(301)는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을 증폭하고, 증폭된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을 믹스하여 생성된 출력오디오를 출력한다. 신호개선부(301)는 각 오디오성분(100, 101)을 증폭시키는 증폭기(500, 501), 증폭된 각 오디오성분(100, 101)을 믹스하여 출력하는 믹스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오디오레벨이 변경되면, 변경된 오디오레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가 변경되도록 신호개선부(301)를 제어한다. 증폭기(500, 501)는 제어부(209)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증폭계수(이하, '게인'이라고도 함)를 변경하고, 변경된 게인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믹스부(503)는 증폭되어 출력된 각 오디오성분(100, 101)을 믹스하여 생성된 출력오디오를 출력한다.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는 예는 상술된 설명과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는 다른 일 실시예로서, 주파수도메인에서 특정 성분을 강조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강조부를 포함하는 신호개선부의 블록도이다. 신호개선부(301)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제1오디오성분(100) 및/또는 제2오디오성분(101)에 해당하는 피크를 강조하는 주파수강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크 강조는,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게인 변경을 통한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의 변경과 병행하여 수행되거나, 혹은 게인 변경 없이, 게인 변경을 대체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강조부(600)는 제1오디오성분(100)의 증폭기(500) 앞 단에 위치하며, 제어부(209)의 제어에 기초하여 주파수영역에서의 제1오디오성분(100)에 해당하는 피크를 선택적으로 강조한다. 주파수강조부(600)는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이 믹스되기 전에, 변경되는 오디오 레벨에 따라 주파수 영역에서의 제1오디오성분(100)에 해당하는 피크를 강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주파수강조부(600)에 의하면, 예컨대, 제1오디오성분(100)의 게인을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주파수영역에서의 제1오디오성분(100)에 해당하는 피크를 강조하여 제2오디오성분(101)에 대하여 제1오디오성분(100)을 상대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볼륨 레벨에서 제1오디오성분(100)을 상대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주파수강조부(600)는 제2오디오성분(101)의 피크를 선택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제2오디오성분(101)의 증폭기(501) 앞 단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주파수강조부(600)는 믹스부(503) 후 단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믹스된 출력오디오 중 제1오디오성분(100) 및/또는 제2오디오성분(101)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의 피크를 선택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도 7은 오디오레벨에 따른 제1오디오성분과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에서 각 그래프(800, 801, 803)의 X축은 0~100의 볼륨 스케일을 갖는 오디오레벨이며, Y축은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데시벨(dB)로 나타낸다.
그래프(800)는 오디오레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가 변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 그래프(800)에 따르면, 신호개선부(301)는 오디오레벨이 변경되어도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는 유지시킨다. 그래프(800)는, 이른바, 디폴트 상태에서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가 오디오레벨에 따라 변경되지 않은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래프(800)에서는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가 0dB, 즉 양자의 크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폴트 상태에서도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은 어느 정도의 크기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그래프(801)는 오디오레벨이 기준치(A) 이하인 경우,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이 높아지는, 즉 제1오디오성분(100)이 제2오디오성분(10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조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그래프(801)에 따르면, 신호개선부(301)는 오디오레벨이 기준치(A) 이상일 때는 오디오레벨이 변경되어도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가 유지시킨다. 반면, 신호개선부(301)는 변경되는 오디오레벨이 기준치(A) 이하일 때는, 오디오레벨이 낮아질수록 출력오디오에서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을 더 높임으로써 제1오디오성분(100)을 강조한다. 이렇게 처리할 경우 작은 오디오레벨에서 제1오디오성분(100)이 강조되어 낮은 볼륨에서도 높은 제1오디오성분(100)을 얻을 수 있다.
