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973B1 - Measuring Assistance Apparatus for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Google Patents
Measuring Assistance Apparatus for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7973B1 KR102517973B1 KR1020220114874A KR20220114874A KR102517973B1 KR 102517973 B1 KR102517973 B1 KR 102517973B1 KR 1020220114874 A KR1020220114874 A KR 1020220114874A KR 20220114874 A KR20220114874 A KR 20220114874A KR 102517973 B1 KR102517973 B1 KR 1025179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suring
- hardness
- laser diode
- schmidt
- handle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01N3/068—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with optical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5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measuring extent of rebound of a striking bod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3—Rebound strike or reflected energ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41—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using optical, X-ray, ultra-violet, infrared or similar det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면(1)과 레이저다이오우드(30)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이격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우드(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디케이스(20)와, 상기 바디케이스(20)에 설치된 조작버튼(24)에 의해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레이저다이오우드(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이저다이오우드(30)는 측정면으로 부터 손잡이부(10) 길이만큼 이격된 거리에서 정확하게 측정면에 넓이는 15cm X 15cm의 정사각형으로 배치되되, 가로와 세로 3cm의 간격으로 총 25개의 측정점이 붉은 점으로 표시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를 레이저다이오우드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점 표시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고, 또 직접 슈미트 경도 측정기를 이용해 측정점 표시 없이 곧바로 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측정면 표면의 상태와 아무 상관없이 경도 측정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part 10 capable of accurately spa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surface 1 and the laser diode 30, and a plurality of laser diodes 30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part 10 It consists of a body case 20 for fixation and a laser diode 30 emitting a laser beam by an operation button 24 installed in the body case 20, and the laser diode 30 measures Structure safety that is arranged in a square of 15 cm X 15 cm in width on the measuring surface exactly at a distance from the surface by the length of the handle part 10, and a total of 25 measuring points are displayed as red dots at intervals of 3 cm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Schmidt hardness measurement point for diagnosi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isplay the location of the measurement point by enabling the Schmidt hardness measurement point location display to be displayed by a laser beam emitted from a laser diode.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the hardness without displaying the measurement point using the Schmidt hardness tester.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measure hardness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의 안전진단을 위해 반발경도 측정용으로 사용하는 슈미트 해머의 반발 경도를 측정하는데 적용되는 다수개의 측정점위치를 표시함에 있어 편리하면서도 측정면의 표면 상태와 상관없이 정확하게 측정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a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 for the safety diagnosis of a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umber of applications applied to measuring the rebound hardness of a Schmidt hammer used for measuring the rebound hardness for the safety diagnosis of buildings, etc. It relates to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a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which is convenient in displaying the position of a dog's measuring point and can accurately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measuring point regardless of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measuring surface.
일반적으로 건축물과 토목구조물의 안전 진단은 재해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건축물과 토목구조물들의 수명은 기온, 온도, 습도, 지형, 바람, 위치 등의 자연적 요소와, 생활 관습, 문화 등의 인위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In general, safety diagnosis of buildings and civil structures is conducted to protect humans from disasters. is influenced by the anthropogenic factors of
따라서 이러한 요소로 인해 건축물과 토목구조물들은 미끄러짐, 침하, 작용하중, 바람, 지진에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설계되어 건축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미흡하게 설계되고 건축되는 경우가 많이 있고, 또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인간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Therefore, due to these factors, buildings and civil structures are often designed and built insufficiently even though they should be designed and built to sufficiently withstand slippage, settlement, applied load, wind, and earthquake, and also due to various factors, human It can also act as a safety hazard.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술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조사하는 현장조사 및 전문 개요, 설계기준, 기본 자료 등 항목별로 안전진단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평가는 기술자가 매우 주관적이고 불확실한 측면을 가지고 조사하여 안전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Therefore, in this case, safety diagnosis is performed for each item such as on-site inspection and professional overview, design criteria, basic data, etc., where technicians visit the site and investigate. It is true that 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securing safety.
따라서 건축물을 전문적으로 평가하는 관리 시스템 및 장치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도 검사는 반발경도측정방법이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management systems and devices that professionally evaluate buildings are being developed and used, and in particular, the rebound hardness measurement method is used for safety inspection of concrete structures.
