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248B1 - Multi Drum-type foreign substance adsorption screening device - Google Patents
Multi Drum-type foreign substance adsorption screen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8248B1 KR102468248B1 KR1020220082830A KR20220082830A KR102468248B1 KR 102468248 B1 KR102468248 B1 KR 102468248B1 KR 1020220082830 A KR1020220082830 A KR 1020220082830A KR 20220082830 A KR20220082830 A KR 20220082830A KR 102468248 B1 KR102468248 B1 KR 1024682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eign matter
- conveyor belt
- aggregate
- screen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6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49 combusti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51 Alloy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37 lozen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콘베이어 벨트에 균일하게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된 후드가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스크린 드럼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 사이에 골재를 뒤집어주는 반전자를 설치하여 골재의 하부에 깔린 이물질도 제거 가능도록 구성되어 이물질 제거 성능이 향상된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측에 배치된 원판형의 제1,2 측판과 상기 제1,2 측판을 둘러감는 분리망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측판이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스크린 드럼;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골재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트를 향해 오픈되어 석션팬에서 생성된 흡인력을 상기 콘베이어 벨트에 제공하는 후드; 및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 각각의 제1 측판 중심에 결합되어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을 동시에 축회전시키는 회전축;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판은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후드에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골재 내 이물질에 가해져, 상기 이물질이 상기 분리망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creen drums in which a hood manufactured to provide a uniform suction force to a conveyor belt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disposed therein, and the half flips the aggregate between the pair of screen drums. It relates to a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sorting device with improved foreign matter removal performance by installing electrons to be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of the aggregat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c-shaped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and a separation network surround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nd the first side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a pair of screen drums; Hoods disposed inside the pair of screen drums and open toward the conveyor belt transporting the aggregate to provid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fan to the conveyor belt; and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side plate of each of the pair of screen drums to simultaneously pivot the pair of screen drums by externally applied power.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side plate is formed with an open hole, and the suction force provided to the hood is applied to the foreign matter in the aggregate conveyed to the conveyor belt through the separation network,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adsorbed to the separation network. It provides a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transport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creen drum and discharged in a section where the suction force is not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U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콘베이어 벨트에 균일하게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된 후드가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스크린 드럼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 사이에 골재를 뒤집어주는 반전자를 설치하여 골재의 하부에 깔린 이물질도 제거 가능도록 구성되어 이물질 제거 성능이 향상된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creen drums in which a hood manufactured to provide a uniform suction force to a conveyor belt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disposed therein, and the half flips the aggregate between the pair of screen drums. It relates to a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sorting device with improved foreign matter removal performance by installing electrons to be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of the aggregate.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보고서(2019, 환경부·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전체 폐기물 중 건설폐기물은 48.1%를 차지하고 있고, 건설폐기물 발생량은 2018년 206,951톤/일으로 전년 196,262톤/일 대비 5.4%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순환골재 재활용제품 사용용도 및 의무사용량에 관한 고시(2017, 환경부)”를 통해, 건설폐기물에서 선별하여 재활용될 수 있는 순환골재를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이 발주하는 건설공사에 대하여 의무 사용하도록 규정하였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Status Report (2019,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onstruction waste accounts for 48.1% of total waste, and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was 206,951 tons/day in 2018, a 5.4% increase from 196,262 tons/day in the previous year. did Accordingly, through the “Announcement on the Use and Mandatory Amount of Recycled Aggregate Recycled Products (2017,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rders recycled aggregates that can be recycled by sorting them out of construction wastes from the state,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It is stipulated that it must be used for construction work.
다만, 최근 건설현장의 분별해체 노력에도 불구하고 폐콘크리트에 폐목재, 폐플라스틱, 폐비닐 등의 가연성폐기물을 선별하는 것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현재는 폐콘크리트에 대한 1,2차 파쇄공정 전·후에 인력선별, 풍력선별, 습식선별 등의 방식으로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경량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However, despite the recent efforts to separate and dismantle construction sites, sorting combustible waste such as waste wood, waste plastic, and waste vinyl from waste concrete remains an unsolved problem. Therefore, at present,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ste concrete are removed by methods such as manual screening, wind power screening, and wet screening before and after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processes for waste concrete.
그러나 인력 부족, 풍력선별 시 송풍압의 부족, 수분흡착에 의한 침전 등의 문제로 미선별된 가연성폐기물은 3차 파쇄공정과 4차 파쇄공정의 반복된 파쇄·마쇄공정에 재투입됨으로서 더 작게 분쇄되고, 결국 순환골재 내 소형 이물질로 혼입되어 순환골재 품질 불안정,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However, combustible wastes that have not been sorted due to problems such as lack of manpower, lack of wind pressure during wind power sorting, precipitation due to moisture adsorption, etc. are re-entered into the repeated crushing and grinding processes of the 3rd and 4th crushing processes, so they are pulverized into smaller pieces. Eventually, it is mixed as a small foreign substance in the recycled aggregate, causing problems such as unstable recycled aggregate quality and reduced productivity.
