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138B1 -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138B1
KR102439138B1 KR1020210000784A KR20210000784A KR102439138B1 KR 102439138 B1 KR102439138 B1 KR 102439138B1 KR 1020210000784 A KR1020210000784 A KR 1020210000784A KR 20210000784 A KR20210000784 A KR 20210000784A KR 102439138 B1 KR102439138 B1 KR 10243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groove
upper barrel
barrel part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8903A (ko
Inventor
김화수
장영이
Original Assignee
김화수
장영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수, 장영이 filed Critical 김화수
Priority to KR102021000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1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2Clips attached to a pen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우드 필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드 필기구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배럴부와,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 배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배럴부와, 상부 배럴부에 결합되는 클립부와, 상부 배럴부에 연결되고 상부 배럴부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부 배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목재 재질의 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Wood writing imp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 same}
본 발명은,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형이 목재 재질로 제작되어 미관이 유려하고 목재 비율이 높은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에는 연필, 샤프펜슬, 만년필 및 볼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연필은 천연 목재의 내부에 흑연으로 된 연필심을 길이방향으로 삽입 고정하여 일단을 깎아 사용하는 것이며, 샤프펜슬은 가는 샤프심이 샤프펜슬 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볼펜은 회전하는 볼을 통해 잉크가 흘러나와 필기할 수 있게 한 필기구의 종류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잉크를 이용한 필기구를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볼펜은 단면이 원형이나 육각 팔각형상으로 된 파이프 형태의 배럴을 압출 성형하여 다양한 볼펜의 특성에 알맞도록 후가공한 후 볼펜 심을 장착하여 제작된다.
상술한 볼펜 등은 대부분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구조 및 특성이 가변되는 것으로서, 소비자는 종래의 일률적인 특성이나 디자인으로부터 식상해하고 있으므로 보다 새로운 느낌의 필기구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배럴을 목재로 제작하어 고급스러운 목재의 질감을 가지는 우든 볼펜이 소비자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우드 볼펜은 배럴과 캡이 분리되어 제작된다. 캡은 배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볼펜의 상단부 영역을 형성하며 클립을 배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캡은 보통 철재로 제작되어 목재의 느낌을 희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캡이 목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캡과 배럴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았고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배럴의 나무무늬와 캡의 나무무늬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끊어져 심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5-0003381호(1995.02.16.)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클립을 배럴에 장착하면서도 배럴과 캡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배럴과 캡의 목재무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배럴부;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배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배럴부; 상기 상부 배럴부에 결합되는 클립부; 및 상기 상부 배럴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배럴부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배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목재 재질의 캡부를 포함하는 우드 필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럴부에는 2단 천공용 천공드릴에 의해 천공된 2단 천공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단 천공홈은, 제1 천공홈; 및 상기 제1 천공홈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천공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 천공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2단 천공용 천공드릴은, 드릴 몸체; 상기 드릴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천공홈을 형성하는 하단 드릴비트; 및 상기 드릴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 드릴비트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하단 드릴비트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천공홈을 형성하는 상단 드릴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럴부에는, 상기 제2 천공홈에 연통되며, 상기 클립부가 관통하는 클립 관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천공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천공홈 내에 배치되는 클립 고정용 브라켓; 및 상기 클립 고정용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클립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천공홈에 삽입된 상기 클립부에 결합되는 클립 고정용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목재 재질의 하부 배럴부를 형성하는 하부 배럴부 가공단계; 상기 하부 배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목재 재질의 상부 배럴부와, 상기 상부 배럴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배럴부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캡부를 형성하는 상부 배럴부 및 캡부 가공단계; 및 상기 상부 배럴부에 클립부를 결합하는 클립부 결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는 상기 상부 배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럴부 및 캡부 가공단계에서는, 상기 상부 배럴부에 2단 천공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단 천공홈은, 제1 천공홈; 및 상기 제1 천공홈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천공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 천공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천공홈과 상기 제2 천공홈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 결합단계는, 상기 제1 천공홈에 클립 고정용 브라켓이 삽입되며, 상기 클립 고정용 브라켓이 상기 제1 천공홈 내에 배치되는 브라켓 장착단계; 상기 제2 천공홈에 연통되며 상기 클립부가 관통하는 클립 관통홈이 상기 상부 배럴부에 형성되는 클립 관통홈 형성단계; 상기 클립부가 상기 클립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천공홈에 삽입되는 클립부 삽입단계; 및 상기 클립 고정용 브라켓에 클립 고정용 볼트가 결합되며, 상기 클립 고정용 볼트가 상기 클립부에 결합되는 클립부 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부 배럴부에 결합되는 클립부와, 상부 배럴부에 연결되고 상부 배럴부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부 배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목재 재질의 캡부를 구비함으로써, 클립부를 상부 배럴부에 장착하면서도 상부 배럴부와 캡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배럴과 캡의 목재무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필기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배럴부에 2단 천공홈을 형성하는 2단 천공용 천공드릴과 2단 천공용 천공드릴에 의해 2단 천공홈이 형성된 상부 배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상부 배럴부에 클립 관통홈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상부 배럴부와 클립부의 결합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우드 필기구를 제작하는 제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필기구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부 배럴부에 2단 천공홈을 형성하는 2단 천공용 천공드릴과 2단 천공용 천공드릴에 의해 2단 천공홈이 형성된 상부 배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상부 배럴부에 클립 관통홈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상부 배럴부와 클립부의 결합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우드 필기구를 제작하는 제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우드 필기구는 배럴 부위가 목재 재질로 제작된 우드 볼펜, 우드 만년필 및 우드 샤프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드 필기구 중 우드 볼펜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우드 만년필, 우드 샤프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드 볼펜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럴부(110)와, 상부 배럴부(120)와, 클립부(130)와, 캡부(140)와, 클립 고정용 브라켓 및 클립 고정용 볼트(160)를 포함한다.
