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592B1 -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592B1
KR102476592B1 KR1020220022297A KR20220022297A KR102476592B1 KR 102476592 B1 KR102476592 B1 KR 102476592B1 KR 1020220022297 A KR1020220022297 A KR 1020220022297A KR 20220022297 A KR20220022297 A KR 20220022297A KR 102476592 B1 KR102476592 B1 KR 102476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weight
cyclohexanediyl
tetraethyl
polyu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유동
Original Assignee
진유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유동 filed Critical 진유동
Priority to KR102022002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5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4Carboxylic acids; Esters thereof with monohydroxyl compounds
    • C08G18/341Dicarboxylic acids, 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containing two carboxylic aci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5 ~ 45 중량%,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동중합체[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 15 ~ 50 중량%, 2,2,4-트리메틸-1,3-펜타네이드이올에스터 다이이소뷰티르산[2,2,4-Trimethyl-1,3-pentanediolester diisobutyrate] 10 ~ 40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테트라에틸 N,N'-(메틸렌디-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di-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45 ~ 70중량%, 테트라에틸 N,N'-[메틸렌비스(2-메틸-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bis(2-methyl-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20 ~ 54 중량%, 비스(2-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Bis(2-propylheptyl)phthalate] 0.01 ~ 10 중량%로 조성된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 구조물의 바닥이나 입면 상에 후도막을 용이하게 형성시키면서도 투명한 도막층이 형성되어 이면의 구조체를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누수 발생 시 누수 부위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른, 보수작업과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TRANSPARENT POLYUREA AND WATERPROOFING METHOD USED THEREOF}
본 발명은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 구조물의 바닥이나 입면 상에 후도막을 용이하게 형성시키면서도 투명한 도막층이 형성되어 이면의 구조체를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누수 발생 시 누수 부위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른, 보수작업과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방수성 등을 향상시키는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보호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방수재료에는 그 시공방식에 따라 시트식 방수재료, 도막식 방수재료 및 침투식 방수재료가 있다.
이 중 침투식 방수재료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과거에 교량 상판 등의 방수시공에 사용하던 방법으로, 주로 실리콘을 강력한 용제로 용해하여 액상의 침투방수제로 사용한 공법이다.
이러한 침투식 방수재료를 사용한 시공방법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낮고, 300 kgf/㎠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에는 침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시트식 방수시공은 균일하고 우수한 방수효과를 발휘하기는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시공과정에서 쉬트 간의 연결작업이 어려워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고, 연결부위 누수로 인하여 방수기능을 상실하는 경우도 있다.
건축 구조물이나 지붕방수를 위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방수시트는 부직포, 유리섬유 등의 상, 하면에 개량 아스팔트(asphalt)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고 상부에 모래를 도포하여 자외선을 차단하고, 하부에는 도포된 개량 아스팔트(asphalt)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박리지를 부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시트는 개량 아스팔트(asphalt)의 컴파운드(compound)가 자외선으로 인한 산화 현상 때문에 방수시트의 내후성이 떨어지고, 고온(여름)에서는 저점도로 인하여 외부 충격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방수시트는 충진재의 과다한 첨가로 제품의 중량이 무거워져 시공을 지연시키고 시공의 불편을 초래하며, 저온하에서는 외부충격에도 쉽게 시트가 파손된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 및 기타 피착면에 부착될 때에는 접착력 강화를 위하여 토오치 램프(torch lamp)를 이용하여 방수시트의 접착면을 용융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때, 열이 가열되지 않은 부분은 미처 용융되지 않은 상태로 피착면에 부착되므로, 피착면에 접착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여 들뜸현상 및 누수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방수시트의 기능이 구조체 유동 시에도 방수시트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였지만, 구조체 유동(크랙발생)으로 인한 힘(장력)을 방수시트 하나로 제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방수시트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게 되므로, 방수시트의 인장강도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방수시트의 신축성이다.
