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545B1 - Non Removing Beam Form Assembly for Preventing - Google Patents
Non Removing Beam Form Assembly for Preven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0545B1 KR102470545B1 KR1020210192676A KR20210192676A KR102470545B1 KR 102470545 B1 KR102470545 B1 KR 102470545B1 KR 1020210192676 A KR1020210192676 A KR 1020210192676A KR 20210192676 A KR20210192676 A KR 20210192676A KR 102470545 B1 KR102470545 B1 KR 1024705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vertical member
- horizontal direction
- length
- cen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3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2003/023—Lint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해체 보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댐 구조가 구비된 거푸집을 미리 제작하여 시공 현장에 공급함으로써, 현장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시 누액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for non-dismantling beams, in which a formwork equipped with a dam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leakage of concrete liquid to be poured is manufactured in advance and supplied to the construction site, thereby promoting the convenience of on-site construction and at the same time leaking during concrete pour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ffectively prevents.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천장 아래쪽으로 보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보 거푸집을 설치한다. In general, a beam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below the ceiling, and in order to form such a beam, a beam formwork capable of pouring concrete is installed.
종래의 보 거푸집은 주로 합판 소재로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제거되는 탈형 보 거푸집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탈형 보 거푸집은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거푸집 해체시 콘크리트 외부면의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최근에는 무해체(비탈형) 보 거푸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Conventional beam formwork is mainly a plywood material, and most of the demoulded beam formwork is removed when concrete is cured. However, these demoulding beam formworks have problems such as reduced work efficiency and damage to the outer surface of concrete when dismantling the formwork.
최근 이용되는 무해체(비탈형) 보 거푸집은 스틸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는데, 경제성을 위해 얇은 플레이트 구조의 판을 용접하거나 절곡시켜서 사용한다. The recently used non-dismantling (slope type) beam formwork uses materials such as steel, and for economy, it is used by welding or bending a plate of a thin plate structure.
이러한 무해체 보 거푸집을 설치한 후 데크 플레이트 설치 및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200mm 정도의 간격으로 스크류 볼트를 체결하여 무해체 보 거푸집을 구성하는 수직부재(측판) 상단부에 데크 플레이트 단부가 맞닿도록 조립하게 된다.After installing such a dismantled beam formwork, deck plate installation and assembly are performed. Typically, screw bolts are fastened at intervals of about 200 mm so that the end of the deck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side plate) constituting the non-dismantled beam formwork. assemble the catalog.
데크 플레이트는 통상적으로 600mm 정도의 일정한 폭으로 제작이 되며, 다수의 데크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필요로 하는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The deck plate is typically manufactured with a constant width of about 600 mm, and is installed at a required positio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eck plates.
이와 같은 생산 및 조립 방식으로 인해 데크 플레이트 바닥의 평탄도가 일정하게 형성되기 어려우며, 평탄도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1과 같이 무해체 보 거푸집의 수직부재(측판) 상단부에 맞닿도록 데크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스크류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하면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가 맞닿은 틈새를 통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액이 누출되어 무해체 보 거푸집의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별도의 세척 공정을 통하여 누출된 콘크리트액을 제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Due to this production and assembly method,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 flatness of the bottom of the deck plate, and in a state where the flatness is not secured, as shown in FIG. After arrangement, if the screw bolts are fastened and combi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ured concrete liquid leaks through the gap where the dismantled beam formwork and the deck plate meet and flows to the outside of the non-dismantled beam formwork, which requires a separate cleaning process. It is accompanied by the hassle of having to remove the leaked concrete liquid through the process.
이러한 세척 공정의 번거로움을 회피하기 위하여 무해체 보 거푸집의 수직부재(측판) 상부에 별도의 스펀지 테이핑 처리를 수행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법이 적용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에도 추가 공정에 따른 비용 증가가 수반될 수 밖에 없다. In order to avoid the hassle of such a cleaning process, a separate sponge taping treatment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member (side plate) of the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crete solution being poured. Even in this case, an additional process will inevitably result in an increase in cost.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등록특허 제10-2270884호Registered Patent No. 10-2270884
등록특허 제10-2193713호Registered Patent No. 10-2193713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s follows.
첫째, 데크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위를 통한 콘크리트액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무해체 보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Fir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concept of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concrete liquid through a portion connected to a deck plate.
둘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수직부재(측판)이 추가될 경우에도 수직부재(측판) 사이의 연결부위를 통한 콘크리트액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무해체 보 거푸집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Second, even when the vertical members (side plates) of the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are add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concept of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leakage of concrete liquid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side plates). for another purpose.