하부 배럴부(11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배럴부(110)는 내부에 볼펜 심(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다. 하부 배럴부(11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므로 하부 배럴부(110)의 외부 표면에는 나무무늬가 존재한다.
본 실시예의 하부 배럴부(110)에는 볼펜 심의 닙(nib, N)을 관통시켜 닙(N)을 외부 노출시키는 닙 노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클립부(130)는 상부 배럴부(120)에 결합된다. 이러한 클립부(1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럴부(120)의 후술할 클립 관통홈(123)을 관통하는 클립 헤드(131)와, 클립 헤드(131)에 연결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클립 몸체(132)를 포함한다.
클립 헤드(1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클립 헤드(131)에는 후술할 클립 고정용 볼트(160)가 관통하는 고정홀(133)이 형성된다. 클립 몸체(132)는 길이가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배럴부(12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된다. 상부 배럴부(120)는 하부 배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배럴부(120)는 하부 배럴부(110)에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배럴부(120)에는 2단 천공용 천공드릴(200)에 의해 천공된 2단 천공홈(121, 122)이 형성된다. 2단 천공홈(121, 12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천공홈(121)과, 제1 천공홈(121)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제1 천공홈(12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 천공홈(122)으로 이루어진다(도 2(b) 참조).
본 실시예에서 제1 천공홈(121)과 제2 천공홈(122)은 개별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2단 천공용 천공드릴(200)에 의해 한꺼번에(동시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배럴부(120)에 제1 천공홈(121)을 형성하는 가공과정에서 제1 천공홈(12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 천공홈(122)이 함께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클립 관통홈(123)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면적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할 2단 천공홈(121, 122)을 가공하는 2단 천공용 천공드릴(2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몸체(210)와, 드릴 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단 드릴비트(220)와, 드릴 몸체(210)에 연결되고 하단 드릴비트(22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하단 드릴비트(2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 드릴비트(230)를 포함한다.
하단 드릴비트(220)는 드릴 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하단 드릴비트(220)는 제2 천공홈(122)이 형성되도록 상부 배럴부(120)를 절삭한다.
상단 드릴비트(230)는 드릴 몸체(210)에 연결되고 하단 드릴비트(22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단 드릴비트(230)는 하단 드릴비트(2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천공홈(121)이 형성되도록 상부 배럴부(120)를 절삭한다.
또한 상부 배럴부(120)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천공홈(122)에 연통되며 클립부(130)의 클립 헤드(131)가 관통하는 클립 관통홈(123)이 형성된다.
캡부(140)는 상부 배럴부(120)에 연결되어 상부 배럴부(120)의 상단부 영역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캡부(140)는 클립 관통홈(123)의 상부 영역에 해당된다.
이러한 캡부(140)는 목재 재질로 마련되어 상부 배럴부(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캡부(140)와 상부 배럴부(12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배럴부(120)의 표면에 형성된 나무무늬가 캡부(140)까지 끊어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즉, 종래에는 캡부(140)와 상부 배럴부(120)가 별도로 제작됨으로써, 상부 배럴부(120)의 나무무늬가 캡부(140)까지 이어지지 않고 단절되었는데, 본 실시예의 우드 볼펜에서는 상부 배럴부(120)와 캡부(14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부 배럴부(120)의 나무무늬가 캡부(140)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져 수려한 심미감을 일으킨다.
한편,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은 제1 천공홈(121)에 삽입되어 제1 천공홈(121)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제1 천공홈(121)의 내벽면에 접촉되는 원통관(151)과, 원통관(15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체결용 너트(152)를 포함한다.
