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941B1 - 신연 골 형성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연 골 형성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941B1
KR102466941B1 KR1020217002807A KR20217002807A KR102466941B1 KR 102466941 B1 KR102466941 B1 KR 102466941B1 KR 1020217002807 A KR1020217002807 A KR 1020217002807A KR 20217002807 A KR20217002807 A KR 20217002807A KR 102466941 B1 KR102466941 B1 KR 10246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abutment
adapter
distraction
distra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628A (ko
Inventor
토위 라자로비치
Original Assignee
오스테오파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테오파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스테오파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 A61B17/6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for alveolar dis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연 골 형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악골 또는 상악골 치조 융선 위축의 치료에 사용되는 신연 장치 및 신연 시스템 및 골 장력을 위해 신연 장치 또는 신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연 골 형성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신연 골 형성(distraction osteogenesis)을 위한 장치 및 방법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악골 또는 상악골 치조 융선 위축의 치료에 사용되는 신연 장치(distraction device) 및 신연 시스템 및 골 연장을 위해 신연 장치 또는 신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악골 또는 상악골 치조 융선 위축은 공지된 병리학으로, 치아 손실 후 용적 저하의 느린 과정으로 또는 감염, 낭종 제거, 외상성 치아 추출, 종양 절제, 또는 외상과 같은 자극 사건으로 인해 급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 배치를 위해서는 적절한 치조 융선 용적이 중요하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배치와 치과용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예후는 주로 치과용 임플란트의 크기, 임플란트와 임플란트에 부착된 보철물 사이의 비율, 및 턱 내 치아와 대향 턱 폐색에 대한 공간적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경우에는, 짧은 치과용 임플란트를 절충안으로 배치함으로써 치조 융선 위축을 극복할 수 있는 반면, 이 경우의 대부분의 경우 치과용 임플란트의 배치 전에 재건 단계가 적용되어야 한다. 치조 융선 위축의 중증도에 따라 여러 수술 절차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경미한 위축은 유도된 조직 재생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반면, 중간 및 중증 위축은 골 이식 또는 골 연장의 사용을 필요로한다. 위축의 중증도는 필요한 골 이식의 용적, 및 결과적으로 이식 기술과 재료에 영향을 준다. 전체 이식의 긴장이 없는 연조직 덮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증가 이득의 용적의 제한이 생겨서, 수직 위축이 가장 큰 문제를 가지고 있다. 수직 위축이 증가함에 따라, 연조직 덮기의 문제가 점점 더 커지고 예측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골 이식으로 예측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치조 융선 위축의 심각한 케이스는 지난 20년 동안 신연 골 형성으로서 지칭되는 골 연장의 수술 기법으로 해결되고 있다.
신연 골 형성은 점진적으로 제어된 장력을 절골된 골 세그먼트에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골 연장의 기술이다. 전통적인 접근 방식과 달리, 연조직 외피는 동시에 확장되어 실질적으로 골 이득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제거한다. 이 기술은 재건 외과 의사의 설비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
대부분의 치조 신연기는 두 개의 부착판과 두 개의 부착판을 연결하거나 두 개의 부착판을 밀어서 분리하는 구동 로드(rod)를 포함한다. 상기 판의 목적은 장치를 기저 골과 절골된 골 세그먼트에 고정하는 것이다. 로드의 목적은 양 골 세그먼트에 장력을 전달하여 이동 세그먼트를 신연하는 것이다. 장치를 고정하려면 부착판과 골 나사의 치수로 인해 최소 5mm 수직 길이의 기저 골과 골 절제된 세그먼트의 유사한 길이를 요구한다. 하 치조 신경이 위치한 후부 하악골에서 시술이 수행될 때, 신경에 근접하기 때문에 구강 피질(buccal cortex)을 통한 골 나사의 위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 치조 신경 손상의 위험은 피할 수 없다. 후방 상악골에 골 나사를 배치하는 것은 결함이 있는 장치 고정 및 안정화를 초래하는 상악동의 얇은 골의 벽으로 인해 유사하게 도전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과 한계로 인해, 신연 골 형성은 환자가 거의 받아들이지 않지만, 이러한 환자는 다른 재건 옵션이 없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운 좋게도 양성 종양 절제 또는 외상과 같은 극심한 외상성 사건을 경험한 적이 없는 환자는 대수술 절차를 받고 관련 위험에 직면하는 동기가 부족하다. 동기 부여의 추가 감소는 또한 신연 장치의 제거가 제 2 수술 절차 및 그에 따라 더 많은 불편함이 필요하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치조 신연기는 단일 벡터에 따라 이동을 촉진하는 단일 구동 로드로 구성된다. 골 이득은 신연된 세그먼트 길이를 따라 유사하다. 신연된 골의 앞쪽과 뒤쪽 단부에서 위축이 비슷하지 않을 때, 종종 절충안이 필요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한 쪽에서 과잉 골을 제거하고 결핍된 쪽에 골를 추가하기 위해 다른 수술 절차가 수행된다. 더욱이, 신연기 설치시 벡터 세트는 신연기 구조의 접근성 및 강성 부족으로 인해 신연 골 형성의 시작 후 변경되거나 제어될 수 없다. 위에서 언급한 한계, 고려 사항, 및 과제는 신연 골 형성을 통한 골 이득에 대한 상이한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하 골판을 평행 또는 하 골판 근처에 고정할 때 하 치조 신경에 대한 위험 감소 및 상악동과 평행하게 골판을 배치하려고 할 때 부적절한 안정성의 위험으로서의 주요 고려 사항은 신연 장치가 이러한 수단이 아닌 다른 곳에서 달성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촉발한다. 이로 인해 장치 고정이 수술 분야 외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인접한 기존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아에 장치를 고정하면 이러한 이점을 제공하고 위에서 언급한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단일 지점 신연이 구비된 장치는 절골된 세그먼트에 고르지 않은 응력/변형 집중을 적용하며, 여기서 높은 응력 집중은 당기는 요소에 대한 부착 지점의 골화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반면, 낮은 응력은 동일한 세그먼트의 인접한 원격 섹션에 작용한다. 실험 결과를 제시하는 마이어(Meyer) 등에 의한 출판물(Plast. Reconstr. Surg. 1999 Mar;103(3):800-7)은 신연 골 형성 과정에서 하악골에 가해지는 변형 크기가 골화 발생 여부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섬유 조직 형성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이어 등의 또 다른 간행물(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1 Dec;30(6):522-30)은 이러한 기계적 변형이 세포 분화의 표현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가로 입증하였다.
신연을 위해 의도된 절골된 골에 여러 지점의 장력을 적용하면 절골된 세그먼트를 따라 보다 고른 응력/변형 분포를 적용하여 단일 지점 신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각각의 장력 지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능력은 수술 분야를 따라 차동적인 골 이득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신연 단계 동안 신연력을 적용하는 부품에 대한 접근성은 신연기 벡터를 제어하고 변경이 필요한 경우 원하는 방향으로 신연기 벡터를 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장력은 신연된 골을 원래의 베드(bed)에서 멀리 밀거나 이로부터 당겨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및 그 양태는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으로 의도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과 관련하여 기술되고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문제점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감소되거나 제거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는 다른 이점 또는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골 형성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연 장치는 골 나사 또는 심지어 본치(native tooth)와 같은 치조 융선에 인접한 임의의 치과용 구조물에 직접 또는 치과용 교각치를 통해 부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 신연 장치의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이 제한된 수직 길이를 갖는 절골된 골 세그먼트에 고정하는데 적합한, 미니 나사 또는 교정 나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임플란트 수단을 향해 연장하고 부착 가능한 치조 융선의 절골된 골 세그먼트의 구역 위로 연장한다.
신연 장치에는 회전 중에 고정 임플란트 수단에 부착된 각각의 스트링을 둘러쌀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가 제공된다. 각각의 스트링을 둘러싸면 해당 고정 임플란트 수단을 통해 절골된 골 세그먼트에 당기는 힘이 가해져 절골된 골 세그먼트와 나머지 기저 골 사이의 갭에 형성된 새로운 골 조직 형성을 촉발한다.
유리하게는, 개시된 신연 장치를 사용하는 절차는 기존의 더 큰 골판(bone plate) 대신, 교정 임플란트와 같은 작은 치수의 고정 임플란트 수단을 당기는 개시된 신연 장치 능력으로 인해 하 치조 신경과 같은 민감한 구역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신연 방법은 치조 융선의 구역에서의 골 양이 골판을 구비한 종래의 신연기에 의한 신연 골 형성 절차에 적합하지 않은 매우 복잡한 경우에도 신연 골 형성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하나의 예는 기존 신연기 발판을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 골 나사가 전방 상악동 공동의 얇음으로 인해 합리적인 안정성을 달성할 수 없는 후방 상악골이다.
대응하는 수의 고정 임플란트 수단에 연결된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갖는 개시된 신연 장치의 추가 이점은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 대응하는 고정 임플란트 수단이 부착된 절골된 골 세그먼트의 다른 영역에 상이한 당김 속도 또는 상이한 신연 길이를 적용한다. 따라서, 신연을 위해 의도된 절골된 골에 여러 지점의 장력을 적용하면 수술 구역에 따라 차등적인 골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장치의 고정이 피상적이며 깊이 감추어 지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작업자는 사전설정된 벡터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신연 단계 동안 신연의 측면 벡터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치과용 교각치에서 신연 장치를 연결 해제하고 신연 장치 프레임의 측면 위치를 조정한 다음 다시 교각치에 다시 연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신연 장치의 추가 이점은, 치아 교각치가 있거나 없는 골 나사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치과 지지물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거나 심지어 본치에 부착 가능하다는 것이다. 신연 장치의 제거는 수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른 수술 절차 및 관련 동반 질환이 필요한 기존 신연기의 제거에 비해, 더 간단하고 짧고 편안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라, 골 연장을 위한 신연 장치가 제공되며, 신연 장치는 본체 및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몸체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의 수직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 결정 특징부(positioning feature)를 포함하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각각은 스트링 맞물림부에 부착된 제 1 스트링 단부 및 제 2 스트링 단부를 갖는 스트링, 및 원위 방향으로 스트링 맞물림부의 변위를 촉발하도록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 1 스트링 단부에 부착된 가동(movable) 요소를 포함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의 수직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각각이 본체에 부착되고, 복수의 스트링의 각각의 스트링이 대응하는 상이한 위치 결정 기능을 통해 또는 이를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가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가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동 요소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로 형성되고, 스트링 당김 조립체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는 채널을 더 포함하고, 가동 요소는 채널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채널은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나선(threading)을 포함하고, 가동 요소는 채널과 나사식으로 맞물린 나사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채널은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래치팅 치형부(ratcheting teeth)를 포함하고, 가동 요소는 채널을 따라 가동 요소의 길이 방향 단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완 치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는 가동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된 기어를 더 포함하고, 신연 장치는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폴(pawl)을 더 포함하고, 폴은 스트링 당김 조립체의 일 방향으로의 자유 회전을 허용하는 반면,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는 가동 요소의 적어도 일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툴링 인터페이스(tooling interface)를 더 포함하고, 일 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의 회전은 같은 방향으로의 이동식 요소의 회전을 초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는 제 1 측벽 또는 제 2 측벽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사이에 접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 챔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는 전면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원위 패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는 원위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로드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positioning feature)는 통공으로서 형성되고, 통공을 통해 스트링의 통과 및 자유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는 스트링과 지지 로드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은 장착 보어(bore)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장착 보어는 보어 나사산(screw thread)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장착 보어는 회전 방지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는 고정 링부 및 상기 고정 링부에 힌지 연결된 동적 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적 링부는 상기 동적 링부의 단부를 고정 링부 또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장착 보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조임 기구(mechanism)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는 중앙 보어의 직경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임 기구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신속 스냅 부착물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위치 결정 부재의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몸체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 부착 수단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어댑터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는 어댑터 부착 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된 2개의 어댑터 부재를 포함하고, 어댑터 부착 수단은 내부에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어댑터 부착 소켓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는 환자 맞춤형 설계에 따라 CAD-CAM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전술 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신연 장치 및 교각치를 포함하는 신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교각치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교각치 원위부, 교각치 근위부, 및 상기 교각치 원위부 및 상기 교각치 근위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교각치 중간-부분을 포함한다. 교각치 중간-부분의 최대 단면 직경은 교각치 원위부의 최대 단면 직경 및 교각치 근위부의 최대 단면 직경 중 어느 것보다 더 크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근위부는 다면체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원위부는 교각치 원위부 나사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원위부는 다면체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원위부는 대응하는 복수의 날개부를 생성하는 복수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수직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부에는 고유한 유연성이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날개부는 날개부 내부 표면 및 날개부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날개부 내부 표면은 노치와 함께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를 정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시스템은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를 통해 교각치 내로 삽입되어 날개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리도록 구성된 플러그 원위부를 갖는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원위부에는 절두 원추형 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는 나선이 제공된 플러그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신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맞물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미니 나사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는 수용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의 수용 영역은 관통-구멍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의 수용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원위 수직 연장부를 갖는 리세스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의 수용 영역은 래치(latch)가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시스템은 교각치를 수용하고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골 나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신연 장치 사용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i)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신연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ii) 신연 장치를 마운트에 연결하는 단계;
(iii) 복수의 스트링 맞물림부를 복수의 미니 나사에 부착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스트링 맞물림부는 단일 미니 나사에 부착되는, 단계;
(iv) 상기 복수의 가동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가동 요소와 복수의 미니 나사들 사이에서 복수의 스트링을 신장시키는 단계; 및
(v) 상기 복수의 미니 나사에 부착된 상기 각각의 가동 요소를 더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미니 나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위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및
(vi) 모든 미니 나사에 대해 주기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미니 나사를 원위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가동 요소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가동 요소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가동 요소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가동 요소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마운트는 골 나사가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마운트는 골 나사에 부착된 교각치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는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이한 미니 나사에 상이한 당김 속도를 적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신연 장치 및 클램프를 포함하는 신연 조립체가 제공된다. 신연 장치의 어댑터 부재는 원주를 따라 외력을 가할 때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축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는 밴드 및 웜 기어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웜 기어 기구는 클램프의 수축 또는 팽창을 유발하고 클램프를 조정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클램프는 어댑터 부재의 외부에 클램프의 배치에 의해 신연 장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더 구성되어, 복수의 축방향 연장부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충분히 구부린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는 밴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지정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와 어댑터 부재 사이에 배치된 아치형 슬롯, 및 웜 기어 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치형 슬롯에 인접한 웜 리세스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밴드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슬롯(retaining slot)을 더 포함하고, 어댑터 부재는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슬롯 내에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출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교각치 원위부, 교각치 근위부, 및 상기 교각치 원위부 및 상기 교각치 근위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교각치 중간부를 포함하는, 교각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교각치 원위부, 교각치 근위부, 및 교각치 원위부 및 교각치 근위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교각치 중간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각치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원위부는 대응하는 복수의 날개부를 생성하는 복수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수직 노치를 포함하며, 복수의 날개부에는 고유한 유연성이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날개부는 날개부 내부 표면 및 날개부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날개부 내부 표면은 노치와 함께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를 정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시스템은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를 통해 교각치 내로 삽입되어 날개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리도록 구성된 플러그 원위부를 갖는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원위부에는 절두 원추형 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는 나사산이 제공된 플러그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상기 이점 중 일부, 전부를 포함하거나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이점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 및 실시예는 이하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한 특허 명세서가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부정 관사 "a" 및 "an"은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다음의 실시예 및 그 양태는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으로 의도되지만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시스템, 도구, 및 방법과 함께 기술되고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문제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감소되거나 제거된 반면, 다른 실시예는 다른 이점 또는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도면과 함께 설명은 일부 실시예가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된다. 도면은 예시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근본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상세하게 실시예의 구조적 세부 사항을 나타내려는 시도는 없다.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일부 개체는 스케일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도 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원위 패널이 없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b는 도 1a의 신연 장치의 사시도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2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2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의 저면도를 구성한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근위 패널이 없는 신연 장치의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몸체로부터 분리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4b는 도 4a의 어댑터 몸체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5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어댑터 몸체로부터 분리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5b는 도 5a의 양(both) 어댑터 몸체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6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어댑터 몸체로부터 분리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6b는 도 6a의 양 어댑터 몸체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7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연결된 어댑터 몸체로부터 분리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7b는 도 7a의 2개의 연결된 어댑터 몸체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7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연결된 어댑터 몸체로부터 분리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7d는 도 7c의 2개의 연결된 어댑터 몸체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8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필립스 소켓(Phillips socket) 형태의 툴링 인터페이스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8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육각형 또는 알렌 나사-헤드(Allen screw-head) 형태의 툴링 인터페이스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8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육각형 또는 알렌 소켓 형태의 툴링 인터페이스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9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툴링 인터페이스와 맞물리는 앨런 키형 회전 도구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9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도 9a의 앨런 키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9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툴링 인터페이스와 맞물리는 회전 도구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0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육각형 장착 소켓을 갖는 신연 장치의 저면도를 구성한다.
