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933B1 - 하이드로부시 - Google Patents

하이드로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933B1
KR102448933B1 KR1020180045472A KR20180045472A KR102448933B1 KR 102448933 B1 KR102448933 B1 KR 102448933B1 KR 1020180045472 A KR1020180045472 A KR 1020180045472A KR 20180045472 A KR20180045472 A KR 20180045472A KR 102448933 B1 KR102448933 B1 KR 10244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hamber
buffer
buffer member
partition rib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962A (ko
Inventor
차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9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18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r shape of the equilibration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63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ssages between work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하이드로부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부시는: 아우터 파이프; 아우터 파이프의 내부에 압입되고, 유체가 수용되도록 복수의 유압실부가 형성되고, 유압실부를 구획하도록 유압실부의 내부에 구획리브가 형성되는 완충부재; 복수의 유압실부를 밀봉시키도록 완충부재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유압실부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완충유로부가 형성되는 노즐부; 및 완충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너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드로부시{HYDRAULIC BUSH}
본 발명은 하이드로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 대해 동적 특성의 제어와 튜닝이 가능한 하이드로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이나 암류 등에는 부시가 설치된다. 부시는 진동 및 충격을 제어하여 차체로 진동 및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시들 중에서 유체의 점성과 고무의 완충 특성을 이용하는 부시를 하이드로부시(Hydraulic sealed type bush)라고 한다. 하이드로부시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도록 액실이 형성된다.
하이드로부시의 동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설계인자로는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의 단면과 길이이다. 하이드로부시는 1개 또는 2개의 액실에 유로가 연결되어 특정 진동주파수대역에서의 하나의 동적 특성을 제어와 튜닝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차량의 진동소음(NVH: Noise, Vibration, Harshness)나 승차감 등에 대한 요구성능이 높아지므로, 하나의 부시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서 복수의 동적 특성을 제어와 튜닝할 수 있는 기술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 대해 동적 특성의 제어와 튜닝이 가능한 하이드로부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부시는: 아우터 파이프;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부에 압입되고, 유체가 수용되도록 복수의 유압실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압실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유압실부의 내부에 구획리브가 형성되는 완충부재; 복수의 상기 유압실부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유압실부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완충유로부가 형성되는 노즐부; 및 상기 완충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너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실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유압실; 및 상기 완충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유압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리브는 제1 일측 유압실과 제2 일측 유압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일측 유압실을 구획하는 일측 구획리브; 및 제1 타측 유압실과 제2 타측 유압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타측 유압실을 구획하는 타측 구획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 구획리브는 상기 일측 유압실에서 상기 완충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구획리브는 상기 타측 유압실에서 상기 완충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완충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되는 강성 확보부; 및 상기 강성 확보부와 교번으로 배열되고, 상기 강성 확보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탄성 확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1 일측 유압실과 상기 제2 일측 유압실을 밀봉시키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일측 노즐부; 및 상기 제1 타측 유압실과 상기 제2 타측 유압실을 밀봉시키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타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타측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 노즐부에는 상기 일측 구획리브가 통과하여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일측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노즐부에는 상기 타측 구획리브가 통과하여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타측 관통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노즐부와 상기 타측 노즐부는 단부가 서로 맞대어져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유로부는 상기 제1 일측 유압실과 상기 제1 타측 유압실에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 노즐부와 상기 타측 노즐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완충유로부; 및 상기 제2 일측 유압실과 상기 제2 타측 유압실에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 노즐부와 상기 타측 노즐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단면이 상기 제1 완충유로부의 단면과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제2 완충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완충유로부의 단면이 상기 제1 완충유로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완충 유로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완충유로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양측 측벽에 상기 일측 유압실과 상기 타측 유압실에 대응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미들 파이프; 및 상기 미들 파이프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고,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일측 브릿지부와 타측 브릿지부가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측 유압실과 상기 타측 유압실의 축방향 양측을 밀봉시키도록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밀착되는 밀봉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파이프는 상기 완충부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리브가 복수의 유압실부를 구획하므로, 복수의 유압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드로부시의 진동 또는 충격시 복수의 유압실의 체적이 개별적으로 변경되므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서 다중 동적 특성을 제어와 튜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완충유로부가 복수의 유압실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므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서 다중 동적 특성을 제어와 튜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완충유로부의 단면과 제2 완충유로부의 단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제1 완충유로부와 제2 완충유로부에서 유체의 유동속도와 유동량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진동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서 동적 특성이 제어와 튜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리브의 탄성 확보부가 강성 확보부 보다 얇게 형성되므로, 탄성 확보부는 강성 확보부보다 탄성 변형량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리브의 팽창과 수축이 반복되더라도 구획리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재의 구획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재의 구획리브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아우터 파이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 이너 파이프 및 완충부를 인서트 사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이너 파이프의 양측에 스토퍼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노즐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유체의 유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이드로부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100)는 아우터 파이프(110), 완충부재(120), 노즐부(150) 및 이너 파이프(160)를 포함한다.
