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016B1 - 박음질 장치 - Google Patents

박음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016B1
KR102465016B1 KR1020210008419A KR20210008419A KR102465016B1 KR 102465016 B1 KR102465016 B1 KR 102465016B1 KR 1020210008419 A KR1020210008419 A KR 1020210008419A KR 20210008419 A KR20210008419 A KR 20210008419A KR 102465016 B1 KR102465016 B1 KR 10246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titching
rods
base plat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731A (ko
Inventor
우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스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스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스로봇
Priority to KR102021000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0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0Edge guid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음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음질 장치의 일 양태는, 상하로 적층되는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이 그 상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를 봉재하기 위하여 승하강하면서 박음질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박음질 유닛; 상기 바늘이 승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을 간헐적으로 직선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 상기 바늘이 하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을 각각 회전시키는 상부 및 하부 롤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에 의하여 각각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가 박음질되도록 상기 박음질 유닛, 이송 유닛 및 상부 및 하부 롤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이 상기 바늘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상부 봉재물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봉재물의 하면에 그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회전축 또는 하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되, 상기 바늘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 거리가 증가되도록 각각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을 회전시킨다.

Description

박음질 장치{DEVICE AND METHOD FOR STITCHING}
본 발명은 박음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재의 경우, 2개의 봉재물, 예를 들면, 동일한 형상의 2개의 봉재물이 겹쳐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2개의 봉재물의 테두리가 서로 형합되도록 이송하면서 박음질하거나, 매트의 테두리에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테두리 부재를 박음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이를 자동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선행특허문헌들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감지 유닛이 봉재물의 테두리 형상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봉재물이 이송되면서 박음질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상부 롤러 및 다수개의 하부 롤러가 각각 상하로 대향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주면이 상방의 봉재물의 상면 및 하방의 봉재물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고,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각각이 상이한 회전수로 회전함으로써, 봉재물이 그 테두리 형상에 따라서 방향이 가변되면서 이송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음질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봉재물의 테두리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봉재물이 이송되면서 박음질된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들에는, 그 구체적인 방법, 특히, 직선과 곡선이 반복되는 봉재물의 경우에 봉재물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구체적인 구성 및 봉재물의 테두리를 따라서 이송 및 박음질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구성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봉재물의 경우에는, 상부 봉재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봉재물의 하면에 접촉되면 하부 롤러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그 테두리 형상에 따라서 방향이 가변되면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봉재물의 경우에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가 회전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와 접촉되는 상부 봉재물 및 하부 봉재물의 일부만 방향이 가변되지만 그 나머지는 가변되지 않고 구겨질 수 있다. 나아가, 상부 및 하부 봉재물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설정된 각도만큼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의 회전에 따른 상부 또는/및 하부 봉재물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봉재물이나 재질에 따른 마찰력이 큰 봉재물의 경우에는, 2개의 봉재물의 테두리가 형합되도록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1995-096091호(명칭: 깔게주연부의 봉제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93407호(명칭: 매트 박음질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10255호(명칭: 매트 박음질 장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0-0019309호(명칭: 누비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4512호(명칭: 테두리 천 바인더가 부착된 미싱)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8155호(명칭: 차량용 매트 구조체)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봉재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른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박음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얇은 재질의 봉재물의 경우에도 정확한 이송 및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박음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음질 장치의 일 양태는, 상하로 적층되는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이 그 상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를 봉재하기 위하여 승하강하면서 박음질하는 바늘을 포함하는 박음질 유닛; 상기 바늘이 승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을 간헐적으로 직선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 상기 바늘이 하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을 각각 회전시키는 상부 및 하부 롤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에 의하여 각각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가 박음질되도록 상기 박음질 유닛, 이송 유닛 및 상부 및 하부 롤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이 상기 바늘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상부 봉재물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봉재물의 하면에 그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회전축 또는 하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되, 상기 바늘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 거리가 증가되도록 각각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직교되는 가상의 평면 상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는, 상기 상부 봉재물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봉재물의 상면에 그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의 연장선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바늘이 관통하는 박음질 개구를 지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는, 원뿔대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는, 상기 상부 봉재물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봉재물의 상면에 그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의 양면의 원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바늘이 관통하는 박음질 개구를 지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를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를 박음질하기 위하여 상하강하는 상기 바늘과의 간섭이 방지되는 범위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은, 가상의 직선인 감지선 상에 위치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의 테두리의 일측인 감지점의 상기 기준선에 대한 