그래프(803)는 오디오레벨이 기준치(B) 이하인 경우,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이 높아지고, 오디오레벨이 기준치(B) 이상인 경우,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우를 도시한다. 그래프(803)에 따르면, 신호개선부(301)는 오디오레벨이 기준치(B) 이상일 때, 오디오레벨이 높아질수록 출력오디오에서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중을 더 높임으로써 제2오디오성분(101)을 강조한다. 또한, 신호개선부(301)는 오디오레벨이 기준치(B) 이하일 때, 오디오레벨이 낮아질수록 출력오디오에서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을 더 높임으로써 제1오디오성분(100)을 강조한다. 예컨대, 영화와 같은 컨텐츠에서, 낮은 볼륨에서는 배우의 대사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성분(100)을 강조하여 정보 전달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고, 반대로 높은 볼륨에서는 배경오디오에 해당하는 제2오디오성분(101)을 강조하여 음장감을 증가시키는 음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포츠 중계와 같이 해설자의 음성 정보 전달과, 관중의 환호성 등 현장 음장감이 컨텐츠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경우, 그래프(803)에 대응하는 오디오 처리를 적용하면 작은 볼륨에서는 해설자의 음성에 집중할 수 있고, 큰 볼륨으로 시청하는 경우에는 향상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개선부(301)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복수의 기준치를 마련하고, 복수의 기준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개선부(301)는 제1기준치 이하에서, 오디오레벨이 낮아질수록 제1오디오성분(100)을 점점 강조하고, 제1기준치와 제1기준치보다 큰 제2기준치 사이에서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유지시키며, 제2기준치이상에서 오디오레벨이 높아질수록 제2오디오성분(101)을 점점 강조할 수 있다. 변경된 오디오레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는 예는 상술된 설명과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디오의 레벨 변경에 따른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의 변경은,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의 예로서, 전자장치(1)는, 오디오의 레벨에 대응하는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오디오성분비 정보'라고도 함)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오디오성분비 정보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800, 801, 803)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성분비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프(800, 801, 80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그래프(800, 801, 803)에 기초하여 오디오 레벨 변경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단일의 오디오성분비 정보를 복수의 컨텐츠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혹은 컨텐츠 별로 서로 다른 오디오성분비 정보를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오디오성분비 정보는, 미리 저장되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컨대, 전자장치(1)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신호를 통해 오디오성분비 정보를 수신하거나, 주변기기 혹은 네트워크 서버 등 외부장치로부터 오디오성분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성분비 정보는 단독으로 수신될 수도 있고, 혹은 특정 컨텐츠와 함께 패키지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의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는,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오디오의 레벨에 따른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이하, '오디오성분비'라고도 함)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장치(1)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그래프(800, 801, 80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오디오의 레벨이 변경되면, 선택된 그래프(800, 801, 803)에 기초하여, 변경된 오디오의 레벨에 대응하는 오디오성분비가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오디오성분비를 결정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성분비의 결정을 위한 UI는, 오디오성분비의 결정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항목은, 예컨대, 사용자입력에 따라 복수의 그래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어느 그래프에서 특정 오디오성분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UI는, 제공 중인 컨텐츠에 적절한 그래프를 추천하거나,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그래프를 추천하는 것일 수도 있다.
기 설정된 조건의 또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또는 컨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오디오 레벨에 따라 오디오성분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또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그래프(800, 801, 80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오디오의 레벨이 변경되면, 선택된 그래프(800, 801, 803)에 기초하여, 변경된 오디오의 레벨에 대응하는 오디오성분비가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기 설정된 조건의 또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오디오성분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소정 조건의 만족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 및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첫번째 예로서, 그래프(900)는 오디오레벨이 변경되어도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가 유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만일 오디오레벨이 C일 때, 결정된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는 0dB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신호개선부(301)는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여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어느 하나의 성분이 강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이 없더라도, 소정 조건만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을 강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정의 조건은, 주변 조도, 주변 소리, 사용자의 수, 사용자의 위치, 컨텐츠의 내용 및 자막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조건은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의 변경에 더하여, 소정 조건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추가적으로 변경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래프(900)와 그래프(901)는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추가적으로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다. 신호개선부(301)는 변경되는 오디오레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기본적으로 변경한다. 또한, 신호개선부(301)는 특정 오디오레벨(D, E)에서 기본적으로 변경된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소정의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추가적으로 변경하여 새로운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911, 913)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뿐만 아니라, 소정 조건을 통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성분을 강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자장치(1)는, 소정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변 조도 및 주변 소리, 전자장치(1)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 및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센서부에서 센싱된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9)는 주변 조도 레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주변 조도 레벨이 낮아질수록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을 높이고, 주변 조도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주변 조도 레벨이 높아질수록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중을 높이도록 신호개선부(301)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영화와 같은 컨텐츠의 경우, 주변 조도 레벨이 낮아질수록 배우의 대사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을 높이고, 주변 조도 레벨이 높아질수록 배경오디오에 해당하는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중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3은,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3의 상단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와 인접한 광원(14)이 온상태에 있어 주변 조도 레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전자장치(1)는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은 같은 레벨로 출력한다. 도 13의 하단 도면을 참조하면, 광원(14)이 오프 상태에 있어 주변 조도 레벨이 임계레벨 이하인 경우,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 중 어느 하나의 비중을 증가시켜 해당 오디오성분을 강조하여 출력한다.