소형 이물질 분리선별 방법으로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물 위에 부상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습식 선별이 이용되고 있으나 다량의 폐수와 슬러지가 발생되어 토양 및 수질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세척수가 얼어 이물질 분리선별이 어려워지므로, 사계절 장비 운용에 한계가 있다.As a method for separating and sorting small foreign substances, wet sorting is used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loating on water using washing wate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wastewater and sludge are generated, causing soil and water pollution. 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water freezes in winter, it becomes difficult to separate and sort foreign substances, so there is a limit to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n all seasons.
반면, 바람을 이용한 풍력 선별은 송풍장치의 바람을 일으켜 이물질의 중량차를 이용한 것으로 순환골재 내에 포합된 가연성 폐기물을 분리선별하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되어 사이클론을 이용한 풍력 선별방식에 대한 다수의 연구 사례가 있다. 단, 위와 같은 사이클론 방식은 비중이 낮은 골재가 이물질과 함께 분리될 수 있으며 송풍에 의해 미세분진이 비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밀폐형 다단 송풍 방식 등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장비 소형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기존 순환골재 선별 공정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ind power sorting using wind is a method of separating and sorting combustible waste contained in recycled aggregate by using the weight difference of foreign substances by generating wind from a blower. In this regard, there are a number of research cases on the wind power sorting method using a cyclone. However, the cyclone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aggregate with a low specific gravity can be separated along with foreign substances and fine dust is scattered by blow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on a closed multi-stage blowing method is being conducted, but it is not applied to the existing recycled aggregate screening process due to the difficulty of miniaturizing the equipment.
특허 제10-2029736호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흡입 선별 장치"는 「경사면에 공급된 골재를 하방향으로 내려보내 주되, 상하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진동에 의해 상기 골재 내 이물질이 비중차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진동 선별 공급기; 상기 진동 선별 공급기에서 배출된 골재를 받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트; 상기 진동 선별 공급기에서 골재가 배출되는 지점 상부에 설치되어, 석션펌프를 통해 도입되는 흡인력을 제공하는 흡입장치; 및 상기 흡입장치 둘레에 형성된 궤도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스크린 벨트; 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장치에서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스크린 벨트를 통해 상기 배출된 골재 내 이물질에 가해져, 상기 이물질이 상기 스크린 벨트에 흡착된 상태로 골재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배출되도록 구성된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흡입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Patent No. 10-2029736 "vibration-suction sorting device for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is "a vibration supply means for sending aggregate supplied to a slope downward and causing vertical vibration is provided, Vibration screening feeder that allows foreign substances to be discharged in a state separated by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 conveyor belt for receiving the aggregate discharged from the vibration sorting feeder and transporting it in one direction; a suction device installed above the point where the aggregate is discharged from the vibration sorting feeder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introduced through a suction pump; and a screen belt installed along a track formed around the suction device and advan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Including,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suction device is applied to the foreign matter in the discharged aggregate through the screen belt, and the foreign material is adsorbed to the screen belt and is configured to be transported and dischar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aggregate A vibration-suction sorting device for internal foreign substances” is provided.
위와 같은 특허 제10-2029736호는 진동과 흡입력 제공을 위한 간단한 장치 구성에 의해 다양한 종류와 성상의 경량 이물질을 골재로부터 효율적으로 선별해 낼 수 있다.Patent No. 10-2029736 as described above can efficiently sort out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of various types and properties from aggregates by a simple device configuration for providing vibration and suction power.
그러나, 기존의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는 이송 시 폐기물이 진동, 바람에 의하여 비산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기존의 순환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스크린 벨트의 경우 하단이 수평하게 구성되어 흡입장치의 흡입력이 U자형 컨베이어 벨트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conveyor belts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 wastes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to prevent the wastes from scattering and escaping due to vibration and wind during transportation. In the case of the bel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device was not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U-shaped conveyor belt because the lower end was configured horizontally.