셋째,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누출(누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댐 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무해체 보 거푸집을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현장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Thir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on-site construction by prefabricating and providing a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equipped with a dam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leakage) of the poured concrete liquid to the site. to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은 선조립되어 현장에 공급되는 무해체 보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보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부재(110); 상기 하부부재(1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부재(11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부재(210); 상기 하부부재(1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부재(110)의 타측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수직부재(220); 및,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및 상기 제2수직부재(220) 각각의 상단은 보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 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하향 절곡된 " ┏┓"형의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의 좌우 양측 단부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제1걸림돌기(2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that is pre-assembled and supplied to the site,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the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Technic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데크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위를 통한 콘크리트액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concrete liquid through a portion connected to the deck plate.
둘째, 무해체 보 거푸집의 수직부재(측판)이 추가될 경우에도 수직부재(측판) 사이의 연결부위를 통한 콘크리트액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econd, even when the vertical member (side plate) of the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is add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eakage of concrete liquid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side plate).
셋째,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누출(누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댐 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무해체 보 거푸집을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현장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on-site construction by pre-manufacturing and providing a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equipped with a dam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leakage) of the poured concrete liquid to the site.
도1은 종래의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 부위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조립도이다.
도4는 데크 플레이트와 맞닿는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의 제1걸림돌기(270)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제1수직연장부재(310) 및 제2수직연장부재(320)가 추가될 경우를 도시한다.
도6은 수직연장부재하단지지부(330)와 수직부재상단지지부(340)가 서로 맞닿는 부위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1 exemplarily shows a cross section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conventional dismantled beam formwork and a deck plat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ssembly vie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Figure 5 shows the case where the first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the vertical extension memb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선조립되어 현장에 공급되는 무해체 보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부재(110), 제1수직부재(210), 제2수직부재(220) 및 개방형스트럽(51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pre-assembled and supplied to the site, as shown in FIG. 2 or 3, the
하부부재(110)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보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도2 또는 도3의 경우 편의상 하부부재(110)의 길이를 단축하여 도시한 것이다.The
제1수직부재(210)는 하부부재(1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부재(11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first
제2수직부재(220)는 하부부재(1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부재(110)의 타측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second
하부부재(110)에는 상향 돌출되는 하부돌출부(120)가 구비되어 하부부재(110)의 휨이나 비틀림 강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개방형스트럽(510)의 하부와 맞닿아 용접 결합되는 부위가 된다.The
하부돌출부(120)의 상단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개방형스트럽(510)과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An upper end of the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 각각에는 보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수평돌출부(240)가 구비되어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 각각의 휨이나 비틀림 강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개방형스트럽(510)의 좌우 양측에 맞닿아 용접 결합되는 부위가 된다. Each of the first
제1수평돌출부(240)의 경우에도 끝단이 하향 또는 상향 절곡되어 개방형스트럽(510)과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Even in the case of the first
하부부재(110)의 양측 단부 각각에는 상향 절곡된 후 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다시 하향 절곡된 "┏┓"형의 하부부재결착홈(130)이 구비된다.Each of both ends of the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 각각은 하단 모서리 부위에서 보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향 절곡된 후, 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다시 하향 절곡되어 하부부재(110)의 하부부재결착홈(130) 각각의 하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수직부재하단결착부(250)가 구비된다.Each of the first
이러한 수직부재하단결착부(250)는 하부부재결착홈(130) 각각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하부부재(110)의 좌우 양측에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가 결합되고, 필요에 따라 용접 공정이 추가되어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vertical member lower end fastening
상부가 개방된 "∪"형의 개방형스트럽(510)은 하부돌출부(120) 및 제1수평돌출부(240)에 맞닿아 용접 결합되면서 하부부재(110),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로 형성되는 공간 내부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무해체 보 거푸집 내부의 전단 응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 type
아울러, 개방형스트럽(510)을 사용함으로써 현장에서 보의 길이 방향으로 배근될 다수의 철근(도시 생략)을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쉽게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 각각의 상단은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보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 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하향 절곡되는데, 이를 통하여 " ┏┓"형의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를 형성하고, 이러한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의 좌우 양측 단부 각각이 상향 돌출되어 제1걸림돌기(270)를 형성한다.The top of each of the first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제1걸림돌기(270)는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 각각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 좌우 양측 단부 가운데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이러한 제1걸림돌기(270)에는 데크 플레이트의 일측의 하부가 맞닿아 결합되는데, 제1걸림돌기(27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댐 역할을 하게 된다.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deck plate is abutted and coupled to the