아우터 파이프(110)는 하이드로부시(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아우터 파이프(110)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아우터 파이프(110)는 금속 재질이나 강화 플라스틱 등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20)는 아우터 파이프(110)의 내부에 압입되고, 유체가 수용되도록 복수의 유압실부(141,142)가 형성되고, 유압실부(141,142)를 구획하도록 유압실부(141,142)의 내부에 구획리브(143)가 형성된다.
구획리브(143)는 유압실부(141,142)을 구획하도록 유압실부(141,142)마다 하나씩 형성된다. 구획리브(143)는 전체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된다. 구획리브(143)가 유압실부(141,142)를 구획하므로, 유압실부(141,142)가 복수의 유압실(141a,141b,142a,142c)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차체의 진동이나 외부충격시 하이드로부시(100)에서 복수의 유압실(141a,141b,142a,142c)의 체적이 개별적으로 변경되므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서 다중 동적 특성을 제어와 튜닝할 수 있다.
완충부재(120)는 고무에 황을 첨가하여 가류된 고무부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류된 완충부재(120)는 탄성변화를 감소시키고, 인장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완충부(140)의 외측면에는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의 축방향 양측을 밀봉시키도록 밀봉리브(147)가 형성된다. 밀봉리브(147)는 아우터 파이프(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의 축방향 양측을 실링한다. 밀봉리브(147)는 노즐부(150)의 축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밀봉리브(147)의 단면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밀봉리브(147)는 노즐부(150)의 양측이 2개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밀봉리브(147)는 완충유로부(155,156)의 유체가 완충부(140)의 축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노즐부(150)는 복수의 유압실부(141,142)를 밀봉시키도록 완충부재(12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유압실부(141,142)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완충유로부(155,156)가 형성된다. 복수의 완충유로부(155,156)가 복수의 유압실부(141,14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므로, 각 유압실부(141,142)에 수용된 유체가 해당 완충유로부(155,156)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드로부시(100)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복수의 유압실부(141,142)에서 해당 완충유로부(155,156)로 유체가 유동되므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서 다중 동적 특성을 제어와 튜닝할 수 있다.
이너 파이프(160)는 완충부재(120)에 설치된다. 이너 파이프(160)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너 파이프(160)의 외측면에는 이너 파이프(160)가 완충부재(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너 파이프(160)는 완충부(14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이너 파이프(160)가 완충부(140)에 인서트 사출되므로, 이너 파이프(160)와 완충부(1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 파이프(16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이너 파이프(160)가 완충부(14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35)가 결합된다.