또한, 순환궤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 회전축 및 스크린 벨트와의 결합부재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면서 지속적으로 분류망을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골재의 하단에 깔린 이물질은 흡입장치의 흡입력이 전달될 때 골재의 중량에 의하여 흡입되지 않으므로 골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In addition, since a coupl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shafts and a screen belt must be provided to form a circular orbit, the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transporting the sorting net while having a simpler structure has emerged. In addition, since the foreign matter on the lower part of the aggregate is not sucked in by the weight of the aggregate when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device is transmitted, a study on how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aggregate must be conducted together.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스크린 드럼의 분리망에 흡인력을 투과토록 함으로써, 골재와 섞인 채 이송되는 종이, 나무조각, 스티로폼, 비닐 등의 이물질이 한 쌍의 스크린 드럼의 분리망에 순차적으로 흡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별하는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ermeates the suction force through the separation network of the continuously rotating screen drum, so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paper, wood chips, styrofoam, and vinyl, which are transported while being mixed with aggregate, are sequentially adsorbed to the separation network of a pair of screen drum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sorting device that sorts in a wa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 사이에 설치되어 골재의 하단에 깔린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반전자를 포함한 이물질의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 구성을 함께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cal configuration capable of increas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an inverter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creen drums to additionally separate foreign substances spread at the bottom of the aggregate. .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양측에 배치된 원판형의 제1,2 측판과 상기 제1,2 측판을 둘러감는 분리망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측판이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스크린 드럼;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골재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트를 향해 오픈되어 석션팬에서 생성된 흡인력을 상기 콘베이어 벨트에 제공하는 후드; 및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 각각의 제1 측판 중심에 결합되어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을 동시에 축회전시키는 회전축;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판은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후드에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골재 내 이물질에 가해져, 상기 이물질이 상기 분리망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c-shaped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and a separation network surround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nd each of the first side plates is opposed to each other" ) a pair of screen drums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oods disposed inside the pair of screen drums and open toward the conveyor belt transporting the aggregate to provid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fan to the conveyor belt; and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side plate of each of the pair of screen drums to simultaneously pivot the pair of screen drums by externally applied power.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side plate is formed with an open hole, and the suction force provided to the hood is applied to the foreign matter in the aggregate conveyed to the conveyor belt through the separation network,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adsorbed to the separation network. It provides a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transport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creen drum and discharged in a section where the suction force is not provided.
또한,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서포트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frame provided to support the rotation shaft.
또한, 상기 석션팬은 상기 후드와 직결되어 상기 스크린 드럼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fan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hood and disposed inside the screen drum.
또한, 일단이 상기 스크린 드럼의 외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측판의 개방홀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 드럼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후드를 지지하는 캔틸레버암(Cantilever Arm);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antilever arm having one e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drum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screen drum through an open hole of the second side plate to support the hoo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 사이에 구비되되,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반전자(反轉子);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전자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 상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이동에 따라 하단부가 골재와 충돌함으로써 골재의 위상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vertical member, one or more inverter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creen drums and disposed so that the lower end is close to the conveyor belt; Further comprising, the inverter may be arrang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so that the lower end collides with the aggreg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veyor belt, thereby inverting the phase of the aggregate.
1. 한 쌍의 스크린 드럼 사이의 반전자가 골재를 반전시킴으로써, 전 단계의 스크린 드럼에서 제거되지 않은 골재의 하단에 깔린 이물질을 제거 가능하다.1. By inverting the aggregate between a pair of screen drums, it is possib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of the aggregate that were not removed in the previous screen drum.
2. 상기 회전축의 중단을 중심으로 양측에 동일한 중량으로 구성된 스크린 드럼이 결합되어 양측에 하중이 균일하게 배분되므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등 별도의 중량 배분을 위한 부재가 필요치 않다.2. Since screen drums composed of the same weight are coupled to both sides around the middle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on both sides, a member for separate weight distribution such as a counter weight is not required.
3. 본 발명의 스크린 드럼은 순환궤도형의 스크린에 비하여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고장의 위험이 낮아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3. The screen dru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compared to a circular orbit type screen, so the production cost can be lowered, and the risk of failure is low, so maintenance costs are reduced.
4. 스크린 드럼 내부에 배치된 후드와 셕션팬은 서로 직결되어 별도의 유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타 설비와 간섭이 없고,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장비 구성이 간단하며, 타 설비와의 간섭이 없으므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 중 원하는 지점에 필요한 수량만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4. The hood and section fan placed inside the screen drum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flow path, so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other facilities, it occupies a small installation area, the equipment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other facilities.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required quantity at a desired point among waste intermediate treatment facilities.
5. 원통형으로 구성된 스크린 드럼의 외주연을 따라서 이물질이 부착되어 이송되고,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될 경우, 스크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보다 원할하게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다.5. When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and transpor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screen drum and discharged in a section where no suction force is provided, the foreign substances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more smoothly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en drum.
6. 스크림 드럼 분리망의 외연에 복귀차단망을 구비하여 정전기 및 여력에 의해 상기 분리망에 붙어 이동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털어내어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6. A return interception net is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scrim drum separation net to facilitate discharge by effectively shaking off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separation net and moving by static electricity and excess force.
7. 분리망이 모듈별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손상된 분리망 모듈만 신속하게 교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7. Since the separation network can be replaced by module, only the damaged separation network module can be quickly replaced, making maintenance easy.
[도 1]은 본 발명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물질이 스크린 드럼의 분리망에 흡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이탈되는 과정의 개념도이다.
[도 3]은 한 쌍의 스크린 드럼과 그 사이에 배치된 반전자를 골재가 순차적으로 통과할 경우 골재와 이물질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반전자의 종류에 따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의 동력 전달부 및 베어링 하우징를 확대한 실시예이다.
[도 6]은 한 쌍의 스크린 드럼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서포트 프레임이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망이 모듈구조로 설치되어 탈착되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and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rocess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moved while being adsorbed to the separation net of the screen drum and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in a section where no suction force is provided.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aggregate and foreign matter when aggregate sequentially passes through a pair of screen drums and an inverter disposed therebetween.
