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482B1 - Automatic belt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utomatic belt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9482B1 KR102429482B1 KR1020160145246A KR20160145246A KR102429482B1 KR 102429482 B1 KR102429482 B1 KR 102429482B1 KR 1020160145246 A KR1020160145246 A KR 1020160145246A KR 20160145246 A KR20160145246 A KR 20160145246A KR 102429482 B1 KR102429482 B1 KR 1024294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rail
- automatic bar
- cargo
- automatic
- freight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60P7/1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the load bracing means comprising a movable b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 차량의 적재함 양측면 하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위치를 조정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의 자동바로 구성되어,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된 자동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적재된 화물의 위치에 관계없이 화물을 고정시키는 벨트 결박이 용이하게 하고, 또한 화물 결속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두께의 벨트를 사용하더라도 자동바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에 의해 중공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and in particular, a guide rail mounted on both sides of a lower side of a loading box of a freight vehicle;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utomatic bars that are 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and can adjust or fix their positions,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bars provided in the loading box of the cargo vehicle, so that the cargo can be transport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loaded cargo. It facilitates fastening of the belt to fix it, and even if a belt of various thicknesses is used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of the cargo, the width of the hollow part can be adjusted by the adjustment part that is movably provided in the automatic bar, which is effective in increasing workability and marketability. is to make 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 결속 시 적재함에 구비되는 자동바를 조절하여 화물의 위치 및 화물을 고정시키는 벨트의 너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ar device for a cargo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djust the automatic bar provided in the loading box when binding the cargo to the loading box of the cargo vehic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argo and the width of the belt for fixing the cargo can be adjusted as needed. It relates to an automatic bar device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화물 차량에 적재된 화물은 화물차의 운행 중 화물의 유동이나 이탈에 의한 사고의 예방을 위해 적재함에 견고히 체결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한 화물의 고정수단으로 종래에는 통상 고무로프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고무로프는 화물 고정 시 2인 이상의 인원이 직접 이들 고정수단을 체결하여야 하여 화물의 고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the cargo loaded in the cargo vehicle must be securely fastened to the loading box to prevent accidents due to the flow or departure of the cargo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ruck. The rubber rope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fix the cargo because two or more people have to directly fasten these fixing means when fixing the cargo.
이에 따라 최근에는 고무로프 보다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면서도 운전자 혼자서도 체결이 용이한 자동바(또는 벨트 텐셔너)가 구비된 합성수지재 벨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synthetic resin belt provided with an automatic bar (or belt tensioner) that provides a stronger binding force than a rubber rope and is easy to fasten even by a driver alone has been widely used.
도 1은 종래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종래의 자동바(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의 적재함(10)에 화물을 실은 후 주행 시 물건이 흐트러지거나 추락되지 않도록 벨트를 걸고 그 벨트를 탄탄하게 당겨서 고정시킨다.As shown in FIG. 1 , the
그러나, 종래의 자동바(20)는 고정식으로 장착되어 있어 위치를 조정할 수 없으므로 자동바(20)를 적재함(10)에 일정 간격으로 상당 수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바(20) 활용이 비효율적이며 화물 결박 시에도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또한, 적재된 화물에 따라 결박 시 사용하는 벨트가 다르므로 자동바(20)를 크기별로 여러 개 장착시킬 수밖에 없어 화물 차량 생산 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belt used for fastening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aded carg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install several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9568호Patent 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956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 결속 시 적재함에 구비되는 자동바를 조절하여 화물의 위치 및 화물을 고정시키는 벨트의 너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ar device for a cargo vehicl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in particular, by adjusting the automatic bar provided in the loading box when the cargo is bound to the loading box of the cargo vehicle, the position of the cargo and the width of the belt for fixing the cargo are adjusted as needed.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adjust accordingly.
