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563B1 - Chair Headrest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 Google Patents
Chair Headrest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5563B1 KR102445563B1 KR1020220074003A KR20220074003A KR102445563B1 KR 102445563 B1 KR102445563 B1 KR 102445563B1 KR 1020220074003 A KR1020220074003 A KR 1020220074003A KR 20220074003 A KR20220074003 A KR 20220074003A KR 102445563 B1 KR102445563 B1 KR 1024455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r
- headrest
- frame
- height adjustment
- h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편리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하고 특히, 높이의 조절을 위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의자 디자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고급스러운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의자 프레임과 헤드레스트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잦은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작에도 흔들리지 않고 조절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nnected to a frame of the backrest of a chair,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raise the headrest to a height suitable for the body simply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eadrest by hand. can be adjusted, so it is easy to use and handle. In particular, since the configuration for height adjustmen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esign of the chair, thereby maintaining a luxurious appearance, and assembling the chair frame and headrest It relates to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new type of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can maintain the height of the headrest stably and firmly without being shaken even when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frequently manipul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편리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하고 특히, 높이의 조절을 위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의자 디자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고급스러운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의자 프레임과 헤드레스트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잦은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작에도 흔들리지 않고 조절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nnected to a frame of the backrest of a chair,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raise the headrest to a height suitable for the body simply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eadrest by hand. can be adjusted, so it is easy to use and handle. In particular, since the configuration for height adjustmen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esign of the chair, thereby maintaining a luxurious appearance, and assembling the chair frame and headrest It relates to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new type of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can maintain the height of the headrest stably and firmly without being shaken even when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frequently manipulated.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좌판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및 등받이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여 주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chair includes a seat plate, a leg supporting the seat plate, a backrest coupled to the seat plate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a headrest installed on the backrest to support the user's head.
그리고, 의자의 등받이 및 헤드레스트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쿠션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쿠션으로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통풍이 잘되어 사용자에게 큰 편의성을 제공하는 시트를 이용하는 의자가 제조되고 있다.In addition, cushions for user convenience are installed on the backrest and headrest of the chair, and recently, chairs using a seat that provides great convenience to users by providing good ventilation in an environment with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as cushions are being manufactured.
또한, 의자의 헤드레스트는 업무 중이나 휴식 중에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 의자가 제조되고 있다.In addition, the headrest of the chair supports the user's head during work or rest, and a chair with improved convenience by allow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s being manufactured.
종래 의자의 헤드레스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015416호(등록일: 2011년 02월 10일)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는, 사용자들이 업무 중이나 휴식 중에 머리를 기대는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의 받침대 프레임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홀을 가지면서 등받이 프레임에 체결 설치되는 홀더 하우징과, 상기 홀더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홀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통해 받침대 프레임에 있는 여러 단의 높이조절용 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돌기를 갖고 있으며 스프링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젖힘 및 복귀가능한 홀더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머리받침대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방식으로 머리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ior art technology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of a chair,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of a chair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1015416 (Registration date: February 10, 2011). A height adjust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headrest supporting a user's head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of a chair to be used in such a way as to recline It has a holder housing to be fastened, and a protrusion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holder housing and is selectively caught in the grooves for height adjustment of several stages in the pedestal frame through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le, and is bent and supported while receiving elastic support by a spring. It includes a retractable holde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eadrest by hand.