[Figure 4] shows the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inverter.
[Figure 5] is an enlarged embodi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bearing housing of the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and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a support frame supports a rotating shaft connecting a pair of screen drums.
[Figure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detached in a modular structur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배치된 원판형의 제1,2 측판(111, 112)과 상기 제1,2 측판(111, 112)을 둘러감는 분리망(130)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측판(111)이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골재(1)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트(10)를 향해 오픈되어 석션팬(300)에서 생성된 흡인력을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에 제공하는 후드(200); 및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 각각의 제1 측판(111) 중심에 결합되어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을 동시에 축회전시키는 회전축(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판(112)은 개방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후드(200)에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13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골재(1) 내 이물질(2)에 가해져, 상기 이물질(2)이 상기 분리망(13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1] to [Fig. 3], the present invention surrounds the first an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콘베이어 벨트(10)의 운송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400)의 축방향을 스크린 드럼(100)의 축방향으로 칭하고, 상기 축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폭방향으로 칭한다. 또한, 스크린 드럼(100)에서 제1,2 측판(111, 112)이 위치하는 방향을 측방 또는 측면으로 칭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상기 스크린 드럼(100)은 양측에 배치된 원판형의 제1,2 측판(111, 112)과 상기 제1,2 측판(111, 112)을 둘러감는 분리망(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스크린 드럼(100)은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드럼(100)은 회전축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
따라서, 상기 스크린 드럼(100)과 상기 콘베이어 벨트(10)를 골재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의 단면을 가진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여 원형의 단면을 가진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하단이 근접하게 배치되므로,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과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하단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드럼형으로 구성된 경우, 분리망이 평평하게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균일하게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상기 스크린 드럼(1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드럼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은 원판형의 제1,2 측판(111, 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측판(111, 1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연결프레임(14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2 측판(111, 112)의 둘레부를 따라서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2 측판(111, 112) 사이를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또한, 위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40)이 상기 제1,2 측판(111, 112)의 원둘레에서, 회전축(400)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될 경우 후술할 복귀차단망(150)의 설치에도 용이하다. 상기 복귀차단망(150)을 상기 이격된 길이와 동일한 높이로 제작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복귀차단망(150)이 제1,2 측판(111, 1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형적으로 정리되어 보이고, 상기 복귀차단망(150)의 측면을 커버하여 이물질이 측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복귀차단망(150)의 걸림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 제1,2 측판(111, 112)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스크린 드럼(100) 양 측단에 구비된다. 상기 제1,2 측판(111, 112)은 연결프레임(140)의 양단이 결합되고 회전축(400)에 의하여 장기적으로 회전하므로,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변형과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성이 높은 강재 및 합금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제2 측판(112)은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와 통공되도록 개방홀(120)이 형성되며, 제1 측판(111)은 일부 개방거나 개방되지 않은 원판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되지 않은 제1 측판(111)은 상기 회전축(400)이 직접 제1 측판(111)의 중앙부에 결합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측판(111)은 회전축(400)과 함께 회동하므로 상기 제1 측판(111)과 회전축(400)이 결합되는 부분에 보강용 부재를 덧대어 보강하거나 제1 측판(111)의 외측에 보강판을 추가로 적층 결합하여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또는, 제1 측판(111)은 바퀴살을 통하여 일부 개방된 바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사상으로 뻗은 바퀴의 중심부에 회전축(400)을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측판(111)이 바퀴 형태로 형성될 경우 스크린 드럼(100) 내부의 먼지와 유해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상기 분리망(130)은 메쉬망 또는 타공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쉬망은 금속사를 능형망이나, 격자망 등의 형태로 엮어서 구성될 수 있다. 타공망은 금속판에 다수개의 타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후드(200)는 골재(1)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트(10)를 향해 오픈되어 있으며, 상기 석션팬(300)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흡인력을 상기 콘베이어 벨트(10)를 타고 이송되는 골재(1)에 제공한다. 상기 흡인력은 콘베이어 벨트(10)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스크린 드럼(100)의 분리망(13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골재(1)에 가해진다. 또한, 상기 흡인력은 골재(1)를 빨아 올리기에는 부족하고, 종이, 나무조각, 스티로폼, 비닐 등의 이물질(2)을 빨아 올리기에는 충분한 힘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석션팬(300)의 회전속도, 상기 후드(200)와 콘베이어 벨트(10) 간의 거리 등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골재(1)에 섞여 있는 종이, 나무조각, 스티로폼, 비닐 등의 이물질(2)이 상기 후드(200) 쪽으로 빨려 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후드(200)는 하면 전체를 오픈시켜,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는 범위를 상기 콘베이어 벨트(10) 폭에 대응하도록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2]는 이물질(2)이 스크린 드럼(100)의 분리망(130)에 흡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이탈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2]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1)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트(10)는 이송 중 골재(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U자형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이에 따라, 상기 후드(200)는 하단이 호형(弧形)으로 