도 10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육각형 장착 소켓을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0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팔각형 형상의 장착 소켓을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대각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대각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갖는 신연 장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수직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갖는 신연 장치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1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길이 방향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 1 위치에 있는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 13a의 신연 장치의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13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 2 위치에 있는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 13b의 신연 장치의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13d는 도 13b에 표시된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1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나사형 채널을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4b는 도 14a의 신연 장치의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14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나사형 채널 위에 덮어 씌워진 창을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4d는 도 14c의 신연 장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4e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래치팅 채널(ratcheting channel)을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4f는 도 14e의 신연 장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4g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래치팅 채널을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4h는 도 14g의 신연 장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5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몸체 내에 위치 결정된 2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5b는 도 15a의 신연 장치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16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몸체 내에 위치 결정된 2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및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 내의 2개의 지지 로드 위치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6b는 도 16a의 신연 장치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17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느슨한 상태의 어댑터 부재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7b는 조임 상태에 있는 도 17a의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7c는 조임 상태에 있는 도 17b의 신연 장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7d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링 클램프로서 형성된 어댑터 부재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7e는 도 17d의 신연 장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7f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조임 기구와의 래칫 맞물림을 위해 구성된 설형부(tongue)를 포함하는 어댑터 부재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7g는 도 17f의 신연 장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8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나사형 원통형 교각치 원위부를 갖는 교각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8b는 도 18a의 교각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8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다각형 교각치 원위부를 갖는 교각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8d는 도 18c의 교각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9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9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신연 조립체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0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0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신연 조립체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후크 형태의 스트링 맞물림부 옆에 있는 미니 나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1a의 미니 나사와 맞물린 후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1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루프 형태의 스트링 맞물림부 옆에 있는 미니 나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1d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1c의 미니 나사와 맞물린 루프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1e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후크 형태의 스트링 맞물림부 옆에 래치를 갖는 미니 나사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1f는 도 21e의 래치를 지나 수용부에 삽입되는 루프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1g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1e의 미니 나사와 맞물린 루프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2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와 맞물린 원위 패널이 없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2b는 도 22a의 신연 장치 및 교각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22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와 맞물린 신연 장치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2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와 맞물린 원위 패널없이 위치 결정 부재 챔버를 갖는 신연 장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3b는 도 23a의 신연 장치 및 교각치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23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와 맞물린 위치 결정 부재 챔버를 갖는 신연 장치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2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4b는 도 24a의 교각치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6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내에 위치 결정된 플러그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6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내에 위치 결정된 플러그의 사시도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27은 골 나사에 연결된 교각치와 맞물린, 신연 장치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28a는 치조 융선이 있는 하악골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8b는 도 28a의 하악골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치조 융선에 인접하게 위치 결정된 골 나사를 갖는 하악골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크레스탈 절골 라인(crestal osteotomy line)이 형성된, 도 29a의 하악골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9b의 하악골의 절골된 골 세그먼트에 삽입된 미니 나사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d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9a의 미니 나사와 맞물린 교각치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e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9d의 교각치와 맞물린 신연 장치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f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초기 위치에서 스트링을 통해 미니 나사에 연결된 도 29e의 신연 장치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g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9c의 절골된 골 세그먼트와 기저 악골(basal jawbone) 사이의 갭에 형성된 새로운 골 조직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h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최종 위치에서 도 29c의 절골된 골 세그먼트와 기저 악골 사이의 갭에 형성된 새로운 골 조직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i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골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한 치유 및 경화의 최종 단계에서 도 29h의 새로운 골 조직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j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신연 장치의 제거 후, 도 29i의 새로운 골 세그먼트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k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9j의 새로운 골 조직 내에 배치되는 골 나사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29l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9k의 골 나사와 맞물린 치과용 크라운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30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9j의 새로운 골 조직 내에 배치된 이격된 골 나사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30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30a의 골 나사와 맞물린 치과용 브릿지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3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건강한 골이 치조 융선에 인접하게 위치 결정된 하악골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3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건강한 골과 맞물린 신연 장치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3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에 수직이 아닌 각도로 스트링을 통해 연결된 신연 장치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33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을 통해 고정판에 연결된 신연 장치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34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악골의 시상 부분에서 절골된 골 세그먼트의 신연을 위해 상악골에서 골 나사와 맞물린 신연 장치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도 35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악골의 전방 부분에서 절골된 골 세그먼트의 신연을 위해 상악골에서 골 나사와 맞물린 신연 장치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이 설명될 것이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본 개시의 상이한 양태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 및 세부 사항이 제시된다. 그러나, 본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또한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주지된 특징을 생략하거나 단순화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번호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번호에 대한 상이한 위첨자는 동일한 요소의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개시된 장치 및 시스템의 실시예는 동일한 요소의 상이한 실시예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첨자가 없는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위첨자로 표시된 동일한 요소의 임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동일한 도면 번호 다음에 다른 소문자가 오는 구성 요소는 도면 번호만으로 통칭할 수 있다. 특정 구성 요소 세트가 논의되는 경우, 다음 소문자가 없는 도면 번호를 사용하여 논의되는 해당 세트에서 해당 구성 요소를 참조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1a 내지 도 10c를 참조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 없이 제시된 골 연장을 위한 신연 장치(100)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의 사시도, 평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도 3a 및 도 3b는 신연 장치(100)의 2개의 상이한 실시예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필립스 소켓, 육각형 또는 알렌 나사-머리 및 육각형 또는 알렌 소켓 형태의 툴링 인터페이스를 갖는 신연 장치(100)의 투시도를 구성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툴링 인터페이스와 맞물린 회전 도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육각형의 장착 소켓을 갖는 신연 장치(100)의 저면도 및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0c는 팔각형의 장착 소켓을 갖는 신연 장치(100)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신연 장치(100)는 본체(102) 및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본체(102)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부착되며,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 각각은 스트링 당김 조립체에 부착된 스트링(128)을 당기도록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본체(120)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 및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를 포함하여,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 각각은 어댑터 부재(136) 또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스트링 당김 조립체(string pull assembly)"는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중 임의의 하나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 및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모두에 부착되어, 예를 들어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일 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에 부착되고,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반대쪽 단부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모든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모든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일부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에 부착되는 반면, 나머지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 부착된다.
본체(102)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를 통해 마운트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마운트는 교각치, 치과용 크라운, 치과용 나사, 치과용 브릿지, 의치, 본치(native tooth), 등과 같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턱에 부착된 또는 턱으로의 부착을 위해 구성된 임의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축(32)은 이러한 마운트의 길이 방향 축이며, 그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로 연장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축(3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길이 방향(34)(도 1a 참조)을 따라 어댑터 부재(136)로부터 연장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각각의 스트링(128)의 길이 방향 분포를 촉진하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각각의 스트링(128)이 길이 방향(34)을 따라 다른 위치로부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를 통해 근위로(즉, 사용 중일 때, 환자의 턱을 향해) 연장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길이 방향(34)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스트링(128)은 대응하는 상이한 위치 결정 특징부(118)를 통해 또는 이를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axis)'은 축선에 대해 60° 내지 120° 범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는 방향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및 어댑터 부재(136)는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및 어댑터 부재(136)는 서로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및 어댑터 부재(136)는 서로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및 어댑터 부재(136)는 서로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을 갖는 프레임으로서 형성된다(도 1a 내지 도 3b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판으로 형성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전면 패널(110)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전면 패널(110) 및 측벽(112)은 일체로 형성된다.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그 근위 단부에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갖는 스트링(128)에 부착된 가동 요소(122)를 포함하고, 이동 요소(122)는 원위 방향으로, 즉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를 향하여,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따라, 제 2 스트링 단부의 변위를 촉진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이고, 이동 요소(122)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이고,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126)는 샤프트로 형성된 이동 요소(122)의 단부에 위치하며, 스트링(128)은 샤프트로서 형성된 이동 요소(122)에 제 1 스트링 단부(도면번호 없음)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트링(128)은 샤프트로서 형성된 이동 요소(122)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동안 샤프트로 형성된 이동 요소(122)를 둘러싸고, 샤프트로서 형성된 이동 요소(122)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동안 풀리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본체(10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 형성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1a 내지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서 형성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1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서 형성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툴링 인터페이스(126)가 툴링 장치(76)(도 9a 내지 도 9c 참조)와의 맞물림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측벽(112)을 통하여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 형성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툴링 인터페이스(126)의 각각 하나가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중 각각 하나를 통하여 툴링 장치(76)와의 맞물림을 위해 노출되도록 각각의 단부에 위치된 2개의 툴링 인터페이스(12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서 형성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제 1 스트링 단부 및 제 2 스트링 단부(도면번호 없음)를 갖는 스트링(128)을 포함한다. 스트링(128)은 제 1 스트링 단부에서 가동 요소(122)에 부착되어, 가동 요소(122)의 이동은 스트링(128)의 반대쪽 단부의 원위 방향, 즉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를 향하여 변위를 촉진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128)은 제 1 스트링 단부에서 샤프트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에 부착되어, 일 방향으로 샤프트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가 스트링(128)의 풀린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는 방식으로 샤프트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 둘레에 스트링(128)을 둘러 싸는 것을 유발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128)은 비-신축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128)은 그 길이를 따라 탄성이 있는 임의의 스트링, 코드, 실,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128)은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맞물림부(130)는 루프를 포함한다(도 1a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맞물림부(130)는 후크를 포함한다(도 3a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맞물림부(130)는 스트링(128)의 자유 단부(128)(도 8a 내지 도 9c 참조)로서 형성되며, 이는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루프와 같은) 루프를 형성하도록 그 자체에 묶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근위 패널(106)을 포함한다(도 2c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근위 패널(106)은 측벽(112)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근위 패널(106) 및 측벽(112)은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는 근위 패널(106)이 없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용어 "근위(proximal)"는 일반적으로 사용시 악골에 더 가까운 임의의 장치 또는 장치의 구성 요소의 측면 또는 단부를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연 장치(100)의 근위 단부는 치조 융선(52)에 더 가까운 단부이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용어 "원위(distal)"는 일반적으로 "근위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임의의 장치 또는 장치의 구성 요소의 측면 또는 단부를 말하며, 사용시 악골에서 더 멀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근위 패널(106)은 통공으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근위 패널(106)은 스트링(128)의 가동 요소(122)에 대한 스트링(128)의 부착 구역과 정렬되고, 스트링(128)의 통과 및 자유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동 요소(122)에 대해 개구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의 위치는 스트링(128)이 통공으로서 형성된 위치 결정 특징부(118)의 어떠한 에지와도 접촉하지 않고 위치 결정 특징부를 통과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는 통공, 개구, 창, 슬롯, 채널, 및 덕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요소(122)와 상기 가동 요소에 부착되거나 상기 가동 요소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128) 사이의 접촉점에 의해 형성되어, 이 접촉점의 위치가 스트링(128)이 사용할 때 근위 방향(즉, 치조 융선(52)을 향하여)으로 연장하는 상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의 방향을 따라 위치를 정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동 요소(122)는 그 적어도 하나의 가동 요소의 단부에, 툴링 인터페이스(12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샤프트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 요소(122)는 샤프트(122)의 각각의 단부에 하나씩, 2개의 툴링 인터페이스(126)를 포함한다. 각각의 툴링 인터페이스(126)는 샤프트로 형성된 가동 요소(122)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일 방향으로의 툴링 인터페이스(126)의 회전은 샤프트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의 동일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초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동 요소(122) 및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126)는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툴링 인터페이스(126)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12)의 개구(도면번호 없음)를 통해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샤프트로 형성된 가동 요소(122) 상에, 측벽(112a 및 112b) 사이에서 견고하게 장착된 기어(124)를 포함하여, 가동 요소(122)의 회전은 동일한 방향으로 기어(124)의 회전을 초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기어(12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폴(pawl; 114)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기어(124)는 래칫 기어를 포함하여, 폴(114)이 기어(124)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반대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기어(124)와 폴(114)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샤프트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 둘레에 스트링(128)을 둘러싸거나 루핑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서 형성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자유 회전을 허용하는 반면, 반대 방향으로의 이러한 회전을 방지하여, 가동 요소(122)로부터 둘러싸이지 않은 스트링(128)의 옵션을 방지한다. 자유 회전 방향은 일부 실시예에서 반시계 방향(도 3a 참조),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시계 방향(도 3b 참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원위 패널(108)을 포함한다(도 2a 및 도 2b 참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내에 수용된 구성 요소를 노출시키기 위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지 않음).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은 측벽(112)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 및 측벽(112)은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은 제 1 폴 단부(도면번호 없음)의 원위 패널(108)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폴(114)을 포함하고, 제 2 폴 단부(도면번호 없음)에서 기어(124)와 자유롭게 맞물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a 및 도 2b 및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위 패널(108)은 기어(124)의 위치를 오버레이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창(116)을 포함하여, 제 1 폴 단부가 패널 창(116)의 에지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폴(114a)은 패널 창(116)이 없는 원위 패널(108)에 부착된다.
도 3a 및 도 3b는 폴(114 또는 114a)이 각각 일 단부에서 원위 패널(108)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당업자는 제 2 폴 단부가 대응하는 기어(124)와 맞물리는 한, 제 1 폴 단부는 근위 패널(106)(도 22c 참조), 측면 패널(112) 중 어느 하나, 전면 패널(114), 메인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의 다른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와 같은 신연 장치(100)의 임의의 다른 부분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폴(114)은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거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원위 패널(108) 또는 신연 장치(100)의 다른 부분에 부착되어 제 2 폴 에지가 기어(124)에 대해 스프링 편향된다.