또 다른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15164호(등록일: 2015년 04월 20일)의자용 헤드레스트는, 의자의 등판 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포스트와, 상기 지지포스트에 결합되며 상부가 전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커버와, 착석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커버에 연결되고, 착석자의 머리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쿠션부재의 후방 탄성 지지가 유도되도록 상기 쿠션부재의 좌우측 및 하부를 지지하고 상부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이너쉘 및 상기 이너쉘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제1체결홈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지지커버의 절곡된 상부의 저면에 형성된 제2체결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쉘과 상기 지지커버를 매개하여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prior art,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15164 (registration date: April 20, 2015) for a chair headrest includes a support pos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back plate frame of a chair, and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post. A support cover having a shape bent forward, a cushion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supporting the head of a seated person, the cushion member is seated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cover, A first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shell that supports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member so as to induce rear elastic support and has an upper middle portion open, and a first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inner shell. and a second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a second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nt upper part of the support cover, and comprising a frame for connecting the inner shell and the support cover via the middle. .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들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의자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고급스러운 의자의 디자인을 저해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잦은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을 통하여 해드레스트가 전후좌후로 쉽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반번하게 발생하였다.However, the configuratio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of the above configuration have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hair, thereby impairing the design of a luxurious chair and lowering the purchase desire of consumers, especially , The frequent headrest height adjustment often caused the headrest to swing back and forth easily.
더욱이, 헤드레스트와 의자 프레임의 연결부분의 형상 및 디자인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에 의하여 디자인이 한정되거나 또는 세련된 미감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디자인의 한계가 있음과 동시에 조립상태가 쉽게 훼손되어 실질적으로 헤드레시트가 흔들리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Moreover, the shape and design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chair frame is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or there is a limit to the design tha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with a sophisticated aesthetic, and at the same time the assembly state is easily damaged. In fact, it became the main cause of the head restraint shak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상/하 높이조절이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단순한 동작을 통하여 간단하게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form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adrest can be easily adjusted to a height suitable for the body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headrest by hand. It is to provide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헤드레스트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의자의 미감을 저해함이 방지되어 고급스러운 미감의 의자를 제공함으로서 소비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with a luxurious aesthetic 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chair by providing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that is formed inside the headrest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can improve purchase desi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상부에 한 쌍의 결합돌기와 복수 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하부에 의자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립공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프레임과, 하부에 연결프레임의 걸림돌기가 끼움되며 내측에 복수 개의 걸림쇄기가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홈과 가장자리로 복수 개의 결합쇄기가 일체로 형성된 숫프레임과, 외측 중앙부분에 형성된 단턱을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높이조절홈에 삽입되고 내측에 결합돌기가 끼움되는 결합돌기수용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타측에 상기 높이조절홈의 외면에 밀착되며 내측에 볼트수용홈과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이 일체로 형성된 단계조절부재와, 상기 결합쇄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을 갖는 복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측이 숫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암프레임 및, 상기 암프레임의 표면에 일면이 부착되며 신축성과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frame in which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assembling holes coupled to the chair frame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portion;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connection frame is fitted in the lower part, and a pair of height adjustment grooves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clamps formed on the inside, a male fram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clamps on the edge, and the step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outer side as the center on one side A fitting part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accommodating groove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and fitt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on the inside, and a fixing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ight control groove on the other side and having a bolt accommodating groove and a through hole on the inside are integrally formed. A member, an arm frame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having locking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chain group and coupled to an edge side surrounding the male frame, and one sid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rm frame and has elasticity and breathability It can be achieved by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ush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a.
상기 연결프레임의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와, 숫프레임의 높이조절홈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가 상하 이동 가능한 형태로 끼움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rojections of the connection frame and is formed between the guide protruding to the front side, and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of the mal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is fitted in a vertically movable form.
상기 연결프레임의 조립공 외주면에 형성되어 의자프레임과 연결시 볼트의 노출을 방지하는 밀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ling cap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of the connection frame to prevent exposure of the bolt when connected to the chair frame.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의자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하는 돌출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ruding jaw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frame to connect to the surrounding chair frame to be coupled.
상기 단계조절부재는 끼움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수용홈과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보강리브에 끼움되는 한 쌍의 끼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adjustment member is formed to communicate vertically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accommodating groove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pair of fitting grooves fitted to the reinforcing rib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 높이에 맞춰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자 착석자의 목과 머리부분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받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함은 물론 휴식시간을 이용하여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hea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and stable fit for the neck and head of the seated person. It not only can support the seated person, but also corrects the posture of the seated person, and has the effect of taking a sleep by using the rest time.
