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147B1 -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3147B1 KR102493147B1 KR1020207012863A KR20207012863A KR102493147B1 KR 102493147 B1 KR102493147 B1 KR 102493147B1 KR 1020207012863 A KR1020207012863 A KR 1020207012863A KR 20207012863 A KR20207012863 A KR 20207012863A KR 102493147 B1 KR102493147 B1 KR 102493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e dust
- information
- dust concentration
- control module
- measur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871—Communications between instruments or with remot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46—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gas, e.g. smok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2015/0693—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e.g. by integrated nephelometr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871—Communications between instruments or with remote terminals
- G01N2035/00881—Communications between instruments or with remote terminals network configu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 상기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측정되는 장소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감지모듈,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상기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실외는 물론, 집이나 사무실, 불특정 다수 이용자가 사용하게 되는 다중시설과 같은 실내에서는 미세먼지, 유해가스, 오염물질 등이 부유하면서 존재하게 되고, 이들 유해물질은 신체에 치명적인 호흡기 질환, 전염성 질환 등을 야기하는 공기 오염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오염물질로는 지름 10㎛ 이하인 미세먼지, 지름 2.5㎛ 이하인 초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일산화탄소, 포름알데이드,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오존,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 및 오염물질이 있다.
특히 질산염, 암모늄, 황산염 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 금속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 먼지는 세계보건기구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디젤에서 배출하는 블랙 카본과 관련된 인체에 매우 유해한 오염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될 경우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 안구질환 등의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으며, 지름 2.5㎛ 이하인 초 미세먼지는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기 쉬워 기관지 및 폐에 붙어 각종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환경부는 1995년부터 지름 10㎛ 이하인 미세먼지(PM 10)를 새로운 대기오염물질로 규제하고 있고, 2015년부터 지름 2.5㎛ 이하인 초 미세먼지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시설에 대하여도 2003년부터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 질 관리법'이 제정되어 거듭 실내 공기 질을 청정한 공기 질로 유지하도록 하는 규제 범위 및 적용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실내의 공기 질을 개선하는 장치로는, 먼지 또는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공기 질을 개선하는 공기청정기, 온도 조절을 위한 에어컨, 습도 조절을 위한 제습기(가습기)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실내 가전장치는 각각 사용자가 개별 가전에서만 미세먼지, 온도, 습도 등의 상태 측정값을 확인하여 이를 개별적으로 작동 또는 정지하여 공기 질을 조절하게 되어, 공기 질을 구성하는 미세먼지, 온도, 습도 등이 조합된 상태에서의 공기 질을 육안으로 쉽게 인식하여 판단할 수 없게 되어 실내 공기가 인체에 해로운 상태에서도 환기 등의 공기 질 조절이 제때에 수행되지 못하며, 반대로 공기 질 조절이 필요 없는 양호한 상태에서도 공기 질 조절장치를 그대로 작동하게 하여 전력 등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종래의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단순히 미세먼지 농도만 측정할 뿐,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활용하는 기술이 없으며, 사용자에게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정보를 지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을 경유하는 청정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전자기기를 제어하여서, 에너지를 절약하고,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 상기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측정되는 장소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감지모듈,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상기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서, 이들 데이터를 전자기기에 제공하므로, 전자기기를 미세먼지 농도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둘째,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세먼지 정보를 지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지도정보를 통해 미세먼지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셋째,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을 경유하는 청정 경로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운전 및 산책 중에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넷째, 복수 개의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다양한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고, 다양한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기기의 제어에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다섯째, 각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미세먼지에 노출된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바탕으로, 전자기기가 위치한 실내로 사용자가 들어오는 경우, 고농도 미세먼지에 노출된 사용자에게 공기 청정기에서 토출된 공기의 우선권을 부여하여서, 효율적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공기 청정기기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공기 청정기기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기기와 복수의 전자기기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를 포함한다. 물론, 전자기기는 다른 전자기기 또는/및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와 무선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전자기기는 통상적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는 텔레비전(710), 에어컨(720), 오디오(730), 냉장고(760), 조명기기(740), 공기 청정기(750), 이동 단말기(300) 및 조리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자기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300)는 휴대용기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이동 단말기(300)는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또는/및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이동 단말기(300) 또는/및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미세먼지 농도와 위치정보를 수집하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통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서버(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전자기기 또는/및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측정되는 장소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감지모듈(213),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215),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90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215)은 전자기기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모듈(215)은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모듈(900)에 전달하고, 제어모듈(9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제어대산 전자기기에 전달한다. 또한. 통신모듈(215)은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감지모듈(213)에서 수집된 위치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한다.