도 3a 및 도 3b는 특정 래칫 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기구가 하나의 방향으로 샤프트로 형성된 가동 요소(122)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별도로 각각의 방향으로의 이러한 회전 운동을 적어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구는 이중 래칫 기구(double ratchet mechanism), 양방향 래칫 기구, 마찰 래칫 기구, 일 방향 클러치, 역회전 방지 클러치, 및 회전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는 악골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마운트와 연결하도록 구성된 내부, 외부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을 포함한다. 마운트는 교각치, 치과용 크라운, 치과용 나사, 치과용 브릿지, 의치, 본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는 의치, 본치, 골 나사 등의 형태로 마운트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교각치, 치과용 크라운, 또는 치과용 브릿지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는 연결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하는 장착 보어(13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장착 보어(138)는 일치하는 나사산을 갖는 외부 구성 요소와 통합되도록 제공된 길이(도 1a 내지 도 3a 참조) 또는 길이의 일부를 따라 보어 나사산(bore screw thread; 14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136a)는 그 길이를 따라 회전 방지 내부 표면을 갖는 장착 보어(138a)(도 3b 참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방지 내부 표면은 장착 보어(138a)의 길이를 따라 육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도 10a 및 도 10b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방지 내부 표면은 장착 보어(138b)의 길이를 따라 8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도 10c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방지 내부 표면은 볼록하거나 오목한(예를 들어, 별 모양) 다각형, 타원, 또는 다른 계란형 및/또는 초승달 모양과 같은 임의의 비-원형 단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에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몸체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string positioning member attached to at least one adaptor body)"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에 견고하게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04)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및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가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몸체(136)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에 대한 부착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는 스트링 위치 결정에 대한 부착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부착 수단(13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에 대한 프레임(104)의 분리 가능한 부착은 프레임 부착 수단과 어댑터 부착 수단(134) 사이의 맞물림을 통해 지지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복수의 어댑터 부재(13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2개의 어댑터 부재(136)를 포함하고, 각각 하나의 어댑터 부재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의 반대쪽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은 수동 밀기/당김 힘의 인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에 스프링 위치 결정 부재(104)의 신속한 부착 및 수동 밀기/당김 힘의 인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로부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의 신속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부착물로서 정의되는 신속 스냅 유형(quick-snap type)의 부착물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에는 나사가 없으므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와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 사이에 빠르고 간단한 부착 모드를 제공한다.
지금부터 도 4a 내지 도 7d를 참조한다. 도 4a는 신속 스냅 타입의 부착물을 통해 어댑터 부재(136t)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t)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t)의 본체(102t)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t)는 각각 제 1 및 제 2 측벽(112ta 및 112tb), 및 후면 및 전면 패널(110ta 및 110tb)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패널(110ta)과 같은 그의 일 단부에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후면 패널(110ta)은 프레임 리브(166t)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t)을 갖는 위치 결정 부재의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어댑터 부재(136t)는 어댑터 부재(136t)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된 어댑터 리브를 갖는 어댑터 부착 수단(134t)을 포함한다.
도 4b는 예를 들어, 화살표(92)(도 4a 참조) 방향으로 어댑터 부착 수단(134t)을 향해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t)를 이동시킴으로써, 어댑터 부재(136t)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t)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어댑터 부착 수단(134t)의 어댑터 리브는 홈(167t)에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리브(166t)로부터의 마찰력에 의해 그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어댑터 부재(136t)에 대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t)의 자발적인 이동을 고정하고 방지한다.
도 4a는 2개의 프레임 리브(166t) 및 1개의 프레임 홈(167t)을 갖는 위치 결정 부재의 부착 수단 및 1개의 어댑터 리브를 갖는 어댑터 부착 수단(134t)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후면 패널(110ta)이 임의의 다른 양의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t)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t)을 포함할 수 있고 어댑터 부착 수단(134t)은 임의의 다른 양의 어댑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리브의 수는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t)의 수와 일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t)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에지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t)은 둥근 홈으로 형성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리브는 둥근 에지로 형성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리브의 기하학적 형태는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t)의 기하학적 형태와 일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t)는 어댑터 부착 수단(134t)(도 4a 참조)의 어댑터 리브의 일치 표면을 향하는 딤플(dimple: 도면 번호 없음)을 더 포함하고, 프레임 홈(167t) 내에 수용될 때 어댑터 리브에 대해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어댑터 부재(136t)에 대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t)의 이동을 추가로 고정하고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t)의 어댑터 리브는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t)의 딤플과 정렬하도록 구성된 노치(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t)의 어댑터 리브는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t)의 일치 표면을 향하는 딤플을 더 포함하고, 어댑터 부재(136t)에 대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t)의 이동을 더 고정하고 방지하기 위해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t)에 대해 가압하도록 구성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t)의 어댑터 리브는 어댑터 부착 수단(134t)의 어댑터 리브와 정렬되도록 구성된 노치(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도 5a는 신속 스냅 유형의 부착물을 통해 제 1 어댑터 부재(136ua)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ub)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u)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u)의 본체(102u)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u)는 각각 제 1 및 제 2 측벽(112ua 및 112ub), 및 후면 및 전면 패널(110ua 및 110ub)을 포함한다. 후면 및 전면 패널(110ua 및 110ub) 각각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u)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u)을 갖는 위치 결정 부재의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어댑터 몸체(136ua 및 136ub) 각각은 각각 제 1 및 제 2 어댑터 몸체(136ua 및 136ub)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된 어댑터 리브(170u) 및 어댑터 홈(171u)을 갖는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ua 및 134ub)을 각각 포함한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 후면 패널(110ua)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ua 및 166ub),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ua, 167ub, 및 167uc)을 포함한다. 제 1 어댑터 부착 수단(134ua)은 각각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ua, 167ub, 및 167uc)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어댑터 리브(170ua, 170ub 및 170uc)를 포함한다. 제 1 어댑터 부착 수단(134ua)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ua 및 166ub)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홈(171ua 및 171ub)을 더 포함한다. 전면 패널(110ub)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uc 및 166ud)와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ud, 167ue, 및 167uf)을 포함한다.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ub)은 각각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ud, 167ue, 및 167uf)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어댑터 리브(170ud, 170ue, 및 170uf)를 포함한다.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ub)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uc 및 166ud)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홈(171uc 및 171ud)을 더 포함한다.
도 5b는 예를 들어 화살표(94)(도 5a 참조)의 방향으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u)를 이동시켜서 각각 후면 및 전면 패널(110ua 및 110ub)의 프레임 부착 수단 및 어댑터 부착 수단(134ua 및 134ub) 사이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ua 및 136ub)에 각각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u)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어댑터 리브(170u) 및 어댑터 홈(171u)은 각각 마찰력에 의해 그 안에 안정적으로 위치된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u) 및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u)와의 맞물림을 위해 형성되어, 각각 제 1 또는 제 2 어댑터 부재(136ua 및 136ub)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t)의 자발적인 이동을 고정하고 방지한다.
도 5a 및 5b는 2개의 프레임 리브(166u) 및 3개의 홈(167u)을 갖는 각각의 위치 결정 부재의 부착 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각각의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ua 및 134ub)은 3개의 어댑터 리브(170u) 및 2개의 어댑터 홈(171u)을 도시하지만, 당업자는 각각의 후면 패널(110ua 및 110ub)이 임의의 다른 양의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u)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u)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ua 및 134ub) 각각이 임의의 다른 양의 어댑터 리브(170u) 및 어댑터 홈(171u)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리브 어댑터 홈(170u)의 수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u)의 수와 일치하고, 어댑터 리브의 어댑터 홈(171u)의 수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u)의 수와 일치한다.
도 6a는 신속 스냅 유형의 부착물을 통해 제 1 어댑터 부재(136va)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vb)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v)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v)의 본체(102v)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v)는 각각 제 1 및 제 2 측벽(112va 및 112vb), 및 후면 및 전면 패널(110va 및 110vb)을 포함한다. 후면 및 전면 패널(110va 및 110vb) 각각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v) 형태의 위치 결정 부재의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va 및 136vb) 각각은 각각 완전한 원주 방향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va 및 136vb)를 따라 형성된 원주 방향 어댑터 리브(170v) 및 원주 방향 어댑터 홈(171v)을 갖는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va 및 134vb)을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 후면 패널(110va)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a 및 166vb),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va, 167vb, 및 167vc)을 포함한다. 제 1 어댑터 부착 수단(134va)은 각각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va, 167vb, 및 167vc)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어댑터 리브(170va, 170vb, 및 170vc)를 포함한다. 제 1 어댑터 부착 수단(134va)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a 및 166vb)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홈(171va 및 171vb)을 더 포함한다. 전면 패널(110vb)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c 및 166vd),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vd, 167ve, 및 167vf)을 포함한다.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vb)은 각각 위치 부재의 홈(167vd, 167ve, 및 167vf)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어댑터 리브(170vd, 170ve, 및 170vf)를 포함한다.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ub)은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c 및 166vd)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홈(171vc 및 171vd)을 더 포함한다.
후면 및 전면 패널(110va 및 110vb)은 각각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v)과 함께 아치형으로 만곡되어, 각각 원주 방향 어댑터 리브(170v) 및 원주 방향 어댑터 홈(171v)과 함께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va 및 134vb)의 원주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6b는 예를 들어 후면 및 전면 패널(110va 및 110vb)의 위치 결정 부재의 부착 수단과 어댑터 부착 수단(134va 및 134vb) 사이의 맞물림을 각각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살표(96)(도 6a 참조) 방향으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v)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va 및 136vb)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v)의 투시도를 구성한다. 어댑터 리브(170v) 및 어댑터 홈(171v)은 각각 마찰력에 의해 그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 형성된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v) 및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각각 제 1 또는 제 2 어댑터 몸체(136va 및 136vb)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위치 결정 부재(104v)의 자발적인 이동을 고정하고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어댑터 부착 수단(134va 및 134vb)의 원주 형상과 각각 일치하는 후면 및 전면 패널(110va 및 110vb)의 프레임 부착 수단의 아치 형상은 신연 장치(100v)의 조작자가 각각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va 및 136vb)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면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v)가 어댑터 부재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마찰력보다 높은 다른 외력이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v) 또는 제 1 또는 제 2 어댑터 부재(136va 및 136vb) 각각에 대해 작용하지 않을 때 자발적인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맞물릴 때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후면 및 전면 패널(110va 및 110vb)의 위치 결정 부재의 부착 수단 및 어댑터 부착 수단(134va 및 134vb)을 설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찰력보다 높은 힘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va 및 136vb) 중 어느 하나의 수동 회전은 이와 같은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강제 회전이 완료되면 마찰력은 다시 한번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v)와 제 1 또는 제 2 어댑터 부재(136va 및 136vb)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자발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작용한다.
도 6a 및 도 6b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가 어댑터 부재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하면서 어댑터 부재(136) 각각 하나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2개의 어댑터 부재(136)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의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유사한 구성이 단일 어댑터 부재(136)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 신연 장치(100v)는 근위 패널(106v)(미도시)과 원위 패널(108v) 사이에 배치된 수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v)(미도시)를 포함하며, 각각은 툴링 인터페이스(126v)(도 12에 도시된 수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c)와 유사하며, 아래에 추가로 설명됨)를 포함한다. 신연 장치(100v)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개시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를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2개의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 및 3개의 홈(167v), 및 각각 3개의 어댑터 리브(170v) 및 2개의 어댑터 홈(171v)을 갖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va 및 134vb)을 갖는 각각의 프레임 부착 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당업자는 후면 패널(110va 및 110vb) 각각이 임의의 다른 양의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 및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v)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착 수단(134va 및 134vb)이 각각 임의의 다른 양의 어댑터 리브(170v) 및 어댑터 홈(171v)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리브(170v)의 수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부재의 홈(167v)의 수와 일치하고, 어댑터 홈(171v)의 수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부재의 리브(166v)의 수와 일치한다.
도 7a는 신속 스냅 유형의 부착물을 통해 제 1 어댑터 부재(136wa)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wb)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w)의 본체(102w)의 사시도를 구성하며,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wa 및 136wb)는 어댑터 부착 수단(134w)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는 각각 제 1 및 제 2 측벽(112wa 및 112wb), 및 후면 및 전면 패널(110wa 및 110wb)을 포함한다. 어댑터 부착 수단(134w)은 그 안에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어댑터 부착 소켓(172w)을 포함한다.
도 7b는 어댑터 부착 소켓(172w)(도면번호 없음)의 측벽들 및 후면 패널(110va), 전면 패널(110vb), 제 1 측벽(112wa), 및 제 2 측벽(112wb)사이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화살표(98)(도 7a 참조) 방향으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wa 및 136wb)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는 그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어댑터 부착 소켓(172w)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제 1 또는 제 2 어댑터 부재(136wa 및 136wb)에 대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의 자발적인 이동을 고정하고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w)은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wa 및 136wb)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w)은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wa 및 136wb)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w)은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wa 및 136wb)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는 화살표(98)(도 7a 참조)의 방향으로 밀려서, 후면 패널(110va), 전면 패널(110vb), 제 1 측벽(112wa), 및 제 2 측벽(112wb)의 일부만이 어댑터 부착 소켓(172w)의 측벽과 맞물림되어, 적어도 제 1 측벽(112wa)을 따라 배치된 툴링 인터페이스(126b)와 같은 툴링 인터페이스(126b)를 떠나서, 접근(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회전 도구(76)에 대한 접근)을 위해 노출되고 어댑터 부착 소켓(172w)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다(도 7b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소켓(172w)은 소켓 시트(173w)(도 7a 참조)를 더 포함하여,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가 소켓 시트(173w)에 접할 때까지 화살표(98)의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소켓 시트(173w)는 툴링 인터페이스(126)가 접근을 위해 노출되고 어댑터 부착 소켓(172w)에 의해 차단 해제되는 위치에서 화살표(98)의 방향으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w)의 추가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도 7b 참조).
도 7c는 신속 스냅 유형의 부착물을 통해 제 1 어댑터 부재(136ya)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yb)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y)의 본체(102y)의 사시도를 구성하며,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ya 및 136yb)는 어댑터 부착 수단(134y)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는 각각 제 1 및 제 2 측벽(112ya 및 112yb), 및 후면 및 전면 패널(110ya 및 110yb)을 포함한다. 어댑터 부착 수단(134y)은 그 안에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어댑터 부착 소켓(172y)을 포함한다.
도 7d는 예를 들어, 어댑터 부착 소켓(172y)의 측벽들(도면번호 없음) 및 후면 패널(110ya), 전면 패널(110yb), 제 1 측벽(112ya), 및 제 2 측벽(112yb) 사이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살표(98)(도 7c 참조)의 방향으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ya 및 136yb)에 부착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는 그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어댑터 부착 소켓(172y)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제 1 또는 제 2 어댑터 부재(136ya 및 136yb)에 대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의 자발적인 이동을 고정하고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y)은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ya 및 136yb)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y)은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ya 및 136yb)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착 수단(134y)은 제 1 및 제 2 어댑터 부재(136ya 및 136yb)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예에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는 원위 패널(108y)을 따라 배치된 툴링 인터페이스(126y)를 갖는 수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y, 도시안됨, 도 12에 도시된 수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c)와 유사하고 아래 추가로 설명됨)를 포함하여, 툴링 인터페이스(126y)가 어댑터 부착 소켓(172y)에 의해 차단될 위험 없이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와 맞물림하기 위해 어댑터 부착 소켓(172y)에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원위 패널(108y)을 따라 배치된 툴링 인터페이스(126y)를 갖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후면 패널(110ya), 전면 패널(110yb), 제 1 측벽(112ya), 및 제 2 측벽(112yb)이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도 7c 및 도 7d 참조) 어댑터 부착 소켓(172y)의 측벽과 맞물리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신연 장치(100w)와 비교하여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y)와 어댑터 부착 소켓(172y) 사이에 더 큰 맞물림 표면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는 납땜, 프롱(prong), 패스너, 생체 적합성 접착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대안적인 기계적 부착 방법을 사용하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로부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로부터, 또는 둘 모두로부터 중 어느 하나를 연장할 수 있는 대안적인 구조를 통해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및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를 포함하는 키트로서 공급되고, 서로 분리되고 본 명세서에 추가로 개시되는 바와 같이 악골 위에 배치되기 전에 함께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후면 및 전면 패널(110a 및 110b)이 각각 상호 교환 가능하도록 대칭적이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후면 패널(110a)이 전면 패널(110b)로서 작용하고 전면 패널(110b)이 후면 패널(110a)로서 작용하도록 어느 한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면 패널(front panel; 110)"은 후면 및 전면 패널(110a, 110b) 사이를 구체적으로 구별하지 않는 실시예에서 언급될 때 전면 패널(110b)을 지칭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및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는 위에서 예시된 기하학적 구조 또는 부착 유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4a 내지 도 7d에서 도시된 구성은 단지 예로서 기능하는 반면, 당업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와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 사이에 임의의 다른 부착 방법 및 지지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대칭적이어서 제 1 및 제 2 측벽(112a 및 112b)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되고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제 1 측벽(112a)이 제 2 측벽(112b)으로 작용하고 제 2 측벽(112b)이 제 1 측벽(112a)으로서 작용하도록 어느 한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본체(102),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136) 등과 같은 신연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는 CAD-CAM 소프트웨어에 공급된 적어도 하나의 설계 파일을 기반으로, CAD-CAM 소프트웨어 및 CAD-CAM 작동 기계의 사용을 통해 제조된다.
