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517B1 - 연성 웰포인트를 적용한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 - Google Patents

연성 웰포인트를 적용한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517B1
KR102496517B1 KR1020220002132A KR20220002132A KR102496517B1 KR 102496517 B1 KR102496517 B1 KR 102496517B1 KR 1020220002132 A KR1020220002132 A KR 1020220002132A KR 20220002132 A KR20220002132 A KR 20220002132A KR 102496517 B1 KR102496517 B1 KR 10249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erforated
permeable layer
layer
consoli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재
김병일
홍강한
김진해
Original Assignee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filed Critical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Priority to KR102022000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53Production methods using suction or vacuum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와 같은 투수층(10);
상기 투수층(10) 상부에 위치하는 압밀을 필요로 하는 점토와 같은 대상층(20);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된 유공관(100);
상기 대상층(20)에 매립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유공관(100) 상단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무공관(200);
상기 무공관(200)의 상단과 양수관으로 연결된 양수펌프(10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공관(100)이 상기 투수층(10)의 물을 흡수하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수두차에 의한 하향 침투력이 발생하고 침투력이 유효 압밀응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대상층(20)의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모래와 같은 투수층(10);
상기 투수층(10) 상부에 위치하는 압밀을 필요로 하는 점토와 같은 대상층(20);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된 유공관(100);
상기 대상층(20)에 매립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유공관(100) 상단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무공관(200);
상기 대상층(20)에서 상기 무공관(200)을 둘러싼 유공관(100`);
상기 무공관(200)의 상단과 양수관으로 연결된 양수펌프(10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은 2중관으로 제작되고,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 상호간에는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인 수로(300)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펌프(1000)에 의해 상기 유공관(100)이 상기 투수층(10)의 물을 흡수하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수두차에 의한 하향 침투력이 발생하고 침투력이 유효 압밀응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대상층(20)의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유공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300)를 통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대상층(20)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고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수로(300)의 상단과 집수관으로 연결된 진공펌프(2000);
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공펌프(2000)에 의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유공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300)를 통해 지상으로 상승하므로 상기 대상층(20)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고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성 웰포인트를 적용한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Individual Vacuum Seepage Consolidation Method Structure with Flexible Well Point}
본 발명은 무공관, 유공관 및 2중관 등을 적절히 지중에 매설하고 양수펌프와 진공펌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대상층의 물을 제거하여 압밀침하를 유도하고 지반을 개량하는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에 관한 것이다.
국내 항로 중심 또는 항만배후단지 개발 등을 위해 준설토 투기장이 건설되어 조성된 준설매립 지반 등 연약지반에서의 지반개량 사업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국내에서는 침하촉진공법으로 재하성토공법, 연직배수공법, 모래다짐말뚝공법 및 개별진공압밀공법 등이 적용되어 성공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이중 개별진공압밀공법은 국내 토질에 적합한 기술 등이 개발되어 최근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그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개별진공압밀공법은 개량 대상층 중간 또는 하부에 투수층이 있는 경우 누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상세 지반조사를 통해 투수층에서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다만, 규모가 매우 큰 경우 모든 배수재에서의 기밀 유지가 어려운 경우 일부 누기가 발생되는 배수재에서는 진공을 가압하지 않는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
개량 대상층 중간 또는 하부에 투수층(피압 대수층)이 있는 경우, 이를 적극 활용하는 공법이 딥웰(Deep Well)을 이용한 침투압밀공법이다.