통신모듈(215)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는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제어모듈(900)에 제공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 미세먼지 측정장치(200)가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에서 수집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는 광을 출력하여 광의 밝기가 저하되는 정도로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광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모듈(213)은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측정되는 장소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모듈(900)에 제공한다. 즉, 위치감지모듈(213)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위치감지모듈(213)은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때,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위치정보를 함께 수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먼지 측정장치(200)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감지모듈(213)을 포함하는 구성이자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위치감지모듈(213)이 생략된 구조도 가능하다.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서 위치감지모듈(213)이 생략된 경우,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와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치감지모듈(213)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GPS모듈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항법 위성으로부터 시간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위성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한다. 계산된 거리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GPS모듈은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얻은 위치정보에, 지도 정합(Map matching), 추측 항법(Dead reckoning)등의 기술을 더 적용하여 산출된 위치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위치감지모듈(213)이 이동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GPS모듈 이외에도, Cell tower signals, 무선 인터넷 신호, 블루투스 센서 등 다양한 기술을 함께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Hybrid Positioning System 이라고 한다.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어느 일 위치에 고정되거나, 휴대용으로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 등의 전원부를 가질 수도 있고, 크기를 줄이기 위해, 내부에 별도의 전원부를 가지기 않고, 외부의 전원에 케이블 등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어모듈(900)은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미세먼지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함은 물론, 전자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900)은 상세한 제어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모듈(900)이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모듈(900)은 이동 단말기(300)에 구비되거나, 서버(10)에 구비되거나, 기타 다른 전자기기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전자기기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30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용 기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이동 단말기(300)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 단말기(300)는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3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340)와, 다른 전자기기(700) 또는/및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들과 통신되는 통신모듈(330)과,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360), 다른 전자기기, 이동 단말기(300) 및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10) 및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말기 메모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300)에 제어부(310)가 구비되고,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제어모듈(900)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후술 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300)에 제어모듈(900)이 구비되고,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는 제어모듈(900)에 생략되며,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모듈(900)에 제어신호로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300)는 전원부(280)에서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300)의 단말기 메모리(280)에 저장된 관리 어플리케이션(370)을 실행하여서 다른 전자기기(700) 또는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에, 관리 어플리케이션(370)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이를 실행하여서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또는 전자기기(7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제어모듈(9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시각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40)는 다른 전자기기 또는/및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다른 전자기기 또는/및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에는 다른 전자기기 또는/및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가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에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및 지도정보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340)에는 관리 어플리케이션(370)에 의해 전자기기(700)의 정보와 전자기기의 제어정보를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화면이 구현되고, 터치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리모트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리모트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310) 또는 제어모듈(900)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36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다. 사용자의 제어명령은 제어부(310) 또는 제어모듈(900)에서 제어신호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360)는 디스플레이부(340)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의 통신모듈(330)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또는/및 다른 전자기기(700)의 통신모듈(330)과 통신을 할 수 있다.
단말기 메모리(28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메모리(28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메모리(28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제어부(310) 또는 제어모듈(900)의 동작 중, 제어부(310) 또는 제어모듈(90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말기 메모리(280)에는 제어부(310) 또는 제어모듈(900)과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메모리(280)는 제어부(310) 또는 제어모듈(900)이 전자기기 또는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단말기 메모리(280)에는 전자기기를 동작시키는 방식에 관한 동작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메모리(280)에는 기존에 입력모듈(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했던 방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메모리(280)에는 지도정보, 지도정보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위치정보 및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매칭(Matching)하기 위한 매칭정보,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색상변환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잇다.
이하,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모듈(900)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 및 위치감지모듈(213)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와 위치감지모듈(213)은 30분에서 2시간 단위로, 위치정보와 위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측정한다.
제어모듈(900)은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와 위치감지모듈(213)에서 제공받은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같은 시간에 측정된 위치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커플링된 데이터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서버(1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 제어모듈(900)은 전자기기 및 이동 단말기(300)에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300)의 단말기 메모리(280)에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전기기기에 전송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900)은 전기기기에 전송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TV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오디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기기의 제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모듈(900)은 이동 단말기(300)가 지도 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전자기기(상세히는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40)에 미세먼지 지도를 출력하도록 미세먼지 지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미세먼지 지도 신호를 전송받은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미세먼지 지도를 출력한다.
