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370B1 - Illuminating apparatus identifying the crosswalk - Google Patents
Illuminating apparatus identifying the crosswal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5370B1 KR102515370B1 KR1020160043678A KR20160043678A KR102515370B1 KR 102515370 B1 KR102515370 B1 KR 102515370B1 KR 1020160043678 A KR1020160043678 A KR 1020160043678A KR 20160043678 A KR20160043678 A KR 20160043678A KR 102515370 B1 KR102515370 B1 KR 1025153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body
- crosswalk
- lower cover
- optical fiber
- curv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70666 Testudines Species 0.000 abstract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장 도로면을 가로지르는 횡단보도를 식별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를 따라 상기 포장도로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덮개 ;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구된 제1,2터털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수직리브를 구비하는 내부체 ; 상기 내부체의 제1터널에 배치되는 광섬유의 일단에 빛을 제공하도록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는 조명원을 갖추어 상기 내부관과 인접하는 다른 내부관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체 및 상기 내부체와 연결체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면서 상기 광섬유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상부덮개를 포함한다. Crosswalk lighting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ing device for identifying a crosswalk crossing a paved road surface, comprising: a lower cover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a disposition unit recessed to a certain depth in the pavement surface along the crosswalk; An inner body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ribs to form first and second turtles having both end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inner tube and another adjacent inner tube with a lighting source for generating light when power is applied to provide light to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disposed in the first tunnel of the inner body, and the inner body and the connecting body It includes an upper cover for diffus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ptical fiber to the outside while protecting the upper part of the co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횡단보도를 식별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도로 포장면에 조명원을 설치하여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보행자나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도로 포장면에 설치된 조명원에 대한 교체 및 보수 유지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for identifying a crosswalk,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lighting source on a road pavement so that pedestrians or drivers can clearly identify a crosswalk even at night or in rainy weather, and lights installed on the road pavement It relates to a crosswalk lighting device that can easily perform replacement and maintenance work on a circle.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횡단보도는 도로의 포장면에 표시되어 있다. In general, crosswalks installed so that vehicles can cross the road are marked on the pavement of the road.
이러한 횡단보도에는 차량의 소통을 위한 지상식 신호등과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보행자 신호등이 서로 연동하도록 교통 시스템이 구성됨에 따라, 보행자는 신호등의 지시에 따라 횡단보도를 따라 도로를 횡단하게 된다. In such a crosswalk, as the traffic system is configured such that ground-type traffic lights for vehicle traffic and pedestrian traffic lights for pedestrian traffic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pedestrians cross the road along the crosswalk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traffic lights.
그러나 야간이나 우천시와 같이 가시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노면에 표시된 횡단보도를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쉽지 않다. However, in situations where visibility is not secured, such as at night or during rainy weather, it is not easy to visually identify a crosswalk marked on the road surface.
즉, 통상의 횡단보도는 양측 경계선이 노면에 표시되어 있는 정도에 불과하여, 가시거리가 확보되지 않으면 차량의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 역시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다.That is, in a normal crosswalk, the boundary line on both sides is only marked on the road surface, and it is difficult to visually iden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pedestrian if the visibility distance is not secured.
이에 따라 지상식 신호등만 보고 운전하는 운전자가 주의하지 않으면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교통신호를 무시하고 주행함으로써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ly, if a driver driving only by looking at ground-type traffic lights is not careful, he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a pedestrian passing through the crosswalk, and in this situation, a traffic accident may occur at the crosswalk by driving while ignoring the traffic signal.
특히, 어린이들은 전체적인 도로 상황을 무시하고 보행자 신호등만 보고 횡단보도에 뛰어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들이 횡단보도의 위치 및 보행자의 유무를 빠르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In particular, since children often ignore the overall road conditions and see only the pedestrian traffic lights and jump into the crosswalk, vehicle drivers driving on the road need to quick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crosswalk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destrians.
종래의 횡단보도는 단지 도로의 노면 상에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페인트로서 식별표시만 되어 있을 뿐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가 쉽게 식별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으며, 특히 야간이나 우천시와 같이 가시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곤란하여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crosswalks are only marked with paint containing fluorescent materials on the road surface, making it difficult for pedestrians or vehicle drivers to easily identify them, especially when visibility is not secured, such as at night or in rainy weath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raffic accidents occurred at crosswalk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with the naked eye.