국내 부산항 신항에서도 연직배수공법(PVD)과 Deep Well을 이용한 침투압밀공법을 적용하고자 한 바 있으나,
침투압밀공법의 공학적 효과가 연구된 바 없었고, Deep Well 설치비 등의 경제성으로 적용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기술을 개발이 필요하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4308호 '연약지반가열 압밀공법', 2013년 10월 25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411호 ' 진공압밀공법의 기수 분리 배출 방법 및 그 장치', 2013년 07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무공관, 유공관 및 2중관 등을 적절히 지중에 매설하고 양수펌프와 진공펌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대상층의 물을 제거하여 압밀침하를 유도하고 지반을 개량하는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래와 같은 투수층(10);
상기 투수층(10) 상부에 위치하는 압밀을 필요로 하는 점토와 같은 대상층(20);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된 유공관(100);
상기 대상층(20)에 매립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유공관(100) 상단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무공관(200);
상기 무공관(200)의 상단과 양수관으로 연결된 양수펌프(10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공관(100)이 상기 투수층(10)의 물을 흡수하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수두차에 의한 하향 침투력이 발생하고 침투력이 유효 압밀응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대상층(20)의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모래와 같은 투수층(10);
상기 투수층(10) 상부에 위치하는 압밀을 필요로 하는 점토와 같은 대상층(20);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된 유공관(100);
상기 대상층(20)에 매립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유공관(100) 상단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무공관(200);
상기 대상층(20)에서 상기 무공관(200)을 둘러싼 유공관(100`);
상기 무공관(200)의 상단과 양수관으로 연결된 양수펌프(10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은 2중관으로 제작되고,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 상호간에는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인 수로(300)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펌프(1000)에 의해 상기 유공관(100)이 상기 투수층(10)의 물을 흡수하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수두차에 의한 하향 침투력이 발생하고 침투력이 유효 압밀응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대상층(20)의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유공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300)를 통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대상층(20)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고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수로(300)의 상단과 집수관으로 연결된 진공펌프(2000);
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공펌프(2000)에 의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유공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300)를 통해 지상으로 상승하므로 상기 대상층(20)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고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공관, 유공관 및 2중관 등을 적절히 지중에 매설하고 양수펌프와 진공펌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대상층의 물을 제거하여 압밀침하를 유도하고 지반을 개량하는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공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2중관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의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기존의 개별진공압밀공법과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의 개념도이다.
도 7은 기존 웰포인트(well-point)공법의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웰포인트(well-point)공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배치계획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투수층이 최상층일 경우의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투수층이 중간층일 경우의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투수층이 최하층일 경우의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의 실시예이다.
이하, 도면에서 준설점토, 점토는 물이 포함되어 압밀이 요구되는 대상층(20)을 의미하며, 모래(피압 대수층)는 물이 투과되는 투수층(10)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는 크게 단독형, 분리형, 통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하에서 구분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독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의 실시예는,
모래와 같은 투수층(10);
상기 투수층(10) 상부에 위치하는 압밀을 필요로 하는 점토와 같은 대상층(20);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된 유공관(100);
상기 대상층(20)에 매립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유공관(100) 상단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무공관(200);
상기 무공관(200)의 상단과 양수관으로 연결된 양수펌프(10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공관(100)이 상기 투수층(10)의 물을 흡수하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수두차에 의한 하향 침투력이 발생하고 침투력이 유효 압밀응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대상층(20)의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 비흡수관과 흡수관은 각각 무공관(200)과 유공관(100)을 의미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공관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2중관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통상적인 유공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내부로 물이 관통하여 흡수되는 원통형 코어를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2중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공관(200)을 유공관(100`)이 감싼 형상이며,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 상호간에는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인 수로(30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로(300)로 인입된 물은 중력 등에 의하여 하강하거나 펌핑압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의 실시예는 2중관을 사용하여 개량 대상층과 양수층(투수층)의 물을 분리하여 배출 가능한 소위 '분리형'으로 지칭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리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는,