상기와 같은 반발경도측정방법은 슈미트해머를 이용하고 있는데, 반발경도측정을 위한 타격시험은 타격 되는 골재의 돌출 유무, 철근과의 거리, 타격면의 거칠기 등에 따라 측정치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측정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측정 대상의 콘크리트 표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각 3㎝의 간격을 두고 평행한 수평선 4개를 분필과 자를 이용하여 그린 다음, 수평선과 직교하도록 세로방향을 따라 각 3㎝의 간격을 두고 수직선 5개를 그리고, 각 수평선 및 수직선의 직교점(20개점)에 슈미트 해머를 대고 타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의 경도를 측정하게 된다.The method for measuring rebound hardness as described above uses a Schmidt hammer. In the impact test for measuring rebound hardness, deviations in measured values occu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aggregate is protruded, the distance from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oughness of the impact surface. In order to reduce the measurement error, draw four parallel horizontal lines using chalk and a ruler at an interval of 3 cm eac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oncrete surface of the measurement target, and then draw 4 horizontal line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line at an interval of 3 cm eac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draw 5 vertical lines, and measure the hardness inside the concrete structure by hitting the Schmidt hammer at the orthogonal points (20 points) of each horizontal and vertical line.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체의 경도를 측정할 때마다, 3㎝간격의 5(종)×4(횡)개의 직교된 직선을 그리는 것은 작업상 매우 번거롭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며,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whenever the hardness of a concrete structure is measured, drawing 5 (longitudinal) × 4 (lateral) orthogonal straight lines at 3 cm intervals is very cumbersome in terms of work, relies on the operator's manual work, and takes a long time to measure. has a downside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29305호에서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도장타입의 스탬프를 이용해서 평면상에 다수의 점을 한 번에 찍어서 표시하도록 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측정면의 표면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만 측정점을 표시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9305 uses stamps of a stamp typ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mark a plurality of dots on a plane at once. that has been suggested However, this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easurement point can be displayed only when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measurement surface is good.
또한 접착제를 이용한 스티커방식의 측정점 표시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200224542호로 선출원된 바 있으나, 이는 측정지점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이 거칠다거나 먼지가 많은 경우에는 부착이 곤란하여 사용하기 힘든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a sticker-type measuring point display device using an adhesive has been previously filed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4542,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ttach and use whe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at the measuring point is rough or dusty.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10338호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0338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부를 통해 레이저다이오우드가 설치되는 바디케이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거리를 이격시키도록 하고 상기 바디케이스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우드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슈미트 해머의 반발 경도를 측정하는데 적용되는 다수개의 측정점 위치를 편리하면서도 측정면의 표면 상태와 상관없이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body case where the laser diode is installed through the length-adjustable handle so that the accurate distance is spaced apart, and emitted from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dy case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s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that allows the location of multiple measuring points applied to measure the rebound hardness of the Schmidt hammer by laser beam to be displayed conveniently and accurately regardless of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measuring surface. is to prov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는, 측정면(1)과 레이저다이오우드(30)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이격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우드(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디케이스(20)와, 상기 바디케이스(20)에 설치된 조작버튼(24)에 의해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레이저다이오우드(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이저다이오우드(30)는 측정면으로 부터 손잡이부(10) 길이만큼 이격된 거리에서 정확하게 측정면에 넓이는 15cm X 15cm의 정사각형으로 배치되되, 가로와 세로 3cm의 간격으로 총 25개의 측정점이 붉은 점으로 표시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ccurately spa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는, 상기 바디케이스(20)에 상기 힌지(12)를 매개로 연결되는 조인트봉(1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조인트봉(11)에서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봉(1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를 레이저다이오우드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점 표시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고, 또 직접 슈미트 경도 측정기를 이용해 측정점 표시 없이 곧바로 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측정면 표면의 상태와 아무 상관없이 경도 측정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As the abov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 position can be displayed by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so that the measuring point display position can be accurately displayed, and the Schmidt hardness measuring instrument can be used to directly display the measuring point without displaying the measuring point. Hardness measurement can also be made possibl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measure hardness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의 길이조절상태와 바디케이스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케이스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참고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a Schmidt hardness measurement point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a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length adjustment state of the handle part and the rotation state of the body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case is rot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at hardness can be measured using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a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intended only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lso,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lthough not defined differently,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currently disclosed content, and are not interpreted in ideal or official meanings unless defined.