제어모듈(900)은 디스플레이부(340)에 지도 정보에 미세먼지 농도 정보 매칭한 미세먼지 지도에 각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텍스트 또는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40)에는, 미세먼지 지도 창(342)과 미세먼지 지도 창에 표시된 미세먼지 농도에 대응되는 색상을 비교할 수 있는 비교창(344)이 활성화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340)는 미세먼지 농도 전보를 바탕으로 공기질의 상태를 '좋음', '보통', '조금 나쁨', '나쁨', '매우 나쁨'으로 5단계로 나누어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900)은, 지도 정보에서 도로와 도로가 아닌 지역을 구분하고, 도로에 해당하는 영역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텍스트 또는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340)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세먼지 정보를 지도정보와 함께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지도정보를 통해 미세먼지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서 제어모듈(900)이 없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31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하우징과,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 위치감지모듈(213), 통신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내부에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 위치감지모듈(213), 통신모듈(215)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로어 하우징(224), 어퍼 하우징(221), 미들 하우징(225)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224)은 일방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로어 하우징(224)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된다. 로어 하우징(224)의 원주면에서는 복수의 레그(228)들이 설치된다.
어퍼 하우징(221)은 로어 하우징(224)의 개구를 커버한다. 어퍼 하우징(221)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 유동홀(222)이 형성된다.
미들 하우징(225)은 로어 하우징(224)에 결합되어 로어 하우징(224)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들을 구속한다.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기판(231)을 더 포함한다. 메인기판(231)에는 위치감지모듈(213)에 내장될 수 있고, 통신모듈(215)과, 미세먼지농도 측정센서(211)가 설치된다. 물론, 메인기판(231)에는 엘이디 조명(227)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미세먼지 측정장치(200)가 복수 개 구비되고, 이동 단말기(300)가 생략된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구성은 특별하게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서버(10) 또는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서버(10)에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서 수집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위치정보가 서버(10)에 저장되고 공유될 수 있다. 서버(10)는 복수의 전자기기와 무선통신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모듈(900)은 복수개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서 제공된 정보를 조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용이하기 위해 서버(10)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제어모듈(900)이 배치되고, 이들 제어모듈(900)이 서로 연동되어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은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및 복수 개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9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와 실내공간(700)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고,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미세먼지 노출 정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미세먼지 노출 정도를 고려하여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전자기기 중 일 예로 공기 청정기(75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750)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7의 공기 청정기(750)기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750)에는, 반경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송풍팬(미도시) 및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송풍장치 및 송풍장치의 상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되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동조절 팬(1305)을 가지는 유동 전환장치(1300)가 포함한다.
송풍장치는 내부에 송풍팬과,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송풍장치는 제1 송풍장치(1100)와 제1 송풍장치(1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송풍장치(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는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한 후, 상측으로 배출한다.
공기 청정기(75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포함된다. 케이스에는, 제1 송풍장치(1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101)와, 제2 송풍장치(1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1201)가 포함된다.
유동 전환장치(1300)는,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하는 제 1 위치로부터, 공기를 전방 상측으로 토출하는 제 2 위치로의 움직임이 이루어진다.
유동 전환장치(1300)는 제2 송풍장치(1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제2 송풍장치(1200)의 공기유로는, 유동 전환장치(1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송풍장치(1200)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 전환장치(1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1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유동 전환장치(130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제 1 위치)에 있거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1300)는 유동조절 팬(1305)과 유동조절 팬(1305)의 방향을 조절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는 예를 들면 유동조절 팬(1305)을 유동조절 팬(1305)의 회전축이 상하방향과 일치되거나,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무빙시키는 경사 무빙부와 경사 무빙부를 공기 청정기(750)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 무빙부는 유동조절 팬(1305)에 결합된 랙(1374)과 랙(1374)과 기어결합되는 기어(미도시)와 