이러한 본 발명은 화물 차량의 적재함 양측면 하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위치를 조정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의 자동바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guide rail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of the freight vehicle; It is achiev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automatic bars that are 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to adjust or fix the position.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적재함 하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저면 중앙에는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함으로써 달성된다.The guide rail is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and is achieved by forming a first guide groove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자동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중공부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tomatic bar may include a body 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and having a hollow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djustment part movably mounted on the body to adjust the width of the hollow part formed in the body.
상기 바디는, 상면에 제1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고, 하면에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상부와; 상기 상부 하단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게 하는 하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includes an upper portion having a first guide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inserted into a first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ower portion provided in parallel to the upper lower portion to form the hollow portion.
상기 조절부는,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단에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이동부와; 볼트 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제1이동부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에 삽입되어 볼트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justing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unit provided vertically and having a second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end to be mov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moving part made of a bolt device, penetrat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mov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move the moving part according to the bolt rotation.
상기 조절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하부가 상부 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is formed shorter than the upper part so as to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adjusting part.
상기 가이드레일 저면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레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the body includes a lever that passes through the upper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상기 레버는 상기 바디 상부에 탄성체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ever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rough an elastic body.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된 자동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적재된 화물의 위치에 관계없이 화물을 고정시키는 벨트 결박이 용이하게 하고, 또한 화물 결속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두께의 벨트를 사용하더라도 자동바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에 의해 중공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bar provided in the loading box of the cargo vehicle, thereby making it easy to fasten the belt for fixing the cargo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loaded cargo, and also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of the cargo. Even if a belt is used, the width of the hollow part can be adjusted by the adjusting part movably provided in the automatic bar, and thus it is an invention effective in increasing workability and marketability.
도 1은 종래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에서 자동바의 위치가 조정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에서 자동바의 폭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에서 가이드레일과 자동바의 결합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에서 레버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에서 가이드레일의 고정홀에 고정되는 레버를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2 is a view showing an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bar is adjusted in the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automatic bar is adjusted in the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device of the guide rail and the automatic bar in the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lever operation state in the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ever fixed to the fixing hole of the guide rail in the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의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 하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00)과, 가이드레일(10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동바(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가이드레일(100)은 하물 차량의 적재함(10) 양측면에 구비된 사이드게이트(11) 하부에 장착된다.The
이때, 가이드레일(100)은 적재함(10) 하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저면 중앙에는 제1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자동바(200)는 복수 개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00)의 제1가이드홈(11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자동바(200)의 위치를 조정하고, 조정 후에는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A plurality of
여기서, 자동바(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바디(210)와, 바디(210)에 장착되어 자동바(200)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220)로 이루어진다.Here, the
바디(210)는 가이드레일(10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적재물을 고정시키는 벨트가 삽입되는 중공부(201)가 형성된다.The