더욱이, 헤드레스트의 상/하 높이조절이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단순한 동작을 통하여 간단하게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조절됨으로써 남여노소 누구나 쉽게 헤드레스트이 높이를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착석자의 만족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as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adrest is adjusted to a height suitable for the body through a simple movement of raising and lowering the headrest by hand, anyon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to suit their body, resulting in satisfaction of the occupan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또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헤드레스트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의자의 미감을 저해함이 방지되어 고급스러운 미감의 의자를 제공함으로서 소비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formed inside the headrest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chair from being inhibited. there i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중 숫프레임과 연결프레임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중 숫프레임과 연결프레임 부분의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5의 C 부분의 확대도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le frame and a connecting frame part of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male frame and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of the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ed state of the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5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convenient wheelchair ba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중 숫프레임과 연결프레임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중 숫프레임과 연결프레임 부분의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hair headrest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hair head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s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le frame and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of the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male frame and the connecting frame among the chair headrests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ombined state of the chair headrest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5 .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편리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하고 특히, 높이의 조절을 위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의자 디자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고급스러운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의자 프레임과 헤드레스트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잦은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작에도 흔들리지 않고 조절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nnected to a frame of the backrest of a chair,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raise the headrest to a height suitable for the body simply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eadrest by hand. can be adjusted, so it is easy to use and handle. In particular, since the configuration for height adjustmen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esign of the chair, thereby maintaining a luxurious appearance, and assembling the chair frame and headrest It relates to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new type of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can maintain the height of the headrest stably and firmly without being shaken even when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frequently manipulated.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100)는, 헤드레스트(100)와 의자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0)과, 상기 연결프레임(10)의 일측에 상하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숫프레임(20)과, 상기 숫프레임(20)과 결합되며 숫프레임(20)의 돌출부분을 커버하고, 쿠션(40)이 부착되는 평활면을 제공하는 암프레임(30) 및 상기 암프레임(30)의 표면에 부착되는 쿠션(40)으로 구성된다.As shown, the
상기 연결프레임(10)은 상부에 숫부라켓(20)에 끼움되는 가이드(11)와 한 쌍의 결합돌기(12) 및 복수 개의 보강리브(13)가 형성되며 하부에 의자프레임(20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립공(14)이 일체로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0)은 상부가 의자 프레임(20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측면이 대략 " " 형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0)의 조립공(14) 외주면에는 의자프레임(200)과 연결시 사용되는 볼트(미도시)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캡(15)과 하단부에 의자프레임(200)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는 돌출턱(16)이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상기 숫프레임(20)은 하부 중앙부분에 가이드(11)가 이동가능한 형태로 끼움되는 가이드홈(21)과, 상기 가이드홈(21)의 양측에 형성되며 내측에 복수 개의 걸림쇄기(22)가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홈(23) 및 가장자리로 복수 개의 