기어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1300)는 엑츄에이터와 회전수단의 복합운동으로, 공기 청정기(750)의 360도 주변으로 상하 방향을 정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공기 청정기(75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위치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이내인 경우, 전자기기가 작동되게 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실내공간(700)과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때, 미리 작동이 필요한 전자기기가 그 작동 대상이 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위치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이내인 경우, 공기 청정기(750), 히터 및 에어컨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될 수 잇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전자기기의 위치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이내인 경우, 전자기기에 전자기기를 작동하게 하는 작동모드신호를 전송한다. 작동모드신호를 전송 받은 전자기기는 작동을 시작한다. 자동모드신호를 전송 받은 공기 청정기(750)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히터 및 에어컨은 실내공기를 설정온도로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위치와 모든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전자기기에 전자기기를 슬립모드로 작동하게 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전자기기의 위치와 모든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전자기기에 전자기기를 슬립모드로 작동하게 하는 슬립모드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실내공간(700)을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구분공간으로 분할하여 사용하고, 어느 한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되는 경우, 어느 한 사용자가 주로 거주하는 구분 공간방향으로 공기 청정기(750)의 토출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하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가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실내공간(700) 내에 위치되고, 다른 미세먼지 측정장치(200)가 실내공간(700) 밖에 위치되는 경우, 실내공간(700) 내에 위치된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대응되는 구분 공간방향으로 공기 청정기(750)의 토출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공기 방향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메모리 등에 공기청정기와 각 구분공간의 방향 및 각 구분공간에 대응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모듈(900)은 제1 미세먼지 측정장치(200a)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제1 사용자가 실내공간(700) 내에 위치된다고 판단한다. 이후, 제어모듈(900)은 공기 청정기(750)기 유동 전환장치(1300)를 제어하여서, 공기 청정기(75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1 사용자가 거주하는 제1 구분공간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실내공간(700)에 머물고 있는 사용자가 주로 거주하는 공간으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공기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실내공간(700)을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구분공간으로 분할하여 사용하고, 복수의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의 미세먼지 노출정도를 고려하여 공기 청정기(750)의 토출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가 전자기기가 위치되는 실내공간(700) 내에 위치되는 경우,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별로 기설정된 시간동안 평균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산정하고, 평균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가장 높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분 공간방향으로 공기 청정기(750)의 토출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공기 방향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메모리 등에 공기청정기와 각 구분공간의 방향 및 각 구분공간에 대응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모듈(900)은 제1 및 제2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제1 미 제2 사용자가 실내공간(700) 내에 위치된다고 판단하고, 제1 미세먼지 측정장치(200a)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제2 미세먼지 측정장치(200b)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높다가 판단되는 경우, 제어모듈(900)은 공기 청정기(750)기 유동 전환장치(1300)를 제어하여서, 공기 청정기(75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1 사용자가 거주하는 제1 구분공간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로, 제어모듈(900)은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별로 기설정된 시간동안 평균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산정하고, 평균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상대적으로 높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구분 공간방향으로 공기 청정기(750)의 토출 공기 방향을 제1 시간 동안 유지하고, 평균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상대적으로 낮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구분 공간방향으로 공기 청정기(750)의 토출 공기 방향을 제2 시간 동안 유지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제1 시간은 제2 시간 보다 크게 할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제1 및 제2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제1 미 제2 사용자가 실내공간(700) 내에 위치된다고 판단하고, 제1 미세먼지 측정장치(200a)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제2 미세먼지 측정장치(200b)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높다가 판단되는 경우, 제1 구분 공간방향으로 공기 청정기(750)의 토출 공기 방향을 30분 동안 유지하고, 제2 구분공간으로 공기 청정기(750)의 토출 공기 방향을 10분 동안 유지하게 공기 청정기(7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가 각각 미세먼지 농도 정보 또는/및 위치정보를 수집한다(S10).
전자기기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중 어느 하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 인지 판단한다(S20).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위치정보와 전가기기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서로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내 인지 판단한다.