조절부(220)는 바디(2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방향 이동에 따라 바디(210)에 형성된 중공부(201)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adjusting
한편, 바디(210)는 가이드레일(10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211)와, 상부(211)에 연결되며 중공부(201)가 형성되게 하는 하부(212)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211)는 상면에 제1가이드돌기(213)가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00)의 제1가이드홈(110)에 삽입되고, 하면에는 제2가이드홈(214)이 형성된다.7 and 8, the upper 211 has a
또한, 하부(212)는 상부(211) 하단에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부(211)와 하부(212)를 연결하는 수직부가 형성되어 바디(210)의 상부(211)와 하부(212) 사이에 중공부(201)가 형성되게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조절부(220)는 바디(210)의 제2가이드홈(214)에 삽입되는 제1이동부(221)와, 제1이동부(221)와 연결된 상태로 바디(210)의 하부(212)에 결합되는 제2이동부(222)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djusting
제1이동부(221)는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단에 제2가이드돌기(223)가 형성되어 제2가이드홈(21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The first moving
제2이동부(222)는 볼트 장치로 이루어져 수평하게 구비되며, 제2이동부(222) 일단이 제1이동부(221) 하단을 관통하여 바디(210)의 하부(212)에 삽입되어 제2이동부(222)를 회전시키면 볼트 회전 장치에 따라 제2이동부(222)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바디(210)에 형성된 중공부(201)의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The second moving
이때, 바디(210)의 하부(212)가 상부(211) 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2이동부(222)가 바디(210)의 하부(212)에 삽입된 이후 이동하게 될 때 제2이동부(222)를 포함하는 조절부(2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lower 212 of the
즉, 조절부(220)의 제2이동부(222)에서 볼트의 헤드 부분을 공구를 이용하여 조이면 나사산에 의해 제2이동부(222)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자동바(200)의 폭이 좁아지고, 이로 인해 중공부(201)의 폭도 좁아지게 할 수 있으므로 적재물을 고정시키는 벨트의 폭에 따라 자동바(200) 및 중공부(201)의 폭도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head of the bolt in the second moving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0) 저면에는 복수의 고정홀(120)이 형성되고, 바디(210)는 상부(211)를 관통하여 고정홀(120)에 삽입되는 레버(230)가 구비되도록 하여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자동바(200)의 위치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자동바(200)를 가이드레일(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9 and 10 , a plurality of
또한, 레버(230)는 바디(210) 상부(211)에 탄성체(231)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여 자동바(200)를 가이드레일(100)로부터 이동시킬 때는 레버(230)는 하부로 당겨 레버(230)가 가이드레일(100)의 고정홀(1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자동바(200)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자동바(200) 이동 후 위치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당긴 레버(230)를 놓으면 레버(230)가 가이드레일(100)의 고정홀(120)에 삽입되도록 하여 자동바(2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레버(230)를 놓는 위치에 고정홀(120)이 없는 경우 레버(230)가 고정홀(120)에 삽입되지 않지만 자동바(200)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게 되면 근접한 위치의 고정홀(120)에 레버(230)가 삽입된다.At this time, if there is n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버(230)를 아래로 당겨서 가이드레일(100)의 고정홀(120)로부터 이탈시킨 후 자동바(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하고, 이때 자동바(200)가 가이드레일(100)의 제1가이드홈(110)을 따라 이동하고, 자동바(200)의 조절부(220)도 상부(211)의 제2가이드홈(21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2중 레일 장치에 의해 자동바(200)의 위치 변경 및 중공부(201) 폭 변경이 자유롭게 하여 정밀 조정과 다양한 화물 크기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처럼, 본 발명은 화물 차량의 적재함(10) 양측면 하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00)과, 가이드레일(10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위치를 조정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의 자동바(200)로 이루어져, 화물 차량의 적재함(10)에 구비된 자동바(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적재된 화물의 위치에 관계없이 화물을 고정시키는 벨트 결박이 용이하게 하고, 또한 화물 결속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두께의 벨트를 사용하더라도 자동바(200)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220)에 의해 중공부(201)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 : 적재함 100 : 가이드레일
110 : 제1가이드홈 120 : 고정홀
200 : 자동바 201 : 중공부
210 : 바디 211 : 상부
212 : 하부 213 : 제1가이드돌기
214 : 제2가이드홈 220 : 조절부
221 : 제1이동부 222 : 제2이동부
223 : 제2가이드돌기 230 : 레버10: loading box 100: guide rail
110: first guide groove 120: fixing hole
200: automatic bar 201: hollow part
210: body 211: upper
212: lower 213: first guide projection
214: second guide groove 220: adjuster
221: first moving part 222: second moving part
223: second guide projection 230: lever
Claims (8)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위치를 조정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의 자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중공부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Guide rail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loading box of the freight vehicle;
A plurality of automatic bars that are 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to adjust or fix the position;
The automatic bar is
a body 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and having a hollow portion; and
and a control unit movably mounted on the body to adjust the width of the hollow part formed in the body.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적재함 하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저면 중앙에는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rail is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the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바디는,
상면에 제1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고, 하면에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상부와;
상기 상부 하단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중공부가 형성되게 하는 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an upper portion having a first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and having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uto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comprising a; a lower portion provided in parallel to the upper lower portion to form the hollow portion.