모래와 같은 투수층(10);
상기 투수층(10) 상부에 위치하는 압밀을 필요로 하는 점토와 같은 대상층(20);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된 유공관(100);
상기 대상층(20)에 매립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유공관(100) 상단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무공관(200);
상기 대상층(20)에서 상기 무공관(200)을 둘러싼 유공관(100`);
상기 무공관(200)의 상단과 양수관으로 연결된 양수펌프(10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은 2중관으로 제작되고,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 상호간에는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인 수로(300)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펌프(1000)에 의해 상기 유공관(100)이 상기 투수층(10)의 물을 흡수하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수두차에 의한 하향 침투력이 발생하고 침투력이 유효 압밀응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대상층(20)의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은 상기 투수층(10)의 상부에 일부 매립되고, 상기 유공관(100)의 상단은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과 이격되어 전체가 상기 투수층에 매립되므로, 상기 유공관(100)의 상단과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 사이에 상기 무공관(200)이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유공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300)를 통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대상층(20)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고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의 실시예는 2중관을 사용하여 개별진공압밀공법과 병행이 가능하므로 소위 '통합형'으로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수분리 탱크를 기존 지하수위 하부에 설치하고 피압 대수층에서 진공으로 양수를 하는 경우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사이펀 방식이 되므로 연속 가동을 안해도 될 수 있다. 그리고 반대로 물의 공급이 안된다면 피압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통합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는,
도 4의 실시예와 유사하되,
상기 수로(300)의 상단과 집수관으로 연결된 진공펌프(2000);
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공펌프(2000)에 의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유공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300)를 통해 지상으로 상승하므로 상기 대상층(20)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고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은 상기 투수층(10)의 상단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매립되고, 상기 유공관(100)의 상단은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과 이격되어 전체가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되므로, 상기 유공관(100)의 상단과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 사이에 상기 무공관(200)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투수층 누기가 발생하는 배수재인 유공관(100`)과 경제성이 우수한 연성 원통형 배수재인 무공관(200)을 이용한 연성 연직배수재인 2중관을 진공양수정(Vacuum Well)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침투압밀공법이다.
개량 대상층에 타설된 연직배수재인 2중관 내부에서의 수압은 부(-)의 과잉간극수압으로써 일반 개별진공압밀공법에서 얻을 수 있는 이론적 최대 과잉간극수압(100kPa)보다 큰 수압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발생된 과잉간극수압은 하향 침투력으로 작용하는데 침투력이 유효 압밀응력으로 변환되어 압밀 침하가 가능하다.
도 6은 기존의 개별진공압밀공법과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공법의 개념도이고,
도 7은 기존 웰포인트(well-point)공법의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웰포인트(well-point)공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개별진공압밀공법과 유사하게 상용 연직배수재와 연성 원통형 배수재(연성 2중관 연직배수재)를 사용하여 투수층(대수층, 피압대수층)에서의 진공 양수를 통해 개량 대상층(연약지반)에서의 침투압밀이 발생하도록 유도한 공법이다.
두 공법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기존 개별진공압밀공법은 대상층에 진공압을 재하하지만,
본 발명의 개별진공 침투압밀공법은 투수층에 양수펌프를 이용하여 진공압을 재하한다는 것이다. Deep Well을 이용한 침투압밀공법과 달리 대형 강성관을 투수층까지 천공, 매설하여 지중에 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연성관을 활용하여 대변형 압밀이 발생하여도 피압층에서의 양수가 가능하며, 일반 연직배수재 시공 장비를 그대로 활용하여 수위 저하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기존 웰포인트(well-point)공법은 강성관을 사용하여 대변형 압밀이 발생하면 피압층에서의 양수가 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투수층에서의 진공 양수를 통해 투수층에 작용하는 수두를 감소시킴으로써 외부 수위(개량 대상층)와의 수두차에 해당하는 침투압만큼을 개량 대상층의 작용 하중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국내 대심도에서 매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Deep Well을 이용한 침투압밀공법과 달리 대형 강성관(무공관)을 투수층까지 천공, 매설하여 지중에 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셋째, 연성관을 활용하여 대변형 압밀이 발생하여도 피압층에서의 양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넷째, 기존 침투압밀공법과 달리 일반 연직배수재 시공 장비를 그대로 활용이 가능하다.