형성되어, U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균일하게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 드럼(100)의 하단과 콘베이어 벨트(10)의 단면은 U자 형태로 구성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에 배치된 후드(200) 역시 하단이 호형(弧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스크린 드럼(100) 및 후드(200)의 하단과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의 단면은 모두 U자형으로 형성되어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균일하게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기존의 흡착 선별기는 후드의 하단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U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균일하게 흡인력을 제공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스크린 드럼(100)은 U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콘베이어 벨트(10)에도 균일하게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Conventional adsorption sorters have difficulty providing uniform suc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회전축(400)은 상기 제1 측판(111) 중심에 결합되어,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축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00)은 상기 스크린 드럼(100)을 축회전 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400)은 비틀림 모멘트를 억제하고 내구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봉형태의 강재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회전축(400)의 말단은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제1 측판(111)의 중심에 결합되거나,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400)이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에 일정 길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 될 수 있다.The end of the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은 각각의 제1 측판(111)이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의 제1 측판(111)이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40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 제1 측판(111)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pair of
따라서, 상기 회전축(400)의 양단에 동일한 중량의 스크린 드럼(100)이 각각 배치되므로, 상기 회전축(400)의 중단을 중심으로 양측의 무게가 동일하게 되어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측에 하중이 균일하게 분배되므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등 별도의 중량 배분을 위한 부재가 필요하지 않다.Therefore, since the screen drums 100 of the same weight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본 발명의 선별장치는 상기 회전축(4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서포트 프레임(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은 각각 상기 회전축(400)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있으므로, 스크린 드럼(100)의 하중은 대부분 회전축(400)이 지지하고, 제1 측판(111) 측에만 회전축(400)이 연결되어 있어 스크린 드럼(100)은 캔틸레버 구조로 회전축(400)에 결합된다.Th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은 회전축(400)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0)의 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이 상기 회전축(400)의 중단에 구비되면 서포트 프레임(500)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400) 양측에 하중이 균일하게 배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0)을 축방향을 따라서 지지하도록 'ㅁ'자, 'ㄷ'자 등 다면체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or [FIG. 6], the
이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에는 상기 회전축(400)이 관통 삽입되되,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의 상단에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5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베어링 하우징(510)은 상기 회전축(400)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고 부하를 지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장착된 베어링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400)의 외주연을 따라서 접하여 상기 회전축(40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회전축(400)에 걸리는 부하를 지지할 수 있다.The bearing
상기 베어링 하우징(510)은 상기 회전축(40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의 상단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One or more
상기 베어링 하우징(510)은 [그림 5] 및 [그림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0)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될 경우 상기 회전축(400)의 처짐 및 휨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양측을 모두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5] and [Figure 6], the bearing
상기 회전축(400)의 길이가 장스팬(span)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회전축(400)의 양측 및 중단에 베어링 하우징(510)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400)을 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회전축(400)에는 외부 인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00)은 상기 동력 전달부(410)를 통하여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에 전달하여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을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 동력 전달부(410)는 회전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체인식, 벨트식, 기어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체인식의 동력 전달부(4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00)의 외연을 따라 형성된 동력 전달 스프로킷과 외부에서 인가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hain-type
벨트식의 동력 전달부(41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0)의 외연을 따라 형성된 풀리와 동력 전달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동력 전달 벨트의 미끄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풀리와 동력 전달 벨트의 접촉면은 마찰력을 높이거나 홈을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3], the belt-type
기어식의 동력 전달부(410)는 상기 회전축(400)의 외연을 따라 형성된 기어날과 외부에서 인가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The gear-type
상기 동력 전달부(410)는 상기 회전축(400)의 축방향 중 어디에 설치되도 무방하다.The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장치는 단일의 동력 전달부(410)를 통하여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simultaneously rotate a pair of