상기 조절부는,
수직하게 구비되며, 상단에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이동부와;
볼트 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제1이동부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에 삽입되어 볼트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a first moving part provided vertically and having a second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end to be mov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and a second moving part made of a bolt devic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rst mov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move the moving part according to the bolt rotation.
상기 조절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하부가 상부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uto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is formed shorter than the upper portion so as to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adjusting unit.
상기 가이드레일 저면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the body includes a lever that passes through the upper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상기 레버는 상기 바디 상부에 탄성체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lever is an automatic bar device for a freight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rough an elastic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5246A KR102429482B1 (en) | 2016-11-02 | 2016-11-02 | Automatic belt devic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5246A KR102429482B1 (en) | 2016-11-02 | 2016-11-02 | Automatic belt device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8096A KR20180048096A (en) | 2018-05-10 |
KR102429482B1 true KR102429482B1 (en) | 2022-08-05 |
Family
ID=6218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5246A KR102429482B1 (en) | 2016-11-02 | 2016-11-02 | Automatic belt devic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94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5198B1 (en) | 2020-07-22 | 2021-01-19 | 곽재근 | Rachet buckle for truck |
KR20240059282A (en) * | 2022-10-27 | 2024-05-07 | 주식회사 태건특장 | Truck with adjustable hook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5907Y1 (en) * | 1996-12-20 | 1999-06-15 | 정몽규 | A goods fixing device |
KR200479568Y1 (en) | 2014-10-23 | 2016-02-15 | 김윤상 | Automatic Belt for Luggage Binding |
-
2016
- 2016-11-02 KR KR1020160145246A patent/KR102429482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8096A (en) | 2018-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104354A1 (en) | Buckle assembly for tie down strap | |
KR102429482B1 (en) | Automatic belt device for vehicle | |
DE102013100517A1 (en) | Child seat | |
EP2933153B1 (en) | Restraint system for use in a vehicle | |
DE19941714C2 (en) | Holding device in a motor vehicle | |
US479188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an animal on a vehicle | |
KR200479568Y1 (en) | Automatic Belt for Luggage Binding | |
DE102015108782B4 (en) | Vehicle body, in particular for commercial vehicles, commercial vehicle with such a vehicle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 |
US8998547B2 (en) | Cargo catch | |
US8356963B2 (en) | Channel and anchor assembly for securing cargo | |
DE102014013080B4 (en) | Guide rail for a height adjuster | |
EP2998158B1 (en) | Perforated sheet path | |
DE202017101185U1 (en) | Seilverzurrungsvorrichtung | |
EP2433834A1 (en) | Device for securing cargo on a cargo vehicle | |
US2970850A (en) | Vehicle tie-down device | |
DE102016109634B4 (en) | Load securing hooks for connecting a holding means to a load securing rail, as well as load securing means and the construction of a commercial vehicle, each with the load securing hook | |
DE102010012315A1 (en) | Device for load protection or load cover for goods on loading area of motor vehicle, comprises tensioning unit, which has fastening element for fastening load protection element or load covering element at tensioning unit | |
DE102016006492B4 (en) | Cargo fixing belt system for trucks or truck trailers | |
DE102007008808A1 (en) | Clamping system for fastening two barrels on pallet by clamping belts, has two barrels that having positive locking at lower edge, and are connected to unit with broad horizontal belt | |
JP2022510490A (en) | Container bundling device | |
AT10377U1 (en) | ROLLING DEVICE FOR PLANNING THE UPPER LOADING CONSTRUCTION OF A VEHICLE | |
DE102011117441A1 (en) | Device for holding transport safety net in vehicle, such as van, truck or trailer, has safety rails and safety loops arranged in pairs inside side walls or on base or to ceiling | |
EP1561710B1 (en) | Clamping device | |
EP3015311A1 (en) | Commercial vehicle structure and method for securing the position of an item transported on a transport platform of a commercial vehicle | |
US20150197178A1 (en) | Cargo ca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