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003B1 -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003B1
KR102474003B1 KR1020200182179A KR20200182179A KR102474003B1 KR 102474003 B1 KR102474003 B1 KR 102474003B1 KR 1020200182179 A KR1020200182179 A KR 1020200182179A KR 20200182179 A KR20200182179 A KR 20200182179A KR 102474003 B1 KR102474003 B1 KR 102474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arts
shaft
drum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054A (ko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김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일 filed Critical 김대일
Priority to KR102020018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0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 컨베이어벨트(101)의 헤드 및 테일 측에 각각 구비하고 고정회전축(113)을 내장하는 제1,2드럼부(111,112)와, 제1,2드럼부(111,112) 각각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호 대향하는 내측에 상기 고정회전축(113)의 양단을 결합하는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와,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 각각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과 동축선상에 조립식으로 장착하고 구동수단(103)과 연동하여 제1,2드럼부(111,112)를 회전하도록 구비하는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마모가 자주 발생하는 부위만을 별도로 조립, 교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ROLLER ASSEMBLY FOR CONVEYOR BELT}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의 운반에 사용되는 기계장치인 컨베이어의 벨트를 구동하는 롤러어셈블리를 조립, 교체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유지보수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는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일정한 거리에서 물품이나 재료 등을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기계장치로서 공장에서의 물품 이송 및 작업대로 사용, 항만 등에서의 각종 화물의 운반, 광산이나 건설 현장에서의 골재 이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컨베이어는 그 용도 및 작동 메커니즘에 따라서 여러 종류가 있으며 예컨대 벨트컨베이어, 롤러컨베이어, 버킷컨베이어, 체인컨베이어, 나사컨베이어 등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형태인 벨트컨베이어는 고무나 강판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 벨트를 반복 순환하여 그 위에 물품을 올려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도록 이루어진다. 엔드리스 벨트를 롤러 및 풀리에 장착하고 전동기로 회전 구동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벨트컨베이어의 구성을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07945 호에는 프레임의 전후단에 장착된 벨트 유지부재와, 벨트유지부재 사이에 놓인 무한벨트와, 무한벨트의 돌아오는 측 벨트 외면에 접촉하는 구동풀리와, 구동풀리를 구동 하는 감속기 달린 모터를 갖는 벨트구동유니트와, 구동유니트의 부착위치에 대응하는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돌아오는측 벨트의 내면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풀리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장치를 구성한다.
한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롤러어셈블리는 회전축을 내장하는 드럼을 통해 벨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바,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벨트가 안내되도록 원통형으로 구비하는 드럼과, 드럼의 양 측에 결합하여 중공부를 형성하고 샤프트를 축설하는 보스와, 보스에 축설되어 동력장치와 결합해 드럼을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공지된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22896 호에는 양단이 개방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드럼과, 드럼의 중공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환봉 형상의 샤프트와, 보스와 환형 림 및 암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형성된 중공에는 샤프트의 외경이 접하게 삽입되며 외주면은 드럼의 양측 끝단 내주면에 면접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휠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드럼 풀리를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07945 호 (2001.12.17)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22896 호 (2013.10.29) 한국등록특허 제 10 - 0907186 호 (2009.07.10)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11175 호 (2006.10.1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는 드럼, 보스,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롤러어셈블리를 모터로 구동하여 벨트를 회전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벨트의 반복적인 작동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특히 회전축 샤프트 부위에 마모나 파단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바,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어셈블리는 회전축과 연결되는 샤프트 부위를 별도로 교체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어셈블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와 같이 어셈블리 전체를 교체할 경우 작업 시간이 길게 소요되고 다수의 작업자를 동원해야 하므로 사실상 공장조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
결국, 조업시간의 감소로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컨베이어 예비품의 비축이 불가피하며 그에 따른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컨베이어벨트(101)의 헤드 및 테일 측에 각각 구비하고 고정회전축(113)을 내장하는 제1,2드럼부(111,112)와,
상기 제1,2드럼부(111,112) 각각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호 대향하는 내측에 상기 고정회전축(113)의 양단을 결합하는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와,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 각각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과 동축선상에 조립식으로 장착하고 구동수단(103)과 연동하여 제1,2드럼부(111,112)를 회전하도록 구비하는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는,
외측 중심부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보다 큰 반경으로 일정 깊이를 요입 형성하는 조립홈(125)과, 조립홈(125)의 내측에서 환형으로 다수를 배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홀(126)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는,