원통관(151)은 내부가 중공된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원통관(151)은 제1 천공홈(121)에 끼움결합되어 외주면이 제1 천공홈(121)의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통관(151)은 황동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용 너트(152)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용 너트(152)의 외주면은 원통관(151)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용 너트(152)에는 클립 고정용 볼트(160)가 치합되는 나사공(153)이 형성된다.
클립 고정용 볼트(160)는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의 체결용 너트(152)에 형성된 나사공(153)에 나사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고정용 볼트(16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클립 고정용 볼트(160)의 외주면에는 나사공(153)의 암나사에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또한 클립 고정용 볼트(160)에는, 클립 고정용 볼트(160)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재(161)가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부재(161)는 클립 헤드(131)의 고정홀(133)에 삽입되어 클립 헤드(131)에 걸림결합된다. 클립 고정용 볼트(160)는 클립 헤드(131)에 걸림결합되어 클립부(1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드 필기구는, 상부 배럴부(120)에 결합되는 클립부(130)와, 상부 배럴부(120)에 연결되고 상부 배럴부(120)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부 배럴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목재 재질의 캡부(140)를 구비함으로써, 클립부(130)를 상부 배럴부(120)에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상부 배럴부(120)와 캡부(14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배럴과 캡의 목재무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우드 필기구의 제작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부 배럴부(120)와 클립부(130)의 조립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재질의 하부 배럴부(110)를 형성하는 하부 배럴부 가공단계(S110)와, 하부 배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목재 재질의 상부 배럴부(120)와 상부 배럴부(120)에 연결되어 상부 배럴부(120)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캡부(140)를 형성하는 상부 배럴부 및 캡부 가공단계(S120)와, 상부 배럴부(120)에 클립부(130)를 결합하는 클립부 결합단계(S130)를 포함한다.
하부 배럴부 가공단계(S110)에서는 하부 배럴부(110)의 내부에 볼펜 심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 배럴부(110)의 내부를 중공시키는 가공이 수행된다. 하부 배럴부 가공단계(S110)에서 상술한 닙 노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부 배럴부 및 캡부 가공단계(S120)에서는, 상부 배럴부(120)와, 상부 배럴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캡부(140)가 가공된다. 이러한 상부 배럴부 및 캡부 가공단계(S120)에서는 상부 배럴부(120)에 제1 천공홈(121)과 제2 천공홈(122)이 형성된다(도 2(b) 참조).
제1 천공홈(121)과 제2 천공홈(122)은 개별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2단 천공용 천공드릴(200)에 의해 한꺼번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천공홈(121)을 형성하는 가공과정에서 제1 천공홈(12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 천공홈(122)이 함께 형성됨으로써, 클립 관통홈(123)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면적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클립부 결합단계(S130)에서는 상부 배럴부(120)에 클립부(13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 결합단계(S130)는, 제1 천공홈(121)에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이 삽입되며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이 제1 천공홈(121) 내에 배치되는 브라켓 장착단계(S131)와, 제2 천공홈(122)에 연통되며 클립부(130)가 관통하는 클립 관통홈(123)이 상부 배럴부(120)에 형성되는 클립 관통홈 형성단계(S132)와, 클립부(130)가 클립 관통홈(123)을 관통하여 제2 천공홈(122)에 삽입되는 클립부 삽입단계(S133)와,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에 클립 고정용 볼트(160)가 결합되며 클립 고정용 볼트(160)가 클립부(130)에 결합되는 클립부 고정단계(S134)를 포함한다.
브라켓 장착단계(S131)에서는, 제1 천공홈(121)에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이 삽입되어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이 제1 천공홈(121) 내에 배치된다(도 3(a) 참조).
클립 관통홈 형성단계(S132)에서는 제2 천공홈(122)에 연통되는 클립 관통홈(123)이 상부 배럴부(120)에 형성된다(도 3(b) 참조).
클립 관통홈(123)을 형성하는 가공 전에 제1 천공홈(121)에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이 삽입됨으로써, 클립 관통홈(123)을 형성하는 가공과정에서 제1 천공홈(121)에 의해 얇아진 상부 배럴부(12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클립부 삽입단계(S133)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130)의 클립 헤드(131)가 클립 관통홈(123)을 관통하여 제2 천공홈(122)에 삽입된다. 클립 헤드(131)가 클립 관통홈(123)을 관통하여 제2 천공홈(122)에 삽입됨으로써, 클립 헤드(131)의 고정홀(133)이 제2 천공홈(122) 내에 배치된다.