여기에 사용된 CAD라는 용어는 컴퓨터 지원 설계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CAM은 컴퓨터 지원 제조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설계 파일은 환자 맞춤형 설계, 환자의 턱의 기하학적 구조, 환자 특정 치조 융선 위축의 기하학적 구조, 의치 또는 환자의 본치와 같은 마운트의 기하학적 구조, 신연 장치(100)의 인접한 구성 요소의 크기 및 기하학적 구조와 같은 다양한 매개 변수를 고려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어댑터 부재(adaptor member)"및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at least one adaptor member)"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 가능하고 단일 어댑터 부재(136) 또는 복수의 어댑터 부재(136)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툴링 인터페이스(126)는 나사-드라이브(screw-drive; 도면번호 없음)를 포함한다. 도 8a에서, 툴링 인터페이스(126)의 나사-드라이브는 필립스(Phillips) 또는 피어슨(Fearson) 소켓의 형태이다. 도 8b에서, 툴링 인터페이스(126a)의 나사-드라이브는 육각형 또는 알렌 나사-헤드의 형태이다. 도 8c에서, 툴링 인터페이스(126b)의 나사-드라이브는 육각형 또는 알렌 소켓의 형태이다. 당업자라면 슬롯, 스퀘어(Square), 로버트슨(Robertson), 톡스(Torx), TA, 트리-윙(Tri-Wing), 클러치(Clutch), 스패너-헤드(Spanner Head), 더블-스퀘어(Double-Square, 트리플-스퀘어(Triple-Square), 더블-헥스(Double-Hex), 브리스톨(Bristol) 등과 같은 다른 나사-드라이브 형상이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나사-드라이브(screw-drive)"는 스크루 드라이버 형태의 회전 도구에 맞도록 구성된 나사 머리 또는 렌치와 같은 회전 도구에 맞도록 구성된 면으로 형성된 연장부를 지칭한다.
도 9a는 화살표(80) 방향으로 툴링 인터페이스(126b)와 맞물린 회전 도구(76)를 도시한다. 도 9b는 화살표(82) 방향으로 회전 도구(76)의 회전을 도시한다. 회전 도구(76)가 툴링 인터페이스(126b)와 맞물리는 동안, 이러한 회전은 샤프트로 형성된 가동 요소(122)가 동일한 방향(82)으로 회전하게 하여 스트링(128)의 풀린 부분의 길이를 단축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화살표(82)와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도구(76)의 회전은 폴(114)과 기어(124)의 맞물림으로 인해 제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툴링 인터페이스(126)의 회전은 선택적 독점 및/또는 맞춤형 도구로 수행된다. 도 9a는 툴링 인터페이스(126b)와 맞물림되고 방향(84)으로 회전하는 회전 도구(76a)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회전 도구(76)의 프로파일은 툴링 인터페이스(126)의 나사-드라이브 형상에 대응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툴링 인터페이스(126b)의 나사-드라이브 소켓에 삽입된 알렌 헤드로 형상화된 회전 도구(76 또는 76a)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회전 도구(76)는 스크루 드라이버, 렌치, 또는 스패너와 같은(이에 한정되지 않음) 내부 소켓 또는 툴링 인터페이스(126)의 외부 원주 프로파일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다른 맞물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회전 도구(7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사 드라이브를 갖는 툴링 인터페이스(126)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툴링 인터페이스(126)가 도구 또는 손으로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 또는 연장부(미도시)와 같이 유사한 방식으로 회전되도록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장착 보어(138)는 소켓 나사산(140)을 포함한다(도 1a 내지 도 4b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장착 보어(138)는 다면체형 구조를 포함한다(도 10a 및 도 10b 참조).
도 1a 내지 도 10c는 3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신연 장치(100)는 임의의 다른 양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예를 들어 1개, 2개, 4개, 등과 같이 대응하는 폴(pawl)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균등한 거리에서 서로 수평으로 이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고르지 않은 거리에서 서로 수평으로 이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복수(plurality)는 하나 초과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평(horizontal) 또는 수평 평면(horizontal plane)이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 가능하며 도 1a 내지 도 10a에 도시되고 배향된 바와 같이 근위 패널(106) 또는 원위 패널(108)에 평행한 평면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직 방향의 수직(vertical)이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 가능하고 수평면에 수직인 방향, 예를 들어 축(32)(도 1a 참조)에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예(example)"및 "예시적인(exemplary)"은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예" 또는 "예시적인"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다른 실시예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고 및/또는 다른 실시예로부터 특징의 통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근위 패널(106)은 단일 수평면을 따라 걸쳐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은 단일 수평면을 따라 걸쳐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완전히 직선형 프레임으로서 형성되며, 이는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각각의 근위 및 원위 에지(도면번호 없음)가 어댑터 부재(136)와 전면 패널(110) 사이에서 직선임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각각의 근위 및 원위 에지가 수평면에 평행하고, 각각의 에지가 수직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완전히 직선형 프레임으로 형성된다(도 1a 내지 도 10a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각각의 근위 및 원위 에지가 수평면에 대해 각을 이루도록 완전히 직선형 프레임으로서 형성되고, 각각의 에지는 수직 방향에 대한 비(non)-수직 각도로 각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단일 수평 평면을 따라 걸쳐 있는 판으로서 형성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부분적으로 직선형 프레임으로서 형성되며, 이는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각각의 근위 에지 또는 원위 에지만이 어댑터 부재(136)와 전면 패널(110) 사이에서 직선임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각각의 근위 에지 또는 원위 에지가 아치형이 되도록 부분적으로 직선형 프레임으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부분적으로 직선형 프레임으로서 형성되어,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각각의 근위 에지 또는 원위 에지가 상악골과 같은 악골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비-직선형 프레임으로서 형성되는데, 이는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각각의 근위 및 원위 에지 중 어느 것도 어댑터 부재(136)와 전면 패널(110) 사이에서 직선이 아님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비 직선 판(실시예 미도시)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각각의 적어도 근위 에지 또는 원위 에지가 아치형이되도록 비-직선형 프레임으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비-직선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제 1 측벽(112a) 및 제 2 측벽(112b) 각각의 근위 에지 또는 원위 에지가 상악골과 같은 악골의 형상에 순응하도록 형상된다.
지금부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 부착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1a 내지 도 13d를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제 1 측벽(112a) 또는 제 2 측벽(112b)에 대해 90°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각도로 각을 이루도록 측벽(112)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배향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제 1 측벽(112ba) 또는 제 2 측벽(112bb)에 대해 수평으로 각진 본체(102b)에 부착된 2개의 예시적인 평행 대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b)를 갖는 신연 장치(100b)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b)는 가동 요소(122b), 가동 요소(122b)에 견고하게 부착된 기어(124b), 가동 요소(122b)에 부착된 스트링(128),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112b)을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126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가 원위 패널(108)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126)가 원위 패널을 통해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근위 패널(106)과 원위 패널(108) 사이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근위 패널(106) 및 원위 패널(108) 모두에 부착되어 툴링 인터페이스(126)가 원위 패널(108)을 통해 연장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근위 패널(106)이 아니라 원위 패널(108)에 부착되어, 툴링 인터페이스(126)는 원위 패널(108)을 통해 노출된다.
도 12는 본체(102c)의 근위 패널(106c)과 원위 패널(108c) 사이에 그리고 전면 패널(110c)과 평행하게 배치된, 3개의 예시적인 수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c)를 갖는 신연 장치(100c)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c)는 가동 요소(122c), 가동 요소(122c)에 견고하게 부착된 기어(124c), 가동 요소(122b)에 부착되고 근위 패널(106c)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c)를 통해 연장하는 스트링(128), 및 원위 패널(108d)을 통해 연장하는 툴링 인터페이스(126d)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가 전면 패널(11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126)가 전면 패널을 통해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가 전면 패널(110)과 어댑터 부재(136)의 외부 표면(도면번호 없음) 모두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어댑터 부재(136)의 외부 표면이 아닌, 전면 패널(110)에 부착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전면 패널(110d)과 어댑터 부재(136)의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측벽(112da) 및 제 2 측벽(112db)과 평행한 2개의 예시적인 길이 방향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da 및 120db)를 갖는 신연 장치(100d)의 사시도 및 횡단면 평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d)는 가동 요소(122d), 가동 요소(122d)에 부착되고 근위 패널(106d)의 통공(118d)을 통해 연장하는 스트링(128), 및 전면 패널(110d)을 통해 연장하는 툴링 인터페이스(126e)를 포함한다. 각각의 가동 요소(122d)는 나사 나선(도면번호 없음)을 갖는 나사로 형성된다.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d)는 그 길이를 따라 가동 요소(122d)의 길이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샤프트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d)의 나사 나사산에 대응하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른 나선을 갖는 채널(142)을 더 포함한다. 채널(142)은 스트링(128)이 위치 결정 특징부(118d)를 향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도면번호 없음)를 더 포함한다.
도 13b 및 도 13d는 툴링 인터페이스(126ea) 및 툴링 인터페이스(126ea) 모두가 전면 패널(110d)과 접촉하는 위치로 정의된 제 1 위치에 있는 길이 방향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da 및 120db)의 각각 도 13b에 표시된 횡단면 평면도 및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회전 도구(76)는 회전 도구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툴링 인터페이스(126e)(미도시)와 맞물릴 수 있고, 이에 의해 툴링 인터페이스(126e)를 전면 패널(110d)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가동 요소(122d)를 어댑터 부재(136)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도 13a 및 도 13c는 두 툴링 인터페이스(126ea 및 126eb)가 전면 패널(110d)로부터 이격되고 대응하는 가동 요소들(122da 및 122db) 모두가 제 1 위치에 대해 어댑터 부재(136)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격되는 위치로 정의된, 제 2 위치에 있는 길이 방향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da 및 120db)의 사시도 및 횡단면 평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가동 요소(122da 및 122db)의 일 단부에 각각 고정된 스트링(128a 및 128b)은 가동 요소(122da 및 122db)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배치하는 동안 당겨져서 스트링 맞물림부(13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근위 판(106c)을 향해 수직으로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어댑터 부재(13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금부터 도 15a 내지 도 16b를 참조하여, 장착 보어(138)를 갖는 어댑터 부재(13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어댑터 부재(13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126)가 어댑터 부재(136)의 측벽(도면번호 없음)을 통하여 연장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양 단부는 어댑터 부재(13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126)가 어댑터 부재(136)의 측벽(도면번호 없음)을 통해 연장한다.
지금부터 도 14a 내지 도 14h를 참조하면,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p)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p)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p)의 사시도 및 횡단면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p)는 본체(102p)의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p)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p)는 도 14a에 도시된, 원위 패널(108p)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채널을 포함하여, 가동 요소(122)가 채널(12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p)는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나선을 갖는 채널(142p)을 포함하고, 이는 내부 나사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p)의 나사 나선에 대응하며, 채널(142p)을 따라 가동 요소(122p)의 길이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내부 나사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p)는 채널(142p)과 나사식으로 맞물린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채널(142p)은 그 길이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완전히 폐쇄된 원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평면을 따라 나사산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 1 측벽(112da)과 같은 측벽은 가동 요소(122p)의 툴링 인터페이스(126p)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스트링(128)은 제 1 스트링 단부에서 가동 요소(122p)에 부착되어, 가동 요소(122p)의 축방향 변위는 스트링이 부착된 가동 요소(122p) 둘레를 스트링(128)이 둘러싸지 않고 동일한 방향으로 스트링(128)을 끌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가동 요소(122p)는 가동 요소(122p)의 회전 운동 동안 그 주위를 둘러싸지 않고 가동 요소(122p)에 부착된 스트링(128)의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베어링을 통해 가동 요소(122p)의 외부 쉘에 연결된 내부 코어를 더 포함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예를 들어 통공으로서 형성된 복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스트링(128)이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위치 결정 특징부(118)가 반대 측벽보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의 일 측벽에 더 가깝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p)는 예를 들어, 스트링(128)이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통공으로서 형성된 복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p)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특징부(118p)는 제 2 측벽(112pb)보다 제 1 측벽(112pa)에 더 가깝다(도 14b 참조).
사용시, 예를 들어 회전 도구(76)에 의해, 일 방향으로, 내부 나사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p)의 회전은 채널(142p)을 따라 방향(36)(제 1 측벽(112pa)에서 제 2 측벽(112pb)으로의 방향))으로 가동 요소(122p)를 유도한다. 스트링(128)의 제 1 스트링 단부는 개방 단부 스트링 맞물림부(130b)와 같은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원위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방식으로 방향(36)으로 가동 요소(122p)와 함께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p)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각각의 가동 요소(122pa, 122pb, 및 122pc)는 각각 도 14a의 스트링 맞물림부(130ba, 130bb)의 상이한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142pa, 142pb, 및 142pc)를 따라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은 채널(142)의 위치를 오버레이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찰 창(117)을 포함하고, 이는 신연 장치(100p)의 사용자가 채널(142) 내의 가동 요소(122)의 위치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찰 창(117)은 원위 패널(108)에 개구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찰 창(117)은 투명 재료를 포함한다.
도 14c 및 도 14d는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q)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q)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4c 및 도 14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q)가 본체(102q)의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q)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p)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q) 내에 수용된 내부 구성 요소를 노출시키기 위해, 도 14c에 도시되었지만 도 14d에서 볼 때 제거된 원위 패널(108q)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q)은 신연 장치(100q)의 사용자가 채널(142q) 내의 가동 요소(122q)의 위치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 각각의 채널(142q)의 위치를 오버레이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찰 창(117q)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찰 창(117q)은 가동 요소(122q)의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 마크와 같은 마킹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q)은 적어도 하나의 관찰 창(117q)에 인접한 눈금 마크와 같은 마킹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의 다른 영역은 측벽(112a 및 112b) 또는 전면 패널(110)(실시예에 도시됨)과 같은 가동 요소(122)의 현재 위치를 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찰 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q)는 내부 나사로 형성된 가동 요소(122q)의 나사 나선에 대응하는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나선을 갖는 채널(142q)을 포함하며, 이는 채널(142q)을 따라 가동 요소(122q)의 길이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내부 나사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q)는 채널(142q)과 나사 맞물린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채널(142q)은 그 길이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360도 미만을 따라 연장되어 슬롯이 그 원위부를 따라 형성된다. 관찰 창(117q)을 통해 볼 때 채널(142q) 내의 가동 요소(122q)의 위치는 채널(142q)의 원위부에서 방향(36)으로 축방향으로 배치된 슬롯을 통해 볼 수 있다.