조립홈(125)에 상응하는 외경의 판상으로 구비하고 고정홀(126)에 상응하는 다수의 장착홀(136)을 배치하여 조립홈(12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조립판(135)과, 조립판(135)의 외측 중심부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에 상응하는 축상으로 동축선상에 형성하고 프레임(102)에 결합하는 조립회전축(137)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마모가 자주 발생하는 부위만을 별도로 조립, 교체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벨트를 구동하는 롤러어셈블리에서 마모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회전축 샤프트 부위를 조립, 교체식으로 구성하는 롤러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롤러어셈블리에서 고장 부위만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전체 어셈블리를 교체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교체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 작업시 소수의 인원에 의한 작업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하고 고장에 대비해 별도의 컨베이어 예비품 비축량을 저감하고 전체적인 조업시간을 증대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등 생산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헤드 측 제1,2조립축부의 정면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테일 측 제3,4조립축부의 정면 및 측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어셈블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헤드 측 제1,2조립축부의 정면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테일 측 제3,4조립축부의 정면 및 측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는 컨베이어의 벨트를 구동하도록 마련하는 롤러어셈블리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마모가 빈번한 부분에 대해서만 간편하게 교체하여 유지보수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는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드리스 벨트(10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하는 제1,2드럼부(111,112)와, 제1,2드럼부(111,112)에 구비하는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와, 제1,2드럼부(111,112)에 조립되는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제1,2드럼부(111,112)는 컨베이어벨트(101)의 헤드 및 테일 측에 각각 구비하고 고정회전축(113)을 내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2드럼부(111,112)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엔드리스 벨트(101)의 내주면에 당접하도록 구비한다. 제1드럼부(111)는 구동수단(10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하고, 제2드럼부(112)는 제1드럼부(111)에 당접하여 회전하는 벨트(101)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2드럼부(111,112) 각각의 내부 중심에는 고정회전축(113)을 장착한다. 고정회전축(113)은 제1,2드럼부(111,112)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며, 후술하게 될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에 양단을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는 상기 제1,2드럼부(111,112) 각각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호 대향하는 내측에 상기 고정회전축(113)의 양단을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는 상기 제1,2드럼부(111,112)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판상으로 마련하여 제1,2드럼부(111,112)의 양 측에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제1,2고정판부(121,122)는 제1드럼부(111)의 양 측에 구비하여 제1드럼부(111)의 심부에 구비하는 고정회전축(113)의 양단을 고정하고 고정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3,4고정판부(123,124)는 제2드럼부(112)의 양 측에 구비하여 제2드럼부(112)의 심부에 구비하는 고정회전축(113)의 양단을 고정하고 고정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 각각에는 상기 제1,2드럼부(111,112)와 후술하게 될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 사이의 조립 관계를 도출하도록 조립홈(125)과, 고정홀(126)을 구비한다.
상기 조립홈(125)은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의 외측 중심부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보다 큰 반경으로 일정 깊이를 요입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 조립홈(125)은 상기 제1,2드럼부(111,112)와 후술하게 될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가 동축선상에서 보다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면서 구동수단(103)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제1,2드럼부(111,112)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립홈(12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은 원형 또는 그 외의 다각 형상의 홈 형태로 형성한다. 조립홈(125)의 내형은 후술하게 될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에 마련되는 조립판(135)의 외형에 상응하도록 구비하여 조립판(135)이 조립홈(125)에 삽입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홀(126)은 조립홈(125)의 내측에서 환형으로 다수를 배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홀(126)은 상기 조립홈(125)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의 조립판(135)을 소정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착탈식으로 조립하기 위해 구비하는바, 후술하게 될 조립판(135)의 장착홀(136)과 상응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는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 각각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과 동축선상에 조립식으로 장착하고 구동수단(103)과 연동하여 제1,2드럼부(111,112)를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는 상기 제1,2드럼부(111,112)의 심부에 구비하는 고정회전축(113)에 상응하는 축상으로 마련하여 제1,2드럼부(111,112) 각각의 양 측에 착탈식으로 조립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2조립축부(131,132)는 제1드럼부(111)의 양 측에 조립하여 제1드럼부(111)의 고정회전축(113)과 동축선상에서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드럼부(111)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3,4조립축부(133,134)는 제2드럼부(112)의 양 측에 조립하여 제2드럼부(112)의 고정회전축(113)과 동축선상에서 제2드럼부(112)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 각각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와의 조립 관계를 도출하여 제1,2드럼부(111,112)를 회전하도록 조립판(135)과, 조립회전축(137)을 구비한다.
상기 조립판(135)은 조립홈(125)에 상응하는 외경의 판상으로 구비하고 고정홀(126)에 상응하는 다수의 장착홀(136)을 배치하여 조립홈(12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조립판(135)은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상기 제1,2드럼부(111,112)에 동축선상에서 착탈식으로 조립 가능하면서 구동수단(103)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제1,2드럼부(111,112)에 효과적으로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조립판(13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은 원판형 또는 그 외의 다각 혀상의 판상으로 형성한다. 조립판(135)의 외형은 상기 조립홈(125)의 내형에 상응하도록 구비하며 조립판(135)이 조립홈(125)에 일치하여 삽입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조립판(135)에는 하기 조립회전축(137)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장착홀(136)을 배치한다.