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views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llustrations are expected, for example, modifications of manufacturing methods and/or specifications. Therefore,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shape by manufacturing. For example, regions shown or described as flat may have generally rough/rough and non-linear characteristics. Also, parts shown as having sharp angles may be rounded. Accordingly, the regions shown in the figures are only approximate in nature and their shapes are not intended to depict the exact shape of the region and are not intended to narro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의 길이조절상태와 바디케이스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케이스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a Schmidt hardness measurement point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ation of a Schmidt hardness measurement point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length adjustment state of the handle part and the rotation state of the body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in which the body case is rot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at hardness can be measured using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s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는 측정면(1)과 레이저다이오우드(30)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이격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우드(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디케이스(20)와, 상기 바디케이스(20)에 설치된 조작버튼(24)에 의해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레이저다이오우드(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이저다이오우드(30)는 측정면으로 부터 손잡이부(10) 길이만큼 이격된 거리에서 정확하게 측정면에 넓이는 15cm X 15cm의 정사각형으로 배치되되, 가로와 세로 3cm의 간격으로 총 25개의 측정점이 붉은 점으로 표시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The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 for the safety diagnosis of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손잡이부(1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나 이는 휴대를 편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완전히 뽑은 상태에서는 항상 측정면(1)과 레이저다이오우드(30)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이격시킬 수 있는 길이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The length of the
이는 레이저다이오우드(30)를 바디케이스(20)에 고정함에 있어 정확한 간격으로 셋팅한 상태에서 각각의 레이저다이오우드(3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때 설정된 손잡이부의 길이에서 측정면에 표시되는 레이저다이오우드(30)의 레이저빔은 가로와 세로 3cm의 간격으로 총 25개의 측정점이 표시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들의 전체 넓이는 15cm X 15cm의 정사각형으로 배치된다. In fixing the
결국 레이저다이오우드(30)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이 붉은 점으로 측정면에 표시되고, 작업자는 위 붉은 점에 별도의 표시를 한 다음 경도측정을 하거나 직접 붉은 점에 슈미트 경도 측정기를 대고 작동시켜 경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Eventually,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이때 상기 레이저다이오우드(30)의 경사각은 미리 위 조건에 맞춰 제작된 디케이스(20)의 레이저다이오우드설치공(22)에 의해 그저 꽂기만 하더라도 설정된 측정점 표시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상기 손잡이부(10)는 상기 바디케이스(20)에 상기 힌지(12)를 매개로 연결되는 조인트봉(1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조인트봉(11)에서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봉(13)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조인트봉(11)과 인출봉(13)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제작한 상태에서 직경이 제일 큰 상기 조인트봉(11)에 상기 조인트봉(11)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제작된 상기 인출봉(13)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상기 조인트봉(11)과 인출봉(13)을 다단식(즉, 안테나식)으로 구성하여 필요시 신축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바디케이스(20)는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단부에 힌지(12) 결합되어 상기 힌지(12)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면에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우드(30)을 고정하거나 레이저다이오우드설치공(22)을 형성하여 레이저다이오우드(30)를 꽂아서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또한, 상기 바디케이스(20)는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단부에 상기 힌지(12)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우드설치공(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바디체(21)와, 상기 회전바디체(21)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상태로 상기 회전바디체(21)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버튼(24)이 형성된 장착바디(23)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장착바디(23)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버튼(24)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레이저다이오우드(3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우드설치공(22)은 상기 회전바디체(2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a control unit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또한, 상기 레이저다이오우드(30)는 상기 바디케이스(20)에 설치된 조작버튼(24)에 의해 필요시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를 레이저다이오우드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점 표시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고, 또 직접 슈미트 경도 측정기를 이용해 측정점 표시 없이 곧바로 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측정면 표면의 상태와 아무 상관없이 경도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isplay of the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 position to be displayed by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so that the measuring point display position can be accurately displayed, and it is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the hardness without displaying the measuring point using the Schmidt hardness measuring instrument. You can do it.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rdness can be measur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surface.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escribed below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made.
1: 측정면 10: 손잡이부
11: 조인트봉 12: 힌지
13: 인출봉 20: 바디케이스
21: 회전바디체 22: 레이저다이오우드설치공
23: 장착바디 24: 조작버튼
30: 레이저다이오우드 1: measuring surface 10: handle part
11: joint rod 12: hinge
13: pull-out bar 20: body case
21: Rotating body 22: Laser diode installer
23: mounting body 24: control button
30: laser diode
Claims (2)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우드(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디케이스(20)와,
상기 바디케이스(20)에 설치된 조작버튼(24)에 의해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레이저다이오우드(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이저다이오우드(30)들은 바디케이스(20)에 정확한 간격으로 셋팅한 상태에서 각각의 레이저다이오우드(3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측정면으로 부터 손잡이부(10) 길이만큼 이격된 거리에서 정확하게 측정면에 가로와 세로 3cm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총 25개의 측정점이 15cm X 15cm 넓이의 정사각형 내에 붉은 점으로 표시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