즉, 데크 플레이트의 평탄도가 완벽하게 확보되지 않더라도 데크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를 제1걸림돌기(270)에 밀착시켜 결합 부위의 틈새를 막아 콘크리트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at is, even if the flatness of the deck plate is not perfectly secured,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deck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보의 높이를 확장할 경우에는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제1수직연장부재(310)와 제2수직연장부재(320)를 추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extending the height of the beam, as shown in FIG. 5, a first
제1수직연장부재(310)는 제1수직부재(2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제1수직부재(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보의 높이를 확장한다.The first
제2수직연장부재(320)는 제2수직부재(22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제2수직부재(2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보의 높이를 확장한다.The second
제1수직연장부재(310) 및 제2수직연장부재(320) 각각의 상단에도 제1수직부재(210) 및 제2수직부재(220)와 마찬가지로 수직연장부재상단지지부(340)와 제2걸림돌기(350)가 구비된다.At the top of each of the first
제2걸림돌기(350)의 경우에도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연장부재상단지지부(340) 각각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 좌우 양측 단부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고,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Even in the case of the
제1수직연장부재(310) 및 제2수직연장부재(320) 각각의 하단부는 보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연장부재하단지지부(330)가 구비된다.The lower end of each of the first vertically extending
이러한 수직연장부재하단지지부(330)는 도6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에 안착되어 맞닿는 구조로 결합되고, 필요에 따라 용접 공정이 추가되어 결합력을 증대시킨다.As shown in FIG. 6, the vertical extension member
이 경우에도 제1걸림돌기(27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이 결합 부위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댐 역할을 하게 된다.Even in this case, the
수직연장부재하단지지부(330)는 도6 (a) 및 (b)에 구체적 실시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의 제1걸림돌기(270)의 형상에 상응하여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The vertical extension member
또한 제1수직연장부재(310) 및 제2수직연장부재(320) 각각에는 보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수평돌출부(360)가 구비되어, 강도 보강과 함께 개방형스트럽(510)과 맞닿아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vertically extend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균등한 구성요소로의 치환에 따른 단순 설계변경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e addition of known technologies within the scope of not changing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even in the case of deletion, simple numerical limitation, simple design change due to substitution with equivalent components, etc.,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10:하부부재
120:하부돌출부
130:하부부재결착홈
210:제1수직부재
220:제2수직부재
230:브라켓결합부
240:제1수평돌출부
250:수직부재하단결착부
260:수직부재상단지지부
270:제1걸림돌기
310:제1수직연장부재
320:제2수직연장부재
330:수직연장부재하단지지부
340:수직연장부재상단지지부
350:제2걸림돌기
360:제2수평돌출부
510:개방형스트럽110: lower member
120: lower protrusion
130: lower member reconnection groove
210: first vertical member
220: second vertical member
230: bracket coupling part
240: first horizontal protrusion
250: vertical member lower binding part
260: vertical member upper support
270: first stumbling block
310: first vertical extension member
320: second vertical extension member
330: vertical extension member lower support
340: vertical extension member upper support
350: second stumbling block
360: second horizontal protrusion
510: open stirrup
Claims (6)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보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부재(110);
상기 하부부재(1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부재(11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부재(210);
상기 하부부재(1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부재(110)의 타측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수직부재(220); 및,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및 상기 제2수직부재(220) 각각의 상단은 보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 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하향 절곡된 " ┏┓"형의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의 좌우 양측 단부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제1걸림돌기(270);
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부재(110)에는 상향 돌출되는 하부돌출부(120);
가 구비되고,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및 상기 제2수직부재(220) 각각에는 보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수평돌출부(24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It is about a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pre-assembled and supplied to the site,
A lower member 11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beam;
A first vertical member 21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member 110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lower member 110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vertical member 22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member 110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member 110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top of each of the first vertical member 210 and the second vertical member 220 is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beam, then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bent downward again, "┏┓" type vertical member upper support portion (260). );
including,
Each of the vertical member upper support portions 260,
first protrusions 270 protruding upward from either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ly extended portion;
form,
The lower member 110 includes a lower protrusion 120 that protrudes upward;
is provided,
Each of the first vertical member 210 and the second vertical member 22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protrusion 240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beam;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for leak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상부가 개방된 "∪"형의 개방형스트럽(510);
이 더 포함되며,
상기 개방형스트럽(510)은 상기 하부돌출부(120) 및 상기 제1수평돌출부(240)에 맞닿아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In paragraph 1,
"∪" type open stirrup 510 with an open top;
It includes more
The open stirrup 510 is a non-dismantling beam formwork for preventing leakage, characterized in that welded to the lower protrusion 120 and the first horizontal protrusion 240.