상기 장착홀(136)은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의 조립판(135)을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의 조립홈(125)에 소정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착탈식으로 조립하기 위해 구비하는 바, 상기 조립홈(125)에 형성하는 고정홀(126)과 상응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립회전축(137)은 조립판(135)의 외측 중심부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에 상응하는 축상으로 동축선상에 형성하고 프레임(102)에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조립회전축(137)은 제1,2드럼부(111,112)를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102)에 장착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구동수단(103)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제1,2드럼부(111,112)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립회전축(137)은 상기 조립판(135)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가 제1,2드럼부(111,112)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2드럼부(111,112)에 내장하는 고정회전축(113)과 상기 조립회전축(137)이 일치하는 작동 구조를 구현하도록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베이어나 프레임의 구조에 따라서 일정 길이로 구비한다.
상기 제1조립축부에는 상기 조립회전축(137)의 단부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하는 회전결합축(13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조립축부는 상기 제1드럼부(111)의 제1고정판부(121)에 조립하여 일측 구동수단(103)과 연동하는 구성으로서 구동수단(103)의 회전력을 제1드럼부(111)에 전달하여 컨베이어 전체를 구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회전결합축(138)은 상기 제1조립축부의 조립회전축(137)에 일체로 구비하되 구동수단(103)에 의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풀리(104)를 축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 및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는, 상기 제1,2드럼부(111,112)의 몸체 보다 강한 재질로 구비하여 마모 및 비틀림 내구성을 향상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는 구동풀리(10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과정 및 프레임(102)에 상기 제1,2드럼부(111,112)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컨베이어벨트(101)에 물품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강한 토크 및 하중이 작용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는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상기 제1,2드럼부(111,112)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강한 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마모가 가속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 및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에 대해서 내구성이 보다 강한 재질을 적용하여 경제적으로 롤러어셈블리의 사용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는 컨베이어벨트(101)의 헤드 및 테일 측에 각각 제1,2드럼부(111,112)를 구비하되, 구동수단(103)과 연동하는 구동풀리(104)에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제1,2드럼부(111,112)의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에 착탈식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즉, 컨베이어벨트(101)의 헤드 측 상기 제1드럼부(111)의 양 측에는 제1,2고정판부(121,122)를 몸체보다 강한 재질로 구비하고 내측에는 고정회전축(113)을 고정한다.
상기 제1,2고정판부(121,122) 각각의 외측에는 제1드럼부(111)의 몸체보다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2조립축부(131,132)를 조립한다. 제1,2고정판부(121,122)의 조립홈(125)에 제1,2조립축부(131,132)의 조립판(135)을 삽입하고 각각의 고정홀(126) 및 장착홀(136)이 상응하도록 위치한 후 소정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한다.
컨베이어벨트(101)의 테일 측 상기 제2드럼부(112)의 양 측에는 제3,4고정판부(123,124)를 몸체보다 강한 재질로 구비하고 내측에는 고정회전축(113)을 고정한다.
상기 제3,4고정판부(123,124) 각각의 외측에는 제2드럼부(112)의 몸체보다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3,4조립축부(133,134)를 조립한다. 제3,4고정판부(123,124)의 조립홈(125)에 제3,4조립축부(133,134)의 조립판(135)을 삽입하고 각각의 고정홀(126) 및 장착홀(136)이 상응하도록 위치하여 소정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1,2드럼부(111,112)에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가 조립된 상태로 헤드 및 테일 측 프레임(102)에 제1,2드럼부(111,112)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엔드리스 벨트(101)를 제1,2드럼부(111,112)에 장착한다.