A handle part 10 that can accurately space the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surface 1 and the laser diode 30;
A body case 20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part 10 to fix a plurality of laser diodes 30;
It consists of a laser diode 30 that emits a laser beam by the control button 24 installed on the body case 20,
The laser diodes 30 are accurately measured at a distance separated from the measuring surface by the length of the handle part 10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laser diode 30 in a state where they are set at precise intervals on the body case 20. are plac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intervals of 3 cm,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s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characterized in that a total of 25 measuring points are arranged to be displayed as red dots in a square having an area of 15 cm X 15 cm.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 part (10) is connected to the body case (20) via a hinge (12) joint rod (11), at least one of which is drawn out from the joint rod (11) A measuring aid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Schmidt hardness measuring point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ull-out rod 13 that is possibly coup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874A KR102517973B1 (en) | 2022-09-13 | 2022-09-13 | Measuring Assistance Apparatus for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874A KR102517973B1 (en) | 2022-09-13 | 2022-09-13 | Measuring Assistance Apparatus for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7973B1 true KR102517973B1 (en) | 2023-04-04 |
Family
ID=8592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4874A KR102517973B1 (en) | 2022-09-13 | 2022-09-13 | Measuring Assistance Apparatus for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797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5872B1 (en) * | 2023-07-10 | 2023-10-10 | (주)자오건설 | A pattern irradiating device for marking Schmidt hammer strike locations |
KR102585885B1 (en) * | 2023-07-10 | 2023-10-10 | (주)자오건설 | A pattern irradiating device for marking locations for Ultrasonic Testers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2017B1 (en) * | 2017-09-08 | 2018-03-26 |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 Hammer system for high structure inspection |
KR102000650B1 (en) * | 2018-04-09 | 2019-07-16 |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Optical point marker for schmidt hammer |
KR20190088359A (en) * | 2018-01-18 | 2019-07-26 |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 Point mark apparatus for measuring rebound hardness by schmidt hammer test for safety diagnosis |
KR102036509B1 (en) * | 2019-04-02 | 2019-10-25 |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KR102036510B1 (en) * | 2019-05-30 | 2019-11-26 |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 Jig for Rebound Hardness Test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KR102129387B1 (en) * | 2020-01-21 | 2020-07-02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Measuring position of rebound hardness using pad |
KR102157085B1 (en) * | 2020-04-14 | 2020-09-17 | (주)홍익기술단 | Rebound Hardness Measurement Position Display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
2022
- 2022-09-13 KR KR1020220114874A patent/KR10251797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2017B1 (en) * | 2017-09-08 | 2018-03-26 |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 Hammer system for high structure inspection |
KR20190088359A (en) * | 2018-01-18 | 2019-07-26 |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 Point mark apparatus for measuring rebound hardness by schmidt hammer test for safety diagnosis |
KR102000650B1 (en) * | 2018-04-09 | 2019-07-16 |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Optical point marker for schmidt hammer |
KR102036509B1 (en) * | 2019-04-02 | 2019-10-25 |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KR102036510B1 (en) * | 2019-05-30 | 2019-11-26 |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 Jig for Rebound Hardness Test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KR102129387B1 (en) * | 2020-01-21 | 2020-07-02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Measuring position of rebound hardness using pad |
KR102157085B1 (en) * | 2020-04-14 | 2020-09-17 | (주)홍익기술단 | Rebound Hardness Measurement Position Display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5872B1 (en) * | 2023-07-10 | 2023-10-10 | (주)자오건설 | A pattern irradiating device for marking Schmidt hammer strike locations |
KR102585885B1 (en) * | 2023-07-10 | 2023-10-10 | (주)자오건설 | A pattern irradiating device for marking locations for Ultrasonic Test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7973B1 (en) | Measuring Assistance Apparatus for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
US6543144B1 (en) | Multipurpose tool | |
US4648185A (en) | Leveling tool | |
KR102036509B1 (en) |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
US6209210B1 (en) | Leveling rod | |
US7278217B1 (en) | Trigonometric teaching aid | |
CN111121736A (en) | Segment attitude deviation measur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any angle | |
US7165339B2 (en) | Measuring apparatus with tape measure and pendulum for plumbing | |
US9151609B2 (en) | Footer square apparatuses | |
US7162808B2 (en) | Precision circle center finder and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trade tool | |
US20090188123A1 (en) | Positioning Scale Device | |
US9709398B2 (en) | Footer square apparatuses | |
CN210135879U (en) | Verticality tester for civil construction | |
CN210981085U (en) | Municipal works are managed with earthwork pine and are spread thickness detection chi | |
KR102036512B1 (en) | Marking Device for Rebound Hardness Test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 |
KR200256544Y1 (en) | Multifunctional Leveler | |
US3367031A (en) | Device for establishing reference levels | |
US10508946B2 (en) | Wet screed hardware apparatus | |
JP3554590B2 (en) | Scribing ruler | |
CN219632673U (en) | Auxiliary tool for drilling | |
CN219495224U (en) | Portable unwrapping wire measuring apparatu is used in engineering cost survey and drawing | |
JP3370638B2 (en) | Sumi start template | |
CN216115833U (en) | Telescopic guiding rule for measuring flatness of indoor suspended ceiling | |
KR20010000442U (en) | Auxiliary tool for concreat test hammer | |
KR102594270B1 (en) | Schmidt hammer impact point indicator for structure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