(특허문헌 1) KR10-2013-0097841 A (Patent Document 1) KR10-2013-0097841 A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 포장면에 조명원을 설치하여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보행자나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도로 포장면에 설치된 조명원에 대한 교체 및 보수 유지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install a lighting source on the road pavement so that pedestrians or drivers can clearly identify the crosswalk even at night or in rainy weather, and on the road pave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rosswalk lighting device that can easily perform replacement and maintenance work on installed lighting source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로 포장면을 가로지르는 횡단보도를 식별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를 따라 상기 도로 포장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덮개 ;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구된 제1,2터널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수직리브를 구비하는 내부체 ; 상기 내부체의 제1터널에 배치되는 광섬유의 일단에 빛을 제공하도록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는 조명원을 갖추어 상기 내부체와 인접하는 다른 내부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체 및 상기 내부체와 연결체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면서 상기 광섬유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상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면과 나란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테두리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체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곡면판 및 상기 조명원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과 곡면판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공을 형성한 좌우한쌍의 내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ing device for identifying a crosswalk crossing a road pavement surface, in which an arrangement unit recessed to a certain depth in the road pavement surface along the crosswalk Lower cover fixed to the floor; an inner body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ribs to form first and second tunnels having both ends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internal body and another adjacent internal body with a lighting source for generating light when power is applied to provide light to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disposed in the first tunnel of the internal body and connecting the internal body It includes an upper cover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upper part of the body while diffusing light generated from the optical fiber to the outside, and the connecting body has a bottom plat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and a curved shape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It extends and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curved plate to form an opening in which the end of the inner body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an inner space in which the lighting source is disposed, and the end of the optical fiber is inserted and fixed. Provided is a crosswalk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pair of left and right inner bulkheads forming a ball.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배치부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앵커볼트로서 고정설치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측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여 상기 상부덮개와 접하는 좌우한쌍의 수직판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lower cover includes a horizontal plate fixedly installed as a plurality of anchor bol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rranging unit,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plates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cover. .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체는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수평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테두리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2터널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리브와 접하여 지지되는 곡선부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inner body extends in a curved shape from both side edges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horizontal bottom portion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and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tunnels. It includes a curved part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extending vertical rib.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내부체와 마주하는 하부면에 위로로 오목한 단면상을 갖추어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upper cover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having a concave cross-section upward on a lower surface facing the inner body.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곡면부는 상기 내부체의 외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curved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1) 횡단보도가 구비되는 도로 포장면에 함몰형성된 배치부에 하부덮개를 고정설치하고, 하부덮개와 상부덮개사이에 광섬유를 갖는 내부체와 더불어 서로 인접하는 내부체를 서로 연결하면서 광섬유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원을 구비함으로써 조명원에서 발생된 빛을 광섬유에 전달하고, 광섬유를 통과하는 빛을 내부체와 상부덮개를 통해 외부로 조사하여 횡단보도의 주변을 밝게 조명할 수 있기 때문에 우천이나 야간시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 또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양의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1) A lower cover is fixedly installed in a recessed arrangement on a road pavement surface where a crosswalk is provided, and an inner body having an optical fiber between the lower cover and the upper cover and the inner body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light is e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By providing a lighting source that provides ligh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ing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optical fiber,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fiber is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body and the upper cover to brightly illuminate the surroundings of the crosswalk, Pedestrians walking on the crosswalk at night or drivers with awnings driving on the road can more easily identify the crosswalk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2) 상,하부덮개사이의 내부공간에 내부체와 연결체를 내장하여 내부체의 광섬유 및 연결체의 조명원을 외부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설비의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By embedding the inner body and connecting body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vers, the optical fiber of the inner body and the light source of the connecting body are safely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thus extending the service life. and reduce equipment maintenance costs.