전자기기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중 어느 하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보다 작은 경우,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와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작동모드로 전환한다 (S31). 전자기기의 작동모드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전자기기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중 어느 하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와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S32). 전자기기의 작동모드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전자기기의 슬립모드는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는 모드이다.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가 실내공간(700)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위치정보와, 평균 미세먼지 정보를 고려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한다(S50).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개념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미세먼지 측정장치(200)가 복수 개 구비되고, 이동 단말기(300)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치되고, 이동 단말기(300)를 제외한 다른 전가기기는 생략된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와 이동 단말기(300)의 구성은 특별하게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200)는 대응되는 각 이동 단말기(300)(상세히는, 제어모듈(900))와 페어링된다. 이 때, 각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는 별도의 제어모듈(900), 위치감지모듈(213)이 생략되고, 이동 단말기(300)는 제어부(310)가 생략되고 제어모듈(900) 및 위치감지모듈(213)이 포함된다.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모듈(900)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제어모듈(900)과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310)의 기능을 모두 실행할 수 있는 통합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감지모듈(213)은 도 1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위치감지모듈(213)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300)와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페어링을 통해,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 제어모듈(900), 메모리, 위치감지모듈(213) 등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서,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각 이동 단말기(300) 또는 각 미세먼지 수집장치는 서버(10)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각 미세먼지 수집장치에서 수집된 미세먼지 정보, 위치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서 수집된 다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40)에 미세먼지 지도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이동 단말기(300)가 지도 정보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2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위치정보들을 매칭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40)에 미세먼지 지도를 출력하도록 미세먼지 지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900)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미세먼지 지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300)는 시간 단위로 갱신된 미세먼지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가 이동체로 기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미세먼지 농도 정보, 위치정보 및 교통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위치감지모듈(213)은 이동체인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를 감지하고, 디스플레이부(340)는 이동경로에 대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900)은 지정된 목적지까지 이동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이동경로를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복수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미세먼지 농도를 고려한 이동경로와 교통정보를 고려한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모듈(900)은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복수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지정된 목적지까지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을 지나는 청정 이동경로를 설정하거나, 지정된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가 되는 최단 이동경로를 설정하거나,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목적지까지 최소 시간이 소요되는 최소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900)은 지정된 목적지까지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을 지나는 청정 이동경로, 지정된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가 되는 최단 이동경로 및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목적지까지 최소 시간이 소요되는 최소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340)는 청정 이동경로, 최소 이동경로 및 최단 이동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각 이동경로에 대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다양한 이동경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다양한 이동경로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경로에 대한 안내를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디스플레이부(340)에 사용자가 청정 이동경로, 최단 이동경로 및 최소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346a, 346b, 346c)을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제어모듈(9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창(346a, 346b, 346c)을 활성화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60)를 통해 선택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청정 이동경로, 최단 이동경로 및 최소 이동경로 중 어느 한 이동경로에 대한 안내를 수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디스플레이부(340)에 청정 이동경로와 최단 이동경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청정 이동경로와 최단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활성화하거나, 청정 이동경로와 최소 이동경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청정 이동경로와 최소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각 이동경로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텍스트 또는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제어모듈(900)은 디스플레이부(340)에 이동경로 상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텍스트 또는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900)은 이동체가 실제로 이동한 이전 이동경로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부(340)에 이전 이동경로 상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텍스트 또는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제어모듈(900)은 상술한 이동경로와 이전 이동경로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텍스트 또는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이동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모듈; 지정된 목적지까지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이동경로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어모듈과 페어링되어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상기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제공된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지정된 목적지까지 상기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을 지나는 청정 이동경로, 지정된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가 되는 최단 이동경로 및 제공된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목적지까지 최소 시간이 소요되는 최소 이동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청정 이동경로, 상기 최단 이동경로 및 상기 최소 이동경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청정 이동경로, 상기 최단 이동경로 및 상기 최소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동체가 실제로 이동한 이전 이동경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이전 이동경로 상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텍스트 또는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장치에서 제공된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 삭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이동경로 상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텍스트 또는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7/015746 WO2019132079A1 (ko) | 2017-12-29 | 2017-12-29 |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4738A KR20200094738A (ko) | 2020-08-07 |