도 14e 및 도 14f는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r)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r)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구성한다. 도 14c 및 도 14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r)가 본체(102r)의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r)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r)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r) 내에 수용된 내부 구성 요소를 노출시키기 위해 도 14e에 도시된 원위 패널(108r)을 포함하지만, 도 14f의 도면에서는 제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r)는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래치팅 치형부를 갖고, 래치팅 요소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122r)의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인 래치팅 치형부 또는 폴에 대응하고 채널(142r)을 따라 가동 요소(122r)의 길이방향으로 일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채널(142r)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가동 요소(122)는 손으로 또는 도구에 의해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장부(123)를 더 포함한다. 연장부(123)는 연장부(123)를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새로운 위치로 밀거나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요소(122)의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가동 요소(122r)는 수직 연장 형태의 연장부(123r)를 더 포함한다(도 14e 내지 도 14f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q)은 각각의 채널(142r)의 위치를 오버레이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117r)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창(117r)은 연장부(123q)가 창을 통해(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고, 예를 들어 방향(36)에서 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q)은 적어도 하나의 창(117r)에 인접하여 눈금 표시로서 마킹을 포함한다.
스트링(128)은 제 1 스트링 단부에서 가동 요소(122r)에 부착되어, 가동 요소(122r)의 축방향 변위가 스트링(128)을 부착된 가동 요소(122r) 주위로 둘러싸지 않고 동일한 방향으로 스트링(128)을 끌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가동 요소(122r)는 가동요소(122r)의 회전 이동 동안 주위를 둘러싸지 않고 가동 요소(122r)에 부착된 스트링(128)의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베어링을 통해 가동 요소(122r)의 외부 쉘에 연결된 내부 코어를 더 포함한다(실시예 미도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q)는 예를 들어, 스트링(128)이 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개구로서 형성된 복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r)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위치 결정 특징부(118r)는 제 2 측벽(112rb)보다 제 1 측벽(112ra)에 더 가깝다(도 14f 참조).
사용시, 예를 들어 연장부(123r)를 파지하고 연장부를 방향(36)으로 밀어서 래치팅 요소로 형성된 가동 요소(122r)의 축방향 변위는 제 2 스트링 단부에서 원위 방향으로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당기는 방식으로 축방향 변위를 따라 스트링(128)의 제 1 스트링 단부의 축방향 변위를 초래한다.
도 14e 내지 도 14f는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r)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각각의 가동 요소(122r)는 도 14a 및 도 14b에 예시된 위치와 유사하게 각각의 채널(142r)을 따라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
도 14g 및 도 14h는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s)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r)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구성한다. 신연 장치(100s)는 모든 내부 구성 요소와 함께, 여기에 설명되고 도 14e 및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42s) 및 잠재적으로 창(117)이 채널(142r)보다 짧은 경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위치 결정 특징부(118s)가 근위 패널(106s)을 따라 상이한 위치에, 예를 들어 양 측벽(112sa 및 112sb)으로부터 균일하게 이격되는 것을 제외하고, 신연 장치 본체(102r) 및 그 각각의 구성 요소의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펌프를 포함하고, 가동 요소(122)는 펌프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피스톤으로서 형성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가동 요소(122)는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구성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을 포함하는 가동 요소(122)의 이동은 연장부(123)를 파지하고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 도구(76)를 통해 가동 요소(122)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수동 힘 인가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을 포함하는 가동 요소(122)의 이동은 전자 제어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어댑터 부재(136d) 내에 배치된 2개의 예시적인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f)를 갖는 신연 장치(100f)의 사시도 및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어댑터 부재(136d)는 장착 보어(138d)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보어 내부에 2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fa 및 120fb)가 배치되고, 2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각각은 그 양 단부에서 어댑터 부재(136d)의 측벽에 부착된다.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f)는 샤프트로 형성된 가동 요소(122f), 가동 요소(122f)에 고정되고 어댑터 부재(136d)의 어댑터 통공(144d)을 통해 근위 패널(106f) 내의 통공으로서 형성된 위치 결정 특징부(118f)를 향해 연장하는 스트링(128). 및 어댑터 부재(136d)의 측벽을 통하여 연장하는 툴링 인터페이스(126f)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fa 및 120fb)는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정렬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보어 나사산(140d)은 장착 보어(138d)의 수직 길이의 근위부를 따라 연장되어, 최근위 가동 요소(122fb)와 장착 보어(138d) 사이의 접촉 영역을 가로지르지 않는다.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도 15a 및 도 15b의 두 개의 예시적인 단일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f), 및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g) 내에 위치되고 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로드(146)를 갖는 신연 장치(100g)의 사시도 및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도 16a 및 도 16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위치 결정 특징부(118)는 스트링(128)과 지지 로드(146)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지지 로드(146)는 어댑터 통공(144c)을 통과하는 대응하는 스트링(128)의 경로를 지지 로드(146) 위로 그리고 사용할 때 턱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지지 로드(146)는 양단부에서 측벽(112g)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136)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임의의 임플란트 교각치(150)에 끼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시스템(200)은 적어도 신연 장치(100) 및 신연 장치(100)의 어댑터 부재(136)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과 연관되도록 구성된 교각치(150)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136)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은 장착 소켓(도면번호 없음, 예를 들어 도 29e 참조)으로서 형성된다. 마운팅 소켓과 장착 보어(138)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장착 보어(138)는 그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모두에서 개방-단부형인 반면, 장착 소켓은 그 근위 단부에서만 개방-단부형이라는 점이다. 그렇지 않으면, 장착 소켓은 내부 나선으로 형성되고, 내부 다각형면 등으로 형성되고, 간결함으로 위해 여기에 설명되지 않은 것과 같이, 장착 보어(138)의 모든 실시예에 대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른 특징 또는 구성 요소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부터 어댑터 부재(136)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7a 내지 도 17g를 참조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느슨하고 조여진 상태의 어댑터 부재(136o)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o)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17c는 조여진 상태에 있는 신연 장치(100o)의 평면도를 구성한다.
어댑터 부재(136t)는 힌지 링으로 형성되며, 고정 링부(135o)와 그 힌지 단부에서 힌지(139o)를 통해 상기 고정 링부에 힌지 연결된 동적 링부(137o)를 가지며, 조임 기구(143o)가 구비된 반대쪽 동적 단부에서 본체(102o)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
도 17a는 조임 기구(143o)를 갖는 동적 단부가 본체(102o)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정의되는 느슨한 상태의 어댑터 부재(136o)를 도시한다.
도 17b 및 도 17c는 조임 기구(143o)를 갖는 동적 단부가 본체(102o)에 부착되어 고정 링부(135o) 및 동적 링부(137o)가 함께 중앙 보어(138o)를 형성하는 상태로 정의되는 조임 상태의 어댑터 부재(136o)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조임 기구(143o)는 어댑터 부재(136o), 예를 들어 힌지(139)에 대향하는 고정 링부(135)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조임 기구(143o)는 어댑터 몸체(136o)에 대한 연결에 인접한 위치에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o), 예를 들어 측벽(112o)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동적 부분(137o)의 동적 단부는 조임 기구(143o)를 통하여 측벽(112oa)의 나사 보어(113o)로 나사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사(도 17a 내지 도 17c에 예시됨)와 같은 조임 부재(141o)를 통해 본체(102o)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동적 부분(137)의 동적 단부는 본체(102)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동적 부분(137o)의 동적 단부는 스냅-피트(미도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부착 수단(143o)을 통해 본체(102o)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조임 기구(143o)는 중앙 보어(138o)의 직경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나사를 포함하는 조임 부재(141o)는 본질적으로 중앙 보어(138o)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어댑터 몸체(136o)의 조임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7d 및 도 17e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136i)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i)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어댑터 부재(136i)는 예를 들어 나사(도 17d 및 도 17e 참조) 형태의 조임 부재(141i)를 포함하는 조임 기구(143i)를 갖는 링 클램프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조임 기구(143i)는 중앙 보어(138i)의 직경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136i)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조임 기구(143i)의 각각의 수용부를 통해 전진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조임 부재(141i)는 서로에 대해 어댑터 부재(136i)의 양단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하는 직경의 중앙 보어(138i)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7f 및 도 17g는 각각 느슨하고 조여진 상태의 어댑터 부재(136j)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j)의 투시도를 구성한다. 어댑터 부재(136j)는 조임 기구(143j)를 갖는 조정 가능한 링 또는 클램프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동적 단부(143j)는 조임 기구(143j)의 수용부와의 래치팅 맞물림을 위해 구성된 릿지를 이를 따라 갖는 설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조임 기구(143j)는 중앙 보어(138j)의 직경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136)는 링 클램프로서 형성되고, 여기서 조임 기구(143)는 서로를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편향되는 한 쌍의 정반대의 턱부를 포함한다(실시예 미도시).
도 18a 내지 도 18d를 참조하면, 교각치(150)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150)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교각치(150)는 교각치 원위부(152), 교각치 근위부(176), 및 교각치 원위부(152) 및 교각치 근위부(176)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교각치 중간부(174)을 포함한다. 교각치 근위부(176)는 골 나사(20)의 정합 소켓(matching socket)(미도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근위부(176)는 골 나사(20)의 나사산과 일치하는 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근위부(176)는 골 나사(20) 내에서 유사하게 형성된 구조와 일치하는 다면체 모양의 구조(도 18a 참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원위부(152)는 보어 나사산(140)과 일치하는 교각치 원위부 나사산(17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중간부(174)의 가장 큰 단면 직경은 교각치 원위부(152)의 가장 큰 단면 직경 및 교각치 근위부(176)의 가장 큰 단면 직경 중 어느 것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접합 원위부(152), 교각치 중간부(174), 및 교각치 근위부(176)는 일체로 형성된다.
도 18c 및 도 18d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150a)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교각치(150a)는 교각치 원위부(152a), 교각치 중간부(174a), 및 교각치 근위부(176a)를 포함한다. 교각치 근위부(176a)는 골 나사(20)의 정합 소켓(미도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근위부(176a)는 골 나사(20) 내에 유사하게 형성된 구조와 일치하는, 육각형(도 18c 참조)과 같은 다면체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원위부(152)는 유사한 형상의 일치하는 다면체 형상 장착 보어(138)와 일치하는, 십각형(도 18c 내지 도 18d 참조)과 같은 다면체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중간부(174a)의 최대 단면 직경은 교각치 원위부(152a)의 최대 단면 직경 또는 교각치 근위부(176a)의 최대 단면 직경보다 더 크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원위부(152a), 교각치 중간부(174a), 및 교각치 근위부(176a)이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150)는 교각치(150)를 내부 나사용 나사식 수용 채널을 갖는 골 나사(20)와 맞물림시키기 위해 내부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채널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136)는 장착 소켓 대신에 장착 연장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이는 나사산형이거나 다면체 연장부로서 형상될 수 있으며, 교각치(150) 또는 골 나사(20)의 정합 소켓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골 나사(20)는 악골에서 생성된 소켓과 같은 골 소켓의 골 표면과 단단히 맞물림하기 위한 (나사산과 같은) 수단이 제공된 임플란트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골 나사(20)는 교각치(150) 또는 신연 장치(100) 중 하나를 수용하고 안전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골 임플란트를 포함한다.
이제 신연 조립체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9a 내지 도 20b를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19a 및 도 19b는 신연 장치(100x) 및 수축 링(145x)을 포함하는 신연 조립체의 분해 및 조립 사시도를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0a 및 도 20b는 신연 장치(100z) 및 클램프(145z)를 포함하는 신연 조립체의 분해 조립 사시도를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가 구비된 신연 장치(100) 및 신축성 어댑터 부재(136)의 외부 위에 배치됨으로써 신연 장치(1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클램프(145)를 포함하는 신연 조립체가 제공되고,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에 힘을 가하도록 그리고 예를 들어 임플란트 교각치(150)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의 적어도 일부를 충분히 구부리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를 제외하고, 이러한 신연 조립체의 신연 장치(100)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 개시된 신연 장치(100)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할 수 있다.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는 그 위에 외력을 가할 때 적어도 일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수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는 자발적인 맞물림 해제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교각치(150)를 누르거나 맞물림되기에 충분한 양만큼 그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는 그 사이의 노치(138)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축방향 연장부(131)를 포함한다. 복수의 축방향 연장부(131)는 원주를 따라 외력을 가할 때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그 두께를 포함하는 복수의 축방향 연장부(131)의 재료 특성 및/또는 치수는 그 위에 가해지는 미리 결정된 범위의 힘에 응답하여 원하는 양의 반경 방향 내측 굽힘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클램프(145)는 클램프(145)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축방향 연장부(13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접촉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클램프(145)는 밴드(147) 및 밴드(147)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수축 또는 확장하도록 구성된 웜 기어 기구(159)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웜 기어 기구(159)는 웜 기어(161)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클램프(145)는 보강 지지부(157)를 포함한다.
밴드(147)는 제 1 단부 부분(155) 및 제 2 단부 부분(도 19a 도 20b에서 시야로부터 가려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 2 단부 부분(155)은 웜 기어 기구(159)에 연결되지만, 보강 지지부(157)에 연결될 수 있거나 둘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 1 단부 부분(155)은 웜 기어 기구(159)에 나 사 연결되고 웜 기어 기구(159)와 기계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 2 단부 부분은 웜 기어 기구(159)의 작동에 응답하여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밴드(147)는 복수의 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도면번호 없음)을 포함한다. 슬롯의 양은 예상되거나 원하는 수축 조정 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슬롯은 밴드(147)의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을 따라서만, 예를 들어 밴드(147)의 전체 길이의 1/4 미만을 따라서만 연장하는데, 이는 원하는 수축 조정 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예: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 위에 배치될 때 밴드(147)에 의해 형성된 루프의 직경의 2mm 미만의 감소).
웜 기어 기구(159)는 클램프(145)의 수축 또는 팽창을 야기하고 클램프(145)를 조정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웜 기어 기구(159)는 웜 기어 기구(159)의 공동 내에서 회전하고 밴드(147)의 슬롯과 맞물림하여 클램프(145)의 직경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웜(161)을 포함한다. 웜(161)은 툴링 장치와의 맞물림을 위해 노출된 툴링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웜(161)의 툴링 인터페이스는 툴링 인터페이스(126)에 대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보강 지지부(157)는 웜 기어 기구(159)를 지지하고 밴드(147)를 원주 범위의 일부를 따라 안내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의 본체(102)는 그 안에 배치될 때 클램프(14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와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 사이에 배치된 아치형 슬롯(111)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아치형 슬롯(111)은 밴드(147)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아치형 슬롯(111)은 밴드(147) 및 보강 지지부(157)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치수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는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아치형 슬롯(111)에 인접하는 웜 리세스(115)를 더 포함한다. 웜 리세스(115)는 웜 기어 기구(159)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웜 리세스(115)는 웜(161)의 툴링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측벽(112)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 단부형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이들의 인터페이싱 경계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아치형 슬롯(111)과 웜 리세스(115) 사이에 형성된 연속성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밴드(147)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슬롯(151)을 더 포함하고,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는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클램프(145)가 신연 장치(100)와 맞물릴 때 각각의 고정 슬롯(151) 내에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출부(133)를 포함하여, 클램프(145)가 원위 또는 근위 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여 클램프(145)가 신연 장치(100)와 맞물릴 때 위치에서 미끄러질 위험을 최소화한다.