다섯째, 개별진공압밀공법과 병행하는 경우 투수층에서 발생하는 누기 문제로 인한 배수재 차단을 방지하여 침하속도가 빠르다.
여섯째, 강성관을 사용하지 않으며, 연직배수재 시공 장비를 그대로 활용하므로 경제성이 우수하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배치계획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개별진공압밀공법과 병행하여 적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소위 분리형으로써, 부지 전체 외곽부에 적용할 수 있고,
도 5의 실시예는 소위 통합형으로써, 내부 개별진공압밀공법 구역과 병행 시 적용이 가능하다.
즉 침투압밀만 진행하는 경우에는 도 4의 분리형이 적용 가능하며, 개별진공과 병행하는 경우에는 도 5의 통합형이 적용 가능하다.
도 9(a)는 시공 시 대수층에 진공양수정(Vacuum Well)이 위치하는 경우에 개발 시스템을 별도 설치하여 기존 개별진공압밀공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며,
도 9(b)는 시공 시 대수층에 흡수관을 별도 설치하여 기존 개별진공압밀공법의 효과와 더불어 추가 압밀개량효과를 획득하는 것이다.
도 10은 투수층이 최상층일 경우의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층이 최상층일 경우 최상층은 피압대수층이 아닌 비피압대수층으로 수위저하에 의한 개량효과가 증진된다.
도 11은 투수층이 중간층일 경우의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층이 중간에 있을 경우에 개별진공 침투압밀공법을 적용할 경우, 대수층이 개량 대상층 중간에 위치하므로,
피압 대수층인 경우 침하 촉진 및 발생 침하량 증대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도 12는 투수층이 최하층일 경우의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층이 하단에 있을 경우에 개별진공 침투압밀공법을 적용할 경우, 대수층이 개량 대상층 하단에 위치하므로,
피압 대수층인 경우 침하 촉진 및 발생 침하량 증대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투수층
20; 대상층
100, 100`: 유공관
200: 무공관
300: 수로
1000: 양수펌프
2000: 진공펌프

Claims (4)

  1. 삭제
  2. 모래와 같은 투수층(10);
    상기 투수층(10) 상부에 위치하는 압밀을 필요로 하는 점토와 같은 대상층(20);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된 유공관(100);
    상기 대상층(20)에 매립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유공관(100) 상단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무공관(200);
    상기 대상층(20)에서 상기 무공관(200)을 둘러싼 유공관(100`);
    상기 무공관(200)의 상단과 양수관으로 연결된 양수펌프(10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은 2중관으로 제작되고,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 상호간에는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인 수로(300)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펌프(1000)에 의해 상기 유공관(100)이 상기 투수층(10)의 물을 흡수하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수두차에 의한 하향 침투력이 발생하고 침투력이 유효 압밀응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대상층(20)의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은 상기 투수층(10)의 상부에 일부 매립되고,
    상기 유공관(100)의 상단은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과 이격되어 전체가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되므로,
    상기 유공관(100)의 상단과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 사이에 상기 무공관(200)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유공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300)를 통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대상층(20)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고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
  3. 삭제
  4. 모래와 같은 투수층(10);
    상기 투수층(10) 상부에 위치하는 압밀을 필요로 하는 점토와 같은 대상층(20);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된 유공관(100);
    상기 대상층(20)에 매립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유공관(100) 상단과 연결되고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무공관(200);
    상기 대상층(20)에서 상기 무공관(200)을 둘러싼 유공관(100`);
    상기 무공관(200)의 상단과 양수관으로 연결된 양수펌프(10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은 2중관으로 제작되고,