상술된 설명과 도면은 단지 예시일 뿐으로, 주변 조도 레벨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본원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주변 소리를 센싱하고, 센싱된 주변 소리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는 주변이 조용한 경우, 사용자가 컨텐츠에 집중하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1)는 주변 소리의 레벨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 중 어느 하나의 비중을 증가시켜 강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는 제공되는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컨텐츠의 내용은, 컨텐츠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종류는 컨텐츠와 함께 수신되는 정보, 검색 등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 도 14는, 컨텐츠의 내용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4의 상단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는 제공되는 컨텐츠가 학습 방송, 드라마 등과 같이 대사, 나레이션 등의 정확한 정보전달이 중요한 컨텐츠인 경우, 대사 등 정보 전달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을 증가시킨다. 도 14의 하단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는 제공되는 컨텐츠가 공연, 스포츠, 자연환경 다큐멘터리 등 생생한 현장감이 중요한 컨텐츠인 경우, 배경오디오에 해당하는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중을 증가시킨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는, 하나의 컨텐츠 내에서 현재 표시되는 화면의 내용에 대응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화가 표시되는 중에 각 장면마다 그 내용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된 설명과 도면은 단지 예시일 뿐으로, 컨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본원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표시되는 컨텐츠에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볼륨을 기준치 이하로 줄이는 때 화면에 자막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라면, 대사와 같은 정보 전달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을 높일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볼륨을 기준치 이하로 줄이더라도 화면에 자막이 표시되는 중이라면, 필요한 정보 전달에 큰 어려움이 없다고 보아,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수 또는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센서부는 전자장치(1)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 또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수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는 예가 도시된다. 도 15의 상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는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가 적으면, 사용자가 컨텐츠에 집중하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는 센싱된 사용자의 수가 적으면, 대사와 같은 정보 전달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을 높인다. 반면, 도16의 하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가 많으면 배경오디오에 해당하는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중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1)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도 16은, 전자장치(1)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하는 예가 도시된다. 도 16의 상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위치가 전자장치(1)와 가까우면, 대사와 같은 정보 전달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성분(100)의 비중을 높일 수 있다. 반면, 도 16의 하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위치가 전자장치(1)와 멀수록 배경오디오에 해당하는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중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된 설명과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09)는 변경되는 오디오레벨과 함께 혹은 그와 무관하게, 상술된 소정의 조건을 이용하여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 또한 상술된 예시 이외에 사용자의 오디오특성을 변경하고자 하는 의사를 파악하기에 필요한 다양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벨추정부를 포함하는 오디오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레벨추정부(1000)가 오디오처리부(215)에 마련되는 예를 도시한다. 컨텐츠의 장르나 특성 또는 방송국 별로 오디오레벨의 편차가 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조용한 영화를 시청 중이다가 갑자기 광고 방송으로 전환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오디오레벨과 맞지 않게 높은 레벨의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15)는 입력오디오신호에서 오디오레벨을 추정하고, 추정된 오디오레벨(이하, '추정오디오레벨'이라 함)을 출력하는 레벨추정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해 변경된 오디오레벨과 추정오디오레벨의 관계에 기초하여 오디오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신호개선부(30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정오디오레벨과 변경된 오디오레벨이 같은 경우, 제어부(209)는 신호개선부(301)로 하여금 오디오레벨을 추가적으로 증폭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추정부(1000)를 이용하여 출력오디오레벨이 사용자의 의사에 부합하도록 조절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11은 레벨추정부(1000)가 신호개선부(301)에 마련되는 예를 도시한다. , 신호개선부(301)는, 신호분리부(300)로부터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을 수신하여 각 오디오성분(100, 101)에 대한 추정오디오레벨을 제어부(209)로 전달하는 레벨추정부(1000)를 포함한다. 입력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는 기 변경되어 입력될 수 있다. 