상기 하부부재(110)의 양측 단부 각각에는 상향 절곡된 후 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다시 하향 절곡된 "┏┓"형의 하부부재결착홈(130);
이 구비되고,
상기 제1수직부재(210) 및 상기 제2수직부재(220) 각각은 하단 모서리 부위에서 보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향 절곡된 후 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다시 하향 절곡되어 상기 하부부재결착홈(130) 각각의 하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부재결착홈(130) 각각에 끼워지는 수직부재하단결착부(250);
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In either of paragraphs 1 or 2,
At each end of both sides of the lower member 110, after being bent upward, the lower member fastening groove 130 of the "┏┓" type extends horizontal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beam and is bent downward again;
is provided,
Each of the first vertical member 210 and the second vertical member 220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corner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beam and is bent upward, then extends horizontal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beam and bends downward agai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hape of each of the lower member fastening grooves 130, the vertical member lower fastening portion 25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lower member fastening grooves 130;
Dismantled beam formwork for leak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상기 제1수직부재(2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수직부재(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보의 높이를 확장하는 제1수직연장부재(310); 및,
상기 제2수직부재(22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수직부재(2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보의 높이를 확장하는 제2수직연장부재(320);
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수직연장부재(310) 및 상기 제2수직연장부재(320) 각각의 하단부는 보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연장부재하단지지부(330);
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연장부재하단지지부(330)가 상기 수직부재상단지지부(260)에 안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In paragraph 3,
A first vertical extension member 31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member 21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member 210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extend the height of the beam; and,
A second vertical extension member 32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cond vertical member 22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member 220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extend the height of the beam;
is further included,
The first vertical extension member 310 and the second vertical extension member 320, each lower end of the vertical extension member lower support portion 330 is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beam;
It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extension member lower support portion 330 is seated on the vertical member upper support portion 260.
상기 제1수직연장부재(310) 및 상기 제2수직연장부재(320) 각각의 상단은 보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 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하향 절곡되어 " ┏┓"형의 수직연장부재상단지지부(340);
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연장부재상단지지부(340)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의 좌우 양측 단부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제2걸림돌기(350); 및,
상기 제1수직연장부재(310) 및 상기 제2수직연장부재(320) 각각에는 보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수평돌출부(360);
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
In paragraph 4,
The upper ends of each of the first vertical extension member 310 and the second vertical extension member 320 are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beam, then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bent downward again to form the upper end of the "┏┓" type vertical extension member. support 340;
form,
Each of the vertical extension member upper support portions 340 protrudes upward from either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es a second holding protrusion 350; and,
A second horizontal protrusion 360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beam in each of the first vertically extending member 310 and the second vertically extending member 320;
Dismantled beam formwork for leak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2676A KR102470545B1 (en) | 2021-12-30 | 2021-12-30 | Non Removing Beam Form Assembly for Preven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2676A KR102470545B1 (en) | 2021-12-30 | 2021-12-30 | Non Removing Beam Form Assembly for Prevent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0545B1 true KR102470545B1 (en) | 2022-11-25 |
Family
ID=8423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2676A Active KR102470545B1 (en) | 2021-12-30 | 2021-12-30 | Non Removing Beam Form Assembly for Preven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054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4796B1 (en) * | 2019-01-14 | 2019-11-14 | 노영곤 | the girder form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eck composite |
KR102341842B1 (en) * | 2021-01-22 | 2021-12-22 | 신희경 | Non-disband beam mold |
-
2021
- 2021-12-30 KR KR1020210192676A patent/KR1024705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4796B1 (en) * | 2019-01-14 | 2019-11-14 | 노영곤 | the girder form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eck composite |
KR102341842B1 (en) * | 2021-01-22 | 2021-12-22 | 신희경 | Non-disband beam mol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3670B1 (en) |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 |
KR101781603B1 (en) |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 |
KR102341842B1 (en) | Non-disband beam mold | |
KR102149461B1 (en) |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 |
KR20180045140A (en) | The structure of non-binding dismantling formwork beams and deck plates without the need to secure jobs | |
KR101860512B1 (en) | Method for reinforcing cross section installation of ground and underwater structure using integral mold module | |
KR100949785B1 (en) | Mold for making PC beam | |
KR10229229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internal reinforcement of bridge girder | |
KR100923564B1 (en) | Precast bridge deck using steel plat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 |
KR102477572B1 (en) | Non Removing Beam Form Assembly | |
KR101625995B1 (en) | Precast deck and slab having the same | |
KR102470545B1 (en) | Non Removing Beam Form Assembly for Preventing | |
KR100203016B1 (en) | Monolithic beam form | |
KR20230170469A (en) | Syste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beam | |
CN114000408A (en) | Prefabricated bridge de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634344B1 (en) | Composite bottom plate and its connection structure | |
KR100539333B1 (en) | Drain board structure for under ground basement | |
KR102332143B1 (en) | Combined construction structure of pc slab and pc girder for construction of warehouse | |
JPH10159227A (en) | Precast concrete floor slab | |
KR20230135326A (en) | PC double pannel using hoop shaped member | |
KR200380424Y1 (en) | Drain board structure for under ground basement | |
CN113293906A (en) | Steel bar truss floor support plate | |
KR100447860B1 (en) | Concrete structure strengthen method and stregthen structure thereof | |
KR0145358B1 (en) | Method of building slabs | |
JP7499294B2 (en) | Structural slit member and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