도 19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임플란트 교각치(150b)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신연 장치(100x) 및 수축 링(145x)을 포함하는 신연 조립체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클램프(145x)는 밴드(147x), 웜(161x)을 갖는 웜 기어 기구(159x), 및 보강 지지부(157x)를 포함한다. 신연 장치(100x)는 그 사이의 노치(138x)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축방향 연장부(131x)를 갖는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x)를 포함한다. 신연 장치(100x)는 아치형 슬롯(111x) 및 웜 리세스(115x)를 더 포함한다.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x)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핀 형태의 고정 돌출부(133x)를 더 포함하고, 클램프(145x)는 바람직하게는 밴드(147x)의 근위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하여 축방향 연장부(131x)에 근접한 구역에 위치한 각각의 고정 돌출부(133x)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고정 슬롯(151x)을 더 포함한다.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는 마운트와 연결하도록 구성된 장착 보어(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착 보어(138)와 유사) 형태의 연결 플랫폼을 포함한다. 도 19a 내지 도 20b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마운트는 교각치(150b)이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사용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표준 교각치일 수 있거나,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를 구비한 신연 장치(100)를 갖는 신연 시스템과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교각치이다.
도 19a 내지 도 20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시된 교각치(150b)는 교각치 원위부(152x)가 나사산 또는 다면체 원주 표면이 없는 교각치 중간부(174b)으로부터 원위로 연장하는 실린더로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8a 내지 도 18d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가 구비된 신연 장치(100)는 나사산 또는 다면체로 형성된 교각치 원위부(152)를 갖는 교각치(150), 치과용 크라운, 치과용 나사, 치과용 브릿지, 의치, 본치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마운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도 19b는 교각치(150b) 위에 조립된 도 19a의 신연 조립체를 도시하며, 교각치 원위부(152b)는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x)의 장착 보어 내에 수용되고, 클램프(145x)는 신연 장치(100x)와 맞물림되어 밴드(147x) 및 보강 지지부(157x)는 아치형 슬롯(111x) 내에 수용되고, 웜 기어 기구(159x)는 웜 리세스(115x) 내에 수용되고, 고정 돌출부(133x)는 고정 슬롯(151x) 내에 수용된다.
사용시,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웜(161x)을 회전하면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x) 위의 클램프(145x)의 수축을 용이하게 하여 신연 장치(100x)와 교각치(150b) 사이의 상대적인 자발적인 이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교각치 원위부(152b)에 대해 가압될 때까지 축방향 연장부(131x)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리기에 충분한 힘을 가한다.
고정 슬롯(151x)은 원주 방향으로 고정 슬롯을 통하여 연장한 고정 돌출부(133x)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클램프(145x)가 근위 또는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클램프(145x)의 수축 또는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도 20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임플란트 교각치(150b)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신연 장치(100z) 및 수축 링(145z)을 포함하는 신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구성한다. 도 20b는 교각치(150b) 위에 조립된 도 20a의 신연 조립체를 도시한다.
신연 장치(100x) 및 수축 링(145x)을 포함하는 신연 조립체로부터 신연 장치(100z)와 수축 링(145z)를 포함하는 신연 조립체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수축 링(145x)이 근위 방향으로부터 신연 장치(100x)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동안, 클램프(145x)의 근위 에지가 맞물릴 때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x)의 근위 에지로부터 원위로 이격되도록, 수축 링(145z)은 원위 방향으로부터 신연 장치(100z)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클램프(145z)의 원위 에지가 맞물릴 때 수축 가능한 어댑터 부재(136z)의 원위 에지로부터 근위로 이격된다.
도 20b는 교각치(150b) 위에 조립된 도 20a의 신연 조립체를 도시하며, 클램프(145z)는 교각치 중간부(174b)과 아치형 슬롯(111z)의 원위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 슬롯(151z)은 밴드(147z)의 원위 에지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축방향 연장부(131z)에 근접한 구역에 위치된 각각의 고정 돌출부(133z)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조립체는 교각치(150b)와 같은 교각치를 더 포함한다. 스트링 맞물림부(130)는 미니 나사(40)의 수용 영역(4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40)는 임의의 치열 교정용 나사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골판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은 다른 고정 기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40)는 스트링 맞물림부(13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전용 및/또는 맞춤형 나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시스템(200)은 적어도 신연 장치(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이고, 교각치(150), 골 나사(20), 회전 도구(76), 적어도 하나의 미니 나사(4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니 나사(miniscrew)" 및 "임플란트 고정 수단(anchoring implant means)"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지금부터, 미니 나사(40)의 상이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 21a 내지 도 21g를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40)의 수용 영역(42)은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된다(도 21a 및 도 21b 참조). 도 21a는 수용 영역(42) 내에서 화살표(86) 방향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후크(130a)로서 형성된 스트링 맞물림부를 도시한다. 일단 후크(130a)가 수용 영역(42) 내에 삽입되면, 화살표(88)(도 21b 참조) 방향으로 스트링(128)을 당겨서 미니 나사(40)에 동일한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가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40)의 수용 영역(42)은 적어도 하나의 원위 수직 연장부(도면번호 없음)를 갖는 리세스로서 형성된다. 도 20c는 수신 영역(42a) 내에서 화살표(90) 방향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루프(130)로서 형성된 스트링 맞물림부를 도시한다. 스트링 맞물림부(130)가 수용 영역(42a) 내에 수용되면, 화살표(88) 방향(도 20d 참조)으로 스트링(128)을 당기는 것은 미니 나사(40a)에 동일한 방향으로 당김력을 가한다. 원위 수직 연장부(도면번호 없음)는 스트링(128)이 수직으로 팽팽하게 유지되는 한 스트링 맞물림부(130)가 수용 영역(42a)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40)의 수용 영역(42)은 래치(46)를 갖는 개구를 포함한다. 도 21e는 수용 영역(42b) 내에서 화살표(90) 방향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루프(130)로서 형성된 스트링 맞물림부를 도시한다. 래치(46)는 피벗(44)을 통해 수용 영역(42b)의 에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래치(46)는 개방 위치(도 21f 참조)와 폐쇄 위치(도 21g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스트링 맞물림부(130)는 래치(46)가 화살표(92) 방향으로 피벗(44)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피벗(44)은 스트링 맞물림부(130)가 더 이상 래치와 상호 작용하지 않을 때 래치(46)를 폐쇄 위치로 강제하도록 구성된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트링 맞물림부(130)가 수용 영역(42b) 내에 수용되면, 화살표(88) 방향으로 스트링(128)을 당기는 것(도 21g 참조)은 미니 나사(40b)에 동일한 방향으로 당김력을 가한다. 래치(46)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스트링 맞물림부(130)가 수용 영역(42b)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금부터 신연 장치(100h 또는 100k), 교각치(150h), 및 신연 시스템(200h)의 보다 특정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22a 내지 도 27을 참조한다. 도 22a, 도 22b, 및 도 22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교각치(150h)에 장착된 신연 장치(100h)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 단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신연 장치(100h)는 어댑터 부재(136h)와 일체로 형성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h)를 포함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h)는 각각 제 1 및 제 2 측벽(112ha 및 112hb)을 포함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h)는 측벽(112h)과 일체로 형성된 곡선형 전면 패널(110h)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h)는 원위 패널(108h)(도 22c에 도시되었지만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h) 내에 수용된 구성 요소를 노출시키기 위해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h)는 통공으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h)가 제공된 근위 패널(106h)을 더 포함한다.
신연 장치(100h)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h)를 더 포함한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서 형성된 3개의 예시적인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h)를 갖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h)는 샤프트로 형성된 가동 요소(122h), 적어도 하나의 측벽(112h)을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툴링 인터페이스(126b), 가동 요소(122h)에 견고하게 연결된 기어(124h), 및 제 1 스트링 단부에서(도면번호 없음) 가동 요소(122h)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h)를 통과하고 제 2 스트링 단부에서 후크(130a)(도 22c 참조)와 같은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갖는, 스트링(128)을 포함한다.
신연 장치(100h)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124h)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폴(114)을 더 포함한다. 도 18c는 근위 패널(106h)에 부착된 예시적인 폴(114h)을 도시한다.
도 22b에 의해 제공된 예에서,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h)는 2개의 툴링 인터페이스(126b)를 포함하는데, 가동 요소(122h)의 각 단부에 하나씩, 가동 요소(122h)는 제 1 측벽(112ha) 및 제 2 측벽(112hb) 모두에 의해 지지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h)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요소 지지부(148)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가동 요소(122h)는 근위 패널(106h)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동 요소 지지부(148)(도 22b 및 도 22c 참조)에 의해 추가로 지지된다.
어댑터 부재(136h)는 교각치(150h)의 교각치 원위부(152h)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장착 보어(138h)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장착 보어(138h)는 임의의 나사산이 없는 원형 단면을 포함한다.
도 23a, 도 23b, 및 도 23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교각치(150h)에 장착된 신연 장치(100k)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 단면도를 각각 구성한다.
신연 장치(100k)는 어댑터 부재(136k)와 일체로 형성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를 포함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는 각각 제 1 및 제 2 측벽(112ka 및 112kb)을 포함한다.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는 측벽(112k)과 일체로 형성된 곡선형 전면 패널(110k)을 더 포함한다. 신연 장치(100k)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h)를 더 포함한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회전 가능한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서 형성된 3개의 예시적인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h)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는 원위 패널(108k)을 더 포함한다(도 23c에 도시되었지만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 내에 수용된 구성 요소를 노출시키기 위해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되지 않음). 일부 실시예에 따라, 원위 패널(108k)은 체결 요소(198)의 원위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위 패널 개구(도면번호 없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h)는 통공으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118k) 및 체결 요소(198)의 근위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근위 패널 개구(도면번호 없음)가 제공된 근위 패널(106k)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근위 패널(106k)은 측벽(112k), 전면 패널(110k), 원위 패널(108k),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임의의 것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신연 장치(100k)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124h)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폴(114)을 더 포함한다. 도 23c는 근위 패널(106k)에 부착된 예시적인 폴(114k)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는 제 1 측벽(112ka)과 제 2 측벽(112kb) 사이에 그리고 존재하는 경우 원위 패널(108k)과 근위 패널(106k) 사이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 챔버(190)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챔버(190)는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h)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각각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h)를 수용하는 3개의 위치 결정 부재 챔버(19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 상기 가동 요소(122h)는 제 1 측벽(112ka)과 제 2 측벽(112kb) 사이를 통해 연장되고, 근위부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이동식 요소 지지부(148k)에 의해 추가로 지지된다. 인접한 위치 결정 부재 챔버(190)는 위치 결정 부재 리브(도면번호 없음)에 의해 이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위치 결정 부재 리브는 체결 요소(198)의 몸체(도면번호 없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도면번호 없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의 분리 가능한 요소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19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체결 요소(198)는 분리 가능한 근위 패널(106k)을 프레임(104k)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도 23a 내지 도 23c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체결 요소(198)는 분리 가능한 원위 패널(108k)을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실시예 미도시).
유리하게는, 체결 요소(198)는 수직 방향으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k)에 추가적인 구조적 보강을 제공한다.
어댑터 부재(136k)는 교각치(150h)의 교각치 원위부(152h)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장착 보어(138k)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장착 보어(138k)는 임의의 나사산이 없는 원형 단면을 포함한다.
도 24a 및 도 24b는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각각 도 22c 및 도 23c의 측 단면도로 제시된 교각치(150h)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구성한다. 교각치(150h)는 교각치 원위부(152h), 교각치 중간부(174h), 및 교각치 근위부(176h)를 포함한다. 교각치 근위부(176h)는 골 나사(20)(도 27에 도시됨)의 일치하는 소켓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다면체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 원위부(152h), 교각치 중간부(174h), 및 교각치 근위부(176h)가 일체로 형성된다.
교각치 원위부(152h)에는 본질적인 유연성이 제공되는 대응하는 복수의 날개부(154)를 생성하는 복수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수직 노치(156)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4a 및 도 2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든 날개부(154)는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노치(156)는 노치(156)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노치 홈(158)이 근위 단부에 제공되어 날개부(154)에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한다.
각각의 날개부(154)는 날개부 내부 표면(162) 및 날개부 외부 표면(168)을 포함한다. 모든 날개부 내부 표면(162)은 노치(156)와 함께 플러그(18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160)를 정의한다(도 25 참조).
교각치 중간부(174h)의 최대 단면 직경은 교각치 원위부(152h)의 최대 단면 직경 또는 교각치 근위부(176h)의 최대 단면 직경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중간부(174h)는 원통형 볼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4a 및 24b는 길이를 따라 가변 단면을 갖는 교각치 중간부(174h)를 도시하고, 교각치 원위부(152h)를 갖는 원위 연결 에지(도면번호 없음)에서 최대 직경(도면번호 없음)까지 직경이 확장된 다음 인접 근위부(176h)와 함께 근위 연결 에지(도면번호 없음)를 향해 직경이 감소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노치 홈(158)의 거의 수직 중심점에 위치하는 날개부(154)의 근위 에지(도면번호 없음)는 교각치 중간부(174h)로부터 이격되어 교각치 원위부 베이스(도면번호 없음)를 정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180)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교각치(150h)는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지 위치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각 날개부(154)와 교각치 원위부 베이스 사이의 각도로 정의되는 각도(α)(도 26b 참조)는 휴지 위치에서 180°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각도(α)는 휴지 위치에서 160° 내지 200°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각도(α)는 휴지 위치에서 175° 내지 180° 범위 내에 있다.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80)의 사시도를 구성한다. 플러그(180)는 플러그 원위 외부 표면(184)을 갖는 플러그 원위부(182), 및 플러그 베이스(186)를 포함한다. 플러그(180)는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160)를 통해 그에 삽입되는 교각치(150h)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원위부(182)는 교각치(150h)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160)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그 길이를 따른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원위부(182)에는 절두 원추형 프로파일이 제공되어, 원위 에지(도면번호 없음)에서의 직경이 플러그 베이스(186)를 구비한 근위 연결 에지(도면번호 없음)에서의 직경보다 더 넓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베이스(186)에는 접합베이스 수용부(164)의 상보적인 나선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나선(도면번호 없음)이 제공된다(도 22c 및 도 23c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원위부(182)는 그의 회전을 위해 (키 또는 렌치와 같은) 외부 도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나사 머리(188)가 원위면(도면번호 없음)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원위부(182)에는 날개부 내부 표면(162)상의 나사산과 일치하는 나사산이 제공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180)는 나사산이 없고, 회전 운동에 의한 대신에 충격에 의해 교각치(150h)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실시예 미도시).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26a 및 도 26b는 각각 교각치(150h) 내에 위치 결정된 플러그(180)의 사시도 및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플러그(180)가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160)를 통해 교각치(150h) 내로 삽입될 때, 플러그 원위 외부 표면(184)은 날개부 내부 표면(162)과 맞물린다. 플러그 원위부(182)는 쐐기로 작용하여 날개부(154)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회전력을 행사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날개부(184)는 각도(α)가 휴지 위치에서의 값보다 작도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180)는 회전 운동으로 교각치(150h) 내로 삽입되고, 여기서 플러그 베이스(186)는 플러그 베이스(186)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교각치 베이스 수용부(164) 내로 나사 맞물린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αmin은 플러그 베이스(186)가 플러그 베이스(186)의 전체 길이를 따라 교각치 베이스 수용부(164) 내로 나사 맞물릴 때 결과적인 각도(α)로서 정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날개부(154)가 반경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정도는 플러그 베이스(186)의 부분 삽입에 의해 제어되어, 길이의 일 부분만이 교각치 베이스 수용부(164) 내로 나사 맞물림되어 αmin과 휴지 위치에서의 그의 값 사이의 범위에서 각도(α)가 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날개부(154)는 플러그(180)가 교각치(150h) 내에 위치 결정될 때 플러그(180)에 대해 스프링-바이어스된다.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시스템(200h)의 측 단면도를 구성한다. 신연 시스템(200h)은 신연 장치(100h), 교각치(150h), 플러그(180), 골 나사(20), 및 적어도 하나의 미니 나사(40)를 포함한다. 골 나사(20)는 악골의 소켓에 삽입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근위부에 외부 나선이 제공된다. 골 나사(20)에는 내부 나사(도면번호 없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나선(도면번호 없음)이 추가로 제공된다. 교각치(150h)는 골 나사(20)에 연결되어 교각치 근위부(176h)가 골 나사(20)의 일치하는 소켓(도면번호 없음) 내에 배치되고 내부 나사(도면번호 없음)가 교각치(150h)의 채널을 통해 골 나사(20)에 제공된 내부 나선(도면번호 없음)으로 나사 맞물리는 반면, 내부 나사의 더 넓은 헤드는 교각치(150h)의 상기 내부 채널의 원위부에 제공된 숄더(도면번호 없음)와 접촉한다.