유압실부(141,142)는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을 포함한다. 일측 유압실(141)은 완충부재(12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유압실(142)은 완충부재(120)의 타측에 형성된다.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은 이너 파이프(16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압실부(141,142)의 크기와 형태는 차량의 종류, 서스펜션이나 암류의 구조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재의 구획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재의 구획리브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아우터 파이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구획리브(143)는 일측 구획리브(144)와 타측 구획리브(145)를 포함한다. 일측 구획리브(144)는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2 일측 유압실(141b)을 형성하도록 일측 유압실(141)을 구획한다. 타측 구획리브(145)는 제1 타측 유압실(142a)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을 형성하도록 타측 유압실(142)을 구획한다.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2 일측 유압실(141b)은 완충부재(120)의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제1 타측 유압실(142a)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은 완충부재(120)의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은 이너 파이프(16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은 이너 파이프(16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일측 구획리브(144)는 일측 유압실(141)에서 완충부재(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 구획리브(145)는 타측 유압실(142)에서 완충부재(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일측 구획리브(144)와 타측 구획리브(145)는 이너 파이프(160)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일측 구획리브(144)와 타측 구획리브(145)가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되므로,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의 양측에서 압력 변화가 발생될 경우 일측 구획리브(144)와 타측 구획리브(145)가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에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의 동적 특성을 제어와 튜닝할 수 있다.
구획리브(143)는 완충부재(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되는 강성 확보부(146a)와, 강성 확보부(146a)와 교번으로 배열되고, 강성 확보부(146a)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탄성 확보부(146b)를 포함한다. 탄성 확보부(146b)가 강성 확보부(146a) 보다 얇게 형성되므로, 구획리브(143)에 유압이 가해질 때에 강성 확보부(146a)는 탄성 확보부(146b)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형량이 감소된다. 또한, 탄성 확보부(146b)는 강성 확보부(146a)보다 변형량이 증가되므로, 구획리브(143)의 팽창과 수축이 반복되더라도 구획리브(14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획리브(143)는 아우터 파이프(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실링부(146c)를 더 포함한다. 실링부(146c)가 쐐기 형태로 형성되므로, 구획리브(143)가 아우터 파이프(110)에 밀착될 때에 실링부(146c)가 변형됨에 따라 아우터 파이프(110)에 밀착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제1 일측 유압실(141a)에서 제2 일측 유압실(141b)로 유동되거나 그 반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제1 타측 유압실(142a)에서 제2 타측 유압실(142b)로 유동되거나 그 반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완충부, 이너 파이프 및 완충부를 인서트 사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이너 파이프의 양측에 스토퍼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완충부재(120)는 미들 파이프(130)와 완충부(140)를 포함한다.
미들 파이프(130)는 양측 측벽에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에 대응되도록 개구부(133)가 형성된다. 양측의 개구부(133)는 미들 파이프(130)의 내측와 외측을 연통시킨다. 미들 파이프(1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커링부(curing portion: 미도시)나 스웨이징부(swaging portion: 미도시)가 형성된다. 커링부는 미들 파이프(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완충부(140)는 미들 파이프(130)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고, 개구부(133)를 밀봉하도록 일측 브릿지부(148)와 타측 브릿지부(149)가 형성된다. 완충부(140)와 미들 파이프(130)가 인서트 사출되므로, 미들 파이프(130)와 완충부(1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브릿지부(148)와 타측 브릿지부(149)는 하이드로부시(100)에 진동이 가해질 때에 이너 파이프(160)가 좌우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막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노즐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노즐부(150)에는 실링부(146c)가 통과하여 아우터 파이프(110)에 밀착되도록 관통슬릿(151a,152a)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일측 노즐부(151)에는 일측 구획리브(144)가 통과하여 아우터 파이프(110)에 밀착되도록 일측 관통슬릿(151a)이 형성되고, 타측 노즐부(152)에는 타측 구획리브(145)가 통과하여 아우터 파이프(110)에 밀착되도록 타측 관통슬릿(152a)이 형성된다.
이때, 실링부(146c)의 내측면은 노즐부(150)의 외측면에 걸리게 된다. 실링부(146c)가 노즐부(150)의 관통슬릿(151a,152a)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므로, 구획리브(143)의 팽창 및 수축시 실링부(146c)가 노즐부(15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부(150)는 일측 노즐부(151)와 타측 노즐부(152)를 포함한다.