    상기 무공관(200)과 상기 유공관(100`) 상호간에는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인 수로(300)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펌프(1000)에 의해 상기 유공관(100)이 상기 투수층(10)의 물을 흡수하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투수층(10)으로 하강하면서 수두차에 의한 하향 침투력이 발생하고 침투력이 유효 압밀응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대상층(20)의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은 상기 투수층(10)의 상단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매립되고,
    상기 유공관(100)의 상단은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과 이격되어 전체가 상기 투수층(10)에 매립되므로,
    상기 유공관(100)의 상단과 상기 유공관(100`)의 하단 사이에 상기 무공관(200)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로(300)의 상단과 집수관으로 연결된 진공펌프(2000);
    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공펌프(2000)에 의해 상기 대상층(20)의 물이 상기 유공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300)를 통해 지상으로 상승하므로 상기 대상층(20)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고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


KR1020220002132A 2022-01-06 2022-01-06 연성 웰포인트를 적용한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 KR10249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32A KR102496517B1 (ko) 2022-01-06 2022-01-06 연성 웰포인트를 적용한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32A KR102496517B1 (ko) 2022-01-06 2022-01-06 연성 웰포인트를 적용한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517B1 true KR102496517B1 (ko) 2023-02-06

Family

ID=8522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132A KR102496517B1 (ko) 2022-01-06 2022-01-06 연성 웰포인트를 적용한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5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411B1 (ko) 2012-04-27 2013-07-26 주식회사 동아지질 진공압밀공법의 기수 분리 배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1324308B1 (ko) 2011-11-15 2013-11-01 한혜영 연약지반가열 압밀공법
KR20170089063A (ko) * 2016-01-25 2017-08-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반변형 억제 시스템 및 억제 방법
KR20170100798A (ko) * 2016-02-26 2017-09-05 박동연 지하수 강제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08B1 (ko) 2011-11-15 2013-11-01 한혜영 연약지반가열 압밀공법
KR101290411B1 (ko) 2012-04-27 2013-07-26 주식회사 동아지질 진공압밀공법의 기수 분리 배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89063A (ko) * 2016-01-25 2017-08-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반변형 억제 시스템 및 억제 방법
KR20170100798A (ko) * 2016-02-26 2017-09-05 박동연 지하수 강제 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8468B (zh) 一种透水桩联合真空预压地基处理方法
WO2007129693A1 (ja) 地盤の改良工法
CN101130952A (zh) 一种无密封快速真空预压强夯法
KR101073695B1 (ko) 연약지반 성토시 강제 배수 및 동시 보강을 위한 연약지반 배수장치
JP6158555B2 (ja) 地盤の改良工法
CN109667261A (zh) 地基加固装置及方法
JP5213216B2 (ja) 地盤の改良工法
CN111206564A (zh) 真空排水联合水载预压固结地基施工方法
JP4499001B2 (ja) 盛土の補強工法および盛土
JP4391664B2 (ja) 軟弱地盤の地盤改良構造及び工法
JP2007303270A5 (ko)
CN108797759B (zh) 沉管下方悬空软基水下抛石压浆加固方法
JP4114944B2 (ja) 地盤の改良工法
CN112627212B (zh) 一种临水围堰内管井降水法干挖施工方法
CN114108597A (zh) 一种真空引流的注浆方法
CN114197501A (zh) 一种用于大型滑坡治理的加固体系及其施工方法
JP5780855B2 (ja) 地下水揚水装置
KR102496517B1 (ko) 연성 웰포인트를 적용한 개별진공 침투압밀 공법구조
CN105804045A (zh) 滤井真空预压加固深厚软土地基的设备及方法
CN105926579B (zh) 一种加压式套管冲击排水固结系统及方法
KR100719444B1 (ko) 지하 수위 저하 공법과 이에 적합한 웰 포인트 시스템
JP5519722B2 (ja) 地盤の改良工法
KR20160142009A (ko) 지하 대수층 내 하부 지층의 지하수위 조정을 이용한 지반압밀 발생 및 압밀침하량 조정공법
CN109944263B (zh) 双真空疏干降水系统及方法
CN109205984B (zh) 一种高含水工程污泥快速资源化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