한편, 액체형(일반적으로 우레탄, 에폭시, 우레아 등)으로 된 도막방수재는 미세한 틈새 부위에 잘 침투하고, 코너부위 등과 같이 형상을 요하는 부위의 시공이 편리하나 여러 번 도포하므로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한번 도포 후 경화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도포된 액체형 도막방수재는 용제가 휘발된 후 두께가 얇아져 외부 충격, 작업자들에 의한 충격, 모르타르, 흙 타설 시 자갈이나 뾰쪽한 것으로 인해 뚫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누수의 발생이 우려되었다.
아울러, 노출용(옥상)으로 종래의 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하여 방수를 하면, 2-3년 시간이 경과한 후 크랙이 발생하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 방수시트는 시공의 불편함은 있지만 설치 후 최소 7년 이상의 기간동안은 방수기능이 유지되는 반면에, 액체형은 자주 교체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식 방수 또는 도막식 방수는 각각 서로 다른 또는 유사한 형태의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최근에는 시트식 방수와 도막식 방수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복합방수공법이 제시되었다.
즉, 방수시트를 콘크리트 구조체에 시공한 후 시공된 방수시트의 상부에 우레탄 하도(프라이머)를 도포함으로써, 방수시트간의 겹침부위에 대하여 접착성을 향상시키며, 부직포 사이로 물 침투를 방지하였다.
그리고, 그 상부에 충격방지를 위하여 탄성을 가지는 우레탄 중도를 도포한 후 우레탄 중도가 경화되면, 그 상부에 다시 우레탄 상도(Top)를 도포하여 경화시킨다.
이때, 서로 다른 상기 우레탄 하도, 중도, 상도를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므로 작업시간이 지연되며,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수공법에서는 방수시공 후 시간이 경과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게 되면, 누수를 탐지하여야 하는데, 누수부위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체 중 실질적으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근본부위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방수층에서 발생하는 누수부위로부터 근본적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누수부위까지 역추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론 인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바닥이나 입면 상에 후도막을 용이하게 형성시키면서도 투명한 도막층이 형성되어 이면의 구조체를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누수 발생 시 누수 부위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른, 보수작업과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방수성 등을 향상시켜 콘크리트 벽체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5 ~ 45 중량%,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동중합체[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 15 ~ 50 중량%, 2,2,4-트리메틸-1,3-펜타네이드이올에스터 다이이소뷰티르산[2,2,4-Trimethyl-1,3-pentanediolester diisobutyrate] 10 ~ 40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테트라에틸 N,N'-(메틸렌디-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di-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45 ~ 70중량%, 테트라에틸 N,N'-[메틸렌비스(2-메틸-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bis(2-methyl-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20 ~ 54 중량%, 비스(2-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Bis(2-propylheptyl)phthalate] 0.01 ~ 10 중량%로 조성된 경화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폴리우레아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2.5 ~ 3 : 1 ~ 1.5 부피비로 혼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소지(素地) 표면을 보수하는 단계와;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5 ~ 45 중량%,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동중합체[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 15 ~ 50 중량%, 2,2,4-트리메틸-1,3-펜타네이드이올에스터 다이이소뷰티르산[2,2,4-Trimethyl-1,3-pentanediolester diisobutyrate] 10 ~ 40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테트라에틸 N,N'-(메틸렌디-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di-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45 ~ 70중량%, 테트라에틸 N,N'-[메틸렌비스(2-메틸-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bis(2-methyl-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20 ~ 54 중량%, 비스(2-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Bis(2-propylheptyl)phthalate] 0.01 ~ 10 중량%로 조성된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투명 폴리우레아를 도포하여 폴리우레아 도막층을 형성하는 폴리우레아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아울러,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층의 상부에 톱 클리어(top clear)를 형성하는 톱클리어층 형성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투명 폴리우레아를 콘크리트 벽체, 바닥면 등에 1회 도포하는 것 만으로 방수도막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투명도가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조성으로 95% 이상의 완벽한 투명 도막을 형성하고, 내후성, 습기에 대한 내성, 열 저항성이 우수하며, 특히, 투명한 도막층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구조체에서 발생하는 크랙이나 누수 등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어 누수부위의 추적 및 하자보수와 관리를 매우 편리하게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방수성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를 도포한 후의 투명도를 촬영한 사진.