본 발명에서 상기 이물질(2)은 후드(200)의 안쪽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 드럼(100)의 분리망(130)에 흡착된 상태로 일정 구간 이동한 후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낙하하여 배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보다 자세하게, 상기 후드(200)에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13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골재(1) 내 이물질(2)에 가해져, 상기 이물질(2)이 상기 분리망(13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uction force provided to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200)는 U자형 컨베이어 벨트의 단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흡인력을 제공하고, 상기 스크린 드럼(1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분리망(130)에 부착된 이물질(2)은 상기 후드(200)에서 제공되는 흡인력으로 인하여 분리망(130)에 부착된 상태로 스크린 드럼(1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된다. 이후,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 이물질(2)이 도달할 경우, 상기 이물질(2)은 분리망(130)에서 분리되어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이물질(2)이 흡인력의 여력이나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분리망(130)에서 이탈되지 않고 부착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드럼(100)은 지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물질(2)은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배출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물질(2)이 자유낙하 하는 경우 이물질 배출구(미도시)에 정확하게 안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 드럼(10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2)이 배출과 동시에 일정 높이 비산하여 이물질 배출구에 안착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물질(2)을 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후드(200)의 하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2)의 배출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정 높이까지 이물질(2)을 유도하여 이물질(2) 배출구까지 안정적으로 이물질(2)을 유도해야 할 경우, 위와 같이 상기 후드(200)의 하단부를 일정길이 연장 형성하여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2)의 배출구간에 도달할 경우 이물질(2)이 안정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후드(200)의 연장부에서는 배출구간으로 갈수록 흡인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이물질(2)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lower end of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션팬(300)은 상기 후드(200)와 직결되어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o [FIG. 3], the
또한, 일단이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외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측판(112)의 개방홀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후드(200)를 지지하는 캔틸레버암(Cantilever Arm, 6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위와 같이, 상기 석션팬(300)과 후드(200)가 직결되도록 구성될 경우 석션팬(300)에서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는 별도의 유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에서 직접 흡입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어, 유로 등으로 인한 타 설비와 간섭이 없고. 타 설비와의 간섭이 없으므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 중 원하는 지점에 필요한 수량만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흡입한 공기는 분리망(130) 또는 개방홀(1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때, 상기 석션팬(300)과 후드(200)는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공간에 공중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일단이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외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측판(112)의 개방홀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후드(200)를 지지하는 캔틸레버암(6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팬(300)은 상기 후드(200)의 상단에 적재되므로, 상기 캔틸레버암(600)이 상기 후드(200)를 지지할 경우 상기 석션팬(300)도 동시에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후드(200) 및 석션팬(3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캔틸레버암(600)의 일단은 외부의 고정 프레임, 포스트, 벽 등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높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loads of the
또한, 상기 분리망(130)의 외연에는, 상단이 상기 분리망(130)에 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에 닿지 않도록 구성된 복귀차단망(150)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망(130)에서 상기 분리망(130)과 연결된 상단부는 축 방향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흔들림에 의한 상기 이물질(2)의 분리를 가속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outer edge of the
상기 복귀차단망(150)은 분리망(130)과 동일한 재질과 구조의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귀차단망(150)은 테두리부가 철심프레임으로 보강되어 형성되거나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복귀차단망(150)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흡인력에 의하여 이물질(2)이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외측으로 무질서하게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2)의 배출구간에서 원심력과 관성 및 중력에 의한 복귀차단망(150)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이물질(2)의 배출을 돕고, 상기 이물질(2)의 적정 위치 낙하 배출에 기여할 수있다. 또한, 상기 복귀차단망(150)은 이물질(2)이 배출도중 정전기에 의하여 복귀되어 분리망(130)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본 발명의 선별장치에는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 사이에 구비되되,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반전자(反轉子, 7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전자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10) 상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의 이동에 따라 하단부가 골재(1)와 충돌함으로써 골재(1)의 위상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tical member,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상기 반전자는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 사이에 구비되되,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inverter is a longitudinal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도 3]은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과 그 사이에 배치된 반전자(700)를 골재(1)가 순차적으로 통과할 경우 골재(1)와 이물질(2)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이하,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선별장치가 골재(1) 내의 이물질(2)을 제거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 3]의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 중 골재(1)의 이동방향에 따라 먼저 선별작업이 진행되는 스크린 드럼(100)을 전면 스크린 드럼(100)이라 칭하고, 후작업이 진행되는 스크린 드럼(100)을 후면 스크린 드럼(100')이라 칭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1)가 전면 스크린 드럼(100)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대부분의 이물질(2)이 흡인되어 선별된다. 이때, 골재(1)의 하단에 눌려있던 이물질(2)은 골재(1)의 하중으로 인하여 전면 스크린 드럼(100)에서 전달되는 흡인력에도 선별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전면 스크린 드럼(100)을 통과한 골재(1)는 반전자(700)가 설치된 구간을 통과하면서 반전자(700)의 하부에 충돌하여 튀어오르거나 굴러 위상이 반전되고, 동시에 골재(1)의 하단에 눌려있던 이물질(2)은 골재(1)의 영향에서 벗어나 흡인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후면 스크린 드럼(100')에서 반전자(700)에 의하여 골재(1)의 영향에서 벗어난 이물질(2)을 흡인하여 선별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이물질(2)을 선별할 수 있어 이물질(2) 제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ile the aggregate 1 passe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반전자(700)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The