일측 노즐부(151)는 일측 유압실(141)을 밀봉시키도록 완충부재(120)의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타측 노즐부(152)는 타측 유압실(142)을 밀봉시키도록 완충부재(120)의 타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일측 노즐부(151)와 타측 노즐부(152)가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을 밀봉시키므로, 일측 유압실(141)과 타측 유압실(142)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노즐부(151)와 타측 노즐부(152)가 완충부재(120)의 양측에 결합되므로, 완충부재(120)와 노즐부(15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 노즐부(151)와 타측 노즐부(152)는 단부가 서로 맞대어져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일측 노즐부(151)와 타측 노즐부(152)는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아우터 파이프(110)의 내측면은 일측 노즐부(151)와 타측 노즐부(152)의 외측면과 긴밀하게 밀착된다.
완충유로부(155,156)는 제1 완충유로부(155)와 제2 완충유로부(156)를 포함한다.
제1 완충유로부(155)는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에 연통되도록 일측 노즐부(151)와 타측 노즐부(152)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완충유로부(155)의 단부에는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에 각각 연통되는 제1 연통홀부(155a)가 형성된다.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의 유체는 제1 완충유로부(155)를 따라 유동되므로,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에 의해 해당 진동주파수대역의 진동수가 제어와 튜닝될 수 있다.
제2 완충유로부(156)는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에 연통되도록 일측 노즐부(151)와 타측 노즐부(152)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단면(D2)이 제1 완충유로부(155)의 단면(D1)과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 완충유로부(156)의 단면(D2)이 제1 완충유로부(155)의 단면(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D2>D1: 도 11 참조).
또한, 제2 완충유로부(156)의 단부에는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에 각각 연통되는 제2 연통홀부(156a)가 형성된다.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의 유체가 제2 완충유로부(156)를 따라 유동되므로,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에 의해 특정 진동주파수대역의 진동수가 제어와 튜닝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유로부(155)의 단면(D1)과 제2 완충유로부(156)의 단면(D2)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제1 완충유로부(155)와 제2 완충유로부(156)에서 유체의 유동속도와 유동량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에 의해 튜닝되는 진동주파수대역과,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에 의해 튜닝되는 진동주파수대역이 서로 달라지므로, 차량의 진동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서 동적 특성이 제어와 튜닝될 수 있다.
제2 완충유로부(156)의 단면(D2)이 제1 완충유로부(155)의 단면(D1)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완충 유로부(155,156)의 길이(L2)는 제1 완충유로부(155)의 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완충유로부(156)는 단면(D2)이 크고 길이(L2)가 짧게 형성되며, 제1 완충유로부(155)는 단면(D1)이 작고 길이(L1)가 길게 형성되므로, 제2 완충유로부(156)와 제1 완충유로부(155)에서 유체의 유동속도 및 유동량이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의 동적 특정이 튜닝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120)와 제2 완충부재(120)의 단면(D1,D2)과 길이(L1,L2)는 차량의 종류, 서스펜션이나 암류의 구조, 차량의 설계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완충유로부(155,156)의 개수는 유압실의 개수와 배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노즐부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부시에서 유체의 유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이드로부시(100)에 진동이 가해지면, 이너 파이프(160)가 좌우방향으로 진동된다. 일측 브릿지부(148)와 타측 브릿지부(149)가 이너 파이프(160)의 양측에 밀착되므로, 일측 브릿지부(148)와 타측 브릿지부(149)가 좌우방향으로 거동된다.
일측 브릿지부(148)와 타측 브릿지부(149)가 좌우방향으로 거동되면, 제1 일측 유압실(141a), 제2 일측 유압실(141b), 제1 타측 유압실(142a) 및 제2 타측 유압실(142b)이 수축 및 팽창된다. 이때,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은 제1 완충유로부(155)에 의해 연통되므로,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의 유체가 제1 완충유로부(155)를 통해 유동된다. 또한,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은 제2 완충유로부(156)에 의해 연통되므로,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의 유체가 제2 완충유로부(156)를 통해 유동된다. 반면,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의 유체는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 측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제1 완충유로부(155)는 제2 완충유로부(156)에 비해 단면적(D2>D1)이 작고 길이(L1>L1)가 길게 형성되고, 제2 완충유로부(156)는 제1 완충유로부(155)에 비해 단면적이 크고 길이가 짧게 형성되므로, 제1 완충유로부(155)와 제2 완충유로부(156)에서 유체의 유동량과 유동속도가 차이가 발생된다. 제1 완충유로부(155)와 제2 완충유로부(156)에서 유체의 유동량과 유동속도가 차이가 발생되면,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의 압력과,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의 압력이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1 타측 유압실(142a)에 의해 제어와 튜닝되는 진동주파수대역과, 제2 일측 유압실(141b)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에 의해 제어와 튜닝되는 진동주파수대역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유로부(155)를 따라 유체가 유동됨에 의해 제어와 튜닝되는 진동주파수대역과, 제2 완충유로부(156)에서 유체가 유동함에 의해 제어와 튜닝되는 진동주파수대역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가 해당 완충유로부(155,156)를 통해 해당 유압실에 유출입되므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 대한 동적 특성이 제어와 튜닝될 수 있다.