이격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격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 초과 또는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이 회전하여 상기 감지점이 가상의 직선인 박음질 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격 거리와 기준 거리의 차의 절대값에 비례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의 회전 속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음질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지 유닛이 감지한 봉재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라서 이송 유닛 또는 회전 롤러에 의하여 봉재물의 직선 이송 또는 회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봉재물의 테두리 형상에 따른 이송 및 이에 대한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봉재물에 각각 면접하는 회전 플레이트가 박음질을 수행하는 바늘에 의하여 봉재물의 테두리가 박음질되도록 봉재물이 회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플레이트가 바늘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봉재물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 플레이트에 의하여 봉재물의 회전 과정에서 상호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한 간섭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정확하게 테두리 형상에 따른 봉재물의 회전 및 봉재물의 테두리에 대한 박음질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음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재물의 이송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음질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음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재물의 이송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음질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 박음질 유닛(300), 이송 유닛(400),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 및 제어 유닛(C)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승하강 유닛(600) 및 구획 플레이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박음질되는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그 상면에 지지되는 곳이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은, 그 테두리가 실에 의하여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되면서 그 테두리가 박음질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박음질 개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박음질 개구(11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박음질 개구(110), 후술할 바늘(310)이 박음질을 위하여 하강한 상태에서 관통하는 곳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이송 개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 개구(120)는, 상기 하부 롤러(500B)가 상기 하부 봉재물(MB)의 하면과의 접촉을 위하여 노출되는 곳이다. 상기 이송 개구(120)도, 상기 박음질 개구(110)와 동일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다른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를 각각 감지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이송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를 감지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으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일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그 형상에 따라서 직선 이동하는 리니어 스케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이,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상기 박음질 유닛(300)의 전방, 즉, 이송 방향(A)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박음질 유닛(30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에 의하여 그 위치값이 검출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일측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하여 박음질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타측에 비하여 선행한다고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이 상기 박음질 유닛(300), 실질적으로 바늘(310)로부터 후술할 이송 거리(l)만큼 이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이송에 따라서 검출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형상에 따른 위치값의 가변으로부터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값을 가상의 직선인 기준선(L1)에 대한 이격 거리(d)를 감지한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이송에 따른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가 상기 기준선(L1)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값을 감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선(L1)은, 상기 이송 방향(A)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으로, 상기 기준선(L1) 상에 바늘(310)이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이, 가상의 직선인 감지선(L2) 상에 위치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일측의 상기 기준선(L1)에 대한 상기 이격 거리(d)를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선(L2) 상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일측을 감지점(P)이라 칭한다.
그런데,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는 상기 기준선(L1)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이 감지한 상기 이격 거리(d)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d0)에 대한 상대값, 즉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와 동일 또는 그 초과 또는 그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형상이 직선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점(P)과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 사이가 일정한 거리, 즉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형상이 곡선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점(P)과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 사이가 가변, 즉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를 초과 또는 미만으로 가변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형상이 곡선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 초과로 증가되거나 상기 기준 거리(d0) 미만으로 감소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이송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이 상기 기준선(L1)을 중심으로 도 1에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1의 ⓐ 부분)에는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 초과로 증가되고, 상기 기준선(L1)을 중심으로 도 1에서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1의 ⓑ 부분)에는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 미만으로 감소된다.
상기 박음질 유닛(300)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를 박음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음질 유닛(300)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를 봉재하기 위하여 승하강하면서 박음질하는 바늘(310)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바늘(310)은 하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에 삽입되고, 승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바늘(310)이 승하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에 삽입 및 이격을 반복하면서 실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가 박음질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310)이 하강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과 상기 박음질 개구(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늘(310)이 상기 기준선(L1) 상에서 승하강하면서 박음질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준선(L1)과 동일한 평면,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 상에서 직교되고, 상기 바늘(310)이 상기 기준선(L1)과의 교차점 상에 위치되는 가상의 직선을 박음질 선(L3)이라 칭한다.