결합쇄기(24)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가이드홈(21)에는 연결프레임(10)의 가이드(11)가 끼움되어 숫프레임(20)의 상하이동이 흔들림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며, 동시에 양측의 높이조절홈(23)에는 단계조절부재(25)가 관통하여 연결프레임(10)의 결합돌기(12)에 결합되고 볼트(26)로 결합된 상태가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단계조절부재(25)는 외측 중앙부분에 형성된 단턱(251)을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높이조절홈(23)에 삽입되는 끼움부(252)와 타측에 상기 높이조절홈(23)의 외면에 밀착되는 고정부(253)로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252)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돌기(12)와 보강리브(13)가 끼움되는 결합돌기수용홈(254)이 끼움홈(255)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고정부(253)의 내측에는 볼트의 머리부분이 수용되는 볼트수용홈(256)이 형성되며 내측을 관통하는 관통공(257)이 일체로 형성된다.The
상기 암프레임(30)은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쇄기(24)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31)을 갖는 복수 개의 결합홈(3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측이 숫프레임(2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The
상기 쿠션(40)은 암프레임(30)의 표면에 잡착제 등으로 내면이 암프레임(30)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신축성과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숫프레임(20)은 연결프레임(10)과 상하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는, 상기 숫프레임(20)의 후면에 연결프레임(10)이 밀착되어 가이드(11)가 가이드홈(21)에 끼움되고, 양측의 높이조절홈(23)에는 결합돌기(12)가 끼움되며, 끼움된 결합돌기(12)의 외주면에 단계조절부재(25)의 결합돌기수용홈(254)이 끼움됨과 동시에 결합돌기(12)의 상하로 연결된 보강리브(13)에 끼움홈(255)이 끼움되어 단계조절부재(25)의 끼움부(252)가 높이조절홈(23)에 삽입되고, 삽입된 위치가 걸림쇄기(22)에 의하여 고정되고, 숫프레임(20)은 고정부(253)가 높이조절홈(23)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26)가 관통공(257)을 관통하여 결합돌기(12)에 나사체결됨으로써 결합된 상태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유지된다.Specifically, the
즉, 상기 단계조절부재(25)의 끼움부(252)에 형성된 끼움홈(255)의 구성에 의하여 단계조절부재(25)는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하여 자연회전이 물리적으로 방지됨으로써 항상 숫프레임(20)의 높이조절홈(23)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at is, by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숫프레임(20)이 연결프레임(10)으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결합쇄기(24)가 암프레임(30)의 결합홈(32)으로 삽입되고 걸림턱(31)에 걸림되어 암프레임(30)의 가장자리가 숫프레임(20)을 감싸는 형태로 숫프레임(20)과 암프레임(30)이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또한, 상기 암프레임(30)의 표면에는 쿠션(40)이 부착된다.In addition, a
상기와 같이 숫프레임(20)과 쿠션(40)이 부착된 암프레임(30)이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A)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하부로 누르면 높이조절홈(23)의 걸림쇄기(22)에 걸림되어 위치가 고정된 끼움부(252)가 걸림쇄기(22)에 걸림된 상태를 하중에 의하여 넘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위치가 가변되고 가변된 위치에 형성된 걸림쇄기(22)에 의하여 변형된 위치가 다시 고정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더욱이, 상기 숫프레임(20)과 연결된 연결프레임(10)은 하부가 의자프레임(200)과 볼트로 체결되는데,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턱(16)이 의자프레임(200)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고 볼트가 조립공(14)을 관통하여 의자프레임(200)에 결합됨으로서 헤드레스트(1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방지되며 연결프레임(10)의 견고한 조립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ower part of the
특히, 상기 연결프레임(10)이 조립공(14)에 위치된 볼트는 조립공(14)을 밀폐하는 밀폐캡(15)을 통하여 볼트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헤드레스트의 결합 부분의 미감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olt in which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 높이에 맞춰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자 착석자의 목과 머리부분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받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함은 물론 휴식시간을 이용하여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헤드레스트의 상/하 높이조절이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단순한 동작을 통하여 간단하게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조절됨으로써 남여노소 누구나 쉽게 헤드레스트이 높이를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착석자의 만족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hea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and stable fit for the neck and head of the seated person.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support the occupant, it corrects the posture of the occupant, and has a constitutional feature that allows a person to sleep while taking a break. By simply adjusting the height to a suitable height for the body through simple movements, anyon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to suit their body, thereby maximizing the satisfaction of the occupant.
또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헤드레스트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의자의 미감을 저해함이 방지되어 고급스러운 미감의 의자를 제공함으로서 소비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formed inside the headrest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chair from being disturbed. There is thi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claims.