또한,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2 일측 유압실(141b) 사이에는 일측 구획리브(144)가 형성되므로, 일측 구획리브(144)는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2 일측 유압실(141b)의 압력차에 의해 팽창 및 신축된다. 또한, 제1 타측 유압실(142a)과 제2 타측 유압실(142b) 사이에는 타측 구획리브(145)가 형성되므로, 타측 구획리브(145)는 제1 타측 유압실(142a)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의 압력차에 의해 팽창 및 신축된다. 따라서, 일측 구획리브(144)가 팽창 및 신축됨에 따라 제1 일측 유압실(141a)과 제2 일측 유압실(141b)의 체적이 변경되고, 타측 구획리브(145)가 팽창 및 신축됨에 따라 제1 타측 유압실(142a)과 제2 타측 유압실(142b)의 체적이 변경된다. 따라서, 복수의 진동주파수대역에 대한 동적 특성이 제어와 튜닝될 수 있다.
한편, 완충부재(120)에 가해지는 진동주파수가 커질수록 완충부재(120)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증대된다(딱딱해짐). 이때, 제1 완충유로부(155)와 제2 완충유로부(156)를 통해 유체가 유동되므로, 다중 진동주파수대역에 대하여 완충부재(120)의 다중 동적 특성이 제어와 튜닝될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로부시를 이용하여 복수의 동적 트석을 제어와 튜닝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다이나믹 댐퍼 등을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하이드로부시 110: 아우터 파이프
120: 완충부재 130: 미들 파이프
133: 개구부 135: 스토퍼
140: 완충부 141,142: 유압실부
141: 일측 유압실 141a: 제1 일측 유압실
141b: 제2 일측 유압실 142: 타측 유압실
142a: 제1 타측 유압실 142b: 제2 타측 유압실
143: 구획리브 144: 일측 구획리브
145: 타측 구획리브 146a: 강성 확보부
146b: 탄성 확보부 146c: 실링부
147: 밀봉리브 148: 일측 브릿지부
149: 타측 브릿지부 150: 노즐부
151: 일측 노즐부 151a: 일측 관통슬릿
152: 타측 노즐부 152a: 타측 관통슬릿
155,156: 완충유로부 155: 제1 완충유로부
155a: 제1 연통홀부 156: 제2 완충유로부
156a: 제2 연통홀부 160: 이너 파이프

Claims (15)

  1. 아우터 파이프;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부에 압입되고, 유체가 수용되도록 복수의 유압실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압실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유압실부의 내부에 구획리브가 형성되는 완충부재;
    복수의 상기 유압실부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유압실부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완충유로부가 형성되는 노즐부; 및
    상기 완충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너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완충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되는 강성 확보부; 및
    상기 강성 확보부와 교번으로 배열되고, 상기 강성 확보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탄성 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유압실; 및
    상기 완충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유압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리브는,
    제1 일측 유압실과 제2 일측 유압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일측 유압실을 구획하는 일측 구획리브; 및
    제1 타측 유압실과 제2 타측 유압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타측 유압실을 구획하는 타측 구획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구획리브는 상기 일측 유압실에서 상기 완충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구획리브는 상기 타측 유압실에서 상기 완충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1 일측 유압실과 상기 제2 일측 유압실을 밀봉시키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일측 노즐부; 및
    상기 제1 타측 유압실과 상기 제2 타측 유압실을 밀봉시키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타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타측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노즐부에는 상기 일측 구획리브가 통과하여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일측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노즐부에는 상기 타측 구획리브가 통과하여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타측 관통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노즐부와 상기 타측 노즐부는 단부가 서로 맞대어져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로부는,
    상기 제1 일측 유압실과 상기 제1 타측 유압실에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 노즐부와 상기 타측 노즐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완충유로부; 및
    상기 제2 일측 유압실과 상기 제2 타측 유압실에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 노즐부와 상기 타측 노즐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단면이 상기 제1 완충유로부의 단면과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제2 완충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유로부의 단면이 상기 제1 완충유로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 유로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완충유로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양측 측벽에 상기 일측 유압실과 상기 타측 유압실에 대응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미들 파이프; 및
    상기 미들 파이프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고,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일측 브릿지부와 타측 브릿지부가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측 유압실과 상기 타측 유압실의 축방향 양측을 밀봉시키도록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밀착되는 밀봉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파이프는 상기 완충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부시.