상기 이송 유닛(4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을 상기 이송 방향(A)으로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늘(310)이 승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을 상기 이송 방향(A)으로 기설정된 이송 거리(l)만큼씩 간헐적으로 직선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 유닛(400)은,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직교되는 가상의 평면 상의 타원 형상의 이동 궤적을 따라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상부 봉재물(MA)을 상기 이송 방향(A)으로 밀어서 압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유닛(400)에 의하여 상기 상부 봉재물(MA)이 상기 이송 방향(A)으로 압송되면, 상기 상부 봉재물(MA)에 박음질되어 고정된 상기 하부 봉재물(MB)이 상기 상부 봉재물(MA)과 함께 상기 이송 방향(A)으로 압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 유닛(400)은,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에 접촉되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압송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 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초기 위치 및 이송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이송 거리(l)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유닛(400)은,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후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 유닛(400)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이송 위치로 이동하는 시간 동안만, 상기 이송 유닛(400)에 의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이송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이송 위치로 상기 이송 유닛(400)의 이동은, 상기 박음질 유닛(300), 실질적으로 상기 바늘(310)이 승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 유닛(400)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을 이송하는 거리만큼,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하여 박음질되는 과정에서의 땀 간격이 설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는, 상기 바늘(310)이 하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을 각각 회전시킨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에 의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회전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가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하여 박음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상기 바늘(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봉재물(MB)의 하면에 그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회전축(510A) 또는 하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외주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 중 적어도 1개,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롤러(500A)가 상하로 승하강하여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가, 상기 바늘(310)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 거리가 증가되도록 각각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을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는, 원뿔대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는,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봉재물(Mb)의 하면에 그 외주면이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양면의 원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이 상기 박음질 개구(110)를 지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가 배치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510A)(510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직교되는 가상의 평면 상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510A)(510B)의 연장선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바늘(310)이 관통하는 박음질 개구(110)를 지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에 의하여 각각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가 박음질되도록 상기 박음질 유닛(300), 이송 유닛(400) 및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가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하여 박음질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에 의하여 각각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형상을 각각 판단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직선 이동 및 회전이 교호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송 유닛(400)과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이 감지한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인 경우, 즉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가 직선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이송 유닛(400)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상기 이송 거리(l)만큼 이송(도 3의 (A)에서 (B)로 이동)되면서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가 박음질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박음질 유닛(300) 및 이송 유닛(400)의 동작이 서로 교호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이송 유닛(400)이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이송 위치로 이동, 즉 상기 이송 거리(l)만큼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을 이송하는 동안에 상기 바늘(310)의 승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로부터 이격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이송 유닛(400)이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박음질을 위하여 상기 바늘(310)이 하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에 삽입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이 각각 감지한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 초과 또는 미만인 경우, 즉,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가 곡선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각각 회전(도 3의 (B)에서 (C)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이격 거리(d)만 상기 기준 거리(d0) 초과 또는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 중 어느 하나만 회전하도록 제어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박음질 유닛(300), 즉 상기 바늘(310)이 박음질을 위하여 하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롤러(500A) 및 하부 롤러(500B)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에 의하여 상기 바늘(310)을 중심으로 한다. 즉, 상기 제어 유닛(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가 시계 반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이송 유닛(400)이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이 감지한 상기 이격 거리(d)가 상기 기준 거리(d0) 초과 또는 미만인 경우에,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회전하여 상기 감지점(P)이 가상의 직선인 박음질 선(L3)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박음질 유닛(300)에 의한 박음질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바늘(310)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이격 거리(d)와 기준 거리(d0)의 차의 절대값에 비례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가 곡선 구간인 경우에, 상기 이격 거리(d) 및 기준 거리(d0)의 차의 절대값은, 곡선 구간의 반경에 비례한다. 그런데,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에 의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회전이 상기 바늘(310)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곡선 구간의 반경이 증가될수록 기설정된 시간, 실질적으로, 상기 바늘(310)이 승하강하는 시간 동안의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회전량이 증가되어야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를 따라서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곡선 구간의 반경이 증가될수록, 상기 제어 유닛(C)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구획 플레이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700)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호 회전을 간섭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가 동시 또는 그 중 어느 일방이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구획 플레이트(700)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획 플레이트(700)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를 박음질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지 플레이트 200A, 200B: 감지 유닛
300: 박음질 유닛 400: 이송 유닛
500A, 500B: 회전 롤러 600: 승하강 유닛
700: 구획 플레이트 C: 제어 유닛