10 : 연결프레임
11 : 가이드 12 : 결합돌기
13 : 보강리브 14 : 조립공
15 : 밀폐캡 16 : 돌출턱
20 : 숫프레임
21 : 가이드홈 22 : 걸림쇄기
23 : 높이조절홈 24 : 결합쇄기
25 : 단계조절부재 26 : 볼트
30 : 암프레임
31 : 걸림턱 32 : 결합홈
40 : 쿠션10: connection frame
11: guide 12: coupling protrusion
13: reinforcing rib 14: assembler
15: sealing cap 16: protruding jaw
20: male frame
21: guide groove 22: jam breaker
23: height adjustment groove 24: combine cleaver
25: step adjustment member 26: bolt
30: arm frame
31: locking jaw 32: coupling groove
40: cushion
Claims (5)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100)는,
상부에 한 쌍의 결합돌기(12)와 복수 개의 보강리브(13)가 형성되며 하부에 의자프레임(20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립공(14)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프레임(10);과
하부에 연결프레임(10)의 결합돌기(12)가 끼움되며 내측에 복수 개의 걸림쇄기(22)가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홈(23)과 가장자리로 복수 개의 결합쇄기(24)가 일체로 형성된 숫프레임(20);과
외측 중앙부분에 형성된 단턱(251)을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높이조절홈(23)에 삽입되고 내측에 결합돌기(12)가 끼움되는 결합돌기수용홈(254)이 형성된 끼움부(252)와, 타측에 상기 높이조절홈(23)의 외면에 밀착되며 내측에 볼트수용홈(256)과 관통공(257)이 형성된 고정부(253)가 일체로 형성된 단계조절부재(25);와
상기 결합쇄기(24)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31)을 갖는 복수 개의 결합홈(3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측이 숫프레임(2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암프레임(30); 및,
상기 암프레임(30)의 표면에 일면이 부착되며 신축성과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쿠션(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In the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configured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supporting the user's hea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ir frame so that the user can be used in a way that the user leans their head during work or rest,
The headrest 100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12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3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14 coupled to the chair frame 200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frame 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connection frame 10 is fitted in the lower portion, and a pair of height adjustment grooves 23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claws 22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claws 24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dges. male frame (20); and
A fitting portion 252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receiving groove 254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2 is fitted and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23 on one side around the stepped 251 formed in the outer central portion, and On the other side, the step adjustment member 2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23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fixing part 253 having a bolt receiving groove 256 and a through hole 257 formed therein; and
an arm frame 30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32 having a locking protrusion 31 ar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cleaver 24 and the edge side is coupl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male frame 20; and,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comprising a cushion (40) having one surfac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rm frame (30)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breathability.
상기 연결프레임(10)의 결합돌기(12) 사이에 형성되며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11)와, 숫프레임(20)의 높이조절홈(23)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11)가 상하 이동 가능한 형태로 끼움되는 가이드홈(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The method of claim 1,
It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12 of the connection frame 10 and is formed between the guide 11 protruding forward and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23 of the male frame 20, and the guide 11 moves up and down. A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21 that is fitted in a possible shape.
상기 연결프레임(10)의 조립공(14) 외주면에 형성되어 의자프레임(200)과 연결시 볼트의 노출을 방지하는 밀폐캡(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The method of claim 1,
A chair head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ealing cap 1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14 of the connection frame 10 to prevent the bolt from being exposed when connected to the chair frame 200 . rest.
상기 연결프레임(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의자프레임(200)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하는 돌출턱(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rest for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ruding jaw (1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frame (10) and connected to the chair frame (200) to be connected in a surrounding manner.