KR102493147B1 true KR102493147B1 (ko) | 2023-01-27 |
Family
ID=6706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2863A KR102493147B1 (ko) | 2017-12-29 | 2017-12-29 |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493421B2 (ko) |
EP (1) | EP3629609A4 (ko) |
KR (1) | KR102493147B1 (ko) |
WO (1) | WO20191320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6327B1 (ko) * | 2020-04-02 | 2022-02-22 | 주식회사 제타뱅크 |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
CN111323345B (zh) * | 2020-04-20 | 2022-08-02 | 爱舍环境科技(成都)有限公司 | 一种大气颗粒物检测方法 |
KR102227081B1 (ko) * | 2020-06-02 | 2021-03-12 | 차충환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지능형 관리시스템 |
KR102248968B1 (ko) * | 2020-06-02 | 2021-05-07 | 차충환 | 미세먼지 농도측정 및 제거시스템 |
KR102247901B1 (ko) * | 2020-07-01 | 2021-05-04 | 경기도 부천시 | 공기질 관리 시스템 |
CN112860827A (zh) | 2021-01-15 | 2021-05-28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设备间交互控制方法、设备间交互控制装置及存储介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81950A1 (ja) * | 2014-05-30 | 2015-12-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清浄機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8267B1 (ko) * | 2009-01-21 | 2011-07-08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대기 오염 측정 센서를 갖춘 자전거용 내비게이션과, 이 자전거용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대기 오염 측정 정보 저장 방법 |
US20120173293A1 (en) * | 2010-12-30 | 2012-07-05 | John Motley | Systems and Methods for Carbon Emission Calculation, Tracking and Analysis |
WO2012109424A1 (en) * | 2011-02-09 | 2012-08-16 | Charles Call | Facility protection system including mitigation elements |
KR101213647B1 (ko) | 2011-05-17 | 2013-01-22 |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폰 기반 공기질 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
US9233472B2 (en) * | 2013-01-18 | 2016-01-12 | Irobot Corporation | Mobile robot providing environmental mapping for household environmental control |
US9504367B2 (en) * | 2013-11-20 | 2016-11-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219365B1 (ko) * | 2014-04-10 | 2021-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
WO2016048049A1 (ko) * | 2014-09-25 | 2016-03-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
KR20160037046A (ko) * | 2014-09-26 | 2016-04-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과 연계한 매장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058594A (ko) * | 2014-11-17 | 2016-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20160260142A1 (en) * | 2015-03-06 | 2016-09-08 | Wal-Mart Stores, Inc. | Shopping facility assistan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o support requesting in-person assistance |
JP2016220174A (ja) * | 2015-05-26 | 2016-12-22 | 株式会社東芝 | 家電制御方法及び家電制御装置 |
KR20170009180A (ko) * | 2015-07-16 | 2017-01-25 | 정동인 |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오염측정 및 창문자동 개폐 시스템 |
DE102015120221A1 (de) * | 2015-11-23 | 2017-05-24 | Alfred Kärcher Gmbh & Co. Kg | Bodenreinigungssystem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Bodenfläche |
KR101922208B1 (ko) * | 2016-04-26 | 2018-11-26 |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 실내 라돈농도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및 운용방법 |
US10168709B2 (en) * | 2016-09-14 | 2019-01-01 | Irobot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ble operation of a robot based on area classification |
CN110869738A (zh) * | 2017-03-10 | 2020-03-06 |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 用于空气质量监测的移动显微镜系统 |
GB2560542B (en) * | 2017-03-15 | 2021-09-15 | White Lab Sal | A device, computer program and method |
EP3695282B1 (en) * | 2017-10-11 | 2023-03-29 | trinamiX GmbH | Autonomous robotic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
US11249482B2 (en) * | 2019-08-09 | 2022-02-15 | Irobot Corporation | Mapping for autonomous mobile robots |
-
2017
- 2017-12-29 KR KR1020207012863A patent/KR1024931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2-29 EP EP17936795.8A patent/EP3629609A4/en active Pending
- 2017-12-29 WO PCT/KR2017/015746 patent/WO2019132079A1/ko unknown
- 2017-12-29 US US16/627,211 patent/US1149342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81950A1 (ja) * | 2014-05-30 | 2015-12-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清浄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493421B2 (en) | 2022-11-08 |
EP3629609A1 (en) | 2020-04-01 |
KR20200094738A (ko) | 2020-08-07 |
US20200319074A1 (en) | 2020-10-08 |
WO2019132079A1 (ko) | 2019-07-04 |
EP3629609A4 (en) | 2021-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3147B1 (ko) |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 활용 시스템 | |
CN107411639B (zh) | 提供用于家庭环境控制的环境绘图的移动机器人 | |
CN107429929B (zh) | 送风设备以及送风系统 | |
KR101865143B1 (ko) | 실내외 공기질 측정 기반의 환기 시스템 | |
AU2006316147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0359204B2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70154517A1 (en) | Air quality alert system and method | |
KR101881509B1 (ko) |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 |
CN109883009A (zh) | 利用空气质量信息的空气调节装置控制系统及方法 | |
CN106031129A (zh) | 建筑物自动化控制系统 | |
US10113759B2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WO2017198215A1 (zh) | 一种组合机器人的控制方法 | |
KR20170031949A (ko) | 공기 청정 시스템 | |
KR20110136382A (ko) | 환경센서를 통한 가정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CN106886171B (zh) | 电器控制方法及控制装置 | |
KR102085130B1 (ko) | 에너지 절감형 공조기 관리장치 | |
WO2020075189A1 (en) | Intelligent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controlling, and alerting system | |
CN203823927U (zh) | 智能空气净化器 | |
KR101945495B1 (ko) |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CN109720164A (zh) | 一种应用于车辆的空气净化方法及系统 | |
JP2012172888A (ja) | 空気清浄機 | |
CN205481595U (zh) | 一种具备空气质量监测功能的空调器 | |
CN204856191U (zh) | 一种用于对室内设施进行控制的平板系统 | |
KR20170076076A (ko) | 가전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 |
KR102607881B1 (ko) |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