또한, 반전자(700)는 골재(1)의 위상을 반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는 다양한 형태의 반전자(700)가 도시되어 있는데, (a)는 하단면이 평면상 콘베이어 벨트(10)의 이동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쐐기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b)는 하단에 날개가 부착되어 단일로 넓은 범위의 반전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고, (c)는 골재(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된 날개가 부착되어 골재(1)가 더 높이 튀어오르게 하여 골재(1)의 반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Figure 4] shows various types of
본 발명은 상기 제2 측판(112)의 외주연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측판(112)에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스크린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보조 휠(8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 드럼(100)은 상기 회전축(400)과 제1 측판(111)에 결합된 상태로 공중에 이격되어 설치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400)과 결합되지 않은 자유단(제2 측판 주변부)에 휨모멘트가 강하게 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상기 회전축(400)과 스크린 드럼(100)의 결합부 반대측인 상기 제2 측판(112)의 하부에 보조 휠(800)을 설치하여 상기 스크린 드럼(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휠(800)은 회전축(400)에 가해지는 하중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도 있다.Therefore, the load applied to the
상기 보조 휠(8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측판(112)의 하부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스크린 드럼(100)의 회전 중심과 양측의 보조 휠(800)을 서로 연결하였을 때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므로, 안정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보조 휠(800)은 롤러, 기어, 스프로킷 등 상기 제2 측판(112)에 맞물려 회전가능한 모든 회전구조가 적용 가능하다.The
상기 보조 휠(800)은 별도의 보조 동력 전달부와 결합되지 않고,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회전에 맞물려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보조 동력 전달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측판(112)의 회전에 맞물려 원할하게 회전하기 위하여 회전비에 맞춰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운행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분리망(130)은, 일정한 사이즈로 구획된 분리망 모듈(131)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7]는 본 발명의 분리망(130)이 분리망 모듈(131)의 결합구조로 설치되어 탈착되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상기 분리망(130)은 일정한 사이즈로 구획된 분리망 모듈(131)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모듈의 사이즈는 각각의 연결프레임(140) 사이에 형성된 구획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위와 같이, 분리망(130)이 분리망 모듈(131)의 결합으로 구성된 경우, 분리망(130)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에도 분리망(130)의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손상된 분리망 모듈(131)만 교체가 가능하여, 신속한 교체가 가능하고, 인력, 수리비용 등이 절약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as examined in detail with specific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1 : 골재 2 : 이물질
10 : 콘베이어 벨트
100 : 스크린 드럼
110 : 측판
111 : 제1 측판 112 : 제2 측판
120 : 개방홀
130 : 분리망
131 : 분리망 모듈
140 : 연결프레임 150 : 복귀차단망
200 : 후드
300 : 석션팬
400 : 회전축
410 : 동력 전달부
500 : 서포트 프레임
510 : 베어링 하우징
600 : 캔틸레버암(Cantilever Arm)
700 : 반전자(反轉子)
800 : 보조 휠1: aggregate 2: foreign matter
10: conveyor belt
100: screen drum
110: side plate
111: first side plate 112: second side plate
120: open hole
130: separation network
131: separation network module
140: connection frame 150: return blocking network
200: hood
300: suction fan
400: axis of rotation
410: power transmission unit
500: support frame
510: bearing housing
600: Cantilever Arm
700: reverser
800: auxiliary wheel
Claims (5)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콘베이어 벨트(10)를 향해 오픈되어 석션팬(300)에서 생성된 흡인력을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에 제공하는 후드(200); 및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 각각의 제1 측판(111) 중심에 결합되어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스크린 드럼(100)을 동시에 축회전시키는 회전축(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판(112)은 개방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후드(200)에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13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골재(1) 내 이물질(2)에 가해져, 상기 이물질(2)이 상기 분리망(13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Disc-shaped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111 and 112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111 and 11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10 for transporting the aggregate 1 in one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screen drums (100) including a separation network (130) surrounding and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first side plates (111) face each other;
Hoods 200 disposed inside the pair of screen drums 100 and open toward the conveyor belt 10 to provid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fan 300 to the conveyor belt 10; and
a rotational shaft 400 coupled to the center of each first side plate 111 of the pair of screen drums 100 and simultaneously pivoting the pair of screen drums 100 by externally applied power; Including,
The second side plate 112 is formed with an open hole 120,
The suction force provided to the hood 200 is applied to the foreign matter 2 in the aggregate 1 transported to the conveyor belt 10 through the separation net 130, and the foreign matter 2 is transferred to the separation net 130 The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and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transport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creen drum 100 in a state of being adsorbed to and discharged in a section where the suction force is not provided.
상기 회전축(4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서포트 프레임(5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In paragraph 1,
a support frame 500 provided to support the rotating shaft 400;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상기 석션팬(300)은 상기 후드(200)와 직결되어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In paragraph 1,
The suction fan (3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ood (200) and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drum (100).