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는,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5 ~ 45 중량%,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동중합체[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 15 ~ 50 중량%, 2,2,4-트리메틸-1,3-펜타네이드이올에스터 다이이소뷰티르산[2,2,4-Trimethyl-1,3-pentanediolester diisobutyrate] 10 ~ 40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테트라에틸 N,N'-(메틸렌디-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di-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45 ~ 70중량%, 테트라에틸 N,N'-[메틸렌비스(2-메틸-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bis(2-methyl-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20 ~ 54 중량%, 비스(2-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Bis(2-propylheptyl)phthalate] 0.01 ~ 10 중량%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주제 중 상기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의 높은 인열강도와 고탄성 및 높은 인장력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15 ~ 45 중량%를 첨가하며, 15 중량% 미만 첨가 시 투명도가 저하되며, 점도가 낮아지게 되어 발포 시 경화속도가 저하되고 흐름성이 높아지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며, 45 중량% 초과 첨가 시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작업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주제 중 상기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동중합체[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는 폴리우레아가 콘크리트나 철판 등 어떤 물질과도 강하게 접착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결국, 폴리우레아의 접착성능을 향상시키게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15 ~ 50 중량%를 첨가하는 바, 15 중량% 미만 첨가 시 소망하는 접착성능을 얻을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 첨가 시 소망하는 접착성능은 얻을 수 있으나 폴리우레아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주제 중 2,2,4-트리메틸-1,3-펜타네이드이올에스터 다이이소뷰티르산[2,2,4-Trimethyl-1,3-pentanediolester diisobutyrate]는 화합물의 물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가교제로서, 첨가비율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가교성능이 없으며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우레아가 단단하게 경화되어 크랙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주제 중 교반중 기포발생을 억제함은 물론 도포 후 기포에 의해 생기는 핀홀(pin hole)도 방지하여 도포면을 평활하게 유지하기 위해 소포제를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재료의 혼합 후 재료 내에 기포 발생을 차단하고 조성물의 조직을 치밀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위하여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 100 중량% : 0.1 ~ 5 중량% 부피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기포가 제거되게 하여 상, 하부 조성물과의 접착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화제는 테트라에틸 N,N'-(메틸렌디-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di-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45 ~ 70중량%, 테트라에틸 N,N'-[메틸렌비스(2-메틸-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bis(2-methyl-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20 ~ 54 중량%, 비스(2-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Bis(2-propylheptyl)phthalate] 0.01 ~ 10 중량%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경화제 중 테트라에틸 N,N'-(메틸렌디-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di-4,1-cyclohexanediyl)bis(aspartate)]는 도막의 접착 강도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한 경화제이며, 4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저장 안정성이 저조하게 되고, 7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점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경화제 중 테트라에틸 N,N'-[메틸렌비스(2-메틸-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bis(2-methyl-4,1-cyclohexanediyl)]bis(aspartate)]는 향상된 내충격 강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내습성,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의 특성을 제공하며, 2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내충격 강도가 저하되고, 54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점도가 높아 교반효율이 저하되고 오히려 딱딱하게 굳어져 접착력 저하 및 박리에 따른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경화제 중 비스(2-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Bis(2-propylheptyl)phthalate]는 바탕면의 공극 또는 크랙이나 균열부분에 침투하여 내부를 충진하여 치밀화시킬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표층부로 침투하여 콘크리트에 알칼리를 부여하여 산화를 방지시키며, 염해 등을 억제시킴으로써 치장벽돌 벽체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이 연장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0.01 ~ 1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를 도포한 시공사진으로서, 좌측은 투명 폴리우레아가 도포되기 전의 상태이며, 우측은 투명 폴리우레아가 도포된 후의 상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외관이 청결하고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투명 폴리우레아 도막형성에 의하여 치장벽체 또는 콘크리트 벽체 등의 균열이나 크랙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어 누수부위의 추적 및 하자보수와 관리를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된 투명 폴리우레아의 주제와 경화제는 2.5 ~ 3 : 1 ~ 1.5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의 특성이 발현될 수 있으므로, 그 혼합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된 투명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바탕면의 소지(素地) 표면을 보수하는 단계를 실시하고, 투명 폴리우레아를 도포하여 폴리우레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실시된다.