(3) 하부덮개에 조립된 상부덮개를 분리하여 내부체와 연결체를 외부로 간편하게 분리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및 조명원의 고장 및 수리시 이들을 교체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3) Since the inner body and connecting body can be easily separated and drawn out by separating the upper cover assembled on the lower cover, replacing them in case of failure or repair of the optical fiber and lighting source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식별용 조명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식별용 조명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식별용 조명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식별용 조명장치에서 서로 인접하는 내부체를 연결체로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lighting device for identifying a crosswal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for identifying a crosswal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for identifying a crosswal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internal bodi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with a connecting body in a lighting device for crosswalk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in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al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 식별용 조명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나 보행자가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포장면을 가로지르는 횡단보도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부덮개, 내부체, 연결체 및 상부덮개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 the
상기 하부덮개(110)는 상기 횡단보도를 따라 상기 도로 포장면(2)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부(2a)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바닥 구조물이다. The
이러한 하부덮개(110)는 상기 배치부(2a)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앵커볼트(117)로서 고정설치되는 수평판(111)을 갖추고, 상기 수평판의 양측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12)을 갖추어 상부로 개방된 대략 'ㄷ' 단면상의 수지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is
이때 상기 수직판(112)의 상부단은 상기 상부덮개와 접하여 이들 사이에 상기 내부체(120)를 내부배치할 수 있는 공동부를 형성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이에 따라, 상기 하부덮개(110)는 상기 수평판(111)을 관통하여 배치부의 바닥면에 하부단이 일정깊이 삽입고정되는 앵커볼트(117)에 의해서 상기 배치부의 바닥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상기 내부체(120)는 상기 하부덮개(110)의 수평판 상부면에 올려져 안착되고,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구된 제1,2터널(S1,S2)을 각각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수직리브(123)를 구비하는 것이다. The
이러한 내부체(120)는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수평한 바닥부(121)를 갖추고, 상기 바닥부의 양측테두리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2터널(S1,S2)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리브(123)와 접하여 지지되는 곡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내부체(120)의 대략 몸체 중앙을 관통하는 제1터널(S1)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135)가 배치되고, 상기 제1터널(S1)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제2터널(S2)에는 상기 광섬유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배치되거나 다른 광섬유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이때, 상기 내부체(120)의 바닥부 양측테두리는 상기 수평판(111)과 수직판(112)이 서로 만나는 내측 모서리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또한, 상기 하부덮개(110)의 상부면은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내부체(120)의 하부면과 접착고정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내부체(120)의 바닥부(121)에는 반사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광섬유(135)를 통과하는 빛은 상기 바닥부의 반사층에 굴절되어 상기 상부덮개(140)를 통하여 외부로 조사되도록 상부로 반사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상기 배치부(2a)의 바닥면에 위치고정된 하부덮개(110)의 상부에는 제1터널(S1)을 따라 일정길이의 광섬유(135)가 삽입배치된 내부체(120)가 올려져 배치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상기 연결체(130)는 상기 하부덮개(110)의 바닥면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는 내부체(120)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내부체(120)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체(130)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체의 제1터널에 배치되는 광섬유의 일단에 빛을 제공하여 상기 광섬유(35)를 따라 빛이 통과하면서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원(1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연결체(130)는 상기 내부체와 동일한 단면상을 갖추어 개구된 양단에 연결체가 각각 연결조립되는 연결부재이다. The
이러한 연결체(130)는 상기 하부덮개(110)의 상부면과 나란한 바닥판(131)을 갖추고, 상기 바닥판의 양측테두리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체(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곡면판(132)을 갖추는 한편, 상기 조명원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과 곡면판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원에 인접하도록 광섬유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공(133a)을 관통형성한 좌우한쌍의 내부격벽(133)을 포함한다. This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내부체(120)는 양측으로 개구된 연결체(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되고, 상기 내부체(120)의 제1터널에 배치되는 광섬유(135)의 일단은 상기 내부격벽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원(134)과 대응하도록 상기 관통공(133a)을 통하여 연결체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관통공에 고정되는 것이다. A pair of
이때, 상기 내부체(120)가 연결체의 단부 개구내로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내부체의 단부가 상기 내부격벽에 접하여 정지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 또는 연결체의 내부면사이에는 이들간의 결합후 마찰력에 의하여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엠보싱부를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depth at which the
또한, 상기 한쌍의 내부격벽(133)에 의해서 형성되는 연결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조명원(134)은 상기 연결체(130)의 바닥면인 바닥판(131)에 관통형성된 개구부에 고정설치되는 기판을 갖추고, 상기 기판상에 탑재되어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조명원에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은 상기 내부체의 제2터널을 통하여 배선안내되어 외부로 인출된 다음 횡단보도 근방에 설치되는 신호등(3)의 전원부나 태양광발전기(150)와 제어부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wer cable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lighting source is wired through the second tunnel of the inner body and pulled out to the outside, and then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이에 따라, 주야간이나 횡단보도의 주변밝기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조명원(134)에 전원을 공급하여 빛을 발생시키면, 상기 조명원에서 발생하는 빛에 의해서 상기 광섬유에 전달되면서 광섬유를 통과하는 빛이 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체의 곡선부(122)를 투과하여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light is generated by supplying power to the