신연 장치(100h)의 장착 부재(138h)는 바람직한 위치에서 교각치(150h) 위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연 장치(100h)의 바람직한 위치는 바람직한 수평 각도, 교각치 원위부(152h)를 따른 바람직한 수직 높이, 또는 둘 모두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단 신연 장치(100h)가 바람직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플러그(180)가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160)에 삽입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키 또는 렌치(미도시)와 같은 외부 도구가 플러그 나사 머리(188)와 맞물림되고, 나사 플러그 베이스(186)가 교각치 베이스 수용부(164)에 나사 맞물리는 회전 운동을 발휘하는데 사용된다. 플러그 원위부(182)는 날개부(154)가 반경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강제하여 날개부 외부 표면(168)이 장착 보어(138h)의 내벽에 대해 누르거나 스프링-바이어싱되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플러그(180)의 존재로 인해, 날개부 외부 표면(168)과 장착 보어(138h)의 내벽 사이의 간섭이 더 강하고 수직 방향으로의 신연 장치(100h)와 교각치(150h)가 가끔 맞물림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면에서 신연 장치(100h)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방지한다.
미니 나사, 골판,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40)는 신연을 위해 의도된 악골의 일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27은 3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h) 및 3개의 일치하는 미니 나사(40)를 갖는 신연 장치(100h)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신연 시스템(200h)을 도시한다. 일단 미니 나사(40)가 악골에 삽입되면, 도 27에서 후크(130a)로서 형성된 스트링 맞물림부(130)가 나사(40)의 수용부(42)와 맞물린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150h)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180)가 제공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신연 장치(100)의 임의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어, 교각치(150h)는 그안에 교각치(150h)를 수용하는 수용 보어를 구비한 임의의 다른 외부 장치에 대한 고정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플러그(180)를 교각치 원위 수용 개구(160)에 삽입하는 동안, 날개부(18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져서 원하는 위치 및 방향에서 교각치(150h)에 다른 외부 장치를 부착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신연 장치(100)가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 어댑터 부재(136), 및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임의의 실시예 사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지금부터, 일부 실시예에 따라, 명세서 전체에 걸쳐 개시된 바와 같이, 신연 장치(100) 또는 신연 시스템(200)에 의해 잠재적으로 해결되는 문제를 설명하는,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한다. 도 24a는 하악골(50)의 측면도를 구성하며, 하악골(50)은 하 치조 신경(54) 위의 후 치조 융선 위축(52)을 구성한다. 도 28a의 예시적인 예에서, 치조 융선(52)의 에지와 치조 신경(54) 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아서 그 안에 골 나사(20)의 배치를 허용할 수 없고, 이 같은 배치 동안, 치조 융선(52)을 통하여 골 나사(20)를 너무 멀리 삽입하는 것은 치조 신경(54)과 접촉하거나 치조 신경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위 치조 신경(inferior alveolar nerve)" 및 "치조 신경(alveolar nerve)"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도 28b는 임플란트(20)를 치조 융선(52)에 인접한 구역(도면번호 없음)에 고정하여 치과용 브릿지(24)를 지지함으로써 도 28a에 제시된 과제에 대한 당업계에 공지된 잠재적인 해결책을 구성한다. 치과 이식 구역은 치조 신경(54)과 같은 신경과 접촉하지 않고 임플란트(20)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골이 있도록 선택된다. 치과용 브릿지(24)는 임플란트(20)에 일 단부를 고정하거나, 대안적으로 치아가 동일한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예시안됨) 치아를 인접시킴으로써 고정된다. 치과용 브릿지(24)는 융선 위축(52)의 구역을 덮는 치아의 미학적 유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치과용 브릿지(24)는 임플란트(20)에 고정된 단부와 마주하는 다른 단부에서 지지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안정한 것으로 판명될 수 있으며 치과용 브릿지(24)는 예를 들어 규칙적인 씹기 또는 물기 동안 외부 힘으로 인해 붕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임플란트(implant)" 및 "치과용 나사(dental screw)"는 상호 교환 가능하며,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통상적인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개시된 바와 같이 신연 장치(100) 또는 교각치(150)를 지지하도록 설계 및 구성된 전용 치과용 임플란트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악골(mandible)" 및 "하부 턱(lower jaw)"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악골(maxilla)" 및 "상부 턱(upper jaw)"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악골(jaw bone)"는 하악골 또는 상악골을 지칭한다.
지금부터,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신연 장치(100) 또는 신연 시스템(200)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 29a 내지 도 35를 참조한다. 도 29a는 치과용 이식을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골 나사(20)가 고정되는 하악골(50)의 측면도를 구성한다. 치과용 이식의 구역은 본치가 없는 치조 융선(52)에 인접한 구역이며, 치조 신경(54)과 같은 신경 내로 부풀어 오르지 않고 골 나사(20)의 고정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골이 있도록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하악골(50)과 같은 악골은 골 나사(20) 이식 부위에 인접한 본치를 포함한다(도 29a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하악골(50)과 같은 악골은 하나 초과의 골 나사(20)를 포함하고, 이들 중 일부는 치과용 크라운 또는 치과용 브릿지를 지지할 수 있다(도 29b 참조). 일부 실시예에 따라, 하악골(50)과 같은 악골이 하나 초과의 골 나사(20)를 포함할 때, 능선 위축(52)에 가장 가까운 골 나사(20)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 개시된 절차를 위해 신연 장치(100)를 지지하도록 선택된다.
치조 신경(54)에 해를 끼치지 않는 방식으로 생성된 크레스탈 절골 라인(crestal osteotomy line; 56)은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와 하악골(50)의 나머지 기저 골 사이를 분리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융기 위축(52)에 인접한 구역에서 골 나사(20)를 악골에 고정하는 단계는 절골 라인(56)의 생성 단계 이전에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골 라인(56)을 생성하는 단계는 융기 위축(52)에 인접한 구역에서 골 나사(20)를 악골에 고정하는 단계 전에 수행된다.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미니 나사(40)가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에 고정된다. 최적의 미니 나사(40) 수는 각각의 특정 임상 상황에 따라 분명히 다르다. 도 29c는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에 고정된 2개의 미니 나사(40a 및 40b)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40)는 골 나사(20)보다 길이가 더 짧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와 맞물린 미니 나사(40) 부분의 길이는 치조 융선(52)의 에지와 절골 라인(56) 사이의 거리보다 짧아서 미니 나사(40)가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에 고정될 때 절골 라인(56)을 관통하지 않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미니 나사(40)는 치과 교정용 나사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미니 나사(40)를 악골에 고정하는 단계는 절골 라인(56)을 생성하는 단계 후에 수행되어, 절골 라인(56)의 위치가 하 치조 신경 또는 상악동으로부터 적절히 이격되도록 선택된다. 골판 또는 미니 나사(40)와 같은 고정 수단은 하 치조 신경을 수용하는 하악골의 하절골 영역(underosteotomy area) 또는 상악동에 인접한 상악골의 상절골 영역(supraosteotomy area)으로의 고정 수단의 침입을 방지하는 절골 틈새에 보호 도구(미도시)를 배치하는 옵션으로 인해 절골 후 안전하게 배치된다.
도 29d는 골 나사(20)에 교각치(150)를 부착하는 추가 단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150)는 악골에 고정된 골 나사(2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치과용 교각치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150)는 악골에 고정된 골 나사(20)와 신연 장치(100) 모두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된 임의의 실시예를 지칭한다.
도 29e는 교각치(150)에 신연 장치(100)를 부착하는 추가 단계를 도시한다. 신연 장치(100)는 교각치(15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된 임의의 실시예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교각치(150)(실시예 미도시) 조정의 도움없이 골 나사(20)와 직접 연결되도록 기하학적 구조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교각치, 치과용 크라운, 치과용 나사, 치과용 브릿지, 의치, 본치 등과 같은 마운트에 직접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150) 또는 골 나사(20)에 직접 신연 장치(100)의 배치는 상이한 수평 배향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104)이 절골된 골 세그먼트(58) 또는 미니 나사(40)와 정렬되도록 바람직한 수평 배향이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한 수평 배향은 보어 나사산(140)을 갖는 어댑터 부재(136)를 바람직한 측면 각도로 나사 체결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한 수평 배향은 일치하는 다각형 교각치 원위부(152)에 걸쳐 바람직한 각도로 다각형 장착 보어(138)를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한 수평 배향은 플러그(180)를 교각치(150h)와 같은 교각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달성되는 반면, 신연 장치(100)가 바람직한 수평 배향으로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교각치(150) 상의 신연 장치(100)의 배치는 상이한 수직 위치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환자의 입이 닫힐 때 윗니와 아랫니 사이를 분리하는 선 또는 구역으로 정의되는 바이트 라인(bite line)을 넘어 수직으로 연장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180)를 교각치(150h)와 같은 교각치에 삽입함으로써 바람직한 수직 위치가 달성되는 반면, 신연 장치(100)는 교각치 원위부(152) 위의 바람직한 높이에, 보다 구체적으로 교각치 원위부(152h) 위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측면 각도는 수평면에서의 각도를 지칭한다.
도 29f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적어도 하나의 미니 나사(40)에 부착하는 추가 단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에 제공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수는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에 고정된 미니 나사(40)의 수와 일치하여, 이의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통해 각각의 스트링(128)이 상이한 미니 나사(40)에 부착된다. 도 29f는 각각의 스트링(128a 및 128b)을 갖고 각각 미니 나사(40a 및 40b)의 수용부(42a 및 42b)(도 29f에 표시되지 않음)에 스트링 맞물림부(130a 및 130b)를 통해 부착된 2개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a 및 120b)가 제공된 신연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맞물림부(130)는 미니 나사(40)의 수용부(42)와 맞물리는 루프(도 29f 참조)의 형태로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128)에는 개방 단부형 스트링 맞물림부(130)가 제공되고(도 29e 참조), 상기 개방 단부형 스트링 맞물림부는 미니 나사(40)의 수용부(42)와 맞물림하기 전에 루프를 생성하도록 매듭을 지을 수 있거나, 미니 나사(40)의 수용부(42)를 통해 먼저 나사 맞물린 다음, 수용부(42)로부터 스트링 맞물림부(130)의 맞물림 해제를 방지하는 루프를 생성하도록 매듭을 지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스트링 맞물림부(130)는 미니 나사(40)의 수용부(42)와 맞물리는 후크(도 27 참조)의 형태로 제공된다.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미니 나사(40)에 부착한 후, 샤프트로 형성된 가동 요소(122)와 미니 나사(40) 사이의 각각의 스트링(128)의 신장은 이의 툴링 인터페이스(126)를 통해 각각의 대응하는 가동 요소(122)를 회전함으로써 달성되어, 스트링(128)이 가동 요소(122)와 미니 나사(40) 사이에서 충분히 신장될 때까지 스트링(128)이 가동 요소(122) 주위를 둘러싼다. 초기 위치는 스트링(128)이 한 손으로 완전히 신장되었지만 다른 한 손으로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의 변위가 시작되지 않았을 때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의 위치로 정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의 형상은 가변적이어서, 복수의 미니 나사(40)가 상이한 수직 높이에 고정될 수 있어서,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와 미니 나사(40)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미니 나사(40)와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가 적어도 2개의 미니 나사(40)의 수용부(42)를 통과하는 임의의 평면과 평행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어,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와 미니 나사(40)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미니 나사(40)와 상이하게 되는 것을 초래한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서, 각각의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22)는 프레임(104)과 미니 나사(40) 사이의 특정 거리에 따라 스트링(128)을 신장시키거나 적절한 페이스 또는 적절한 거리에서 특정 미니 나사(40)에 대응하는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의 각각의 세그먼트를 움직이는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르게 회전될 수 있다. 적절한 페이스와 적절한 거리를 포함하는 원하는 목표는 임상 상황에 따라 임상의 등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9f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미니 나사(40)가 상이한 수직 높이에서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에 고정된다. 각각의 툴링 인터페이스(126a 및 126b)는 각각의 스트링(128a 및 128b)이 각각 완전히 신장될 때까지 잠재적으로 회전 도구(76)의 도움을 통해 개별적으로 회전된다. 스트링(128a)이 따라서 신장되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와 미니 나사(40a) 사이의 거리는 스트링(128b)이 따라서 신장되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와 미니 나사(40b) 사이의 거리보다 도 29f에서 더 길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에 제공된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양은 골절된 골 세그먼트(58)(실시예 미도시)에 고정된 미니 나사(40)의 수보다 많기 때문에, 미니 나사(40)의 나사와 일치하는,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일부만이 사용되는 반면, 나머지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절차 전반에 걸쳐 사용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지 않은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의 스트링(128)은 절차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고 환자 입의 턱, 혀, 및 기타 구역과의 불필요한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절단되거나 이에 대응하는 가동 요소(122) 위에 둘러싸인다.
도 29g는 툴링 인터페이스(126)를 통해 가동 요소(122)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악골(50)의 기저 골로부터 멀어지게 절골된 골 세그먼트(58)를 신장하는 추가 단계를 도시한다. 각각의 스트링(128)은 스트링의 회전 감김 동안 그 가동 요소(122) 주위를 둘러싸서 스트링에 부착되는 미니 나사(40) 상에 작용하는 당김력을 초래한다.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의 이동은 그에 고정된 각각의 미니 나사(40)의 이동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도구(76)는 그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툴링 인터페이스(126)와 맞물린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골된 골 세그먼트(58)를 신연하는 것은 신연 기간으로 정의된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기간은 수일 동안 지속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기간은 복수 주 동안 지속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기간은 수개월 동안 지속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의 신연은 기간 동안 적어도 하루에 한 번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골절된 골 세그먼트(58)의 신연은 기간 동안 하루에 적어도 2회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골된 골 세그먼트(58)는 하루에 약 0.1mm 내지 2mm 범위의 속도로 신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골된 골 세그먼트(58)는 하루에 약 0.3mm 내지 1.5mm 범위의 속도로 신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골된 골 세그먼트(58)는 하루에 약 0.3mm 내지 0.7mm 범위의 속도로 신연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about)"은 "±10% 이내"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툴링 인터페이스(126)를 통한 가동 요소(122)의 완전한 회전은 회전당 미리 정의된 신연 거리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당 미리 정의된 신연 거리는 약 1mm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당 미리 정의된 신연 거리는 약 0.3mm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회전 장치(100)의 사용을 위한 프로토콜은 일당 회전 수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의 사용을 위한 프로토콜은 하루에 한 번 완전한 회전을 위한 지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의 사용을 위한 프로토콜은 하루에 두 번 완전한 회전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의 사용을 위한 프로토콜은 하루에 한 번 반회전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의 사용을 위한 프로토콜은 하루에 두 번 반회전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의 사용을 위한 프로토콜은 하루에 한 번 2회전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절골된 골 세그먼트(58)는 신연 기간에 걸쳐 상이한 속도로 신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대응하는 툴링 인터페이스(126)를 통해 상이한 가동 요소(122)가 상이한 속도로 회전된다.