일단이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외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측판(112)의 개방홀(120)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 드럼(1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후드(200)를 지지하는 캔틸레버암(Cantilever Arm, 6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In paragraph 3,
One end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drum 100, and the other end is introduced into the screen drum 100 through the open hole 120 of the second side plate 112 to support the hood 200. a cantilever arm (600);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드럼(100) 사이에 구비되되,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반전자(反轉子, 7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전자(700)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10) 상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의 이동에 따라 하단부가 골재(1)와 충돌함으로써 골재(1)의 위상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In any one of claims 1 to 4,
As a vertical member, one or more inverters 700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creen drums 100 and disposed so that the lower end is close to the conveyor belt 10; Including more,
The inverter 700 is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10 and is configured to reverse the phase of the aggregate 1 by collid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aggregate 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veyor belt 10 Characterized by a multi-drum 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sort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2830A KR102468248B1 (en) | 2022-07-06 | 2022-07-06 | Multi Drum-type foreign substance adsorption screening device |
JP2023014360A JP7498320B2 (en) | 2022-02-04 | 2023-02-02 | Drum-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and sorting device |
US18/105,216 US11865584B2 (en) | 2022-02-04 | 2023-02-02 | Drum-type foreign substance suctional attaching and screen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2830A KR102468248B1 (en) | 2022-07-06 | 2022-07-06 | Multi Drum-type foreign substance adsorption screen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8248B1 true KR102468248B1 (en) | 2022-11-16 |
Family
ID=8423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2830A Active KR102468248B1 (en) | 2022-02-04 | 2022-07-06 | Multi Drum-type foreign substance adsorption screen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824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1495B1 (en) * | 2023-04-28 | 2023-11-14 | 주식회사 대진에코텍 | Three Classification Systems for Construction Waste Using Wind and Rotary Drums |
CN117123476A (en) * | 2023-10-27 | 2023-11-28 | 盐城市大丰区宏丰米业有限公司 | Screening installation is used in rice processing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3072Y1 (en) * | 2004-07-06 | 2004-09-23 | 한승기 | Suction separate apparatus for construction-waste |
KR100756420B1 (en) | 2007-01-25 | 2007-09-07 | 태성개발(주) |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ggregate and foreign matter from construction waste |
KR100759932B1 (en) | 2007-01-04 | 2007-09-18 | 서봉리사이클링(주) | Foreign substance s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
KR101975415B1 (en) * | 2018-07-17 | 2019-05-07 | 임홍락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from Recycled Aggregate |
KR102029736B1 (en) | 2019-01-29 | 2019-10-10 | 주식회사 초계산업 | Vibration-suction screening equipment for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
KR102049250B1 (en) | 2019-05-23 | 2019-11-28 | 박진영 | Vibration-magnet-suction screening equipment for complex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
-
2022
- 2022-07-06 KR KR1020220082830A patent/KR1024682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3072Y1 (en) * | 2004-07-06 | 2004-09-23 | 한승기 | Suction separate apparatus for construction-waste |
KR100759932B1 (en) | 2007-01-04 | 2007-09-18 | 서봉리사이클링(주) | Foreign substance s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
KR100756420B1 (en) | 2007-01-25 | 2007-09-07 | 태성개발(주) |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ggregate and foreign matter from construction waste |
KR101975415B1 (en) * | 2018-07-17 | 2019-05-07 | 임홍락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from Recycled Aggregate |
KR102029736B1 (en) | 2019-01-29 | 2019-10-10 | 주식회사 초계산업 | Vibration-suction screening equipment for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
KR102049250B1 (en) | 2019-05-23 | 2019-11-28 | 박진영 | Vibration-magnet-suction screening equipment for complex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1495B1 (en) * | 2023-04-28 | 2023-11-14 | 주식회사 대진에코텍 | Three Classification Systems for Construction Waste Using Wind and Rotary Drums |
CN117123476A (en) * | 2023-10-27 | 2023-11-28 | 盐城市大丰区宏丰米业有限公司 | Screening installation is used in rice processing |
CN117123476B (en) * | 2023-10-27 | 2024-02-06 | 盐城市大丰区宏丰米业有限公司 | Screening installation is used in rice process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8246B1 (en) | Drum-type foreign substance adsorption screening device | |
KR102468248B1 (en) | Multi Drum-type foreign substance adsorption screening device | |
KR102178279B1 (en) | Apparatus for sorting aggregate | |
US5480034A (en) | Screening machine | |
KR101223668B1 (en) | apparatus for seperating waste from constructionwaste matter | |
KR100759932B1 (en) | Foreign substance s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 |
CN201337987Y (en) | Fresh and dried fruit grader | |
KR102614435B1 (en) | Suction power control type air intake and Rotary separation net adsorption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 |
KR102516389B1 (en) | Dual-drum type magnetic-adsorption equipment for screening complex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 |
KR101205280B1 (en) | Sorting apparatus for wind power and sor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684961B1 (en) | Rotary separation net adsorption separator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 |
JP7498320B2 (en) | Drum-type foreign matter adsorption and sorting device | |
CN212142836U (en) | Automatic screening and crushing device for solid waste | |
CN115121337B (en) | Garbage sorting and classifying device | |
KR102526489B1 (en) | single, dual drum type magnetic screening equipment | |
KR101035978B1 (en) | Construction waste shredding and crushing processing system | |
KR20080075242A (en) | Waste Wet Sorting Method Using Specific Gravity Difference | |
CN221216309U (en) | Fly ash processing preprocessing device | |
CN219356958U (en) | Wood chip wind power sorting device | |
CN221602555U (en) | Multistage garbage sorting device | |
JP2665456B2 (en) | Sorter rotor | |
KR200387222Y1 (en) |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 |
JP2580488B2 (en) | Sorting machine | |
JP2675269B2 (en) | Sorting machine | |
CN221245515U (en) | Waste sor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7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