Claims (7)

  1. 상하로 적층되는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그 상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를 봉재하기 위하여 승하강하면서 박음질하는 바늘(310)을 포함하는 박음질 유닛(300);
    상기 바늘(310)이 승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을 간헐적으로 직선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400);
    상기 바늘(310)이 하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지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을 각각 회전시키는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에 의하여 각각 감지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 형상을 각각 판단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간헐적인 직선 이동 또는 직선 이동 및 회전이 교호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가 박음질되도록 상기 박음질 유닛(300), 이송 유닛(400) 및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C);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상기 바늘(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봉재물(MB)의 하면에 그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회전축(510A) 또는 하부 회전축(510B)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되, 상기 바늘(310)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 거리가 증가되도록 각각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을 회전시키는 박음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510A)(510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직교되는 가상의 평면 상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는,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봉재물(Mb)의 하면에 그 외주면이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회전축(510A)(510B)의 연장선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바늘(310)이 관통하는 박음질 개구(110)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박음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는, 원뿔대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는, 상기 상부 봉재물(Ma)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 봉재물(Mb)의 하면에 그 외주면이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양면의 원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바늘(310)이 관통하는 박음질 개구(110)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박음질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감지 유닛(200A)(200B)은, 가상의 직선인 감지선(L2) 상에 위치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의 테두리의 일측인 감지점(P)의 가상의 직선인 기준선(L1)에 대한 이격 거리(d)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이격 거리(d)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d0) 초과 또는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상부 및 하부 봉재물(Ma)(Mb)이 회전하여 상기 감지점(P)이 가상의 직선인 박음질 선(L3)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박음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C)은, 상기 이격 거리(d)와 기준 거리(d0)의 차의 절대값에 비례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500A)(500B)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박음질 장치.
KR1020210008419A 2021-01-21 2021-01-21 박음질 장치 KR10246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19A KR102465016B1 (ko) 2021-01-21 2021-01-21 박음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19A KR102465016B1 (ko) 2021-01-21 2021-01-21 박음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31A KR20220105731A (ko) 2022-07-28
KR102465016B1 true KR102465016B1 (ko) 2022-11-09

Family

ID=8260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19A KR102465016B1 (ko) 2021-01-21 2021-01-21 박음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0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2107A (ja) 2017-06-09 2018-12-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18657D0 (en) * 1992-09-01 1992-10-21 British United Shoe Machinery Workpiece positioning apparatus
JPH0796091A (ja) 1993-09-30 1995-04-11 Matsuka Shoten:Kk 敷物周縁部の縫製装置
KR20000019309A (ko) 1998-09-10 2000-04-06 류정열 공압제어 클램프의 구조
KR101354512B1 (ko) 2012-04-30 2014-01-22 오종호 테두리 천 바인더가 부착된 미싱
KR101558155B1 (ko) 2014-10-01 2015-10-08 글로벌더원코리아(주) 차량용 매트 구조체
KR102093407B1 (ko) 2018-09-05 2020-04-14 우정오 매트 박음질 장치
KR102110255B1 (ko) 2019-06-26 2020-06-08 우정오 매트 박음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2107A (ja) 2017-06-09 2018-12-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31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8689B1 (en) Edge finishing system
US4008888A (en) Device for the transport of individual pieces of fabric in the automatic manufacture of products therefrom
US9290874B2 (en) Backing material shifter for tufting machine
KR102093407B1 (ko) 매트 박음질 장치
GB2144777A (en) Automated seam joining apparatus
KR102465016B1 (ko) 박음질 장치
US3782310A (en) Sewing machine wth equipment for sewing of edge-parallel seams
KR102459825B1 (ko) 박음질 장치
US3903820A (en) Edge control for machine sewing parallel edge seams
KR102389993B1 (ko) 박음질 장치
KR20220152689A (ko) 박음질 장치
KR102231009B1 (ko) 박음질 장치 및 방법
EP00081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flexible sheets from a stack and their transportation to a processing unit
KR102620459B1 (ko) 재봉 장치
JPH0228455A (ja) 布帛を方向付ける表面を具備した延反機
KR102620463B1 (ko) 재봉 장치 및 방법
WO2019018956A1 (zh) 用于服装裁剪设备的压料导向机构
US2653812A (en) Apparatus for folding fabrics
KR102504311B1 (ko) 박음질 장치 및 방법
US3141665A (en) Fold forming elements for cloth laying machines
KR102139457B1 (ko) 매트 박음질 장치 및 방법
US3239211A (en) Multilayer cloth laying means
US4555102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tacks of cloth
US59437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ft correction
EP3655578B1 (en) Sewing machine for decorative and functional s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