상기 상부덮개(140)는 상기 내부체(120)와 서로 인접하는 내부체들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체(130)의 상부를 덮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체내에 배치된 광섬유(135)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것이다. The
상기 상부덮개(140)는 상기 내부체와 마주하는 하부면에 위로로 오목한 단면상을 갖추어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곡면부(142)를 함몰형성한 판재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체결부재(147)에 의해서 상기 하부덮개(110)의 수직판(112)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The
이때, 상기 곡면부(142)는 도로 포장면(2)을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서 눌려지는 상부덮개(140)를 통하여 내부체에 외력이 전달되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체(120)의 외면을 형성하는 곡선부(122)와의 사이에 일정크기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상기 배치부(2a)에 고정되는 하부덮개(110)와 상기 내부체(120)를 덮어 보호하는 상부덮개(140)사이에는 상기 내부체가 배치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Between the
이에 따라, 상기 조명원(134)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내부체(120)의 내부에 배치된 광섬유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광섬유를 통과하는 빛은 상기 내부체(120)의 곡선부(122)와 상기 상부덮개(140)를 통하여 외부로 투과하기 때문에 상기 횡단보도의 주변을 밝게 비추어 보행자 및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또한, 상기 상,하부덮개(110,140)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광섬유(135)를 갖는 내부체(120)와 조명원을 갖는 연결체(130)를 내장하여 설치하게 됨으로써 외부환경으로부터 광섬유 및 조명원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광섬유 및 조명원을 교체하는 작업은 상기 하부덮개와 결합된 상부덮개를 분리한 다음, 상기 내부체와 연결체를 외부로 인출하여 수행하게 됨으로써 교체 및 수리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replacing the optical fiber and the light source is performed by removing the upper cover coupled to the lower cover and then withdrawing the inner body and the connection body to the outside, so that the replacement and repair work can be performed simply and quickly. there i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2 : 도로포장면
2a : 배치부
110 : 하부덮개
111 : 바닥판
112 : 수직판
120 : 내부체
121 : 바닥부
122 : 곡선부
123 : 수직리브
130 : 연결체
131 : 바닥판
132 : 곡면판
133 : 내부격벽
134 : 조명원
140 : 상부덮개
150 : 태양광발전2: road pavement
2a: placement unit
110: lower cover
111: bottom plate
112: vertical plate
120: inner body
121: bottom
122: curved portion
123: vertical rib
130: connector
131: bottom plate
132: curved plate
133: internal bulkhead
134: lighting source
140: upper cover
150: solar power generation
Claims (6)
상기 횡단보도를 따라 상기 도로 포장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덮개 ;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구된 제1,2터널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수직리브를 구비하는 내부체 ;
상기 내부체의 제1터널에 배치되는 광섬유의 일단에 빛을 제공하도록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는 조명원을 갖추어 상기 내부체와 인접하는 다른 내부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체 및
상기 내부체와 연결체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면서 상기 광섬유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상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면과 나란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테두리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체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곡면판 및 상기 조명원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과 곡면판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공을 형성한 좌우한쌍의 내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In the lighting device for identifying a crosswalk crossing the road pavement,
a lower cover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an arrangement part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road pavement along the crosswalk;
an inner body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ribs to form first and second tunnels having both end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body having a lighting source for generating light when power is applied to provide light to one end of an optical fiber disposed in the first tunnel of the inner body and connecting the inner body with another adjacent inner body, and
And an upper cover for diffusing light generated from the optical fiber to the outside while covering and protecting the upper part of the inner body and the connecting body,
The connection body includes a bottom plat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a curved plate extending in a curved shape from both side edges of the bottom plate to form an opening through which an end of the inner body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the lighting sourc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inner partition walls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curved surface plate to form an inner space, and having through holes into which ends of the optical fibers are inserted and fixed.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배치부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앵커볼트로서 고정설치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측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여 상기 상부덮개와 접하는 좌우한쌍의 수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cover includes a horizontal plate fixedly installed as a plurality of anchor bol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rranging unit,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plates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cover. Pedestrian crossing lighting device.