상기 제1드럼부(111)의 제1고정판부(121)에 조립된 제1조립축부에 구비하는 회전결합축(138)에 구동수단(103)과 연동하는 구동풀리(104)를 장착하여 구동하고 회전력을 제1드럼부(111)에 전달하여 롤러어셈블리를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101)를 회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에 작용하는 토크 및 하중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면 교체 대상이 되는 조립축부만을 상기 조립 순서의 역순으로 드럼부의 고정판부로부터 분리하고 교체하여 조립하면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는 컨베이어의 벨트를 구동하는 롤러어셈블리를 조립, 교체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마모나 내구성 문제가 주로 발생하는 조립축부만을 별도로 교체하여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회전축 샤프트 부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어셈블리를 교체해야 했던 것에 비해 교체 작업시 소수의 인원에 의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하고 전체적인 조업시간을 증대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1: 벨트
102: 프레임
103: 구동수단
104: 구동풀리
111,112: 제1,2드럼부
113: 고정회전축
121~124: 제1 내지 제4고정판부
125: 조립홈
126: 고정홀
131~134: 제1 내지 제4조립축부
135: 조립판
136: 장착홀
137: 조립회전축
138: 회전결합축

Claims (3)

  1. 컨베이어벨트(101)의 헤드 및 테일 측에 각각 구비하고 고정회전축(113)을 내장하는 제1,2드럼부(111,112)와,
    상기 제1,2드럼부(111,112) 각각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호 대향하는 내측에 상기 고정회전축(113)의 양단을 결합하는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와,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 각각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과 동축선상에 조립식으로 장착하고 구동수단(103)과 연동하여 제1,2드럼부(111,112)를 회전하도록 구비하는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는,
    외측 중심부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보다 큰 반경으로 일정 깊이를 요입 형성하는 조립홈(125)과,
    조립홈(125)의 내측에서 환형으로 다수를 배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를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홀(126)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는,
    조립홈(125)에 상응하는 외경의 판상으로 구비하고 고정홀(126)에 상응하는 다수의 장착홀(136)을 배치하여 조립홈(12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조립판(135)과,
    조립판(135)의 외측 중심부에서 상기 고정회전축(113)에 상응하는 축상으로 동축선상에 형성하고 프레임(102)에 결합하는 조립회전축(137)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회전축(137)과 상기 조립판(135)은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제1조립축부(131)에는,
    조립회전축(137)의 단부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하여 구동수단(103)에 의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풀리(104)를 축 결합하는 회전결합축(138)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판부(121~124) 및 제1 내지 제4조립축부(131~134)는, 상기 제1,2드럼부(111,112)의 몸체 보다 강한 재질로 구비하여 마모 및 비틀림 내구성을 향상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KR1020200182179A 2020-12-23 2020-12-23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 KR10247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179A KR102474003B1 (ko) 2020-12-23 2020-12-23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179A KR102474003B1 (ko) 2020-12-23 2020-12-23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054A KR20220091054A (ko) 2022-06-30
KR102474003B1 true KR102474003B1 (ko) 2022-12-02

Family

ID=8221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179A KR102474003B1 (ko) 2020-12-23 2020-12-23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0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3490A (ja) 2010-04-01 2011-10-27 Won-Jin Kim ベルトコンベヤー用ローラ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1121B1 (it) 1995-12-29 1998-02-11 C P M S P A Costruzioni Prefab Trasportatore per un impianto di movimentazione di carichi.
TW351330U (en) 1996-02-14 1999-01-21 Sanki Eng Co Ltd Driving apparatus for a compact belt conveyer
JPH1120928A (ja) * 1997-07-03 1999-01-26 Mitsubishi Steel Mfg Co Ltd 泥土の付着し難いコンベヤー用のローラー
KR100907186B1 (ko) 2002-08-22 2009-07-1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KR20090070115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KR101322896B1 (ko) 2013-03-07 2013-10-29 기쁨과 행복 (주) 벨트 컨베이어의 드럼 풀리
KR102078135B1 (ko) * 2018-05-04 2020-02-17 대양비엔티(주) 컨베이어용 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3490A (ja) 2010-04-01 2011-10-27 Won-Jin Kim ベルトコンベヤー用ロー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054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5232B1 (en) Motorized transport roller
US7270232B2 (en) Conveyor belt drive roller
US5702316A (en) Modular split sprocket assembly
US11130639B2 (en) Modular pulley for continuous belt conveyor system
US6523678B2 (en) Conveyor pulley with quick-change features
KR102474003B1 (ko) 컨베이어벨트 롤러어셈블리
KR20170003820U (ko) 테이블 소터용 회전 소팅 유닛
JP2627505B2 (ja) キー装置
US2884798A (en) Round chain saw sprocket
US2686590A (en) Self-centering belt conveyer and direction changing pulley therefor
JP5137101B2 (ja) コンベヤ装置
KR101120030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CN110369784A (zh) 用于切割管状件的切割机
KR101267606B1 (ko) 벨트 컨베이어
CN210648746U (zh) 用于切割管状件的切割机
JP4323222B2 (ja) 自動調芯プーリ及び自動調芯プーリを備えるベルト駆動装置
KR20170116797A (ko) 테이블 소터용 회전 소팅 유닛
KR100914736B1 (ko)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KR101956477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JP3227121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ア
KR101849006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200216593Y1 (ko) 벨트컨베이어용 풀리의 편마모 방지장치
KR102670680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CN202828748U (zh) 矿用刮板输送机及刮板输送机用机尾轮
KR101181724B1 (ko) 컨베이어용 헤드드럼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