클립부 고정단계(S134)에서는 클립 고정용 브라켓(150)의 체결용 너트(152)에 클립 고정용 볼트(160)가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체결용 너트(152)에 클립 고정용 볼트(160)의 결합과정에서 클립 고정용 볼트(160)의 돌출부재(161)가 고정홀(133)에 삽입되어 체결용 볼트와 클립 헤드(131)가 결합되어 클립부(130)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은, 상부 배럴부(120)에 연결되어 상부 배럴부(120)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부 배럴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캡부(140)를 형성하는 상부 배럴부 및 캡부 가공단계(S120)와, 상부 배럴부(120)에 클립부(130)를 결합하는 클립부 결합단계(S130)를 구비함으로써, 클립부(130)를 상부 배럴부(120)에 장착하면서도 상부 배럴부(120)와 캡부(14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배럴과 캡의 목재무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하부 배럴부 120: 상부 배럴부
121: 제1 천공홈 122: 제2 천공홈
123: 클립 관통홈 130: 클립부
140: 캡부 150: 클립 고정용 브라켓
160: 클립 고정용 볼트 161: 돌출부재
200: 2단 천공용 천공드릴 210: 드릴 몸체
220: 하단 드릴비트 230: 상단 드릴비트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목재 재질의 하부 배럴부를 형성하는 하부 배럴부 가공단계;
    상기 하부 배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목재 재질의 상부 배럴부와, 상기 상부 배럴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배럴부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캡부를 형성하는 상부 배럴부 및 캡부 가공단계; 및
    상기 상부 배럴부에 클립부를 결합하는 클립부 결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는 상기 상부 배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배럴부 및 캡부 가공단계에서는, 상기 상부 배럴부에 2단 천공홈이 형성되고,
    상기 2단 천공홈은,
    제1 천공홈; 및
    상기 제1 천공홈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천공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 천공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부 결합단계는,
    상기 제1 천공홈에 클립 고정용 브라켓이 삽입되며, 상기 클립 고정용 브라켓이 상기 제1 천공홈 내에 배치되는 브라켓 장착단계;
    상기 제2 천공홈에 연통되며 상기 클립부가 관통하는 클립 관통홈이 상기 상부 배럴부에 형성되는 클립 관통홈 형성단계;
    상기 클립부가 상기 클립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천공홈에 삽입되는 클립부 삽입단계; 및
    상기 클립 고정용 브라켓에 클립 고정용 볼트가 결합되며, 상기 클립 고정용 볼트가 상기 클립부에 결합되는 클립부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00784A 2021-01-05 2021-01-05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 KR10243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84A KR102439138B1 (ko) 2021-01-05 2021-01-05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84A KR102439138B1 (ko) 2021-01-05 2021-01-05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903A KR20220098903A (ko) 2022-07-12
KR102439138B1 true KR102439138B1 (ko) 2022-08-31

Family

ID=8241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784A KR102439138B1 (ko) 2021-01-05 2021-01-05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1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420A (ja) * 2004-09-16 2006-03-30 Sumitomo Forestry Co Ltd 多段穴開けドリル
JP2008200968A (ja) * 2007-02-20 2008-09-04 Pilot Corporation 筆記具用の軸体
KR101940235B1 (ko) * 2018-05-25 2019-01-18 남정현 원목샤프펜슬 제조방법 및 제조된 원목샤프펜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669Y1 (ko) 1993-07-30 1995-06-13 주식회사 마이크로세라믹 볼펜뚜껑의 클립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420A (ja) * 2004-09-16 2006-03-30 Sumitomo Forestry Co Ltd 多段穴開けドリル
JP2008200968A (ja) * 2007-02-20 2008-09-04 Pilot Corporation 筆記具用の軸体
KR101940235B1 (ko) * 2018-05-25 2019-01-18 남정현 원목샤프펜슬 제조방법 및 제조된 원목샤프펜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903A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3784A (ko) 필기구 및 필기구 제조 방법
US5791798A (en)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KR102439138B1 (ko) 우드 필기구 및 우드 필기구 제작방법
WO2010104101A1 (ja) ボールペンチップ、ボールペンリフィル、ボールペン及びボールペンチップの製造方法
US20070020024A1 (en) Lipstick-like pen
JPH0226698Y2 (ko)
US472212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riting tip of a ball point pen
JP2011173433A (ja) 棒状筆記文具体ホルダー
US2513380A (en) Writing instrument
KR200426562Y1 (ko) 필기구
TW202011864A (zh) 文具、化粧料容器及化粧品
JP2017087457A (ja) 筆記具用リフィール
JP7289941B2 (ja) ボールペン
KR200294752Y1 (ko) 삽지식 필기구
JP2022110780A (ja) ボールペンリフィ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ボールペン
JPS6323180Y2 (ko)
JPH0545514Y2 (ko)
JPS5837670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H0226699Y2 (ko)
US1756242A (en) Writing tool
KR101570157B1 (ko) 볼펜
JPH025981Y2 (ko)
KR101950402B1 (ko) 출몰식 필기구
JPS6232873Y2 (ko)
JPS634175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