상기 내부체는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수평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테두리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2터널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리브와 접하여 지지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body has a horizontal bottom portion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in a curved shape from both side edges of the bottom portion, and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tunnels. A crosswalk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curved portion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rib.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내부체와 마주하는 하부면에 위로 오목한 단면상을 갖추어 상기 내부체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ver has a concave cross-section on a lower surface facing the inner body and includes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상기 곡면부는 상기 내부체의 외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조명장치.According to claim 5,
Crosswalk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678A KR102515370B1 (en) | 2016-04-08 | 2016-04-08 | Illuminating apparatus identifying the crosswal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678A KR102515370B1 (en) | 2016-04-08 | 2016-04-08 | Illuminating apparatus identifying the crosswal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5887A KR20170115887A (en) | 2017-10-18 |
KR102515370B1 true KR102515370B1 (en) | 2023-03-29 |
Family
ID=6029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3678A KR102515370B1 (en) | 2016-04-08 | 2016-04-08 | Illuminating apparatus identifying the crosswal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537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10788A (en) | 2023-07-13 | 2025-01-21 | 장하순 | Crosswalk safety ramp and control method of crosswalk safety ram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11399A (en) * | 2019-07-10 | 2019-09-06 | 山东星志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induction formula traffic signal indicator |
KR20240043844A (en) | 2022-09-27 | 2024-04-04 | 허법범 | Floor type traffic light for crosswal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6788Y1 (en) * | 2003-06-14 | 2003-09-17 | 한상석 | Crossing night light indicator device |
KR100890279B1 (en) * | 2008-09-01 | 2009-03-24 |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 Lane display device using LE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13273A (en) * | 1997-01-30 | 1998-08-11 | Gesuido Shin Gijutsu Suishin Kiko | Buried pipeline and support member for sheath pipe |
-
2016
- 2016-04-08 KR KR1020160043678A patent/KR10251537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6788Y1 (en) * | 2003-06-14 | 2003-09-17 | 한상석 | Crossing night light indicator device |
KR100890279B1 (en) * | 2008-09-01 | 2009-03-24 |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 Lane display device using LE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10788A (en) | 2023-07-13 | 2025-01-21 | 장하순 | Crosswalk safety ramp and control method of crosswalk safety ram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5887A (en) | 2017-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3313B1 (en) | Omnidirectional projection reclamation type solar road stud | |
KR101986162B1 (en) | Led road stud for crosswalk | |
KR102304484B1 (en) | Led floor traffic lights for crosswalk improving durability and visibility and protecting dazzling | |
KR20150051644A (en) | Led emitting cross walking | |
KR102515370B1 (en) | Illuminating apparatus identifying the crosswalk | |
KR100694289B1 (en) | Light emitting device of pedestrian crossing | |
KR100806209B1 (en) | Luminous Speed Bump | |
KR101255678B1 (en) | Led lighting equipment for road name and road sign board | |
KR100934621B1 (en) | Luminous crosswal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606108B1 (en) | Floor signal light using optical fiber | |
KR101906380B1 (en) | Optical fiber signboard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visibility and manageability | |
KR20240043844A (en) | Floor type traffic light for crosswalk | |
KR101904994B1 (en) | Crosswalk light device | |
KR200435080Y1 (en) | Road curbstone display | |
KR101337335B1 (en) | Bollard | |
KR101158243B1 (en) | 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 |
KR101885882B1 (en) | Visibility Device for Median Road | |
KR100995337B1 (en) | Central separator with vehicle guide | |
KR101553557B1 (en) | a safty lamp of crosswalk for driver recognition | |
KR101002601B1 (en) | LED sidewalk safety device | |
JP2006265989A (en) | Traffic safety system | |
KR101432755B1 (en) | Using the median combined solar LED pedestrian safety fence | |
KR200390883Y1 (en) | device for floor advertising | |
KR20080094294A (en) | Lighting device at the entrance of the tunnel | |
KR20130045959A (en) | A lighting apparatus for a stop-signal of a ro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3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3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