상기 단계조절부재(25)는 끼움부(252)에 형성된 결합돌기수용홈(254)과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보강리브(13)에 끼움되는 한 쌍의 끼움홈(2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adjustment member 25 is formed to communicate vertically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accommodating groove 254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252 to further include a pair of fitting grooves 255 fitted to the reinforcing rib 13 . A headrest for a chair with a height-adjustable fea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4003A KR102445563B1 (en) | 2022-06-17 | 2022-06-17 | Chair Headrest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4003A KR102445563B1 (en) | 2022-06-17 | 2022-06-17 | Chair Headrest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5563B1 true KR102445563B1 (en) | 2022-09-21 |
Family
ID=8345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4003A Active KR102445563B1 (en) | 2022-06-17 | 2022-06-17 | Chair Headrest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556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06147B1 (en) * | 2024-11-19 | 2025-05-14 |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 The headrest for the chair in which the complex functionality is giv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420Y1 (en) * | 2003-12-03 | 2004-02-21 | 주식회사 리바트 | A headrest for a chair |
KR101015416B1 (en) | 2009-04-13 | 2011-02-22 | (주) 브이엘퍼니처 | Chair head height adjustment |
KR101075875B1 (en) * | 2008-12-09 | 2011-10-25 |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 Headrest assembly of a chai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KR101515164B1 (en) | 2015-01-21 | 2015-04-28 | 부호체어원(주) | Head rest for chair |
US9380878B1 (en) * | 2015-03-19 | 2016-07-05 | Atec International Team Co., Ltd. | Chair headrest |
KR101635485B1 (en) * | 2015-12-22 | 2016-07-08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Chair having adjustable-height and adjustable-angle headrest |
KR101873721B1 (en) * | 2017-11-02 | 2018-07-03 | (주)코아스 | Head-rest for chair |
KR102002053B1 (en) * | 2019-04-22 | 2019-10-01 | (주)광일체어 | headrest for chair |
-
2022
- 2022-06-17 KR KR1020220074003A patent/KR1024455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420Y1 (en) * | 2003-12-03 | 2004-02-21 | 주식회사 리바트 | A headrest for a chair |
KR101075875B1 (en) * | 2008-12-09 | 2011-10-25 |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 Headrest assembly of a chai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KR101015416B1 (en) | 2009-04-13 | 2011-02-22 | (주) 브이엘퍼니처 | Chair head height adjustment |
KR101515164B1 (en) | 2015-01-21 | 2015-04-28 | 부호체어원(주) | Head rest for chair |
US9380878B1 (en) * | 2015-03-19 | 2016-07-05 | Atec International Team Co., Ltd. | Chair headrest |
KR101635485B1 (en) * | 2015-12-22 | 2016-07-08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Chair having adjustable-height and adjustable-angle headrest |
KR101873721B1 (en) * | 2017-11-02 | 2018-07-03 | (주)코아스 | Head-rest for chair |
KR102002053B1 (en) * | 2019-04-22 | 2019-10-01 | (주)광일체어 | headrest for chai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06147B1 (en) * | 2024-11-19 | 2025-05-14 |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 The headrest for the chair in which the complex functionality is give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26497B2 (en) | Backrest of a chair | |
US6726278B1 (en) | Back pad for chair back | |
US9510682B2 (en) | Nestable chair | |
KR102445563B1 (en) | Chair Headrest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 |
KR101000825B1 (en) | Lumbar protection chair | |
JPWO2008004583A1 (en) | Reclining seat structure | |
KR101616507B1 (en) | Chair having headrest | |
KR102521635B1 (en) | Chair Headrest with Angle and Height Adjustment | |
KR20210152918A (en) | Elastic flexion control module of chair | |
KR101759479B1 (en) | Back of chair | |
KR200453289Y1 (en) | chair | |
CN112568638B (en) | Chair | |
KR200323370Y1 (en) | good line chair | |
JP7217110B2 (en) | Chair | |
WO2016063973A1 (en) | Furniture, load supporting member for chair, and chair | |
US10334953B2 (en) | Furniture, load support member for chair, and chair | |
KR200456923Y1 (en) | Sponge-type Chair Cushions | |
KR101995570B1 (en) | A chair with waist support | |
KR100734166B1 (en) | Adjustable chair according to body type | |
JP2017047115A (en) | sofa | |
KR200371544Y1 (en) | The chair having a head-rest and a hanger | |
JP7575905B2 (en) | chair | |
JP7312010B2 (en) | folding chair | |
JP7448354B2 (en) | Chair | |
JP4960689B2 (en) |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6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