상기한 소지(素地) 표면을 보수하는 단계에서의 소지 표면은 바탕면에서 크랙이나 핀홀 또는 미래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방수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부정적인 원인 또는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는 곳을 말하는 것으로서, 시멘트 40 ∼ 45 중량%와, 규사 51 ∼58 중량%, 중합체 1 ∼ 5 중량%, 길이 0.1 ∼ 1mm의 유무기 섬유 1 ∼ 8 중량%로 구성된 보수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평활화 작업 후 보수 모르타르의 양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투명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주제와 경화제가 2.5 ~ 3 : 1 ~ 1.5 부피비로 혼합되게 하여 도포함으로써, 바탕면에 폴리우레아 도막층이 형성되게 하는 폴리우레아 도포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층의 상부에는 내후성 및 황변방지성 또는 광택성 또는 무광택성 부여를 위한 톱 클리어(top clear)를 형성하는 톱클리어층 형성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의하여 콘크리트 벽체, 바닥면 등에는 1회 도포만으로 방수도막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내후성, 습기에 대한 내성, 열 저항성이 우수하면서도 투명도가 최대한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이 투명한 폴리우레아 도막층이 구조체에서 발생하는 크랙이나 누수 등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며, 누수부위의 추적 및 하자보수와 관리를 매우 편리하게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방수성 등을 향상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5 ~ 45 중량%,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동중합체[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 15 ~ 50 중량%, 2,2,4-트리메틸-1,3-펜타네이드이올에스터 다이이소뷰티르산[2,2,4-Trimethyl-1,3-pentanediolester diisobutyrate] 10 ~ 40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테트라에틸 N,N'-(메틸렌디-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di-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45 ~ 70중량%, 테트라에틸 N,N'-[메틸렌비스(2-메틸-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bis(2-methyl-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20 ~ 54 중량%, 비스(2-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Bis(2-propylheptyl)phthalate] 0.01 ~ 10 중량%로 조성된 경화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폴리우레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2.5 ~ 3 : 1 ~ 1.5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폴리우레아.
소지(素地) 표면을 보수하는 소지 보수단계와;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5 ~ 45 중량%,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동중합체[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 15 ~ 50 중량%, 2,2,4-트리메틸-1,3-펜타네이드이올에스터 다이이소뷰티르산[2,2,4-Trimethyl-1,3-pentanediolester diisobutyrate] 10 ~ 40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테트라에틸 N,N'-(메틸렌디-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di-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45 ~ 70중량%, 테트라에틸 N,N'-[메틸렌비스(2-메틸-4,1-시클로헥사네디일)]비스(아스파르트산)[Tetraethyl N,N'-[methylenebis(2-methyl-4,1-cyclohexanediyl)]bis(aspartate)] 20 ~ 54 중량%, 비스(2-프로필헵틸)프탈레이트[Bis(2-propylheptyl)phthalate] 0.01 ~ 10 중량%로 조성된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투명 폴리우레아를 도포하여 폴리우레아 도막층을 형성하는 폴리우레아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층의 상부에 톱 클리어(top clear)를 형성하는 톱클리어층 형성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220022297A 2022-02-21 2022-02-21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Active KR102476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297A KR102476592B1 (ko) 2022-02-21 2022-02-21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297A KR102476592B1 (ko) 2022-02-21 2022-02-21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592B1 true KR102476592B1 (ko) 2022-12-09

Family

ID=8444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297A Active KR102476592B1 (ko) 2022-02-21 2022-02-21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5680B1 (ko) 2024-06-21 2025-02-12 주식회사 창의에스텍 준불연 성능을 가지는 발수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투명 도막방수재 및 상기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도막방수공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619A (ja) * 1999-04-09 2000-12-26 Carl Freudenberg:Fa 加工可能な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成型材料
US20080057317A1 (en) * 2006-08-30 2008-03-06 Eastman Chemical Company Sealant compositions having a novel plasticizer