레벨추정부(1000)는 각 오디오성분(100, 101)의 레벨을 추정하고, 제어부(209)가 레벨추정부(1000)의 추정에 기초하여 신호개선부(30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각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사용자의 의사에 보다 부합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오디오레벨에 따라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작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전자장치(1)는 복수의 음향모드를 가진다. 복수의 음향모드 각각은, 서로 다른 오디오성분의 비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209)는 오디오레벨에 따라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오디오레벨에 따라 전자장치(1)가 세 가지의 음향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예(1200)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는 오디오레벨이 30~100인 범위에서 표준상태인 제1음향모드(1201)로 동작한다. 전자장치(1)가 제1음향모드(1201)로 동작하는 동안 출력되는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는 1:1 또는 1:1에 근접한 값으로 유지된다. 오디오레벨이 15~30인 범위에서, 전자장치(1)는, 예컨대, 대사와 같은 정보 전달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성분(100)을 강조하는 제2음향모드(1203)로 동작한다. 한편, 오디오레벨이 15이하가 되면, 전자장치(1)는 제2음향모드(1203)에서의 경우보다 제1오디오성분(100)을 더욱 강조하는 제3음향모드(1205)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별도의 다른 조작 없이도 사용자의 단순한 볼륨 조작만으로, 원하는 오디오성분이 강조된 음향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오디오레벨에 따라 전자장치(1)가 다섯 가지의 음향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예(1300)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는 오디오레벨이 30~70인 범위에서 표준상태인 제1음향모드(1301)로 동작한다. 오디오레벨이 15~30인 범위에서, 전자장치(1)는 예컨대, 대사와 같은 정보 전달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성분(100)을 강조하는 제2음향모드(1302)로 동작한다. 한편, 오디오레벨이 15이하가 되면, 전자장치(1)는 제2음향모드(1302)에서의 경우보다 제1오디오성분(100)을 더욱 강조하는 제3음향모드(1303)로 동작한다. 오디오레벨이 70~85의 범위에서, 전자장치(1)는, 예컨대, 음장감 증가를 위하여 배경오디오에 해당하는 제2오디오성분(101)을 강조하는 제4음향모드(1305)로 동작한다. 오디오레벨이 85~100의 범위에서, 전자장치(1)는 제4음향모드(1305)에서의 경우보다 제2오디오성분(101)을 더욱 강조하는 제5음향모드(1307)로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별도의 다른 조작 없이 단순한 볼륨 조작만으로, 낮은 오디오레벨에서는 정보 전달을 향상하고, 높은 오디오레벨에서는 향상된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도면에 도시된 음향모드의 개수, 기준치가 되는 특정 오디오레벨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복수의 음향모드 중 주변 조도, 주변 소리, 사용자의 수, 사용자의 시청 위치, 컨텐츠 내용 및 자막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향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동작 S1800에서, 디스플레이부(203)는 영상을 표시한다. 동작 S1801에서, 오디오처리부(215)는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동작 S1802에서, 제어부(209)는 출력되는 오디오의 레벨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에 따라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가 변경되도록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한다.
오디오레벨은 입력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 또는 특정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15)는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을 달리 조정함으로써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처리부(215)는 주파수강조부(600)를 포함하며, 주파수 영역에서 제1오디오성분(100) 또는 제2오디오성분(101)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피크를 강조함으로써 제1오디오성분(100) 및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변경되는 오디오의 레벨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오디오성분(100)과 제2오디오성분(101)의 비를 유지시키고, 오디오의 레벨이 소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1오디오성분(100)을 강조시킬 수 있다.
그 밖에, 도 17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도 1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장치(1)의 구성의 특정이 동일 혹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 전자장치
200 - 신호수신부
201 - 신호처리부
213 - 영상처리부
215 - 오디오처리부
203 - 디스플레이부
207 - 오디오출력부
209 - 제어부
211 - 입력수신부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1오디오성분과, 배경오디오를 포함하는 제2오디오성분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처리부; 및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의 볼륨을 변경하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볼륨에 따라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볼륨이 문턱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오디오성분 대비 상기 제1오디오성분의 비중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전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를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상기 제1오디오성분의 피크를 강조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전자장치가 인식한 조건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성분은 음성(voice)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변 조도, 주변 음성, 사용자 수(number), 상기 사용자의 위치,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 및 자막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오디오성분에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전 사용 이력 및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의 볼륨을 변경하는 전자장치.