KR1020180045472A 2018-04-19 2018-04-19 하이드로부시 KR10244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472A KR102448933B1 (ko) 2018-04-19 2018-04-19 하이드로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472A KR102448933B1 (ko) 2018-04-19 2018-04-19 하이드로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962A KR20190121962A (ko) 2019-10-29
KR102448933B1 true KR102448933B1 (ko) 2022-09-30

Family

ID=6842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472A KR102448933B1 (ko) 2018-04-19 2018-04-19 하이드로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5471A (zh) * 2019-10-30 2020-09-11 摩登汽车有限公司 衬套及车辆控制臂总成
KR20230149049A (ko) 2022-04-19 2023-10-26 신우신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마운트용 하이드로부시의 미들 파이프 다중접합 용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209A (en) 1990-12-13 1993-08-03 Caoutchouc Manufacture Et Plastiques S.A. Macpherson strut assembly or the like
JP2007016983A (ja) * 2004-12-06 2007-01-25 Toyo Tire & Rubber Co Ltd 液封入式防振装置
CN105736617A (zh) * 2016-04-06 2016-07-06 天纳克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复合型衬套、减震器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72B1 (ko) * 2010-12-03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체봉입부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209A (en) 1990-12-13 1993-08-03 Caoutchouc Manufacture Et Plastiques S.A. Macpherson strut assembly or the like
JP2007016983A (ja) * 2004-12-06 2007-01-25 Toyo Tire & Rubber Co Ltd 液封入式防振装置
CN105736617A (zh) * 2016-04-06 2016-07-06 天纳克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复合型衬套、减震器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962A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0613B1 (en) Vibration isolator
US7845624B2 (en) Cylindrical fluid-filled elastic mount
US9279473B2 (en) Fluid-filled cylindrical vibration-damping device
KR102448933B1 (ko) 하이드로부시
JP2010159873A (ja) 流体封入式筒形防振装置
JP4518506B2 (ja) ピストンポンプ
WO2019093430A1 (ja) 防振装置
US20180355945A1 (en) Shock absorber with comfort valve
CN110770465A (zh) 具有体积减少的插入件的阻尼器
JPS61206838A (ja) 流体入りブツシユ組立体
JPH01210638A (ja) 油圧緩衝式スリーブ形ゴム緩衝器
US8807543B2 (en) Elastomeric plain bearing having switchable rigidity
US9822839B2 (en) Hydraulically damping rubber bearing
JPS61144444A (ja) 流体入りブツシユ
CN108131390B (zh) 水弹性轴承
JP4041138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2909046B2 (ja) 液圧緩衝式筒形ラバースプリング
RU2737258C2 (ru) Демпферная втулка
JP3763024B1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6431738B2 (ja) 流体封入式筒型防振装置
KR102704659B1 (ko) 가변형 디커플러를 구비한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JP3787684B1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4073028B2 (ja) 流体封入式筒形防振装置
JP7424954B2 (ja) 防振装置
JP5907777B2 (ja) 流体封入式筒形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