골 조직(70)이 신연된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와 나머지 악골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신연 기간 동안 골 형성이 촉진된다. 골 조직(70)의 형성 및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임상의와 같은 사용자에 의해 신연 속도가 선택된다.
절골된 골 세그먼트(58)가 최종 위치로 정의된 바람직한 위치에 도달하면 신연 기간이 종료된다. 도 29h는 예시적인 최종 위치를 도시하며, 여기서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의 원위 에지는 악골의 인접 영역과 정렬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최종 위치는 치조 신경(54)과 같은 신경을 관통할 위험 없이 그 안에 임플란트(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골이 형성되는 위치이다.
원하는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 도 2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128)을 통해 미니 나사(40)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있는 신연 장치(100)가 골 조직(70)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골이 완전히 치유되도록 하는 통합 단계가 이어진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단계는 수일 동안 지속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단계는 수주 동안 지속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단계는 수개월 동안 지속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단계는 3일 내지 7일 동안 지속된다.
도 29j는 미니 나사(40)로부터 신연 장치(100)를 분리하는 단계 및 교각치(150) 또는 골 나사(20)로부터의 제거 단계를 도시한다. 그 후 미니 나사(40)의 제거가 이어진다(단계는 별도로 예시되지 않음).
새로운 골(70)가 형성되면, 치조 신경(54)과 같은 신경을 관통할 위험없이 그 안에 임플란트(20)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될 골 나사(20)의 수는 각각의 특정 임상 상황에 따라 분명하게 다르다. 도 29k는 여러 임플란트(20)를 갖는 하악골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 중 3개는 새로운 경질 골 조직(70)으로 형성된 구역에 고정된 임플란트(20)이다. 도 29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임플란트(20)는 치과용 크라운(22)을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강성 골 조직(70) 내에 고정된 임플란트(20)는 치과용 브릿지를 지지한다. 도 30a는 여러 임플란트(20)를 갖는 하악골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그 중 2개는 새로운 강성 골 조직(70)으로 형성된 구역에 고정된 임플란트(20)이다. 이러한 임플란트(20)는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크라운(24a)을 지지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를 이용하는 신연 절차가 완료되면, 교각치(150)를 지지하거나 신연 장치(100)를 이용하는 절차 중에 사용되는 고정된 골 나사(20)는 치과용 크라운(도 29k 내지 도 30b 참조) 또는 대안적으로 치과용 브릿지에 대한 지지부 역할을 한다.
도 31a는 치조 융선(52)에 인접하게 위치된 본치(12)를 갖는 하악골(50)을 도시한다. 예시된 예에서, 교각치(150)에 대한 지지부로서 또는 그 위에 신연 장치(100)의 직접적인 배치로서 기능하도록 골 나사(20)를 고정하기 위해, 본치가 없고 치조 융선(52)에 인접한 구역을 이용할 수 없다. 도 31b는 소켓 또는 보어(도 31b에서는 보이지 않음)가 제공된 어댑터 부재(136m)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100m)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치조 융선(52)에 인접한 본치(12) 위에 안전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부재(136m)는 치과용 브릿지를 본치에 부착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구성에 의해 본치(12)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그렇지 않으면, 신연 장치(100m)는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갖는 스트링(128)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미니 나사(4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를 갖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와 같은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임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120)는 대응하는 미니 나사(40)와 정렬되지 않으므로, 스트링(128)은 완전히 신장되었을 때 또는 신연 기간 동안에 반드시 수직 또는 수평이 아니라 오히려 미니 나사(40)와 가동 요소(122) 사이의 구역을 따라 대각선이다. 도 32는 미니 나사(40a 및 40b) 사이에서 가동 요소(122a 및 122b)(도면에서 가려짐)까지 대각선으로 신장된 두 개의 스트링(128a 및 128b)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스트링(128a 및 128b)은 예를 들어 수직 투영선에 대해, 각각의 대응하는 미니 나사(40)의 길이를 따른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또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104)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신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128)을 통해 절골된 골 세그먼트(58)에 고정된 다른 고정 수단에 부착되며, 이는 반드시 미니 나사(40)일 필요는 없다. 도 33은 고정판(72)에 스트링(128)을 통해 부착된 신연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고정판(72)은 신연 장치(100)의 스트링(128)이 부착 가능한 구조적 구성 요소를 갖는 신연 골 형성 절차를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고정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신연 장치(100)는 하악골의 신연 절차뿐만 아니라 다른 안면 골에도 사용된다. 도 34는 그의 시상 부분에 치조 융선(62)을 갖는 상악골(60)을 도시한다. 치조 융선(62)의 에지와 상악동(64) 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아서 골 나사(20)를 내부에 배치할 수 없고, 이러한 배치 중에 골 나사(20)를 치조 융선(62)을 통해 너무 멀리 삽입하면 상악동(64) 구역을 손상시킬 수 있고 상악동 구역 내로 빠지거나 골 인터페이스만이 고정을 제공한다는 사실에 의해 낮은 골 인터페이스 및 고정을 갖는다. 신연 장치(100)는 교각치(150)를 통해 치조 융선(62)에 인접한 상악골(60)에 고정된 골 나사(20)에 부착된다.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갖는 스트링(128)은 치조 융선(62)의 절골된 골 세그먼트에 고정된 미니 나사(40)에 부착된다. 크레스탈 절골 라인(66)은 상악동(64)의 원위에 형성된다. 그렇지 않으면, 상악골에서 절골된 골 세그먼트의 신연을 위한 신연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은 하악골에서 사용하기 위한 명세서 전체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도 35는 치조 융선(도면번호 없음)을 갖는 상부 턱(60)의 중간면 부분을 도시한다. 치조 융선의 에지와 비강(도면번호 없음) 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아서 골 나사(20)를 그 안에 배치할 수 없다. 신연 장치(100)는 교각치(150)를 통해 치조 융선에 인접한 상부 턱(60)에 고정된 골 나사(20)에 부착된다. 스트링 맞물림부(130)를 갖는 스트링(128)은 미니 나사(40)에 부착되고, 치조 융선의 절골된 골 세그먼트에 고정된다. 크레스탈 절골 라인(66)은 비강 아래에 형성된다. 그렇지 않으면, 악골의 중간면 부분에서 절골된 골 세그먼트의 신연을 위해 신연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은 하악골에 사용하기 위해 명세서 전체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명확성을 위해 별개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반대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설명된 실시예에서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어떠한 특징도 명시적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그 실시예의 필수 특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 명백한 수많은 대안, 수정, 및 변형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성 요소 및/또는 방법의 구성 및 배열의 세부 사항으로의 적용으로 반드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으며, 실시예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그러한 모든 대안,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45)

  1. 골 장력을 위한 신연 장치로서,
    (i) 본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어댑터 부재의 수직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로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 특징부를 포함하는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하는, 본체; 및
    (ii)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로서, 각각의 조립체는:
    제 1 스트링 단부 및 제 2 스트링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스트링 단부가 스트링 맞물림부에 부착된, 스트링; 및
    상기 제 1 스트링 단부에 부착되고, 원위 방향으로의 상기 스트링 맞물림부의 변위를 증진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가동(movable)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각각은 상기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복수의 스트링의 각각의 스트링은 대응하는 상이한 위치 결정 특징부를 통하여 또는 이를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신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가 상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에 부착되는, 신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에 부착되는, 신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요소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 당김 조립체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신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당김 조립체는 상기 가동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된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연 장치는 상기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폴(pawl)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은 일 방향으로의 상기 스트링 당김 조립체의 자유 회전을 허용하지만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신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로드(rod)를 더 포함하는, 신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는 통공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스트링의 통과 및 자유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신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특징부는 상기 스트링과 상기 지지 로드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형성되는, 신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은 장착 보어(bore)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보어는 보어 나사산(screw thread)을 포함하는, 신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보어는 회전 방지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신연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부재는 고정 링부 및 상기 고정 링부에 힌지 연결된 동적 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적 링부는, 상기 동적 링부의 단부를 상기 고정 링부 또는 상기 스트링 위치 결정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상기 장착 보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조임 기구(mechanism)를 포함하는, 신연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는 환자 맞춤형 설계에 따라, CAD-CAM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조되는, 신연 장치.
  14. 신연 시스템으로서,
    (i) 제 1 항에 따른 신연 장치; 및
    (ii) 교각치(abutment)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랫폼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교각치 원위부;
    교각치 근위부; 및
    상기 교각치 원위부 및 상기 교각치 근위부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교각치 중간부를 포함하는, 교각치를 포함하고,
    상기 교각치 중간부의 최대 단면 직경은 상기 교각치 원위부의 최대 단면 직경 및 상기 교각치 근위부의 최대 단면 직경 중 임의의 것보다 큰, 신연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치 근위부는 다면체형 구조를 포함하는, 신연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치 원위부는 교각치 원위부 나사산을 포함하는, 신연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치 원위부는 다면체형 구조를 포함하는, 신연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맞물림부와 맞물리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미니 나사를 더 포함하는, 신연 시스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치를 수용하고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골 나사를 더 포함하는, 신연 시스템.
  20. 신연 조립체로서,
    (i) 제 1 항에 따른 신연 장치로서, 상기 어댑터 부재는 그 원주를 따라 외력을 인가할 때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축방향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신연 장치;
    (ii) 밴드(band) 및 웜 기어(worm gear) 기구를 포함하는 클램프로서, 상기 웜 기어 기구가 상기 클램프의 수축 또는 팽창을 유발하고 상기 클램프를 조정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어댑터 부재의 외부 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신연 장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복수의 축방향 연장부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리는 데 충분한 힘을 상기 어댑터 부재에 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신연 조립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KR1020217002807A 2018-07-02 2019-06-30 신연 골 형성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466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260367 2018-07-02
IL260367A IL260367A (en) 2018-07-02 2018-07-02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bone lengthening
US201962823012P 2019-03-25 2019-03-25
US62/823,012 2019-03-25
PCT/IL2019/050722 WO2020008450A1 (en) 2018-07-02 2019-06-30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action osteogene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628A KR20210024628A (ko) 2021-03-05
KR102466941B1 true KR102466941B1 (ko) 2022-11-14

Family

ID=6385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807A KR102466941B1 (ko) 2018-07-02 2019-06-30 신연 골 형성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71468B2 (ko)
EP (1) EP3793460B1 (ko)
KR (1) KR102466941B1 (ko)
CA (1) CA3102754C (ko)
ES (1) ES2912557T3 (ko)
IL (2) IL260367A (ko)
RU (1) RU2766523C1 (ko)
WO (1) WO2020008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6588B (zh) * 2022-05-18 2024-01-09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应用于种植牙的骨内牵引扩张成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8520A2 (en) 1999-09-29 2001-04-04 Yan Razdolsky Distraction apparatus for the maxilla or mandible
JP2005523765A (ja) 2002-04-30 2005-08-11 ジンテ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クール 小型上顎伸延器
US20130209956A1 (en) 2009-02-04 2013-08-15 Mid Cor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KR101318863B1 (ko) 2011-10-31 2013-10-17 서승우 골 신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1759A4 (en) * 1988-07-25 1990-12-12 Vsesojuzny Kurgansky Nauchny Tsentr "Vosstanovitelnaya Travmatologia I Ortopedia" Traction apparatus for restoring the shape of the hand
CN1044043A (zh) 1989-01-14 1990-07-25 临床矫形外伤学实验科学研究院 手形恢复延伸器
EP1385435B1 (de) * 2001-05-10 2006-12-13 Roger Minoretti Vorrichtung für kieferorthopädische und/oder kieferchirurgische zwecke
US7396232B2 (en) * 2001-12-05 2008-07-08 Ophir Fromovich Periosteal distraction
EP1482856A1 (en) * 2002-03-06 2004-12-08 A.J.S. Dawood A fixture for orthodontic anchorage and osseo distraction of the alveolar process, and for the stabilization of temporary prostheses
US20050159755A1 (en) * 2004-01-21 2005-07-21 Odrich Ronald B. Bone growth via periosteal distraction
RU2306890C2 (ru) 2005-09-19 2007-09-27 Игорь Иванович Кузьмин Дистра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8226655B1 (en) * 2007-07-05 2012-07-24 Sixto Jr Robert Distraction assembly
RU72397U1 (ru) 2007-09-27 2008-04-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равматологии и ортопедии им. Н.Н. Приорова Росмедтехнологий Монорепозиционное стержневое компрессионно-дистра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конечностей
US8562348B2 (en) * 2008-07-02 2013-10-22 Zimmer Dental, Inc. Modular implant with secured porous portion
US20100318129A1 (en) * 2009-06-16 2010-12-16 Kspine, Inc. Deformity alignment system with reactive force balancing
DE102010055432A1 (de) * 2010-12-10 2012-06-14 Celgen Ag Verbesserte Distraktionsmembran
CA2838047A1 (en) * 2011-06-03 2012-12-06 Kspine, Inc. Spinal correction system actuators
US8764803B2 (en) * 2012-10-04 2014-07-01 Loubert S. Suddaby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a spine
WO2014079963A1 (en) * 2012-11-22 2014-05-30 Celgen Ag Methods and devices for regenerating a bone
RU2639792C1 (ru) 2016-12-09 2017-12-22 Денис Сергеевич Жолудев Абатмент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8520A2 (en) 1999-09-29 2001-04-04 Yan Razdolsky Distraction apparatus for the maxilla or mandible
JP2005523765A (ja) 2002-04-30 2005-08-11 ジンテ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クール 小型上顎伸延器
US20130209956A1 (en) 2009-02-04 2013-08-15 Mid Cor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KR101318863B1 (ko) 2011-10-31 2013-10-17 서승우 골 신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60367A (en) 2018-08-30
RU2766523C1 (ru) 2022-03-15
IL279165B2 (en) 2023-04-01
IL279165A (en) 2021-01-31
EP3793460A1 (en) 2021-03-24
CA3102754C (en) 2023-10-10
WO2020008450A1 (en) 2020-01-09
EP3793460B1 (en) 2022-02-16
ES2912557T3 (es) 2022-05-26
CA3102754A1 (en) 2020-01-09
US20210244444A1 (en) 2021-08-12
US11771468B2 (en) 2023-10-03
IL279165B (en) 2022-12-01
KR20210024628A (ko) 2021-03-05
EP3793460A4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8665B2 (en)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CA2483583C (en) Compact maxillary distractor
US7588579B2 (en) Apparatus for intraoral distraction osteotomy to widen the upper jaw
US7322987B2 (en) Maxillary distraction device
US20220104857A1 (en) Modular bone screw for surgical fixation to bone
KR100604453B1 (ko) 분리 가능한 뼈 앵커를 갖는 정형외과적 시스템
US20090130620A1 (en) Bone supporte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JP2016185391A (ja) 伸延具
US20040067464A1 (en) Orthodontic pin
US9687323B2 (en) Temporary anchorage device with external plate
US7637741B2 (en) Orthodontic anchor
CA2424108C (en) Maxillary distractor
US4872449A (en) Quick-release device for jaw stabilization
KR102466941B1 (ko) 신연 골 형성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30092A1 (en) Distracting device for orthodontic/orosurgical purposes on the lower jaw
KR200411875Y1 (ko)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RU22660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набор инструментов и способ для удаления зуба
WO2023099858A1 (en) Dental implant
GB2599172A (en)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