  11.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오디오성분과, 배경오디오를 포함하는 제2오디오성분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의 볼륨을 변경하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볼륨에 따라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되는 오디오의 볼륨이 문턱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오디오성분 대비 상기 제1오디오성분의 비중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를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 적어도 하나의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상기 제1오디오성분의 피크를 강조함으로써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전자장치가 인식한 조건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 및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오디오성분 및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성분은 음성(voice)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주변 조도, 주변 음성, 사용자 수(number), 상기 사용자의 위치,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 및 자막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오디오성분에 대한 상기 제2오디오성분의 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항에 있어서,
    이전 사용 이력 및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의 볼륨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04300A 2016-08-17 2016-08-1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31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00A KR102531886B1 (ko) 2016-08-17 2016-08-1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7/006410 WO2018034417A1 (en) 2016-08-17 2017-06-1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841601.2A EP3449627B1 (en) 2016-08-17 2017-06-1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780050424.0A CN109565265B (zh) 2016-08-17 2017-06-19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5/627,603 US10177728B2 (en) 2016-08-17 2017-06-20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209,803 US10530317B2 (en) 2016-08-17 2018-12-04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00A KR102531886B1 (ko) 2016-08-17 2016-08-1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51A KR20180019951A (ko) 2018-02-27
KR102531886B1 true KR102531886B1 (ko) 2023-05-16

Family

ID=6119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300A KR102531886B1 (ko) 2016-08-17 2016-08-1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177728B2 (ko)
EP (1) EP3449627B1 (ko)
KR (1) KR102531886B1 (ko)
CN (1) CN109565265B (ko)
WO (1) WO2018034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0249B1 (en) * 2016-05-23 2020-07-22 Funai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KR102531886B1 (ko) * 2016-08-17 202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00043286A1 (en) * 2018-08-02 2020-02-06 Igt Gam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utomatic audio adjustments
CN110139151A (zh) * 2019-05-23 2019-08-16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音频数据的处理方法及电子设备
EP4203502A4 (en) 2020-11-16 202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GB2616073A (en) * 2022-02-28 2023-08-30 Audioscenic Ltd Loudspeaker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5539A1 (en) * 1998-04-14 2009-10-01 Vaudrey Michael A User adjustable volume control that accommodates hearing
US20150237454A1 (en) * 2014-02-20 2015-08-20 Bose Corporation Content-aware audio mod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4448A1 (en) * 2001-10-26 2003-05-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viewing-history based television control system
JP2004037823A (ja) * 2002-07-03 2004-02-05 Sanyo Electric Co Ltd 映像・音響機器の音量調整装置
KR100604016B1 (ko) * 2003-08-11 2006-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리레벨 제어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60046685A1 (en) 2004-08-31 2006-03-02 Hjelmeland Robert W System and proces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coustic settings to best fit an audio system
CN101053277A (zh) * 2004-11-10 2007-10-10 Adc技术株式会社 声音电子电路及其音量调节方法
CN1889655A (zh) * 2005-06-29 2007-01-03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数字电视的音频音量自动调节方法
JP4538494B2 (ja) 2007-12-27 2010-09-08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音響効果回路及び処理方法
CN103634733B (zh) 2008-07-31 2016-05-25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双耳信号的信号生成
JP4528852B2 (ja) * 2008-09-19 2010-08-2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音声調整方法
KR20100047739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볼륨 제어 장치 및 방법
TWI458362B (zh) 2012-06-22 2014-10-21 Wistron Corp 自動調整音量的聲音播放方法及電子設備
JP6253671B2 (ja) * 2013-12-26 2017-12-2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133652B (zh) * 2014-06-10 2016-02-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控制方法,及终端
CN105592195B (zh) * 2016-01-20 2019-01-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音量自适应调节方法及装置
EP3490249B1 (en) * 2016-05-23 2020-07-22 Funai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KR102531886B1 (ko) * 2016-08-17 202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5539A1 (en) * 1998-04-14 2009-10-01 Vaudrey Michael A User adjustable volume control that accommodates hearing
US20150237454A1 (en) * 2014-02-20 2015-08-20 Bose Corporation Content-aware audio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9627A1 (en) 2019-03-06
US20180054174A1 (en) 2018-02-22
US10177728B2 (en) 2019-01-08
CN109565265A (zh) 2019-04-02
EP3449627B1 (en) 2023-11-22
EP3449627A4 (en) 2019-05-15
CN109565265B (zh) 2023-05-16
US20190109573A1 (en) 2019-04-11
US10530317B2 (en) 2020-01-07
WO2018034417A1 (en) 2018-02-22
KR20180019951A (ko)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886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865279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961471B2 (en) Techniques for personalizing audio levels
US84340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volume of combined audio channels
US9596429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when loud background noise is present
US120221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losed captioning
JP2010515290A (ja) ダイアログエンハンスメント技術のコントローラ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20120230525A1 (en) Audio device and audio system
US20170195819A1 (en) Configuring Playback of Audio Via a Home Audio Playback System
CN111095191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30132521A1 (en) Presenting alternative media content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KR102522567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93404A (ko) 캐릭터 선택적 오디오 줌인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1750476A2 (en) Audi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62183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TV program accompanying sounds
KR10155917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099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TW201946480A (zh) 電視機音頻處理的組態及狀態報告系統
KR101067775B1 (ko) 티브이의 우퍼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401011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방법
KR202201373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2289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dialogue intelligibility during playback of audio data
KR20060109065A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소리레벨 조절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