KR101197197B1 (ko) * 2012-04-09 2012-11-05 (주)새론테크 방식성 ? 방청성 ? 내약품성 ? 내화학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030389A (ko) * 2012-08-28 2014-03-12 듀라케미 (주)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 내구성 방수 방식용 표면마감재 아스파틱 폴리우레아 수지조성물
KR20140036951A (ko) * 2012-09-18 2014-03-26 이용호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EP2861684A1 (en) * 2012-06-15 2015-04-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polyurea forming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and composite article
CN107522845A (zh) * 2017-08-31 2017-12-29 深圳飞扬骏研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聚天门冬氨酸酯脲胶黏剂及其施工工艺
KR102134888B1 (ko) * 2019-09-02 2020-07-20 (주)탑방수산업개발 대기 환경오염 저감형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층의 시공 방법
KR102260136B1 (ko) * 2020-07-03 2021-06-07 (주)탑방수산업개발 차열/단열 복합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619A (ja) * 1999-04-09 2000-12-26 Carl Freudenberg:Fa 加工可能な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成型材料
US20080057317A1 (en) * 2006-08-30 2008-03-06 Eastman Chemical Company Sealant compositions having a novel plasticizer
KR101197197B1 (ko) * 2012-04-09 2012-11-05 (주)새론테크 방식성 ? 방청성 ? 내약품성 ? 내화학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P2861684A1 (en) * 2012-06-15 2015-04-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polyurea forming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and composite article
KR20140030389A (ko) * 2012-08-28 2014-03-12 듀라케미 (주)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 내구성 방수 방식용 표면마감재 아스파틱 폴리우레아 수지조성물
KR20140036951A (ko) * 2012-09-18 2014-03-26 이용호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CN107522845A (zh) * 2017-08-31 2017-12-29 深圳飞扬骏研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聚天门冬氨酸酯脲胶黏剂及其施工工艺
KR102134888B1 (ko) * 2019-09-02 2020-07-20 (주)탑방수산업개발 대기 환경오염 저감형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층의 시공 방법
KR102260136B1 (ko) * 2020-07-03 2021-06-07 (주)탑방수산업개발 차열/단열 복합필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방수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5680B1 (ko) 2024-06-21 2025-02-12 주식회사 창의에스텍 준불연 성능을 가지는 발수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투명 도막방수재 및 상기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도막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4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공법
KR102036879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193762B1 (ko) 속건성 충진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보수공법
KR102161838B1 (ko) 콘크리트 파손 또는 균열 보수보강 방법
KR101056825B1 (ko) 수성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JP7323699B2 (ja) 構造物保護シー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補強された構造物の製造方法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64623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WO2004076573A1 (de) Beschichtungsmaterial, verwendung desselben sowie verfahren zur aufbringung des beschichtungsmaterials
KR102476592B1 (ko) 투명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325558B1 (ko) 폴리머 시멘트 및 아크릴 코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2016008713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KR102460723B1 (ko)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TW202508838A (zh) 構造物保護片及補強的構造物的製造方法
KR101931321B1 (ko) 초속경 교량 상판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교량 상판 보수방법
KR101971589B1 (ko) 고점도 투명 도막방수재
CN114412220A (zh) 一种外墙施工缝渗漏修补工艺
KR20220103307A (ko) 도막방수용 이지코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20000072868A (ko) 수용성 1액형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방수시공방법
JP2020117704A (ja) 防水材組成物、防水工法及び防水皮膜
KR102481757B1 (ko)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KR102421306B1 (ko)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AT411260B (de) Beschichtungsmaterial, verwendung desselben sowie verfahren zur aufbringung des beschichtungsmaterials
KR101088315B1 (ko) 복합형 방수 도막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